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955A -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 - Google Patents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955A
KR20020092955A KR1020027010420A KR20027010420A KR20020092955A KR 20020092955 A KR20020092955 A KR 20020092955A KR 1020027010420 A KR1020027010420 A KR 1020027010420A KR 20027010420 A KR20027010420 A KR 20027010420A KR 20020092955 A KR20020092955 A KR 20020092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vitamin
compound
mmol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야마히로아끼
기따까아쯔시
스하라요시또모
후지시마도시에
Original Assignee
쥬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1/00Irradiation products of cholesterol or its derivatives; Vitamin D derivatives, 9,10-seco cyclopenta[a]phenanthrene or analogues obtained by chemical preparation without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2/00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 C07C2602/02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the rings having only two atoms in common
    • C07C2602/14All rings being cycloaliphatic
    • C07C2602/24All rings being cycloaliphatic the ring system containing nine carbon atoms, e.g. perhydroind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신규인 비타민 D 유도체를 합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화학식 (1):
[화학식 1]
(식중, R1및 R2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저급알킬기임)
로 표시되는 비타민 D 유도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VITAMIN D DERIVATIVES HAVING SUBSTITUENTS AT THE 2α-POSITION}
비타민 D 유도체는 칼슘대사조절작용, 종양세포 등에 대한 증식억제작용이나 분화유도작용, 면역조절작용 등 광범위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고, 신장성 골질환,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골다공증 등의 치료약으로서 각종 비타민 D 유도체가 제안되어 있다.
다수의 비타민 D 유도체 중에서도 2β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인 것은, 생체내 칼슘의 조절작용, 종양세포 등에 대한 분화유도작용 등의 생리활성을 갖고, 의약, 예컨대 골다공증, 골연화증 등의 칼슘대사이상에 기초하는 질환의 치료약 또는 항종양제로서 유용함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평6-23185호).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로서는, 2α위치에 4-히드록시부틸기나 아실옥시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 (J.Org.Chem., Vol.59, No.25, 1994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19752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2β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에 비하면 그 보고는 적고, 또한 생리활성이 높은 비타민 D 유도체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에 착안하여 그 생리활성 등 다양한 검토를 행하였다.
본 발명은 신규인 비타민 D 유도체, 보다 상세하게는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2α위치에 특정한 치환기를 도입하고, 1위치 및 3위치의 수산기가 각각 α배치 및 β배치의 신규인 비타민 D 유도체를 합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우수한 비타민 D 수용체결합능을 나타내는 신규인 비타민 D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2α위치에 특정한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비타민 D 수용체결합능이 향상됨을 지득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화학식 (1):
(식중, R1및 R2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저급알킬기임)
로 표시되는 비타민 D 유도체가 제공된다.
화학식 (1) 에서 바람직하게는 R1이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상의 탄소수 2 ∼ 6 의 알킬기이고, R2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이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상의 탄소수 2 ∼ 4 의 알킬기이고, R2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 3 ∼ 10 의 알킬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학식 (2):
(식중, R1은 2-히드록시에틸기 또는 3-히드록시프로필기이며, R3는 4-히드록시-4-메틸펜틸기 또는 4-에틸-4-히드록시헥실기임)
로 표시되는 비타민 D 유도체가 제공된다.
화학식 (2) 에서 바람직하게는 R1이 3-히드록시프로필기이며, R3가 4-히드록시-4-메틸펜틸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의, 칼슘대사이상을 동반하는 질환의 치료제의 제조에 대한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칼슘대사이상을 동반하는 질환의 치료방법으로서, 이와 같은 치료를 필요로 하고 있는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는 활성형 비타민 D3(즉, 1α, 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의 대사의 연구에서의 시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이 주장하는 우선권의 기초가 되는 출원인 일본 특허출원 2000-050915호의 개시는 모두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 중에 내포되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화학식 (1) 에서 R1및 R2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저급알킬기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저급알킬기란, 일반적으로는 탄소수 1 ∼ 15 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외,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저급알킬기란, 상기 저급알킬기의 임의의 수소원자가 1 이상의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기를 의미한다.
R1및 R2에서는, 치환되고 있는 히드록시기의 수는 1, 2 또는 3 이며,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다.
R1은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상의 탄소수 2 ∼ 6 의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상의 탄소수 2 ∼ 4 의 알킬기이다. R1의 비한정적 구체예로서는, 히드록시메틸기, 히드록시에틸기, 히드록시프로필기, 히드록시부틸기, 히드록시펜틸기, 히드록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2는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 3 ∼ 10 의 알킬기이다. R2의 비한정적 구체예로서는, 6-히드록시-6-메틸-2-헵틸기, 7-히드록시-7-메틸-2-옥틸기, 5,6-디히드록시-6-메틸-2-헵틸기, 4,6,7-트리히드록시-6-메틸-2-헵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는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식 (2) 에서, 바람직하게는 R1은 2-히드록시에틸기 또는 3-히드록시프로필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히드록시프로필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3는 4-히드록시-4-메틸펜틸기 또는 4-에틸-4-히드록시헥실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히드록시-4-메틸펜틸기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의 화합물 중, 바람직한 화합물로서는 (5Z,7E)-(1S,2S,3R,20R)-2-(3-히드록시프로폭시)-9,10-세코-5,7,10(19)-콜레스타트리엔-1,3,25-트리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는 의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칼슘대사이상을 동반하는 질환의 치료제, 항종양제 또는 면역조절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는 활성형 비타민 D3(즉, 1α, 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의 대상의 연구에서의 시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비타민 D 유도체 및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비타민 D 유도체는 모두 신규 화합물로 그 합성법은 조금도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제조방법 중 화합물번호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반응식의 화합물번호와 대응되는데, 이것은 본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구체적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발원료로서는, D-글루코오스 등에서 얻어지는 결정성 에폭시드1 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결정성 에폭시드를 알칸디올과 반응시키고, 3 위치에 위치선택적으로 관능기를 도입하여 3 위치 치환체 2 로 안내한다. 이어서, 3 위치의 관능기의 수산기를 보호하여 3 으로 한 후, 4 위치와 6 위치의 수산기를 보호하는 벤질리덴아세탈부분을 N-브로모숙신이미드 등으로 브로모화하면서 개열하여 브로미드 4로 한다. 디올체 5, 트리스실릴에테르체 6 을 거쳐 얻은 알콜체 7 의 5 위치 6위치에 아연분말로 올레핀을 형성하여 디올체 8 로 하고, 또한 일급수산기로 선택적으로 이탈기를 도입하여 술포네이트체 9 로 한다. 이어서, 예컨대 에폭시드 10 경유로 1 위치에 에틸기를 도입하여 엔인 11 로 한다. 엔인 11 을 탄산칼륨 등으로 처리하여 얻은 엔인 12 의 수산기를 실릴화 (예컨대 tert-부틸디메틸실릴화) 하여 트리스실릴에테르 13 으로 하고, 원하는 CD 환부 브로모올레핀 14 와, 적합한 용매 중에서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2α-치환형 비타민 D 골격을 구축한다. 얻은 보호체 15 를 탈보호조작에 제공한 후, 역상 HPLC 또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비타민 D 유도체 16 을 합성할 수 있다. 또는 보호체 15 를 정제 후에 탈보호에 제공해도 된다.
여기에서, 비타민 D 유도체의 CD 환부분의 화합물로서는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공지된 CD 환화합물에서 출발하여 측쇄를 적당하게 수식하여 원하는 CD 환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또는, CD 환화합물은 대응하는 측쇄를 갖는 공지된 비타민 D 유도체에서 얻을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행한 반응식을 하기에 나타낸다.
(합성예)
(5Z,7E)-(1S,2S,3R,20R)-2-(3-히드록시프로폭시)-9,10-세코-5,7,10(19)-콜레스타트리엔-1,3,25-트리올(화합물 16)의 합성
또한,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에서 특별히 양해가 없는 경우에는 % 는 용량 %를 나타낸다.
(1)메틸4,6-O-벤질리덴-3-O-(3-히드록시프로필)-α-D-알트로피라노시드(화합물 2)의 합성
에폭시체인 메틸2,3-안하이드로-4,6-O-벤질리덴-α-D-만노피라노시드(화합물 1) (2.52g, 9.54m㏖) 를 1,3-프로판디올 (63㎖) 에 현탁하고, 칼륨tert-부톡시드 (3.53g, 31.5m㏖) 를 첨가하여 110℃ 에서 14 시간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염화메틸렌 (400㎖) 과 포화염화암모늄수용액 (200㎖) 으로 분액하고, 수층을 염화메틸렌 200㎖ 로 2 회 추출하였다. 모든 유기층을 합쳐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 →66%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디올체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 2 를 3.06g 얻었다 (수율 94%).
(2)메틸4,6-O-벤질리덴-3-O-[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α-D-알트로피라노시드(화합물 3)의 합성
화합물 2 (3.06g, 8.98m㏖) 를 DMF (30㎖) 에 용해하고, tert-부틸디메틸실릴클로리드 (1.62g, 10.8m㏖) 와 이미다졸 (1.53g, 22.5m㏖)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 (500㎖) 과 물 (150㎖) 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물, 포화식염수 (각각 150㎖) 로 순차적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 →33%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무색 유상의 화합물 3 을 3.74g 얻었다 (수율 92%).
(3)메틸4-O-벤조일-6-브로모-3-O-[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6-데옥시-α-D-알트로피라노시드(화합물 4)의 합성
화합물 3 (2.42g, 5.31m㏖) 을 사염화탄소 (53㎖) 에 용해하고, N-브로모숙신이미드 (1.04g, 5.84m㏖) 와 탄산바륨 (586.8㎎, 2.97m㏖) 을 첨가하여 40 분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액을 방냉한 후, 아세트산에틸 (50㎖) 을 첨가하여 불용물을 여과지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아세트산에틸 (350㎖) 과 0.1N 티오황산나트륨수용액 (50㎖) 으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물, 포화식염수 (각각 50㎖) 로 순차적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 →20%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브롬화물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 4 를 2.09g 얻었다 (수율 74%).
(4)메틸6-브로모-3-O-[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6-데옥시-α-D-알트로피라노시드(화합물 5)의 합성
화합물 4 (2.09g, 3.92m㏖) 를 CH3OH (50㎖) 에 용해하고, 28% NaOCH3메탄올용액 (5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실리카겔 (20g) 을 첨가하여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얻은 농축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 →33%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디올체인 무색 유상의화합물 5 를 1.62g 얻었다 (수율 96%).
(5)메틸6-브로모-2,4-비스-(O-t-부틸디메틸실릴)-3-O-[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6-데옥시-α-D-알트로피라노시드(화합물 6)의 합성
화합물 5 (1.84g, 4.29m㏖) 를 DMF (30㎖) 에 용해하고, tert-부틸디메틸실릴클로리드 (1.94g, 12.9m㏖) 와 이미다졸 (1.17g, 17.2m㏖)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 (450㎖) 과 물 (100㎖) 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물, 포화식염수 (100㎖) 로 순차적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 아세트산에틸/헥산) 로정제하여 트리스실릴에테르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 6 을 2.66g 얻었다 (수율 94%).
(6)메틸6-브로모-4-(O-t-부틸디메틸실릴)-3-O-[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필]-6-데옥시-α-D-알트로피라노시드(화합물 7)의 합성
화합물 6 (2.78g, 4.23m㏖) 을 THF (25㎖) 에 용해하고,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리드의 1M THF 용액 (1.06㎖, 1.06m㏖)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실리카겔 (10g) 을 첨가하여 농축하고, 농축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 →20%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알콜체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 7 을 1.16g 얻었다 (수율 51%). 또한, 원료인 화합물 6 이 647.1㎎ (수율 23%) 회수되었다.
(7)(2R,3S,4R)-4-[(t-부틸디메틸실릴)옥시]-3-[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폭시]헥사-5-엔-1,2-디올(화합물 8)의 합성
화합물 7 (1.07g, 1.97m㏖) 을 1-프로판올 (50㎖) 에 용해하고, 물 (5㎖) 을 첨가하였다. 아연분말 (3.86g, 59.1m㏖) 과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 (247.9㎎, 3.94m㏖) 을 첨가하여 95℃ 에서 20 분간 교반하였다. 아연분말 (2.58g, 39.4m㏖) 을 추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35 분간 반응시킨 후, 다시 아연분말 (2.58g, 39.4m㏖) 과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 (247.9㎎, 3.94m㏖) 을 첨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30 분간 반응시켰다. 아연분말 (1.29g, 19.7m㏖) 을 추가하여 45 분간 동일 온도에서 교반한 후, 방냉하여 불용물을 여과제거하였다. 여과액에 수소화붕소나트륨 (74.5㎎, 1.97m㏖) 을 첨가하여 10 분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실리카겔 (1g) 을 첨가하여 농축하고, 농축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 →10%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디올체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 8 을 615.7㎎ 얻었다 (수율 72%).
(8)(2R,3S,4R)-4-[(t-부틸디메틸실릴)옥시]-3-[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폭시]-1-[(2,4,6-트리메틸벤젠술포닐)옥시]헥사-5-엔-2-올(화합물 9)의 합성
화합물 8 (482.5㎎, 1.11m㏖) 을 CH2Cl2(11㎖) 에 용해하고, 빙냉 하에 2-메시틸렌술포닐클로리드 (267.0㎎, 1.22m㏖) 와 DMAP (271.2㎎, 2.22m㏖) 를 첨가하여 0℃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추가로, 2-메시틸렌술포닐클로리드 (145.6㎎, 0.666m㏖) 와 DMAP (135.6㎎, 1.11m㏖) 를 첨가하여 0℃ 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 (50㎖) 과 물 (10㎖) 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물과 포화식염수 (각각 10㎖) 로 순차적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 →17%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술포네이트체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 9 를 573.1㎎ 얻었다 (수율 84%).
(9)(3R,4S,5R)-3-[(t-부틸디메틸실릴)옥시]-4-[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폭시]-5,6-에폭시헥사-1-엔(화합물 10)의 합성
화합물 9 (306.7㎎, 0.497m㏖) 를 THF (5㎖) 에 용해하고, -78℃ 에서 리튬헥사메틸디실라지드 1M THF 용액 (0.596㎖, 0.596m㏖) 을 첨가한 후, 반응계를 서서히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 (200㎖) 과 포화염화암모늄수용액 (70㎖) 으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물, 포화식염수 (70㎖ 씩) 로 순차적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10%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에폭시드체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 10 을 204.7㎎ 얻었다 (수율 99%).
(10)(4R,5S,6R)-6-[(t-부틸디메틸실릴)옥시]-5-[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폭시]-1-(트리메틸실릴)옥타-7-엔-1-인-4-올(화합물 11)의 합성
화합물 10 (155.9㎎, 0.374m㏖) 을 THF (5㎖) 에 용해하였다. 한편,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 (0.132㎖, 0.935m㏖) 을 THF 5㎖ 에 용해한 것에 부틸리튬헥산용액 (1.61M, 0.465㎖, 0.748m㏖) 을 -78℃ 에서 첨가하여 5 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앞의 화합물 10 의 THF 용액을 -78℃ 에서 첨가하고, 추가로 삼플루오르화붕소디에틸에테르착체 (52.1μl, 0.411m㏖) 를 첨가하여 반응온도를 서서히 10℃ 까지 승온시켰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 (50㎖) 과 포화염화암모늄수용액 (10㎖) 으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물, 포화식염수 (각각 10㎖) 로 순차적으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8%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올레핀체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 11 을 178.0㎎ 얻었다 (수율 92%).
(11)(4R,5S,6R)-6-[(t-부틸디메틸실릴)옥시]-5-[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폭시]옥타-7-엔-1-인-4-올(화합물 12)의 합성
화합물 11 (233.6㎎, 0.454m㏖) 을 메탄올 (10㎖) 에 용해하고, 탄산칼륨 (62.7㎎, 0.454m㏖)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6 시간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52.0㎖, 0.908m㏖) 을 첨가한 후, 반응액을 농축하고, 농축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 (100㎖) 과 물 (30㎖) 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물과 포화식염수 (각 30㎖ 씩) 로 순차적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4%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엔인체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 12를 193.6㎎ 얻었다 (수율 96%).
(12)(3R,4S,5R)-3,5-비스-[(t-부틸디메틸실릴)옥시]-4-[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폭시]옥타-1-엔-7-인(화합물 13)의 합성
화합물 12 (193.6㎎, 0.437m㏖) 를 CH2Cl2(5㎖) 에 용해하고, tert-부틸디메틸실릴트리플레이트 (0.151㎖, 0.656m㏖) 와 2,6-루티딘 (0.153㎖, 1.31m㏖) 을 빙냉 하에 첨가하여 0℃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아세트산에틸 (150㎖) 과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30㎖) 으로 분액하였다. 유기층을 물과 포화식염수 (30㎖ 씩) 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3%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정제하여 트리스실릴에테르인 무색 유상의 화합물13 을 219.3㎎ 얻었다 (수율 90%).
(13) 화합물 13 과 화합물 14 의 축합 및 탈보호에 의한 화합물 16 의 합성
화합물 13 (219.3㎎, 0.394m㏖) 과 비닐브로미드인 화합물 14 (129.6㎎, 0.363m㏖) 를 톨루엔 (5㎖) 에 용해하고, 트리에틸아민 (5㎖) 을 첨가하였다.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25.8㎎, 0.109m㏖) 을 첨가하여 120℃ 에서 90 분간 환류하였다.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 (10㎖) 을 첨가한 후, 실리카겔 패드에 제공하여 불용물을 여과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회전식 증발기로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6% 아세트산에틸/헥산) 로 조정제하여 축합체인 1,3-비스-(O-t-부틸디메틸실릴)-2α-[3-{(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폭시]-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화합물 15) 를 얻었다.
화합물 15 (156.6㎎) 를 THF (3㎖) 에 용해하고,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리드의 THF 용액 (1M, 0.940㎖, 0.940m㏖)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96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감압 하에 회전식 증발기로 농축하였다. 농축잔류물을 메탄올 (1㎖) 에 용해하고, 실리카겔 TLC 플레이트 (20 ×20㎝, 두께 0.5㎜; CH2Cl2중 10% MeOH) 에 흡착시켜 정제하여 비타민 D 유도체인 화합물 16 을 약 75.0㎎ 얻었다. 추가로 반복 실리카겔 TLC 플레이트정제를 행하여 화합물 16 을 56.3㎎ 얻었다 (수율 32%). 화합물 16 을 역상 HPLC 로 정제하면 (정제조건: 역상 HPLC YMC-Pack ODS컬럼 20 ×150㎜ 9.0㎖/min, CH3CN:물=3:2), 백색 분말체가 얻어졌다.
역상 HPLC 로 정제된 화합물 16 의 데이터
(시험예) 소뇌선 비타민 D 수용체 (VDR) 로의 결합시험
상기 합성예에서 얻은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에 대해, 소뇌선 유래 비타민 D 수용체에 대한 결합능을 시험하였다.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표준물질로서 사용) 및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의 각각에 대해 각종 농도의 에탄올용액을 조제하였다. 소뇌선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수용체는 야마사쇼유주식회사 Yamasa Biochemcal (Choshi,Chiba, Japan) 로부터 구입하여 (lot.110431), 1 앰플 (약 25㎎) 을 0.05M 인산 0.5M 칼륨완충액 (pH 7.4) 55㎖에 사용직전에 용해하였다.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 또는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의 에탄올용액 50μl 와 수용체 용액 500μl (0.23㎎ 단백질) 를 시험관에 넣어 실온에서 1 시간 프리인큐베이트한 후, [3H]-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를 최종 농도 0.1nM 이 되도록 첨가하여 4℃ 에서 하룻밤 인큐베이션하였다. 반응액에 DCC (덱스트란피복차콜)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4℃ 에서 30 분간 방치하고, 3000rpm 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함으로써, 수용체에 결합된 [3H]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와, 유리된 [3H]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를 분리하였다. 상청 (500μl) 을 ACS-Ⅱ (9.5㎖) (Amersham, Englang) 와 혼합하여 방사활성을 측정하였다.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의 VDR 로의 결합성을 100 으로 했을 때의,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의 VDR 로의 상대적 결합성은 180 이었다. 계산식은 이하와 같다.
X=(y/x) ×100
X: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의 VDR 로의 상대적 결합성
y: 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가 [3H]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와 VDR 의 결합을 50% 저해하는 농도
x: 본 발명의 비타민 D 유도체가 [3H]1α,25-디히드록시비타민 D3와 VDR 의 결합을 50% 저해하는 농도
본 발명의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비타민 D 유도체,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비타민 D 유도체는 모두 신규 화합물로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신장성 골질환,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골다공증 등의 의약으로서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화학식 (1):
    [화학식 1]
    (식중, R1및 R2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저급알킬기임)
    로 표시되는 비타민 D 유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상의 탄소수 2 ∼ 6 의 알킬기이고, R2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인 비타민 D 유도체.
  3.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상의 탄소수 2 ∼ 4 의 알킬기이고, R2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탄소수 3 ∼ 10 의알킬기인 비타민 D 유도체.
  4. 화학식 (2):
    [화학식 2]
    (식중, R1은 2-히드록시에틸기 또는 3-히드록시프로필기이며, R3는 4-히드록시-4-메틸펜틸기 또는 4-에틸-4-히드록시헥실기임)
    로 표시되는 비타민 D 유도체.
  5. 제 4 항에 있어서, R1이 3-히드록시프로필기이며, R3가 4-히드록시-4-메틸펜틸기인 비타민 D 유도체.
KR1020027010420A 2000-02-28 2001-02-27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 KR200200929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50915 2000-02-28
JP2000050915 2000-02-28
PCT/JP2001/001451 WO2001062723A1 (fr) 2000-02-28 2001-02-27 DERIVES DE VITAMINE D COMPORTANT DES SUBSTITUANTS EN POSITION 2$g(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955A true KR20020092955A (ko) 2002-12-12

Family

ID=1857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420A KR20020092955A (ko) 2000-02-28 2001-02-27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22872A1 (ko)
EP (1) EP1260502A1 (ko)
KR (1) KR20020092955A (ko)
CN (1) CN1398254A (ko)
AU (1) AU2001234189A1 (ko)
WO (1) WO2001062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1170A (ja) * 2010-05-18 2011-12-01 Mercian Corp ビタミンd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634171B8 (en) 2010-10-25 2016-01-13 Teijin Pharma Limited 23-yne-vitamin d3 derivative
TW201406380A (zh) * 2012-04-24 2014-02-16 Teijin Pharma Ltd 次發性副甲狀腺機能亢進症治療劑
BR112021022555A2 (pt) * 2019-05-13 2021-12-28 Faes Farma Sa Processo e intermediários para a preparação de eldecalcitol
CN114685553B (zh) * 2020-12-29 2024-01-30 南京圣鼎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艾地骨化醇中间体的制备方法及其中间体
CN115057804B (zh) * 2022-05-27 2024-03-29 南京海融制药有限公司 一种骨化三醇的纯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773B2 (ja) * 1986-06-05 1995-08-30 中外製薬株式会社 新規ビタミンd▲下3▼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
DK0806413T3 (da) * 1995-01-23 2002-01-28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2-substituerede viatmin D3-deriv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8254A (zh) 2003-02-19
US20030022872A1 (en) 2003-01-30
WO2001062723A1 (fr) 2001-08-30
AU2001234189A1 (en) 2001-09-03
EP1260502A1 (en) 200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9531B2 (ja) Fpアゴニストとして有用な、芳香族のあるc16〜c20が置換されたテトラヒドロプロスタグランジン類
JPH04506965A (ja) 新規ビタミンd類似体
HU222775B1 (hu) D-vitamin analógok, eljárás előállításukra és ezeket tartalmazó gyógyszerkészítmények
HU211025B (en) Process for producing novel vitamin d analogu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CZ419797A3 (cs) Diglykosylované 1,2-dioly, způsob jejich přípravy a farmaceutický prostředek, který je obsahuje
EA004703B1 (ru) Производные витамина d с циклическими субструктурами в боковых цепях, способ и промежуточные продукты для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олуч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HUT62560A (en) Process for producing 24-oxa derivatives belonging to vitamin d seri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FR2573760A1 (fr) Composes derives du cholecalciferol, composition pharmaceutique antitumorale et utilisation desdits composes dans la preparation de cette composition pharmaceutique
KR20020092955A (ko) 2α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비타민 D 유도체
EP3684780B1 (en) Floxuridine synthesis
FR2573759A1 (fr) Composes derives du cholecalciferol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composition pharmaceutique et utilisation desdits composes dans la preparation de cette composition
US442169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4,24-difluoro-1α,25-dihydroxy vitamin D3 and intermediates obtained therefrom
CN102796134B (zh) 一种马沙骨化醇中间体的制备方法
WO2000002892A1 (en) Novel antibacterial compounds
KR100628586B1 (ko) 3-데속시-비타민 디3 유사 에스테르
KR101217685B1 (ko) 서로 다른 실릴기로 보호된 알킨 그룹을 갖는 삼중연결고리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응용
FI69460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ya terapeutiskt anvaendbara racemiska och optiskt aktiva semiprostanoidglykosider och -tioglykosider
Vega-Pérez et al.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oxiranes as a source of isoserine analogues using d-glucosamine and d-glucose derivatives as chiral templates
JPWO2002066424A1 (ja) 2位に置換基を有するビタミンd誘導体
WO2003070716A1 (fr) Derives de vitamine d3 et medicaments les utilisant
CN1269783A (zh) 一种制备环氧化物中间体的方法
JP3908799B2 (ja) 神経線維腫治療剤
US5420117A (en) 5-substituted uridine derivatives
US20050113349A1 (en) 2-Alpha vitamin D derivatives having substituents
KR101092277B1 (ko) 비타민 d3 락톤 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