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762A -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762A
KR20020085762A KR1020010076676A KR20010076676A KR20020085762A KR 20020085762 A KR20020085762 A KR 20020085762A KR 1020010076676 A KR1020010076676 A KR 1020010076676A KR 20010076676 A KR20010076676 A KR 20010076676A KR 20020085762 A KR20020085762 A KR 20020085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rap
branch
sewa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5788B1 (ko
Inventor
안병무
Original Assignee
안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무 filed Critical 안병무
Priority to KR10-2001-007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788B1/ko
Priority to JP2002055770A priority patent/JP2002339448A/ja
Priority to AU23190/02A priority patent/AU783605B2/en
Priority to US10/096,515 priority patent/US20020163189A1/en
Priority to MXPA02002795A priority patent/MXPA02002795A/es
Priority to BR0200983-8A priority patent/BR0200983A/pt
Priority to CA002383766A priority patent/CA2383766C/en
Priority to CNB021188416A priority patent/CN1202322C/zh
Priority to TW091109053A priority patent/TW589429B/zh
Priority to MYPI20021634A priority patent/MY128876A/en
Priority to RU2002111840/03A priority patent/RU2268965C2/ru
Priority to DE60209646T priority patent/DE60209646T2/de
Priority to DK02253166T priority patent/DK1260641T3/da
Priority to AT02253166T priority patent/ATE319888T1/de
Priority to EP02253166A priority patent/EP1260641B1/en
Priority to ES02253166T priority patent/ES2261599T3/es
Publication of KR2002008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0Siphon pipes or inverted 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배출용 배관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는, 상류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상류배관으로부터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수로를 형성하는 유입관부; 하류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수로를 통해 유입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수로를 형성하는 배출관부; 상기 유입관부와 배출관부 사이에서 수로의 횡단면 전체가 상,하류에서 접하는 인접 수로의 최저점 보다 낮은 수로를 형성하는 트랩구간이 포함된 연결수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입수로에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배출수로로 유도하는 트랩부; 및 상기 트랩부의 트랩구간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트랩구간 내 수로를 위쪽으로 분기하는 분기로를 형성하는 분기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구성의 배관 연결구는 트랩부에 상시 채워지는 오수가 배관 내부와 분기로 사이를 공간적으로 차단하여 배관내 악취가 분기로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SEWAGE PIPE CONNECTOR TO BE ABLE TO INTERCEPT BAD SMELL}
본 발명은 오수 배출용 배관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악취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악취 차단구조를 구비하면서 슬러지 등의 침전물 수거을 위한 분기관을 높이에 차등을 두고 여러 규격으로 별도 제작한 다음 사후적으로 그 규격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어 분기관 높이 조정이 가능한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소비생활과 각종 산업활동을 하는 현대사회에서는 물질적 문명활동의 부산물인 각종 폐기물이 끊임없이 발생되는데, 그 중에서 액체형태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오수(汚水)는 그 양이 많고 외부에 누출되거나 방치되는 경우 전염병을 유발하는 등 자연환경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거의 모든 건축 시설물에는 오수를 발생 즉시 그 건축시설물로부터 신속하게 배제시키기 위한 배수시설이 설치된다.
배수시설에 있어서 오수를 배출하는 하수관은 통상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건물이나 땅속에 매립된 상태에서 밀폐된 배수로를 형성하여 오수를 외부에 누출되지 않게 하면서 하수도나 하수종말처리장 또는 자연수역까지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데,이러한 하수관으로 이용되는 배관은 통상 단위 길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배수길이가 길 경우에는 배관 여러 개를 배관 연결구로 연결하여 그 길이를 늘릴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종래 배관 연결구는 배관들을 연결하는 것 외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로부터 침전되어 배관 막힘의 원인이 되는 슬러지를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배관 연결구(2)는 수평 배치된 상류 배관을 수직 배치된 하류 배관(40)에 연결할 때 이용되는 것으로서, 이 종래 배관 연결구(2)는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배치된 상류 배관(30)에 결합되어 유입수로(210)를 형성하는 유입관부(21)와, 상기 상류 배관(30) 연결부의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수직 배치된 하류 배관(40)에 결합되고 배출수로(220)를 형성하는 배출관부(22), 그리고, 상기 유입관부(21)와 상기 배출관부(22) 사이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분기로(230)를 형성하는 분기관부(23) 등 서로 일체화된 세 개의 관부(21,22,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관부(21)의 하류측 끝에는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 등의 고형물 찌꺼기를 거를 수 있는 거름부(24)가 유입관부(21) 바닥에서부터 오수의 흐름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쪽으로 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성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분기관부(23)가 형성하는 분기로(230)는 두 가지 용도 즉 다른 곳에서 발생된 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수로나 또는 상기 거름부(24)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를 수거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된다. 이에, 분기관부(23)의 상단에는 다른 곳에서 발생된 하수를 유도하는 배관이나 배수구가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배관 등이 결합되지 않는 경우 그 분기관부(23)의 분기로(230)를 통하여 오수나 악취 등이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분기관부(23) 상단을 밀폐하는 뚜껑(25)이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종래 배관 연결구(2)는 그 유입관부(21)와 배출관부(22)로써 상류 배관(30)과 하류 배관(40)을 연결하여 상류 배관(30)으로부터 유입관부(21)에 유입된 오수를 배출관부(22)를 통해 하류 배관(40)으로 유도한다. 또한 상기 분기관부(23)에 다른 배관이나 배수구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배관이나 배수구를 통해 하수를 유입하여 하류 배관(40)으로 배출되는 하수에 합류하여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하수 유도과정에서 유입관부(21) 끝단의 거름부(24)로써 슬러지 등을 걸러 내 분기로(230)를 통해 수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슬러지 등으로 인한 배관 막힘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배관 연결구(2)는 유입관부(21)를 따라 흐르는 하수의 수면 위쪽의 공간이 분기관부(23)측으로 공간적으로 상시 연결되어 분기관부(23) 내부에 하수에서 발생한 악취가 항상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단지 뚜껑(25) 하나에만 의존하여 밀폐된 분기관부(23)의 분기로(230)를 통해 악취를 밖으로 누출할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거름부(24)에 걸러진 슬러지 등을 수거하고자 뚜껑(25)을 개방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에서 발생하여 분기관부(23)와 상,하류 배관(30,40)(40)에 충전되어 있던 악취가 화살표 방향으로 분기관부(23)의 분기로(230)를 통해 일시에 밖으로 방출되므로 슬러지 수거 작업이 매우 거북스러운 것은 물론이고 인체에 해로운 악취가 주변으로 급속히 확산되어 주변의 공기를 단시간에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배관 연결구(2)는 거름부(24)에 걸러진 슬러지 등을 좁은 분기관부(23)의 분기로(230)를 통해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여러 번 반복해서 수거해야 했기 때문에 슬러지 등을 수거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배관 연결구(2)는 분기관부(23), 유입관부(21) 및 배출관부(22)가 일체화된 주물 성형품으로서, 분기관부(23)의 상하 길이 조정이 불가능하여 분기관부(23)의 상하 길이가 배관 매립 깊이와 다른 경우에는 시공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 배관 연결구(2)는 배관 매립 깊이가 다른 경우를 위하여 분기관부(23)의 상하길이를 달리하여 여러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배수관 연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수에서 발생된 악취의 외부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악취 차단구조를 구비하고, 수직관부가 분리된 상태로 여러 규격으로 제작되어 배수관 매립 깊이에 적합한 규격의 수직관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배관 연결구에 의한 배관 결합사시도.
도 2는 종래 배관 연결구에 의한 배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배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는 배관의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매립된 하수 배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매립된 하수 배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배관 내 슬러지 수거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관 연결구11 : 유입관부
12 : 배출관부13 : 분기관부
14 : 분기관부15 : 분기관
16 : 뚜껑17 : 거름망체
18 : 침전관부19 : 수거용기
110 : 유입수로120 : 배출수로
130 : 연결수로180 : 침전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는, 상류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상류배관으로부터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수로를 형성하는 유입관부; 하류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수로를 통해 유입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수로를 형성하는 배출관부; 상기 유입관부와 배출관부 사이에서 수로의 횡단면 전체가 상,하류에서 접하는 인접 수로의 최저점 보다 낮은 수로를 형성하는 트랩구간이 포함된 연결수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입수로에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배출수로로 유도하는 트랩부; 및 상기 트랩부의 트랩구간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트랩구간 내 수로를 위쪽으로 분기하는 분기로를 형성하는 분기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는, 상기 분기관부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기로를 상향 연장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트랩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트랩부를 경유하는 오수로부터 침전되는 침전물이 누적되어 쌓여지는 침전실을 형성하는 침전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침전물 수거를 위하여 상기 침전관부 내 침전실에 탈거 가능하게 안치되는 수거용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기관의 선단 개방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기로를 밀폐하는 뚜껑이나, 상기 트랩부와 접하는 상기 배출관부의 입구에 탈거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트랩부에서 상기 배출관부로 흐르는 오수로부터 고형분을 걸러내는 거름망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는, 유입관부와 배출관부가 상류 배관과 하류 배관에 결합됨에 따라 상류 배관으로부터 유입관부에 유입된 오수를 트랩부를 경유하여 배출관부를 통해 하류 배관으로 유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는, 상,하류 배관 내부와 분기관 내부가 트랩부 내에 상시 저수되는 오수에 의해 공간적으로 차단되므로 상,하류 배관 내에서 발생된 악취가 분기관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오수에 함유된 고형분 예컨대 슬러지 등의 침전물이 거름망체에 의해 걸러져 트랩부의 침전관부의 수거용기에 모아지게 되는 바, 이를 분기관 상단의 뚜껑을 열고 분기로를 통하여 일거에 수거할 수 있으므로 슬러지 등으로 인한 배관 막힘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는 배관의 조립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에 의해 조립되어 매립된 하수 배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10)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배관 즉 상,하류 배관(30,40)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유입관부(11)와 배출관부(12), 상기 유입관부(11)와 배출관부(12)를 연결하는 트랩부(13), 그리고, 상기 트랩부(13)의 중앙에서 상향 연장된 분기관부(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관부(11)와 배출관부(12)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각 선단에 수평으로 배치된 상류 배관(30)과 하류 배관(40)에 결합되어 각각 오수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유입수로(110)와 배출수로(120)를 형성하는 중공관(中空管)으로, 그 각 선단에는 구경(口徑)이 확장된 결합테(11a,12a)가 설치되어 상류 배관(30)과 하류 배관(40)이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트랩부(13)는 상기 유입관부(11)와 배출관부(12) 사이에서 상기 유입관부(11)에 유입된 오수를 상기 배출관부(12)측으로 유도하는 연결수로(130)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연결수로(130) 중에는 수로의 단면 전체가 그에 인접한 상,하류측 수로(예컨대 유입수로(110)와 배출수로(120))의 바닥 높이 보다 낮게 위치하여 유입수로(110)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수로(120)로 배출되는 오수의 일부가 상시 저장되는 트랩구간(T)을 포함한다. 이 트랩부(13)와 접하는 배출관부(12)의 배출수로(120) 입구에는 트랩부(13)에서 배출수로(120)로 배출되는 오수로부터 슬러지 등을 걸러내는 거름망체(1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트랩부(13)는 유입관부(11)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배출관부(12)로 유도하고 그 오수의 일부를 연결수로(130)의 트랩구간(T)에 상시 저장, 트랩구간(T)의 상,하류를 공간적으로 차단하여 상,하류 배관(30,40) 사이에 기체가 유동할 수 없게 함으로써 상,하류 배관(30,40) 내 가스를 차단한다. 아울러 연결수로(130)를 유입관부(11)의 유입수로(110)와 배출관부(12)의 배출수로(120) 보다 낮은 위치에서 형성하여 배출관부(12) 입구의 거름망체(17)에 의해 걸러지고 오수 보다 큰 비중으로 인해 침강하는 침전물이 연결수로(130)의 바닥에 분기관(15)의 분기로를 통해 수거가 가능하도록 가라앉게 한다.
분기관부(14)는 상기 트랩부(13)의 트랩구간(T)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중공관으로, 그 선단에는 분기관(15)이나 배수구를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경이 확장된 결합테(14a)가 성형된다. 이 분기관부(14)는 상기 트랩부(13) 내 연결수로(130)를 위쪽으로 개방하는 분기로(140)를 형성한다. 분기로(140)는 오수를 도입하는 오수 도입의 용도나 또는 트랩부(13)에 침전된 슬러지 등의 침전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의 용도로 활용된다. 즉, 그 선단에 분기관(15)이나 배관 또는 배수구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분기관(15) 등으로 오수를 트랩부(13)로 유도하여 유입관부(11)를 통해 유입된 오수와 함께 배출관부(12)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트랩부(13)의 트랩구간(T)에 가라앉은 슬러지 등과 같은 침전물을 수거하기 위한 통로로 활용된다. 분기로(140)가 수거용으로만 이용되는 경우에는 분기관부(14)(또는 분기관(15)) 선단에 결합테(160)를 개재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16)에 의해서 밀폐된다.
분기관(15)은 상기 분기관부(14)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기관부(14)가 형성하는 분기로(140)를 위쪽으로 연장하는 관으로, 이는 상하 길이를 달리하는 여러 규격으로 제작되며, 그 규격 선택에 따라 분기로(140)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가 땅속에 매립되는 배관의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그 배관의 매립 깊이에 따라서 적당한 규격의 분기관(15)을 선택하여 분기관부(14)에 결합함으로써 분기로(140)의 입구가 지표면에 접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분기관(15)이 분리 제작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란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의 분기로(140)는분기관(15)의 교체로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기관(15)의 분리 제작은 분기로(140)의 높이에 차등을 두기 위하여 배관 연결구(10) 전체를 여러 규격의 제품으로 제작해야 했던 종래 배관 연결구의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10)는 상,하류 배관(30,40)을 연결하여 상류 배관(30)의 오수를 하류 배관(40)으로 유도하는 것은 물론이고, 그 과정에서 트랩부(13)의 트랩구간(T)에 상시 채워지게 되는 오수로써 유입,배출수로(110,120)와 분기로(130)를 공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상,하류 배관(30,40)에 충전된 악취가 분기로(140)를 통해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된 트랩부(13)에서 슬러지 등이 비중과 거름망체(17)에 의해 걸러져 침전되고 그 침강된 침전물을 분기로를 통해 수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러지 등으로 인한 배관 막힘 현상의 예방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에 의해 조립되어 매립된 하수 배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는, 앞서 설명된 일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축선상에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유입관부(11)와 배출관부(12), 상기 유입관부(11)와 배출관부(12) 사이에서 그들을 서로 연결하는 트랩부(13), 상기 트랩부(13)의 트랩구간(T)에서 상향 연장된 분기관부(14), 그리고 , 상기 분기관부(14)의 상단에 결합되는 분기관(1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상기 분기관(15) 아래쪽에서 상기 트랩부(13)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그 내부에 침전실(180)을 형성하는 침전관부(18)와 상기 분기관(15)(또는 분기관부(14))의 상단에 결합된 뚜껑(16)을 열고 분기로를 통해 들어낼 수 있게 상기 침전관부(18)의 침전실(180)에 안치되는 망상구조의 수거용기(19)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는 트랩부(13)에서 침전되는 슬러지 등이 수로에서 벗어나 있는 침전관부(18)의 침전실(180)에 누적되어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배수효율이 높일 수 있고, 트랩부(13)에서 걸러지는 침전물의 용량이 커서 침전물 수거 주기(週期)를 늘릴 수 있으며, 또, 슬러지 등의 침전물이 수거용기(19)에 누적되는 바 그 침전물을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거용기(19)로써 한 번에 수거할 수 있으므로 침전물 수거하기가 아주 간편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는, 오수 배수 과정에서 트랩부 내부에 상시 채워지는 오수로써 상,하류 배관 내 악취가 분기로를 통해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된 트랩부에서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 등을 걸러내 분기로를 통해 수거할 수 있으므로 슬러지 등으로 인한 배관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는 분기로의 높이를 결정하는 분기관이 다양한 규격으로 별도 제작된 후 사후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분기관부에 결합되는 분기관의 선택에 따라서 분기로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배관의 매립깊이 차이 등으로 인해 분기로 높이에 차등을 두기 위하여 배관 연결구 전체가 여러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했던 종래 배관 연결구의 불합리한 점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6)

  1. 상류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상류배관으로부터 오수를 유입하는 유입수로를 형성하는 유입관부;
    하류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수로를 통해 유입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수로를 형성하는 배출관부;
    상기 유입관부와 배출관부 사이에서 수로의 횡단면 전체가 상,하류에서 접하는 인접 수로의 최저점 보다 낮은 수로를 형성하는 트랩구간이 포함된 연결수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입수로에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배출수로로 유도하는 트랩부; 및
    상기 트랩부의 트랩구간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트랩구간 내 수로를 위쪽으로 분기하는 분기로를 형성하는 분기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부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기로를 상향 연장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트랩부를 경유하는 오수로부터 침전되는 침전물이 누적되어 쌓여지는 침전실을 형성하는 침전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관부 내 침전실에 침전물 수거를 위하여 탈거 가능하게 안치되는 수거용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기로를 밀폐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와 접하는 상기 배출관부의 입구에 탈거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트랩부에서 상기 배출관부로 흐르는 오수로부터 고형분을 걸러내는 거름망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KR10-2001-0076676A 2001-05-07 2001-12-05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KR10041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76A KR100415788B1 (ko) 2001-05-07 2001-12-05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JP2002055770A JP2002339448A (ja) 2001-05-07 2002-03-01 悪臭が遮断できる配管連結具
AU23190/02A AU783605B2 (en) 2001-05-07 2002-03-08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ng bad smell
US10/096,515 US20020163189A1 (en) 2001-05-07 2002-03-12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ng bad smell
MXPA02002795A MXPA02002795A (es) 2001-05-07 2002-03-14 Conector de tubo de aguas residuales para interceptar malos olores.
BR0200983-8A BR0200983A (pt) 2001-05-07 2002-03-27 Conector de tubo de águas servidas para interceptação de mal cheiro
CNB021188416A CN1202322C (zh) 2001-05-07 2002-04-29 用于阻止难闻气味的污水管连接器
CA002383766A CA2383766C (en) 2001-05-07 2002-04-29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ng bad smell
TW091109053A TW589429B (en) 2001-05-07 2002-05-01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ng bad smell
MYPI20021634A MY128876A (en) 2001-05-07 2002-05-06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ng bad smell
RU2002111840/03A RU2268965C2 (ru) 2001-12-05 2002-05-06 Соединитель канализационных труб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неприятного запаха
DE60209646T DE60209646T2 (de) 2001-05-07 2002-05-07 Leitungsverbinder zur Geruchsvermeidung
DK02253166T DK1260641T3 (da) 2001-05-07 2002-05-07 Kloakrörsforbindelsesstykke til afskæring af dårlig lugt
AT02253166T ATE319888T1 (de) 2001-05-07 2002-05-07 Leitungsverbinder zur geruchsvermeidung
EP02253166A EP1260641B1 (en) 2001-05-07 2002-05-07 Sewage pipe connector for intercepting bad smell
ES02253166T ES2261599T3 (es) 2001-05-07 2002-05-07 Conector para tuberias de aguas residuales para evitar los malos olo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590 2001-05-07
KR1020010024590 2001-05-07
KR10-2001-0076676A KR100415788B1 (ko) 2001-05-07 2001-12-05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762A true KR20020085762A (ko) 2002-11-16
KR100415788B1 KR100415788B1 (ko) 2004-01-24

Family

ID=3667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676A KR100415788B1 (ko) 2001-05-07 2001-12-05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20163189A1 (ko)
EP (1) EP1260641B1 (ko)
JP (1) JP2002339448A (ko)
KR (1) KR100415788B1 (ko)
CN (1) CN1202322C (ko)
AT (1) ATE319888T1 (ko)
AU (1) AU783605B2 (ko)
BR (1) BR0200983A (ko)
CA (1) CA2383766C (ko)
DE (1) DE60209646T2 (ko)
DK (1) DK1260641T3 (ko)
ES (1) ES2261599T3 (ko)
MX (1) MXPA02002795A (ko)
MY (1) MY128876A (ko)
TW (1) TW5894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25B1 (ko) 2006-10-14 2007-05-14 주식회사 삼안 하수도 끝단부 슬러지 제거장치
CN102373736A (zh) * 2010-08-04 2012-03-14 李钟泰 集合管
KR101408976B1 (ko) * 2012-04-26 2014-07-17 김성준 배수관에서 퇴적토 제거장치
US9593475B2 (en) * 2012-06-01 2017-03-14 Cornelio Torres Plumbing elbow
CN102840417B (zh) * 2012-08-31 2015-08-19 柳州市京阳节能科技研发有限公司 双阀防堵高效液控器
NL2009587C2 (en) * 2012-10-08 2014-04-14 Hendrik Cornelis Ravenhorst A duct element, a drain pipe emptying system and method for temporarily disconnecting an outlet pipe of a building from a sewer main.
BE1021893B1 (fr) * 2014-03-14 2016-01-25 Hydro+ Groupe de pompage, station de pompage, aire de pompage et methode de pompage d'un liquide.
CN109252578A (zh) * 2018-10-12 2019-01-22 张鑫 一种地铁车站密闭水箱污水提升系统
CN111779108B (zh) * 2020-08-11 2021-07-06 枣庄学院 一种下水道市政排放污水过滤清渣装置
CN114922271B (zh) * 2022-05-31 2024-04-19 江西东塑科技有限公司 一种可清理淤泥的污水管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24A (en) * 1890-09-09 John demarest
US290603A (en) * 1883-12-18 pelliee
US179138A (en) * 1876-06-27 Improvement in drain or sewer traps
US1118955A (en) * 1909-02-20 1914-12-01 Haines Jones & Cadbury Inc Bath-trap.
US1152831A (en) * 1914-05-05 1915-09-07 Robert Charles Monteagle Pipe-strainer.
US1961498A (en) * 1931-01-31 1934-06-05 Badger Meter Mfg Co Strainer trap
US2246012A (en) * 1940-04-15 1941-06-17 Sanders Ernest Drain
CH288666A (fr) * 1950-12-21 1953-02-15 Fonderie Du Vallon S A Boîte siphoïde.
JPH0322373Y2 (ko) * 1985-12-18 1991-05-15
KR890007020Y1 (ko) * 1986-07-15 1989-10-14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렌지의 전파누설 방지장치
JPS63151583U (ko) * 1987-03-23 1988-10-05
KR920000426Y1 (ko) * 1988-10-19 1992-01-15 태자조 배수 트랩
JPH0688374A (ja) * 1992-09-10 1994-03-29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排水桝
JP2779113B2 (ja) * 1993-04-28 1998-07-23 北海道積水工業株式会社 雨水桝
JP2741348B2 (ja) * 1994-09-16 1998-04-1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塩ビ製小口径雨水ます
JPH08239883A (ja) * 1995-03-06 1996-09-17 Kubota Corp 封水装置
JPH1018402A (ja) * 1996-07-09 1998-01-20 Sekisui Chem Co Ltd 排水桝
JPH10252133A (ja) * 1997-03-17 1998-09-22 Sekisui Chem Co Ltd 排水桝
DE29915075U1 (de) * 1999-08-27 2000-02-24 Karl Hailfinger Gmbh & Co Kg Schacht-Versickerungssystem zur Versickerung von Regenwasser
KR200244684Y1 (ko) * 2001-05-07 2001-10-12 안병무 악취를 차단하는 하수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0641A1 (en) 2002-11-27
KR100415788B1 (ko) 2004-01-24
MXPA02002795A (es) 2005-04-19
CN1384256A (zh) 2002-12-11
CA2383766A1 (en) 2002-11-07
TW589429B (en) 2004-06-01
ES2261599T3 (es) 2006-11-16
ATE319888T1 (de) 2006-03-15
CA2383766C (en) 2007-11-06
MY128876A (en) 2007-02-28
DE60209646D1 (de) 2006-05-04
CN1202322C (zh) 2005-05-18
BR0200983A (pt) 2003-02-11
AU783605B2 (en) 2005-11-10
DE60209646T2 (de) 2007-07-19
US20020163189A1 (en) 2002-11-07
JP2002339448A (ja) 2002-11-27
AU2319002A (en) 2002-11-14
DK1260641T3 (da) 2006-07-17
EP1260641B1 (en)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838799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맨홀
KR100415788B1 (ko)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KR10087770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JP5281094B2 (ja) 雨水処理装置
AU2002100710B4 (en) Greywater diversion vessell assembly
US20080185325A1 (en) Pollutant Trap
KR101714397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200424846Y1 (ko)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KR101202895B1 (ko) 빗물 저류 장치
KR101936331B1 (ko) 와류형 우수처리장치
KR10108156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5367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452034Y1 (ko) 교량용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403882B1 (ko)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RU2268965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канализационных труб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неприятного запаха
CN212224126U (zh) 防堵塞的市政排水管道
KR101472327B1 (ko) 배수 트랩 장치
KR101481449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0234784Y1 (ko) 생활 오폐수조의 악취차단관
KR102100831B1 (ko) 우오수받이 장치
KR10255657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CN208916869U (zh) 油水分离装置
KR20140080762A (ko)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200199547Y1 (ko) 슬러지와 유류를 분리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