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752B1 -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752B1
KR102322752B1 KR1020210041297A KR20210041297A KR102322752B1 KR 102322752 B1 KR102322752 B1 KR 102322752B1 KR 1020210041297 A KR1020210041297 A KR 1020210041297A KR 20210041297 A KR20210041297 A KR 20210041297A KR 102322752 B1 KR102322752 B1 KR 10232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motion
emotional state
emotional
emo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철
김명숙
Original Assignee
남상철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철, 김명숙 filed Critical 남상철
Priority to KR102021004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752B1/ko
Priority to US18/247,306 priority patent/US20230389841A1/en
Priority to CN202280006764.4A priority patent/CN116325006A/zh
Priority to PCT/KR2022/095067 priority patent/WO20222116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가, 감정 리스트를 표시하는 감정 리스트 표시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정 리스트중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사용자 감정으로서 복수개 선택받는 사용자 감정 선택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된 복수개의 사용자 감정을 배열하는 사용자 감정 배열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배열된 각 사용자 감정 순서대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아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에 전송하는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가, 수신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감정노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생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olution using mind and feeling classification}
본 발명은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류하고 이를 통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정(feeling)이란, 어떤 현상이나 사건을 접했을 때 마음에서 일어나는 느낌이나 기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생리적원인, 신체적원인, 심리적원인, 사회적원인, 문화적원인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또한 감정은 희로애락 등과 같이 여러 입장에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정'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어 다양한 형태로서 표출될 수 있는데, 기존에는 이러한 자신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고 사용자의 감정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받을 있는 서비스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09927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류하고 이를 통한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가, 감정 리스트를 표시하는 감정 리스트 표시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정 리스트중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사용자 감정으로서 복수개 선택받는 사용자 감정 선택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된 복수개의 사용자 감정을 배열하는 사용자 감정 배열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배열된 각 사용자 감정 순서대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아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에 전송하는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가, 수신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감정노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생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정노트 생성 과정이 있은 후,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가, 사용자의 멘토로 등록되어 있는 멘토가 사용하는 멘토 단말기에 사용자 감정노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제공 과정; 상기 멘토 단말기가,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감정노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표시 과정; 멘토 단말기가, 사용자의 멘토로부터 입력되는 멘토링 코멘트를 입력받아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로 제공하는 멘토링 코멘트 입력 과정;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가, 멘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멘토링 코멘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멘토링 코멘트 제공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멘토링 코멘트를 표시하는 멘토링 코멘트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정 배열 과정은,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된 복수개의 사용자 감정을 랜덤하게 1차 배열하는 1차 배열 과정; 사용자가 단말기가, 사용자 감정의 배열순서를 사용자로부터 조정받아 최종 배열하는 최종 배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은, 사용자 감정에 연관된 객관식 형태의 감정 상태 세부정보 문항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은, 사용자 감정을 이미지화한 감정 카드를 표시하고,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문답식 형태로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카드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전체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류하고 이를 통한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감정상태에 따른 멘토의 공감과 조언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균형의 회복을 알려주는 감정’과 ‘균형의 훼손을 알려주는 감정’으로 분류하고 감정을 선택하도록 하여, 감정을 좋은 감정, 나쁜 감정이 아닌 만물의 원리인 음양사상 즉, 균형을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이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예시 그림.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정카드 화면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100), 사용자 단말기(200), 멘토 단말기(300),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사용자 단말기(200), 멘토 단말기(300),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감정상태에 따른 솔루션을 받는 사용자(멘티)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는 후술할 멘토 단말기(300)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감정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사용자 감정으로서 복수개 선택받는다. 그리고 선택된 복수개의 사용자 감정을 배열하여, 배열된 각 사용자 감정 순서대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된 사용자 감정노트를 표시한다. 또한 감정노트를 열람한 멘토가 제공하는 멘토링 코멘트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멘토 단말기(300)는, 사용자에게 멘토링 코멘트를 해주는 멘토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멘토 단말기(300)는,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감정노트를 표시하고, 멘토로부터 입력되는 멘토링 코멘트를 입력받아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로 제공한다.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는, 사용자의 멘토로 등록되어 있는 멘토가 사용하는 멘토 단말기(300)에 사용자 감정노트를 제공하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가, 수신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감정노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또한 멘토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멘토링 코멘트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이하, 이러한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을 도 2 내지 도 11과 함께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이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예시 그림이며,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정카드 화면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가, 감정 리스트를 표시하는 감정 리스트 표시 과정(S202)과,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감정 리스트중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사용자 감정으로서 복수개 선택받는 사용자 감정 선택 과정(S204)과, 사용자 단말기(200)가 선택된 복수개의 사용자 감정을 배열하는 사용자 감정 배열 과정(S208)과, 사용자 단말기(200)가 배열된 각 사용자 감정 순서대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는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S208)과,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가, 수신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감정노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생성 과정(S21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가 사용자의 멘토로 등록되어 있는 멘토가 사용하는 멘토 단말기(300)에 사용자 감정노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제공 과정(S212)과, 멘토 단말기(300)가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감정노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표시 과정(S214)과, 멘토 단말기(300)가 사용자의 멘토로부터 입력되는 멘토링 코멘트를 입력받아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로 제공하는 멘토링 코멘트 입력 과정(S216)과,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가 멘토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멘토링 코멘트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멘토링 코멘트 제공 과정(S218)과, 사용자 단말기(200)가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멘토링 코멘트를 표시하는 멘토링 코멘트 표시 과정(S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감정 리스트 표시 과정(S202)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감정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이다. 다양한 감정 항목을 기재한 감정 리스트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하는 것이다.
사용자 감정 선택 과정(S204)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감정 리스트중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사용자 감정으로서 복수개 선택받는 과정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에게 해당하는 감정을 선택하는데, ‘균형의 회복을 알려주는 감정’과 ‘균형의 상실을 알려주는 감정’으로 분류하고 감정을 선택하도록 하여, 감정을 좋은 감정, 나쁜 감정이 아닌 만물의 원리인 음양(균형)을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 감정 배열 과정(S208)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선택된 복수개의 사용자 감정을 배열하는 과정이다. 사용자 감정 배열 과정(S208)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가 선택된 복수개의 사용자 감정을 랜덤하게 1차 배열하는 1차 배열 과정과,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용자 감정의 배열순서를 사용자로부터 조정받아 최종 배열하는 최종 배열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가장 크게 느끼는 감정 순서대로 터치하여 우선순위대로 감정을 배열할 수 있게 된다.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S208)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배열된 각 사용자 감정 순서대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이다. 이러한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S208)은, 사용자 감정에 연관된 객관식 형태의 감정 상태 세부정보 문항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느끼는 각 감정별로 상세한 감정상태를 객관식 형태로서 입력받는 것이다.
사용자 감정노트 생성 과정(S210)은,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가, 수신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감정노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과정이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레는 감정'에 대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입력된 '설레는 감정'에 대한 세부정보를 정리하여 문구로 된 사용자 감정노트를 생성하여 도 7과 같이 사용자 감정노트가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는, 미리 등록된 분석 및 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감정 세부정보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감정노트의 문구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 감정노트 제공 과정(S212)은,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가, 사용자의 멘토로 등록되어 있는 멘토가 사용하는 멘토 단말기(300)에 사용자 감정노트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멘토 신청하기를 누르면, 등록되어 있는 멘토에게 사용자 감정노트가 제공된다. 참고로, 멘토가 되면, 멘티를 찾아서 등록할 수 있고, 멘티도 맨토를 지정하여 신청할 수가 있다. 서로 허락을 해야만 최종적으로 등록이 된다. 멘토는 멘티의 감정노트를 읽고 ‘공감과 조언’을 작성하여 남길 수 있다.
사용자 감정노트 표시 과정(S214)은, 멘토 단말기(300)가,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감정노트를 표시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멘토는, 사용자 감정노트를 열람하고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멘토링 코멘트 입력 과정(S216)은, 멘토 단말기(300)가 사용자의 멘토로부터 입력되는 멘토링 코멘트를 입력받아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로 제공하는 과정이다.
멘토링 코멘트 제공 과정(S218)은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가 멘토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멘토링 코멘트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과정이다.
멘토링 코멘트 표시 과정(S220)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멘토링 코멘트를 도 9와 같이 표시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멘토로부터 제공되는 공감과 조언의 멘토링 코멘트로 심적 힐링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S208)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감정에 연관된 객관식 형태의 감정 상태 세부정보 문항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는데, 이밖에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감정카드 방식으로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감정을 이미지화한 감정 카드를 표시하고,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문답식 형태로 입력받는 것이다.
이러한 감정 카드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전체에 표시될 수 있는데,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카드세로확대가 선택되면 스마트폰 전면 크기의 감정카드가 뜬다. 이것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감정 나눔을 할 수가 있다. 참고로, 감정카드 이외에도 욕구&니즈카드, 느낌카드, 진로카드 등은 모두 감정카드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감정뿐만 아니라 욕구(니즈) 및 느낌에 대해서도 동일한 프로세스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유무선 통신망
200:사용자 단말기
300:멘토 단말기
400:감정상태 솔루션 서버

Claims (6)

  1. 사용자 단말기가, 감정 리스트를 표시하는 감정 리스트 표시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정 리스트중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사용자 감정으로서 복수개 선택받는 사용자 감정 선택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된 복수개의 사용자 감정을 배열하는 사용자 감정 배열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배열된 각 사용자 감정 순서대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아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에 전송하는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가, 수신된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감정노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생성 과정;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가, 사용자의 멘토로 등록되어 있는 멘토가 사용하는 멘토 단말기에 사용자 감정노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제공 과정;
    상기 멘토 단말기가,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감정노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감정노트 표시 과정;
    상기 멘토 단말기가, 사용자의 멘토로부터 입력되는 멘토링 코멘트를 입력받아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로 제공하는 멘토링 코멘트 입력 과정;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가, 상기 멘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멘토링 코멘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멘토링 코멘트 제공 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멘토링 코멘트를 표시하는 멘토링 코멘트 표시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은, 사용자 감정에 연관된 객관식 형태의 감정 상태 세부정보 문항을 표시하고, 표시된 감정 상태 세부정보 문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감정 상태 세부정보를 입력받는 질문 및 답변 형식으로 진행되며,
    상기 사용자 감정노트 생성 과정은, 상기 감정상태 솔루션 서버가, 기 등록된 분석 및 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감정 세부정보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감정노트의 문구를 작성하는 과정이고,
    상기 감정 리스트는, 균형의 회복을 알려주는 감정과, 균형의 상실을 알려주는 감정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정 배열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된 복수개의 사용자 감정을 랜덤하게 1차 배열하는 1차 배열 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 감정의 배열순서를 사용자로부터 조정받아 최종 배열하는 최종 배열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장 크게 느끼는 감정 순서대로 감정 배열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정 상태 세부정보 입력 과정은,
    사용자 감정을 이미지화한 감정 카드를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정 카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카드세로확대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전체에 전면 크기로 표시되어, 프로그램 또는 감정나눔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KR1020210041297A 2021-03-30 2021-03-30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KR10232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97A KR102322752B1 (ko) 2021-03-30 2021-03-30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US18/247,306 US20230389841A1 (en) 2021-03-30 2022-03-29 Method for providing solution by classifying emotional state
CN202280006764.4A CN116325006A (zh) 2021-03-30 2022-03-29 基于情绪状态分类的解决方案提供方法
PCT/KR2022/095067 WO2022211607A1 (ko) 2021-03-30 2022-03-29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97A KR102322752B1 (ko) 2021-03-30 2021-03-30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752B1 true KR102322752B1 (ko) 2021-11-09

Family

ID=7861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297A KR102322752B1 (ko) 2021-03-30 2021-03-30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89841A1 (ko)
KR (1) KR102322752B1 (ko)
CN (1) CN116325006A (ko)
WO (1) WO20222116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607A1 (ko) * 2021-03-30 2022-10-06 남상철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278A (ko) 2005-03-11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감정정보 제어방법
KR20170028736A (ko) * 2015-09-04 2017-03-14 이재실 감정노동자를 위한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치료장치 및 심리치료방법
KR20180096261A (ko) * 2017-02-21 2018-08-29 (주)스피링크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370B1 (ko) * 2011-01-28 2012-12-21 (주) 마이크로사이텍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KR20130014332A (ko) * 2011-07-29 2013-02-07 박정환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6768B1 (ko) * 2019-07-31 2021-02-17 주식회사 휴마트컴퍼니 심리상담 데이터를 이용한 텍스트 내 감정분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22752B1 (ko) * 2021-03-30 2021-11-09 남상철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278A (ko) 2005-03-11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감정정보 제어방법
KR20170028736A (ko) * 2015-09-04 2017-03-14 이재실 감정노동자를 위한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치료장치 및 심리치료방법
KR20180096261A (ko) * 2017-02-21 2018-08-29 (주)스피링크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607A1 (ko) * 2021-03-30 2022-10-06 남상철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9841A1 (en) 2023-12-07
WO2022211607A1 (ko) 2022-10-06
CN116325006A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15314B (zh) 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08574618B (zh) 基于社交关系链的推送信息展示方法及装置
CN111698144A (zh) 通信方法、装置、设备以及群组创建方法、装置、设备
CN112613272A (zh) 一种信息展示方法及装置
EP3828722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structing a fused relationship network,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CN110458646A (zh) 页面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322752B1 (ko)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CN112272328B (zh) 弹幕推荐方法及相关装置
WO2021014937A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81023B2 (en) Verification method, method to open a web page and method to open an electronic file
CN109947528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Jewell et al. Enabling technology
CN114780183A (zh) 在线编程学习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74113A1 (en) Dialogue user emo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N108108086A (zh) 页面处理方法和装置
JP6364889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14745594A (zh) 直播回放视频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799484B1 (ko) 웹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이에 의한 q&a 컨텐츠 정보의 제공 방법
CN113110904B (zh) 一种显示方法和装置
KR102370552B1 (ko) 형용사 키워드 기반 로고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Sangiorgi Electronic sketching on a multi-platform context: A pilot study with developers
CN11612644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介质
TW201516943A (zh) 不動產資訊服務系統及方法
CN114817802A (zh) 一种信息创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inter Display Placement and Design: Impact on Engagement with Social Object Labels in a Gallery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