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261A -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261A
KR20180096261A KR1020170022732A KR20170022732A KR20180096261A KR 20180096261 A KR20180096261 A KR 20180096261A KR 1020170022732 A KR1020170022732 A KR 1020170022732A KR 20170022732 A KR20170022732 A KR 20170022732A KR 20180096261 A KR20180096261 A KR 20180096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nsultation
counseling
request message
respo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민
Original Assignee
(주)스피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피링크 filed Critical (주)스피링크
Priority to KR102017002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261A/ko
Publication of KR2018009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상기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피상담자 디바이스로부터 피상담자의 감정을 대표하는 감정 용어(term), 상기 피상담자의 상황을 대표하는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피상담자의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상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슈퍼바이저(supervisor)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의 핵심으로 표시된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감정 용어, 상기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담자 디바이스로부터 상담자의 상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상담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MOBILE PSYCHOLOGY COUNSELING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UTER REDEABLE MEDIUM AND APPLICATION FOR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심리적,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다양한 심리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대부분의 심리 상담 서비스가 오프라인 상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익명성을 보장하지 못하거나, 그 관리가 어려워 복수의 상담사 간의 상담의 품질에 차이가 나거나, 상담의 효과의 측정이 어렵고, 물리적인 제약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7492호, 2012.08.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피상담자 디바이스로부터 피상담자의 감정을 대표하는 감정 용어(term), 상기 피상담자의 상황을 대표하는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피상담자의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상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슈퍼바이저(supervisor)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의 핵심으로 표시된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감정 용어, 상기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담자 디바이스로부터 상담자의 상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상담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데이터 태그는 해시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사전 설문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상기 피상담자와 상기 상담자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상담 응답 메시지는 소정의 개수의 글자 내의 편지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감정 용어 및 상기 메타데이터 태그를 기초로 소정의 도형의 크기가 상기 피상담자의 감정에 상응하는 시각화된 심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피상담자의 감정 또는 상황과 유사한 감정 또는 상황을 갖는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에게 피상담자의 감정을 대표하는 감정 용어(term), 상기 피상담자의 상황을 대표하는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피상담자의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담자의 상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 상기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감정 용어 및 상기 메타데이터 태그를 기초로 소정의 도형의 크기가 상기 피상담자의 감정에 상응하는 시각화된 심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에게 피상담자의 감정을 대표하는 감정 용어(term), 상기 피상담자의 상황을 대표하는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피상담자의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담자의 상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 상기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피상담자의 감정 또는 상황과 유사한 감정 또는 상황을 갖는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상술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상술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피상담자와 상담자의 매칭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의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 측면의 상담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피상담자 디바이스 측면의 상담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피상담자가 감정 용어,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담 요청 메시지를 입력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슈퍼바이저가 상담 요청 메시지의 일부를 핵심 부분으로 표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담자와 피상담자가 편지 형식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피상담자의 감정에 상응하는 시각화된 심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피상담자와 유사한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 봇을 이용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 봇을 이용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상담 봇이 딥러닝 로직을 이용하여 피상담자와의 상담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 피상담자 디바이스(210),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 상담자 디바이스(230)를 포함한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 피상담자 디바이스(210),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 상담자 디바이스(23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임의의 구조, 프로토콜, 토폴로지로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심리 상담은 온라인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심리 상담을 나타낸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는 피상담자 디바이스(210)로부터 상담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상담 응답을 전송한다. 피상담자 디바이스(210)로부터 수신되는 상담 요청과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전송되는 상담 응답은 각각 텍스트 기반의 상담 요청 메시지와 상답 응답 메시지를 포함한다.
피상담자 디바이스(210)는 피상담자에 의해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피상담자는 상담을 요청하고 상담자에게 상담을 받는 사람을 나타낸다. 피상담자는 내담자라고 불리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상담자 디바이스(210)는 스마트폰, 타블렛,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는 슈퍼바이저에 의해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슈퍼바이저는 상담 과정을 감독하고 지도하는 사람을 나타낸다. 상담자 디바이스(230)는 상담자에 의해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상담자는 피상담자와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피상담자에게 상담을 제공하는 사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 및/또는 상담자 디바이스(230)는,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와 동일하게, 스마트폰, 타블렛, PDA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되거나, 또는 데스크톱, 랩톱 등과 같은 비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에는 하나의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또는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피상담자와 상담자의 매칭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사전 설문을 전송한다. 사전 설문은 임의의 유형과 개수의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2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로부터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S33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피상담자와 상담자를 매칭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는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피상담자가 필요로 하는 상담 분야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담 분야의 적절한 상담자를 피상담자와 매칭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의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 측면의 상담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로부터 감정 용어, 메타데이터 태그,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상담 요청을 수신한다. 감정 용어는 피상담자의 감정을 대표하고, 메타데이터 태그는 피상담자의 상황을 대표한다.
도 5는 피상담자가 감정 용어,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담 요청 메시지를 입력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상담자는 미리 정해진 감정 용어 리스트 상에서 본인의 감정을 대표하는 감정 용어(10)를 선택할 수 있다. 감정 용어(10)가 선택되면, 선택된 감정 용어(10)와 그에 상응하는 이모티콘(11)이 서로 인접하여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태그(20)는 해시 태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상담자는 본인의 상황을 대표하는 임의의 텍스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해시 태그(20)에 인접하여 해시 기호(#)와 같은 소정의 이미지(21)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감정 용어(10)와 메타데이터 태그(20)의 입력을 완료한 후, 피상담자는 상담 요청 메시지(30)를 입력할 수 있다.
상담 요청 메시지(30)의 입력 전에 감정 용어(10)와 메타데이터 태그(20)를 입력함으로써, 피상담자는 객관적으로 본인의 감정과 상황을 생각할 수 있으며, 상담자도 피상담자의 감정과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모바일 심리 상담의 효과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는 피상담자에 의해 입력된 원(original) 상담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며, 제1 상담 요청은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는 슈퍼바이저에 의해 그 적어도 일부가 핵심 부분으로 표시된 상담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며, 제2 상담 요청은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나타낸다.
이어서, 단계 S42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에게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에게 제1 상담 요청에 포함된 감정 용어 및/또는 메타데이터 태그를 제1 상담 요청 메시지와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슈퍼바이저가 상담 요청 메시지의 일부를 핵심 부분으로 표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슈퍼바이저는 제1 상담 요청 메시지(30)의 적어도 일부(41)를 그 핵심 부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는 제1 상담 요청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41)가 핵심 부분으로 표시된 제2 상담 요청 메시지(40)를 생성할 수 있다. 슈퍼바이저는 상담 과정을 감독 및 지도하여야 하므로, 심리 상담 전문가가 슈퍼바이저로 선택될 수 있다.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에 의해 생성된 제2 상담 요청 메시지(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담자 디바이스(230)로 전송될 수 있다. 상담자는 제1 상담 요청 메시지(30)가 아닌 제2 상담 요청 메시지(40)를 이용하여 상담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복수의 상담자 간의 심리 상담의 품질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담자의 심리 상담의 품질의 모니터링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어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43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로부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가 핵심 부분으로 표시된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S44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상담자 디바이스(230)에게 감정 용어, 메타데이터 태그,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상담 요청을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45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상담자 디바이스(230)로부터 상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응답을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S46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제1 상담 요청에 응답하여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상담 응답을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의 중계에 의해서, 상담자와 피상담자는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상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상담자와 피상담자가 편지 형식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메시지 리스트(50)가 도시된다. 메시지 리스트(50)는 피상담자가 전송한 상담 요청 메시지(51, 53)와 상담자가 전송한 상담 응답 메시지(52)를 포함한다. 피상담자가 전송하는 상담 요청 메시지와 상담자가 전송하는 상담 응답 메시지는 소정의 개수의 글자 내(예를 들어, 1500자 내)로 그 분량이 제한될 수 있다. 피상담자와 상담자는 편지 형식으로 상담 요청 메시지와 상담 응답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담 응답 메시지(52)는 상담 요청 메시지(52)의 답장인 것이다. 즉, 피상담자와 상담자는 비동기적으로 상담을 수행한다. 대면 상담이 아닌 편지 형식의 상담을 이용함으로써, 상담 기록의 데이터화 및 로그 분석이 가능하며, 상담의 효과 측정 및 피상담자의 심리 상황의 데이터화가 용이하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는 상담자와 피상담자 간의 주고받은 메시지의 횟수에 따라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의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47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피상담자의 감정에 상응하는 시각화된 심리 정보를 전송한다.
도 8 내지 도 9는 피상담자의 감정에 상응하는 시각화된 심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에(즉, 메시지를 주고받은 이후에) 시각화된 심리 정보(60, 70)가 제공될 수 있다. 시각화된 심리 정보는 감정 용어 및 메타데이터 태그를 기초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먼저, 피상담자의 감정에 관한 시각화 정보(60)가 제공될 수 있다. 감정에 관한 시각화 정보(60)는 복수의 감정에 상응하는 도형(61, 예를 들어, 구슬형)을 포함할 수 있다. 감정에 관한 시각화 정보(60)에서 도형(61)의 크기는 피상담자가 입력한 감정 용어의 횟수 등에 비례할 수 있다. 이어서, 특정 감정에 상응하는 도형이 선택되면, 상황에 관한 시각화 정보(70)가 제공될 수 있다. 상황에 관한 시각화 정보(70)는 특정 감정에 상응하는 도형(71)과 특정 감정과 관련된 상황에 상응하는 도형(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황에 관한 시각화 정보(70)에서 도형(72)의 크기는 피상담자가 입력한 메타데이터 태그의 횟수 등에 비례할 수 있다. 시각화된 심리 정보는 상담 메시지의 텍스트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분석을 위하여 형태소 분석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시각화된 심리 정보(60, 70)를 통해서, 피상담자는 본인의 심리에 관한 감정과 상황을 한 눈에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상담자의 시각화된 심리 정보는 제3자(예를 들어, 기업 상담의 경우 기업 담당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복수의 피상담자의 시각화된 심리 정보가 군집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480에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전송한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는 피상담자의 감정 또는 상황과 유사한 감정 또는 상황을 갖는 다른 피상담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피상담자와 유사한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에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는 다른 피상담자의 성별, 연령, 직종 등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와 다른 피상담자가 선택 입력한 감정 용어 등의 상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와 프로파일 정보가 유사한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 간의 비교 분석 결과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로써, 피상담자는 본인과 비슷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고 공감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를 포함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가 다른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피상담자 디바이스 측면의 상담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피상담자 디바이스(210)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에게 감정 용어, 메타데이터 태그,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520에서, 피상담자 디바이스(210)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상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응답을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S530에서, 피상담자 디바이스(210)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피상담자의 감정에 상응하는 시각화된 심리 정보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S540에서, 피상담자 디바이스(210)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각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를 포함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가 다른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 봇을 이용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스템(2)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 피상담자 디바이스(210), 슈퍼바이저 디바이스(220), 상담자 디바이스(230), 상담 봇(600)을 포함한다.
상담 봇(600)은 채팅 엔진으로 제공된다. 상담 봇(600)은 피상담자와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피상담자에게 상담을 제공한다. 상담 봇(600)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를 이용한 피상담자의 상담 대화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한다. 상담 대화 데이터베이스는 상담자와 피상담자가 상담을 위하여 송수신한 메시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담 대화 데이터베이스는 피상담자가 입력한 감정 용어(10)와 메타데이터 태그(2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머신러닝 및 텍스트 분석이 용이하다. 학습 결과에 따라, 상담 봇(600)은 피상담자의 감정 및 상황을 파악하고, 맥락에 맞는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담자에 의한 상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상담 봇(600)과 피상담자도 편지 형식으로 상담 요청 메시지와 상담 응답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담 봇(600)을 이용하여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고비용으로 인한 심리 상담에 대한 접근성 문제와 상담자 개인의 역량 편차에 의한 만족도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 효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생활 스트레스 대상자 또는 경증 대상자는 저비용으로 쉽고 편리하게 심리 상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와 상담 봇(600)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상담 봇(600)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의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되는 경우 적어도 일부의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상담 봇(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 봇을 이용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피상담자는, 상담자와의 상담 전에, 상담 봇(600)과 1차적으로 상담을 수행하고, 1차 상담 결과에 따른 시각화된 감정 정보와 유사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확인한 후, 상담자와 2차적으로 상담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단계 S710에서, 사전 설문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사전 설문을 전송하고, 피상담자 디바이스(210)가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에게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 상담 봇(600)과 1차적으로 상담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피상담자와 상담자의 매칭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어서, 단계 S720에서, 상담 봇(600)에 의한 1차 상담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로부터 감정 용어, 메타데이터 태그,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로부터 상담 요청 메시지만을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는 상담 요청을 상담 봇(600)에게 전달하고, 상담 봇(600)이 상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상담 봇(600)에 의해 생성된 상담 응답 메시지를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담 봇(600)과 피상담자는 편지 형식으로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상담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730에서, 시각화된 감정 정보가 제공된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피상담자의 감정에 상응하는 시각화된 심리 정보를 전송한다. 시각화된 심리 정보는 감정 용어 및 메타데이터 태그를 기초로 제공될 수 있다. 시각화된 심리 정보는 상담 메시지의 텍스트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 S740에서, 유사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가 제공된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전송한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는 피상담자의 감정 또는 상황과 유사한 감정 또는 상황을 갖는 다른 피상담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는 다른 피상담자의 성별, 연령, 직종 등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와 다른 피상담자가 선택 입력한 감정 용어 등의 상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와 프로파일 정보가 유사한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 간의 비교 분석 결과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 S750에서, 상담자에 의한 2차 상담이 제공된다. 상담자에 의한 상담 전에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가 피상담자와 상담자를 매칭할 수 있다.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는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 또는 1차 상담 분석 결과를 기초로 피상담자와 상담자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100)는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 또는 1차 상담 분석 결과를 기초로 피상담자가 필요로 하는 상담 분야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담 분야의 적절한 상담자를 피상담자와 매칭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각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실시예에 따라, 상담 봇을 이용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도 12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를 포함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는, 상담 봇을 이용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가 다른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3은 상담 봇이 딥러닝 로직을 이용하여 피상담자와의 상담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감정 분석 로직이 피상담자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감정 분석 로직은 피상담자의 메시지를 분석하여 벡터화한다. 벡터화 결과(벡터 데이터)에 따라 피상담자의 감정이 특정 감정으로 분류될 수 있다. CNN 알고리즘은 입력 데이터의 분위기나 스타일을 파악하는데 강점을 갖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C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피상담자의 메시지를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감정 요소를 보다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고, 감정적인 반응과 관련된 키워드의 입체적인 분석이 가능해진다.
Bi-directional LSTM(Long-Short Term Memory) 기반 맥락 파악 로직은 벡터화 결과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맥락 파악 로직은 피상담자에 관한 맥락을 파악하여 적절한 답변이 가능하도록 한다. 맥락 파악 로직은 Bi-directional LSTM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단방향 LSTM 알고리즘은 현재 단어와 이전의 출현 단어들과의 상관관계만 파악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문단 단위의 편지 형식 상담에 적용하기 어렵다. 편지 형식의 상담은 메시지의 분량이 길고, 주고받는 빈도도 높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해당 문단 이전에 언급되었던 내용뿐만 아니라 이후에 출현하는 문단들과의 상관관계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Bi-directional LST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련된 문단들의 영향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Hidden Layers 기반 딥러닝 로직은 학습용 Dataset을 학습한다. 학습용 Dataset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담자와 피상담자가 상담을 위하여 송수신한 메시지들로 구성된다. 딥러닝 로직은 문단 단위의 맥락 파악을 위하여 인공 신경망 기술 DNN(Deep Neural Network) 중 RNN(Recurrent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RNN은 입력 데이터의 순서(sequence)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자동 해석/요약/교정 등의 정확도가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상담학적인 domain 지식을 상담 봇이 스스로 학습하도록 하는 Attention 및 CRF 기술을 적용하여 딥러닝 로직이 보다 정확한 답변 문단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문단의 대화 내용 중에서도 핵심은 일부인 경우가 많으며, 그 부분을 어떻게 찾아내는지가 정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Attention Network가 LSTM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 사이에 배치되어, 일련의 입력 데이터 중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부분을 판단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한다. 또한, 딥러닝 로직은 CRF(Conditional Random Field)를 이용하여 학습 Dataset을 학습한다. 딥러닝 로직은 맥락 파악 결과(맥락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딥러닝 로직은 맥락 데이터의 분석 결과 및 학습 결과를 기초로 상담 봇의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담 봇의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응답 메시지로서 피상담자 디바이스(210)에게 전달된다. 이로써, 상담 봇은 피상담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적절한 대화(예를 들어, 우울 대화, 불안 대화, 좌절 대화 등)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컴퓨터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ro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
210: 피상담자 디바이스
220: 슈퍼바이저 디바이스
230: 상담자 디바이스
600: 상담 봇

Claims (1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피상담자 디바이스로부터 피상담자의 감정을 대표하는 감정 용어(term), 상기 피상담자의 상황을 대표하는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피상담자의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상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슈퍼바이저(supervisor)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슈퍼바이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의 핵심으로 표시된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감정 용어, 상기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제2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담자 디바이스로부터 상담자의 상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상담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태그는 해시 태그를 포함하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사전 설문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전 설문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상기 피상담자와 상기 상담자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담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상담 응답 메시지는 소정의 개수의 글자 내의 편지 형식으로 제공되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감정 용어 및 상기 메타데이터 태그를 기초로 소정의 도형의 크기가 상기 피상담자의 감정에 상응하는 시각화된 심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 상기 피상담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피상담자의 감정 또는 상황과 유사한 감정 또는 상황을 갖는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7.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에게 피상담자의 감정을 대표하는 감정 용어(term), 상기 피상담자의 상황을 대표하는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피상담자의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담자의 상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 상기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감정 용어 및 상기 메타데이터 태그를 기초로 소정의 도형의 크기가 상기 피상담자의 감정에 상응하는 시각화된 심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8.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에게 피상담자의 감정을 대표하는 감정 용어(term), 상기 피상담자의 상황을 대표하는 메타데이터 태그 및 상기 피상담자의 상담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담자의 상담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소정의 횟수의 상담이 완료된 이후, 상기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피상담자의 감정 또는 상황과 유사한 감정 또는 상황을 갖는 다른 피상담자의 상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의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0. 모바일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제7항 또는 제8항의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70022732A 2017-02-21 2017-02-21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KR20180096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32A KR20180096261A (ko) 2017-02-21 2017-02-21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32A KR20180096261A (ko) 2017-02-21 2017-02-21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61A true KR20180096261A (ko) 2018-08-29

Family

ID=6343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732A KR20180096261A (ko) 2017-02-21 2017-02-21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26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454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모두커뮤니케이션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15010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휴마트컴퍼니 심리상담 데이터를 이용한 텍스트 내 감정분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98017B1 (ko) * 2021-03-02 2021-09-03 주식회사 엠피스트 심리상담전문가 정보관리 서버
KR102322752B1 (ko) * 2021-03-30 2021-11-09 남상철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KR20220046025A (ko) * 2020-10-06 2022-04-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키워드와 욕구 탐색을 통해 공감대화를 유도하는 음성인식 심리상담방법 및 심리상담시스템
KR20220127471A (ko) * 2021-03-11 2022-09-20 정선경 가상현실을 이용한 심리 상담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492A (ko) 2011-01-28 2012-08-07 (주)유비쿼터스사이언스테크놀러지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492A (ko) 2011-01-28 2012-08-07 (주)유비쿼터스사이언스테크놀러지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454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모두커뮤니케이션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15010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휴마트컴퍼니 심리상담 데이터를 이용한 텍스트 내 감정분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6025A (ko) * 2020-10-06 2022-04-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키워드와 욕구 탐색을 통해 공감대화를 유도하는 음성인식 심리상담방법 및 심리상담시스템
KR102298017B1 (ko) * 2021-03-02 2021-09-03 주식회사 엠피스트 심리상담전문가 정보관리 서버
KR20220127471A (ko) * 2021-03-11 2022-09-20 정선경 가상현실을 이용한 심리 상담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22752B1 (ko) * 2021-03-30 2021-11-09 남상철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WO2022211607A1 (ko) * 2021-03-30 2022-10-06 남상철 감정상태 분류를 통한 솔루션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5916B (zh) 电子会议智能装置及方法
CN111641514B (zh) 会议智能系统、用于会议智能的方法和存储介质
KR20180096261A (ko)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CN107846350B (zh) 一种语境感知网络聊天的方法、计算机可读介质和系统
US110491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personality diagnostics based on computer perception of observable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an individual
Bucy et al. The mediated moderation model of interactivity
Boeschoten et al. Digital trace data collection through data donation
Hyun et al. News use, nationalism, and Internet use motivations as predictors of anti-Japanese political actions in China
US20190171928A1 (en) Dynamically manag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US202000653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data and detecting deception of a human using a multi-layered model
Boeschoten et al. A framework for privacy preserving digital trace data collection through data donation
Oh et al. Usability evaluation model for biometric system considering privacy concern based on MCDM model
US20210295186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feedback
Sindhu et al. Influence of chatbots on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US10410655B2 (en) Estimating experienced emotions
Cluley Interesting numbers: An ethnographic account of quantification, marketing analytics and facial coding data
Muralidhar et al. How may I help you? behavior and impressions in hospitality service encounters
Mahato et al. Social autopsy: a potential health-promotion tool for preventing maternal mortality in low-income countries
Bartosiak Can you tell me where to stay? The effect of presentation format on the persuasiveness of hotel online reviews
Sołtysik-Piorunkiewicz The evaluation method of Web 2.0/3.0 usability in e-health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R20220133665A (ko) 성격 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Maiers Reading the Tea Leaves: Ethnographic Prediction as Evidence
Ahn et al. Case study on big data sampling population collection method errors in service business
Jia et al. Minimal Social Cues, Body Proportion, Head Shape, and Participant’s Gender on the Trustworthiness of Social Robots
Lawrence Post-Digital Transformation, Decision Making and Intellectual Deb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