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846Y1 -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846Y1
KR200424846Y1 KR2020060015258U KR20060015258U KR200424846Y1 KR 200424846 Y1 KR200424846 Y1 KR 200424846Y1 KR 2020060015258 U KR2020060015258 U KR 2020060015258U KR 20060015258 U KR20060015258 U KR 20060015258U KR 200424846 Y1 KR200424846 Y1 KR 200424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clined plate
overflow water
screen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학 김
Original Assignee
(주) 일신네이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네이쳐 filed Critical (주) 일신네이쳐
Priority to KR2020060015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8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 월류수 처리장치(이하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관거를 따라 이송되는 조대 고형물, 부유물 및 오일뿐만 아니라 미세한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분리 제거할 수 있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는, 부유물 또는 고형물을 분리·제거하는 월류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일측에 유입관이 연결되어 있는 배플드럼과, 상기 배플드럼의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된 격자구조를 가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감싸고 고형물이 하부로 이송될 수 있는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경사판으로 이루어진 경사판부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배플드럼, 스크린 및 경사판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개구된 상부에 맨홀 뚜껑과 일측에 유출관이 연통된 본체 외벽과, 상기 본체 외벽의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탈착가능한 침전물 버켓이 설치되는 침전물 저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배플드럼에 의해 유입되는 월류수 중의 오일 및 부유물이 분리·제거되고, 스크린에 의해 조대 고형물이 걸려 분리되며, 기울어진 경사판부에 의해 미세 고형물 또한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형물 처리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 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초기우수, 우수, 하수, 하수관거 월류수, 와류, 경사판.

Description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 월류수 처리장치{the sewer overflows disposal plant using inclined plates sediment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의 상단부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경사판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형 경사판 모듈을 적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침전물 버켓과 유도판을 포함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a)(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110 : 본체 외벽 120 : 배플드럼
130 : 스크린 140 : 경사판부
141 : 경사판 141a: 블럭형 경사판 모듈
150 : 침전물 저류조 160 : 침전물 버켓
A: 와류구역 B : 스크린구역
C : 침전물 저류구역 D : 미세 고형물 침전구역
E : 유출 처리수 구역
본 고안은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관거를 따라 이송되는 조대 고형물, 부유물 및 오일뿐만 아니라 미세한 고형물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분리 제거할 수 있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비점 오염원의 특성은 오염물질 발생원인이 인위적 자연적이고, 배출지점이 불특정하며, 희석 및 확산되면서 넓은 지역으로 배출되고, 강우 등 자연적 요인에 따른 배출량의 변화가 심하여 예측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수집이 어렵고 처리 효율이 일정하지 않은 특성들을 갖추고 있다.
상기 강우시 하수의 배제 방식은 크게 합류식, 분류식, 부분분류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합류식 시스템에는 우수토실(regulator)을 설치하여 일정량 이상의 물은 차집관거로 유입되지 않도록 조절하고 있어 차집되지 못한 폐수는 직접 하천, 해양 등으로 유출된다.
이와 같은 유출수를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CSOs:Combined Sewer Overflows)라 하며,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유발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의 제어가 필수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관거에 설치되는 처리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거(1)의 일측과 연통된 월류수 처리장치(10)를 땅 밑에 설치하고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의 상부에는 맨홀 뚜껑(2)을 설치하여 상기 맨홀 뚜껑(2)을 통해 처리장치 내부에서 걸러진 협잡물 등의 고형물(3)을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거(1)를 따라 이송되는 월류수는 유입구(12)를 통해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내로 유입되고, 원통형의 본체 외벽(11)이 형성하는 공간내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의 내부에는 격자구조를 가진 원통형의 스크린(13)이 포함되어 상기 월류수 중 크기가 큰 협잡물 등의 조대 고형물은 상기 스크린(13)의 망에 걸려 하부 침전부(14)에 쌓이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13)에 의해 조대 고형물이 제거된 월류수는 본체 외벽(11) 일측에 형성된 유출구(15)를 통해 재차 관거(1)로 이송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월류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스크린(13)의 구멍크기에 따라 크기가 큰 조대 협잡물만 제거가 가능하고, 작은 침전 고형물은 관거 월류수의 흐름에 따라 상기 스크린(13)의 망을 통과하여 그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스크린(13)에 적용되는 망의 크기가 2∼5㎜ 정도로 작기 때문에 크기가 큰 고형물들에 의해 쉽게 막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월류수 처리장치(10)는 외국 기술에 의한 것으로 운송비가 크고 로열티 등에 따른 단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월류수 중에 함유된 고형물의 제거율을 향상시켜 하천 등으로 유입되는 오염물 부하 제거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유입수의 흐름에 따라 형성되는 힘에 의해 협잡물 등의 조대 고형물을 제거하고, 내부에 다수의 경사판을 포함한 경사판부를 설치하여 이를 이용하여 미세 고형물 또한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통형 또는 사각통의 형상을 가지고, 블럭형 경사판 모듈을 이용하여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며, 노출되는 맨홀 뚜껑 부분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월류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는, 오일 및 부유물이 제거되는 배플드럼과, 조대 협잡물을 분리하는 스크린, 그리고 미세 협잡물을 분리하는 경사판부와, 이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본체 외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외벽의 하부에는 침전된 고형물이 쌓이는 침전물 버켓이 구비된 침전물 저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부유물 또는 고형물을 분리·제거하는 월류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플드럼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관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관거와 연통된 유입관이 접선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배플드럼의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고 격자구조를 가지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경사판부는 상기 스크린의 외측을 감싸면서 연통되고 침전된 고형물이 하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경사판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외벽은 내부에 상기 배플드럼, 스크린 및 경사판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데,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상부에 맨홀 뚜껑과 일측에 유출관이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경사판부의 형상에 따라 경사면을 가지는 원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침전물 저류조는 본체 외벽의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과 연통되고 내부에 탈착가능한 침전물 버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는, 상기 배플드럼에 의해 오일 및 부유물을 분리하고, 상기 스크린에 의해 조대 고형물을 분리하며, 상기 경사판부의 경사판을 이용하여 미세 고형물을 분리시킨다. 이때 분리된 고형물들은 하부의 침전물 저류조의 침전물 버켓에 쌓이게 되고 탈착식의 침전물 버켓과 함께 외부로 꺼내져 외부 처리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부는 상기 스크린의 외측을 감쌀 수 있는 크기로 다수개의 깔대기 형상의 경사판이 적층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판과 적층되는 이웃하는 경사판 사이에는 다수개의 경사판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 크기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경사판부는 부채꼴 형상의 경사판이 다수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경사판의 양측을 지지하는 양측판으로 이루어진 블럭형 경사판 모듈을 이용하여, 스크린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별도로 경사각을 가지도록 기울어진 다수개의 경사관을 상·하·좌·우로 상기 스크린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적층·설치하여 경사판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판부의 경사판 및 경사관이 이루는 경사각은 45˚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깔데기 형상의 경사판 사이에 적용되는 경사판 스페이서는 3㎝이상의 크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본체 외벽의 상부는 배플드럼의 상부 일측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럭형 경사판 모듈은 상기 본체 외벽의 상부를 통해 스크린을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 버켓은 일측에 탈착로프가 고정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에 미세구멍을 가지는 망상체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침전물 저류조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설치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침전물 버켓은 플랜지부에 상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고형물 제거포대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배플드럼 하부에는 도넛 형상의 유도판이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데, 이는 물의 흐름과 조대 고형물을 중앙으로 유도하기 위함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유도판은 상기 침전물 버켓의 플랜지부에 연결된 탈착로프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상기 침전물 버켓과 함께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는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본체 외벽과 스크린은 사각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크린의 상부면에 배플드럼의 직경과 동일한 홀을 가지는 스크린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을 감싸는 경사판부는 적층된 사각판 형상의 경사판과 이를 지지하는 양측판으로 구성된 블럭형 경사판 모듈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의 상단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100)는 크게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의 본체를 이루는 외벽(110)과, 상기 외벽(110)이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어 관거를 따라 이송된 월류수가 유입되는 배플드럼(120)과, 상기 배플드럼(120)의 하단에 위치된 격자구조의 스크린(130)과, 상기 스크린(130)의 외측을 감싸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부(140)와, 상기 스크린(130) 의 하부에 위치되어 월류수 중의 고형물이 침전되어 쌓이는 침전물 저류조(1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0)의 본체를 이루는 외벽(110)은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땅속의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가 폐쇄된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 구조물, 강화플라스틱(FRP), 폴리에틸렌(PE) 또는 철 등의 구조물로서, 내부에 상기 배플드럼(120), 스크린(130), 경사판부(140)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본체 외벽(110)의 일측에는 관거(1)와 연통되도록 유입관(103)과 유출관(104)이 설치되는데 상기 유입관(103)은 내부에 설치되는 배플드럼(120)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기울어진 경사판부(140)가 위치되는 외벽(110)의 하측은 상기 경사판부(140)의 형상에 따라 경사면을 가지는 원추형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 외벽(110)의 하부에는 상기 외벽내에 설치된 배플드럼(120), 스크린(130), 경사판부(140)에서 분리·제거된 협잡물 및 고형물이 침강되어 쌓이는 침전물 저류조(1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본체 외벽(110)은 유입관(103) 또는 유출관(104)에 의해 관거와 연통되고 땅밑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외벽(110)이 설치된 다음 개구된 상부에는 이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맨홀 뚜껑(101)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맨홀 뚜껑(101)을 열고 닫음으로써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0)를 세척하거나 내부 구조물의 교체 또는 보수를 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배플드럼(120)은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0) 내로 유입된 월류수 중의 오일 또는 부유물(102)의 유출을 막고 일정기간 이를 저장하여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관 형상으로 상기 본체 외벽(110) 내측벽과 간격을 가지면서 위치되고 하부에는 스크린(130)이 위치된다. 또한, 상기 배플드럼(120)은 일측에 관거 월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103)과 연통된 유입구(12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유입관(103)은 상기 원통관 형상의 배플드럼(120)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103)을 통해 유입되는 관거 월류수가 배플드럼(120) 내에서 나선형의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130)은 격자구조로 상기 배플드럼(120)과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배플드럼(120)과 동일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배플드럼(120) 및 하부에 위치되는 침전물 저류조(150)와 연통된다. 상기 스크린(130)의 구멍을 통해 월류수 내 협잡물 등의 크기가 큰 조대 고형물들이 걸려 분리되고 하부에 침강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스크린(130)과 이웃하여 이를 둘러싸도록 경사판부(140)가 설치되는데, 상기 경사판부(140)는 작은 부유물질 즉, 미세 고형물(106)이 중력에 의해 침전되어 하부 침전물 저류조(150)의 침전물 버켓(160)내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여러층의 경사판(141)을 두어 미세 고형물의 침전 거리(d)를 줄임으로써 침전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스크린(130)의 격자구멍(131)을 통과한 미세 고형물(106)이 침전 되어 자연스럽게 하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경사판(141)은 45˚이상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다수개의 깔대기 형상의 경사판(141)이 겹쳐지도록 적층·위치되어 하나의 경사판부(140)를 이룬다.
또한, 상기 경사판(141)과 경사판(141) 사이에는 상기 경사판의 변형으로 침전 거리(d)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경사판 스페이서(142)를 위치시켜 간격(d)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부(140)는 유체의 흐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과 외측이 개구되어 있다.
별도로, 상기 경사판부(140)는 필요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도록 블럭형 경사판 모듈이나 경사관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에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30)과 경사판부(140)의 하부에는 침강된 조대 고형물(105)과 상기 경사판부(140)에서 침전된 미세 고형물(106)이 쌓이는 침전물 저류조(150)가 형성되는데, 상기 침전물 저류조의 외벽(151)은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외벽(110)이 연장된 것이며, 상기 침전물 저류조(150) 내부에는 고형물이 쌓이는 침전물 버켓(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침전물 버켓(160)은 상기 침전물 저류조 외벽(151)과 침전물 저류조 외벽(151)이 형성하는 걸림턱(113)에 걸리도록 위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침전물 저류조(150)는 상기 원통형 스크린(13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 버켓(160)은 바람직하게 본체 외벽(110)의 맨홀 뚜껑(101)을 통해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탈착식으로 구성되며, 외부로 꺼내진 상기 침전물 버켓(160)내에 쌓인 협잡물 및 고형물(105)은 제거되고 재차 상기 침전물 버켓(160) 을 세척한 후 침전물 저류조(150)내에 재설치된다.
또한, 상기 침전물 버켓(160)내에는 필요에 따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형물 제거포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관거(1)를 따라 이송되는 관거 월류수는 배플드럼(120)과 접선방향으로 연통된 유입관(103)을 통해 상기 원통관 형상의 배플드럼(1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월류수는 유입구(121)를 통과해 배플드럼(120) 내로 유입되면서 배플드럼이 생성하는 흐름에 따라 추진력을 가지게 되고 상기 월류수는 원통형의 배플드럼(120)이 형성하는 와류구역(A)내로 유입되면서 상기 배플드럼(120)의 형상에 따라 나선형의 움직임을 가지면서 하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월류수는 상기 와류구역(A)내에서 배플드럼(120)에 부딪히면서 유속이 저하되고 협잡물 등의 조대 고형물이 쉽게 침전되게 된다.
또한, 월류수내에 포함된 오일 및 부유물(102)은 비중이 낮기 때문에 상기 와류구역(A)의 상부에 쌓이게 되고 상기 배플드럼(120)에 막혀 일정기간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와류구역(A)내에서 오일 및 부유물(102)이 제거된 월류수는 하부의 원통형 스크린(130)이 이루는 스크린 구역(B)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스크린(130)의 구멍(131)을 통과하면서 상기 스크린의 구멍(131)보다 크기가 큰 조대 고형물들은 걸리게 되고 중력에 의해 하부로 침전된다.
이어서, 상기 스크린 구역(B)을 통과한 월류수는 미세 고형물을 포함한 상태 로 스크린의 구멍(131)을 통과하여 경사판부(140)가 형성하는 미세 고형물 침전구역(D)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경사판부(140)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경사판(141)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이웃하는 경사판(141)과 경사판(141)이 형성하는 간격, 즉 침전거리(d)는 경사판 스페이서(142)에 의해 전체 월류수 처리장치(100)의 길이에 비하면 굉장히 짧은 간격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판부(140)가 이루는 미세 고형물 침전구역(D) 내에서 미세 고형물(106)은 짧은 침전거리(d)에 의해 이웃하는 하부 경사판(141)의 상면에 침전되게 되고, 상기 경사판(141)의 상면에 쌓인 미세 고형물(106)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뭉쳐져 플럭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럭을 형성한 미세 고형물(106)은 상기 경사판부(140)의 경사판(141)이 이루는 경사각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재차 스크린(130)의 구멍(131)을 통과해 침전물 저류조(150) 하부로 침전된다.
이어서, 상기 스크린 구역(B)에서 스크린(130)에 의해 걸러진 조대 고형물(105)과 상기 미세 고형물 침전구역(D)에서 침전된 미세 고형물(106)은 하부로 침전되어 침전물 저류조(150)가 형성하는 침전물 저류구역(C)에 쌓이게 된다.
결국,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0)에 의해 비중이 낮은 오일 및 부유물(102)을 제외한 고형물은 모두 상기 침전물 저류구역(C)에 쌓이게 되고, 상기 침전물 저류구역(C)의 침전물 버켓(160)에 쌓인 고형물은 상기 침전물 버켓(160)을 외벽(110)을 덮고 있는 맨홀(101)을 통해 꺼낼 때 내부에 포함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미세 고형물 침전구역(D)을 통과한 월류수는 배플드럼(120)과 본 체 외벽(110) 그리고 경사판부(140) 사이에 형성되는 유출 처리수 구역(E)으로 유체의 흐름에 따라 이송되게 되고, 상기 본체 외벽(1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출구(112)를 통과하여 유출관(104)을 타고 재차 관거(1)로 이송되어 하천 또는 강으로 배출된다.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경사판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형 경사판 모듈을 적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100)에 적용되는 경사판부(140)는 경사판 사이의 짧은 간격에 의해 미세 고형물이 침전될 수 있도록 이웃하는 경사판(141)과 미세 고형물 침전구역(도2, D)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경사판이 이용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판부(140)는 격자구조의 원통형 스크린(130)을 외부에서 감쌀 수 있도록 깔대기 형상의 경사판(141)을 적층시켜 구성한 것으로, 상기 경사판(141)은 이웃하여 적층되는 경사판(141)과 소정 크기의 경사판 스페이서(142)에 의해 분리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판 스페이서(142)는 스테인레스(STS), 플라스틱 또는 방부목 등의 재질로 3∼10㎝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경사판(141)의 크기에 따라 이웃하는 경사판(141)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사판부(140)를 설치하기 위해 본체 외벽(110) 상부의 개구부 직경은 재차 도 2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판부(140)의 경사판(141) 이 이루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깔대기 형상의 경사판(141)을 침전물 저류조(150)의 상부에서 부터 스크린(130)을 감쌀 수 있도록 적층시켜 경사판부(140)를 구성한다.
또한, 이때 구성되는 상기 경사판(141)의 경사각은 경사판 상의 침전된 미세 고형물이 자연스럽게 연속적으로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5˚이상의 경사각을 이룬다.
그리고, 도 4(b)는 경사판부(140)를 형성하기 위해 블럭형 경사판 모듈(141a)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 경사판부(140)는 다수개의 블럭형 경사판 모듈(141a)을 스크린(도2, 1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위치시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럭형 경사판 모듈(141a)은 부채꼴 형상의 단일 경사판(141)이 다수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경사판(141)의 외측에 이를 지지하도록 양 측판(143)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판(141)은 이웃하는 경사판(141)과 상기 양 측판(143)에 의해 경사판 스페이서(도4a, 142)가 형성하는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블럭형 경사판 모듈(141a)의 부채꼴 내측과 외측은 개구되어 유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블럭형 경사판 모듈(141a)은 스크린(130)의 외측에 설치되어 경사판부(140)를 형성한다.
이외의 방법으로, 상기 격자구조의 스크린(130)을 감쌀 수 있도록 외측에 경사각을 가지도록 기울어진 다수개의 경사관을 적층하여 경사판부(14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경사관은 사각형상의 관을 적층하거나, 자바라 형식으로 일정하게 주름이 잡힌 판을 상·하로 적층하여 관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형성되는 경사판과 경사관의 경사각은 바람직하게는 45˚이상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블럭형 경사판 모듈(141a)을 적용한 월류수 처리장치(100)가 설치된 후 외부에 노출되는 맨홀 뚜껑(101)의 크기는 상기 배플드럼(120)를 덮을 수 있는 만큼의 크기를 가진다.
다시 말하면, 본체 외벽(110)의 상부는 배플드럼(120)의 상부 일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경사판부(140)를 구성하는 상기 블럭형 경사판 모듈(141a)의 크기는 깔대기 형상의 경사판(도4a, 141)보다 작기 때문에 월류수 처리장치를 설치할 때, 본체 외벽(110)의 상부 즉, 배플드럼(120)의 내측을 통해 운반가능하고 이에 따라 본체 외벽(110)의 상부는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되는 맨홀 뚜껑(101)의 크기 또한 작아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월류수 처리장치(100)는 설치가 용이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맨홀 뚜껑(101)의 크기는 배플드럼(120)와 외벽(110)간의 간격(a)만큼 작게 형성된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침전물 버켓과 유도판을 포함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물 저류조(150)의 내부에 위치되는 침전물 버켓(160)은 상기 침전물 저류조(150)내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의 격자구조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침전물 버켓(160)은 상부가 개구된 플랜지부(161)와, 상기 플랜지부(161)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격자구멍을 가지는 망상체(164)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망상체(164)의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중량체(16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침전물 버켓(160)은 상기 플랜지부(161)가 침전물 저류조(15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13)에 걸려 위치되면서 상기 침전물 저류조(150)내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침전물 버켓(160)의 플랜지부(161) 일측에는 탈착로프(166)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탈착로프(166)는 상부로 연결되어 배플드럼(120)를 통과해 본체 외벽(110)의 맨홀뚜껑(101) 일측 또는 상기 배플드럼(12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탈착로프(166)를 끌어올림으로써 상기 침전물 버켓(160)은 외부로 꺼낼 수 있으며 이때 내부에 쌓인 고형물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 버켓(160)은 내부에 필요에 따라 상부 플랜지부(161)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형물 제거포대(162)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형물 제거포대(162)는 쌀포대와 같은 일회용 망체로서 침전물 버켓(160)의 상부 및 하부 중량체(163)에 고정되며 고형물 분리·제거시 내부에 쌓인 고형물과 함께 버려져 처리된다. 이때, 상기 중량체(163)는 침전물 버켓(160)의 내·외측 하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고형물 제거포대(162)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형물 제거포대(162)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탈착식의 침전물 버켓(160)의 세척 횟수가 줄어들어 사용기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100)는 상기 배플드럼(120)의 하부에 개구된 도넛형상의 유도판(170)을 포 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도판(170)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플드럼(120)와 스크린(130)의 경계지역에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이는 크기가 큰 협잡물 등의 조대 고형물이 와류구역(A)을 통과하여 스크린구역(B)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와류구역(A)내에서 형성되는 나선형의 유체 흐름에 따라 스크린(130)의 구멍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스크린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해주기 위한 것으로, 배플드럼(12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침전물 버켓(160)의 탈착로프(166)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도 8(a)(b)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0)는 원통관 형상의 배플드럼(120)과, 상기 배플드럼(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사각통 형상으로 격자구조의 스크린(130)과, 상기 스크린(130)의 외측에 스크린을 감싸면서 경사각을 가지도록 설치된 경사판부(140)로 구성되고, 상기 배플드럼(120)과 스크린(130) 그리고 경사판부(140)를 내부에 포함하는 사각통 형상의 본체 외벽(110)과, 상기 본체 외벽(110)의 하부에 고형물이 침전되어 쌓이는 침전물 저류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 외벽(110)의 하측은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는 경사판부(140)의 형상에 따라 경사면을 이루는 사각통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관거와 연통된 유출관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플드럼(120)에는 관거와 연통된 유입관이 접선방향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사각통 형상의 본체 외벽(110)과 스크린(130)으로 구성된 상기 월류수 처리장치(100)는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각통 구조의 본체 외벽(110)은 원통형의 구조보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성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때, 침전조 저류조(150)의 형상은 원통형 또는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플드럼(120)를 통해 저류조(150) 내에 설치된 침전물 버켓(16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원통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배플드럼(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린(130)은 사각통 형상으로 상부에 상기 배플드럼(120)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배플드럼(120)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홀을 가지는 스크린 상부판(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 상부판(132) 상부에 배플드럼(120)이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스크린(130)을 감싸도록 설치된 경사판부(140)는 상기 본체 외벽(110)을 따라 기울어진 경사각을 가지면서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경사판부(140)는 바람직하게 적층된 사각판 형상의 경사판과 이를 지지하는 양측판으로 구성된 블럭형 경사판 모듈이나 경사관을 이용하며, 상기 블럭형 경사판 모듈과 경사관은 상기 본체 외벽(110)이 형성하는 사각형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성되어 스크린(130)을 감싸는 단일 경사판부(140)를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배플드럼에 의해 유입되는 월류수 중의 오일 및 부유물이 분리·제거되고, 스크린에 의해 조대 고형물이 걸려 분리되며, 기울어진 경사판부에 의해 미세 고형물 또한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형물 처리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Claims (11)

  1. 부유물 또는 고형물을 분리·제거하는 관거 월류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관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관거와 연통된 유입관이 접선방향으로 연결된 배플드럼과;
    상기 배플드럼의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고 격자 구조를 가지는 원통형의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외측을 감싸고, 침전된 고형물이 하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경사판이 적층되어 구성된 경사판부와;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상부에 맨홀 뚜껑과 일측에 유출관이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배플드럼, 스크린 및 경사판부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하측은 상기 경사판부의 형상에 따라 경사면을 가지는 본체 외벽과;
    상기 본체 외벽의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과 연통되고 내부에 탈착가능한 침전물 버켓이 설치된 침전물 저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부는 상기 스크린의 외측을 감쌀 수 있는 크기로 다수개의 깔대기 형상의 경사판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과 적층되는 이웃하는 경사판 사이에는 다수개의 경사판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 크기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경사판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부는 부채꼴 형상의 경사판이 다수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경사판의 양측을 지지하는 양측판으로 이루어진 블럭형 경사판 모듈을 이용하거나, 경사각을 가지도록 기울어진 다수개의 경사관을 적층하여 구성되고, 스크린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벽의 상부는 배플드럼의 상부 일측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럭형 경사판 모듈은 상기 본체 외벽의 상부를 통해 스크린을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6. 제 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부의 경사판은 45˚이상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경사판 스페이 서는 3㎝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버켓은 일측에 탈착로프가 고정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에 격자구멍을 가지는 망상체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침전물 저류조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버켓은 플랜지부에 상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된 고형물 제거포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배플드럼 하부에는 도넛 형상의 유도판이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상기 침전물 버켓의 플랜지부에 연결된 탈착로프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상기 침전물 버켓과 함께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벽과 스크린은 사각통 형상으로, 상기 스크린의 상부면에 배플드럼의 직경과 동일한 홀을 가지는 스크린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을 감싸는 경사판부는 적층된 사각판 형상의 경사판과 이를 지지하는 양측판으로 구성된 블럭형 경사판 모듈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KR2020060015258U 2006-06-07 2006-06-07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KR200424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258U KR200424846Y1 (ko) 2006-06-07 2006-06-07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258U KR200424846Y1 (ko) 2006-06-07 2006-06-07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715A Division KR100649180B1 (ko) 2006-06-09 2006-06-09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846Y1 true KR200424846Y1 (ko) 2006-08-25

Family

ID=4177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258U KR200424846Y1 (ko) 2006-06-07 2006-06-07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84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61B1 (ko) 2009-05-19 2009-10-14 효성바이오텍 주식회사 우수받이용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23450B1 (ko) 2007-11-08 2009-10-27 김태곤 비점여과장치 및 방법
KR100981422B1 (ko) 2008-03-27 2010-09-10 (주)워터 아이엠에스 와류형 협잡물 거름 스크린
KR101006744B1 (ko) * 2010-05-25 2011-01-10 (주)해양연구개발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 퇴적물에서 쓰레기, 자갈 및 모래를 빠른 속도로 분리하는 선별장치 및 방법
KR101056115B1 (ko) 2011-02-21 2011-08-17 (주) 젠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450B1 (ko) 2007-11-08 2009-10-27 김태곤 비점여과장치 및 방법
KR100981422B1 (ko) 2008-03-27 2010-09-10 (주)워터 아이엠에스 와류형 협잡물 거름 스크린
KR100920061B1 (ko) 2009-05-19 2009-10-14 효성바이오텍 주식회사 우수받이용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006744B1 (ko) * 2010-05-25 2011-01-10 (주)해양연구개발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 퇴적물에서 쓰레기, 자갈 및 모래를 빠른 속도로 분리하는 선별장치 및 방법
KR101056115B1 (ko) 2011-02-21 2011-08-17 (주) 젠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180B1 (ko)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KR100862740B1 (ko)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A2621378C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flowing liquids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US7722763B2 (en) Purification and separation system for a fluid flow stream
US7892425B2 (en) Stormwater plug flow separation system
US6951619B2 (en) Apparatus for trapp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matter
KR101015625B1 (ko)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87770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A3085711C (en) Hydrodynamic separators, assemblies, and methods for storm water treatment
KR200424846Y1 (ko)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JP4719261B2 (ja) 分離装置
AU2018288385B2 (en)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US7540954B2 (en)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KR100673536B1 (ko) 우수처리장치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832549B1 (ko) 나선유입식 다층셀형 협잡물 및 침사물 종합처리기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1106390B1 (ko) 볼텍스 트랩 장치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1730463B1 (ko) 교량 집수장치
KR20100047032A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0826676B1 (ko) 월류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