KR102205723B1 - 제품 반전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723B1
KR102205723B1 KR1020190145765A KR20190145765A KR102205723B1 KR 102205723 B1 KR102205723 B1 KR 102205723B1 KR 1020190145765 A KR1020190145765 A KR 1020190145765A KR 20190145765 A KR20190145765 A KR 20190145765A KR 102205723 B1 KR102205723 B1 KR 10220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product
shaft
rotation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이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엘
Priority to KR102019014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제품 반전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상호 마주하게 형성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갖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회전축을 가지는 제1 모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대칭 형태로 배치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하는 변위 발생 유닛; 상기 제1 및 제2 돌기들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제품을 그립 또는 제품을 분리시키는 제1 그립퍼 및 제2 그립퍼를 포함하는 제품 그립퍼 유닛;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 제공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립퍼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전달되는 제3 회전축 및 상기 제3 회전축으로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1 및 제2 그립퍼들로 전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그립퍼들을 자전시키는 그립퍼 자전 유닛을 갖는 회전력 전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품 반전 장치{APPARATUS FOR REVERSING PRODUCT}
본 발명은 제품 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크기가 매우 작은 인덕터, 파워 인덕터, MLCC, 반도체 칩과 같은 소형 전자 부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 소형 전자 부품들은 상면, 하면 및 이들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측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의 하나인 인덕터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면 및 하면 그리고 4개의 측면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상면 및 하면이 구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소형 전자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사이즈를 갖고 다수개가 벌크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이들을 트레이에 수납 및 포장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상면 및 하면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상하면이 뒤집힌 상태일 경우 소형 전자 제품을 반전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소형 전자 제품을 반전하는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5300호, 제품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반전 방법(등록일 : 2015년 2월 13일 등록)이 대표적이다.
상기 제품 반전 장치는 제품의 상면 및 하면을 반전시키기 위해서 각각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및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1 및 제2 반전 유닛을 이용하여 제품을 반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품을 반전하기 위해서는 3개의 서보 모터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이에 따라 장치의 제조 원가가 높고, 제품을 반전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고, 제품을 180°뒤집는 기능만 수행 가능하며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다양한 각도로 제품을 회전시키기 불가능한 문제점들을 갖는다.
등록특허 제10-1495300호, 제품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반전 방법(등록일 : 2015년 2월 13일 등록)
본 발명은 2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품을 회전 또는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장치의 제조 원가가 낮고, 제품을 반전하는데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높으며, 제품을 반전 및 다양한 각도로 제품을 회전할 수 있는 제품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품 반전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상호 마주하게 형성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갖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회전축을 가지는 제1 모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대칭 형태로 배치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하는 변위 발생 유닛; 상기 제1 및 제2 돌기들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제품을 그립 또는 제품을 분리시키는 제1 그립퍼 및 제2 그립퍼를 포함하는 제품 그립퍼 유닛;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 제공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립퍼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전달되는 제3 회전축 및 상기 제3 회전축으로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1 및 제2 그립퍼들로 전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그립퍼들을 자전시키는 그립퍼 자전 유닛을 갖는 회전력 전달 유닛을 포함한다.
제품 반전 장치의 상기 동력 제공 유닛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된 풀리 및 상기 풀리와 상기 제3 회전축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 벨트를 포함한다.
제품 반전 장치의 상기 제1 그립퍼는 제1 그립퍼 헤드, 상기 제1 그립퍼 헤드에 연결되며 일부에 제1 스플라인부가 형성된 제1 그립퍼 축, 상기 제1 그립퍼 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돌기에 의하여 변위가 발생되는 제1 변위 발생 부재 및 상기 제1 그립퍼 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변위 발생 부재와 접촉되는 제1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립퍼는 제2 그립퍼 헤드, 상기 제2 그립퍼 헤드에 연결되며 일부에 제2 스플라인부가 형성된 제2 그립퍼 축 및 상기 제2 그립퍼 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돌기에 의하여 변위가 발생되는 제2 변위 발생 부재 및 상기 제2 그립퍼 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변위 발생 부재와 접촉되는 제2 스톱퍼를 포함한다.
제품 반전 장치의 상기 제1 변위 발생 부재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변위 발생 부재에 결합된 제1 복귀 스프링, 상기 제1 변위 발생 부재의 후방에 배치된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변위 발생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2 복귀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품 반전 장치의 상기 제1 변위 발생 부재 및 상기 제2 변위 발생 부재는 각각 슬라이드 부재에 결합된다.
제품 반전 장치의 상기 제2 그립퍼 헤드와 마주하는 상기 제1 그립퍼 헤드의 단부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탄성을 갖는 제1 쿠션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립퍼 헤드와 마주하는 상기 제2 그립퍼 헤드의 단부에는 상기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탄성을 갖는 제2 쿠션 부재가 배치된다.
제품 반전 장치의 상기 그립퍼 자전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스플라인부들과 각각 치차 결합되는 스플라인 홈이 형성된 부싱, 상기 부싱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3 회전축 및 상기 부싱에 연결된 동력 전달 벨트 및 상기 동력 전달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동력 전달 벨트의 양쪽에 배치되며 고정된 지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반전 장치는 단 2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품을 회전 또는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장치의 제조 원가가 낮고, 제품을 반전하는데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높으며, 제품을 반전 및 다양한 각도로 제품을 회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반전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위 발생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품 그립퍼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력 전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반전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특히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반전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품 반전 장치(800)는 베이스 몸체(100), 변위 발생 유닛(200), 제품 그립퍼 유닛(300), 동력 제공 유닛(400) 및 회전력 전달 유닛(50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100)는 변위 발생 유닛(200), 제품 그립퍼 유닛(300), 동력 제공 유닛(400) 및 회전력 전달 유닛(500)을 지정된 위치에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 몸체(100)는 바닥판(110), 제1 측벽(120) 및 제2 측벽(130)을 포함한다.
바닥판(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판(110)의 일측단부에는 제1 측벽(120)이 형성되며, 바닥판(110)의 타측단부에는 제1 측벽(120)과 마주하게 배치된 제2 측벽(130)이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베이스 몸체(100)는 2개의 측벽들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3개 이상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위 발생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변위 발생 유닛(200)은 제1 모터(210), 회전판(220), 제1 돌기(225) 및 제2 돌기(230)를 포함한다.
제1 모터(210)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바닥판(1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모터(210)는 제1 측벽(120) 및 제2 측벽(13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모터(210)에 형성된 제1 회전축(215)은 바닥판(110)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측벽(120,130)들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 회전축(215)은 제1 모터(210)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회전판(22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판(220)의 회전 중심에는 제1 회전축(215)이 결합 되며, 회전판(220)은 제1 회전축(215)에 의하여 회전된다.
제1 돌기(225) 및 제2 돌기(230)는 회전판(220)의 상면에 한 쌍이 배치되며, 제1 및 제2 돌기(225,230)는 제1 회전축(215)에 대하여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
제1 회전축(215)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220), 제1 돌기(225) 및 제2 돌기(230)는 회전된다.
변위 발생 유닛(200)의 제1 돌기(225) 및 제2 돌기(230)는 후술 될 제품 그립퍼 유닛(300)을 작동시켜 제품을 지정된 위치에 고정 및 제품이 지정된 위치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품 그립퍼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품 그립퍼 유닛(300)은 제1 돌기(225)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되는 제1 그립퍼(310) 및 제2 돌기(230)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되는 제2 그립퍼(35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그립퍼(310,350)는 직선왕복운동 되면서 제품을 그립 또는 제품과 분리된다.
제1 그립퍼(310)는 제1 그립퍼 헤드(320), 제1 그립퍼 축(330), 제1 변위 발생 부재(340) 및 제1 스톱퍼(332)를 포함한다.
제1 그립퍼 헤드(320)는 제품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일측은 제품과 접촉되기 적합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제1 그립퍼 헤드(320)의 선단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제1 쿠션 부재(325)가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쿠션 부재(325)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립퍼 축(330)은 로드(rod)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그립퍼 축(330)의 일측 단부는 제1 그립퍼 헤드(320)에 결합 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그립퍼 헤드(320) 및 제1 그립퍼 축(330)은 상호 조립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1 그립퍼 헤드(320) 및 제1 그립퍼 축(330)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그립퍼 축(330)의 타측 단부로부터는 일정 길이로 제1 스플라인부(335)가 형성된다. 제1 스플라인부(335)는 제1 그립퍼 축(330)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톱니를 포함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그립퍼 축(330)의 표면에 스플라인부를 형성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스플라인부 대신 키(key)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제1 변위 발생 부재(340)는 제1 스플라인축(330)에 삽입된다. 제1 변위 발생 부재(340)는 제1 변위 발생부(345) 및 제1 가이드부(347)를 포함한다.
제1 변위 발생부(345)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변위 발생부(345)에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은 제1 그립퍼 축(330)이 통과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관통홀의 직경은 제1 그립퍼 축(3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변위 발생부(34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돌기(225)와 접촉되며, 제1 돌기(225)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동된다.
제1 가이드부(347)는 제1 변위 발생부(345)에 연결되며, 제1 가이드부(347)는 블럭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347)의 하면에는 제1 그립퍼 축(330)과 평행한 오목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제1 스톱퍼(332)는 제1 스플라인 축(33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스톱퍼(332)는 제1 스플라인 축(330)에 제1 변위 발생부(345)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변위 발생부(345)의 바깥쪽에 결합 된다.
제1 스톱퍼(332)가 제1 스플라인 축(330)에 결합 되어 고정됨에 따라 제1 변위 발생 부재(340)에 변위가 발생될 경우 제1 변위 발생 부재(340)는 바깥쪽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제1 그립퍼 축(330)도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스톱퍼(332)를 사용하는 이유는 제1 스플라인 축(330)은 직선왕복운동뿐만 아니라 회전 운동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제1 변위 발생부(345)가 제1 그립퍼 축(330)에 견고하게 결합 될 경우 제1 그립퍼 축(330)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2 그립퍼(350)는 제2 그립퍼 헤드(360), 제2 그립퍼 축(370), 제2 변위 발생 부재(380) 및 제2 스톱퍼(37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그립퍼(350)는 제1 그립퍼(310)와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
제2 그립퍼 헤드(350)는 제품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일측은 제품과 접촉되기 적합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제2 그립퍼 헤드(350)의 선단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갖고 제1 쿠션 부재(325)와 마주하는 제2 쿠션 부재(365)가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쿠션 부재(365)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립퍼 축(370)은 로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그립퍼 축(370)의 일측 단부는 제2 그립퍼 헤드(360)에 결합 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그립퍼 헤드(360) 및 제1 그립퍼 축(370)은 상호 조립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2 그립퍼 헤드(360) 및 제2 그립퍼 축(370)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2 그립퍼 축(370)의 타측 단부로부터는 일정 길이로 제2 스플라인부(375)가 형성된다. 제2 스플라인부(375)는 제2 그립퍼 축(370)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톱니를 포함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 그립퍼 축(370)의 표면에 스플라인부를 형성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스플라인부 대신 키(key)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제2 변위 발생 부재(380)는 제2 스플라인축(370)에 삽입된다. 제2 변위 발생 부재(380)는 제2 변위 발생부(385) 및 제2 가이드부(387)를 포함한다.
제2 변위 발생부(385)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변위 발생부(385)에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은 제2 그립퍼 축(370)이 통과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관통홀의 직경은 제2 그립퍼 축(37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변위 발생부(38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돌기(230)와 접촉되며, 제2 돌기(230)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동된다.
제2 가이드부(387)는 제2 변위 발생부(385)에 연결되며, 제2 가이드부(387)는 블럭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387)의 하면에는 제2 그립퍼 축(370)과 평행한 오목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제2 스톱퍼(372)는 제2 스플라인 축(370)에 결합 되어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2 스톱퍼(372)는 제2 스플라인 축(370)에 제2 변위 발생부(385)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변위 발생부(385)의 바깥쪽에 결합 된다.
제2 스톱퍼(372)가 제2 스플라인 축(370)에 결합 되어 고정됨에 따라 제2 변위 발생 부재(380)에 변위가 발생될 경우 제2 변위 발생 부재(380)는 바깥쪽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제2 그립퍼 축(370)도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스톱퍼(372)를 사용하는 이유는 제2 스플라인 축(370)은 직선왕복운동뿐만 아니라 회전 운동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제2 변위 발생부(385)가 제2 그립퍼 축(370)에 견고하게 결합 될 경우 제2 그립퍼 축(370)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변위 발생 부재(340)의 제1 가이드부(347)에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제2 변위 발생 부재(380)의 제2 가이드부(387)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는 각각 슬라이드 부재(390)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변위 발생 부재(340,380)이 슬라이드 부재(390)를 따라 직선 왕복 운동 된다.
한편, 제1 변위 발생 부재(340) 및 제2 변위 발생 부재(380)가 변위 발생 유닛(300)에 의하여 간격이 벌어진 상태에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기 위해 제1 복귀 스프링(392)이 사용된다.
제1 복귀 스프링(392)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복귀 스프링(392)의 일측 단부는 제1 변위 발생 부재(340)에 결합 되고, 제1 복귀 스프링(392)의 타측 단부는 제2 변위 발생 부재(380)에 결합 될 수 있다.
제1 복귀 스프링(392)에 의하여 제1 및 제2 변위 발생 부재(340,380)의 넓어진 사이 간격은 원래 간격으로 좁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복귀 스프링(392) 이외에 제2 복귀 스프링(3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귀 스프링(394)은 제1 변위 발생 부재(340)의 제1 가이드부(347) 및 제1 가이드부(347)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고정 부재(39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복귀 스프링(394)은,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동력 제공 유닛(400)은 제2 회전축(410)을 갖는 제2 모터(420)를 포함한다.
제2 모터(420)는 앞서 설명한 제1 그립퍼(310) 및 제2 그립퍼(350)를 자전시켜 제품을 회전 또는 반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력 제공 유닛(400)은 제2 회전축(410)에 결합된 풀리(430) 및 동력 전달 벨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력 전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력 전달 유닛(500)은 제3 회전축(510) 및 그립퍼 자전 유닛(520)을 포함한다.
제3 회전축(510)은 로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회전축(510)은 제1 그립퍼(310) 및 제2 그립퍼(350)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3 회전축(510)의 일부에는 스플라인 등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회전축(510)에는 동력 제공 유닛(400)의 동력 전달 벨트(440)가 결합된다. 이로 인해 동력 제공 유닛(400)의 동력 전달 벨트(440)로 제공된 동력에 의하여 제3 회전축(510)은 회전된다.
그립퍼 자전 유닛(520)은 제3 회전축(510)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그립퍼(310,350)를 자전시켜 제품을 회전 또는 반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그립퍼 자전 유닛(520)은 제1 그립퍼(310) 및 제2 그립퍼(350)에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바, 제2 그립퍼(350)에 설치되는 그립퍼 자전 유닛(520)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립퍼 자전 유닛(520)은 부싱(522), 지지판(524) 및 동력 전달 벨트(526)를 포함한다.
부싱(522)은 제2 스플라인부(375)에 끼워지는 스플라인 홈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제2 스프라인부(375)는 스플라인 홈과 치차 결합되며, 이로 인해 부싱(522) 및 제2 그립퍼 축(370)은 회전 슬립 없이 함께 회전된다.
동력 전달 벨트(526)는 제3 회전축(510) 및 부싱(52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3 회전축(510)으로 인가된 회전력을 부싱(522)으로 제공하고, 부싱(522)으로 제공된 회전력에 의하여 제1 그립퍼(310) 및 제2 그립퍼(350)는 동일한 회전력 및 동일한 회전 각도로 회전된다.
지지판(524)은 부싱(522)이 삽입되는 관통홀을 가지며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며, 지지판(524)은 한 쌍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부싱(522)은 고정된 지지판(524)에 대하여 회전되며, 지지판(524)은 부싱(522)에 결합된 동력 전달 벨트(526)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품 반전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반전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품(1)을 반전시키기 위해서 먼저 변위 발생 장치(200)의 제1 모터(210)가 작동하여 회전판(220)이 회전됨에 따라 제1 돌기(225) 및 제2 돌기(230)가 회전된다.
제1 및 제2 돌기(225,230)이 회전됨에 따라 제품 그립퍼 유닛(300)의 제1 변위 발생 부재(340) 및 제2 변위 발생 부재(380)는 바깥쪽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제1 그립퍼(310)의 제1 그립퍼 헤드(320) 및 제2 그립퍼(350)의 제2 그립퍼 헤드(360)는 각각 이격되어 갭(G)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그립퍼 헤드(320, 360)들이 이격된 후,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는 피커(2)에 의하여 제품(1)이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품(1)은 육면체 형상을 갖는 다양한 소형 전자 부품일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품(1)이 제1 및 제2 그립퍼 헤드(320,360)의 사이에 배치되면, 변위 발생 유닛(200)의 제1 모터(210)가 역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품 그립퍼 유닛(300)의 제1 그립퍼(310) 및 제2 그립퍼(350)은 각각 전진하여 제1 및 제2 그립퍼 헤드(320,360)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제품(1)은 제1 및 제2 그립퍼 헤드(320,360)들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후 피커(2)는 제품(1)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품(1)이 제1 및 제2 그립퍼 헤드(320,360)들 사이에 고정되면, 동력 제공 유닛(400)의 제2 모터(420)로부터 회전력이 발생되고 이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력 전달 유닛(500)의 제3 회전축(510)이 회전되고, 제3 회전축(510)의 회전에 의하여 부싱(522)이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 그립퍼 축(330,370)이 동일한 회전각 및 동일한 회전력을 회전되면서 제품(1)을 회전시킨다.
이때, 제품(1)은 동력 제공 유닛(400)의 제2 모터(420)의 회전력 및 회전 각도에 의하여 180°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나, 180°의 각도 이외에 다양한 각도로도 회전될 수 있다.
이후, 제품(1)의 회전 또는 반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피커(2)가 다시 제품(1)을 고정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립퍼(310) 및 제2 그립퍼(350)가 이격되어 제품(1)으로부터 분리되고, 피커(2)는 제품(1)을 후속 공정으로 이송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단 2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품을 회전 또는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장치의 제조 원가가 낮고, 제품을 반전하는데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높으며, 제품을 반전 및 다양한 각도로 제품을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위해 특정 예들을 제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0...베이스 몸체 200...변위 발생 유닛
300...제품 그립퍼 유닛 400...동력 제공 유닛
500...회전력 전달 유닛

Claims (7)

  1.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상호 마주하게 형성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갖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회전축을 가지는 제1 모터,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대칭 형태로 배치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를 포함하는 변위 발생 유닛;
    상기 제1 및 제2 돌기들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제품을 그립 또는 제품을 분리시키는 제1 그립퍼 및 제2 그립퍼를 포함하는 제품 그립퍼 유닛;
    제2 회전축을 갖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 제공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립퍼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전달되는 제3 회전축 및 상기 제3 회전축으로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1 및 제2 그립퍼들로 전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그립퍼들을 자전시키는 그립퍼 자전 유닛을 갖는 회전력 전달 유닛을 포함하는 제품 반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제공 유닛은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된 풀리 및 상기 풀리와 상기 제3 회전축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 벨트를 포함하는 제품 반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퍼는 제1 그립퍼 헤드, 상기 제1 그립퍼 헤드에 연결되며 일부에 제1 스플라인부가 형성된 제1 그립퍼 축, 상기 제1 그립퍼 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돌기에 의하여 변위가 발생되는 제1 변위 발생 부재 및 상기 제1 그립퍼 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변위 발생 부재와 접촉되는 제1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립퍼는 제2 그립퍼 헤드, 상기 제2 그립퍼 헤드에 연결되며 일부에 제2 스플라인부가 형성된 제2 그립퍼 축 및 상기 제2 그립퍼 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돌기에 의하여 변위가 발생되는 제2 변위 발생 부재 및 상기 제2 그립퍼 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변위 발생 부재와 접촉되는 제2 스톱퍼를 포함하는 제품 반전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위 발생 부재 및 상기 제2 변위 발생 부재는 각각 슬라이드 부재에 결합된 제품 반전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립퍼 헤드와 마주하는 상기 제1 그립퍼 헤드의 단부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탄성을 갖는 제1 쿠션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립퍼 헤드와 마주하는 상기 제2 그립퍼 헤드의 단부에는 상기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탄성을 갖는 제2 쿠션 부재가 배치된 제품 반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 자전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스플라인부들과 각각 치차 결합되는 스플라인 홈이 형성된 부싱, 상기 부싱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3 회전축 및 상기 부싱에 연결된 동력 전달 벨트 및 상기 동력 전달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동력 전달 벨트의 양쪽에 배치되며 고정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제품 반전 장치.
KR1020190145765A 2019-11-14 2019-11-14 제품 반전 장치 KR10220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65A KR102205723B1 (ko) 2019-11-14 2019-11-14 제품 반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65A KR102205723B1 (ko) 2019-11-14 2019-11-14 제품 반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723B1 true KR102205723B1 (ko) 2021-01-21

Family

ID=7423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765A KR102205723B1 (ko) 2019-11-14 2019-11-14 제품 반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0631A (zh) * 2021-06-16 2021-10-01 珠海达明科技有限公司 一种挂钩杯分料翻转输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82Y1 (ko) * 1995-05-31 2000-11-15 김영남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KR100381631B1 (ko) * 2001-04-24 2003-04-26 주식회사 옵티비전 기판 반전 장치
KR101495300B1 (ko) 2013-10-21 2015-02-27 주식회사 에스에프이 제품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반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82Y1 (ko) * 1995-05-31 2000-11-15 김영남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KR100381631B1 (ko) * 2001-04-24 2003-04-26 주식회사 옵티비전 기판 반전 장치
KR101495300B1 (ko) 2013-10-21 2015-02-27 주식회사 에스에프이 제품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반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0631A (zh) * 2021-06-16 2021-10-01 珠海达明科技有限公司 一种挂钩杯分料翻转输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8457B2 (en) Workpiece turnover mechanism
KR102205723B1 (ko) 제품 반전 장치
TWI441720B (zh) Industrial robotic arm
US10243486B2 (en) Vibration wave motor
US20130076055A1 (en) Robot hand and robot
KR101300079B1 (ko) 로봇 핸드
US9844884B2 (en) Mechanical hand with movable gripping members
JP2005177976A (ja) ロボットアーム装置
JPS59230473A (ja) 駆動装置
CN102626919B (zh) 无汇交轴线的对称两转动一移动并联机构
JP5182990B2 (ja) 巻線機
TWI272232B (en) Article carrying apparatus
KR20170120347A (ko) 기판 이송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JP7141340B2 (ja) 物体の支持装置
JP6551183B2 (ja) 搬送装置
JP6558241B2 (ja) 搬送装置
JPH1155966A (ja) 把持装置
JP3780233B2 (ja) 把持装置
JP2014161997A (ja) ロボットハンド、ロボット、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KR20180119970A (ko) 카세트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JPH02215629A (ja) カード搬送装置
KR101552443B1 (ko) 물체 피딩 장치
JP7126298B1 (ja) チャック機構
JP2014043930A (ja) 直動テーブル装置
CN108994322B (zh) 用于连接外星轮与车床的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