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145A - 정전 마이크 - Google Patents

정전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145A
KR20020089145A KR1020020026641A KR20020026641A KR20020089145A KR 20020089145 A KR20020089145 A KR 20020089145A KR 1020020026641 A KR1020020026641 A KR 1020020026641A KR 20020026641 A KR20020026641 A KR 20020026641A KR 20020089145 A KR20020089145 A KR 2002008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psule
microphone
membran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011B1 (ko
Inventor
지노파블로빅
Original Assignee
아카게 아쿠스틱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게 아쿠스틱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카게 아쿠스틱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8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3)과 부동 전극(5), 그리고 경우에 따라 인쇄부(7) 상에 위치하는 음향 마찰축(6)과 전기 스위치가 내부에 배열되고, 케이스 외장(11,21,28)을 가진 정전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막(3)이 케이스 외장(11,28)의 전면, 바람직하게는 고리 쇼울더(12,22)와 결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접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케이스 외장이 외장 하부(21)와 케이스 덮개(28)로 분할되며, 막(3)이 케이스 덮개(28)의 고리 쇼울더(22)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전 마이크{Electrostatic microphone}
본 발명은 케이스 외장을 가진 정전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막 및 부동 전극,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인쇄부 상에 마찰축 및 전기 스위치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 수용기로서 작용하고 마이크 케이스로서 사용되며, 정전기적으로 작용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변환기는 그 물리적 작동 방식에 따라 음향계를 제공하며 이들로부터 진동이 직접 유발되는 막을 보유한다.
정전 변환기의 전극은 연신 고정된 탄성 막과 부동 전극(주로 전극으로만 칭함)으로 구성된다. 이들 막과 전극은 콘덴서를 형성하며, 이 콘덴서의 전기 용량은 음향계의 압력 편차에 의해 조절된다. 정전 변환기의 전극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변환기의 용량 변경은 개폐 증폭기에 의해 전기적 전압 변경으로 전환된다.
정전 케이스는 전극 사이에서의 전기장 발생 특성과 관련하여 이하 2개의 군으로 분류된다.
외부에서 발생한 전압(분극 전압)에 의해 전기장 발생 전하를 공급하는 정전 케이스, 즉 콘덴서 케이스와, 전기 전하가 상기 전극 또는 막에 보유되고 외부에서 발생한 전압은 공급되지 않는 정전 케이스, 즉 일렉트릿 케이스로 분류된다.
상기 케이스는 점점 소형화된 형태로 상당히 많은 적용 범위에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 이것은 이동 전화 또는 자동차 내부의 무선 통신 기기 등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므로 상기 케이스의 제조 시에는 특히 대량 생산과 함께 점증적인 소형화가 요구되며, 따라서 이것은 조립뿐 아니라 기본 구조까지도 가능한 경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들 2 개의 케이스 변형체는 도 1 에 제시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통의 구조 특성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 외장(1) 내에는 막고리(2)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 막 고리(2)에 의해 막(3)은 예비 연신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막고리(2)는 막(3)을 예비 연신상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소정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막 고리의 두께는 약 0.7 mm 내지 2 mm 에 불과하다. 또한, 막고리와 막은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계속 재가공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가진 단일체를 형성해야 한다. 막고리에는 양호한 절연 물질(4)로 구성된 이격 고리(4)가 삽입된다. 상기 이격 고리(4)에 의해, 막과 부동전극(5)이 약 10 ㎛ 의 간격을 두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캡슐 외장내 이격 고리(4)에 삽입되는 전극(5)은 콘덴서의 2 개의 전극을 형성한다. 이것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 제조되며 천공을 가진다.
전극(5) 다음에는 음향 마찰부(6)가 존재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주형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다공성 물질에 의해 폐쇄되거나 또는 피복되는 구멍을 가진다. 음향 마찰부(6)는 케이스의 전자파 진행 방향 및 민감성의 주파수 진로와 관련하여 마이크 케이스의 음향 조절을 담당한다. 상기 마이크 케이스는 그 하면이 전기적 인쇄부(7)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부에는 케이스의 기능에 필수적인 전기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의 뒷면으로부터 막으로 음향이 접근할 수 있도록 막 아래에 위치하는 모든 부품은 구멍을 가지며, 이것은 케이스의 특성에 원하는 방향 의존성을 부여하는 것을 비롯하여 케이스의 음향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 품질 저하에 대한 우려없이 상기 마이크 케이스의 부품 개수를 줄이고, 케이스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막을 케이스 외장의 전면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케이스 외장의 전면에 고리형 내부 쇼울더가 존재하며, 그 위에는 막이 연신된 상태로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스탬프에 의해 상기 쇼울더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스템프에 의해 쇼울더 상에 연신된 상태로 고정된 막을 제 2 스탬프로 가압하여 접착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격고리, 전극, 마찰축 및 인쇄부가 삽입 설치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제까지 필수적이었던 막 고리를 생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을 도시한 것이다. 마이크 케이스 외장(11)은 단차진 내부 쇼율더(12)를 갖추고 있으며, 이로써 막고리를 생략할 수 있다. 도 2 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케이스의 다른 모든 부품은 도 1 에 제시한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스와 동일하다.
케이스 외장은 통상적으로 디프 드로윙법에 의해 알루미늄판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작업 과정 중에 쇼울더(12)를 형성시켜 캡슐 외장 내에 하나로 통합된 "막 고리"를 제조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이렇게 제조된 마이크 케이스의 전체 높이는 종래 기술에서 가능했던 것보다 훨씬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제까지의 케이스에 비해 공간이 절약되고 저렴한 케이스를 얻을 수 있다. 도 2 에 따른 마이크 케이스의 높이(축 방향의 길이)는 1 mm 에 불과하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어려움없이 케이스 내부의 쇼율더(12)에 막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장치를 사용하여 마이크 외장 내에 막을 연신된 상태로 삽입하고, 공지된 방식으로 이들을 부착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3 에 제시하였다. 도 2 에 제시한 것과 구별되는 점은, 케이스 외장이 2 부분으로 분할되며, 외장 하부(21)와 케이스 덮개(28)로 구성된다. 케이스 외장의 2 부분 분할은 음향 조절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마이크 케이스의 주파수 작동이 덮개의 음향구(29)의 개수와 면적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케이스 외장은 서로 다른 케이스 덮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분할된다. 이로써, 간단한 덮개 교환을 통해, 케이스의 서로 다른 음향 조절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쇼울더(22)를 갖춘 케이스 덮개를 형성시킴으로써 전체 마이크 케이스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 덮개(22)를 외장 하부(21)와 동일한 물질로 제조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케이스 외장 하부는 알루미늄으로 제조하고, 케이스 덮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외장의 분할은 다른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가 내장된 기기 부분과 케이스 부분이 함께 작용하여 음향 조절을 이룰 수 있고, 마찰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사용된 물질 및 기술은 종래 기술과 비교했을 때 변경된 바가 없으며, 따라서, 본 발명을 인식하고 있는 당업자라면 어려움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쇼율더의 형성은 쇼울더를 보유하고 있는 케이스 또는 케이스 부품의 재료 및 제조 기술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은 축적하여 도시한 것이 아니라, 통상의 측량된 소형 케이스, 예를 들면 전체 길이 및 외부 직경이 각각 수 mm 에 불과한 케이스를 제시한 것이다.
케이스 외장이 분할된 경우에는, 분할된 2 부분을 다양한 기술을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나사 결합에 의한 마찰 밀폐에서부터 접착 결합에 이르는 모든 결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막을 케이스 외장의 전면에 결합시킴으로써 케이스 품질 저하에 대한 우려없이 상기 마이크 케이스의 부품 개수를 줄이고, 케이스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막(3)과 부동 전극(5), 그리고 경우에 따라 인쇄부(7) 상에 위치하는 음향 마찰축(6)과 전기 스위치가 내부에 배열되고, 케이스 외장(11,21,28)을 가진 정전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막(3)이 케이스 외장(11,28)의 전면, 바람직하게는 고리 쇼울더(12,22)와 결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들과 접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 외장이 외장 하부(21)와 케이스 덮개(28)로 분할되며, 막(3)이 케이스 덮개(28)의 고리 쇼울더(22)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마이크.
KR1020020026641A 2001-05-18 2002-05-15 정전 마이크 KR100816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797/2001 2001-05-18
AT0079701A AT409695B (de) 2001-05-18 2001-05-18 Elektrostatisches mikrof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45A true KR20020089145A (ko) 2002-11-29
KR100816011B1 KR100816011B1 (ko) 2008-03-24

Family

ID=368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641A KR100816011B1 (ko) 2001-05-18 2002-05-15 정전 마이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20172389A1 (ko)
EP (1) EP1259095A3 (ko)
JP (2) JP2002354592A (ko)
KR (1) KR100816011B1 (ko)
CN (2) CN1809221B (ko)
AT (1) AT4096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088A (ja) * 2001-05-18 2002-11-29 Mitsubishi Electric Corp 圧力感応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JP4264007B2 (ja) * 2002-04-05 2009-05-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デンサセンサ
KR200332944Y1 (ko) * 2003-07-29 2003-11-14 주식회사 비에스이 Smd가능한 일렉트렛 콘덴서 마이크로폰
KR100544283B1 (ko) * 2004-01-20 2006-01-24 주식회사 비에스이 표면실장을 위한 평행육면체형 콘덴서 마이크로폰
US7415121B2 (en) * 2004-10-29 2008-08-19 Sonion Nederland B.V. Microphone with internal damping
JP4150407B2 (ja) * 2005-06-20 2008-09-17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5024671B2 (ja) * 2007-12-11 2012-09-1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及び電子機器
EP2422531A2 (en) * 2009-04-23 2012-02-29 Knowles Electronics, LLC Microphone having diaphragm ring with increased stability
JP2011055062A (ja) * 2009-08-31 2011-03-17 Audio Technica Corp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PL2312290T3 (pl) * 2009-10-16 2020-06-01 First Sensor Mobility Gmbh Czujnik ciśnienia i jego zastosowanie w zbiorniku płynu
US9241227B2 (en) 2011-01-06 2016-01-19 Bose Corporation Transducer with integrated sensor
US9900677B2 (en) 2015-12-18 2018-0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body sound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7001A (en) * 1922-06-03 1923-09-04 Elmo L Kellogg Method of anchoring microphone parts
GB257271A (en) 1925-08-19 1927-11-18 Neufeldt & Kuhnke Betr Sgesell Telephone with free vibrating diaphragm surface
DE884516C (de) 1940-12-09 1953-07-27 Siemens Ag Elektrostatisches Mikrophon
JPS57122512A (en) * 1981-01-23 1982-07-30 Tokyo Shibaura Electric Co Electre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S58114600A (ja) 1981-12-26 1983-07-07 Toshiba Corp 静電型マイクロホン
JPS5992700A (ja) * 1982-11-19 1984-05-28 Toshiba Corp コンデンサ型マイクロホン装置
JPH0736640B2 (ja) * 1985-05-20 1995-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エレクトレツ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H0231600A (ja) * 1988-07-21 1990-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H02149199A (ja) * 1988-11-30 1990-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DE69022111T2 (de) * 1989-05-19 1996-03-14 Gentex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ariablen Kondensator- mikrophons.
US5101543A (en) 1990-07-02 1992-04-07 Gentex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variable capacitor microphone
JP2577209Y2 (ja) * 1991-09-09 1998-07-23 ホシデン株式会社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US5272758A (en) * 1991-09-09 1993-12-21 Hosiden Corporation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unit
JP3401808B2 (ja) * 1992-04-16 2003-04-28 ソニー株式会社 電荷転送装置
JPH062899U (ja) * 1992-06-12 1994-01-14 株式会社プリモ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素子
US5616264A (en) * 1993-06-15 1997-04-01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rapid heat treatment system
IL115130A (en) * 1995-09-01 1999-09-22 Israel State Method and device for ozone sterilization of objects
JPH10145895A (ja) * 1996-11-12 1998-05-29 Sony Corp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フォン
DE69909601T2 (de) * 1998-03-18 2004-05-13 Edmonton Biosphere Technologies Inc. Verfahren zur biologischen raffinierung von organischen abfällen zur gewinnung von denaturierten und sterilen nährstoffen
JP3378197B2 (ja) * 1998-05-11 2003-02-17 ホシデン株式会社 半導体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ーマイクロホン
JP3980193B2 (ja) * 1998-09-04 2007-09-26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狭指向性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3472493B2 (ja) * 1998-11-30 2003-12-02 ホシデン株式会社 半導体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ーマイクロホン
JP2002142295A (ja) * 2000-10-30 2002-05-17 Star Micronics Co Ltd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US7062058B2 (en) * 2001-04-18 2006-06-13 Sonion Nederland B.V. Cylindrical microphone having an electret assembly in the end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54592A (ja) 2002-12-06
KR100816011B1 (ko) 2008-03-24
EP1259095A2 (de) 2002-11-20
US20020172389A1 (en) 2002-11-21
CN1387350A (zh) 2002-12-25
AT409695B (de) 2002-10-25
US7873176B2 (en) 2011-01-18
CN1809221B (zh) 2012-01-18
ATA7972001A (de) 2002-02-15
EP1259095A3 (de) 2008-09-03
CN1809221A (zh) 2006-07-26
US20080273736A1 (en) 2008-11-06
JP2008054345A (ja)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2058B2 (en) Cylindrical microphone having an electret assembly in the end cover
US7873176B2 (en) Electrostatic microphone
US8144898B2 (en) High performance micro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41715A (ja) 電子装置及び電気音響変換器
US5517574A (en) Dual function transducer housing
KR102069140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KR20190123992A (ko)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
KR100975891B1 (ko) 다기능형 액츄에이터 및 휴대 단말기기
JP4310791B2 (ja) 電気音響トランデューサを有する防水携帯機器。
WO2005091673A1 (ja)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端末機器
KR19990077490A (ko) 압전발음기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KR100464700B1 (ko) 지향성 콘덴서 마이크로폰
KR20020087361A (ko) 내부가 절연 처리된 전기 음향 케이스
JP2005244834A (ja)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実装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の実装方法
CN218998214U (zh) 发声装置及电子设备
KR200338060Y1 (ko) 보이스 코일이 결합된 피에조 세라믹 진동판을 이용한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구조
KR20020088909A (ko) 일렉트렛 콘덴서 마이크로폰
CN217088147U (zh) 扬声器
JP2003102092A (ja) 電気音響変換装置
KR100526022B1 (ko) 콘덴서 마이크로폰
CN109451410B (zh) 一种驻极体传声器及制作方法
KR100455100B1 (ko) 통화음, 호출음 및 진동기가 통합된 3-모드 일체형 마이크로 스피커
KR20030070401A (ko) 양면 스피커 유닛
KR20020035070A (ko) 지향성 마이크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