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492A -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492A
KR20120087492A KR1020110008716A KR20110008716A KR20120087492A KR 20120087492 A KR20120087492 A KR 20120087492A KR 1020110008716 A KR1020110008716 A KR 1020110008716A KR 20110008716 A KR20110008716 A KR 20110008716A KR 20120087492 A KR20120087492 A KR 2012008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sychological
kiosk
smart mobile
psychologica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370B1 (ko
Inventor
강양구
강민구
도민석
박기태
송원길
윤창민
Original Assignee
(주)유비쿼터스사이언스테크놀러지
(주) 마이크로사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쿼터스사이언스테크놀러지, (주) 마이크로사이텍 filed Critical (주)유비쿼터스사이언스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1000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3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피대상자가 심리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심리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와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의 심리테스트 결과를 수신받아 피대상자의 인적사항과 함께 기록하며, 상기 심리테스트 결과를 가지고 전문가(의사 혹은 상담사)가 검토한 검토의견 및 치료와 상담결과도 함께 매칭 기록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정신건강진단장치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Smart Mental Health Care System}
본 발명은 정신건강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신과 치료 및 상담에는 의사나 심리상담가와 같은 전문가가 환자와 피상담자를 포함한 피대상자와의 면담을 통해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근거로 치료 및 상담을 수행하게 되므로, 객관적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심리테스트가 필요하다.
이러한 심리테스트를 위하여 종래에는 전문가 집단이 작성한 심리테스트 인쇄물을 피대상자가 직접 보면서 선택하고, 작성이 완료된 심리테스트 결과는 점수가 집계되어 상담에 이용되었으며, 상담에 이용된 심리테스트 결과는 실적 및 기록보관을 위해서 다시 디지털화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전문가의 입장에서는 피대상자를 직접 대면하고 인쇄물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해당 피대상자와 면담을 위해서는 인쇄된 해당 심리테스트 용지를 가지고 다녀야하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수작업으로 집계를 하여야 하므로 불편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 각종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도박, 게임 등의 중독증세를 보이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중독증세를 치료하거나 심리상당을 해주는 정신보건센터가 각 시, 군, 구 별로 공공기관의 건물내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사립시설을 지정 정신보건센터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증가추세에 있는 피대상자를 소수의 정해진 인원이 직접 심리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자료를 집계하며, 상담완료된 결과를 다시 전자화하는데는 시간 및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신보건센터 병원 혹은 상담소에 심리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키오스크 단말기를 설치하고, 상기 키오스크단말기를 통해서 수집된 심리테스트 데이터 또는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된 심리테스트 데이터를 서버에서 다운받아 관리하며, 이와 같이 서버에서 관리되는 심리테스트 데이터를 전문가가 사용하는 진단용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담 및 치료를 위한 사전 심리테스트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대폭 감소시키고, 테이터의 집계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심리상담 및 치료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정신보건센터 병원 혹은 상담소를 포함하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피대상자가 심리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심리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와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의 심리테스트 데이터를 수신받아 피대상자의 인적사항과 함께 기록하며, 상기 심리테스트 데이터를 가지고 전문가(의사 혹은 상담사)가 검토한 검토의견 및 치료와 상담결과를 피대상자의 인적사항과 함께 매칭 기록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정신건강진단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키오스크 단말기는 심리테스트 종류 및 심리테스트 피대상자의 인적사항, 심리테스트 시작과 종료를 포함한 심리테스트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각종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수단 및 심리테스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키오스크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표시수단을 포함한 키오스크 단말기 전체 동작을 메모리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어하여 피대상자가 심리테스트를 수행하면 그 데이터를 기록하고 전송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는 입력수단과 표시수단, 심리테스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모리, 통신수단 및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피대상자의 심리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데이터를 기록 및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의사 혹은 상담자인 전문가가 사용하는 검사용 단말기와 연결되어 심리테스트 데이터를 검사용 단말기에서 확인하고 그에 따른 치료 및 상담결과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심리상담 및 치료를 위한 사전 심리테스트를 피대상자 스스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결과가 자동으로 집계되므로 심리테스트를 위한 인력과 시간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이 되므로 언제 어디서든 심리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를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의사 및 상담사를 포함한 전문가와 피대상자 모두 시간의 제약을 적게 받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공기관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기에서 사람이 접근하면 자연의 소리와 함께 피톤치드향이 분사되므로 심리테스트과정에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의 키오스크 단말기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는 크게, 키오스크단말기(10),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20) 및 서버(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각종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수단 및 심리테스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키오스크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표시수단을 포함한 키오스크 전체 동작을 메모리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입력수단은 터치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등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더욱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에는 사람의 접근을 확인할 수 있는 근접센서와 피톤치드를 포함한 방향제를 도포하기 위한 발향수단 및 음성 혹은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부착되어,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에 따른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수단이 발향수단을 구동하여 발향되도록 한다.
도 2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디(12)의 외주면에 표시수단 겸 입력수단인 터치스크린(14)이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바디(12)의 내부에는 제어수단과 메모리를 포함한 키오스크 단말기 본체가 수납되고, 바디(12)에는 근접센서와 발향수단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2)는 나무판을 적층하여 제작함으로서 친환경적이며 안정감을 줄 수 있게되고, 상기 나무판 적층 구조는 못이나 접착제 및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돌기를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20) 역시 입력수단과 표시수단, 스피커, 심리테스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모리, 통신수단 및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상담자 혹은 의사가 언제 어디서든 피대상자의 심리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는 전화 및 웹서핑도 가능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로 가능하며 가독성과 휴대성을 고려한 치수(약 8인치)로 제작된다. 또한 안드로이드 OS를 기반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여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30)는 의사 혹은 상담사인 전문가가 사용하는 진단용 단말기와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피대상자의 인적사항과 함께 심리테스트 결과를 매칭시켜서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버와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 및 키오스크 단말기는 유선 혹은 불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심리테스트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오픈소스(Open Source)에 기반을 둔 리눅스(Linux) 와 어도비에어(Adobe Air)를 바탕으로 개발하여, 스마트모바일 단말기 및 컴퓨터 등에서 별도의 처리과정없이 실행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주었다.
더욱이 상기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는 심리테스트용 프로그램은 스마트모바일 단말기에서 내려받기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작되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내려받기하여 심리테스트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담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실행과정 중 해당 상담을 위한 기관에 상담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함께 제공하고, 심리테스트 데이터를 해당 기관 즉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이후 방문상담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키오스크 단말기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람의 접근시에 근접센서가 접근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수단은 스피커와 발향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자연음과 함께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향균성 방향 물질인 피톤치드(phytoncide)가 은은하게 분사되도록 한다.
이후 피대상자가 부착된 입력수단인 터치스크린을 통해 심리테스트를 위한 메뉴를 입력하면 제어수단은 표시수단을 통해서 심리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종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 이 과정에서 피대상자의 인적사항(이름, 나이, 성별등)을 입력하도록 한 후 심리테스트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심리테스트 과정에서 심리테스트항목은 우울증, 인터넷 중독, 알코올 중독, 스트레스, 불면증 등이 있으며 피대상자가 상기 항목들 중 원하는 항목을 입력수단을 통해서 선택하여 자가 검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검사가 완료되면 제어수단은 입력수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검사 완료에 해당하는 신호에 따라 수행된 피대상자의 인적사항과 심리테스트 결과를 매칭시켜 메모리에 기록함과 아울러 해당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한 키오스크 단말기를 통한 심리검사외에도 전문가가 휴대하는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도 심리테스트가 가능하며 이와 같이 수행된 심리테스트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서 즉시 서버로 전송되거나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에 기록된 상태로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하여 서버에 근접한 위치에서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송방식의 선택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문가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서버로 심리테스트 결과가 전송된 후에 피대상자가 병원 또는 상담실을 방문하면 전문가는 자신의 진단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피대상자의 심리테스트 데이터를 불러와서 상담 및 치료를 하게 되고, 그 결과를 피대상자의 인적사항 데이터와 매칭시켜 기록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피대상자와 전문가가 대면한 상태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심리테스트 데이터를 전문가가 진단용 단말기로 검토하여 그 결과를 피대상자의 인적사항과 매치시켜 기록할 수 있다.

Claims (3)

  1. 심리테스트 종류 및 심리테스트 피대상자의 인적사항, 심리테스트 시작과 종료를 포함한 심리테스트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각종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수단 및 심리테스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키오스크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표시수단을 포함한 키오스크단말기 전체 동작을 메모리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어하여 피대상자가 심리테스트를 수행하면 그 데이터를 기록하고 전송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오스크 단말기(10),
    입력수단과 표시수단, 심리테스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모리, 통신수단 및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피대상자의 심리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데이터를 기록 및 전송하는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20),
    의사 혹은 상담사를 포함한 전문가가 사용하는 진단용 단말기와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피대상자의 인적사항과 함께 심리테스트 데이터 및 심리테스트 데이터에 따른 전문가의 검토의견 및 상담과 치료결과를 매치시켜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테스트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오픈소스(Open Source)에 기반을 둔 리눅스(Linux)와 어도비에어(Adobe Air)를 바탕으로 개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에는 사람의 접근을 확인할 수 있는 근접센서와 피톤치드를 포함한 방향제를 도포하기 위한 발향수단 및 음성 혹은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부착되어,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에 따른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수단이 발향수단을 구동하여 발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KR1020110008716A 2011-01-28 2011-01-28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KR101214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16A KR101214370B1 (ko) 2011-01-28 2011-01-28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16A KR101214370B1 (ko) 2011-01-28 2011-01-28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492A true KR20120087492A (ko) 2012-08-07
KR101214370B1 KR101214370B1 (ko) 2012-12-21

Family

ID=4687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716A KR101214370B1 (ko) 2011-01-28 2011-01-28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37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549A (ko)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생체신호 측정장비를 활용한 원격 심리상담 시스템
KR20160123730A (ko) 2015-04-17 2016-10-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KR20160123729A (ko) 2015-04-17 2016-10-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프레임 기반 온라인 심리 상담소 시스템
KR20160126686A (ko)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함정용 통합정비 관리시스템과 생체신호 측정장비를 활용한 함정내 원격 심리상담 시스템
CN106580287A (zh) * 2016-12-09 2017-04-26 苏州奇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心理健康监测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80096261A (ko) 2017-02-21 2018-08-29 (주)스피링크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CN109215789A (zh) * 2018-08-28 2019-01-15 阜阳师范学院 一种基于移动设备的大学生心理健康自助系统
US11195103B2 (en) 2016-03-24 2021-12-07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to aid diagnosis of a patient
KR20220070904A (ko) 2020-11-23 2022-05-31 염영미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
KR20220070900A (ko) 2020-11-23 2022-05-31 염영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KR20220070907A (ko) 2020-11-23 2022-05-31 염영미 통신 시스템을 통한 심리 상담 방법
KR20230012700A (ko) 2021-07-16 2023-01-26 주식회사 코아비즈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886B1 (ko) 2015-05-07 2017-03-13 안병찬 멀티건강체크 검사장치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80159B1 (ko) 2017-09-14 2018-07-19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계 그림 심리검사 전용 검사지 및 그 검사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시스템과 방법
KR102123001B1 (ko) 2019-01-30 2020-06-15 이재욱 그림 그리기 체험 및 감정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술 카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322752B1 (ko) * 2021-03-30 2021-11-09 남상철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KR20230081877A (ko)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생체신호 기반 vr을 활용한 정신건강 분석 및 맞춤형 멘탈코칭을 위한 훈련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549A (ko)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생체신호 측정장비를 활용한 원격 심리상담 시스템
KR20160123730A (ko) 2015-04-17 2016-10-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KR20160123729A (ko) 2015-04-17 2016-10-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프레임 기반 온라인 심리 상담소 시스템
KR20160126686A (ko)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함정용 통합정비 관리시스템과 생체신호 측정장비를 활용한 함정내 원격 심리상담 시스템
US11195103B2 (en) 2016-03-24 2021-12-07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to aid diagnosis of a patient
CN106580287A (zh) * 2016-12-09 2017-04-26 苏州奇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心理健康监测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80096261A (ko) 2017-02-21 2018-08-29 (주)스피링크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CN109215789A (zh) * 2018-08-28 2019-01-15 阜阳师范学院 一种基于移动设备的大学生心理健康自助系统
KR20220070904A (ko) 2020-11-23 2022-05-31 염영미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
KR20220070900A (ko) 2020-11-23 2022-05-31 염영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KR20220070907A (ko) 2020-11-23 2022-05-31 염영미 통신 시스템을 통한 심리 상담 방법
KR20230012700A (ko) 2021-07-16 2023-01-26 주식회사 코아비즈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370B1 (ko) 201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370B1 (ko)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US9945837B2 (en) Single-use handheld diagnostic test device, and an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test samples
KR20180099403A (ko)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CN106355533B (zh) 医用客显屏和医疗系统及方法
KR20090027024A (ko) 다중 측정된 생체신호를 기반으로한 스트레스 분석방법
FI126121B (fi) Menetelmä ja laite kollaboratiivisen potilastiedon tarjoamiseksi
CN106971072A (zh) 一种基于app的大学生移动医疗平台
WO2009130630A2 (en) Identifying possible medical conditions of a patient
US20140278506A1 (en) Automatically evaluating and providing feedback on verbal communications from a healthcare provider
CN101854847A (zh) 用于提供远程保健的方法和系统
KR102423347B1 (ko)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Prinz et al. inSERT--an NFC-based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or patients with impaired fine motor skills
KR20020092420A (ko)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113126A (ko) 마음건강 스마트케어 서비스용 키오스크, 스마트 단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 시스템 및 iot 상에서 상기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US20170357770A1 (en) Health risk cloud analysis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gene information and acquired lifestyle
WO2015179484A1 (en) Clinical trial/patient follow-up platform
WO2014080081A1 (en) A medical self-service unit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20140221795A1 (en) Mobile platform for oximetry testing
JPWO2020036207A1 (ja) 医療用情報処理システム、医療用情報処理装置、および医療用情報処理方法
JP7461243B2 (ja) 肌カウンセリングシステム
KR20200032927A (ko) 감정 상태를 개선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US9053214B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lifelog data and method thereof
US20230148945A1 (en) Dynamic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tool
KR20130115706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목소리에 기초한 건강 상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Prinz et al. NFC-BASED ELECTRONIC DATA CAPTURE SYSTEMS-THE CASE OF A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