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252A - 휴대용 드릴링 머신 - Google Patents

휴대용 드릴링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252A
KR20020090252A KR1020010029203A KR20010029203A KR20020090252A KR 20020090252 A KR20020090252 A KR 20020090252A KR 1020010029203 A KR1020010029203 A KR 1020010029203A KR 20010029203 A KR20010029203 A KR 20010029203A KR 20020090252 A KR20020090252 A KR 2002009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ember
drilling machine
portable drilling
lifting plate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754B1 (ko
Inventor
송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산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산기술
Priority to KR10-2001-002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754B1/ko
Priority to PCT/KR2001/001555 priority patent/WO2002096585A1/en
Publication of KR2002009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57Devices for securing hand tools to the work
    • B25H1/0064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 B25H1/0071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by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릴링 머신은 드릴커터(11)와 함께 상,하 이동되는 승강판(21)에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가 이격되게 고정되고, 상기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면서 안내되는 안내로드(43)가 측벽부(41)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상측 원통형 부재(30a)는 드릴커터(11)가 피가공물에 가공작업을 개시할 때부터 상기 안내로드(43)에 끼워져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측벽부(11) 및 안내로드(43)의 높이를 낮게 하면서도 밀링커터(11)가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승강되어 구멍가공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상기 안내로드(43)가 측벽부의 돌출턱부(42)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의 일측에 상기 돌출턱부를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안내로드(43)가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에 압착부재(34)가 설치되어 볼트(36)를 진퇴시킴으로써 상기 원통형 부재, 승강판 및 밀링커터가 항상 흔들림이 없이 상,하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드릴링 머신{Portalle 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휴대용 드릴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가공물에 자력으로 견고하게 부착되어 수동으로 드릴공구를 하강시켜 피가공물에 구멍을 뚫게 하는 휴대용 드릴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드릴링 머신은 바닥면에 형성된 자성체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를 자석화시키는 자력 형성부가 내장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위치된 홀더의 하측에 연결되는 드릴커터와, 상기 홀더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드릴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홀더가 고정되고 상,하 이동가능토록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일측 중앙에 고정된 랙크와, 상기 랙크와 맞물리게 설치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핸들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입설된 측벽부로 구성되어, 자성체로 형성된 작업대 또는 피가공물에 상기 휴대용 드릴링 머신을 올려놓은 다음, 상기 자력 형성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바닥면에 형성된 자성체가 자석화되어 작업대 또는 피가공물에 드릴링 머신이 견고하게 부착된다. 그 다음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드릴이 회전되는 데 이때 상기 핸들을 손으로 돌리면 상기 피니언이 회전되고, 피니언이 회전되면 피니언과 맞물린 랙크가 하강하여 승강판 및 드릴커터가 하강되므로 드릴커터가 피가공물에 접촉되어 피가공물에 구멍을 뚫게 된다.
상기 승강판이 상,하로 이동될 때 흔들림이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각종의 승강판 안내수단이 형성된다.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드릴링 머신의 승강판 안내수단은 상기 승강판이 상기 측벽부에 더브 테일(dove tail) 방식으로 맞물리면서 상기 측벽부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승강판과 측벽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승강판의 상,하 이동시나 드릴작업시에 흔들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상기 승강판과 측벽부 사이의 슬라이딩 부위가 국부적으로 마모되어 드릴작업시 불규칙적인 흔들림이 발생하여 피가공물에 구멍을 정밀하게 뚫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상기 승강판의 좌,우에 각각 구멍이 천공된 폐쇄형 원통형 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측벽부 일측에 상기 원통형 부재가 끼워지는 한쌍의 원형로드를 측벽부와 이격되도록 입설하여 상기 원통형 부재가 상기 로드에 안내되면서 승강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드릴링 머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휴대용 드릴링 머신은 상기 승간판이 최정점 까지 상승될 때까지 상기 원통형 부재가 상기 로드에 끼워져 있어야 하므로 상기 측벽부, 안내로드 및 원통형 부재의 높이가 커지게 되어 휴대용 드릴링 머신의 무게가 무거워 질 뿐만 아니라 자재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드릴링 머신의 장기간사용시 상기 안내수단 사이에 마모로 인한 간극이 발생하여 드릴 가공의 정밀도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드릴 가공의 정밀도로 향상시킬 수 있는 드릴 승강 안내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드릴링 머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릴 가공의 정밀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무게를 경감시키고 자재를 절약할 수 있는 휴대용 드릴링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사용시에도 흔들림이 없는 드릴 승강수단의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드릴링 머신의 보수요인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간편하게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릴링 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릴링 머신의 일부구성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릴링 머신의 일부구성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릴링 머신의 일부구성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릴링 머신의 원통형 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휴대용 드릴링 머신의 드릴커터가 하강하여 상기 머신의 저면의 높이에 위치된 상태가 표현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드릴커터 12 : 모터
13 : 홀더 21 : 승강판
22 : 지지판체 23 : 랙크
30 : 원통형 부재 40 : 자성체
41 : 측벽부 43 : 안내로드
50 : 핸들 51 : 축
52 : 피니언 60 : 케이싱
61 : 손잡이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드릴링 머신은 드릴커터와, 상기 드릴커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드릴과 모터가 각각 장착되는 홀더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세워져 상기 홀더가 일측에 고정되는 승강판과, 피가공물상에 착탈가능토록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입설된 측벽부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을 상,하 이동시키는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판의 일측에는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원통형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측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원통형 부재가 스라이딩 되면서 상,하 이동가능토록 원통형 부재의 상기 구멍이 끼워지는 안내로드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원통형 부재는 상기 측벽부측으로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로드와 접촉되는 돌출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부재가 상,하 이동할 때 상기 절개부가 상기 돌출턱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원통형 부재에는 좌,우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볼 및 스프링이 끼워지고 상기 볼을 상기 로드측으로 밀어주는 볼트부재가 상기 구멍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원통형 부재 중 상측 원통형 부재는 드릴공구가 피가공물에 접촉을 개시할 시점의 직전에 상기 안내로드에 끼워지도록 위치되고, 하측 원통형 부재는 드릴공구가 최정점으로 상승시 상기 안내로드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위치된 점에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에 구멍을 천공하는 드릴커터(11)와, 하측에 상기 드릴커터가 체결되는 홀더(13)와, 전원이 인가되면상기 드릴커터를 회전시키는 모터(12)와, 상기 홀더(13)가 일측에 볼트(미도시)등의 공지수단으로 고정되는 승강판(21)과, 상기 승강판(21)의 다른측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된 지지판체(22)와, 상기 지지판체(22)에 고정된 랙크(23)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형성되는 자성체(40)와, 상기 자성체(40) 위에 위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자성체(40)를 자석화 시키는 자력 형성부(미도시)가 내장된 케이싱(60)과, 상기 케이싱(60)의 일측에 형성된 측벽부(41)와, 상기 측벽부(41)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핸들(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60)에는 손잡이부(61)가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41)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크(23)에 맞물리는 피니언(52)이 내부에 설치되어 핸들(50)을 회전시키면 축(51)이 회전되어 피니언(52)이 회전되고, 피니언(52)이 회전되면 랙크(23)가 승강되어 드릴커터(11)가 연결된 홀더(13)가 일측에 고정된 승강판(21)이 상,하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체(22) 및 랙크(23)는 볼트(24)에 의하여 승강판(21)에 고정된다. 여기서 랙크(23) 등은 용접등의 수단으로 지지판체(22)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판(21)이 상,하로 이동될 때 상기 승강판(21)을 안내하는 수단이 도 1, 3,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승강판 안내수단은 승강판(21)에 고정된 원통형 부재(30)와 상기 측벽부(41)에 연결되어 고정된 안내로드(43)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부재(30)는 상기 승강판(21)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4개의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30)는 볼트(24)에 의하여 승강판(21)에 고정된다.
상기 원통형 부재(30)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원형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41) 측으로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부재(30)는 승강판(21)에 접하는 일측면이 평편하게 형성되어 승강판(21)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한편, 상기 안내로드(43)는 상기 원통형 부재(30)가 슬라이딩 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입설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원형봉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41)에 볼트(44)로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측벽부(41)의 일측 중앙에는 돌출턱부(42a)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부재(30)가 상,하 이동될 때 원통형 부재(30)의 절개부(32)가 상기 돌출턱부(42a)를 통과하도록 끼워진다.
상기 원통형 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구멍(37)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37)에 볼과 같은 압착부재(34)와 스프링(35)이 끼워지고, 볼트(36)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트(36)를 회전시켜 상기 구멍(37)으로 진입되게 하면 스프링(35)에 의하여 상기 압착부재(34)가 안내로드(43)에 압착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36)를 좌,우 이동시켜 압착부재(34)에 의하여 상기 원통형 부재(30)와 안내로드(43) 사이에 발생되는 슬라이딩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시 원통형 부재(30)와 안내로드(43)가 마모된 경우에도 상기 볼트(36)를 조절함으로써 원통형 부재(30)가 흔들림이 없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 부재(30)는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되도록 오일리스 베어링과 같은 재질로 제조되고 내부에 탄소봉(33)이 심어져 슬라이딩시 안내로드(43)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상측 원통형 부재(3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커터(11)가 자성체(40)의 저면부의 높이에 위치되어 피가공물(미도시)에 접촉을 개시할 시점의 직전에 상기 안내로드(43)에 끼워지도록 위치되어, 드릴커터(11)가 피가공물에 구멍을 천공하면서 하강할 때 상측 원통형 부재(30a) 및 하측 원통형 부재(30b)는 안내로드(43)에 다같이 끼워져 슬라이딩 되면서 하강하고, 피가공물의 표면으로부터 드릴커터가 상승할 때는 상측 원통형 부재(30a)는 상승되어 상기 안내로드로 부터 이탈되고 하측 원통형 부재(30b)가 상기 안내로드에 안내되면서 상승되어 드릴커터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정점에 상승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하측 원통형 부재(30b)가 안내로드(43)의 상단부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밀링 머신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성체로 된 피가공물에 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휴대용 밀링 머신을 피가공물 위에 올려놓고 자력 형성부(미도시)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자성체(40)가 자석화되어 휴대용 밀링 머신이 피가공물 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 다음, 모터(12)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드릴커터(11)가 회전되고, 핸들(50)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피니언(50)이 회전되어 랙크(23)는 하강한다. 랙크(23)가 하강되면 승강판(21) 및 드릴커터(11)가 하강된다.
이때 하측 원통형 부재(30b)는 안내로드(43)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되면서 하강된다. 드릴커터(11)가 하강하여 피가공물의 표면에 도달하면 상측 원통형 부재(30a)가 상기 안내로드(43)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핸들(50)을 계속 회전시키면 드릴커터(11)가 피가공물에 구멍을 뚫으면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승강판(21)은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가 안내로드(43)에 끼워져 안내되면서 하강하므로 흔들림 없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피가공물에 구멍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안내로드(43)는 측벽부(41)의 돌출턱부(42a)에 접촉되어 견실하게 측벽부(41)에 고정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30)는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턱부(42a)에 끼워지므로, 원통형 부재(30)는 돌출턱부(42a)의 방해를 받지 않고 승강된다.
또한, 볼트(36)를 회전시켜 압착부재(34)가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안내로드(43)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사용중 원통형 부재(30)와 안내로드(43)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승강판(21)이 흔들림 없이 승강될 수 있다.
한편, 드릴작업이 완료되면 핸들(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승강판(21) 및 드릴커터(11)를 상승시킨다. 드릴커터(11)가 피가공물의 표면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측 원통형 부재(30a)는 안내로드(43)로부터 이탈되고 하측 원통형 부재(30b)만이 안내로드(43)에 안내되면서 승강판(21)이 상승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릴링 머신은 드릴커터(11)와 함께 상,하 이동되는 승강판(21)에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가 이격되게 고정되고, 상기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면서 안내되는 안내로드(43)가 측벽부(41)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상측 원통형 부재(30a)는 드릴커터(11)가 피가공물에 가공작업을 개시할 때부터 상기 안내로드(43)에 끼워져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측벽부(41) 및 안내로드(43)의 높이를 낮게 하면서도 밀링커터(11)가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승강되어 구멍가공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상기 안내로드(43)가 측벽부의 돌출턱부(42)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의 일측에 상기 돌출턱부를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안내로드(43)가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하측 원통형 부재(30a)(30b)에 압착부재(34)가 설치되어 볼트(36)를 진퇴시킴으로써 상기 원통형 부재, 승강판 및 밀링커터가 항상 흔들림이 없이 상,하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있다.

Claims (7)

  1. 드릴커터와,
    상기 드릴커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드릴과 모터가 각각 장착되는 홀더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세워져 상기 홀더가 부착되는 승강판과,
    피가공물상에 착탈가능토록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입설된 측벽부와,
    상기 승강판과 상기 측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판의 일측에는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원통형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측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원통형 부재가 스라이딩 되면서 상,하 이동가능토록 원통형 부재의 상기 구멍이 끼워지는 안내로드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릴링 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상기 측벽부측으로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로드와 접촉되는 돌출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부재가 상,하 이동할 때 상기 절개부가 상기 돌출턱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드릴링 머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에는 좌,우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볼 및 스프링이 끼워지고 상기 볼을 상기 로드측으로 밀어주는 볼트부재가 상기 구멍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릴링 머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상기 승강판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된 한쌍의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로드는 상기 원통형 부재가 각각 끼워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릴링 머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 중 상측 원통형 부재는 드릴공구가 피가공물에 접촉을 개시할 시점의 직전에 상기 안내로드에 끼워지도록 위치되고, 하측 원통형 부재는 드릴공구가 최정점으로 상승시 상기 안내로드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릴링 머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오일리스 베어링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탄소봉이 심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릴링 머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일측면이 평편하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릴링 머신.
KR10-2001-0029203A 2001-05-26 2001-05-26 휴대용 드릴링 머신 KR100436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203A KR100436754B1 (ko) 2001-05-26 2001-05-26 휴대용 드릴링 머신
PCT/KR2001/001555 WO2002096585A1 (en) 2001-05-26 2001-09-18 Portable drill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203A KR100436754B1 (ko) 2001-05-26 2001-05-26 휴대용 드릴링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252A true KR20020090252A (ko) 2002-12-02
KR100436754B1 KR100436754B1 (ko) 2004-06-22

Family

ID=1970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203A KR100436754B1 (ko) 2001-05-26 2001-05-26 휴대용 드릴링 머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36754B1 (ko)
WO (1) WO20020965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311U (ko)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베어링부 내장 보링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7984B (zh) * 2011-06-30 2014-09-10 昆山广禾电子科技有限公司 钻孔治具
KR101918179B1 (ko) * 2016-11-30 2018-11-14 (주)신우정밀 다관절 드릴 가이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0092A (en) * 1976-06-04 1978-03-21 Hudson Russell O Portable drill guide apparatus
DE3434075A1 (de) * 1984-09-17 1986-03-27 Hilti Ag, Schaan Stativbohrvorrichtung mit fuehrungssaeule
JPS63133917U (ko) * 1987-02-23 1988-09-01
KR910000404Y1 (ko) * 1988-11-04 1991-0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배수 장치
GB8911027D0 (en) * 1989-05-13 1989-06-28 Targett Power Equipment Servic Power tools
KR920003607Y1 (ko) * 1989-06-30 1992-06-01 주식회사 기아기공 공작기계의 헤드 승강 안내장치
US5174960A (en) * 1990-11-19 1992-12-29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shuttling a test element from a discharge path to a wash station
JP3533792B2 (ja) * 1995-11-24 2004-05-31 日立工機株式会社 ドリルスタン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311U (ko)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베어링부 내장 보링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6754B1 (ko) 2004-06-22
WO2002096585A1 (en)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504Y1 (ko) 드릴장치
CN108941654A (zh) 一种新材料板件的钻孔装置
KR20040023897A (ko) 기계 가공용 높이 조절장치
CN213701878U (zh) 一种用于钢板快速打孔的低能耗磁性钻孔机
CN212350444U (zh) 一种加工变速箱壳体的打孔机
KR20060122715A (ko) 펀칭 장치
CN113290131B (zh) 一种便于清理废屑的半自动冲孔机
CN213530877U (zh) 一种方便定位的钻孔机
KR20020090252A (ko) 휴대용 드릴링 머신
CN210281123U (zh) 一种激光切割机多方位定位装置
CN111842958A (zh) 一种用于薄壁形板类的打孔装置
CN217251990U (zh) 一种冲孔快速定位装置
CN210549663U (zh) 一种台式钻床
CN109291152B (zh) 一种便携式机械打孔装置
CN213859716U (zh) 一种用于木制品的可调式打孔装置
CN218051339U (zh) 一种吊锣机
CN212635120U (zh) 一种自动控制的工件定位夹紧机构
CN213381918U (zh) Pc盒打孔装置
CN219336851U (zh) 一种机械加工定位钻孔设备
CN209665580U (zh) 一种打孔精准的广告制作用打孔机
CN220278352U (zh) 一种便于操控的钻孔机
CN213827098U (zh) 一种具有定位升降效果的钻孔机
CN216227017U (zh) 一种金属工件双侧定位孔打孔机
CN216065657U (zh) 一种挖掘机底座加工用打孔设备
CN212551861U (zh) 一种固定效果好的五金加工用钻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