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454A -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454A
KR20200134454A KR1020190059923A KR20190059923A KR20200134454A KR 20200134454 A KR20200134454 A KR 20200134454A KR 1020190059923 A KR1020190059923 A KR 1020190059923A KR 20190059923 A KR20190059923 A KR 20190059923A KR 20200134454 A KR20200134454 A KR 2020013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seling
service
information
user
n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060B1 (ko
Inventor
이효진
황영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두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두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두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9005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0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운세, 타로, 택일, 풍수, 작명, 사주, 심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상담 의도를 음성 합성을 통해 딥러닝 기반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 최적화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자를 사용자와 자동 매칭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담자의 재능에 기반한 상담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챗봇을 통한 사용자와의 대화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기반한 상담 의도를 파악하고, 다양한 종류의 상담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의 상담 의도에 적합한 상담 서비스와 상담자가 사용자와 자동 매칭되도록 하여 자동 매칭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자와 사용자 사이의 상담을 통해 사용자의 상담 의도에 최적화된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상담 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도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talent purchase platform equipped with an automatic matching function based on TT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운세, 타로, 택일, 풍수, 작명, 사주, 심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상담 의도를 음성 합성을 통해 딥러닝 기반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 최적화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자를 사용자와 자동 매칭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담자의 재능에 기반한 상담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세, 타로, 택일, 풍수, 작명, 사주, 심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담 서비스는 최근 통신망의 발전과 더불어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사용자가 선택한 상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담자와 사용자 사이에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상담 서비스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상담 서비스는 대부분 사용자가 자신의 상담 의도를 직접 파악하여 직접 다양한 종류의 상담 서비스 중에서 원하는 상담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잘못된 상담 서비스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상담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답변을 얻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상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담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여 이에 최적화된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8627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담 의도를 챗봇을 통한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파악하고, 다양한 종류의 상담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의 상담 의도에 적합한 상담 서비스가 자동 선택되도록 하여 자동 선택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자와의 매칭을 통해 사용자의 상담 의도에 최적화된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상담 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도 및 편의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과 음성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질의 정보 및 응답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대화하는 미리 설정된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되는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상담 내용을 미리 설정된 제 1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상담 서비스의 추천을 위해 이용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별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챗봇 대응부 및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추천 상담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상담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가 적용된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자 중 어느 하나를 추천 상담자로 상기 사용자와 자동 매칭한 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추천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 상호 간을 통신 연결하여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기 상담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담 서비스인 경우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구성된 상담 모듈을 통해 상기 상담 내용에 대응되어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동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자동 매칭부는 상기 챗봇 대응부와 연동하여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상담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상기 특정 상담 서비스와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상담 서비스와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된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호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 상담 서비스와 추천 상담 서비스를 포함하는 추천 목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추천 목록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추천 상담자를 결정하거나 상기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상담 서비스는 사주 상담, 운세 상담, 타로 상담, 택일 상담, 풍수 상담, 내국인 관련 작명 상담,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 심리 상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자동 매칭부는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인 경우 상기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에 대응되어 미리 구성된 상담 모듈을 동작시키며, 상기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에 대응되는 상담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외국인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수집부와, 상기 개인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작명 알고리즘에 따라 한글 이름 관련 작명 정보를 생성하는 작명 제안부와,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한글 텍스트별 한글 발음이 학습되어 미리 설정된 제 2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 1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한글 발음 생성부와,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변환한 후 국가별로 텍스트별 외국어 발음이 학습되어 미리 설정된 제 3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 2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외국어 발음 생성부와, 상기 제 1 음성 정보와 제 2 음성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성 비교 알고리즘에 따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비교부 및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상기 외국인의 최종 이름으로 선택하여 상기 작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개인 정보는 생년일시, 성별, 국가, 자국 이름, 개인의 취향을 포함하는 기타 정보 및 주변인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작명 제안부는 상기 작명 알고리즘을 통해 성명학과 사주팔자 및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자국 이름과의 유사도를 고려한 한글 이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작명 정보는 상기 한글 이름과, 상기 한글 이름을 구성하는 문자 각각에 대응되는 한자와, 성명학 및 사주팔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상기 한글 이름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작명 제안부를 통해 상기 한글 이름과 상이한 새로운 한글 이름을 포함하는 신규 작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명 정보를 상기 신규 작명 정보로 대체한 후 상기 한글 발음 생성부 및 외국어 발음 생성부를 통해 상기 신규 작명 정보에 대응되어 생성한 상기 제 1 음성 정보 및 제 2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비교 알고리즘을 통해 상호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를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미리 설정된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음성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질의 정보 및 응답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대화하는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되는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상담 내용을 미리 설정된 제 1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상담 서비스의 추천을 위해 이용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별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추천 상담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상담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가 적용된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자 중 어느 하나를 추천 상담자로 상기 사용자와 자동 매칭한 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추천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 상호 간을 통신 연결하여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기 상담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담 서비스인 경우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구성된 상담 모듈을 통해 상기 상담 내용에 대응되어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챗봇을 통한 사용자와의 대화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기반한 상담 의도를 파악하고, 다양한 종류의 상담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의 상담 의도에 적합한 상담 서비스와 상담자가 사용자와 자동 매칭되도록 하여 자동 매칭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자와 사용자 사이의 상담을 통해 사용자의 상담 의도에 최적화된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상담 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도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외국어 관련 작명 상담시 상담 모듈을 이용한 상담 서비스 제공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별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별 개인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에 포함된 회원 DB(101)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자(또는 상담사)별 상담자 단말(300)과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담자 각각에 대한 상담자 정보를 상기 회원 DB(10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3G/4G 이동통신, 5G 이동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PSTN 등과 널리 알려진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 및 상담자 단말(3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이동통신 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자는 사주팔자를 기반으로 하는 사주(四柱) 상담, 토정비결 등을 기반으로 하는 운세 상담, 타로 카드를 이용한 타로 상담, 택일 상담, 풍수 상담, 성명학 및 사주팔자를 고려한 작명 상담, 심리 상담 등과 같은 다양한 상담 전문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자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 서비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상담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주 상담, 운세 상담, 타로 상담, 택일 상담, 풍수 상담, 작명 상담, 심리 상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상담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작명 상담은 내국인을 위한 내국인 관련 작명 상담과 외국인을 위한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에 상담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상담 내용을 자동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따른 상담 의도에 적합한 상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추천함과 아울러 추천에 의해 선택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자 중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적합한 특정 상담자를 사용자와 자동 매칭하여 상기 특정 상담자의 상담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상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와, 챗봇 대응부(20)와, 자동 매칭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자동 매칭부(30)가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구성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로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음성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 확인시 상담 서비스의 추천을 위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속성별 파라미터를 얻기 위해 음성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질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챗봇을 통해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음성 또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챗봇으로 전달하고,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메시지를 인식하여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되어 사용자의 음성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를 상기 챗봇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기 음성 인식부(21)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질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인공 지능 관련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응답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음성 인식부(21)를 통해 상기 응답 정보에 대한 음성 합성을 수행하여 음성 기반의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성 인식부(21)는 텍스트와 음성 사이의 변환을 지원하는 TTS(Text To Speech) 알고리즘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기 질의 정보를 상기 인공 지능 관련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인공 지능 관련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 형태의 응답 정보에 상기 심리 상태에 따라 결정된 음성의 톤(tone), 성별 등에 대응되는 파형을 가진 텍스트별 음성을 합성한 음성 기반의 응답 정보를 상기 음성 인식부(21)를 통해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음성 인식부(21) 및 인공지능 관련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심리 상태에 따라 결정된 파형으로 음성 기반의 질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챗봇 대응부(20)가 전송한 질의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여 응답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챗봇은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은, 많은 경우, 사람과 사람 사이의 대화와 유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챗봇(chatter robot, Chatbot)은 사용자 단말(200)에 구성되는(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에 구성되는(설치되는) 서버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상기 챗봇 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의 입출력 구성요소(예를 들면,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기타 센서등)를 통하여 사용자와 문자, 이미지, 음성, 광 신호, 전파 신호 등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의 챗봇 관련 서버 프로그램은 위와 같은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이 되는 답변, 반응, 정보, 신호 등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거나 다른 서버나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집하고, 이에 관하여 필요에 따라 공지의 머신 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챗봇은 공지의 메신저 기반의 챗봇인 심심이(삼성전자), 폰초(Poncho)(페이스북) 등이나, 공지의 음성 인식 기반의 챗봇인 시리(Siri)(애플)나, 공지의 유무선 통신(예를 들면, 전화, SMS 등) 기반의 챗봇인 매직(아마존) 등과 같은 다양한 챗봇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와 연동하여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음성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질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질의 정보에 대응되어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콜 신호를 수신시 상기 챗봇 대응부(20)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의 상기 콜 신호에 따른 전화 연결시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응답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와 메시지 또는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복수의 서로 다른 속성 사이의 연관관계가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특정 속성에 대응되는 질의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응답 정보 수신시 상기 응답 정보 및 상기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속성과 연관된 다른 속성에 대응되는 질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상담 서비스의 종류를 질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응답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담 서비스가 상담자가 필요한 사주 상담이나 운세 상담인 경우 상기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담자의 나이나 성별 또는 위치 등과 관련된 속성을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와 대화하는 미리 설정된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송수신되는 상기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른 상담 내용을 미리 설정된 제 1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 서비스 중에서 특정 상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이용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속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별로 파라미터를 상기 제 1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딥러닝 알고리즘은 상기 상담 내용과 상기 복수의 속성 상호 간의 상관 관계가 미리 학습되어 상기 챗봇 대응부(20)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속성은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생년일시, 관심 카테고리, 취향, 상담 비용, 상담자의 성별, 상담자의 업무 지역, 상담자의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명 상담이나 심리 상담 관련 상담 서비스의 사용자에 대한 추천 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목소리 톤(tone),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 사용자의 발음, 사용자의 발음 속도 등이 상기 복수의 속성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대응부(20)는 상기 상담 내용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얻어진(산출된)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담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 매칭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상기 챗봇 대응부(20)로부터 상기 상담 결과 정보를 수신시 상기 상담 결과 정보에 따른 속성별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추천 상담 서비스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상기 회원 DB(101)를 검색하여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담 분야로 설정된 상담자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는 상담자 정보 존재시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를 상담 분야로 설정한 하나 이상의 상담자별 상담자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상담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상담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식별된 복수의 상담자별 상담자 정보를 상기 상담 결과 정보에 따른 속성별 파라미터가 적용된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상담자 중 상기 사용자의 상담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를 추천 상담자로 선택한 후 상기 사용자와 자동 매칭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기반하여 얻어진 속성별 파라미터에 따른 사용자가 요구하는 상담자의 특징(특성)을 고려하여 추천 상담 서비스를 상담 분야로 하는 복수의 상담자 중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하는 최적의 상담자를 추천 상담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사용자에 대응되어 얻어진 속성별 파라미터 중에서 상담자의 재능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속성별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재능 관련 재능 정보가 설정된 상담자 정보에 대응되는 상담자를 사용자에 대한 추천 상담자로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회원 DB(101)에서 추천 상담자로 선택된 상담자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상담자 단말(300) 상호 간을 통신 연결하여 상기 추천 상담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선택된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상기 챗봇 대응부(20)와 연동하여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상담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상기 특정 상담 서비스와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상담 서비스와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된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호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 상담 서비스와 추천 상담 서비스를 포함하는 추천 목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상기 추천 목록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담 서비스로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사용자가 챗봇과의 대화에서 응답 정보를 통해 사주 상담과 같은 특정 상담 서비스를 지정한 경우라도 상기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기반하여 얻어진 속성별 파라미터를 상기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판단되어 심리 상담이 추천 상담 서비스로 선택된 경우 해당 추천 상담 서비스와 사용자가 응답정보를 통해 지정한 특정 상담 서비스를 포함하는 추천 목록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에서 추천하는 상담 서비스와 사용자가 지정한 상담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가 상담을 원하는 추천 상담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상기 추천 목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담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정보에 따른 상담 서비스를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로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는 추천 상담자를 결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와 자동 매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결정된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담 분야로 설정된 상담자 정보가 상기 회원 DB(101)에 존재하지 않아 상기 선택 정보에 따른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담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담 서비스로 확인(식별)된 경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챗봇을 통한 사용자와의 대화를 미리 설정된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기반한 상담 의도를 파악하고, 다양한 종류의 상담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의 상담 의도에 적합한 상담 서비스와 상담자가 사용자와 자동 매칭되도록 하여 자동 매칭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담자와 사용자 사이의 상담을 통해 사용자의 상담 의도에 최적화된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상담 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도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추천 상담 서비스를 상담 분야로 설정한 상담자 정보가 상기 회원 DB(101)에 존재하지 않아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담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담 서비스로 식별된 경우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또는 미리 구성된) 상담 모듈(100)을 실행하고, 상기 상담 모듈(100)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대응되어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대응되어 선택된 추천 상담 서비스가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인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에 상기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을 상담 분야로 설정한 상담자 관련 상담자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의 회원 DB(101)에 존재하지(등록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자동 매칭부(30)는 상기 사용자의 상담 내용에 대응되어 선택된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기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인 경우 상기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포함된 또는 구성된) 상담 모듈(100)을 실행하거나 활성화하여 상기 상담 모듈(1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담 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110)와, 작명 제안부(120)와, 한글 발음 생성부(130)와,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와, 비교부(150) 및 제공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담 모듈(100)은 상기 자동 매칭부(30)에 구성되거나 상기 자동 매칭부(30)와 별도의 구성부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담 모듈(100)은 상기 자동 매칭부(30)에 미리 설정되거나 미리 설치되어 상기 자동 매칭부(3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담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기 자동 매칭부(30)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 서비스별로 상기 상담 모듈(100)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에 설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복수의 상담 서비스 상호 간 서로 다른 상담 모듈(100)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에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구성을 토대로 상기 상담 모듈(100)의 상세 동작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상담 모듈(100)이 상기 자동 매칭부(30)에 의해 실행되거나 활성화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상담 모듈(100)에 포함된 상기 수집부(110)는 상기 자동 매칭부(30)로부터 상기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의 제공 대상인 외국인의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고, 상기 외국인의 사용자 단말(200)로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의 상담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개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외국인의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외국인에 대한 생년일시, 성별, 국가(국적), 자국 이름, 개인의 취향을 포함하는 기타 정보, 주변인 개인 정보(예를 들어, 직계 존비속의 개인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110)는 상기 자동 매칭부(30)와 연동하여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에 대한 상담 서비스 제공 대상인 상기 외국인의 개인 정보를 상기 회원 DB(101)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작명 제안부(120)는 상기 수집부(110)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작명 알고리즘에 따라 한글 이름 관련 작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한글 이름과 해당 한글 이름의 의미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한글 이름 관련 이름 정보가 저장된 작명 DB(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작명 제안부(120)는 상기 작명 알고리즘에 상기 외국인의 개인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개인 정보가 적용된 작명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작명 DB(102)에서 상기 외국인의 개인 정보에 대응되어 가장 적합한 한글 이름 관련 이름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작명 DB(102)에서 상기 개인 정보에 대응되어 선택된 한글 이름 관련 이름 정보를 포함하는 작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명 제안부(120)는 상기 작명 알고리즘을 통해 성명학과 사주 팔자를 고려하여 상기 개인 정보에 대응되는 한글 이름을 생성하거나 선택하며, 상기 개인 정보에 포함된 외국인의 자국 이름과의 유사도를 고려한 한글 이름을 생성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작명 제안부(120)는 상기 외국인의 자국 이름이 'Jordan Peele'인 경우 상기 작명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외국인의 개인 정보에 따른 생년일시와, 성별 등을 성명학과 사주팔자에 적용하여 성명학에 따라 부르기 좋고 듣기 좋은 이름이면서 사주팔자가 좋고 상기 외국인의 자국 이름과 발음상 유사도가 높은 '조동필'을 상기 외국인의 한글 이름으로 생성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명 제안부(120)는 작명 정보 생성시 상기 작명 정보를 상기 한글 발음 생성부(130)와 상기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글 발음 생성부(130)는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한글 텍스트별 한글 발음이 학습되어 미리 설정된 제 2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한글 이름을 한글로 발음한 음성인 제 1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는 한글을 외국어로 변환하는 변환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는 상기 작명 제안부(120)로부터 작명 정보 수신시 상기 변환부(141)를 통해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외국어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환부(141)는 상기 작명 제안부(120)로부터 상기 작명 정보와 함께 외국인의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변환부(141)는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이 '조동필'이며 상기 외국인의 국적(국가)이 '미국'인 경우 한글 이름을 영어로 변환하기 위한 영어(미국) 관련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Jo Dongpil'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환부(141)는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이 '조동필'이며 상기 외국인의 국적이 '일본'인 경우 한글 이름을 일어로 변환하기 위한 일어 관련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ジョドンピル'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는 상기 변환부(141)를 통해 상기 한글 이름을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변환한 변환 결과를 국가별로 텍스트별 외국어 발음이 학습되어 미리 설정된 제 3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변환 결과를 상기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언어로 발음한 제 2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는 상기 변환부(141)를 통해 한글 이름인 '조동필'을 외국인의 국가 언어인 영어에 따라 변환한 변환 결과인 'Jo Dongpil'을 상기 제 3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언어인 영어로 상기 변환결과인 'Jo Dongpil'을 발음한 음성인 제 2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딥러닝 알고리즘은 각각 하나 이상의 신경망 모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신경망 모델(또는 신경망)은 입력층(Input Layer), 하나 이상의 은닉층(Hidden Layers) 및 출력층(Output Lay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신경망 모델에는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신경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한글 발음 생성부(130)로부터 제 1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로부터 상기 제 1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부(150)는 미리 설정된 음성 비교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 1 음성 정보와 상기 제 2 음성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제 1 음성 정보와 상기 제 2 음성 정보 상호 간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외국인에 대해 작명된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상기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외국어 표기법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언어로 발음한 결과와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한글로 발음한 결과 사이의 유사 정도를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유사도가 높을수록 상기 외국인이 발음하기(부르기) 용이한(편한) 이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부(160)는 상기 비교부(150)와 연동하여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상기 외국인에 대한 최종 이름으로 결정(선택)하고, 상기 작명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 정보를 상기 외국인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국인의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결과 정보 수신시 해당 결과 정보에 포함된 작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명 정보는 상기 외국인에 대해 최종 결정된 한글 이름과, 상기 한글 이름을 구성하는 문자 각각에 대응되는 한자와, 성명학 및 사주팔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상기 한글 이름의 의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한글 발음 생성부(130) 및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음성정보와 제 2 음성정보를 상기 작명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작명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변환한 변환 결과에 대한 변환 결과 정보를 상기 작명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공부(160)는 상기 제 1 음성 정보와 상기 제 2 음성 정보 및 변환 결과 정보가 더 포함된 해당 작명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작명 정보에 대응되어 산출된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작명 제안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과 상이한 새로운 한글 이름을 포함하는 신규 작명 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한글 발음 생성부(130) 및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로부터 상기 신규 작명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음성 정보 및 제 2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음성 비교 알고리즘을 통해 상호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재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작명 정보가 확인(생성 또는 선택)될 때까지 상기 작명 제안부(120)와 한글 발음 생성부(130) 및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를 반복 제어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작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부(150)는 상기 작명 제안부(120)와, 한글 발음 생성부(130) 및 외국어 발음 생성부(140)를 통해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복수의 서로 다른 작명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개수가 될때까지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공부(160)는 상기 비교부(150)와 연동하여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상기 미리 설정된 개수의 복수의 서로 다른 작명 정보를 포함하는 후보 이름 목록 정보를 상기 결과 정보로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함으로써, 외국인이 후보 이름 목록 정보에서 마음에 드는 한글 이름을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외국인의 개인 정보를 기초로 성명학과 사주팔자에 기반한 최선의 한글 이름을 외국인에게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국인의 자국 이름과 발음상 유사도가 높은 한글 이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외국인이 자국 언어로 발음하기 용이한 한글 이름이 제공되도록 지원하여 한글 이름에 대한 외국인의 사용 편의성을 보장함과 더불어 외국인의 자국 이름과 발음상 유사한 한글 이름을 제공함에 따라 외국인의 친밀도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미리 설정된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음성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질의 정보 및 응답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S1).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와 대화하는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송수신되는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상담 내용을 미리 설정된 제 1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S2) 상담 서비스의 추천을 위해 이용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별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S3).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추천 상담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S4).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상담자가 존재하는 경우(S5)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가 적용된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자 중 어느 하나를 추천 상담자로 상기 사용자와 자동 매칭한 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과 상기 추천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300) 상호 간을 통신 연결하여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S6),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기 상담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담 서비스인 경우(S5)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구성된 상담 모듈(100)을 통해 상기 상담 내용에 대응되어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6).
도 5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선택된 추천 상담 서비스가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인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이 추천 상담 서비스로 선택된 경우 상기 상담 모듈(100)을 실행하고(S11), 상기 상담 모듈(100)이 실행된 상태의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상기 외국인의 개인 정보를 요청하여(S12)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외국인의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개인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작명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외국인에 대한 한글 이름 관련 작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한글 텍스트별 한글 발음이 학습되어 미리 설정된 제 2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 1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5).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변환한 후 국가별로 텍스트별 외국어 발음이 학습되어 미리 설정된 제 3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 2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6).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제 1 음성 정보와 제 2 음성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성 비교 알고리즘에 따라 상호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S17).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S18) 상기 작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S19).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서비스 제공 장치 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챗봇 대응부 21: 음성 인식부
30: 자동 매칭부 100: 상담 모듈
110: 수집부 120: 작명 제안부
130: 한글 발음 생성부 140: 외국어 발음 생성부
141: 변환부 150: 비교부
160: 제공부

Claims (9)

  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과 음성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질의 정보 및 응답정보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대화하는 미리 설정된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되는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상담 내용을 미리 설정된 제 1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상담 서비스의 추천을 위해 이용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별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챗봇 대응부; 및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추천 상담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상담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가 적용된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자 중 어느 하나를 추천 상담자로 상기 사용자와 자동 매칭한 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추천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 상호 간을 통신 연결하여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기 상담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담 서비스인 경우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구성된 상담 모듈을 통해 상기 상담 내용에 대응되어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동 매칭부
    를 포함하는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매칭부는 상기 챗봇 대응부와 연동하여 상기 응답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상담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상기 특정 상담 서비스와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상담 서비스와 상기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된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호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특정 상담 서비스와 추천 상담 서비스를 포함하는 추천 목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추천 목록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추천 상담자를 결정하거나 상기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담 서비스는 사주 상담, 운세 상담, 타로 상담, 택일 상담, 풍수 상담, 내국인 관련 작명 상담,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 심리 상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매칭부는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인 경우 상기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에 대응되어 미리 구성된 상담 모듈을 동작시키며,
    상기 외국인 관련 작명 상담에 대응되는 상담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외국인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개인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작명 알고리즘에 따라 한글 이름 관련 작명 정보를 생성하는 작명 제안부;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한글 텍스트별 한글 발음이 학습되어 미리 설정된 제 2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 1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한글 발음 생성부;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외국인의 국가에 대응되는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변환한 후 국가별로 텍스트별 외국어 발음이 학습되어 미리 설정된 제 3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제 2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외국어 발음 생성부;
    상기 제 1 음성 정보와 제 2 음성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성 비교 알고리즘에 따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비교부; 및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명 정보에 따른 한글 이름을 상기 외국인의 최종 이름으로 선택하여 상기 작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 생년일시, 성별, 국가, 자국 이름, 개인의 취향을 포함하는 기타 정보 및 주변인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명 제안부는 상기 작명 알고리즘을 통해 성명학과 사주팔자 및 상기 개인 정보에 따른 자국 이름과의 유사도를 고려한 한글 이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명 정보는 상기 한글 이름과, 상기 한글 이름을 구성하는 문자 각각에 대응되는 한자와, 성명학 및 사주팔자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상기 한글 이름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작명 제안부를 통해 상기 한글 이름과 상이한 새로운 한글 이름을 포함하는 신규 작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명 정보를 상기 신규 작명 정보로 대체한 후 상기 한글 발음 생성부 및 외국어 발음 생성부를 통해 상기 신규 작명 정보에 대응되어 생성한 상기 제 1 음성 정보 및 제 2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비교 알고리즘을 통해 상호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를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9.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미리 설정된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음성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질의 정보 및 응답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대화하는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되는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상담 내용을 미리 설정된 제 1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상담 서비스의 추천을 위해 이용되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속성별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추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추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담 서비스 중 추천 상담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상담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속성별 파라미터가 적용된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상담자 중 어느 하나를 추천 상담자로 상기 사용자와 자동 매칭한 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추천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 상호 간을 통신 연결하여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가 상기 상담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담 서비스인 경우 상기 추천 상담 서비스에 대응되어 미리 구성된 상담 모듈을 통해 상기 상담 내용에 대응되어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059923A 2019-05-22 2019-05-22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0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23A KR102207060B1 (ko) 2019-05-22 2019-05-22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23A KR102207060B1 (ko) 2019-05-22 2019-05-22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454A true KR20200134454A (ko) 2020-12-02
KR102207060B1 KR102207060B1 (ko) 2021-01-25

Family

ID=7379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923A KR102207060B1 (ko) 2019-05-22 2019-05-22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4472A (zh) * 2021-07-13 2021-11-19 深圳市神州云海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深度学习的彩票服务方法及装置、彩票智能服务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293A (ko) * 2004-08-10 2006-02-15 유재영 운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682918B1 (ko) * 2015-09-04 2016-12-0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 간의 상담을 매칭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96261A (ko) * 2017-02-21 2018-08-29 (주)스피링크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KR20190008627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싸이펌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오픈 프레임 기반의 플랫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293A (ko) * 2004-08-10 2006-02-15 유재영 운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682918B1 (ko) * 2015-09-04 2016-12-0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 간의 상담을 매칭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96261A (ko) * 2017-02-21 2018-08-29 (주)스피링크 모바일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KR20190008627A (ko) 2017-07-17 2019-01-25 주식회사 싸이펌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오픈 프레임 기반의 플랫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4472A (zh) * 2021-07-13 2021-11-19 深圳市神州云海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深度学习的彩票服务方法及装置、彩票智能服务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060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00526B (zh) 用于智能机器人的对话交互方法及系统
US10977452B2 (en) Multi-lingual virtual personal assistant
US20210081056A1 (en) Vpa with integrated object recognition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S10146768B2 (en) Automatic suggested responses to images received in messages using language model
JP635156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受付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488027B (zh) 声音处理系统
CN109416701A (zh) 多种交互人格的机器人
US20080096533A1 (en) Virtual Assistant With Real-Time Emotions
CN111145721B (zh) 个性化提示语生成方法、装置和设备
KR101133822B1 (ko)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 발달성 장애치료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
CN110998725A (zh) 在对话中生成响应
WO2021008538A1 (zh) 语音交互方法及相关装置
JP2017152948A (ja)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20200080400A (ko) 페르소나에 기반하여 문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135598A (ko) 특정인의 합성된 가상 음성을 이용한 음성 대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207060B1 (ko)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850898A (zh) 场景渲染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10407504A1 (en) Generation and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nversation systems
JP2017049624A (ja) 翻訳システム及びサーバ
CN117352132A (zh) 心理辅导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00119366A (ko) 오디오북 추천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763925B (zh) 语音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39618A (ko) 의사 표현 이미지 아이템을 분석 및 제공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CN111971670A (zh) 在对话中生成响应
KR20200058958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