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989A - 광 디스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989A
KR20020094989A KR1020010048504A KR20010048504A KR20020094989A KR 20020094989 A KR20020094989 A KR 20020094989A KR 1020010048504 A KR1020010048504 A KR 1020010048504A KR 20010048504 A KR20010048504 A KR 20010048504A KR 20020094989 A KR20020094989 A KR 20020094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information
power
optical dis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751B1 (ko
Inventor
시오자와아끼노리
스기야마히사따까
오따마사따까
오노히로아끼
미네무라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9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실시간 레코딩을 할 때는 검증 및, 파라미터 변경, 재시도 등의 동작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어떻게 확보할지가 문제가 된다. 그래서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파워를 검증이 있는 기록 시보다 높게 하고, 기록 마크 형성의 안정성을 높게 함으로써,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이에 따라,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간 레코딩 시는 시스템 제어기로부터 기록 제어 블록에 대하여 기록 파워를 설정할 때, 검증이 있는 기록 시보다 높은 기록 파워를 설정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억 장치{OPTICAL DISC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OPTICAL DISC APPARATUS}
기록형의 광 디스크는 대용량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또한 매체 호환이 가능한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기록 매체인 광 디스크에의 정보 기록은 재생광 보다 큰 파워의 레이저광을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조사함으로써, 기록 마크를 열적으로 형성하여 행한다. 정보 재생은 레이저광을 광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집광하고, 기록 마크에 의해 변조된 반사광을 검출하여 행한다. 기록형의 광 디스크 매체로서는 크게 광 자기형, 상 변화형, 구멍 형성형의 3종류가 있고, 재기록 용도로서는 광 자기형의 MO, 상 변화형의 DVD-RAM 등이 있으며, 1회만 기록할 수 있는 일 회 기록 용도로서는 CD-R, DVD-R로 대표되는 유기 색소를 이용한 구멍 형성형이 보급되어 있다.
각종 광 디스크 중에서, 컴퓨터, 영상, 음악이라는 대용량의 정보를 공통의 매체로 취급할 수 있는 DVD는 PC, AV 기기 등의 새로운 대용량 기억 매체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대용량의 기억 미디어로서 2세대의 4.7GB DVD-RAM이 등장하고 있다.
기록형 광 디스크의 고밀도화를 위해 보다 작은 마크를 정밀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록 파워(기록할 때의 레이저광의 파워)의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그런데, 실제의 광 디스크 장치에서는 주위 온도, 레이저의 파장, 광 스폿의 왜곡 등의 동적인 변동에 의한 영향 때문에, 레이저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고 해도 기록 매체의 기록막의 기록 감도 변동 등에 의해, 정보 기록면에 소정 크기의 기록 마크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광 디스크에 설치된 테스트 영역에서 테스트 기록을 행함으로써 기록 파워의 최적치를 구하고, 기록 마진을 확보하는 기록 보상 학습이라 불리는 기술이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다.
상기 기록 보상 학습 기술에 대해서는 특개평11-296858호 공보에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기록용 광 디스크는 컴퓨터용계, AV 기기용계의 두 가지의 기록 방법이 있다. 전자에 대해서는 기록한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록한 다음의 회전에서 재생 체크하여 검증을 행한다. 이 재생 체크에서 에러율이 높은 경우에는 기록을 재시도하고, 이것을 재시도 처리로 부른다. DVD-RAM인 경우, 기록은 2048byte를 단위로서 상위 컴퓨터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광 디스크 상의 임의의 위치에 기록한다. 상기 1단위량의 데이터를 1섹터로 부르고, 16섹터의 데이터를 통합한 것을 1블록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주로 동화상을 기록하는 AV 기기에서는 실시간 레코딩이 되기 때문에, 검증이 없는 기록이 전제가 된다. 실시간 레코딩이란 DVD-RAM book 2.0 중의 DVD 비디오 레코딩 규격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기록 방법으로, 동화상이나 음성과 같은 시간적으로 연속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방식이다. 기록 정보가 누락되지 않도록 검증이나 재시도 등을 행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이다.
DVD-RAM은 다용도로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장치에서, 동일한 디스크 상에 퍼스널 컴퓨터의 데이터와 AV 기기의 화상 정보를 혼재하여 기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의 기록에서는 상술한 기록 방법(실시간 레코딩, 검증이 있는 기록 등)에 상관없이, 동일한 기록 파워를 이용하여 기록을 행하고 있다.
정보 기록 매체나, 정보 기록 장치의 변동, 온도 등의 주위 환경에 의한 동적인 변동 등의 영향을 경감하기 위해 상기한 기록 보상 학습 방식의 기록이 행해지고 있다. 실제로는 하기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기록 시의 레이저파워의 마진(기록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는 기록 파워의 범위)을 좁히는 요인이 많아서, 기록 정보의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록 시의 파워 마진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기록용 광 디스크의 파워 마진에 대하여 고려한 기록 파워 설정의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도 2는 기록 파워와 상기 기록 부분을 재생했을 때의 지터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저파워측에서는 기록 마크의 형성이 불안정해져 지터가 급격하게 증대한다. 특히, 기록 파워 마진을 열화시키는 지배 변동 요인으로서 스폿 왜곡을 들 수 있다. 스폿 왜곡의 발생 요인에는 디스크 틸트에 의한 코마 수차, 디스크판 두께 변동에 의한 구면 수차, 서보 추종 어긋남에 의한 초점 어긋남 등이 있다.
도 3은 고파워측에서의 지터 증가와 기록 파워의 관계를 나타낸다. 고파워측의 기록에서의 지터 증가의 지배적인 메카니즘은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 소거에 의한 영향이고, 기록 파워가 큰 쪽이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크로스 소거란 인접 트랙에 기록할 때의 열 영향으로 상기 트랙의 기록 마크의 일부가 소거되어(추기 가능한 DVD-RAM 등은 상 변화를 이용하고 있고, 그것이 재결정화되기 때문에) 신호 품질을 열화시키는 것이다. 광 디스크 장치에서는 크로스 소거에 의해 인접 트랙을 재생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열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의 최적 기록 조건을 구할 때는 파워 마진 양측(고파워, 저파워)의 지터를 결정하고 있는 요인에 대해서도 고려하여 기록 마크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인접 트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기록 파워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워 설정은 상기 광 디스크의 소정의 장소에서 상기 학습을 행하여 기록 파워를 결정한다.
정보 기록 방법이, 검증이 있는 기록인 경우에는 관리 데이터의 기록을 행할 때 등에 이용되는 기록 방법이기 때문에, 관리 데이터의 갱신 등 동일한 부분을 몇 번이나 재기록하는 오버라이트가 많이 발생한다. 관리 데이터는 디스크 상에서 복수의 트랙에 걸쳐 있다. 이 때문에, 하나의 블록에 주목하면 양측 트랙의 오버라이트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것은,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랙에 대하여 양측으로부터 크로스 소거의 영향(그물코로 나타내는 부분)을 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크로스 소거에 의한 기록 마크의 열화는 재생 신호 진폭 레벨을 저하시켜 S/N비를 악화시킨다. 또한,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오버라이트를 행할 때마다 온도, 스폿 왜곡, 트랙 오프셋 등의 외란에 의해 기록 조건이 변화되기 때문에, 오버라이트의 횟수에 따라 인접 트랙에 대하여 더욱 크로스 소거를 일으키기 쉬워진다. 그 모양을, 도 13의 (a)에 디스크 틸트 등에 의해 트랙 오프셋이 발생한 경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었다. 검증이 있는 기록인 경우 오버라이트할 때마다 기록 조건이 변화되기 때문에, 오프셋의 방향이나 양이 변화된다. 이 때문에, 거기에 인접하는 트랙에 대하여 크로스 소거를 일으킬 가능성이 많아진다. 이들의 영향을 고려하여, 기록 파워를 낮게 억제함으로써 외란 등에 의한 크로스 소거가 극력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록 파워를 억제함으로써, 기록 마크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없었던 부분에 대하여 검증이 있는 기록인 경우, 파라미터 등을 변경하면서 기록의 재시도를 행하기 때문에, 기록 정보의 신뢰성은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간 레코딩을 할 때는 검증 및 파라미터 변경, 재시도 등의 동작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어떻게 확보할지가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기록 파워와 지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기록 파워와 크로스 소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간 레코딩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검증이 있는 기록 시와 실시간 레코딩의 기록 파워 마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데이터 영역과 화상 데이터 영역의 기록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2 실시예에서의 불특정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인접해 있을 때의 기록 파워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3 실시예에서의 관리 데이터에 접하는 1트랙만 통상 파워로 기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DVD-RAM 디스크 존에 의한 섹터수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기록 보상 학습 시의 파워 마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CAV 시의 내주와 외주의 기록 마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기록 방식에 의한 크로스 소거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기록 방식에 의한 트랙 오프셋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6 실시예에서의 DVD 카메라에 있어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제7 실시예에서의 DVD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디스크
2 : 스핀들 모터
4 :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
6 : 시스템 제어기
11 : 그루브
12 : 트랙
본 발명은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문제점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록 제어 커맨드를 수취하는 시스템 제어기와, 시스템 제어기로부터 기록 방법 지령 신호와 기록 데이터를 수취하여, 상기 기록 방법 지령 신호로 지정된 기록 방법에 따라 기록 파워의 레벨을 설정하고, 또한, 기록 정보를 기록 마크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 펄스의 생성을 행하는 기록 제어 블록과,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 보내어진 기록 펄스에 의해 레이저광의 파워를 변조하여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헤드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 적어도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각각 다른 기록 파워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로 한다.
또한, 상기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는 검증이 있는 기록과, 실시간 레코딩이 있고, 기록하는 기록 파워는 기록 보상 학습에 의해 결정된 기록 파워를 이용하는 것과, 기록 보상 학습에서 구해진 기록 파워보다 높은 파워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에서 이용하는 기록 파워는 각각 다른 기록 보상 학습에 의해 결정된 기록 파워를 이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하는 데이터 파일의 선두와 후단의 1트랙 이상을 낮은 쪽의 기록 파워로 기록하는 것도 유효하고,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하는 데이터 파일의 선두와 후단의 1트랙 이상을 포함하는 블록수의 기록 데이터를 낮은 쪽의 기록 파워로 기록하는 것과,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하는 데이터 파일의 선두와 후단의 1트랙분의 섹터수의 기록 데이터만 낮은 쪽의 기록 파워로 기록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일정한 각속도로 기록하는 모드에서, 반경 방향에 대한 기록 파워는,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각각 기록 파워를 내주와 외주에서 기록 보상 학습에 의해 각각 구한 기록 파워의 직선 근사에 따라 결정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상 진술한 광 디스크 장치를 이용한 정보 기록 장치로서는,
동화상 정보 혹은 음성 정보 중 한쪽 혹은 양쪽을 입력하는 수단과, 입력 데이터를 디지털 압축하는 수단과, 기록 재생 가능한 광 디스크 장치와,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 디스크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용한 정보 기록 장치로 한다.
특히 비디오 카메라로서는 촬상 렌즈와, 상기 촬상 렌즈로 결상한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출력을 디지털 압축하는 수단과, 기록 재생 가능한 광 디스크 장치와,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 디스크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용한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압축 수단으로서는 MPEG2 방식을 이용한 것이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기록 데이터로서는 검증이 있는 기록으로 기록하는 정보는 네비게이션 데이터이고,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하는 정보는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이다.
상기 수단에 따르면,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하여 실시간 레코딩을 행하는 경우, 기록 보상 학습에 의해 구한 기록 파워보다 큰 기록 파워를 이용하여 기록 마크를 기록함으로써, 기록 마크의 엣지를 안정화하여 지터를 개선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에 의해 구해진 값보다 기록 파워를 고파워측으로 시프트하면, 인접 트랙으로의 열 간섭에 의한 크로스 소거가 염려된다. 그러나, 실시간 레코딩 시는 이 영향에 대하여 마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D-RAM인 경우, 광 디스크(1)에는 단위량 정보마다 그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부(13)와,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트랙(12)이 한쌍으로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고, 트랙(12)은 1트랙마다 광 디스크 기판 표면인 랜드(10)의 트랙과 기판 면에 설치된 홈인 그루브(11)의 트랙이 1주마다 교대로 교체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실시간 레코딩 시는 내주측으로부터랜드(10), 그루브(11)와 교대로 인접하는 트랙을 외주를 향하여 순서대로 1회씩 밖에 기록을 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크로스 소거에 대하여 유리한 두 가지의 특징이 있다. 첫째로, 실시간 레코딩에서는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기록을 행하며 재시도 등이 없기 때문에, 크로스 소거에 의한 영향은 상기 트랙의 외측 트랙 기록 시의 1회만 고려하면 좋다. 이것은 상술한 관리 정보의 기록이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소거에 의해 상기 트랙의 기록 마크의 양측이 지워지는 데 반하여, 동화상 데이터와 같은 실시간 레코딩의 경우에는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소거의 영향은 외측에서만 있기 때문에, 재생 신호 레벨의 저하가 작다. 둘째로,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간 레코딩의 경우에는 동일 조건으로 1회만 기록되기 때문에 트랙 오프셋이 발생해도 각 트랙의 기록 마크는 동일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인접 트랙 마크와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트랙 오프셋에 의한 영향은 거의 무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실시간 레코딩의 경우, 검증이 있는 기록에 비해 크로스 소거의 영향을 받는 비율이 매우 적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실험 결과는, 기록 파워가 높은 영역에서 실시간 레코딩(15)쪽이 검증이 있는 기록(14)에 비해 지터가 낮아 상기한 고찰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적용하여,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파워(17)를 검증이 있는 기록 시의 기록 파워(16)보다 높게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방식은 상 변화의 광 디스크뿐만 아니라 광 자기 디스크나 구멍 형성형의 일 회 기록 광 디스크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헤드를 구비하는 광 디스크 장치에서,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에서 각각 다른 기록 파워로 기록함으로써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은 검증이 있는 기록과, 실시간 레코딩일 때,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상위 제어기(9), 기록 제어 블록(8), 인터페이스(7), 시스템 제어기(6), 서보 구동 회로(5),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4), 광 헤드(3), 스핀들 모터(2), 광 디스크(1)로 구성된다.
상위 제어기(9)는 기록 정보의 정보원이고, 그 예로서는 카메라, 레코더, 튜너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위 제어기(9)는 기록 정보와 함께 드라이브측에 인터페이스(7)를 통해 기록 제어 커맨드를 보낸다. 기록 제어 커맨드를 수취한 시스템 제어기(6)는 기록 방법 지령 신호와 기록 데이터를 기록 제어 블록(8)으로 보낸다. 기록 제어 블록(8)은 지정된 기록 방법에 따라 기록 파워의 레벨을 설정하고, 또한, 에러 정정용 코드의 부가 및 기록 정보를 기록 마크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8/16 변환을 행하여 기록 펄스를 생성한다. 기록 펄스는 반도체 레이저 구동 회로(4)로 보내어지고, 반도체 레이저를 구동하여 레이저광을 발광시킨다. 반도체 레이저, 광학계, 이동 기구를 포함하는 광 헤드(3)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 빔은 광 디스크(1)의 기록막면에 조사되어 기록 마크가 형성된다. 광 디스크(1)는 스핀들(2)의 회전 기구와, 서보 구동 회로(5)에 의해 ZCLV(Zoned Constant Linear Velocity)로 회전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에서 상위 제어기(9)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기록 정보는, AV 기기계는 비디오 레코딩 규격으로 정해져 있고,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규격의 프로그램 스트림 형식으로 인코드된 동화상, 음성 등의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와,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에의 액세스에 필요한 어드레스 정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한 관리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데이터가 있다. 이들은 동화상이나 음성 등의 시간적으로 연속된 정보이다. 이와 같이, 상위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정보 기록에 대하여 실시간성이 중시되는 경우의 기록 방법에 검증이 없는 기록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와 같은 시간적으로 연속적으로 보내어져 오는 데이터를 누락시키지 않고 기록하기 위해서는, 상위 제어기(9)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정보의 전송 레이트보다 광 디스크(1) 상에 기록하는 기록 레이트쪽이 크지 않으면, 보내어져 오는 정보를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정보의 기록에는 검증이 없는 실시간 레코딩의 기록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데이터와 같은 관리 정보 등은 신뢰성을 중시한 기록 방법이 바람직하고 검증이 있는 기록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실제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다른 성질의 정보가 하나의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각각 다른 기록 방법을 행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세대의 DVD-RAM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의 시스템 제어기(6)에 의해, 기록 정보가 실시간 레코딩, 또는 검증이 있는 기록 중 어느 하나의 기록 방법을 지정하고, 그것에 따라, 기록 제어 블록(8)의 기록 파워 레벨 설정 레지스터에, 검증이 있는 기록 시는 10㎽, 실시간 레코딩 시는 11㎽의 기록 파워를 설정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기록 파워를 이용하여 기록 마크를 형성함으로써, 검증이 없는 실시간 레코딩의 기록 방법이라도 지터가 적은 고신뢰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파워를 고파워로 전환하는 것에 의한 기록 마크의 기록 안정성 향상에 따라, 재생 가능한 디스크 틸트(디스크의 레이저광에 대한 기울기)의 범위는 0.3°에서 0.5°로 확대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랜드와 그루브의 기록 설정 파워는 동일한 설정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기록 제어 블록(8)에서 랜드·그루브는 별개의 기록 파워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더욱 신뢰성이 있는 정보 기록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실시간 레코딩 규격에서는 디스크의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 편집 등에 의해 삭제된 공백 부분 등, 물리적으로 불연속한 곳에 데이터를 분할하여 기록을 행한다. 따라서, 각각의 분할된 기록 데이터의 선두와 최종 트랙의 인접 트랙은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나 네비게이션 데이터 등의 관리 정보 등 여러 가지 형식의 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실시간 레코딩 시의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의 10블록은 검증이 있는 기록과 동일한 파워 10㎽로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실시간 레코딩되는 부분의 인접 트랙에 대한 크로스 소거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에 그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좌측 2트랙이 기록이 완료된 부분으로 모든 기록 방법이 있을 수 있는 부분이다. 중앙의 2트랙이 실시간 기록의 선두 10블록부를 나타내고, 우단의 1트랙이 실시간 기록의 후속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부분은 기록 파워가 약간 높기 때문에, 기록 마크가 확실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반대로 실시간 레코딩의 선두와 최종 부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신뢰성 향상의 효과를 바랄 수 없지만, 실시간 레코딩되는 동화상 등의 정보는 영상의 이음 부분에 해당하는 선두 및 최종 부분의 10블록만큼의 데이터는 파괴되어도 화상 상에는 특별히 문제가 없다. 이 방법은 조건에 의한 처리의 분기가 적기 때문에 시스템을 간략화할 수 있고, 기록 정보의 신뢰성 확보의 효과도 크다.
본 실시예에서는 10블록으로 하였지만 1트랙 이상 포함되는 블록수이면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120㎜ 디스크인 경우 최외주 존에서 1트랙은 59섹터로 4블록이면 충분하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간 레코딩할 때, 인접하는 트랙에 관리 데이터와 같은 검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인접하는 1트랙만 검증이 있는 기록과 동일한 기록 파워로 기록한다.
DVD-RAM인 경우 ZCLV 포맷을 위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하는 존에 의해 1트랙의 섹터수가 다르다. 즉, 섹터 단위로 기록 파워를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의 시스템 제어기(6)는 파일 시스템을 참조하여 이것으로부터 실시간 레코딩되는 부분의 인접 트랙에 관리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관리 데이터가 아닌 경우, 제1 실시예의 방식으로 일률적으로 파워를 올려 기록을 행한다. 관리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1트랙만 검증이 있을 때의 기록 파워로 기록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데이터 등의 관리 파일 시스템을 참조하여, 실시간 레코딩을 행하는 존의 1주분의 섹터수를 파악한다. 또한, 하드웨어적으로 검출하기 위해서는 스핀들의 FG(Frequency Generator) 신호에 의해 1주분을 검출하는 방법도 있다. 그렇게 하여 관리 데이터에 인접하는 1트랙(1주째)의 섹터수만을 검증이 있는 기록 시의 기록 파워 10㎽로 기록하고, 2트랙째(2주째)부터는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파워 11㎽로 기록한다. 예를 들면, 120㎜ 디스크에 있어서는, 최외주에서는 1트랙은 59섹터이다. 그래서, 59섹터를 10㎽로 기록하고 60섹터째부터는 11㎽로 기록하는 이 방법으로 기록함으로써, 관리 데이터 등의 중요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을 크로스 소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도 크로스 소거에 의한 기록 마크의 열화가 염려되는 부분이 최소의 섹터 수로 끝나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DVD-RAM을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DVD-R 등이라도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1, 제2,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간 레코딩 시 전환되는 기록 파워 레벨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11㎽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이 값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실시간 레코딩 시는 일례로서 검증이 있는 기록 시보다 +5% 큰 기록 파워로 하는 것만으로도 신뢰성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여기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최대한 기대할 수 있도록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파워도 적극적으로 구하고자 하는 방법에 대하여 진술한다.
검증이 있는 기록 시 사용하는 기록 파워를 구하는 기록 보상 학습의 방법과, 실시간 레코딩 시 사용하는 기록 파워를 구하기 위한 기록 보상 학습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검증이 있는 기록 시의 크로스 소거 등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최적의 기록 파워를 설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DVD-RAM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0은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 소거를 고려한 실용에 가까운 조건에서의 기록 보정 학습의 기록 마진 곡선을 나타낸다.
기록 보정 학습에서는 저파워측으로부터 고파워측으로 순서대로 기록 파워를 올리면서 기록 학습용의 마크를 기록하고, 그 때의 지터를 측정한다. 여기서, 에러 정정 불능으로 되지 않은 지터치의 기록 파워 P1(18)이 구해진다. P1에 디스크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계수 α1(19)을 곱하여 통상 기록 파워 Po(20)로 한다.
또한, 고파워측까지 지터를 측정해 가면, 크로스 소거의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기록 마크의 품질 열화에 의해 에러 불능으로 되는 지터 상한치일 때의 기록 파워 P2(22)가 구해진다. 이 때, Po가 에러 정정 불능으로 되지 않기 위한 마진α2(21)를 확보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마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Po를 저파워측으로 시프트하고, 크로스 소거에 의한 영향을 받는 고파워측은 반드시 마진을 확보한다. 이 조작을 디스크의 내주와 외주의 각 드라이브 테스트 존에서 행하여 각각의 Po를 구하고, 각 Po의 직선 근사에 의해 각 존에서의 최적의 기록 파워 테이블을 작성한다.
다음으로 실시간 레코딩에 이용하기 위한 기록 파워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DVD-RAM 디스크의 드라이브 테스트 존에서 상기한 검증이 있는 기록에 이용하는 기록 파워 기록 보상 학습을 행한 후에, 미기록부, 또는 소거 후의 4트랙에 실시간 레코딩 방식을 상정하고,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4트랙에 기록 보정 학습 패턴을 기록한다. 그 기록한 트랙의 중앙 2트랙(크로스 소거의 영향을 받는 트랙)을 재생하고, 그 때의 지터를 측정한다. 이 조작에 대하여 기록 파워를 70%∼130%의 범위에서 변화시켜 반복함으로써 기록 마진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지터의 값이 최소가 되는 기록 파워치를 구한다. 드라이브 테스트 존의 내주와 외주에서 이 조작을 각각 행하여, 각각에서 구한 기록 파워치를 직선 근사함으로써 존마다 기록 파워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내외의 디스크 감도 변동을 보정한 신뢰도가 높은 기록 파워로 검증 기록 및, 실시간 레코딩을 행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각속도 일정(CAV : Constant Angular Velocity) 또는, 존 내각 속도 일정(ZCAV : Zoned Constant Angular Velocity)과 같이 기록 시의 선속도가 디스크 상의 물리적인 위치에서 변화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진술한다.
CAV의 경우, 디스크 상의 물리적인 기록 위치에 의해 선속도가 변화된다. 디스크 내주에서는 선속도가 가장 느리고, 외주로 갈수록 빨라진다. 기록 마크는 열 형성에 의해 행해지지만, 선속도의 변화에 의해 가열·냉각의 특성도 변화되어 가기 때문에, 열 간섭에 의한 크로스 소거의 영향도 변화된다. 도 11은 내주의 기록 파워 마진 곡선(23)과 외주의 기록 파워 마진 곡선(24)을 나타낸다. 외주로 갈수록 선속도가 빨라지며, 급속 가열 급속 냉각 특성으로 되어 인접 트랙으로의 열 확산이 감소되기 때문에 크로스 소거에 의한 영향이 적어지고, 고파워측의 기록 파워 마진이 넓어진다. 한편, 저파워측은 선속도가 높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기 어려워지고 기록 마크 형성에 필요한 레이저 파워가 높아져 단순히 내주와 외주에서는 그 형이 동일하며 평행 시프트된다. 이와 같이 CAV 및 ZCAV의 기록 방식은 내주와 외주에서 기록 마진의 특성이 다르다. 이하에 CAV 및 ZCAV에서의 기록 파워가 구해지는 방법에 대하여 진술하기로 한다.
검증이 있는 기록 시의 기록 파워는 CLV의 기록 보상 학습과 마찬가지로 행해지고, 디스크의 내주 및 외주에서 구한 파워를 직선 근사하여 기록 파워 테이블로 한다.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파워를 구하는 기록 보상 학습은,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크 내주와 외주에서 실시간 레코딩의 기록 방법으로 4트랙을 기록하고 중앙 2트랙을 재생하여 지터를 측정함으로써, 랜드, 그루브 각각의 기록 마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얻어진 지터가 최소가 될 때의 기록 파워를 내주와 외주에서 직선 근사하여 실시간 레코딩 시의 기록 파워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검증이 있을 때와, 실시간 레코딩을 할 때의 기록 파워 테이블은 디스크 반경 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선속도의 영향을 포함한 근사적으로 최적의 기록 파워가 된다. 기록 시는 상위 제어기(9)로부터의 기록 정보의 종류와 파일 시스템의 정보로부터 시스템 제어기(6)는 기록 방법과 기록 위치를 결정한다. 기록 파워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결정 내용에 대응하는 기록 파워 레벨을 기록 제어 블록의 기록 파워 설정부에 설정함으로써, 선속도에 따른 적합한 기록 파워로 기록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CAV 및 ZCAV 방식의 광 디스크 장치에서의 실시간 레코딩 시도 기록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다음으로 DVD 비디오 카메라(30)에 적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DVD 비디오 카메라는 소직경의 DVD 포맷의 광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휴대 카메라 장치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장치 구성의 일례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 장치(40)와 제1 실시예의 광 디스크 장치(50)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40)는 촬상 렌즈(41), CCD(42), 카메라 DSP(43), MPEG2 CODEC(44), LCD(45), MPU(46), 버스(47), I/F(48), 도시되지 않은 버퍼 메모리로 구성된다. 카메라 장치(40)와 광 디스크 장치(50)는 각각의 인터페이스(48, 7)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측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46)가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피사체상(像)은 촬상 렌즈(41)를 통해 CCD(42) 상에 결상한다. 피사체상은CCD(42)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카메라 DSP(43)에 의해 손 떨림 보정 등의 필요한 신호 처리가 행해져 MPEG 변환 가능한 형식의 신호로 변환된다. MPEG2 CODEC(44)에서는 카메라 DSP(43)로부터 보내진 영상 정보 신호를 MPEG2의 압축 방법으로 압축하여, 광 디스크에 기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광 디스크(1)에 기록할 때, 광 디스크 장치(50) 내의 위치 결정 등에 의한 액세스 중에는 기록이 중단되지만, 그 동안 기록해야 할 정보는 버퍼 메모리에 의해 버퍼링된다. 광 디스크(1)에의 기록은 MPEG2로 압축 변환 레이트보다 고속이며, 특별히 이상이 없는 한 버퍼 메모리의 데이터 용량이 오버플로우되기 전에 기록을 재개하기 때문에, 광 디스크(1) 상에 기록되는 데이터 동화상 정보가 불연속으로 되지 않는다. 이 버퍼 메모리가 오버플로우되지 않도록 기록 레이트와 버퍼 시간, 액세스 시간의 관계를 관리하는 방식이 상기 실시간 레코딩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다. DVD 카메라에 있어서, 기록 정보는 동화상 정보인 프레젠테이션 데이터와 기록한 파일의 어드레스 등을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데이터가 있지만, 프레젠테이션 데이터는 실시간 레코딩, 네비게이션 데이터는 검증이 있는 기록으로 기록한다. 이 2종류의 파일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록 파워를 전환함으로써 각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DVD 비디오 레코더(60)에 적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에 본 발명을 적용한 DVD 비디오 레코더(6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70)와 제2 실시예의 광 디스크 장치(50)로 구성된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70)는 튜너(71), 외부 입출력(72), 비디오 I/F(73), MPEG2 CODEC(74), MPU(75), 버스(76), I/F(77), 도시되지 않은 버퍼 메모리로 구성된다.
튜너(71), 및 외부 입출력(72)으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비디오 I/F(73)에 내장된 A/D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그 후 MPEG2로 변환 가능한 적당한 신호 처리가 행해져 MPEG2 CODEC(74)에 의해 MPEG2로 압축된다.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70)와 광 디스크 장치(50)는 각각의 인터페이스(77, 7)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 처리 장치(7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75)가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압축 후의 데이터 형식과 광 디스크에의 기록 방법은 제6 실시예와 동일하게 행한다. 이상에 의해, 여러 가지 정보원으로부터의 화상, 혹은 음악 정보를 높은 신뢰성으로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본질을 변화시키지 않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많은 형태가 있을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헤드를 포함한 광 디스크 장치에서,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적어도 2개의 정보 기록 방법으로 각각 상이한 기록 파워로 기록함으로써 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4)

  1.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록 제어 커맨드를 수취하는 시스템 제어기와, 시스템 제어기로부터 기록 방법 지령 신호와 기록 데이터를 수취하여, 상기 기록 방법 지령 신호로 지정된 기록 방법에 따라 기록 파워의 레벨을 설정하고, 기록 정보를 기록 마크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록 펄스의 생성을 행하는 기록 제어 블록과,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 보내어진 기록 펄스에 의해 레이저광의 파워를 변조하여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헤드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에서 각각 다른 기록 파워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은 검증이 있는 기록과, 실시간 레코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에 의해 기록하는 기록 파워는 기록 보상 학습에 의해 결정된 기록 파워를 이용하는 것과, 기록 보상 학습에서 구해진 기록 파워보다 높은 파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에서 이용하는 기록 파워는 각각 다른 기록 보상 학습에 의해 결정된 기록 파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하는 데이터 파일의 선두와 후단의 1트랙 이상을 낮은 쪽의 기록 파워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하는 데이터 파일의 선두와 후단의 1트랙 이상을 포함하는 블록수의 기록 데이터를 낮은 쪽의 기록 파워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하는 데이터 파일의 선두와 후단의 1트랙분의 섹터수의 기록 데이터만 낮은 쪽의 기록 파워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일정한 각속도로 기록하는 모드에서, 반경 방향에 대한 기록 파워는, 두 가지의 정보 기록 방법에서 기록 보상 학습에 의해 기록 파워를 내주와 외주에서 각각 구한 기록 파워의 직선 근사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장치.
  9.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정보 혹은 음성 정보 중 한쪽 혹은 양쪽을 입력하는 수단과, 입력 데이터를 디지털 압축하는 수단과, 기록 재생 가능한 광 디스크 장치와,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 디스크 장치는 제1항 내지 제8항에 기재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0.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촬상 렌즈와, 상기 촬상 렌즈로 결상(結像)한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의 출력을 디지털 압축하는 수단과, 기록 재생 가능한 광 디스크 장치와,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 디스크 장치는 제1항 내지 제8항에 기재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압축 수단은 MPEG2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압축 수단은 MPEG2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검증이 있는 기록으로 기록하는 정보는 네비게이션 데이터이고,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하는 정보는 프레젠테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검증이 있는 기록으로 기록하는 정보는 네비게이션 데이터이고, 실시간 레코딩으로 기록하는 정보는 프레젠테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KR10-2001-0048504A 2001-06-11 2001-08-11 광 디스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록 장치 KR100429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4974A JP4114330B2 (ja) 2001-06-11 2001-06-11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記憶装置
JPJP-P-2001-00174974 2001-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989A true KR20020094989A (ko) 2002-12-20
KR100429751B1 KR100429751B1 (ko) 2004-05-04

Family

ID=1901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504A KR100429751B1 (ko) 2001-06-11 2001-08-11 광 디스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65850B2 (ko)
JP (1) JP4114330B2 (ko)
KR (1) KR100429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7269B2 (ja) * 2001-08-28 2006-08-0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4756623B2 (ja) * 2001-11-30 2011-08-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303472A (ja) * 2002-04-04 2003-10-24 Hitachi Ltd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2004030820A (ja) * 2002-06-27 2004-01-29 Tdk Corp レーザビーム強度決定方法、これに用いる臨界値の生成方法、オーバーライト回数決定プログラム及び光記録媒体
JP2004030819A (ja) * 2002-06-27 2004-01-29 Tdk Corp レーザビーム強度決定方法、これに用いる臨界値の生成方法、臨界値生成プログラム及び光記録媒体
JP2005092976A (ja) * 2003-09-17 2005-04-07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記録パワー制御方法
WO2006033342A1 (ja) * 2004-09-21 2006-03-30 Pioneer Corporation 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48518B2 (ja) 2005-04-28 2009-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JP2013242952A (ja) * 2012-04-25 2013-12-05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30A (ja) * 1995-07-03 1997-01-21 Ricoh Co Ltd 情報記録再生用光出力設定方法
US6052347A (en) * 1996-02-23 2000-04-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ptimum recording power for an optical disk
TW322573B (ko) * 1996-04-17 1997-12-11 Hitachi Ltd
KR100235331B1 (ko) * 1997-04-24 1999-12-15 구자홍 최적 기록파워 제어를 위한 광 기록재생 장치
US6388955B1 (en) * 1998-01-23 2002-05-14 Sanyo Electric Co., Ltd. Reproducing method for magneto-optic recording medium, and magneto-optic disk device
WO2000011668A1 (fr) * 1998-08-20 2000-03-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nite de commande de puissance laser et dispositif a disque optique
KR100295986B1 (ko) * 1998-08-21 2001-10-26 구자홍 광기록매체의최적기록방법
KR100327225B1 (ko) * 1998-09-10 2002-07-18 윤종용 재기록가능광디스크기록장치및방법
KR100288783B1 (ko) * 1998-09-18 2001-05-02 구자홍 광기록매체의 기록 광파워 검출저장 및 이를 이용한 기록 광파워 조절장치와 그 방법
JP3701503B2 (ja) * 1999-04-26 2005-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光磁気記録媒体、光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光磁気記録方法
JP2001184647A (ja) * 1999-10-14 2001-07-06 Tdk Corp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9751B1 (ko) 2004-05-04
JP4114330B2 (ja) 2008-07-09
US20020186634A1 (en) 2002-12-12
US6765850B2 (en) 2004-07-20
JP2002367174A (ja) 200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8581B2 (en) Multi-layered high-density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power adjusting method therefor
US7215626B2 (en) 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optical disk recording method, optical disk 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disk capable of interlayer crosstalk reduction
CN101202063B (zh) 在光盘上记录数据和/或从光盘再现数据的方法
KR100429751B1 (ko) 광 디스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록 장치
JP200503849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消去方法
US20050083812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0684409B1 (ko) 광디스크장치의 최적 기록파워 검출장치 및 방법
US7593299B2 (e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method
JP2997115B2 (ja)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2358642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その記録用ソフトウェア
US20060221786A1 (en) Disk apparatus and disk recording/reproducing method
JP2001052373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01014809A (ja)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193911B2 (ja) 記録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US8018826B2 (e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65160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804959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WO2004095437A1 (ja) 光学的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7184025A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079771A (ja) ディスク装置
JP2003099933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JPH11120566A (ja) 記録再生装置の立ち上げ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0195055A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7244919A (ja) 情報記憶装置
JPH10312593A (ja) 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