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762A -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762A
KR20140080762A KR1020120148070A KR20120148070A KR20140080762A KR 20140080762 A KR20140080762 A KR 20140080762A KR 1020120148070 A KR1020120148070 A KR 1020120148070A KR 20120148070 A KR20120148070 A KR 20120148070A KR 20140080762 A KR20140080762 A KR 20140080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discharge port
discharged
manur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0762A/ko
Publication of KR2014008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오수받이의 몸체부 내부에서 분뇨가 배출되는 제1유로와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제2유로를 분리하여 몸체부의 내부에서 분뇨와 생활하수가 혼합되지 않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분뇨와 생활하수가 모여져 배출되는 몸체부와, 분뇨가 몸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유입구와, 생활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에 형성되는 보조유입구 및 분뇨와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보조유입구에 연결되도록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U형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주유입구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연결되어 배출구를 상, 하로 구획하는 직결관부에 의해 분뇨가 배출되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U트랩에서 직결관부의 외면을 통해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배출구의 상부로 제2유로가 형성되어 U트랩에서 월류되는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A drain sewage with branch fluid paths}
본 발명은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오수받이 몸체부 내부에서 분뇨를 배출하는 제1유로를 관수로화 하여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제2유로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면서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오수를 받아 일시 저장하면서 이에 포함된 찌꺼기 성분을 거른 상태에서 배수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거나 또는 찌꺼기를 거르지 않은 상태에서 오수를 그대로 배수관을 통해 메인관으로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라 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오수받이는 설치장소와 사용목적에 따라 오수처리 용량과 크기를 결정하여 그에 맞는 각각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종래 가정용 오수받이의 경우에는 악취 때문에 대부분 생활폐수용 오수받이와 변기용 오수받이로 나누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오수받이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생활폐수용 오수받이와 변기용 오수받이를 하나로 합친 오수받이가 고안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오수받이는 변기관의 오수가 생활폐수관을 통해 역류되거나, 악취가 주방이나 욕실등으로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538651 등록특허 10-076544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받이의 몸체부 내부에서 분뇨가 배출되는 제1유로와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제2유로를 분리하여 몸체부의 내부에서 분뇨와 생활하수가 혼합되지 않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악취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분뇨와 생활하수가 모여져 배출되는 몸체부와, 분뇨가 몸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유입구와, 생활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에 형성되는 보조유입구 및 분뇨와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보조유입구에 연결되도록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U형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주유입구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연결되어 배출구를 상, 하로 구획하는 직결관부에 의해 분뇨가 배출되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U트랩에서 직결관부의 외면을 통해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배출구의 상부로 제2유로가 형성되어 U트랩에서 월류되는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결관부는 주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분뇨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결관부의 타측단은 상단부가 수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배출구의 상, 하를 완전히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유입구에는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가 보조유입구에 연결되며 수평부에 연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분뇨가 직결관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유로를 통해 오수받이의 몸체부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고 주유입구에서 배출구로 바로 이동함으로써 몸체부 내부의 생활하수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어 보조유입구를 통한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유로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분뇨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의 보조유입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에 있어 연결소켓을 통한 연결관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의 보조유입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에 있어 연결소켓을 통한 연결관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분뇨와 생활하수가 모여져 배출되는 원통형태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에 분뇨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유입구(110)와, 상기 몸체부(100)에 생활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2개의 보조유입구(120)와, 상기 주유입구(110)의 상기 보조유입구(120)와 주유입구(110)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와 생활하수를 배출해주는 배출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분뇨와 보조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하수는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1유로(300)와 제2유로(310)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형태의 관벽체를 가지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상기 주유입구(110), 보조유입구(120) 및 배출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주유입구(110)와 배출구(130)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고 상기 2개의 보조유입구(120)는 주유입구(110)의 양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에는 보조유입구(120)에 연결되도록 U형트랩(140)이 형성되어 보조유입구(120)를 통해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유로(30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주유입구(11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배출구(130)에 직결되는 직결관부(200)를 통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직결관부(200)의 타측단은 배출구(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배출구(13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출구(130)를 상, 하로 구획하게 된다.
또한 직결관부(200)의 타측단은 상측이 수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구(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배출구(130)의 상, 하를 완전히 구획한다.
이렇게 직결관부(200)의 배출구(130)의 상하를 완전히 구획함으로써 분뇨와 생활하수가 배출구(130)로 배출되기 전까지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혼합되지 않고 배출구(13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유로(300)는 직결관부(200)에 의해 관수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고 배출구(130)에 바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유로(31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개수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U형트랩(140)에서 월류되는 생활하수가 배출구(130)로 배출됨으로서 형성된다.
이때 제2유로(310)는 상기 직결관부(200)에 의해 구획되는 배출구(130)의 외측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유로(31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노출된 개수로 형태로서 직결관부에 의해 제1유로(300)와는 서로 구획되어 배출구(130)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1유로(300)와 제2유로(31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서로 만나지 않고 별도로 구획되어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제1유로(300)를 통해 배출되는 분뇨가 제2유로(310)로 튀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보조유입구(120)를 통해 가정으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직결관부(200)는 배출구(13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유로(300)를 통해 배출되는 분뇨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직결관부(200)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직결관부(200)에 형성되는 제1유로(300) 또한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뇨의 배출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되고 제1유로(300)가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주유입구(110)와 보조유입구(120)에 연결소켓(150)이 구비되어 주유입구(110)와 보조유입구(120)에 연결되는 연결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소켓(150)은 조임식 연결소켓으로써 연결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내부의 수밀부재가 연결관의 외경에 밀착되어 수밀 및 연결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유입구(120)에 구비되는 연결소켓(150)은 엘보 형태의 연결소켓(150)으로써 보조유입구(120)에 연결되는 연결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엘보 형태의 연결소켓(150)은 수직부(151)와 수평부(152)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151)가 보조유입구(120)에 연결되고 수평부(152)에 연결관(50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보조유입구(120)에 설치되는 엘보 형태의 연결소켓(150)은 수평부(152)에 미리 연결관(500)을 연결해 놓은 상태에서 수직부(151)를 보조유입구(120)에 체결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 연결소켓(150)에 연결관(500)을 조립하기 위해 연결관(500)을 휘도록 하거나, 오수받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수직부(151)가 보조유입구(120)에 조립됨으로써 상부에서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연결소켓(150)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150)은 도 2 에서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위치에서 연결관(5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수받이를 통한 오수의 흐름 및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주유입구(110)를 통해 몸체부(100)로 분뇨가 유입되면, 유입된 분뇨는 직결관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유로(300)를 통해 배출구(130)의 하측으로 배수된다.
이때 직결관부(200)는 관수로 형태로 형성됨으로서 분뇨가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배출구(130)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직결관부(200)는 주유입구(110)에서 배출구(13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제1유로(300)를 통해 분뇨의 빠른 배출이 이루어지고, 직결관부(200) 내부에서 분뇨가 남아 있지 않게 되어 직결관부(200)가 밀폐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보조유입구(120)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하수는 U형트랩(140)을 통해 몸체부(100)의 내부로 월류되어 배출구(130)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제2유로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U형트랩(140)의 내부에는 물이 고여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보조유입구(120)를 통해 주방이나 욕실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주유입구로 유입되는 분뇨가 U형트랩(140)으로 튀지 않아 분뇨에 의해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분뇨가 직결관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유로(300)를 통해 오수받이의 몸체부(100)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고 주유입구(110)에서 배출구(130)로 바로 이동함으로써 몸체부(100) 내부에서 제2유로(310)와 만나지 않아 분뇨가 생활하수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어 보조유입구(120)를 통한 악취의 역류가 방지된다.
또한 제1유로(300)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분뇨가 제1유로(300)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최소하시켜 분뇨의 빠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뇨가 제1유로(300)에서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몸체부 (110) : 주유입구
(120) : 보조유입구 (130) : 배출구
(140) : U트랩 (150) : 연결소켓
(151) : 수직부 (152) : 수평부
(200) : 직결관부 (300) : 제1유로
(310) : 제2유로 (500) : 연결관

Claims (5)

  1. 분뇨와 생활하수가 모여져 배출되는 몸체부와, 분뇨가 몸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주유입구와, 생활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에 형성되는 보조유입구 및 분뇨와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보조유입구에 연결되도록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U형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주유입구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연결되어 배출구를 상, 하로 구획하는 직결관부에 의해 분뇨가 배출되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U트랩에서 직결관부의 외면을 통해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배출구의 상부로 제2유로가 형성되어 U트랩에서 월류되는 생활하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결관부는 주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분뇨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결관부의 타측단은 상단부가 수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배출구의 상, 하를 완전히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입구에는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가 보조유입구에 연결되며 수평부에 연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1020120148070A 2012-12-18 2012-12-18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20140080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070A KR20140080762A (ko) 2012-12-18 2012-12-18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070A KR20140080762A (ko) 2012-12-18 2012-12-18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762A true KR20140080762A (ko) 2014-07-01

Family

ID=5173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070A KR20140080762A (ko) 2012-12-18 2012-12-18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07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742B1 (ko) * 2022-08-24 2023-04-24 김주환 오수받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742B1 (ko) * 2022-08-24 2023-04-24 김주환 오수받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077B1 (ko) 오수받이 겸 맨홀
KR101838799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맨홀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WO2016185375A1 (en) Sink drain with integrated trap and removable lower cover
AU2002100710B4 (en) Greywater diversion vessell assembly
KR101869955B1 (ko) 슬러지의 퇴적 방지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KR101847554B1 (ko) 수로변경형 오수받이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20140080762A (ko)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101296212B1 (ko) 역류방지구를 구비한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020085762A (ko)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KR101729274B1 (ko) 착탈형 트랩부재를 구비하는 오수받이
KR20170002159A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0766508B1 (ko) 오수받이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0742723B1 (ko) 다기능 소형맨홀
KR101272416B1 (ko) 다용도 오폐수 침전조 오수받이 맨홀
JP2004360263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20120041541A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JP4911499B2 (ja) 排水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大曲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