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438A -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438A
KR20020095438A KR1020020032746A KR20020032746A KR20020095438A KR 20020095438 A KR20020095438 A KR 20020095438A KR 1020020032746 A KR1020020032746 A KR 1020020032746A KR 20020032746 A KR20020032746 A KR 20020032746A KR 20020095438 A KR20020095438 A KR 20020095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detergent
outer tub
ou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752B1 (ko
Inventor
에구찌사또루
미야노유즈루
오오고시겐이찌
가마노도시야스
시까모리다모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7946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38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79464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665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9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프레임과,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외조와, 외조 내에 설치된 세탁겸 탈수조와,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팬에 의해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순환 풍로 모두를 외조에 부착함으로써 세탁 운전 및 건조 운전으로 신뢰성이 높은 운전을 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 건조기{Washing and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 건조기는, 세정 운전에 있어서는 수돗물(세탁수)을 급수 후에, 교반 블레이드을 정역회전시켜, 세탁 의류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세탁 운전을 실행하고, 그 후 수돗물(헹굼수)을 급수하는 동시에 세탁 의류에 마찬가지로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헹굼 운전을 실행하고, 그 후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 의류에 함유되는 헹굼수를 원심 탈수하는 탈수 운전을 실행하고, 또한 그 후에 세탁겸 탈수조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일련의 운전을 실행하는 세탁 건조기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11-347281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평11-347282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평11-347296호 공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 운전 및 건조 운전으로 신뢰성이 높은 운전을 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의 목적은 생산하기 쉽고 신뢰성이 높은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세탁 건조기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전기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세탁 건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4는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프레임 후방측을 절결하여 순환 풍로부를 도시한 배면도.
도5는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하면도.
도6은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톱 커버를 제거하여 외조와 순환 풍로부를 도시한 상면도.
도7은 도6에 있어서의 실 부스러기 포집부의 종단 측면도.
도8은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프레임과 외조의 관계를 도시한 상면도.
도9는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외조 상부 커버의 분해도.
도10은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일체 성형한 외조와 각 덕트를 성형 금형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일체 성형한 외조와 각 덕트를 성형 금형과 함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배면도.
도12는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와 세제 교반 전동기의관계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13은 도12에 도시한 세제 용해 용기를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14는 도13에 도시한 세제 용해 용기의 정면도.
도15는 도13에 도시한 세제 용해 용기의 상면도.
도16은 도13에 도시한 세제 용해 용기의 좌측면도.
도17은 도13에 도시한 세제 용해 용기의 우측면도.
도18은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와 주급수 전자 밸브 및 보조 급수 전자 밸브를 실장한 톱 커버를 후방 패널을 개방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19는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에 탑재한 세제 투입 용기를 압입한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20은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에 탑재한 세제 투입 용기를 약간 인출한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21은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에 탑재한 세제 투입 용기를 더 인출한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22는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에 탑재한 세제 투입 용기를 조금 더 인출한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23은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외부 덮개를 개방하여 세제 투입 용기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톱 커버의 사시도.
도24는 도3에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외부 덮개를 개방하여 세제 투입 용기를 압입한 상태를 도시한 톱 커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a : 후방측 덮개
1b : 보강 부재
2 : 세탁겸 탈수조
4 : 교반 블레이드
5 : 외조
5a : 흡출구
6 : 구동 장치
8 : 방진 지지 장치
9 : 톱 커버
9a : 외측 의류 투입구
17 : 후방 패널 박스
19 : 주수구
20 : 주급수 전자 밸브
21 : 세제 용해 용기
21b : 통형부
21c : 세제 용해실
21h : 일수 모서리
21j : 사이펀 통수 기구
22, 22a : 보조 급수 전자 밸브
23 : 수냉 제습 덕트
24 : 냉각 살수부
25 : 하강 풍로 덕트
26 : 순환 팬
27 : 상승 풍로 덕트
28 : 외조 상부 커버
28a : 내측 의류 투입구
29 : 히터
30 : 취입구
31 : 외부 덮개
32 : 내부 덮개
39 : 세제 교반 전동기
40 : 습도 센서
41 : 제1 온도 센서
42 : 제2 온도 센서
44 : 상부 접힘 부재
45 : 실 부스러기 포집 필터
49 : 금속 베이스판
50 : 세제 교반 블레이드
50b : 오목부
57 : 축 밀봉 부재
58 : 세제 밀봉 부재
73 : 세제 투입 용기
73a : 세제 투입부
73d : 바닥판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설치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 모두를 상기 외조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순환 풍로 모두가 외조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탈수 운전 등의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구동하는 경우라도 불균형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신뢰성이 높은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을 상기 외조 하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1의 효과에다가 팬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도록 형성된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의 좌우에 상기 제1 덕트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2 덕트 및 제3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흡출구부의 하방에서 상기 구동 장치의 후방에 상기 팬을 상기 외조 하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1의 효과에다가 팬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어, 외조 하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설치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수냉 제습하는 수냉 제습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도록 형성한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의 좌우에 상기 제1 덕트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2 덕트 및 제3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덕트는 수냉 제습 수단을 갖고, 상기 흡출구부의 하방에서 상기 구동 장치의 후방에 상기 팬을 상기 외조 하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순환 풍로 일부의 덕트가 외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탈수 운전 등의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구동하는 경우라도 불균형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운전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수냉 제습 수단에 의해 응축된 수분을 흡입구로부터 외조 내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제1 덕트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덕트의 상단부는 상부 접힘 부재에 의해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3 또는 4의 효과에다가 제1 덕트를 외조와 일체로 성형하고, 상부 접힘 부재에 의해 연결한다는 구성이므로 제조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덕트의 상단부는 상부 접힘 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제3 덕트의 상단부는 취입구 부재와 연결하고, 상기 제2 덕트 및 제3 덕트 하단부는 팬 케이싱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3 또는 4의 효과에다가 순환 유로 전체를 외조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탈수 운전 등의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구동하는 경우라도 불균형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운전을 행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흡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덕트의 상단부는 개구하고 하단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탁 건조기용의 덕트를 외조와 일체로 만들 때에 덕트내형 하단부에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그 돌기를 외조 바닥형의 오목부에 끼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덕트의 측벽을 적절한 두께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하기 쉽고 신뢰성이 높은 세탁 건조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합성 수지로 된 외조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의 측벽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덕트의 상단부는 개구하고 하단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탁 건조기용의 덕트를 외조와 일체로 만들 때에 덕트 내형 하단부에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돌기를 설치하여, 그 돌기를 외조 바닥형의 오목부에 끼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의 덕트 측벽을 적절한 두께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하기 쉽고 신뢰성이 높은 세탁 건조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측벽은 상부에 비해 하부를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7 또는 8의 효과에다가 덕트 내형을 상방으로 빠지기 쉽게 제작하기 쉽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수냉 제습 수단을 갖는 수냉 제습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7 내지 9의 효과에다가 수냉 제습 기구에 적합한 세탁 건조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합성 수지로 된 외조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분출구부의 주연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상기 외조 측벽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와 평행하게 상기 외조의 측벽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 덕트 및 제3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덕트의 상단부는 개구하고 하단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부를 갖고, 상기 제2 덕트 및 제3 덕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외조에 일체적으로 세탁 건조기용의 제1 덕트와 제2 덕트와 제3 덕트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경우일지라도 제1 덕트용의 내형 하단부에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돌기를 설치하여, 그 돌기를 외조 바닥형의 오목부에 끼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제1 덕트의 측벽을 적절한 두께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하기 쉽고 신뢰성이 높은 세탁 건조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의 좌우에 연속적으로 제2 덕트 및 제3 덕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11에 기재된 효과에다가 제1 덕트의 좌우에 연속적으로 제2 덕트 및 제3 덕트를 형성하기 쉽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의 측벽은 상부에 비해 하부를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11 또는 12에 기재된 효과에다가 제1 덕트 내형을 상방으로 빠지기 쉽게 제작하기 쉽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수냉 제습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청구항 11 내지 13에 기재된 효과에다가 수냉 제습 기구에 적합한 세탁 건조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지만, 세탁기는 세탁 건조기로부터 건조 기구를 제거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 형태는 세탁 건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세탁 건조기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부호 1은 외곽을 구성하는 사각통형의 프레임이다. 부호 2는 세탁겸 탈수조이며, 그 주위벽에 통수 및 통풍을 위한 소구멍(2a)을 갖고, 그 상연부에 유체 밸런서(3)를 구비하고, 바닥부 내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교반 블레이드(4)를 설치한다. 교반 블레이드(4)는 통수 및 통풍을 위한 소구멍(64a)을 갖는다. 부호 5는상기 세탁겸 탈수조(2)를 내포하는 외조이며 합성 수지제이다. 또한, 외조(5)의 바닥부 외측에는 구동 장치(6)를 강판으로 된 부착 베이스(7)에 의해 부착하고, 프레임(1)의 상단부 네 구석부에 계지한 4개의 방진 지지 장치(8)에 의해 외조(5)를 사방으로부터 균등하게 달아 내림으로써 상기 프레임(1)의 중심부에 현수하도록 지지한다.
구동 장치(6)는 구동 전동기와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와 유성 기어 감속 기구를 내장하고,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교반 블레이드(4)를 회전시키고(교반 모드),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를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세탁 모드),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를 일체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탈수 및 건조 모드)시키는 선택적인 구동 기능을 갖는다.
외측 의류 투입구(9a)를 형성한 톱 커버(9)는 프레임(1)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상기 개구 단부 모서리에 끼워 넣고, 전방 패널(10) 및 후방 패널(11)과 함께 부착 나사에 의해 프레임(1)에 부착한다.
톱 커버(9)와 전방 패널(10) 사이에 형성되는 전방부 수납부인 전방 패널 박스(12)에는, 전원 스위치(13)와 입력 스위치군 및 표시 소자군을 구비한 조작 패널(14)과, 외조(5) 내의 수위에 따른 수위 신호를 발생하는 수위 센서(15)와, 제어 유닛(16)을 내장한다. 이들은, 제어 장치를 구성한다.
톱 커버(9)와 후방 패널(11) 사이에 형성되는 후방부 수납부인 후방 패널 박스(17)에는, 후술하는 세탁수 급수 수단과 고농도 세제액 생성 및 공급 수단을 나란히 내장한다.
세탁수 급수 수단은 입수측을 수도꼭지 접속구(18)에 접속하고, 출수측을 주수구(19)에 접속한 주급수 전자 밸브(20)에 의해 구성한다.
고농도 세제액 생성 및 공급 수단은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로부터 세제 용해 용기(21)에 세제 용해수를 공급하고, 이 세제 용해 용기(21) 내에 투입되어 있는 분말 합성 세제를 교반하면서 상기 세제 용해수로 용해하여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고, 또 다른 급수에 의해 희석하면서 세제 용해 용기(21)로부터 흘러넘치게 하여 상기 주수구(19)에 공급하고, 세제 용해 용기(21)에 부설한 섬유 유연제 투입실(상세한 설명은 후술함)에 급수함으로써 흘러넘치게 하여 상기 주입구(19)에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주수구(9)는 톱 커버(9)의 바닥과 외조(5)의 외조 상부 커버(28)의 후방부를 관통하여 세탁겸 탈수조(2)의 상부 개구 내를 향해 개구한다. 이 주수구(19)는 톱 커버(9)의 바닥과 외조 상부 커버(28) 사이에는 가요관(19a)(도3 참조)을 개재시킨다.
온풍 순환 건조 수단은 외조(5)의 하부 측벽에 형성된 흡출구(5a)로부터 상기 외조(5) 후방측의 측벽인 외벽면에 따라서 수직 상태로 상방으로 신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흡출구(5a)로부터 침입한 세탁수를 저지하는 제습 풍로부인 덕트[수냉 제습 덕트(23)]와, 이 수냉 제습 덕트(23) 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덕트 내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수냉 제습 수단인 냉각 살수부(24)와, 세탁 운전에 있어서의 외조(5)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돌아가 상기 외조(5)의 외벽면에 따라서 상기 외조(5)의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신장하는 하강 풍로부인 하강 풍로 덕트(25)와,외조(5)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하강 풍로 덕트(25)로부터 흡입구에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 공기를 생성하는 팬인 순환 팬(26)과, 이 순환 팬(26)의 분출구로부터 외조(5) 외벽면에 따라서 상방으로 수직 상태로 신장하는 상승 풍로부인 상승 풍로 덕트(27)와, 외조(5)의 상단부에 부착된 외조 상부 커버(28) 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승 풍로 덕트(27)로부터 송입되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인 히터(PTC 히터)(29)를 내장하고, 가열한 순환 공기를 세탁겸 탈수조(2) 내를 향해 취입하는 취입구(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흡출구(5a)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팬(26)에 의해 외조(5) 내로 순환시키는 수냉 제습 덕트(23)나 상승 풍로 덕트(27)나 하강 풍로 덕트(25) 등으로 이루어지는 순환 풍로를 갖고 있고, 이 순환 풍로 모두를 외조에 부착하고 있다.
순환 풍로를 구성하는 제1 덕트인 상기 수냉 제습 덕트(23)와, 제1 덕트와 평행하게 외조(5)의 측벽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2 덕트 및 제3 덕트인 하강 풍로 덕트(25) 및 상승 풍로 덕트(27)는 외조(5)의 후방측 외벽면에 상기 외조(5)의 주위 방향으로 나란히 그 일부를 상기 외조(5)와 일체로 성형하여 실장하고, 이들의 외측을 덮는 후방측 덮개(1a)는 외측으로 팽출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나사 고정한다.
제2 및 제3 덕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개구하고 있고, 제1 덕트의 좌우에 연속적으로 제2 덕트 및 제3 덕트를 형성하고 있다.
수냉 제습 덕트(23)의 측벽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b)에 비해하부(a)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탈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수냉 제습 덕트(23)는 흡출구(5a)의 주연부로부터 상부로 신장하도록 형성하고, 상단부는 개구하고 하단부는 관통 구멍(23a)을 갖는 바닥부(23c)를 갖는다.
또한, 하강 풍로 덕트(25) 내 하부에는 습도 센서(40)와 제1 온도 센서(41)를 설치하고, 흡입구(30) 히터(29)의 하류측 사이의 풍로 내에는 제2 온도 센서(42)를 설치한다. 수냉 제습 덕트(23) 내에서 수냉 제습된 순환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정밀도 좋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수냉 제습된 순환 공기가 잘 혼합되어 균일하게 된 후에 상기 습도 센서(40)와 제1 온도 센서(41)에 접촉시키는 것이 좋고, 따라서 습도 센서(40)와 제1 온도 센서(41)는 수냉 제습 덕트(23)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강 풍로 덕트(25)의 하부 또는 순환 팬(26)의 흡입구 케이싱(26c)에 설치한다. 또, 습도 센서(40)와 제1 온도 센서(41)는 보수 작업에 편리하도록 후방측 덮개(1a)를 제거했을 때에 노출되는 설치 위치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 설명을 생략하지만, 수냉 제습 덕트(23)로부터 하강 풍로 덕트(25)로의 접힘 부분에는 후술하는 실 부스러기 포집 수단을 구비한다.
톱 커버(9)에 형성한 외측 의류 투입구(9a)는, 절반 절첩(산 모양으로 절첩)으로 개방하도록 힌지(31a)에 의해 톱 커버(9)에 부착된 외부 덮개(31)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고, 외조(5) 상단부에 부착된 외조 상부 커버(28)에 형성한 내측 의류 투입구(28a)는 힌지(32a)에 의해 외조 상부 커버(28)에 부착된 내부 덮개(3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구성한다.
외조(5)의 바닥에 형성한 배수구(5b)는 배수 전자 밸브(33)를 거쳐서 배수 호스(34)에 접속한다. 에어 트랩(5c)은 에어 튜브(35)를 통해 상기 수위 센서(15)에 접속한다. 프레임(1)의 하단부 모서리에는 네 구석에 다리(36)를 부착한 합성 수지로 성형된 베이스(37)를 장착한다.
또, 참조 부호(38)는 세탁겸 탈수조(2) 내에 투입된 세탁물이다.
도2는 이 세탁 건조기의 전기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전원 스위치(13)를 통해 수전(受電)하는 제어 유닛(16)은, 마이크로 컴퓨터(16a)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하고, 전원 회로(16b)와, 구동 장치(6)와 주급수 전자 밸브(20)와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 22a)와 세제 교반 전동기(39)와 배수 전자 밸브(33)와 순환 팬(26)과 히터(29)와 냉각 살수 전자 밸브(24a)로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FLS)군을 갖는 구동 회로(16c)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장치(6)의 구동 전동기(61)는 고정자 권선(61a)과 회전 센서(61b)를 갖고,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는 전동 조작기(62a)와 동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62c)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동 회로(16c)는 구동 장치(6)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전동기(61)의 고정자 권선(61a)으로의 급전 제어에 관해서는, 정역회전 제어용으로 2개의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FLS)(16c1, 16c2)를 구비한다. FLS(16c1)는 정회전 급전 제어용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 FLS(16c2)는 역회전 급전 제어용의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동 전동기(61)의 회전 속도 제어는 고정자 권선(61a)으로의 급전을 FLS(16c1, 16c2)에 의해 위상 제어함으로써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인버터 구동의 부러시가 없는 전동기를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PWM 제어나 PAM 제어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구동 장치(6)에 있어서의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의 전동 조작기(62a)로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FLS(16c3)를 구비한다.
또한, 구동 회로(16c)는 주급수 전자 밸브(20),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 22a), 세제 교반 전동기(39), 배수 전동 밸브(33), 순환 팬(26), 히터(29), 냉각 살수 전자 밸브(24a)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FLS(16c4 내지 16c11)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구동 회로(16c)는 마이크로 컴퓨터(16a)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FLS(16c1 내지 16c11)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여 종속하는 부하로의 급전 제어를 행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6a)는, 또한 상기 구동 전동기(61)의 회전 센서(61b),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의 위치 센서(62c), 외조(5) 내의 세탁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15), 습도 센서(40), 제1, 제2 온도 센서(41, 42), 불균형 검출 센서(43), 조작 패널(14)에 접속하고, 미리 조립된 제어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조작 패널(14)의 입력 스위치군(14a)과 수위 센서(15)와 회전 센서(61b)와 위치 센서(62c)와 습도 센서(40)와 제1, 제2 온도 센서(41, 42)와 불균형 검출 센서(43)로부터의 신호를 취입하고, 구동 회로(16c)를 제어함으로써, 검출, 고농도 세제액 생성, 세탁물 습윤, 고농도 세제액 생성 및 공급(침지), 세탁, 헹굼, 탈수 및 온풍 건조의 각 운전을 실행하고, 조작 패널(14)의 표시 소자군(14b)을 제어함으로써 그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여기서, 불균형 검출 센서(43)는 세탁겸 탈수조(2)를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38) 분포의 불균형에 의해 상기 세탁겸 탈수조(2)[외조(5)]가 소정치 이상으로 크게 흔들리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세탁 건조기는 전원 스위치(13)를 투입하고, 외부 덮개(31)와 내부 덮개(32)를 개방하여 세탁겸 탈수조(2) 내에 세탁물(38)을 투입하고, 외부 덮개(3)와 내부 덮개(32)를 폐쇄하여 조작 패널(14)의 세탁 개시 스위치를 투입하면, 제어 유닛(16)은 구동 장치(6)를 운전하여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교반 블레이드(4)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량을 검출하고, 세탁수량 및 상응하는 세제량을 결정하여, 이를 표시하도록 조작 패널(14)의 표시 소자군(14b)을 제어한다.
그리고, 외부 덮개(3)를 개방하여 상당량의 분말 합성 세제 및 섬유 유연제가 세제 용해 용기(21)에 투입되고, 외부 덮개(31)가 폐쇄되면,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를 개방하여 상기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는 데 적합한 양의 수돗물(세제 용해수)을 세제 용해 용기(21)에 공급하고, 또한 세제 교반 전동기(39)를 운전하여 분말 합성 세제를 교반하면서 용해하여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한다.
이 동안, 구동 장치(6)를 제어하여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를 완속 회전시켜 세탁물(38)을 회전시키면서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개방하여 급수함으로써, 수돗물을 세탁물(38)에 구석구석 끼얹어서 상기 세탁물(38)을 습윤시킨다. 이 때의 급수량은 세탁물(38)을 균일하게 습윤시킬 수 있을 정도로 그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를 개방하여 세제 용해 용기(21)에 추가 급수를 행함으로써 상기 세제 용해 용기(21) 내의 고농도 세제액을 흘러넘치게 하여주수구(19)에 공급하는 동시에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개방하여 주수구(19)에 공급함으로써, 고농도 세제액을 원하는 세제 농도(5 내지 30배의 범위)로 희석하여 세탁물(38)에 끼얹도록 제어한다. 이 때, 고농도 세제액이 세탁물(38)에 구석구석 끼얹어져 상기 세탁물(38) 내에 균일하게 침지하도록,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를 일체적으로 완속 회전시키고, 또는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교반 블레이드(4)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38)을 회전 또는 교반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분말 합성 세제를 물로 용해하여 생성하고 또한 희석한 5 내지 30배 농도의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38)에 침지시키면, 세제 성분의 화학적인 세정력이 세탁물(38)의 오염에 효율적으로 작용하여 세정력을 높인다.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38)에 침지시킨 후, 소정 수위까지 세탁수를 급수하도록 주급수 전자 밸브(20)와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를 밸브 개방 제어하고, 그 후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를 반대 방향으로 정역회전시켜 세탁물(38)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세탁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세탁 운전을 종료한 후에, 세탁수를 세탁기 밖으로 배수하도록 배수 전자 밸브(33)를 밸브 개방 제어하고,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를 일체적으로 고속 회전시켜 세탁수를 원심 탈수하는 중간 탈수를 행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이 중간 탈수를 종료한 후에, 배수 전자 밸브(33)를 폐쇄 밸브 제어하여, 소정의 헹굼 수위까지 급수하도록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밸브 개방 제어하고, 또한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를 반대 방향으로 정역회전시켜 세탁물(38)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헹굼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이 헹굼 운전은,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행하고, 마지막 헹굼에 있어서의 급수시에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a)를 개방하여 섬유 유연제를 공급한다.
헹굼 운전을 종료한 후에, 헹굼수를 세탁기 밖으로 배수하도록 배수 전자 밸브(33)를 밸브 개방 제어하고, 배수 후에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를 일체적으로 고속 회전시켜 헹굼수를 원심 탈수하는 최종 탈수를 행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세탁 및 원심 탈수한 세탁물(38)을 세탁겸 탈수조(2) 내에서 건조시키도록,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를 일체적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하고, 외조(5) 및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습윤 공기를 흡출구(5a)로부터 흡출하여 취입구(30)로부터 세탁겸 탈수조(2) 내로 취입하는 순환 공기를 생성하도록 순환 팬(26)을 운전 제어하고, 이 순환 공기를 수냉 제습 덕트(23) 내에서 수냉하도록 냉각 살수부(24)의 살수 전자 밸브(24a)를 제어하고, 세탁겸 탈수조(2)로 취입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히터(29)를 제어하는 온풍 건조 운전을 실행한다. 이 온풍 건조 운전의 제어는 습도 센서(40), 제1 온도 센서(41), 제2 온도 센서(42)의 검출 신호를 감시하면서 실행하고, 원하는 건조도가 얻게 된 시점에서 종료한다.
도3 내지 도8은, 전술한 세탁 건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3은 세탁 건조기의 종단 측면도, 도4는 프레임의 후방측을 절결하여 순환 풍로부를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배면도, 도5는 세탁 건조기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하면도, 도6은 상부 커버를 떼어내어 외조와 순환 풍로부를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상면도, 도7은 실 부스러기 포집부의 종단 측면도, 도8은 프레임과 외조의 관계를 도시한 상면도, 도9는 외조 상부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1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의 일부는 생략한다.
회전 구동 장치(6)는 가역형의 구동 전동기(61)와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와 태양 기어 감속 기구(63)와 교반 블레이드(4)가 결합되는 중심 출력축(4)과 세탁겸 탈수조(2)가 결합되는 외측 출력축(65)을 구비한다. 태양 기어 감속 기구(63)는 구동 전동기(61)에 직결한 태양 기어와 외측 출력축(65)에 직결한 내부 기어와 유성 기어를 지지하여 중심 출력축(64)에 직결하는 캐리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교반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태양 기어 감속 기구(63)의 내부 기어[외측 출력축(65)과 세탁겸 탈수조(2)에 연결]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구동 전동기(61)의 회전력을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와 캐리어를 거쳐서 감속하여 중심 출력축(64)에 전달하여 교반 블레이드(4)를 정역회전시켜,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세탁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태양 기어 감속 기구(63)의 내부 기어[외측 출력축(65)과 세탁겸 탈수조(2)에 연결]를 회전 자유 상태로 하여 구동 전동기(61)의 회전력을 태양 기어와 유성 기어와 캐리어를 거쳐서 감속하여 중심 출력축(64)에 전달함으로써 교반 블레이드(4)를 정역회전시키는 동시에 내부 기어에 작용하는 반력을 외측 출력축(65)에 전달하여 세탁겸 탈수조(2)를 교반 블레이드(4)와 반대 반향으로 회전시키고,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탈수 및건조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태양 기어 감속 기구(63)의 태양 기어와 내부 기어를 구동 전동기(61)에 직결하여 상기 구동 전동기(61)의 회전력을 중심 출력축(64)과 외측 출력축(65)을 거쳐서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 블레이드(4)에 전달하여 이들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순환 풍로에 있어서의 수냉 제습 덕트(23)의 수직 부분은, 원통형 외조(5)의 최후 부위, 즉 프레임(1)의 후방측 덮개(1)에 가까운 부위에 위치하도록 외조(5)에 따르게 하여 상기 외조(5) 측벽 흡출구(5a)의 주연부로부터 연속시켜 상기 측벽과 일체적으로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이 수냉 제습 덕트(23)는, 외조(5)와 후방측 덮개(1a) 사이의 좁은 공간에 배치하기에 적합하도록, 안길이를 좁게 하고, 횡폭을 넓힌 직사각형의 풍로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폭이 넓은 대략 직사각형의 풍로 단면 형상의 수냉 제습 덕트(23)는 벽면이 넓어지므로 순환 공기 냉각 벽면이 증가하므로 순환 공기의 냉각 제습에 적합하다.
하강 풍로 덕트(25)의 수직 부분은, 상기 수냉 제습 덕트(23) 곁에 인접한 상기 수냉 제습 덕트(23)와 공통 측벽이 되도록 외조(5) 측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이 위치는, 외조(5)의 만곡에 의해 후방측 덮개(1a)로부터 떨어지므로, 풍로 단면 형상은 안길이를 넓히고 폭을 좁게 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순환 풍로의 횡폭의 넓이를 억제하도록 구성한다.
상승 풍로 덕트(27)의 수직 부분은, 상기 수냉 제습 덕트(23)의 반대측 곁에 인접한 상기 수냉 제습 덕트(23)와 공통의 측벽이 되도록 외조(5)의 측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이 위치는, 외조(5)의 만곡에 의해 후방측 덮개(1a)로부터벗어나므로, 풍로 단면 형상은 안길이를 넓히고 폭을 좁게 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순환 풍로의 횡폭의 넓이를 억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외조(5) 후방측의 측벽에 따라서 상기 측벽에 일체 성형한 각 덕트(23, 25, 27)의 외측면은 프레임(1)의 후방측 측벽을 구성하는 후방측 덮개(1a)의 팽출 부분의 내측에 소정 간격으로 대향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이 외조(5)는 프레임(1) 상단부의 네 구석부에 결합한 보강 부재(1b)에 계지한 4개의 방진 지지 장치(8)에 의해 외조(5)를 사방으로부터 균등하게 달아내림으로써 상기 프레임(1)의 중심부에 현수하도록 지지한다.
수냉 제습 덕트(23)의 수직 부분과 하강 풍로 덕트(25)의 상단부를 연통시키는 상부 접힘 부재(44)는, 외조(5) 상단부에 부착한 외조 상부 커버(28)의 상면 후방부로 연장시키고, 실 부스러기 포집 수단을 구성하는 실 부스러기 포집 필터(45)를 내부 덮개(32)의 상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삽탈 가능하게 수납한다.
제1 덕트인 수냉 제습 덕트(23)의 수직 부분과 제2 덕트인 하강 풍로 덕트(25)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상부 접힘 부재(44)는 외조(5)의 상단부에 부착한 외조 상부 커버(28)의 상면 후방부로 연장시키고, 실 부스러기 포집 수단을 구성하는 실 부스러기 포집 필터(45)를 내부 덮개(32)의 상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삽탈 가능하게 수납한다.
또한, 상승 풍로 덕트(27)의 수직 부분 상단부에 연결하여 연통시킨 흡입구 부재(30)는 상기 외조 상부 커버(28)의 상면 후방부로 연장시켜 히터(29)를 내장하고, 가열한 순환 공기를 세탁겸 탈수조(2)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을 향해 상기 세탁겸 탈수조(2) 내에 취입되도록 외조 상부 커버(28)를 관통시켜 상기 세탁겸 탈수조(2)의 개구를 향해 개구시킨다. 히터(29)는 PTC 히터를 채용하고, 통풍로가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하여 흡입구(30)의 신장을 낮게 함으로써 기기 본체의 신장 증가를 억제한다.
외조 상부 커버(28)는 하측의 수지 성형 부재(28b)와 상측의 금속판(스테인레스판)(28c)을 중합한 2층 구조이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흡입구(30)와 상부 접힘 부재(44)의 일부를 수지 성형 부재(28b)와 일체 성형한다. 금속판(28c)은 보강 및 내열 부재로서 기능시킨다.
순환 팬(26)은 원심 임펠러(26a)와 상기 원심 임펠러(26a)를 회전시키는 구동 전동기(26b)와 원심 임펠러(26a)를 포위하는 흡입구 케이싱(26c)과 취출구 케이싱(26d)을 구비하고, 외조(5)의 바닥부 하측에 부착함으로써, 프레임(1) 내에 있어서 외조(5)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구동 장치(6)와 나란히 그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흡입구 케이싱(26c)과 취출구 케이싱(26d)을 맞춘 것을 팬 케이싱이라 부른다. 하강 풍로 덕트(25)의 하단부와 상승 풍로 덕트(27)의 하단부는 이 팬 케이싱과 연결한다.
상세하게는 팬 케이싱의 흡입구 케이싱(26c)은 드레인 배출구(26e)를 갖고, 하강 풍로 덕트(25)의 하단부에 연결한다. 흡출구 케이싱(26d)은 상기 풍로 덕트(27)의 하단부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팬(26)(순환 팬)은 흡출구(5a)의 하방에서 구동 장치(6)의후방 외조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순환 팬(26)은 원심 임펠러(26a)와 구동 전동기(26b)의 상방에 외조(5)가 위치하고, 전방에 구동 장치(6)가 위치하고, 후방에 케이싱(26c, 26d) 및 풍로 덕트(25, 27)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원심 임펠러(26a)와 구동 전동기(26b)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방산이 이들에 의해 차단(억제)되므로, 건조 운전에 있어서의 소음이 작아지게 된다.
도10 및 도11은, 전술한 외조(5)와 각 덕트(23, 25, 27)의 일체적인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10은 일체 성형한 외조(5)와 각 덕트(23, 25, 27)를 형성 금형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일체 성형한 외조(5)와 각 덕트(23, 25, 27)를 성형 금형과 함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외조(5)와 각 덕트(23, 25, 27)의 수직 부분은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한다. 외조(5)를 성형하는 성형 금형은, 외조(5)의 내주면 및 바닥 내면을 성형하는 성형면과 흡출구(5a)를 성형하는 진퇴 가능한 중심 부재(45a)를 갖는 원주형의 조 내형(46b)과, 외조(5)의 외측면과 덕트(23, 25, 27)의 외측면을 성형하는 주위 방향으로 4분할된 조 외주형(47a 내지 47d)과 외조(5) 바닥의 외면과 각 덕트(23, 25, 27)의 하단부를 성형하는 조 바닥형(47e)과, 각 덕트(23, 25, 27)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3개의 덕트 내형(48a, 48b, 48c)을 사용한다.
사출 성형기는, 조 바닥형(47e)을 기준으로 하여 조 내형(46b), 조 외주형(47a 내지 47d), 덕트 내형(48a 내지 48c)을 조합하여 성형 금형을 조립하여, 분해(형 분리)한다. 조 내형(46b)은 상방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진퇴시키고,조 외주형(47a 내지 46d)은 사방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진퇴시키고, 덕트 내형(48a 내지 48c)은 상방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진퇴시킨다. 덕트(25, 27)는 상하 단부를 개구시키므로, 덕트 내형(48b, 48c)의 하단부를 조 바닥형(47)의 오목부(47b, 47c)에 끼워 맞추어 위치 결정한다. 덕트(23)는 하단부를 외조(5) 흡출구(5a)의 주연부로부터 연속시켜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구성이므로, 덕트(23) 바닥부에 작은 관통 구멍(23a)(관통 구멍으로서 이용)을 성형하도록 덕트 내형(48a)에 설치한 돌기(48a1)를 조 바닥형(47)의 오목부(47a)에 끼움 부착시켜 위치 결정시킨다. 이 돌기(48a1)에 의해 성형된 관통 구멍(23a)은, 그 후 마개 등으로 막아서 수밀 상태로 밀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금형에 의한 사출 성형은, 비교적 소규모의 사출 성형기에 의해 외조(5)와 덕트(23, 25, 27)의 일체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고농도 세제액 생성 및 공급 수단을 설명한다. 도12는 세제 용해 용기(21)와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관계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다. 이 고농도 세제액 생성 및 공급 수단은, 세제 용해 용기(21)와 세제 교반 전동기(39)를 금속 베이스판(49) 상에 수평 방향으로 늘어세운 상태로 설치한다.
세제 용해 용기(21)는 세제가 투입되는 저류부(21u)와, 저류부의 바닥부에 배치한 세제 교반 블레이드(50)를 갖고 있고, 세제 교반 블레이드(50)와 결합한 교반 블레이드 구동축(51)은 세제 용해 용기(21)의 바닥벽부(21a) 및 금속 베이스판(49)을 수직 상태로 관통시켜 상기 금속 베이스판(49)의 하측으로 도출하고, 도출 부분에 타이밍 벨트 종동 풀리(52)를 끼움 부착한다. 세제 교반 블레이드(50)의 구동 수단인 세제 교반 전동기(39)는 회전 출력축(39a)이 금속 베이스판(49)을 수직 상태로 관통하여 상기 금속 베이스판(49)의 하측으로 도출되도록 상기 금속 베이스판(49)에 부착하고, 도출 부분에 타이밍 벨트 구동 풀리(53)를 끼움 부착한다. 그리고, 종동 풀리(52)와 구동 풀리(53)는 타이밍 벨트(54)에 의해 연동시킨다.
금속 베이스판(49)은, 상기 교반 블레이드 구동축(51)을 지지하는 베어링(55)을 끼움 부착하는 베어링 통부(49a)를 외부로 돌출 설치하고, 그 내측에는 동심 상태로 환형의 세제 용해 용기 끼워 맞춤 볼록부(49b)를 돌출 설치한다. 세제 용해 용기(21)의 바닥벽(21a)에는 상기 세제 용해 용기 끼워 맞춤 볼록부(49b)의 외주에 끼움 부착시키는 통형부(21b)를 내측을 향해 기립시켜 세제 교반 블레이드(50) 하측 오목부에 잠입시키도록 설치하고, 통형부(21b)를 세제 용해 용기 끼워 맞춤 볼록부(49b)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나사 고정(56)에 의해 금속 베이스판(49)에 고정한다. 상기 베어링(55)에 의해 지지한 교반 블레이드 구동축(51)은 상기 통형부(21b)를 관통하여 세제 용해 용기(21) 내측으로 도출하고, 도출 부분에 세제 교반 블레이드(50)를 끼움 부착한다. 통형부(21b)의 내측과 교반 블레이드 구동축(51) 사이에는 축 밀봉 부재(57)를 수납한다. 세제 교반 블레이드(50)는 직경 방향의 도중을 상기 통형부(21b)의 외주에 따라서 대향시켜 하부로 연신시킴으로써 세제 교반 블레이드(50)의 하측에 상기 통형부(21b)를 포위하는 통형의 내벽면(51a)을 구성하는 오목부(51b)를 형성한다. 상기 통형부(21b)와 통형의 내벽면(51a) 사이에는 통형부(21b)의 외주에 끼움 부착한 세제 밀봉 부재(58)를 개재시킨다.
금속 베이스판(49)은, 또한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베어링 통(39b)의 외주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구멍(49c)을 구비하고,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베어링 통(39b)에 방진 부재(59)를 끼움 부착한 상태로 상기 베어링 통(39b)을 끼워 맞춤 구멍(49c)에 끼워 맞추어 위치 결정하고,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반대측 베어링 통(39d)에 방진 부재(70)를 끼움 부착하고, 그 주위를 포위하도록 전동기 커버(71)를 씌워 금속 베이스판(49)에 나사 고정(72)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세제 교반 전동기(39)를 방진 부재(59, 70)로 협지하도록 부착한다.
이와 같이 세제 용해 용기(21)와 세제 교반 전동기(39)를 나란히 설치하는 구성은, 후방 패널 박스(17)의 신장을 낮게 하여 기기 본체의 신장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교반 블레이드 구동축(51)과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회전 출력축(39a)은 금속 베이스판(49)에 형성한 베어링 통부(49a)와 끼워 맞춤 구멍(49c)에 의해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므로, 타이밍 벨트(54)에 의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원활해져 정숙한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 세제 용해 용기(21)의 통형부(21b)를 포위하도록 세제 교반 블레이드(50) 하측에 통형의 내벽면(50a)을 구성하는 오목부(50b)는 세제 밀봉 부재(58)에 의해 구획되는 공기 저장소를 형성하므로,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생성한 고농도 세제액이 침입하여 축 밀봉 부재(57)나 베어링(5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세제 용해 용기(21)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을 세제 투입 용기를 포함해서 도13 내지 도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은 세제 용해 용기의 사시도, 도14는상기 정면도, 도15는 상기 상면도, 도16은 상기 좌측면도, 도17은 상기 우측면도, 도18은 세제 용해 용기와 주급수 전자 밸브 및 보조 급수 전자 밸브를 실장한 톱 커버를 후방 패널을 개방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19 내지 도22는 세제 투입 용기를 적재한 세제 용해 용기의 종단 측면도, 도23은 외부 덮개를 개방하여 세제 투입 용기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톱 커버의 사시도, 도24는 상기 세제 투입 용기를 밀어 넣은 상태를 도시한 톱 커버의 사시도이다.
세제 용해 용기(2)는 상방을 개방하여 세제 투입 용기(73)를 진퇴 가능하게 적재 가능한 대략 사각 형상의 용기이며, 상기 세제 교반 블레이드(50)를 설치하는 세제 용해실(21c)과, 소프너 등의 섬유 유연제 투입실(21d)과, 세탁수 급수 유로(21e)와, 상기 세탁수 급수 유로(21e)에 연결되는 일수 유로(21f)를 구비한다.
세제 용해실(21c)은 저류부(21u)에 급수하는 급수 수단(제1 급수 수단)인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로부터 급수를 받는 물받이 입구(21g)와, 물받이 입구(21g)로부터 들어 온 물과 세제를 세제 교반 블레이드(50)에 의해 교반하여 세제액을 생성하고, 이 고농도 세제액을 제1 급수 수단인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로부터의 또 다른 급수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증량했을 때에 일수 유로(21f)로 흘러넘치게 하여 세탁물에 공급하는 일수부인 일수 모서리(21h)를 저류부(21u) 상부에 설치하고, 교반시에 세제 용해수(고농도 세제액)의 회전을 억제하는 리브(21i)와, 세제 용해 용기 내의 저류부 바닥부에, 희석한 고농도 세제액을 세제 용해실(21c)의 바닥으로부터 세탁수 급수 유로(21e)로 유출하는 사이펀 수단인 사이펀 통수 기구(21j)와, 후술하는 세제 투입 용기(73)의 진퇴를 안내하는 안내 레일(21k) 및 세제 투입용기(73)의 바닥 덮개를 회전시키는 고정 기어(21m)를 구비한다.
세제 용해실(21c)의 용적은, 후방 패널 박스(17) 내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여,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기 위해 필요한 적은 양, 예를 들어 200 내지 300 cc의 수돗물에 의해, 예를 들어 세탁수 세제 농도의 200 내지 300배 농도로 생성하는 데 적합한 크기로 설정한다. 여기서 세제 농도라 함은, 예를 들어 통상 60 L의 세탁수를 사용하는 세탁에서는 6 L의 물로 분말 세제를 용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세제액은 세제 농도가 10배이다.
섬유 유연제 공급 수단인 섬유 유연제 투입실(21d)은 일수 유로(21f)에 연결되는 일수 모서리(21n)와, 세탁수 급수 유로(21e)에 연결되는 사이펀 통수 기구(21p)와,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a)로부터의 물받이 입구(21q)를 구비하고, 실내의 섬유 유연제(액체)를 물받이 입구(21q)로부터의 물받이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증량시켜 일수 모서리(21n)로부터 일수 유로(21f)로 흘러넘치게 하여, 사이펀 통수 기구(21p)로부터 세탁수 급수 유로(21e)로 유출한다.
세탁수 급수 유로(21e)는 세탁물로 급수하는 급수 수단(제2 급수 수단)인 주급수 전자 밸브(20)로부터 물을 받는 물받이 입구(21r)와, 저류부(21u) 내에서 세제와 물을 세제 교반 블레이드(50)로 교반하여 생성된 세제액을 일수부로부터 흘러넘치게 하여 세탁물에 공급하는 제1 공급 유로인 일수 유로(21f)와, 사이펀 통수 기구(21j)로부터 세탁물에 공급하는 제2 공급 유로를 구비하고, 제1 공급 유로로부터의 세제액과 제2 공급 유로로부터의 세제액을 혼합실(21v)에서 혼합한다. 또한, 제2 급수 수단으로부터 물도 혼합실(21v)에서 혼합한다. 그리고 이 혼합실(21v)은세제 용해 용기(21)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수 유로(21n)와 사이펀 통수 기구(21p)로부터 유출되는 섬유 유연제를 혼합실(21v)에서 합류시켜 혼합하여 유출구(21s)로부터 주수구(19)로 유출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세제 투입 용기(73)는 상기 세제 용해 용기(21) 상을 안내 레일(21k)에 따라서 진퇴하는 편평한 사각 형상으로 상방을 개방한 상자형 부재이며, 도2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제 투입부(73a)와 섬유 유연제 투입부(73b)와 손잡이부(73c)를 구비한다.
세제 투입부(73a)는, 세제 용해 용기(21)의 세제 용해실(21c) 상방을 진퇴하도록 위치하고, 안쪽 절반 영역의 바닥을 개폐하도록 회전하는 바닥판(73d)을 구비한다. 이 바닥판(73d)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단부에 기어(73e)를 설치한 지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안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는 기어(73e)가 기어(21m)에 결합하여 전방측 절반 영역의 하면에 따라서 반대 상태에서 수평 상태가 될 때까지 회전하여 세제 투입부(73a)의 안쪽 절반 영역의 바닥부를 완전 개방하고, 전방으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도20 또는 도2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 수직 하강하도록 회전하고, 계속해서 도2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톱 커버(9)의 개구 모서리 또는 세제 용해 용기(21)의 모서리에 압박되어 바닥을 폐쇄하도록 회전한다. 그러나, 이 바닥판(73d)은 바닥을 폐쇄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도 세제 투입부(73a)의 안쪽 단부 부분을 세제 용해실(21c)의 상방 위치로 개방하는 짧은 판이다.
섬유 유연제 투입부(73b)는 세제 용해 용기(21)의 섬유 유연제 투입실(21d)상방을 진퇴하도록 위치하고, 인출한 상태에 있어서 섬유 유연제 투입실(21d) 상에 위치하는 안쪽 바닥을 개방한다.
손잡이부(73c)는 세제 투입 용기(73) 전방측 부분에 위치하고, 톱 커버(9)에 형성된 외측 의류 투입구(9a)의 안쪽 벽면으로 노출되어 진퇴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고농도 세제액 생성 및 공급 수단은, 손잡이부(73c)를 쥐고 세제 투입 용기(73)를 외측 의류 투입구(9a) 내로 인출한다. 인출한 상태의 세제 투입 용기(73)는, 세제 투입부(73a)는 전방측 부분을 외측 의류 투입구(9a) 내에 상부로 개구시키고, 바닥판(73d)을 폐쇄하고, 안쪽 단부 부분을 세제 용해 용기(21)의 세제 용해실(21c)의 상방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그래서, 소정량의 분말 합성 세제를 세제 투입부(73a)에 투입하면, 그 일부는 안쪽 단부 부분의 개구로부터 세제 용해실(21c)로 낙하하고, 일부는 바닥판(73d) 상에 남는다. 또한, 섬유 유연제 투입부(73b)에 섬유 유연제를 투입하면 상기 섬유 유연제는 섬유 유연제 투입실(21d)로 흘러 내린다.
그 후, 세제 투입 용기(73)를 밀어 넣으면, 세제 투입부(73a)의 바닥판(73d)은 세제 용해 용기(21)의 모서리로부터 분리되어 수직 하강하여 나머지의 분말 합성 세제를 세제 용해실(21c) 내에 낙하시키고, 또한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기어(73e)가 기어(21m)에 결합하여 전방측 절반 영역의 하면에 따라서 반대가 되어 수평 상태가 되기까지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를 개방하여 일수 모서리(21h)로부터흘러넘치지 않고 또한 사이펀 통수 기구(21j)도 통수(도통)하지 않을 정도의 양(200 내지 300 cc)의 세제 용해수를 세제 용해실(21c)에 공급하고, 세제 교반 전동기(39)에 의해 세제 교반 블레이드(50)를 회전시켜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고농도(세탁수의 세제 농도 200 내지 300배)의 세제액을 생성한다.
그 후,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를 개방하여 추가 급수를 행해 희석하여 증량함으로써 일수 모서리(21h)로부터 흘러넘치게 하는 동시에 사이펀 통수 기구(21j)를 통수(도통)를 개시시켜 세탁수 급수 유로(21e)로 유출한다. 이와 동시에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개방하여 급수함으로써 세탁수 급수 유로(21e)에 급수함으로써 고농도 세제액을 다시 희석하여 세탁물을 침지시키는 데 적합한 세제 농도(세탁수 세제 농도의 5 내지 30배)로 하여 유출구(21s)로부터 주수구(19)로 유출한다.
또, 그 후 세탁수의 급수는 주급수 전자 밸브(20) 및 보조 급수 전자 밸브(22)를 개방하여 소정의 수위가 되기까지 행함으로써 세제 용해 용기(21)를 세정하면서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세탁 건조기는, 수냉 제습 덕트(23)나 풍로 덕트(25, 27)를 외조(5)와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순환 풍로를 합리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냉 제습 덕트(23)는 외조(5) 하부 흡출구(5a)의 주연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속시켜 상단부를 상방으로 개구하도록 성형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수밀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순환 팬(26)을 외조(5)의 하측 공간에 배치함에 따라 세탁 건조기의 신장 증가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급수 전자 밸브(20, 22, 22a)나 세제 용해 용기(21)를 프레임(1) 상단부에 부착된 톱 커버(9)의 후방 패널 박스(17) 내에 설치하고, 순환 풍로의 취입구(30)와 실 부스러기 포집 필터(45)를 외조(5)의 상단부에 부착된 외조 위 커버(28) 상에 설치함에 따라, 외부 덮개(31)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실 부스러기 포집 필터(45)나 세제 투입 용기(73)를 외측 의류 투입구(9a) 내로부터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하기 쉬운 세탁 건조기로 할 수 있다.
또한, 수냉 제습 덕트(23)나 풍로 덕트(25, 27)를 외조(5)의 후방측에 상기 외조(5)와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프레임(1)의 외측 방향으로 팽출한 후방측 덮개(1a)에 의해 덮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프레임(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외조(5)는 프레임(1) 상단부의 네 구석으로부터 방진 지지 장치(8)에 의해 현수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제 용해 용기(21)는 세탁물(38)에 끼얹어 침지시키는 고농도 세제액보다도 더욱 고농도로 용해하도록 소형(소용적)으로 형성하고, 생성된 고농도 세제액을 침지에 적절한 세제 농도로 희석하면서 세탁물(38)에 끼얹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세제를 잘 용해할 수 있고, 게다가 톱 커버(9)에 형성한 후방 패널 박스(17) 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사이펀 통수 기구(21j)는 세제 용해 용기(21) 내의 세제액의 대부분을 유출할 수 있다.
또한, 세제를 교반하는 세제 교반 블레이드(50)를 회전 구동하는 세제 교반 전동기(39)는 세제 용해 용기(21)에 대하여 나란한 상태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신장을 낮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세제 용해 용기(21)와 세제 교반 전동기(39)는 금속 베이스판(49) 상에 의해 위치 결정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벨트 연결에 의해 정숙히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세제 교반 블레이드(50)를 구동하는 교반 블레이드 구동축(51)의 베어링(55)이나 축 밀봉 부재(57)는 세제 용해 용기(21)의 바닥벽(21a)에 기립시킨 통형부(21b)와 세제 교반 블레이드(50) 하측에 형성한 오목부(50b)에 의해 공기 저장소를 형성하여 고농도 세제액의 침입을 저지하여 분말 합성 세제에 함유되어 있는 첨가제(특히 제오라이트)에 의한 손상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세제 투입은 세제 용해 용기(21) 상에 진퇴 가능하게 적재하여 의류 투입구(9a)로 인출한 세제 투입 용기(73)를 거쳐서 행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세제 투입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 운전 및 건조 운전으로 신뢰성이 높은 운전을 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설치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 모두를 상기 외조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을 상기 외조 하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도록 형성된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의 좌우에 상기 제1 덕트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2 덕트 및 제3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흡출구부의 하방에서 상기 구동 장치의 후방에 상기 팬을 상기 외조 하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4.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설치된 세탁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수냉 제습하는 수냉 제습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도록 형성한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의 좌우에 상기 제1 덕트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2 덕트 및 제3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덕트는 수냉 제습 수단을 갖고, 상기 흡출구부의 하방에서 상기 구동 장치의 후방에 상기 팬을 상기 외조 하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덕트의 상단부는 상부 접힘 부재에 의해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덕트의 상단부는 상부 접힘 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제3 덕트의 상단부는 취입구 부재와 연결하고, 상기 제2 덕트 및 제3 덕트 하단부는 팬 케이싱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7.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흡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덕트의 상단부는 개구하고 하단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8.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합성 수지로 된 외조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의 측벽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덕트의 상단부는 개구하고 하단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측벽은 상부에 비해 하부를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수냉 제습 수단을갖는 수냉 제습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는 합성 수지로 된 외조와, 상기 외조 하부에 설치한 흡출구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팬과, 상기 외조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과, 상기 흡출구부로부터 흡출된 공기를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외조 내로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고,
    상기 순환 풍로의 일부는 상기 외조와 일체로 성형한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분출구부의 주연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상기 외조 측벽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 덕트와, 상기 제1 덕트와 평행하게 상기 외조의 측벽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 덕트 및 제3 덕트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덕트의 상단부는 개구하고 하단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바닥부를 갖고, 상기 제2 덕트 및 제3 덕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의 좌우에 연속적으로 제2 덕트 및 제3 덕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의 측벽은 상부에 비해 하부를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수냉 제습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KR10-2002-0032746A 2001-06-14 2002-06-12 세탁 건조기 KR100473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9462A JP3603814B2 (ja) 2001-06-14 2001-06-14 洗濯乾燥機
JPJP-P-2001-00179462 2001-06-14
JPJP-P-2001-00179464 2001-06-14
JP2001179464A JP3906651B2 (ja) 2001-06-14 2001-06-14 洗濯乾燥機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438A true KR20020095438A (ko) 2002-12-26
KR100473752B1 KR100473752B1 (ko) 2005-03-08

Family

ID=2661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746A KR100473752B1 (ko) 2001-06-14 2002-06-12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73752B1 (ko)
CN (1) CN1307336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263A (ko) *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KR100701181B1 (ko) * 2006-03-29 2007-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끼움 결합방식의 프레임 탑이 구비되는 건조기
KR101014717B1 (ko) * 2003-12-19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백커버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4719A1 (de) * 2017-08-23 2019-02-28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in einem Hausgerät angeordneten Bauteils
CN113969489B (zh) * 2020-07-23 2023-10-1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设备
CN114606689B (zh) * 2022-04-25 2023-09-05 浙江盛兴染整有限公司 一种强效脱水的脱水机及染色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8593A (ja) * 1988-04-21 1989-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洗濯機
JPH03272798A (ja) * 1990-03-23 1991-12-04 Hitachi Ltd 洗濯乾燥機
KR0124312Y1 (ko) * 1992-12-29 1999-05-01 윤종용 세탁기의 건조장치
KR0124461Y1 (ko) * 1995-03-31 1998-12-15 배순훈 세탁기의 온풍공급장치
KR19980021187U (ko) * 1996-10-18 1998-07-15 김광호 세탁기
JPH11128582A (ja) * 1997-10-30 1999-05-18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乾燥機
JP3864521B2 (ja) * 1997-12-09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脱水兼用洗濯機
KR100562623B1 (ko) * 1998-03-12 2006-03-1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세탁 건조기
JPH11347281A (ja) * 1998-06-05 1999-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乾燥機
KR100393570B1 (ko) * 2000-12-01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 시스템
KR100413438B1 (ko) * 2001-06-09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717B1 (ko) * 2003-12-19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백커버 구조
KR20050093263A (ko) *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KR100701181B1 (ko) * 2006-03-29 2007-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끼움 결합방식의 프레임 탑이 구비되는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2304A (zh) 2003-01-22
KR100473752B1 (ko) 2005-03-08
CN1307336C (zh)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3764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機の制御方法
KR100493597B1 (ko)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KR100473752B1 (ko) 세탁 건조기
JP3906650B2 (ja) 洗濯機
JP3820119B2 (ja) 洗濯乾燥機
JP3603814B2 (ja) 洗濯乾燥機
JP2006141825A (ja) 洗濯機
JP3877052B2 (ja) 洗濯乾燥機
JP3907160B2 (ja) 洗濯乾燥機
JP3906651B2 (ja) 洗濯乾燥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8087A (ja) 洗濯機
JP200126949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636107B2 (ja) 洗濯機
JP2005118586A (ja) 洗濯乾燥機
JP3636106B2 (ja) 洗濯機
JP3629443B2 (ja) 洗濯乾燥機
JP3629442B2 (ja) 洗濯乾燥機
JP200419471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2360982A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3636105B2 (ja) 洗濯機
JP4253660B2 (ja) 電気洗濯機
JP3629413B2 (ja) 電気洗濯機
JP2002360990A (ja) 洗濯乾燥機
JP2004008276A (ja) 電気洗濯機
JP2002360983A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