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904A -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0904A KR20220070904A KR1020200157942A KR20200157942A KR20220070904A KR 20220070904 A KR20220070904 A KR 20220070904A KR 1020200157942 A KR1020200157942 A KR 1020200157942A KR 20200157942 A KR20200157942 A KR 20200157942A KR 20220070904 A KR20220070904 A KR 202200709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sychological
- subscriber terminal
- psychology
- counseling
- subscri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상담 방법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입자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의 심리 상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회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단말로 복수의 실시례 검사를 제공 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실시례 검사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결과에 기초하여 실시례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상기 실시례의 유형에 기초하여 복수의 성향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복수의 성향 각각에 도달하는 경로를 복수의 레벨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벨에 대하여 각각의 레벨마다 요구되는 행동으로 심리를 설계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한 상기 보고서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택된 심리에 대한 단계별 현실적인 설계를 제공함으로써, 피상담자가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상담자의 심리를 상담하기 위한 상담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수의 인성 검사에 따라 적정 심리를 도출하고 해당 심리와 관련된 심리 설계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담 기관은 일반인을 상대로 적정 심리를 상담하고 설계하는 상담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상담 센터에서 피상담자에 대한 심리 상담 방법은 정형화된 방식이 없이 개인의 정보와 주변의 추천이나 매스컴 등에서 접하는 정보를 토대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담자의 상담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결국 상담자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심리 상담 결과가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심리 상담 또는 상담 방식이 적용되기에 충분한 백그라운드 데이터가 수집되어 있지 않아 학생 또는 일반인이 상담 센터를 찾아 상담을 받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피상담자에게 객관적으로 적합한 성향을 찾아 주고 이를 바탕으로 심리 설계를 도울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은 없는 상태이다.
피상담자에게 적합한 성향이 있더라도, 피상담자는 물론이려니와 상담자의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피상담자에 대한 구체적인 상담 방안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며, 피상담자는 심리/성향 상담에 지불해야하는 시간이나 비용을 정확히 알지 못하므로 제대로 된 상담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피상담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메인 서버가 제공하는 검사를 통해 최적의 성향·진로 진단 및 분석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인 상담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심리 상담 방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입자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의 심리 상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회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단말로 복수의 실시례 검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실시례 검사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결과에 기초하여 실시례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상기 실시례의 유형에 기초하여 복수의 성향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복수의 성향 각각에 도달하는 경로를 복수의 레벨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벨에 대하여 각각의 레벨마다 요구되는 행동으로 심리를 설계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한 상기 보고서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상담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는, 상담자와 피상담자는 생성된 심리 상담 결과를 편리하게 받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복합적인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피상담자의 심리를 추천하므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폭넓게 피상담자의 심리를 검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상담자에 대하여 단순히 하나의 파라미터만으로 피상담자의 심리를 설계하지 않고, 복수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의 적성/인성 검사의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추천 성향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된 심리에 대한 단계별 현실적인 설계를 제공함으로써, 피상담자가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심리 상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서버(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메인 서버(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심리 설계 처리부(150)(155)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서버(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메인 서버(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심리 설계 처리부(150)(155)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리 상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심리 상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인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심리 상담 시스템은 메인 서버(100), 메인 서버(100)와 네트워크(400) 망을 통해송수신하는 복수의 가입자 단말(200), 및 네트워크(400) 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복수의 전문가 단말(300)을 포함한다.
메인 서버(100)는 네트워크(400) 상에 심리 상담 및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운용하며, 웹 사이트에 회원 가입한 가입자 단말(200)의 심리 상담 및 심리 설계를 수행한다.
이러한 메인 서버(100)는 복수의 전문가 단말(300)과 송수신하고, 복수의 가입자 단말(200)과 송수신하는 입/출력부(110), 입/출력부(110)의 정보를 가공하여 심리 상담 및 설계를 수행하는 처리부(150) 및 웹 사이트에 가입한 회원 정보 및 심리/성향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메인 서버(100)는 상담 기관의 상담 센터에 설치될 수 있으며, 피상담자의 적성을 발굴하고 적합한 성향을 추천할 수 있으며, 상담자의 경험 또는 상담자와 피상담자 간의 협력에 의하여 성향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서버(100)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0036] 복수의 가입자 단말(200)은 피상담자의 단말로서, 피상담자는 대학생, 일반인, 직장인, 학생 중 어느 하나일 수있다.
복수의 전문가 단말(300)은 상담자의 단말로서, 상담 전문가 및 전문가 패널의 단말일 수 있다.
심리 상담 서비스는 단말(240)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단말(240)로부터 서버(210)의 웹 사이트 주소로 접속하여 제공 받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400)는 인터넷, 무선 통신 망, 인트라넷(intranet)을 포함하며, 서버(100)와 단말(200, 300) 간의 데이터 및 요청을 전송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서버(100)의 처리부(150)는 검사 결과 분석부(151), 적성 분석부(153)및 심리 설계 처리부(155)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 심리/성향 정보 데이터베이스(133) 및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135) 등을 포함한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는 가입자 단말(200)의 웹 사이트 회원 가입 시 요청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0043] 요청하는 정보로는 성명, 성별, 학년, 과목별 성적 등일 수 있다.
또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는 처리부(150)가 작성을 완료한 리포트를 기억하고 있다.
심리/성향 정보 데이터베이스(133)는 각 인성 검사의 결과에 따른 유형별 최적의 심리 및 최적의 성향이 매칭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 등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심리/성향 정보 데이터베이스(133)는 해당 성향에 따른 단계 별 추천 과정을 매칭하고 있는 룩업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다.
첨부 파일 데이터베이스(135)는 해당하는 심리 및 성향의 참고 자료, 관련 도서 자료 등을 기억하고 있다.
검사 결과 분석부(151)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 가입자 단말(200)에 복수의 인성 검사를 제공하여 결과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이때, 수행하는 검사는 공지되어 있는 인성 검사 디퍼런스 심리진단 검사이다.
검사 결과 분석부(151)는 해당 인성 검사를 수행하고, 인성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가입자 단말(200) 회원의 심리 유형 및 성향을 결정한다.
적성 분석부(153)는 검사 결과 분석부(151)로부터 가입자의 검사 분석 결과 및 회원 정보를 기초로 심리/성향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매칭되 있는 최적의 심리 및 성향을 찾아낸다.
이때 사용되는 회원 정보는 가입자 단말(200)이 회원 가입 시 기재할 수 있는 나이, 연령, 성향 등의 정보일 수있다.
적성 분석부(153)는 해당 인성 검사에 따른 심리 및 성향을 별개로 추출 후 교집합 되는 최적의 심리 및 성향을추출할 수 있다.
심리 설계 처리부(155)는 적성 분석부(153)가 추출한 성향에 대한 심리 설계를 수행하고, 심리 설계를 포함하는리포트를 작성하여 첨부파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관련된 자료를 붙여 가입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3 참고하여 본 발명의 처리부(150)의 심리 설계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메인 서버(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심리 설계 처리부(155)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동작이 시작되면(S310), 가입자 단말(200)이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
[0058] 입/출력부(110)는 해당 회원정보를 수신하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한다(S320)
다음으로, 검사 결과 분석부(151)는 가입자 단말(200)로 복수의 인성 검사를 제공하여 수행을 유도하고, 가입자단말(200)로부터 인성 검사 결과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가입자의 실시례 유형 및 성향을 결정한다(S330)적성 분석부(153)는 검사 결과 분석부(151)로부터 가입자의 검사 분석 결과 및 회원 정보를 기초로 심리/[0060] 성향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매칭되어 있는 최적의 심리 및 성향을 찾아낸다(S340)[0061] 적성 분석부(153)는 해당 인성 검사에 따른 심리 및 성향을 별개로 추출 후 교집합되는 최적의 심리 및 성향을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복수의 성향 중 전문가 단말(300)로 추출 결과를 전송하여 전문가로부터 자문을 구하여 최적의 심리 및 성향을 선정한다. 이때, 선정된 심리 및 성향은 한 개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심리 설계 처리부(155)는 해당하는 성향과 관련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해당하는 성향까지를 복수의단계로 분류하고, 해당 단계에 따라 심리 설계를 수행한다(S360) 이때, 심리 설계는 도 4와 같이 3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먼저 개인 상담 단계를 설계하는데(S410), 개인 상담 단계는 개인 성향을 바탕으로, 성향 선택과 관련된 정서,관계, 관리 등의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소 개인 상담 단계는 각각의 단계에 따라 해당 성향과 연계되는 행동 등으로 설계하여 제공된다.
다음으로, 개인 상담 단계 이후로 직장 상담 단계를 설계하여 제공한다(S420)직장 상담 단계는 직급 등 직장에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리더쉽 교육, 스트레스 관리 등의 조직 프로그램을추천한다.
다음으로, 가족 상담 단계를 설계한다(S430) 가족 상담 단계는 가족관계 개선, 부모 역할, 자녀 양육, 부부 관계, 아동 상담, 청소년 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각 단계의 설계에서 필요한 데이터, 즉 각 성향과 관계되어 필요한 정보 등이 매칭되어있는 데이터는 심리/성향정보 데이터베이스(133)로부터 얻을 수 있다.
즉, 심리 설계 처리부(155)는 심리/성향 정보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해당 성향에 매칭되어 있는 추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각 단계별로 설계하여 제공한다.
심리 설계 처리부(155)는 각 단계별로 추천하는 활동을 정리하여 리포트를 작성한다.
또한, 심리 설계 처리부(155)는 리포트 작성 시,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 자료들을 첨부 파일 데이터베이스(135)로부터 읽어 들여 리포트 하단에 첨부하여 제공한다.
심리 설계 처리부(155)는 완성된 리포트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기록하며, 해당 가입자 단말(200)에전송함으로써 서비스를 종료한다(S370)
이와 같이, 메인 서버(100)가 운용하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인성 검사를 유도하고, 검사 결과 및 가입자의 기본
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성향을 선정하고, 현재부터 성향 선택 이후까지의2심리를 단계별로 설계하여 제공함으로써 각 단계별로 가입자가 실질적으로 필요 하는 것을 제시할 수 있다.
[0075] 도 4에서는 복수의 단계를 3개의 단계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의 단계 사이에 세부 단계를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례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례의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례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것이다.
100 : 메인 서버 110 : 입/출력부
150 : 처리부 130 : 데이터베이스)
400 : 네트워크 200 : 가입자 단말
150 : 처리부 130 : 데이터베이스)
400 : 네트워크 200 : 가입자 단말
Claims (3)
-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수의 가입자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의 심리 상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회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단말로 복수의 실시례 검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실시례 검사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결과에 기초하여 실시례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상기 실시례의 유형에 기초하여 복수의 성향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복수의 성향 각각에 도달하는 경로를 복수의 레벨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벨에 대하여 각각의 레벨마다 요구되는 행동으로 심리를 설계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한 상기 보고서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상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을 추출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실시례 검사의 유형에 따라 도출되는 성향을 선정하고, 상기 성향의 교집합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교집합의 성향을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성향을 추천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상담 방법. - 복수의 가입자 단말과 네트워크 상의 웹 사이트를 통해 심리를 상담하는 심리 상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심리 상담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가입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가입자 단말의 회원 정보를 수신하여 기억하고, 성향별 요구되는 행동을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로 복수의 실시례 검사를 제공하고, 실시례 검사 결과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상기 실시례 검사 유형을 분석하고, 상기 검사 유형에 따른 성향을 선택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행동을 읽어 들여 현재부터 상기 성향까지의 심리 설계를 수행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심리 상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942A KR20220070904A (ko) | 2020-11-23 | 2020-11-23 |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942A KR20220070904A (ko) | 2020-11-23 | 2020-11-23 |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0904A true KR20220070904A (ko) | 2022-05-31 |
Family
ID=8177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7942A KR20220070904A (ko) | 2020-11-23 | 2020-11-23 |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7090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4154A (ko) | 2022-07-25 | 2024-02-01 | 테바소프트 주식회사 | 음성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87492A (ko) | 2011-01-28 | 2012-08-07 | (주)유비쿼터스사이언스테크놀러지 |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
-
2020
- 2020-11-23 KR KR1020200157942A patent/KR20220070904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87492A (ko) | 2011-01-28 | 2012-08-07 | (주)유비쿼터스사이언스테크놀러지 |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4154A (ko) | 2022-07-25 | 2024-02-01 | 테바소프트 주식회사 | 음성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andolph | A guide to writing the dissertation literature review | |
Kraus et al. | The art of craft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 entrepreneurship research | |
Halkias et al. | Extension of theory in leadership and management studies using the multiple case study design | |
Turner et al. | Entrepreneurship unleashed: Understand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outside of the business school | |
Venable et al. | FEDS: a framework for evaluation in design science research | |
Okoli et al. | A guide to conduct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 |
Luyten et al. | School effectiveness research: From a review of the criticism to recommend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 |
Downing | Validity: on the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assessment data | |
Andersen et al. | Individual performance: From common source bias to institutionalized assessment | |
Heinrich et al. |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out‐of‐school‐time tutoring | |
Dreer | On the outcomes of teacher wellbeing: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 |
KR102417185B1 (ko) | 개인 맞춤형 커리어 추천 방법 및 서버 | |
Yi et al. | Standards for evaluating impac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search: Using a descriptive validity framework to enhance methodological rigor and transparency | |
KR100816406B1 (ko) |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
Christoforaki et al. | A system for scalable and reliable technical-skill testing in online labor markets | |
Klette | Classroom observation as a means of understanding teaching quality: towards a shared language of teaching? | |
van de Vijver et al. | Challenges in international large-scale educational surveys | |
Sánchez‐Cifo et al. | DevOps: Is there a gap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 |
Haq et al. |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guidance and counseling applications to support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vocational students | |
Strang | How student behavior and reflective learning impact grades in online business courses | |
Fitzgerald et al. | A Model for Cross‐National Questionnaire Design and Pretesting | |
Hamilton et al. | Measuring educational quality by appraising theses and dissertations: pitfalls and remedies | |
KR20220070904A (ko) | 온라인 상담 서비스 시스템 | |
US20080154960A1 (en) | Progress and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
Caws et al. | CALL ergonomics revisi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