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420A -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420A
KR20020092420A KR1020027013403A KR20027013403A KR20020092420A KR 20020092420 A KR20020092420 A KR 20020092420A KR 1020027013403 A KR1020027013403 A KR 1020027013403A KR 20027013403 A KR20027013403 A KR 20027013403A KR 20020092420 A KR20020092420 A KR 20020092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biometric information
biometr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시마기요코
우치다신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4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생체정보 측정시스템은 (1)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2), 휴대전화(7)를 특정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휴대전화(7)로부터 취득하는 어댑터부(6) 및 생체정보와 전화번호를 서로 관련시켜 출력하는 송수신수단(11)을 갖는 측정장치측 단말기(1)와, (2) 이용자 자신을 특정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는 휴대전화(7)와, (3) 휴대전화(7)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성명 등과 전화번호가 관련지어진 데이터 베이스를 기억하는 동시에, 측정장치측 단말기(1)로부터의 생체정보를 이용자마다 기억하는 기억수단(10) 및 전화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휴대전화(7)의 이용자를 특정하는 처리수단(9)을 갖는 처리센터(8)를 구비한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 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OR,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최근, 건강관리나 재택케어(care)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이용자와 정보발신국을 접속하여 건강상태 등을 송수신하는 케어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또, (주) 사회보험출판사 발행의 저서「2000 생활습관병의 안내서」에 게재되어 있지만, 1997년의 후생성 「당뇨병 실태조사」에 의하면, 당뇨병이 강하게 의심되는 사람이 690만명, 이것에 당뇨병의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는 사람을 합하면 1370만명이라는 데이터가 공개되어 있다. 당뇨병은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강하게 의심되는 사람 중, 현재 당뇨병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45%이다. 당뇨병은 합병증에 의한 사망이 많아 무서운 병인데, 초기에는 혈당치가 높을 뿐이고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심각한 병이라는 것이 그다지 이해되지 않는 것이 현상이다. 이 때문에, 생활습관을 고치면 나을 수 있는 단계를 놓쳐 중증이 되어 버리는 것이 당뇨병의 최대의 문제점으로 되어 있다.
당뇨병의 진단은 공복일 때 혈당치, 포도당섭취 2시간 혈당치 등으로 검사하는데, 예전에는 가정에서 혈당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환자자신에 의한 요당검사가 주로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요당이 음성이라도 혈당이 200밀리그램을 넘는 경우나, 반대로 요당이 강양성이라도 혈당이 100밀리그램 이하인 경우도 있어, 요당검사만으로는 반드시 정확하게 혈당이 높은지를 알 수 없다. 그래서, 조작이 간단한 혈당측정기를 환자 개인이 소유하여 혼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치를 측정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체액이라는 체표의 삼출액으로부터 혈당치를 측정하는 미세침습측정기가 실현되고 있고, 비침습측정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케어시스템은 이용자가 개인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송신하면서 문진의 교환을 송수신함으로써, 정보의 제공과 관리의 지원을 얻는 것이며, 병원에 가지 않고 개별적으로 의사의 지도를 받는 재택케어의 원격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건강하다고 자인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일부러 이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한정된 사람에게만 활용된다.
또, 당뇨병의 중증환자는 혈당치의 값이 생명에 관계되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측정하는 중요성이 있지만, 당뇨병의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을 정도의 자각증상이 없는 사람이나 당뇨병의 가능성이 없는 건강인에게 있어서 혈당치에 대한 관심은 적고, 또한 가령 혈당치에 관심은 있더라도 개인적으로 혈당측정기를 소유하여 습관적으로 측정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자각증상이 없는 사람들이 혈당치를 알기 위해서는, 예컨대, 회사원이라면 직장건강진단으로 년 1회 정도, 자영자, 전업주부 등이라면 자발적으로 건강진단 등을 받아 혈액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한, 혈당치를 알기가 곤란하고 그 데이터를 개인적으로 보존해 두는 일도 없는 것이 현상이다.
그리고, 자발적으로 혈당치를 알고 싶어 병원이나 진료소에 가는 일이 있어도 진찰시간보다 기다리는 시간이 긴 등, 바쁜 사람이나 원격지에 사는 사람에게 는 번거로운 것이어서 자주 측정하고 싶어도 간단히 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간단히 혈당치를 알 수 없는 것이 혈당치에 대한 관심을 점점 잃게 하여 나아가서는 당뇨병의 발견을 늦추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손쉽게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생체정보 측정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 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생체정보 측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생체정보 측정시스템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측정장치측 단말기 2 : 측정부
3 : 직접입력부 4 : 표시화면
5 : 통신수단 7 : 휴대전화
8 : 처리센터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예컨대, 당뇨병의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는 사람이나 건강하지만 혈당치를 알고 싶은 사람 등,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병원이나 진료소에 가지 않더라도 간단히 혈당치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그 측정한 생체정보를 관리하는 생체정보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대응)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와,
(1) 상기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2)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관련지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단말장치와,
(1)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2)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을 갖는 생체정보 처리장치를 구비한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이다.
또, 제 2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대응)은,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수단을 구비한 상기 제 1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이다.
또, 제 3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대응)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생체정보 처리장치측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단말장치이다.
또, 제 4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대응)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가 상기 제 3 발명의 단말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유지장치이다.
또, 제 5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대응)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을 구비한 생체정보 처리장치이다.
또, 제 6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대응)은, 상기 정보취득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및 유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상기 제 3 발명의 단말장치이다.
또, 제 7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대응)은, 상기 정보유지장치가 (1) 휴대전화이고,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이거나, 또는 (2) 현금카드이고,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현금카드의 개인인증번호인 상기 제 1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이다.
또, 제 8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대응)은, 보행수데이터를 측정하는 보행수계측기능, 맥파데이터를 측정하는 맥파계측기능 및 혈압데이터를 측정하는 혈압계측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계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행수데이터, 맥파데이터 및 혈압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제 4 발명의 정보유지장치이다.
또, 제 9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9에 대응)은, 상기 생체정보에 대한 복수의 어드바이스정보를 기억하는 어드바이스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바이스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어드바이스정보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어드바이스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어드바이스정보를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정보유지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을 구비한 상기 제 5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장치이다.
또, 제 10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대응)은, 상기 생체정보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생체정보, 상기 식별정보, 상기 생체정보 처리장치가 특정한 상기 이용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생체정보 처리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생체정보 중 전부 또는 일부 정보를 표시 및/또는 음성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음성 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상기 제 3 발명의 단말장치이다.
또, 제 11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대응)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단계와,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단말장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단계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단계를 구비한 생체정보 처리방법이다.
또, 제 12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대응)은, 상기 단말장치가 편의점에, 또는 불특정 다수인이 모이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 11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방법이다.
또, 제 13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대응)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단계와,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생체정보 처리장치측에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구비한 생체정보 송신방법이다.
또, 제 14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대응)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단계를 구비한 생체정보 처리방법이다.
또, 제 15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5에 대응)은, 상기 제 1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의 상기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송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 제 16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6에 대응)은, 상기 제 11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방법의 상기 정보취득단계와, 상기 송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와, 상기 기억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 제 17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7에 대응)은, 상기 제 15 발명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매체이다.
또, 제 18 발명(본 발명의 청구항 18에 대응)은, 상기 제 16 발명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매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의 일실시예의 생체정보 측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그 시스템의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측정장치측 단말기(1)는 예를 들면, 측정부에 손가락을 대면 광학적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측정부(2)를 갖는 단말기이다. 이 단말기(1)는 24시간 영업인 편의점이나 역, 공항 등의 대합실 등 사람의 출입이 많아 야간에도 영업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다. 측정부(2)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측정장치측 단말기(1)는 생년월일이나 체중신장 등의 개인정보, 측정시의 식후경과시간 등의 변화정보를 입력하는 직접입력부(3) 및 측정데이터나 그 데이터로부터 검토된 어드바이스 등의 서비스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4) 및 측정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11)을 구비하고 있다.
또, 직접입력부(3)의 입력수단은 키보드여도 되고 터치패널구성이어도 된다.
또, 송수신수단(11)이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범용 또는 전용 통신회선 등의 통신수단(5)에 의해 송수신된다.
또, 측정장치측 단말기(1)에는 각 장치에 고유의 식별번호가 ID로서 저장되어 있고, 송수신수단(11)이 관리센터(8)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때는 그 송신데이터와 함께 상기 ID도 송신되는 구성이다.
어댑터부(6)는 휴대전화 등의 이용자측 단말기(7)(이하, 휴대전화)를 접속장착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어댑터부(6)에는 접속된 휴대전화(7)로부터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취득수단이 내장되어 있고, 판독한 정보는 상기 통신수단(5)에 의해 처리센터에 송신되어 이용자가 인증된다.
또, 상기 휴대전화(7)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본 발명의 식별정보의 일례이다.
처리센터(8)는 이 시스템전용으로 설치된 것이다. 처리센터(8)는 데이터수신, 데이터처리 및 데이터반송을 위한 처리수단(9)과, 측정장치측 단말기(1)로부터 송신되어 온 측정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
또, 처리센터(8)는 상기 측정장치측 단말기(1)나, 예컨대, 전화회사나병원(200) 혹은 보건소 등에서 범용 또는 전용통신회선을 통해 상시 상호 통신되는 구성이다.
또, 기억수단(10)은 휴대전화(7)의 전화번호와 그 휴대전화(7)의 이용자의 성명 등의 속성정보가 관련지어진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있다.
또, 처리수단(9)은 측정장치측 단말기(1)로부터의 전화번호와 상기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이용자를 특정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또, 본 발명의 정보유지장치는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7)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송신수단은 통신수단(5)에 대응하며, 본 발명의 단말장치는 측정장치측 단말기(1)에 대응한다. 또, 본 발명의 생체정보 측정수단은 측정부(2)에 대응한다. 또, 본 발명의 수신수단, 선택수단, 송신수단은 모두 처리수단(9)에 대응한다. 또, 본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장치는 처리수단(9) 및 기억수단(10)을 포함하는 장치에 대응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생체정보 측정시스템의 동작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시에 설명한다.
첫회의 측정에서, 우선, 이용자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휴대전화(7)를 측정장치측 단말기(1)의 어댑터부(6)에 접속하면(도 2의 단계 101 참조), 접속된 휴대전화(7)로부터 그 전화번호가 판독된다. 그리고, 그 판독된 정보는 송수신수단(11)에 의해 상기 처리센터(8)에 송신되어 이용자가 인증된다(도시생략).
그 후, 측정시스템 사용요금을 휴대전화(7)의 사용료에 포함시켜 전화사용료로서 일괄정산할 것인지 또는 그때마다 현금지불로 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항목(도 2의 단계 102 참조)이 표시화면(4)에 표시된다. 그리고, 직접입력부(3)의 확인 버튼(도시생략)을 조작하여 측정시스템을 시동시킨다.
여기서, 「현금지불」 쪽을 선택한 경우는 정보측정측 단말기(1)에 설치된 요금투입구(도시생략)에 지정요금을 투입하지 않으면 측정시스템이 시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어댑터부(6)는 휴대전화(7)가 접속되면, 그 휴대전화(7)로부터 전화번호를 판독한다고 하였지만, 어댑터부(6)는 블루투스, 적외선 및 유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전화(7)로부터 전화번호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이용자가 직접입력부(3)로부터 본인의 생년월일, 신장체중 등 개인정보를 입력해 둠으로써(도 2의 단계 105 참조), 이용측정자에게 따른 구체적인 어드바이스를 하기 쉬워진다. 이 개인정보는 첫회만 입력하면 된다.
다음에, 예를 들면 식후의 경과시간을 직접입력부(3)로부터 직접 입력하거나 (도 2의 단계 105 참조) 또는 표시화면(4)의 표시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이들 입력한 내용은 항상 표시화면(4)에 표시확인되어 입력오류를 막게 되어 있다.
다음에, 측정부(2)에 손가락을 대고, 직접입력부(3)에 설치된 측정개시버튼(도시생략) 등을 누름으로써 혈당치가 측정되어, 그 데이터가 표시화면(4)에 표시된다. 측정은 손가락을 대면 자동적으로 시작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혈당치를 측정하는 부위로서는 손가락 이외에, 예컨대, 손바닥, 팔, 또는 귓불 등이어도 된다.
상기 어드바이스가 불필요하고, 혈당치만 알고 싶은 경우는(도 2의 단계 104참조), 이들 측정시의 식후경과시간 등의 변화정보의 직접 입력을 생략한 취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도 2의 단계 103 참조).
측정된 혈당치는 자동적으로 처리센터(8)에 송신되어(도 2의 단계 107), 이용측정자별로 기억수단(10)에 기억축적된다.
어드바이스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는, 예컨대, 상기 변화정보에 기초하여 당뇨병의 판정레벨 등에 관한 메시지나 이용측정자의 연령이나 신장체중으로부터 판단한 식사지도, 운동지도 등의 어드바이스 등이 처리수단(9)에 의해 상기 ID를 기초로 특정되는 측정장치측 단말기(1)에 회신된다.
이렇게 하여 회신된 메시지 등은 측정한 혈당치의 수치와 함께 표시화면(4)에 표시된다(도 2의 단계 108 참조). 또, 이들 식사지도, 운동지도는 치료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의사법이나 약제사법 등의 규제 이외이다.
어드바이스 불필요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는, 혈당치의 수치만 표시화면(4)에 표시된다.
이들 표시내용은 예컨대, 프린터기능 등에 의해 출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종료 후, 휴대전화(7)를 분리한다.
2회째 이후는 휴대전화(7)를 접속하면 첫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화번호가 판독되어, 처리센터(8)로 이용자가 확인된다.
그 때, 측정장치측 단말기(1)의 표시화면(4)에서 혈당치 측정을 하지 않고 과거의 데이터만을 참조하는 선택부분도 있어(도 2의 단계 106 참조), 그 내용에 따른 사용요금이 제시되는 것이다.
또, 개인정보도 동시에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체중 등의 변동이 있으면 변경입력할 수 있고, 그 데이터도 기억되면서 체중에 따른 어드바이스로 피드백되는 것이다.
과거의 측정데이터는 기억수단(10)에 의해 기억축적되어 있고, 전회까지의 측정데이터가 보기 쉬운 그래프형식 등으로 표시화면(4)에 표시된다(도 2의 단계 108 참조). 표시내용은 1일마다 매식후 측정하면 1일의 변화를 얻을 수 있거나, 1주일이나 1개월마다 등의 누적표시를 하는 등, 수시로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인의 혈당치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 병원(200)과 처리센터(8)는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고, 병원측으로부터도 이들의 축적측정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측정자인 환자가 병원측의 단말기에 대하여 자신의 휴대전화(7)를 접속하면(도 2의 단계 201 참조), 과거에 측정한 측정데이터가 그 병원측의 단말기의 표시화면 등에 표시된다(도 2의 단계 202 참조).
그 때문에, 그들의 표시데이터를 기초로 자연스럽게 의사와의 문진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 변화정보로서 식후경과시간 이외에 섭취식사메뉴의 간단한 선별입력항목 등을 설치하면 더욱 세밀한 어드바이스로의 피드백이 행해지는 것이다.
측정마다 어드바이스가 나와 번거로운 경우는 측정치만 표시하고, 시간의 여유가 있는 경우에 축적데이터를 호출하여 여러가지 어드바이스를 받는 등의 메뉴선택도 물론 행할 수 있는 것이다(도 2의 단계 103 참조).
또, 상기 처리센터(8)에는 그 축적데이터를 휴대전화(7)에 의해 도입하는 접속사이트가 있고 직접휴대전화(7)의 표시부로의 표시도 행할 수 있는 것이며, 가정에서 축적데이터를 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에서는 측정장치측 단말기(1)를 특정한 지역이 아니라도 전국 각지에 영업점포가 있고, 더구나, 24시간(일부 7시부터 23시) 연중무휴로 영업하고 있는 편의점이나 역, 공항 등 야간 늦게까지 개방하고 있는 대합실 등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근처나 원거리로의 외출시에도 측정이 가능하다.
또, 병원에서의 측정에서는 접수수속이 필요하지만, 본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그와 같은 접수수속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약간의 빈 시간만 있으면, 간단히 측정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시스템에서는 휴대전화(7)를 이용하여 이용자를 인증하여 자동적으로 이용자마다의 데이터가 기억되므로, 이용자는 측정하기만 하면 된다.
또, 이전에 측정한 혈당치를 잊었다고 해도 조금도 지장이 없다. 즉, 이용자는 휴대전화(7)를 측정장치측 단말기(1)에 접속하거나 전용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과거의 축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건강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인이 전용의 혈당측정기를 소유할 필요가 없고, 더구나 간단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의 가능성이 전혀 없거나 작은 사람 등의 건강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 가까운 장소에 측정장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혈당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당뇨병의 가능성이 있는 사람의 조기발견 등의 효과도 있다.
또, 본 시스템에 이용하는 휴대전화(7)에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한 보행수계측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어댑터부(6)에 접속하였을 때, 어느 정도 걸었는지 그 보행수를 동시에 판독하여 운동량의 축적도 행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운동 어드바이스로의 개인차에 의한 피드백을 보다 치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보행수가 적더라도 스포츠를 함으로써 운동하고 있는 경우는, 측정장치측 단말기(1)에 스포츠의 종류, 실시시간 등을 개인정보로서 선택입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 두면 운동량의 축적도 행해진다.
또, 이 시스템에 이용하는 휴대전화(7)에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한 맥파계측기능이 탑재되어 있다고 해도 된다.
예컨대, 광원과 광검출기로 구성되는 센서부가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된다. 그리고, 이 센서부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손가락 내를 투과하여 전파함으로써, 대부분은 산란하지만 일부는 검출기에 도달하여, 이 도달하는 빛은 혈액의 유량변화에 따라 변화하여 이 변화량을 연산처리함으로써 맥박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맥박데이터도 휴대전화(7)를 어댑터부(6)에 접속하였을 때 동시에 맥박데이터도 판독되고, 이 맥박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맥파의 파형을 해석함으로써 동맥경화 등의 징후를 아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
파동의 변동 등 측정자 자신에 의한 판단이 곤란하더라도 걱정스러운 이상이 있으면 처리센터(8)로부터의 코멘트로 병원에 가도록 어드바이스 표시되는 것이다.
단, 어디까지나 24시간, 몇일씩 연속하여 측정한 데이터가 아니라, 부정기적이면서 단속적으로 단시간 측정한 데이터이므로 반드시 이상의 징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이 맥파계측기능을 응용하여 간이혈압측정기능을 갖게 하면 혈압도 동시에 판독되어 적절한 운동 어드바이스로의 피드백도 행할 수 있다.
또, 혈압측정기능은 상기 측정장치측 단말기(1)에 설치되어도 되고, 혈압측정의 유무를 선택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생체정보 측정시스템의 측정장치측 단말기의 일례로서 휴대전화(7)를 이용했지만, 측정장치측 단말기로서, 은행현금카드나 크레디트카드 또는 처리센터(8)가 발행하는 전용카드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때, 전화번호에 대신하는 특정정보는 개인인증번호나 크레디트번호가 해당하게 된다. 또한 그 때, 측정장치측 단말기(1)에는 이들 카드를 사용하는 카드용 삽입구가 설치되어 있고, 카드를 삽입하여 개인인증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이용자의 인증이 행해지게 된다.
카드를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휴대전화가 연결되지 않는 지역에 외출하고 있더라도 혈당치의 측정 및 축적데이터 참조가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화면(4)으로 정보를 표시한다고는 하였지만, 시각장해인 사람에 대해서는 표시화면(4)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고, 측정치 등의 데이터의 개시와 어드바이스의 제공을 음성으로 출력한다고 해도 된다.
그 경우, 헤드폰으로 개별적으로 측정방법이나 측정데이터를 알릴 수도 있다. 그렇게 하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측정만 또는 측정치와 어드바이스 등 원하는 데이터의 메뉴선택은 그때마다 행해진다.
또, 휴대전화(7)에 직접 혈당치나 어드바이스 등의 내용을 입력하는 선택이 설치되어 있고, 나중에 이 휴대전화(7)로부터 메세지로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휴대전화(7)나 현금카드 등 온라인으로 개인이 특정할 수 있는 이용자측 단말기를 이용하는 본 시스템에 의하면, 병원이나 진료소, 보건소에 가지 않아도 언제나 측정하고 싶을 때에 간단히 혈당치를 측정할 수 있다. 더구나, 데이터는 이용자측 단말기를 접속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축적되므로, 데이터를 잊더라도 재접속함으로써 혈당치나 메세지, 어드바이스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어, 간단하게 개인적으로 건강관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단말장치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생태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2)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측정부는 구비하고 있지 않고, 그 대신에 생체정보 측정수단을 내장한 휴대전화로부터 이미 측정 완료된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의 시스템구성은 예컨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와, (1) 상기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2)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단말장치와, (1)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2)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을 갖는 생체정보 처리장치를 구비한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이 된다. 또, 이 경우, 생체정보는 본 발명의 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이용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취득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부의 장치에 관해서도 본 발명으로서 성립한다.
즉, 본 발명의 단말장치는 예컨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생체정보 처리장치측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단말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정보유지장치는 예컨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서, 상기 소정의 정보가 청구항 3에 기재된 단말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유지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장치는 예컨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을 구비한 생체정보 처리장치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처리센터(8)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은 무선이나 유선에 의한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처리센터(8)에 축적되어 있는 이용자의 측정데이터나, 메시지, 어드바이스 등을 우편 등에 의해 각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 수단(또는, 장치, 소자, 회로, 부 등)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의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이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면서,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컴퓨터와 협동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매체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생체정보 처리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이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면서,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컴퓨터와 협동하여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매체이다.
또, 본 발명의 일부 수단(또는, 장치, 소자, 회로, 부 등), 본 발명의 일부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는 그들 복수의 수단 또는 단계 중의 몇가지 수단 또는 단계를 의미하거나, 또는 하나의 수단 또는 단계 중의 일부 기능 또는 일부동작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일부 장치(또는, 소자, 회로, 부 등)는 그들 복수의 장치 중 몇가지 장치를 의미하거나, 또는 하나의 장치 중의 일부 수단(또는, 소자, 회로, 부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하나의 수단 중의 일부 기능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형태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형태는 전송매체 중을 전송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어,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 기록매체로서는 ROM 등이 포함되고, 전송매체로서는 인터넷 등의 전송매체, 광·전파·음파 등이 포함된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컴퓨터는 CPU 등의 순수한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펌웨어나, 0S, 또,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되고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컨대, 혈당치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들 측정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정보제공과 정보관리를 지원하는 생체정보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자신의 생체정보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으면서, 그 측정한 생체정보를 관리하는 생체정보 측정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자신의 생체정보를 손쉽게 측정 또는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8)

  1.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와,
    (1) 상기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2)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단말장치와,
    (1)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2)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을 갖는 생체정보 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3.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생체정보 처리장치측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가 제 3항에 기재된 단말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유지장치.
  5.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처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취득수단은 블루투스, 적외선 및 유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유지장치가 (1) 휴대전화이고,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휴대전화의전화번호이거나, 또는 (2) 현금카드이고,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현금카드의 개인인증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보행수데이터를 측정하는 보행수계측기능, 맥파데이터를 측정하는 맥파계측기능 및 혈압데이터를 측정하는 혈압계측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계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행수데이터, 맥파데이터 및 혈압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유지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에 대한 복수의 어드바이스정보를 기억하는 어드바이스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바이스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어드바이스정보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어드바이스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어드바이스정보를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정보유지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처리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생체정보, 상기 식별정보, 상기 생체정보 처리장치가 특정한 상기 이용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생체정보 처리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생체정보 중 전부 또는 일부 정보를 표시 및/또는 음성에 의해 출력하는 표시·음성 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단계와,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단말장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단계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처리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편의점에, 또는 불특정 다수인이 모이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처리방법.
  13.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단계와,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생체정보 처리장치측에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송신방법.
  14.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유지장치로부터 상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얻어, 그 얻어진 생체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와 관련지어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갖는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처리방법.
  15. 제 1항에 기재된 생체정보 처리시스템의 상기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송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6. 제 11항에 기재된 생체정보 처리방법의 상기 정보취득단계와, 상기 송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와, 상기 기억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7. 제 15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18. 제 16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KR1020027013403A 2001-02-07 2002-01-31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KR20020092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31427 2001-02-07
JP2001031427 2001-02-07
PCT/JP2002/000745 WO2002062222A1 (fr) 2001-02-07 2002-01-31 System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biologiques, terminal, processeur d'informations biologiques, proced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biologiques et program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420A true KR20020092420A (ko) 2002-12-11

Family

ID=1889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403A KR20020092420A (ko) 2001-02-07 2002-01-31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66994A1 (ko)
EP (1) EP1358843A1 (ko)
JP (1) JPWO2002062222A1 (ko)
KR (1) KR20020092420A (ko)
CN (1) CN1457245A (ko)
WO (1) WO20020622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386A1 (ko) * 2019-02-19 2020-08-27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WO2021015389A1 (ko) * 2019-07-22 2021-01-28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253A (ja) * 2003-07-31 2005-02-24 Integrated Business:Kk 携帯端末による情報収集システム
JP2007052720A (ja) * 2005-08-19 2007-03-01 Fujitsu Ltd 生体認証による情報アクセス方法及び生体認証による情報処理システム
US8920343B2 (en) 2006-03-23 2014-12-30 Michael Edward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of physiological auditory signals
US10860943B2 (en) 2007-02-22 2020-12-08 WellDo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control and management
US9754077B2 (en) 2007-02-22 2017-09-05 WellDo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control and management
US10872686B2 (en) 2007-02-22 2020-12-22 WellDo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control and management
KR101543783B1 (ko) * 2008-11-11 2015-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용 휴대 장치를 이용한 건강 정보 수집 장치의 로그인 방법 및 장치
US8795184B2 (en) 2010-07-12 2014-08-05 Rohm Co., Ltd. Wireless plethysmogram sensor unit, a processing unit for plethysmogram and a plethysmogram system
US9113793B2 (en) 2010-12-10 2015-08-25 Rohm Co., Ltd. Pulse wave sensor
JP5930823B2 (ja) * 2011-06-17 2016-06-08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測定装置
JP5633020B2 (ja) * 2012-04-12 2014-12-03 Nl技研株式会社 個人認証兼健康管理システム
JP5301010B1 (ja) * 2012-05-18 2013-09-25 リオン株式会社 計測装置
JP2014209095A (ja) * 2013-03-29 2014-11-0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測定システム
CN105706423A (zh) 2013-11-07 2016-06-22 德克斯康公司 用于分析物值的发射和连续监测的系统和方法
WO2019003393A1 (ja) * 2017-06-29 2019-01-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生体データ測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1385B2 (ja) * 1996-11-29 2005-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型行動検出装置と行動解析装置よりなる装置、及び行動解析装置
JPH11213111A (ja) * 1998-01-26 1999-08-06 Ntt Data Corp データ担持体及び通信端末
JPH11262046A (ja) * 1998-03-09 1999-09-24 Seiko Precision Inc 探査対象者用携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位置探査方法
JP2000036080A (ja) * 1998-07-21 2000-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購買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0139857A (ja) * 1998-11-06 2000-05-23 Nec Mobile Commun Ltd 遠隔医療データ診断装置とその診断処理方法
JP4046883B2 (ja) * 1999-02-09 2008-02-13 株式会社タニタ 体脂肪計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JP2000333918A (ja) * 1999-05-25 2000-12-05 Nec Corp 連続血圧測定方法と連続健康管理システム
US6594607B2 (en) * 2000-02-18 2003-07-15 Kevin T. Lavery Medical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US6692436B1 (en) * 2000-04-14 2004-02-17 Computerized Screening, Inc.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
JP2001344352A (ja) * 2000-05-31 2001-12-14 Toshiba Corp 生活支援装置および生活支援方法および広告情報提供方法
US7261690B2 (en) * 2000-06-16 2007-08-28 Bodymedia, Inc. Apparatus for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US20020046278A1 (en) * 2000-07-17 2002-04-18 Roy Hays Method and system for global log on in a distributed system
US20030208108A1 (en) * 2000-12-01 2003-11-06 Shewmake David T. Cardiovascular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386A1 (ko) * 2019-02-19 2020-08-27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WO2021015389A1 (ko) * 2019-07-22 2021-01-28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66994A1 (en) 2003-09-04
JPWO2002062222A1 (ja) 2004-06-03
WO2002062222A1 (fr) 2002-08-15
CN1457245A (zh) 2003-11-19
EP1358843A1 (en)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2420A (ko)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KR101500673B1 (ko)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RU2507576C2 (ru) Система получе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данных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обследования
US8147406B2 (en) Biological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biological information utiliza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742182B2 (ja) データ送受信装置、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41260A (ja) 健康機器、サーバ、健康ポイントバンクシステム、健康ポイント格納方法、健康ポイントバンクプログラム及び健康ポイントバンク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9061236A (ja) 個人の医療情報のマルチデータ読み込み・入力機能、データ管理・解析・表示機能、健康自己管理を促す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ゲーム機能と通信機能を備えた、生活習慣病についての強力な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効果を持つ小型端末で、さらに医療機関、自治体あるいは国家レベルでの医療情報のデータベース化の際に、最初に個人の測定データを統一管理できる、小型端末。
WO2001093143A1 (fr) Appareil de mesure et procede de transmission des donnees mesurees
KR20120087492A (ko)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US20130085682A1 (en) Memory card usage with blood glucose devices
JP6989827B2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US20040186772A1 (en) Measurement assisting device and measur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0693861B1 (ko) 통합 건강관리를 위한 측정 디바이스의 신체 측정 시스템및 그 방법과 신체 측정 디바이스
JP2007097794A (ja) 排尿記録装置
Sarkar et al. A futuristic IOT based approach for providing healthcare support through E-diagnostic system in India
KR100366158B1 (ko)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CN204229405U (zh) 可移动健康服务小屋
KR20180113126A (ko) 마음건강 스마트케어 서비스용 키오스크, 스마트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 시스템 및 iot 상에서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Vashist et al. Wearable technologies for personalized mobile healthcare monitoring and management
JP2017167802A (ja)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サーバ、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健康管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735474B1 (ko)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Vashist et al. Commercially available smartphone-based personalized mobile healthcare technologies
JP2006340952A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TWM565858U (zh) 智能健康管理系統
KR20030091070A (ko) 건강상태 측정기가 결합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