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700A -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700A
KR20230012700A KR1020210093245A KR20210093245A KR20230012700A KR 20230012700 A KR20230012700 A KR 20230012700A KR 1020210093245 A KR1020210093245 A KR 1020210093245A KR 20210093245 A KR20210093245 A KR 20210093245A KR 20230012700 A KR20230012700 A KR 2023001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is
mental health
user
service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즈
Priority to KR102021009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700A/ko
Publication of KR2023001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7Benefits or employee welfare, e.g. insurance, holiday or retirement pack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sychia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한 프로세스를 통해 신뢰성이 있는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있는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는 유저 단말(100)에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I 제공부(310); 및 유저의 과거 진단 이력에 기초하여, 정신건강 진단 AI를 이용해 정신 건강을 진단하는 진단부(3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Company employee mental health diagnosis service device}
본 발명은 AI 기술을 적용한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8년 10월 ‘감정노동자보호법’ 및 건강경영을 독려하기 위한 건강친화기업에 대한 발의 등 임직원의 건강관리에 대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방향이 논의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에 맞춰 관련 기술 개발 지원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7년 고용노동부의 EAP 제공사업 지침이 나온 후 ‘근로자 심리상담 지원 프로그램’과 같은 오프라인 상담만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증, 자살, 번아웃의 근본적인 원인을 낮출 수 있는 적극적 정신건강관리 프로그램 제공이 요구된다.
국내 EAP 서비스는 시간과 인력이 집중되어야 하는 대면, 오프라인 심리상담에 주력되고 있는 고비용 서비스로 기업에서도 EAP를 도입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EAP 업체의 수익 구조도 열악해 발전이 정체된 상태이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7492호 (공개일 : 2012.08.07)
본 발명은 간이한 프로세스를 통해 신뢰성이 있는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있는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는 유저 단말(100)에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I 제공부(310); 및 유저의 과거 진단 이력에 기초하여, 정신건강 진단 AI를 이용해 정신 건강을 진단하는 진단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단부(320)는 유저가 기 진단 이력이 있는 자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간이 진단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부(320)는 상기 유저의 과거 진단 기록에 근거하여, 상기 진단 기록 상에 나타난 진단 결과에 따른 정신건강 징후가 유저에게 현존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질문을 직접적인 설문을 이용해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저의 과거 진단 이력에 기초하여, 간이한 프로세스를 통해 신뢰성이 있는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단 서비스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시스템(이하, '진단 서비스 시스템')은 유저 단말(100), 통신망(200),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300, 이하, '서비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단말(100)은 스마트폰, 템블릿 PC, PC 등과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망(200)은 유선, 무선 및 유무선 융합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망(200)에 적용되는 통신규격을 제한하지 않는다.
서비스 장치(300)는 유저의 기존 사용 내역에 기초하여 간이하고 신속한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300)는 UI 제공부(310), 진단부(320), 회원정보 관리부(330), 진단 내역 관리부(340), 진단 내역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UI 제공부(310)는 유저 단말(100)에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UI 제공부(310)는 유저 단말(100)로부터 회원정보(아이디, 패스워드), 현재 정신건강 상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진단부(320)는 전신건강 진단 AI를 이용해 정신 건강을 진단할 수 있다. 진단부(320)는 UI 제공부(310)가 수신한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처음으로 진단을 수행하는 자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유저가 처음으로 진단을 수행하는 자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진단부(320)는 기 설정된 기본 진단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진단부(320)는 유저에게 설문지를 제공하고 해당 설문지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상관성에 기반한 추가 설문을 통해 유저의 정신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프로세스이며 기 설정된 수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진단부(320)는 유저가 기 진단 이력이 있는 자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간이 진단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진단부(320)는 해당 유저의 과거 진단 기록에 근거하여, 해당 진단 기록 상에 나타난 진단 결과에 따른 정신건강 징후가 유저에게 현존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질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진단부(320)는 추론을 위한 설문지가 아닌,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직접적인 설문을 제공하고 그 직접적인 설문에 대한 응답을 유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직접적인 설문에 대한 응답에 의할 때 유저가 기존 진단 결과에 따른 정신건강 징후가 유저에게 존재하는 경우, 진단부(320)는 해당 징후가 악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질문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 질문 결과 악화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치유 서비스에 대한 이용 안내를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추가 질문 결과 악화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면, 진단부(320)는 예방 서비스에 대한 이용 안내를 할 수 있다.
회원정보 관리부(330)는 회원 정보(아이디, 패스워드 등)를 관리할 수 있다.
진단 내역 관리부(340)는 진단 내역(설문별 응답결과, 설문을 통해 추론된 진단결과)을 유저별로 진단 내역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관리할 수 있다.
진단 내역 데이터베이스(350)는 유저별 진단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100 : 유저 단말
200 : 통신망
300 : 서비스 장치
310 : UI 제공부
320 : 진단부
330 : 회원정보 관리부
340 : 진단 내역 관리부
350 : 진단 내역 데이터베이스

Claims (3)

  1. 유저 단말(100)에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I 제공부(310); 및
    유저의 과거 진단 이력에 기초하여, 정신건강 진단 AI를 이용해 정신 건강을 진단하는 진단부(320)를 포함하는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320)는 유저가 기 진단 이력이 있는 자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간이 진단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320)는 상기 유저의 과거 진단 기록에 근거하여, 상기 진단 기록 상에 나타난 진단 결과에 따른 정신건강 징후가 유저에게 현존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질문을 직접적인 설문을 이용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KR1020210093245A 2021-07-16 2021-07-16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KR20230012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45A KR20230012700A (ko) 2021-07-16 2021-07-16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45A KR20230012700A (ko) 2021-07-16 2021-07-16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700A true KR20230012700A (ko) 2023-01-26

Family

ID=8511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245A KR20230012700A (ko) 2021-07-16 2021-07-16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7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492A (ko) 2011-01-28 2012-08-07 (주)유비쿼터스사이언스테크놀러지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492A (ko) 2011-01-28 2012-08-07 (주)유비쿼터스사이언스테크놀러지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dar et al. Privacy by designers: software developers’ privacy mindset
Cho et al. A study of BYOD adoption from the lens of threat and coping appraisal of its security policy
Santos et al. Evaluating citizen advisory boards: The importance of theory and participant‐based criteria and practical implications
Ellway Making it P ersonal in a call centre: electronic peer surveillance
Balfour et al. Crisis Reliability Indicators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CRISES): a framework for developing performance measures for behavioral health crisis and psychiatric emergency programs
Boyle et al. Determinants of medication incident reporting, recovery, and learning in community pharmacies: a conceptual model
Taranowski et al. Trends in employee assistance program implementation, structure, and utilization, 2009 to 2010
Bahuguna et al. Assessing cybersecurity maturity of organizations: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 the Indian context
Tookes et al. Acceptability, feasibility, and pilot results of the tele-harm reduction intervention for rapid initiation of antiretrovirals among people who inject drugs
KR20230012700A (ko) 기업 임직원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장치
US20130231955A1 (en) Integrated, Multilevel Medical Services
Sauer et al. Simplify testing of mobile medical applications by using timestamps for remote, automated evaluation
Kalina et al. Successful business process design: Business plan development for the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unit
US81559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edical data
Spence Interconnectedness and contingencies: A study of context in collaborative information seeking
MCKINNEY et al. The Critical Importance of Leadership in Enabling and Supporting Real Compliance in a Multi-Layered Health System: As Organizations Grow Larger and More Complex, Ensuring Compliance is a Shared Value Can Be Daunting, but Totally Achievable.
Rosenbruch et al. Leader trusting behaviours: a mixed-method approach on follower’s perceptions and reactions
KR20240161914A (ko) Emr과 연계된 종합건강검진예약 시스템
JP2016042257A (ja) 要介護・要支援診断サービスシステムと診断プログラムとその記録媒体
Libeer et al. Introduction for the special issue on the Antwerp Conferences: Meeting reports of the 1st, 2nd and 3rd European Conference on Quality [R] evolution in Clinical Laboratories, Antwerp, Belgium, 1995–1997 Preliminary remark
Moulton et al. Implementing the standards for integrity and independence in accredited nursing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Ma’arof et al. Teleworking in the public sector: a case study of Selangor
Kaplan Collaboration: Who, When, and Why to Work Together
US92619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curity data
JP6205573B1 (ja) 通話システムにおける個人情報管理方法、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