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272A - 승용 이앙기 - Google Patents

승용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272A
KR20020091272A KR1020027014783A KR20027014783A KR20020091272A KR 20020091272 A KR20020091272 A KR 20020091272A KR 1020027014783 A KR1020027014783 A KR 1020027014783A KR 20027014783 A KR20027014783 A KR 20027014783A KR 20020091272 A KR20020091272 A KR 20020091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case
clutch
gear
shaft
clutch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9641B1 (ko
Inventor
아케우찌오사무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기체의 대형화를 회피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고, 제조시의 조립성, 점검시의 보수관리성을 좋게 한, 미션케이스의 클러치기구를 제공함과 아울러, 마찰판, 마찰부 등의 마찰부분에 있어서의 늘어붙음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미션케이스(6)의 양측면으로부터 입력축(56)을 돌출시키고, 상기 입력축(56)의 일측에는 엔진(5)과의 사이의 변속기구(13)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클러치기구(14)를 설치하고, 또한, 이 클러치기구(14)를 수납하는 클러치실(87)을 연통하는 통로(163)를, 미션케이스(6)의 벽면(6b)에 설치한다.

Description

승용 이앙기{RIDING RICE TRANSPLANTER}
종래의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의 클러치기구로서는, 상기 엔진의 출력축과 미션케이스로의 입력축 사이에, 벨트장력클러치로 되는 외부클러치기구를 끼어설치하거나, 또는, 미션케이스 내의 입력축을 이중구조로 하고, 전달경로 도중부에 내부 클러치를 설치하도록 하여,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의 차단 및 접속을 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미션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한 클러치기구의 윤활은, 미션케이스 내에 주입하여 순환시키는 윤활유에 의해 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외부클러치기구는, 입력축의 입력측과 동일측에 있어서, 풀리로 되는 전달부재가 항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큰 공간이 필요로 되고, 기체의 대형화를 초래한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후자의 내부클러치기구는, 미션케이스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지 않고, 제조시의 조립성, 점검시의 보수관리성이 나쁘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내부클러치기구는, 미션케이스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지 않고, 제조시의 조립성, 점검시의 보수관리성에 열악하다라는 문제가 있고, 게다가, 기복이 심한 포장 등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내부클러치기구에 대한 오일면 변화가 현저하며, 오일면으로부터 완전히 올라가버려, 늘어붙음이 발생한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승용 이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미션케이스에 있어서의 클러치기구의 설치구성, 및 윤활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승용 이앙기의 전체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차체프레임으로와 미션케이스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엔진과 미션케이스 사이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미션케이스 전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미션케이스 앞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미션케이스 후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미션케이스 전체의 평면전개 단면도이다.
도 9는, 미션케이스 앞부의 평면전개 단면도이다.
도 10은, 미션케이스 후부의 평면전개 단면도이다.
도 11은, 미션케이스 앞부에 있어서의 입력축으로부터 PTO출력축까지의 동력전달구성을 나타내는 평면전개 단면도이다.
도 12는, 클러치기구를 나타내는 평면전개 단면도이다.
도 13은, 미션케이스 앞부에 있어서의 부변속축으로부터 주변속축까지의 동력전달구성을 나타내는 평면전개 단면도이다.
도 14는, 주변속축의 브레이크기구를 나타내는 평면전개 단면도이다.
도 15는, 주클러치페달에 의한 클러치조작을 나타내는 기체 앞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볏모보충레버에 의한 클러치·브레이크조작을 나타내는 기체 앞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주클러치페달ㆍ볏모보충레버에 의한 클러치ㆍ브레이크조작을 나타내는 기체 앞부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클러치기구의 윤활구성을 나타내는 미션케이스 전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안정주행자세에 있어서의 클러치실의 오일면 위치를 나타내는 미션케이스 앞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0은, 경사자세에 있어서의 클러치실의 오일면 위치를 나타내는 미션케이스 앞부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에 입력하고, 이 미션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를 설치한 것이고, 상기 클러치기구는, 착탈가능한 커버부재에 의해 덮여져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미션케이스의 양측면으로부터 입력축이 돌출되고, 이 입력축의 일측에는 상기 엔진과의 사이의 변속기구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클러치기구를 설치한 것이며, 상기 미션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전달축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미션케이스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고, 상기 전달축보다 일축 전동 하류측의 인접전달축을 지지하는 인접지지체는, 측면에서 바라봐서 상기 클러치기구의 클러치외경에 적어도 일부 겹쳐짐과 아울러, 이 인접지지체를 미션케이스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미션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클러치기구를 수납하는 클러치실과 미션케이스를 연통하는 유로를, 클러치기구가 배치되는 미션케이스의 벽면에 형성한 것이고, 상기 유로는, 안정주행자세로 있는 미션케이스에 있어서, 기체진행방향 좌측면에서 바라봐서 상기 벽면의 제3상한 내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본 발명에 관한 승용 이앙기의 전체구성에 관해서, 제1도~제3도에 의해 설명한다.
승용 이앙기는, 주행차량(1)은, 이 주행차량(1)의 후부에 연결한 식부(植付)부(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행차량(1)의 앞부 및 후부에는 각각 전륜(2)과 후륜(3)이 현가되고, 차체프레임(4)의 앞부에는 동력부인 엔진(5)이 탑재되어 있다.
이 엔진(5) 후방의 차체프레임(4)의 좌우 대략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미션케이스(6)가 배치되어 있고, 이 미션케이스(6)의 앞부에 전륜(2)이 지지되고, 후부에 후륜(3)이 지지되어 있다. 엔진(5)을 덮는 본네트(22)의 양측에는 예비모 탑재대(90)가 배치됨과 아울러, 차체커버(20)에 의해서 미션케이스(6) 등이 덮여져 있다. 상기 차체프레임(20)의 후상부에는 운전대(7)가 설치되고, 차체커버 (20)의 앞부의 본네트(22)의 후방에는 조향핸들(8)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식부부(9)는, 4조 심기로 한 모탑재대(91)나 복수의 식부고리(93)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앞이 높고 뒤가 낮게 배치된 모탑재대(91)를 하부레일(95) 및 가이드레일(96)을 통해서 식부 전동프레임(92)에 좌우왕복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회전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선단이 타원형상 궤적을 그리는 식부고리(93)가, 식부 전동프레임(92)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2) 및 후륜(3)을 주행구동하여 이동시킴과 아울러, 좌우로 왕복슬라이딩가능한 모탑재대(91)로부터 한그루만큼의 모를 식부고리(93)에 의해서 꺼내고, 연속적으로 모심기작업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식부 전동프레임(92)의 앞부에는, 롤링지점축(17)을 통해서 피치(94)가 설치되고, 이 피치(94)는, 피치(94) 상부에 피벗되어 있는 톱링크(11)와, 피치(94) 하부에 피벗되어 있는 하부링크(12)를 포함하는 승강링크기구(10)를 통해서 주행차량 (1)의 후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중 톱링크(11)는, 배면에서 바라봐서 역 U자형상의 후부프레임(43)의 상부에 축지지되는 한편, 하부링크(12)는, 앞부에 측면에서 바라봐서 삼각형상의 지지체(12a)를 갖고, 이 지지체(12a)의 앞부가, 상기 후부프레임(43)의 하부에 축지지됨과 아울러, 지지체(12a)의 상부에는, 승강링크기구(10)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실린더(15)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부프레임(43)은, 상기 미션케이스(6)의 후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후부차축 케이스(38)에 설치플레이트(39)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승강링크기구(10) 승강가능한 평행링크가 형성되어있고, 포장의 요철에 맞추어서 승강시켜도, 식부된 모의 식부자세가 바뀌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후부프레임(43)은 승강링크기구(10)의 지지부로서도 겸용되고 있고, 식부부(9)의 안정한 승강, 부품점수의 삭감, 구성의 심플화가 도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체(12a)의 상부와 하부링크(12)의 후단부 사이에는 보강암 (12b)이 연결되어 있고, 하부링크(12)의 강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운전대(7) 등이 설치되는 차체커버(20)에는, 주변속 레버(75), 볏모보충레버(76), 부변속레버(72), 식부승강레버(77), 주클러치페달(74), 브레이크페달 (73) 등이 배치되고, 식부부(9)의 하부에는, 식부부(9)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는 균평용 센터 플로우트(97)는, 주행차량(1)의 좌우 중심선 상에 배치되고, 센터 플로우트(97)의 좌우 대칭위치에 사이드 플로우트(98ㆍ99)가 배치되어서, 식부부(9)의 좌우의 균형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식부자세를 안정시켜서, 정확하게 식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전체구성을 갖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6)에 관한 각 부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미션케이스(6)의 주행차량(1)으로의 설치구성에 관해서, 제1도~제4도에 의해 설명한다.
미션케이스(6)를 설치하는 상기 차체프레임(4)은, 평면에서 바라봐서 확개한 대략 U자형상을 이루는 앞면 플레이트(40)와, 미션케이스(6)와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41ㆍ42)과, 상기 후부 프레임(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41ㆍ42)의 앞끝부는, 앞면 프레임(40) 배면에 연결됨과 아울러, 사이드 프레임(41ㆍ42)의 전후방향 대략 중앙부(41a,42a)보다 후방측은, 상방으로 향하여 굴곡형성된데다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41ㆍ42)의 뒤끝부에는, 상기 후부 프레림(43)의 폐쇄측 상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후방향 대략 중앙부(41a,42a)보다 후방에는, 센터연결프레임(46)이 횡으로 가설되고, 전후방향 대략 중앙부(41a,42a)보다 전방에는, 앞면 연결프레임 (45)이 횡으로 가설되어 있고, 상기 앞면 연결프레임(45)의 양측 끝부와 상기 앞면 프레임(40)의 양측 끝부의 사이에는, 평면에서 바라봐서 L자형상으로 구부러진 스페이(29)가 끼워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29)의 외측에는 각진파이프형상의 지지부(28)가 고정되고, 이 지지부(28)에 상기 예비 모탑재대(90)의 지주(90a)가 끼워넣어져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면 연결프레임(45)에서 사이드 프레임(41ㆍ42)보다 양측방으로의 연장부에는, 보강판(47)이 설치되어 있고, 이 보강판(47)에 의해, 상기 지지부(28)와 사이드 프레임(41ㆍ42) 사이는 강고하게 연결되고, 예비 모탑재대(90)의 지주(90a)를 확실하게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면 프레임(40)의 좌우중앙보다 후하방을 향하여 평판형상의 지지부재(50)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이 지지부재(50) 상에 상기 엔진(5)이 얹어놓여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50)의 뒤끝부는 상기 연결프레임(45)에 의해서 지지됨과 아울러, 지지부재(50)에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개구부(50aㆍ50b)가 뚫어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50aㆍ50b)는, 기체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엔진(5)의 방열효과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지지부재(50)는 평판형상이기 때문에, 엔진(5) 하부의 보호커버로서도 이용가능하고, 별도 보호커버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점수의 삭감, 경량화할 수 있고, 또는 조립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절감이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미션케이스(6)의 앞끝부는, 상기 지지부재(50)의 뒤끝부 상면에 설치된 설치부재(49)에 연결됨과 아울러, 미션케이스(6)의 전후 도중부는, 상기 센터 연결프레임(46)의 기체 폭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된 설치부재 (48)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48)의 상부에는, 상기 식부부(9)를 승강시키는 유압식 승강실린더(15)의 기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미션케이스(6)의 후부는, 일체적으로 설치된 후부차축 케이스(38)를 통해서, 설치플레이트(39)에 의해서 후부프레임(43) 아래끝에 연결되어 있다.
즉, 차체프레임(4)에 미션케이스96)의 앞, 뒤, 중앙을 연결함으로써, 미션케이스(6)를, 차체프레임(4)과 함께 이앙기의 유효한 강도보강부재로서 기능시키고, 차체프레임(4)의 수평, 수직, 뒤틀림방향의 강성 및 강도를 크게 향상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에, 미션케이스(6)의 개략 구조에 관해서, 제1도, 제5도~제10도에 의해 설명한다.
미션케이스(6)의 앞부에는, 각종 변속기구가 내부설치되는 변속실(60)이 형성되고, 이 변속실(60)의 좌우 양측면에는 앞면 후부차축 케이스(37)가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앞면 후부차축 케이스(37)의 좌우 끝부보다 하방으로 향하해서는 차체케이스가 고정설치되고, 이 차체케이스의 아래끝부에 전륜(2)을 고정설치하는 앞부 차륜축(66)이 축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미션케이스(6)의 뒤끝부에는, 축심을 좌우방향으로 유지하는 통형상의 후부차축 케이스(3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후부차축 케이스(38) 내에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사이드 클러치기구(79), 중간축(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축(31)의 좌우 양끝부에는 감속기어(32)가 고정설치되고, 이 감속기어(32)는 감속기어(33)에 맞물려지고, 이 감속기어(33)는, 상기 후륜(3)을 외측 끝부에 고정설치한 후부 차륜 구동축(69)의 내측 끝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감속기어(32ㆍ33)의 외측에는, 후부 차륜 구동축(69)을 축지지하는 최종케이스(16)가 덮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앞면 차축케이스(37)와 후부 차축케이스938)를 미션케이스(6)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면, 미션케이스(6)에 의해 전후 차륜(2ㆍ3)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기체 강도보강부재로서의 프레임의 일부를 담당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차체프레임(4)으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실(60)의 우측부에는, 식부 전달실(34)이 형성되고, 이 식부 전달실(34)의 후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축심을 갖는 식부PTO축(65)가 축지지되어 있고, 이 식부PTO축(65) 뒤끝은, 도시하지 않은 PTO전동축 등을 통해서 상기 식부부 (9)에 연결되고, 모심기장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변속실(60)의 좌측부에도, 시비(施肥) 전달실(201)이 형성되고, 이 시비 전달실(201)의 후부에 전후방향으로 축심을 갖는 시비 PTO축(202)이 축지지되고, 이 시비PTO축(202) 뒤끝은, 변속기 등을 통해서, 운전대(7) 후방의 측조(側條) 시비기(205)에 연결되고, 이 측조 시비기(205)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식부 PTO축(65)ㆍ시비PTO축(202)은, 모두 미션케이스(6)의 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식부부(9)를 승강시켰을 때에도 간섭되는 일없이, 동력을 안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미션케이스(6) 내로의 동력입력구성에 관해서, 제1도,제3도, 제4도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재(50) 상에는 엔진(5)이 얹어놓여져 고정됨과 아울러, 이 엔진 (5)으로부터 좌측방에는 출력축(52)이 돌출되고, 이 출력축(52) 상에, 한쌍의 접시형상의 원추풀리로 이루어지는 구동풀리(53)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션케이스(6) 앞부로부터는 입력축(56)이 측방으로 돌출되고, 이 입력축(56)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한쌍의 접시형상의 원추풀리로 이루어지는 종동 풀리(55)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종동풀리(55)와 상기 구동풀리(53) 사이에는 벨트(54)가 감겨져서, 벨트식 무단변속기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기구(13)에 있어서, 상기 원추풀리 간에 형성되는 홈폭을 변경함으로써, 각 풀리(53ㆍ55)의 유효지름을 자유롭게 변화시키고, 미션케이스(6) 내로,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미션케이스(6) 내에 있어서의 동력전달구성에 관해서, 제4도~제6도, 제9도~제11도, 제13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4도~제6도,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속실(60)에 있어서는, 입력축(56)의 경사 아래 후방으로, 부변속축(63), 주변속축(61)이 순서대로 평행하게 축지지되고, 또한, 이 중 부변속축(63)의 후방에는, 후진축(67), 그루간 변속축 (68), PTO 출력축(64)도 순서대로 평행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중 입력축(56)의 한끝은, 상기한 바와 같이, 벨트식 무단변속기구(13)를 통해서 엔진(5)의 출력축(52)에 연속연동되어 있고, 상기 엔진(5)측의 구동풀리(53)와 미션케이스(6)측의 종동풀리(55)는 대략 직선상에 배치되고, 전륜(2) 및 후륜(3)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경로가 공간절약에서 효율이 좋은 배치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입력축(56)의 다른끝은, 미션케이스(6)보다 우외축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에 클러치기구(14)가 설치되는 한편, 입력축(56) 상의 좌우 대략 중앙에는, 대경 기어(121a)ㆍ소경기어(121b)로 이루어지는 2연결의 자유끼움기어 (121)가 배치되어 있고, 뒤에 상술하는 클러치기구(14)에 의해, 입력축(56)으로부터 자유끼움기어(121)까지의 동력전달이 차단접속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6)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6)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2)과 후륜(3)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6)의 일측면보다 입력축(56)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14)를 설치한 것이므로, 이 클러치기구(14)에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액세스가능하고, 클러치기구를 미션케이스(6)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 비해서, 제조시의 조립성, 점검 시의 보수관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6)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 (6)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2)과 후륜(3)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6)의 양측면으로부터 입력축(56)이 돌출되고, 이 입력축(56)의 일측에는, 상기 엔진(5)의 사이의 변속기구인 벨트식 무단변속기구(13)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클러치기구(14)를 설치한 것이므로, 기체의 좌우 균형이 양호하게 되고 주행안정성이 향상하며, 또한, 기체폭을 좁게 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는, 상기 변속기기의 사양변경, 예컨대, 벨트식 무단변속기구(13)로부터 유압식 무단변속기구로의 변경에 대해서는, 클러치기구(14)는 그대로 변속기구의 변경에만 대응가능하고, 클러치기구의 공유화에 의한 부품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11도,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변속축(63) 상에는, 우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자유끼움 기어(121)에 맞물림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맞춤한 2연결의 슬라이딩 기어(120)와, 고정기어(118)와, 대경기어(119a)ㆍ소경기어(119b)로 이루어지는 고정기어(119)가 배치되고, 이 중 슬라이딩기어(120)에는, 시프터 포크 (101)가 끼워맞춰져 있다. 이 시프터 포크(101)는 포크축(102)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포크축(102)은 상기 부변속레버(72)에 연결 연동되고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기어(120)는 저속기어(120a)와 고속기어(120b)로 구성되어 있고, 부변속기어(72)를 조작하여 슬라이딩 기어(120)를 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 기어(120)의 저속기어(120a)를 상기 자유끼움 기어(121)의 소경기어 (121b)와 맞물림으로써, 저속전달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대로, 슬라이딩 기어(120)를 좌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기어(120)의 고속기어(120b)를 상기 자유끼움 기어(121)의 대경 기어(121a)와 맞물림으로써, 고속전달가능하게 하여, 부변속기구(70)를 구성하고 있다.
제5도, 제9도, 제10도,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축(61) 상의 좌우 대략 중앙에는, 기어(122a)와 구동 스프로킷(122b)으로 이루어지는 동력분기기어(122)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동력분기기어(122)의 좌측에는 상기 고정기어(119)에 맞물림가능한 2연결의 슬라이딩기어(1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기어(124)에도 시프터 포크(103)가 끼워맞춰지고, 이 시프터 포크(103)는 포크축 (104)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포크축(104)은 상기 주변속레버(75)에 연결 연동되어 있다. 또한, 주변속축(61)의 우측 끝부에는 브레이크 기구(78)가 설치되어 있고, 이 브레이크기구(78)에 의해, 주변속축(61)을 제동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기어(124)는 저속기어(124a)와 고속기어(124b)로 구성되어 있고, 주변속레버(75)를 조작하여 슬라이딩기어(124)를 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기어(124)의 고속기어(124b)를, 상기 고정기어(119)의 대경기어(119a)와 맞물림으로써, 고속전달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대로, 슬라이딩기어(124)를 좌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기어(124)의 저속기어(124a)를 상기 고정기어(119)의 소경기어(119b)와 맞물림으로써, 저속전달가능하게 하여, 주변속기구(71)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주변속축(61) 상의 구동 스프로킷(122b)과 미션케이스(6) 후부의 종동 스프로킷(126) 사이에는, 체인장력부여부(86)에 의해 팽팽하게 설치된 체인(80)이 감겨지고, 주변속축(61)의 구동력이 후부 차륜구동축(69)에 전달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주변속축(61) 상의 기어(122a)에는, 좌우의 앞부 차륜구동축(62)을 구동하는 차동장치(81)의 링기어(123)가 맞물려져 있고, 동력분기기어(122)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후 2방향으로 분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동장치(81) 측부에는 디프락기구 (8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디프락기구(84)에 있어서는, 링기어(123)의 측끝부에 잠금용 기어(123a)가 형성되고, 이 기어(123a)에 앞부 차륜구동축(62) 상에 스플라인 걸어맞춤되어 있는 잠그체(136) 측면의 맞물림기어(136a)가 걸어맞춤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잠금체(136)는 스프링(85)에 의해서 외측으로 가압되고, 앞부 차륜구동축(62)의 단차부에 접촉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는, 링기어(123)의 기어(123a)와 잠금체(136) 측면의 맞물림기어(136a)가 걸어맞쳐지지 않은 비걸어맞춤위치로 되어 있고, 좌우의 앞부 차륜구동축(62ㆍ63)이 차동된다.
상기 잠금체(136) 외주면의 외측에는 홈(136b)이 형성되고, 미션케이스(6)에 피벗된 잠금조작핀(137) 앞부가 걸어맞춤되어 있다. 상기 잠금조작핀(137) 앞부에는, 편측을 반원형상으로 한 접촉부(137a)가 형성되는 한편, 반대측은 오목형상부 (137b)가 형성되고, 또한, 잠금조작핀(137) 기부에는 암(138)이 돌출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암(138)은, 제9도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잠금조작핀(137)의 접촉부 (137a)가 잠금체(136)의 홈(136b)에 위치하고, 잠금체(136)를 링기어(123)에 대해서 비걸어맞춤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암(138)이, 도시하지 않은 디프락조작 페달에 연동하여 회전이동되고, 잠금조작핀(137)이 회전되면, 접촉부(137a)에서 잠금체(136)를 눌러서, 맞물림기어(136a)와 기어(123a)가 걸어맞춰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서, 링기어(123)가 잠금체(136)를 통해서 앞부 차륜구동축(62)에 걸어맞춰진, 소위 「차동장치(81)의 잠금상태」로 되고, 좌우의 앞부 차륜구동축(62ㆍ62)이 차동되지 않는 디프락기구(84)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1도,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진축(67)의 좌측 절반에는,중간기어(127)가 고정설치되고, 이 중간기어(127)는, 상기 부변속축(63) 상의 고정기어(118)와 항시 맞물리는 입력기어(127a)와, 대경기어(127b)ㆍ소경기어(127d)와, 역전기어(127c)로 이루어지고, 이 역전기어(127c)는, 상기 주변속축(61) 상의 저속기어(124a)와 맞물림가능하다.
여기서, 주변속레버(75)를 조작하여, 주변속축(61)의 저속기어(124a)를 부변속축(63)의 고정기어(119)로부터 이탈시켜서 더욱 좌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이 주변속축(61)의 저속기어(124a)는, 후진축(67)의 역전기어(127c)와 맞물리도록 되고, 입력축(56)으로부터 부변속축(63)까지 전달되어 온 구동력은, 부변속축(63)→고정기어(118)→입력기어(127a)→후진축(67)→역전기어(127c)→저속기어(124a)→주변속축(61)과 같이 전달된다. 즉, 구동력은 그대로 주변속축(61)에는 전달되지 않고, 후진축(67)에서 일단 회전방향이 역전된 후, 역전의 구동력으로서 주변속축 (61)에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루 간 변속축(68) 상의 우측 절반에는, 제1기어(131a)ㆍ제2기어(131b)ㆍ제3기어(131c)로 이루어지는 고정기어(131)가 배치되고, 좌측 절반에는, 그루간 변속용 고리식 클러치(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리식 클러치(82)에 있어서는, 그루간 변속축(68) 상에, 내측면에 맞물림기어를 고정설치한 고속클러치기어(129)와 저속클러치기어(130)가 자유끼움되고, 이 중 고속클러치기어(129)는 상기 대경기어(127b)에, 저속클러치기어(130)는 상기 소경기어(127d)에 항시 맞물려져 있다.
또한, 이 고속클러치기어(129)와 저속클러치기어(130) 사이에는, 좌우 양측면에 맞물림기어를 고정설치한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28)가 스플라인 끼워맞춤됨과 아울러, 이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28)에는, 시프터 포크(106)가 끼워맞춰지고, 이 시프터 포크(106)는, 포크축(107) 상을 이동가능하게 외부로부터 끼워지고,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에 연결 연동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수단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28)를 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28)의 맞물림기어를 고속클러치기어(129)의 맞물림기어에 걸어잠춤으로써, 상기 후진축(67)에 입력된 구동력은, 대경 기어 (127b)→고속클러치기어(129)→슬라이딩 클러치고리(128)→그루간 변속축(68)→고정기어(131)와 같이 하여 고속전달가능하게 하고 있다.
반대로,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28)를 좌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28)의 맞물림기어를 저속클러치기어(130)의 맞물림기어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후진축(67)에 입력된 구동력은, 소경기어(127d)→저속클러치기어(130)→슬라이딩클러치고리(128)→그루간 변속축(68)→고정기어(131)와 같이 저속전달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9도,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O출력축(64)의 우측 절반에는 통체(108)가 자유끼움되고, 이 통체(108)의 외주에는, 스플라인 끼워맞춤한 슬라이딩기어(132)와, 상기 제3기어(131c)에 항시 맞물리는 자유끼움기어(133)가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다. 상기 슬라이딩기어(132)에는 시프터 포크(105)가 끼워맞춰져 있고, 이 시프터 포크(105)는, 상기 포크축(107) 상을 좌우이동가능하게 외부로부터 끼워짐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에 연결 연동되고 있다.
또한, 통체(108)의 좌방향에는, PTO출력축(64)으로의 구동력의 차단 및 접속을 행하는 PTO클러치(83)가 설치되어 있다. 이 PTO클러치(83)에 있어서는, 우측면에 맞물림기어를 고정설치한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34)가, PTO출력축(64)에 스플라인 끼워맞춤된데다가, 압압스프링(111)에 의해, 통체(108)의 좌측끝에 고정설치된 클러치기어(135)의 맞물림기어에 걸어맞춰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또한,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34)에는, 포크(109)가 끼워맞춰지고, 이 포크(109)는 미션케이스(6)에 피벗되는 조작축(11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축(110)에는, PTO 클러치레버를 겸용하는 상기 식부 승강레버(77)가 연결 연동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기어(132)를 좌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기어(132)의 좌측면으로부터의 돌출부(132a)를, 자유끼움기어(133)에 개구한 수용구멍부 (133a)에 걸어맞추면, 여기까지 소경의 상기 제1기어(131a) 또는 제2기어(131b)→슬라이딩 기어(132)→통체(108)와 절단되어 온 구동력은, 대경의 제3기어(131c)→자유끼움기어(133)→슬라이딩기어(132)→통체(108)의 순서로 전달되도록 되고, 통체(108)의 회전속도를 변속할 수 있다.
또한, 승강레버(77)를 조작하여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34)를 좌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서, 이 슬라이딩 클러치고리(134)의 맞물림기어와 상기 통체(108)의 클러치기어(135)의 맞물림기어와의 끼워맞춤을 해제하여, 통체(108)→ 클러치기어 (135)→슬라이딩 클러치고리(134)→PTO출력축(64)이라는 동력전달경로를 절단가능하게 하여, PTO클러치(83)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클러치기구(14)에 관해서, 제6도, 제11도, 제12도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력축(56)은 미션케이스(6)보다 우측 외측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고, 이 돌출부에, 우측 외측방향으로 개방한 팔형상의 회전이동체(145)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이동체(145)의 외주측면에는, 도너츠형상의 마찰판(145a)이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적층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판(145a)의 외주부에 형성된 간극에는, 외방에 설치한 도너츠형상의 마찰판(146a)의 외주부가, 교대로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마찰판(146a)의 외주부가, 팔형상의 클러치(146)의 외주측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클러치(146)는, 상기 자유끼움기어(121)의 우측 끝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회전이동체(145), 클러치(146)는 입력축(56)에 착탈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이 입력축(56)은, 자유끼움기어(121)를 통해서 베어링 등의 베어링(147)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베어링(147)은, 미션케이스(6)의 우측면에 형성한 오목부(6a)의 저면보다 내측, 즉 미션케이스(6) 내부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회전이동체(145), 클러치(146) 등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치기구 (14)를 입력축(56)으로부터 떼어낸 후에도, 이 입력축(56)은 미션케이스(6)에 지지된다.
즉, 미션케이스(6)의 적어도 일측면보다 입력축(56)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14)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전달축을 지지하는 지지체인 베어링(147)은 미션케이스(6)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클러치기구(14)를 떼어낸 상태에서도, 입력축(56)은 항상 정해진 위치에 조립된 상태로 있고, 클러치기구(14)의 조립시, 점검시의 취급성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기구(14)를 설치한 오목부(6a)는, 상기 클러치기구(14)와 아울러 클러치실(87)을 형성하는 클러치커버(139)가 덮여져 설치되어 있고, 이 클러치커버(139)는, 볼트 등의 연결부재(154)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다.
즉, 미션케이스(6)의 일측면보다 입력축(56)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14)를 설치한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구(14)는, 연결부재(154) 등에 의해 착탈가능한 커버부재인 클러치커버(139)에 의해 덮여 설치되는 것이므로, 이 클러치커버(139)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클러치기구(14) 내부를 노출시킬 수 있고, 점검시의 보수관리성에 우수하고, 또한, 흙탕물 등의 침입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커버(139) 내에서 상기 입력축(56)과 동축상에는, 입력축(56)을 향하여 슬라이딩가능한 가압축(149)이 삽입설치되고, 이 가압축(149)에는, 제어판 (142)이 베어링(150)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하게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다. 상기 제어판(142)은, 대경의 외측판(151)과 소경의 내측판(152)으로 구성된다. 이 중 외측판 (151)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평면에서 바라봐서 L자형상의 마찰판(151a)이 형성되고, 이 마찰판(151a)의 측방에는, 상기 클러치(146)의 마찰판(146a)보다 외측에 고정설치한 도너츠형상의 마찰판(146b)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판(152)의 일부에는, 연결부재(153)에 의해 가압체(144)가 고정되고, 이 가압체(144)는 상기 회전이동체(145)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끼워맞춰짐과 아울러, 이 회전이동체(145)에 설치한 스프링수용부(145b)와, 내측판(152)의 내측면 사이에는, 클러치스프링(143)이 끼워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압축(149)의 머리부에는, 상기 가압축(149)에 직교하여 클러치조작핀(141)이 걸어맞춰져 있고, 이 클러치조작핀(141)의 기판보다 암(140)이 돌출하게끔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클러치조작핀(141) 도중부의 편측 절반에, 오목형상의 오목부(141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41a)에 상기 가압축(149)의 머리부가 걸어맞추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통상은,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축 (149)의 머리부가 클러치조작핀(141)의 오목부(141a)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스프링(143)에 의해서, 내측판(152)이 외측방향으로 가압되어 압출됨과 아울러, 이 내측판(152)에 연결되어 있는 가압체(144)의 가압부(144a)가, 회전이동체 (145)의 접촉판부(145c)의 사이에 상기 마찰판(145a)ㆍ(146a)을 끼워지지한데다가 가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내측판(152)은 외측판(151)과 아울러 제어판(142)을 구성한다.
이로써, 회전이동체(145)가 마찰판(145a)ㆍ(146a)을 통해서 클러치(146)와 연결 연동되어서 「클러치 입(入)」으로 되고, 엔진(5)으로부터 미션케이스(6) 내에 입력된 구동축은, 입력축(56)→회전이동체(145)→클러치(146)→자유끼움기어 (121)→슬라이딩기어(120)→부변속축(63)과 같이 하여 부변속축(63)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이 때, 외측판(151)도 외측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이 외측판(151)의 마찰부(151a)는, 클러치(146)의 마찰판(146a)과 접촉하지 않고 이간한위치에 있고, 클러치 (146)는 자유롭게 회전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암(140)이, 상기 주클러치페달(74), 볏모보충레버(76)에 연동하여 회전이동되어서, 클러치조작핀(141)이 회전이동되면, 상기 오목부(141a)의 반대측의 외주부에 상당하는 접촉부(141b)에 의해, 가압축(149)의 머리부가 눌려지고, 이 가압축(149)에 외부로부터 끼워진 제어판(142)도 내측방향으로 압입된다.
그러면, 내측판(152)이, 상기 클러치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내측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내측판(152)에 연결된 가압체(144)의 가압부(144a)도, 상기 마찰판(145a)ㆍ(146a)으로부터 이간된다. 이로써, 회전이동체(145)와 클러치 (146)의 연결이 절단되어서 「클러치 절(切)」로 되고, 엔진(5)으로부터의 구동력은 입력축(56)으로부터 부변속축(63)에는 전달되지 않게 되어서, 동력차단 및 접촉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동시에, 내측판(152)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외측판(151)도 내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외측판(151)의 마찰부(151a)이 클러치(146)의 마찰파부(146b)에 가압되고, 클러치(146)의 회전이동이 제동되도록 하여, 제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동력차단 및 접속기구와 제동기구로 클러치기구(14)는 구성되어 있고, 「클러치 절」 시에는, 클러치(146)의 회전이동을 틀림없이 정지시키고, 하류로의 동력전달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력축(56)보다 일축 전동하류측에는, 상기 부변속축(63)이 축지지되고, 이 부변속축(63)은, 미션케이스(6) 내에 설치한 베어링(148)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148)은, 상기 클러치(146)의 외경(146a)과, 측면에서 바라봐서 일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달축인 입력축(56)보다 일축 전동하류측의 인접전달축인 부변속축(63)을 지지하는 인접지지체인 베어링(148)은, 측면에서 바라봐서 상기 클러치기구(14)의 클러치(146) 외경에 적어도 일부 겹쳐짐과 아울러, 상기 인접지지체는 미션케이스 (6)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입력축(56)과 부변속축(63)의 축간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필요한 기어지름이 작게 되고, 미션케이스(6) 앞끝부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브레이크 기구(78) 및 그 조작구성에 관해서, 제6도, 제12도, 제14도~제17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6도,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주변속축(61) 상의 좌우 대략 중앙에는 동력분기기어(122)가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동력분기기어 (122)의 우측방의 주변속축(61) 상에는, 마찰판(61a)이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적층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판(61a)의 외주부에 형성된 간극에는 마찰판 (168)이 교대로 삽입되고, 이 마찰판(168)은, 미션케이스(6)의 측벽에 걸어서 회전고정되어 있고, 이들 마찰판(61a)ㆍ(168a)은, 압압판(169)의 우측면과, 미션케이스 (6)의 측벽에 고정설치한 접촉부재(167)의 좌측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압판(169)은 평면에서 바라봐서 반원형상의 반할부(170a)에 고정설치되고, 이 반할부(170a)는 원통형상의 조작축(170)의 하부에 형성되고, 이 조작축 (170)은 미션케이스(6) 내에 상하방향으로 수평회전이동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미션케이스(6) 상부보다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축(170)을 회전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압판(169)이 마찰판(61a)ㆍ(168)을 접촉부재(167)와의 사이에 끼워지지한데다가 가압하고, 마찰판(61a)을 갖는 주변속축(61)의 회전이동이 제동되도록 하여, 브레이크기구(78)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기구(78)를 작동시키면, 입력축(56)→부변속축(63)→주변속축(61)→앞부 차륜구동축(62)ㆍ후부 차륜구동축(69)으로 전달되야 하는 구동력은, 주변속축(61)의 단계에서 제동되기 때문에, 가령 상기 부변속기구(70)ㆍ주변속기구(71)가 중위위치에 있어도, 앞부 차륜구동축(62)ㆍ후부 차륜구동축(69)은 공회전하는 일없이 브레이크를 걸수 있는 것이다.
즉,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6)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6)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2)과 후륜(3)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6) 내로의 입력축(56)보다도 전동하류측에 브레이크기구(78)를 설치하고, 이 브레이크기구(78)는, 상기 전륜(2)과 후륜(3)으로의 동력분기부인 주변속축(61)에 배치한 것이므로, 브레이크기구를 작동시키면, 변속기구(70)ㆍ(71)가 중위위치인 경우이어도, 차륜(2)ㆍ(3)이 회전함이 없이, 확실하게 주행차량(1)을 정지할 수있다.
또한, 미션케이스(6)의 좌우 일측방향으로 브레이크기구(78)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기구(78)의 조작축을 미션케이스 상부보다 돌출되게 설치한 것이므로, 상기 조작축을 좌우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미션케이스(6)의 좌우폭을 작게 할 수 있고, 기체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기구(78)는, 미션케이스(6)의 측벽내방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브레이크기구(78)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구의 일부, 가령 접촉부재(167) 등을 미션케이스(6)에서 지지할 수 있고,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비용절감이나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기구(78)나 상기 클러치기구(14)에 대한 볏모보충레버 (76)나 주클러치페달(74)에 의한 조작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2도, 제14도, 제16도,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볏모보충레버(76)의 기부는, 지지부재(173)에 전후로 횡으로 가설한 좌우회전이동축(171) 상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73)는 엔진(5) 후부에 좌우로 설치한 지점축(172) 상에 피벗되고, 이 지점축(172) 하부에는 측면에서 바라봐서〈자형상의 조작판 (174)이 얹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판(174)의 앞부 아래끝부(174a)는, 링크(175)를 통해서 좌연결암 (177)의 앞부에 연결되고, 이 좌연결암(177)의 기부는, 상기 지지부재(50)의 후부에 횡으로 가설된 피벗축(176)의 좌측끝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 피벗축(176)의 우측 끝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41)에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우연결암(178)의 기부와 연결되고, 이 우연결암(178)의 앞부로부터는, 후방으로 향하여 링크(179)가 연장되어서, 상기 클러치조작핀(141)을 조작하는 암(14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조작판(174)의 후부 아래끝부(174b)는, 링크(180)를 통해서, 수평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한 암(181)의 앞부에 연결되고, 이 암(181)의 기부는, 미션케이스(6) 상면보다 돌출한 상기 조작축(170)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16도,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볏모보충레버(76)를 자기앞에 조작하여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면, 조작판(174)은 지점축 (172)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면에서 바라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링크(180)를 통해서 암(181)은 전방으로 견인되고, 상기 브레이크기구(78)의 조작축(170)은,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그러면, 압압판(169)이 마찰판(61a)ㆍ(168)을 접촉부재(167)의 사이에서 가압하고, 마찰판(61a)을 갖는 주변속축(61)의 회전이동이 제동되고, 브레이크기구(78)가 작동한다.
동시에, 조작판(174)의 회전이동에 의해서, 링크(175)→좌연결암(177)→피벗축(176)→우연결암(178)→링크(179)으로 전달된 조작력은, 암(140)을 전방으로 회전이동하고, 상기 클러치기구(14)의 클러치조작핀(141)을 회전이동한다. 그러면,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141b)에 의해, 가압축(149)을 통해서 제어판 (142)이 내측방향으로 압입되고, 내측판(152)이 클러치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가압체(144)의 가압부(144a)가 마찰판 (145a)ㆍ(146a)으로부터 이간되고, 회전이동체(145)와 클러치(146)의 연결이 절단되어서 「클러치 절」로 되고, 클러치기구(14)가 작동한다.
즉, 볏모보충레버(76)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클러치기구(14)와 브레이크기구(78)가 동시에 작동하고, 미션케이스 내로의 동력을 절단함과 아울러 기체전체에 브레이크가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트럭짐받이로의 주행차량의 짐싣기나 짐내리기시 등의 작업이 신속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2도, 제15도,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클러치페달(74)의 기부는, 사이드 프레임(42)에 좌우에 설치된 지점축(182) 상에 피벗되고, 이 지점축(182)에는 연결암(183)이 고정설치되고, 이 연결암(183) 상부에 세워설치하는 설치부(183a)는 링크(184)를 통해서 좌연결암(187)의 앞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연결암(187)의 기부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41)ㆍ(42) 사이에 회전이동가능하게 횡으로 가설된 피벗축(185)의 좌측 끝부에 고정설치되고, 이 피벗축(185)의 우측 끝부는, 우연결암(188)의 기부와 연결되고, 이 우연결암(188)의 앞부로부터는, 전방으로 향하여 링크(186)가 연장되어서, 상기 클러치조작핀 (141)을 조작하는 암(140)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15도,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클러치페달(74)을 밟으면, 연결암(183)의 설치부(183a)는 지점축(18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링크(184)→좌연결암(187)→피벗축(185)→우연결암(188)→링크(186)로 전달된 조작력은, 암(140)은 후방으로 견인되고, 상기 클러치기구(14)의 클러치조작핀(141)을 회전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볏모보충레버 (76)를 조작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클러치기구(14)가 작동한다.
즉, 클러치기구(14)의 작동을, 볏모보충레버(76)와 주클러치페달(74)의 양자로 가능하게 하고 있고, 기체에 얹인채로 또는 내린채로 이들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수동조작구인 레버와 족동(足動)조작구인 페달이므로 양자를 식별하여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서 오조작이 없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동력전달이 가능한 미션케이스(6) 내의 윤활구성에 관해서, 제8도, 제12도, 제13도, 제18도~제20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8도, 제13도,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밸브로부터의 되돌림 오일관(155)이, 미션케이스(6)의 전후 대략 중앙의 우측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미션케이스(6) 내의 윤활유를 흡인하기 위한 흡입관(156)이, 미션케이스(6) 앞부의 변속실(60) 하부에 설치되고, 이 변속실(60)의 주변속축(61)의 경사진 후방으로 끼워장착한 통형상의 흡입필터(157) 측부에 연통되어 있다.
이로써, 미션케이스(6) 하부로부터 미션케이스(6) 상부 도중부의 변속실(60)까지의 영역에, 윤활유를 저장가능하게 한 탱크가 형성된다.
또한, 되돌림 오일관(155)과 흡입관(156)이 체인(80)을 통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되돌림 오일관(155)으로부터 미션케이스(6) 내에 되돌려지는 고온의 윤활유는, 체인(80)의 구동에 의해 뒤쪽 하향으로 보내져서 교반되고, 미션케이스(6) 내를 대류하는 사이에 충분히 냉각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고온의 윤활유가 전방의 흡입관(156)측으로 즉시 이동하지 않고, 미션케이스(6) 내의 오일온도를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2도,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기구(14)를 수납한 미션케이스(6)의 오목부(6a)의 하부 측면의 벽면(6b)에는 관통구멍을 뚫어설치하여 유로(163)가 형성되고, 이 유로(163)를 통해서, 미션케이스(6) 내의 윤활유가 클러치실(87) 내에 유입, 또는 클러치실(87) 내로부터 유출되도록 하고 있다.
즉, 엔진(5)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6)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6) 내에서 벼녹하여 전륜(2)과 후륜(3)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6)의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56)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14)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클러치기구(14)를 수납하는 클러치실(87)과 미션케이스(6)를 연통하는 유로(163)를, 클러치기구(14)를 배치하는 미션케이스(6)의 벽면(6b)에 설치한 것으로, 클러치기구(14)를 미션케이스(6)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 비해서, 제조시의 조립성, 점검시의 보수관리성이 향상할뿐만 아니라, 클러치실(87)이 윤활유의 저장탱크로서 기능하고, 또한, 보다 대형의 저장탱크라는 미션케이스(6)로부터, 유로(163)를 통해서 충분한 양의 윤활유가 순환되기 때문에, 기복이 심한 포장 등에서 작업하여 오일면 변화가 현저한 경우에도, 마찰판(145a)ㆍ(146a), 마찰부(146b) 등의 마찰부분에 있어서의 늘어붙음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 평탄한 포장을 작업 중 또는 주행중의 미션케이스(6)는 자세(165)(이하 「안정주행자세」라 한다)의 상태에 있고, 이 때, 상기 유로(163)는 제3상한(160) 내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미션케이스(6) 내와 클러치실(87) 내의 윤활유는, 그 오일면(158a)ㆍ(159a)은 동일 높이에 있고, 유로(163)를 통해서 자유롭게 순환가능하기 때문에, 이 안정주행자세(165)에 있어서는, 클러치실(87) 내의 마찰부분에는 충분한 양의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앞부가 크게 들리고, 미션케이스 (6)가 자세(166)(이하 「경사자세」로 한다)의 상태로 된 경우에는, 미션케이스(6) 내의 윤활유의 오일면(158b)보다도 클러치실(87) 내의 윤활유의 오일면(159b)의 쪽이 높게 됨과 아울러, 유로(163)는 상기 오일면(159b)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클러치실(87)이 윤활유의 저장탱크로서 기능하도록 되고, 소정량의 윤활유가 클러치실(87) 내에 확보된다.
또한, 유로가 제1상한, 제2상한에 위치하는 경우(161)ㆍ(162)에는, 안정주행자세(165)ㆍ경사자세(1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항상 오일면(159a)ㆍ(159b)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미션케이스(6) 내로부터 클러치실(87) 내로의 윤활유의 공급이 불가능하고, 또한 유로가 제4상한에 위치하는 경우(164)에는, 경사자세(166)에 있어서, 상기 유로(164)를 통해서 클러치실(87) 내의 윤활유가 미션케이스(6) 내에 흘러내려서, 클러치실(87)이 윤활유의 저장탱크로서 기능하지 않고, 소정량의 윤활유가 클러치실(87) 내에 확보가능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유로는, 안정주행자세(165)에 있는 미션케이스(6)에 있어서, 기체진행방향 좌측면에서 바라봐서 상기 벽면에 있는 벽면(6b)의 제3상한 내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가령, 기체 앞부가 크게 들리고 미션케이스(6)가 크게 경사져도, 유로(163)는 오일면(159b)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클러치실(87)이 윤활유의 저장탱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소정량의 윤활유를 클러치실(87) 내에 확보할 수 있고, 마찰부분에 있어서의 늘어붙음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의 미션케이스의 클러치기구의 설치구성, 및 윤활구성에 적용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를 설치한 것이므로, 이 클러치기구에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고, 클러치기구를 미션케이스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 비해서, 제조시의 조립성, 점검시의 보수관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기구는, 착탈가능한 커버부재에 의해 덮여설치되는 것이므로, 이 커버부재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클러치기구 내부를 노출시킬 수 있고, 점검시의 보수관리성에 우수하고, 또한, 흙탕물 등의 침입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미션케이스의 양측면으로부터 입력축이 돌출되고, 이 입력축의 일측에는 상기 엔진과의 사이의 변속기구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클러치기구를 설치한 것이므로, 기체의 좌우 균형이 좋게 되고 주행안정성이 향상하고, 또한, 기체폭을 좁헤 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는, 상기 변속기구의 임의 변경에 대해서는, 클러치기구는 그대로 변속기구의 변경에만 대응가능하고, 클러치기구의 공유화에 의한 부품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션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전달축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미션케이스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클러치기구를 떼어낸 상태에서도, 전달축은 항상 정해진 위치에 조립된 상태에 있고, 클러치기구의 조립시, 점검시의 취급성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축보다 일측 전동하류측의 인접전달축을 지지하는 인접지지체는, 측면에서 바라봐서 상기 클러치기구의 클러치외경에 적어도 일부 겹쳐짐과 아울러, 이 인접지지체를 미션케이스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전달축과 인접전달축의 축간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필요한 기어지름이 작게 되고, 미션케이스 앞끝부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클러치기구를 수납하는 클러치실과 미션케이스를 연통하는 유로를, 클러치기구가 배치되는 미션케이스의 벽면에 형성한 것이므로, 클러치기구를, 미션케이스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 비해서, 제조시의 조립성, 점검시의 보수관리성이 향상할 뿐만 아니라, 클러치실이 윤활유의 저정탱크로서 기능하고, 또한, 보다 대형의 저장탱크라는 미션케이스로부터, 유로를 통해서 충분한 양의 윤활유가 순환되기 때문에, 기복이 심한 포장 등에서 작업하여 오일면 변화가 현저한 경우이어도, 마찰판, 마찰부 등의 마찰부분에 있어서의 늘어붙음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로는, 안정주행자세에 있는 미션케이스에 있어서, 기체진행방향 좌측면에서 바라봐서 상기 벽면의 제3상한 내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가령, 기체앞부가 크게 들리고 미션케이스가 크게 경사져도, 유로는 클러치실 내의 오일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클러치실이 윤활유의 저장탱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소정량의 윤활유를 클러치실 내에 확보할 수 있고, 마찰부분에 있어서의 늘어붙음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구는, 착탈가능한 커버부재에 의해 덮여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3.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미션케이스의 양측면으로부터 입력축이 돌출되고, 이 입력축의 일측에는 상기 엔진과의 사이의 변속기구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클러치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는 클러치기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전달축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미션케이스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축보다 일축 전동 하류측의 인접전달축을 지지하는 인접지지체는, 측면에서 바라봐서 상기 클러치기구의 클러치외경에 적어도 일부 겹쳐짐과 아울러, 이 인접지지체를 미션케이스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6.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미션케이스에 입력하고, 이 미션케이스 내에서 변속하여 전륜과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입력축으로 되는 전달축이 돌출되고, 이 전달축의 돌출부에 클러치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클러치기구를 수납하는 클러치실과 미션케이스를 연통하는 유로를, 클러치기구가 배치되는 미션케이스의 벽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안정주행자세로 있는 미션케이스에 있어서, 기체진행방향 좌측면에서 바라봐서 상기 벽면의 제3상한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KR1020027014783A 2001-03-15 2001-09-17 승용 이앙기 KR100799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73962A JP4782298B2 (ja) 2001-03-15 2001-03-15 乗用田植機
JPJP-P-2001-00073962 2001-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272A true KR20020091272A (ko) 2002-12-05
KR100799641B1 KR100799641B1 (ko) 2008-01-30

Family

ID=1893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783A KR100799641B1 (ko) 2001-03-15 2001-09-17 승용 이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82298B2 (ko)
KR (1) KR100799641B1 (ko)
CN (1) CN100488797C (ko)
TW (1) TWI236339B (ko)
WO (1) WO2002074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4127B2 (en) * 2004-09-27 2008-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ual function apparatus for clutch feed and system retention
JP2010213653A (ja) * 2009-03-18 2010-09-30 Yanmar Co Ltd 乗用型植付け作業機
JP5927763B2 (ja) * 2011-02-23 2016-06-0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4343899B (zh) * 2014-10-27 2017-02-15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双离合带空档功能双速减速器
CN112009565A (zh) * 2015-01-28 2020-12-01 株式会社久保田 作业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0867A (ja) * 1986-05-16 1987-11-25 Honda Motor Co Ltd 油圧変速装置における給油構造
DE59006917D1 (de) * 1989-07-05 1994-09-29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chmiereinrichtung für ein lastschaltgetriebe.
JPH0781441A (ja) * 1993-09-20 1995-03-28 Kawasak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動力取出装置
KR100344896B1 (ko) * 1999-03-25 2002-07-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전작업기
JP2000272359A (ja) * 1999-03-25 2000-10-03 Kubota Corp 水田作業機の伝動装置
JP4139542B2 (ja) * 2000-01-25 2008-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動力伝達装置
JP4110743B2 (ja) * 2001-04-02 2008-07-02 井関農機株式会社 施肥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82298B2 (ja) 2011-09-28
TWI236339B (en) 2005-07-21
CN1429157A (zh) 2003-07-09
KR100799641B1 (ko) 2008-01-30
JP2002272217A (ja) 2002-09-24
CN100488797C (zh) 2009-05-20
WO2002074572A1 (fr)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353B2 (en) Vehicle transmission
US5752417A (en) Axle driving apparatus
US20020061801A1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front and rear-wheel drive vehicle
EP1898125A2 (en)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transmission apparatus
US7220204B2 (en) Hydrostatic transaxle apparatus
KR100344896B1 (ko) 수전작업기
US7179190B2 (en) Bull gear of a differential gear assembly
JP2007074922A (ja) 水田作業車
US6524205B1 (en) Integral-type hydraulic and mechanical transaxle apparatus for driving and steering a vehicle
US20090098961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Lawn Tractor Equipped With Them
US4969319A (en) Engine/transaxle combination
EP1743796A2 (en) Wheel motor device
KR20020091272A (ko) 승용 이앙기
US20020170384A1 (en) Hydrostatic transaxle
JP4551577B2 (ja) 乗用田植機
JP5152969B2 (ja) 走行車両
JP3968581B2 (ja) 4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JP5152968B2 (ja) 走行車両
CN108662111A (zh) 一种集成式拖拉机用变速箱及其控制方法
JPH1182642A (ja)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H0716336B2 (ja) 作業車両
JP2002274339A (ja) 乗用田植機
JPS6311413Y2 (ko)
JP3968580B2 (ja) 4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KR100416648B1 (ko) 주행차량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