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347B1 -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347B1
KR102423347B1 KR1020150054245A KR20150054245A KR102423347B1 KR 102423347 B1 KR102423347 B1 KR 102423347B1 KR 1020150054245 A KR1020150054245 A KR 1020150054245A KR 20150054245 A KR20150054245 A KR 20150054245A KR 102423347 B1 KR102423347 B1 KR 102423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ychological
tool
psychotherapy
template
exp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730A (ko
Inventor
서영호
류창형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3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urg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리지원 전문가의 온라인 상담 공간에서 심리진단 또는 심리치료를 하는 프로그램 도구를 각자에 맞게 구성하도록 지원하되, 심리치료 도구를 템플릿으로 제공하고, 각 전문가가 상기 템플릿의 세부 내용을 설정하도록 제공하는,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심리치료 도구의 템플릿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수단; 상기 템플릿의 세부 속성에 대한 속성값을 입력받아, 상기 템플릿의 속성을 설정하는 속성 설정수단; 상기 템플릿의 심리치료 도구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도구데이터 입력수단; 및, 속성이 설정된 템플릿을 전문가의 심리상담 공간 내에 심리치료 도구로 로딩하는 도구 로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심리지원 전문가에게 자신만의 독자적인 심리진단 또는 심리치료 도구를 로딩하여 이용하게 함으로써, 각 심리지원 전문가는 자신만의 심리 진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내담자는 다양한 진료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 A psychological treatment tool management system for an on-line psychological counseling on open flatform }
본 발명은 심리지원 전문가의 온라인 상담 공간에서 심리진단 또는 심리치료를 하는 프로그램 도구를 각자에 맞게 구성하도록 지원하되, 심리치료 도구를 템플릿으로 제공하고, 각 전문가가 상기 템플릿의 세부 내용을 설정하도록 제공하는,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신과 치료 및 상담에는 의사나 심리상담가와 같은 전문가가 환자와 피상담자를 포함한 피대상자와의 면담을 통해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근거로 치료 및 상담을 수행하게 되므로, 객관적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심리테스트가 필요하다.
이러한 심리테스트를 위하여 종래에는 전문가 집단이 작성한 심리테스트 인쇄물을 피대상자가 직접 보면서 선택하고, 작성이 완료된 심리테스트 결과는 점수가 집계되어 상담에 이용되었으며, 상담에 이용된 심리테스트 결과는 실적 및 기록보관을 위해서 다시 디지털화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전문가의 입장에서는 피대상자를 직접 대면하고 인쇄물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해당 피대상자와 면담을 위해서는 인쇄된 해당 심리테스트 용지를 가지고 다녀야하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수작업으로 집계를 하여야 하므로 불편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 각종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도박, 게임 등의 중독증세를 보이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중독증세를 치료하거나 심리상당을 해주는 정신보건센터가 각 시, 군, 구 별로 공공기관의 건물내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사립시설을 지정 정신보건센터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증가추세에 있는 피대상자를 소수의 정해진 인원이 직접 심리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자료를 집계하며, 상담완료된 결과를 다시 전자화하는데는 시간 및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온라인 상에서 심리를 상담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일례로서, 다수의 상담자가 다수의 상담자 단말기를 통해 통신망을 이용하여 성중독증 치료서버에 접속하여 성중독증을 상담받고 진단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 성중독증치료서버는 상담자 단말기를 통해 상담자에게 성중독증 진단 검사지를 제공하여 성중독증을 진단받도록 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각 중독단계별로 심리적 치료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피대상자가 심리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심리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와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의 심리테스트 결과를 수신받아 피대상자의 인적사항과 함께 기록하며, 상기 심리테스트 결과를 가지고 전문가(의사 혹은 상담사)가 검토한 검토의견 및 치료와 상담결과도 함께 매칭 기록하는 서버로 구성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그 외에도 온라인 상에서 웹서버를 통해 가상의 대화 상대를 만들고, 전문가가 가상의 대화 상대에게 대화하는 내용을 상담 전문가에게 전송하여 상담을 하게 하는 기술[특허문헌 3]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심리진단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전문기관에 상담을 자동으로 예약시켜주는 기술[특허문헌 4]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온라인 상에서 내담자와 심리 전문가 간에 의사소통만으로 온라인 상으로 제공할 뿐, 심리 전문가 마다 자신만의 진단 방법이나 치료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59009호 (2014.05.15.공개)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7492호 (2012.08.07.공개)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6726호 (2012.03.20.공개)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5310호 (2009.02.12.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심리지원 전문가의 온라인 상담 공간에서 심리진단 또는 심리치료를 하는 프로그램 도구를 각자에 맞게 구성하도록 지원하되, 심리치료 도구를 템플릿으로 제공하고, 각 전문가가 상기 템플릿의 세부 내용을 설정하도록 제공하는,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심리지원 전문가가 자신만의 독자적인 심리진단 또는 심리치료 프로그램 도구를 자신의 온라인 상담 공간에 로딩하여, 내담자가 로딩된 심리치료 도구를 이용하도록 하는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심리치료 도구의 템플릿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수단; 상기 템플릿의 세부 속성에 대한 속성값을 입력받아, 상기 템플릿의 속성을 설정하는 속성 설정수단; 상기 템플릿의 심리치료 도구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도구데이터 입력수단; 및, 속성이 설정된 템플릿을 전문가의 심리상담 공간 내에 심리치료 도구로 로딩하는 도구 로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심리치료 도구의 템플릿은 진단 항목들로 구성되어 각 진단 항목들의 진단값을 입력하는 진단지 템플릿, 윤곽선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성되는 그림을 제공하고 상기 그림의 영역 내에 색상을 칠하는 그림영역 채우기 템플릿, 다수의 브러시를 제공하고 그림을 자유롭게 그리는 그림 그리기 템플릿, 글이나 그림을 작성한 종이를 촬영하여 올리는 촬영 템플릿, 음악 또는 소리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오디오 치료 템플릿, 음성 및 화면을 동시에 제공하는 비디오 치료 템플릿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속성 설정수단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여, 속성 후보 값들을 리스트로 제시하고,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면 속성값이 정해지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구 데이터 입력 수단은 상기 도구 데이터를 데이터 파일로서 입력받아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심리치료 도구는 플래시 또는 HTML 5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심리지원 전문가에게 자신만의 독자적인 심리진단 또는 심리치료 도구를 로딩하여 이용하게 함으로써, 각 심리지원 전문가는 자신만의 심리 진료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내담자는 다양한 진료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심리지원 전문가에게 심리치료 도구를 작성시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독자적인 심리치료 도구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프레임 기반 온라인 심리 상담소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오픈프레임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오픈프레임 기반의 플랫폼 및 서비스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오픈프레임 기반의 플랫폼 및 서비스를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담 사이트의 상담사 광고 서비스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에 구현되는 심리치료 도구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문가 검색 화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증진 플랫폼 내 내담자(고객) 측면의 서비스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증진 플랫폼 내 전문가 측면의 서비스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심리 상담소 시스템의 통합 플랫폼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다수의 전문가 단말(11) 및 내담자 단말(12), 상담지원 서버(30), 및, 네트워크(20)로 구성된다. 또한, 전문가 정보, 내담자 정보, 진료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문가 단말(11) 및 내담자 단말(12)은 심리지원 전문가 또는 내담자 등 사용자가 이용하는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 전문가 단말(11) 및 내담자 단말(12)은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넷북, PDA, 스마트폰 등이 있다. 전문가 단말(11) 및 내담자 단말(12)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온라인 심리 상담소 시스템 서버(이하 상담지원 서버)(3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심리지원 전문가는 전문가 단말(11)을 통해 상담지원 서버(30)에 접속하여, 상담지원 서버(30)가 제공하는 전문가 풀에 자신의 심리상담 공간을 개설하고 운영한다. 내담자는 내담자 단말(12)을 통해 전문가 풀에서 특정 심리상담 공간을 접속하여 심리 상담을 요청하여 진료를 받는다. 즉, 전문가 또는 내담자는 전문가 단말(11) 또는 내담자 단말(12)을 통해 심리 상담을 위한 작업들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전문가 또는 내담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설명은 상기 전문가 단말(11) 또는 내담자 단말(12)을 통해 수행하는 작업임을 의미한다. 또, 도면부호 11 또는 12를 단말 이외에 내담자 또는 전문가에게도 붙이기로 한다.
심리지원 전문가는 상담지원 서버(30)가 제공하는 가상 심리상담 공간에서 자신의 전문분야의 다양한 접근법(인지적 접근, 행동수정 접근, 미술치유, 음악치유 등)을 이메일, 전화, 문자, 그림,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써 내담자에게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내담자는 전문가 풀에서 전문가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문가의 심리지원 공간에 접속하여 심리 상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담지원 서버(30)는 통상의 서버로서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심리상담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전문가들의 상담소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상담지원 서버(30)는 일종의 웹서버 또는 웹서비스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문가 또는 내담자에게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특히, 서버(30)는 처리된 결과를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 받는다. 상기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도 포함한다.
상담지원 서버(30)는 전문가(11)을 등록하여 관리하고, 상기 전문가(11)에게 온라인상의 심리상담 공간을 제공하고, 상담지원 프로그램 도구 등을 제공하거나 등록시킬 수 있게 한다. 상담지원 서버(30)는 사용자를 전문가로 가입하여 등록하면, 각 전문가를 심사하여 심리상담 공간을 개설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데이터베이스(30)는 심리지원 전문가에 관한 정보 및, 개설된 심리상담 공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문가DB(41), 내담자 정보를 저장하는 내담자DB(42), 상담 내용이나 상태 등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담정보DB(43)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또는 상담지원 서버(3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심리지원 전문가와 내담자(고객)간 양방향 심리지원소통이 가능한 신개념의 오픈프레임 정신건강증진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을 포함한 플랫폼구성로써 전문가에게는 보다 유연한 근로형태로 경제활동참여율을 높이고 내담자에게는 다양한 전문가 풀이 제공됨으로써 폭넓은 선택과 심리지원 및 정신건강증진을 제공한다.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심리지원이 가능한 전문가 및 전문가그룹이 독립된 온라인 공간을 제공받은 후에 전문가들의 전문분야의 다양한 접근법(인지적 접근, 행동수정 접근, 미술치유, 음악치유 등)을 이메일, 전화, 문자, 그림,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써 내담자에게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문가의 근로 형태는 스마트워크(Smart Work/ 장소, 시간에 상관없이 정보 공유 및 상호협력)와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일자리창출에 이바지한다.
내담자들이 본 서비스 공간 내에서 다양한 전문가들과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심리지원 도구, 접근법 및 프로그램들을 활용하여 본인의 상태와 성향에 최적화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한다.
전문가들이 심리지원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 및 심리지원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러한 활동이 상담자의 수익으로 연결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성 및 제공함으로써 상담자들의 자생적 활동을 활성화하고, 이것이 구성된 플랫폼의 성장과 발전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상담자를 위한 선순환적 서비스를 창출한다.
본 발명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웹 사이트와 서비스의 운용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한다. 구성하고자 하는 웹 사이트는 내담자와 전문가 모두에게 직관성이 충분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내담자가 원활한 심리지원을 받기 위한 준비, 선택, 심리지원 과정을 최대한 직관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웹과 모바일 환경으로 모두 구성한다. 심리지원 공간을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전문가에게 제공하고, 외부의 소프트웨어를 쉽게 연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또한 전문가가 새로운 심리지원 도구 및 프로그램을 쉽게 구성할 수 있는 플랫폼(사이트 내 실험실)을 구성한다.
구성된 웹 사이트와 소프트웨어는 참여기업과 공동으로 상용화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규격과 보안성을 고려하여 구성한다.
먼저, 플랫폼운영 측면의 서비스 구성을 설명한다.
전문가의 자격확인 및 검증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 심리학회에서 인정하는 수련을 거쳐 자격증을 취득한 자로써, 관련기관에 의뢰하여 자격 지위여부를 확인 후 전문가로써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이에 동등한 자격에 준하는 자격증 및 경력이 인정되는 경우, 보유한 자격여부를 공개하고 등급을 나눌 수 있다.
전문가 규모(인원수)에 따라 개인, 그룹, 센터로 등록이 가능하며 이에 규모별 지원하는 온라인공간의 특성은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전문가들이 선택할 수 있다. 전문가는 전문가자격을 갖춘 개인, 슈퍼바이저자격을 갖춘 전문가와 수련생으로 이루어진 그룹, 또는 온라인 공간 및 온라인 시장을 활용하기 위한 기존의 오프라인 센터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전문가 풀의 구성 및 제공 서비스를 설명한다.
전문가 풀구성 및 전문가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협업, 심리지원 프로그램구성지원 등의 구성이 포함된다.
전문가의 보유 자격확인을 통한 심리지원의 각 분과 및 분야별로 전문가 풀을 구성하게 되며, 모든 분야의 전문가들이 타 분과 및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이 필요한 경우 보유 전문가 풀 안에서 협업요청이 가능하고 협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온라인상의 협업공간을 제공하며, 전문가의 심리지원 접근법(텍스트, 이미지, 영상, 오디오 등)에 따른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전문가는 전문가매칭시스템의 알고리즘에 맞춰 해당범주와 본인이 활용하거나 활용 가능한 심리 및 정신건강 측정, 지원 접근법을 선택하여 제공한다.
등록된 전문가들은 자체 구성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으며, 제안된 프로그램은 기본전문위원집단의 심사를 거쳐 실험(참여자들에게 적용)을 통해 효과가 입증된 경우 정식계약을 통해 프로그램을 등록하여 활용하고 구성자에게 수익을 제공한다. 이때, 전문가들이 온라인상으로 구현 가능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함에 있어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전문가 활동의 평가 및 전문가 자격의 유지 및 철회 방법을 설명한다.
기본 전문위원단을 구성하여 전문위원단은 전문가 자격확인 및 검증, 구성 심리지원프로그램의 평가, 자체 심리지원 프로그램 구성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전문가 집단은 다음과 같이 체계적으로 관리를 한다.
기본적으로 전문가집단의 분야별 및 범주별 분류를 통한 전문가 서치 가능하고, 전문가의 근로형태(유연근로제 채택)에 따른 운영현황 파악한다. 전문가는 심리지원현황을 정해진 형식에 맞춰 저장하고 추후 고객이 타 전문가의 심리지원을 요청할 경우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문가는 내담자의 실명 및 개인정보는 열람할 수 없으며 심리지원내용을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없도록 보안설정이 이뤄진다. 각 분과별 및 분야별 전문가 풀이 부족한 경우, 기본 전문위원단의 협조를 통해 외부 전문가를 추가 영입하여 원활한 심리지원이 이뤄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내담자(고객)의 심리지원서비스 만족도 확인 방법을 설명한다.
내담자는 심리지원서비스를 받은 후, 전문가에 대한 서비스만족도를 작성할 수 있으며 다른 내담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공개한다. 또한, 내담자의 심리지원서비스 만족도 작성 참여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전문가 광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가입한 전문가에게 홍보기능을 제공하고, 광고는 배너 광고, 할인쿠폰 등의 홍보전략들이 있다.
다음으로, 내담자(고객) 측면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회원 관리를 설명한다.
개인 및 단체가 가입 가능하며, 개인별로 관리 및 이용 가능하며, 회원가입 시 기본정보동의와 개인 정보 활용 동의를 하며 서비스이용 시 실명이 아닌 예명과 가입 시 부여받은 고유번호로 자료가 저장되며 관리된다.
심리(정신건강)상태 및 성향의 확인을 위한 무료의 기본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구성된 웹 사이트내에 기본 심리(정신건강)검사가 제공되어 자가 확인이 가능하고 결과에 따른 자가 정신건강증진방안과 적합한 심리지원 방안 제공한다.
또한, 표준화된 검사 툴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DASS-21는 우울, 불안, 그리고 스트레스에 대한 측정검사 도구이고, Holmes-Rahe는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측정검사 도구이다.
다음으로 내담자의 다양한 조건 및 환경을 고려한 전문가 추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내담자는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심리지원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은 웹사이트 내에서 제공한다. 지역적, 분야별 등 고객이 원하는 범주 선택에 따른 전문가 검색기능이 제공된다.
탑재된 심리검사결과에 따른 심리지원방안, 맞춤 전문가 매칭기능을 제공하고, 내담자가 원하는 심리 및 정신건강 평가접근법을 선택하여 해당 접근법을 활용하는 전문가 매칭기능을 제공한다.
내담자의 기호에 맡은 다양한 형태의 상담 도구 방법을 설명한다.
이메일, 문자, 전화, 스마트폰, 화상 전화 등 스마트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심리지원서비스 제공된다.
전문가별로 텍스트, 이미지, 영상, 오디오를 활용한 다양한 심리 및 정신건강 평가접근법이 제공되며 내담자는 제공되는 심리지원접근법 중 본인의 기호에 맞춰 선택하여 서비스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질문지, 그림그리기, 영상시청 후 반응, 소리자극에 의한 반응 등을 통한 다양한 평가, 상담, 음악치료, 미술치료, 인지치료 등의 다양한 심리지원을 포함한다.
전문가 측면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전문가는 본인의 업무(심리지원)만 충실할 수 있도록 제반사항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모두 제공받을 수 있다.
전문가의 가입 방법을 설명한다. 개인, 분야별 그룹(슈퍼바이저를 포함한 수련생집단), 센터 등이 가입가능하며, 가입 시 국가공인 자격증 및 전공, 경력에 따라 분야별, 등급별 분류를 통해 전문가 자격검정을 실시하고 근로형태는 스마트워크와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여 본인이 선택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근로형태를 갖춘다.
구성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전문가들이 쉽게 심리지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독립된 오픈형 온라인 공간을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전문가에게 제공되는 오픈형 온라인 공간은 독립된 개별 크리닉 센터의 개념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제공된 온라인공간에 전문가의 정보 및 활용 접근법등을 공개, 홍보가능 하다. 따라서 오프라인센터구축에 소요되는 비용 절감으로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심리지원서비스구현의 환경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전문가들에게는, 넒은 시장범위, 즉, 온라인을 통해 인터넷사용이 가능한 전국의 신규고객창출가능하다.
전문가들의 업무형태(스마트워크와 유연근무제 적용)선택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전문가는 스마트워크와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여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한 업무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업무시간과 형태를 본인이 선택하여 설정가능하다. 스마트워크로 육아양육, 외딴 거주지, 신체의 불편함 등의 상근직 문제 극복할 수 있다.
상담자들의 심리지원활동을 위한 심리지원 가이드 및 운영 가이드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전문가별 맞춤 운영가이드라인 제공하고, 웹 환경 호환성 여부 확인 및 조작여부 확인 후 교육하고, 웹 환경 호환성 및 조작여부 측정의 기술적 명시하고, 전문가 별 상담 및 심리지원 가이드라인 제공한다.
내담자의 분석 및 검사를 위한 기본적인 프로그램 보유 및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내담자의 분석을 위해 표준화된 심리 및 정신건강 측정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내담자가 심리지원 요청 시 필요한 경우 사전측정을 요구하여 검사결과활용가능 하다.
전문가가 전문적으로 활용하거나 활용 가능한 심리(정신건강)측정 및 지원 접근법에 따른 서비스구현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문가들을 위한 온라인 결제 시스템 제공한다.
전문가들이 새로운 심리지원서비스 및 도구를 구성할 수 있는 구성도구를 설명한다. 또한, 심리검사도구의 신 도구 구성의 검증 및 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텍스트, 이미지, 영상, 오디오등을 활용한 기본 틀을 제공하고 제안하는 신규 검사 도구에 대해 전문 인력 팀 및 자문단이 변환, 검증 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문가들에 의해 구성된 새로운 서비스 및 도구의 확대 및 수익창출을 위한 시스템 구성 방법을 설명한다.
등록된 전문가들은 자체구성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으며, 제안된 프로그램은 기본전문위원집단의 심사를 거쳐 실험(참여자들에게 적용)을 통해 효과가 입증된 경우 정식계약을 통해 프로그램을 등록하여 활용하고 구성자에게 수익을 제공한다. 이때, 전문가들이 온라인상으로 구현 가능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함에 있어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전문가 중심의 수익 모델 및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 및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심리지원 기본도구(이메일, 전화, 화상통화 등) 에 대해서는 지정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는 본인이 활용하는 특수한 심리지원 접근별 시간당, 건별 수익금 지정 가능: 특진료 개념을 도입한다. 또한, 기업 및 조직관리 및 심리지원에 지원하는 경우, 정규직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 : 전문가 단말 12 : 내담자 단말
20 : 네트워크 30 : 상담지원 서버
40 : 데이터베이스 31 : 전문가DB
32 : 내담자DB 33 : 상담정보DB

Claims (5)

  1.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심리치료 도구의 템플릿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수단;
    상기 템플릿의 세부 속성에 대한 속성값을 입력받아, 상기 템플릿의 속성을 설정하는 속성 설정수단;
    상기 템플릿의 심리치료 도구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도구데이터 입력수단; 및,
    속성이 설정된 템플릿을 전문가의 심리상담 공간 내에 심리치료 도구로 로딩하는 도구 로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심리치료 도구는 인지적 접근, 행동수정 접근, 미술 치유, 및, 음악 치유를 포함하는 심리지원 접근법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심리치료 도구는 이메일, 전화, 문자, 그림,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제공하고,
    상기 심리치료 도구는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으로 작성되고,
    상기 심리치료 도구는 심리 상담 시 활용되되, 각 내담자에 따라 다수의 심리치료 도구 중에서 선택적으로 활용되고,
    상기 심리치료 도구의 템플릿은 진단 항목들로 구성되어 각 진단 항목들의 진단값을 입력하는 진단지 템플릿, 윤곽선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성되는 그림을 제공하고 상기 그림의 영역 내에 색상을 칠하는 그림영역 채우기 템플릿, 다수의 브러시를 제공하고 그림을 자유롭게 그리는 그림 그리기 템플릿, 글이나 그림을 작성한 종이를 촬영하여 올리는 촬영 템플릿, 음악 또는 소리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오디오 치료 템플릿, 음성 및 화면을 동시에 제공하는 비디오 치료 템플릿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속성 설정수단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여, 속성 후보 값들을 리스트로 제시하고,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면 속성값이 정해지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처리하고,
    상기 도구 데이터 입력 수단은 상기 도구 데이터를 데이터 파일로서 입력받아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치료 도구는 플래시 또는 HTML 5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KR1020150054245A 2015-04-17 2015-04-17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KR102423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245A KR102423347B1 (ko) 2015-04-17 2015-04-17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245A KR102423347B1 (ko) 2015-04-17 2015-04-17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30A KR20160123730A (ko) 2016-10-26
KR102423347B1 true KR102423347B1 (ko) 2022-07-20

Family

ID=5725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245A KR102423347B1 (ko) 2015-04-17 2015-04-17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585B1 (ko) * 2016-12-23 2019-01-30 이광순 가상현실 환경구성을 이용한 심리 진단 시스템
KR101943644B1 (ko) 2018-03-08 2019-01-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목표 지향 긍정적 심리치료를 위한 보드게임
KR102241804B1 (ko) * 2019-09-04 2021-04-19 (주)알에프캠프 상담 대상자의 드로잉 과정을 통해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06285B1 (ko) * 2019-11-25 2022-06-08 김오현 Vr 기기를 이용한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09139A (ko) 2021-01-28 2022-08-04 장용희 게임자 성향을 알아볼 수 있는 보드게임 도구
KR102654594B1 (ko) 2021-03-18 2024-04-04 홍은정 비대면 심리 치료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5657A (ja) * 2005-03-31 2006-10-19 Ryozo Saito 心理検査システム及び心理検査方法
JP2014061455A (ja) * 2014-01-16 2014-04-10 Kikuo Awano 心理検査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642A (ko) * 1999-02-24 2000-09-15 윤종용 스크립트 시스템
KR20090015310A (ko) 2007-08-08 2009-02-12 (주)넷피온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진단결과에 기초한 진료 또는 상담의자동예약시스템 및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심리상담시스템
KR20120026726A (ko) 2010-09-10 2012-03-20 신용민 가상의 대상과 소통을 위한 대화형 시스템
KR101214370B1 (ko) 2011-01-28 2012-12-21 (주) 마이크로사이텍 키오스크와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진단 장치
KR20140059009A (ko) 2012-11-07 2014-05-15 김성 인터넷을 이용한 성중독증 치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5657A (ja) * 2005-03-31 2006-10-19 Ryozo Saito 心理検査システム及び心理検査方法
JP2014061455A (ja) * 2014-01-16 2014-04-10 Kikuo Awano 心理検査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30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8481B1 (ko) 오픈 프레임 기반 온라인 심리 상담소 시스템
KR102423347B1 (ko) 온라인 심리상담을 위한 심리치료 도구 관리 시스템
Gerassi et al. Design strategies from sexual exploitation and sex work studies among women and girls: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a hidden and vulnerable population
Biron et al. The impact of structural empowerment on individual well-being and performance: Taking agent preferences, self-efficacy and operational constraints into account
Olson et al. Strategic decision making: The effects of cognitive diversity, conflict, and trust on decision outcomes
Holtz et al. Understanding nurse perceptions of a newly implemen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Clark et al. The power dynamics and politics of survey design: Measuring workload associated with teaching, administering and supporting work-integrated learning courses
Bhattacharya et al. Health system strengthening through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analysis from the available evidence
US10297167B2 (en) Online personality testing providing individual contextual assessments in a secure integrated environment
Tsaur et al. Promoting relationship marketing of tour leaders’ blog: The role of charisma
Chaudhry et al. Testing the success of real-time online delivery channel adopted b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Lata et al. The nexus of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engagement with academic staff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politics
Cascón-Pereira et al. HRM devolution to middle managers: Dimension identification
Wilson et al. Beyond study participants: a framework for engaging patients in the selection or development of clinical outcome assessments for evaluating the benefits of treatment in medical product development
Joo et al. Investigation of factors that influence public librarians’ social media use for marketing purposes: An adop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Kim et al. How to encourage employees’ acceptance of performance appraisal systems in Korean nonprofit organizations? An empirical exploration of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and organizational culture
Ptyushkin et al.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disability assessment in Slovenia: state of law and users' perspective
Clark et al. A tutorial guide about how to manage a client-financed project
KR20190008627A (ko)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오픈 프레임 기반의 플랫폼
Pretlow et al. Rethinking library service: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with service blueprinting
Long et al. Employee assistance programmes in China: a state‐of‐the‐art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Migliore et al. Supporting employment consultants in their work with job seekers: A longitudinal study
Tari Improving service quality in a Spanish police service
Marcu et al. Tensions in representing behavioral data in an electronic health record
McAllister Change management for library technologists: a LITA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