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676B1 - 월류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월류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676B1
KR100826676B1 KR1020070112348A KR20070112348A KR100826676B1 KR 100826676 B1 KR100826676 B1 KR 100826676B1 KR 1020070112348 A KR1020070112348 A KR 1020070112348A KR 20070112348 A KR20070112348 A KR 20070112348A KR 100826676 B1 KR100826676 B1 KR 100826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overflow water
pipe
water treatment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정
Original Assignee
(주)워터 아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워터 아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워터 아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07011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월류수 처리장치는 지하에 매설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내로 월류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과, 상기 분리기를 통과한 월류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관 및 상기 분리기 내의 협잡물을 배출하기 위한 협잡물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월류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수평부와 경사부가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주름관 형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기에서 조대 협잡물을 차단되고 미세 협잡물 침전조에서 미세 협잡물이 침전되어 오염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하천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월류수, 협잡물, 미세 협잡물, 침전, 이송스크류

Description

월류수 처리장치{Drain Apparatus of Overflow Water}
본 발명은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기에서 조대 협잡물을 차단하고 미세 협잡물 침전조에서 미세 협잡물을 침전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하천 등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의 배출방식은 크게 합류식과 분류식 및 부분분류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합류식 배출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류식 배출방식은 강우시에 하수관거로 우수가 유입되어 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방식을 말하며, 비강우시에는 하수가 하수관거에 설치된 우수토실(Regulator)을 거처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고, 강우로 인해 우수가 다량 유입되면 일정량의 하수 및 우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우수토실을 월류하여 직접 하천이나 호소 또는 해양 등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우수토실을 월류하는 유출되는 유출수를 합류식 하수관거월류 수(CSOs : Combined Sewer Overflows)(이하, '월류수'라 한다)라 하며, 이러한 월류수에는 우수와 함께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유발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하천이나 호소 또는 해양 등의 오염원인이 되므로, 이들의 제어가 필수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로 특허 제10-0649180호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공고일 : 2006년 11월 24일)에 의하면,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관 형상으로 일측에 관거와 연통된 유입관(3)이 접선방향으로 연결된 배플드럼(2)과, 상기 배플드럼(2)의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고 격자 구조를 가지는 원통형의 스크린(4)과, 상기 스크린(4)의 외측을 감싸고, 침전된 고형물이 하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각을 가지는 다수개의 경사판이 적층되어 구성된 경사판부(5)와,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상부에 맨홀 뚜껑과 일측에 유출관(7)이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배플드럼(2), 스크린(4) 및 경사판부(5)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하측은 상기 경사판부(5)의 형상에 따라 경사면을 가지는 본체 외벽(6)과, 상기 본체 외벽(6)의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4)과 연통되고 내부에 탈착가능한 침전물 버켓(9)이 설치된 침전물 저류조(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초기우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초기우수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는 배플드럼 내로 유입된 월류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이 스크린의 벽면에 부착되어 처리장치내의 수위가 내려가도 협잡물들이 자연적으로 탈락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스크린의 관통공 이 막혀 스크린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어 이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전물 버켓 내부에 쌓인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맨홀뚜껑을 개방하여 버켓을 끌어올리거나 폐기물 처리자동차로 흡입하여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기에서 조대 협잡물을 차단하고 미세 협잡물 침전조에서 미세 협잡물을 침전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하천 등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기의 측벽이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월류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분리기의 측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월류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기 및 미세 협잡물 침전조에 쌓인 협잡물을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협잡물을 간단하게 수거할 수 있는 월류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월류수 처리장치에 따르면, 지하에 매설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내로 월류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과, 상기 분리기를 통과한 월류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관 및 상기 분리기 내의 협잡물을 배출하기 위한 협잡물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월류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수평부와 경사부가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주름관 형 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몸체는 매설되는 깊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리기의 바닥판은 일측으로 상기 협잡물 이송관과 연결되는 배출부과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를 중심으로 함입된 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기는 상부가 개구된 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협잡물 이송관은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협잡물 이송관은 상기 구동수단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가 지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지하에 매설되는 침전조 몸체와, 상기 침전조 몸체의 내면에 결합되는 관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내면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경사판으로 이루어진 경사침전기와, 상기 경사침전기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배수관이 결합되는 웨어 및 상기 침전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침전조 몸체 내에 쌓이는 미세 협잡물을 배출하기 위한 미세 협잡물 이송관으로 이루어지는 미세 협잡물 침전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침전조 몸체는 매설되는 깊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웨어의 상부면에 삼각 웨어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미세 협잡물 이송관의 내부에는 이송스크류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미세 협잡물 이송관은 상기 구동수단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가 지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기에서 조대 협잡물을 차단되고 미세 협잡물 침전조에서 미세 협잡물이 침전되어 오염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하천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기의 측벽이 주름관 형태를 이루고 있어, 월류수에 포함된 협잡물이 분리기의 측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기 및 미세 협잡물 침전조에 쌓인 협잡물을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이동시켜 협잡물을 간단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100)는 지하에 매설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기(20)와, 분리기(20)의 내로 월류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27)과, 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유출관(28) 및 분리기(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협잡물 이송관(30)으로 이루어진다.
몸체(10)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매설되는 깊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땅파기 된 지면에 배치되는 하부몸체(11)와, 하부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몸체(13) 및 중간몸체(13)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덮개(17)가 결합되는 상부몸체(15)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기(20)는 월류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몸체(1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며, 다수의 관통홀(23)이 형성된 수평부(22)와 경사부(24)가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주름관 형상의 측벽(21)과, 측벽(2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판(2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측벽(21)의 수평부(22)는 원환(圓環)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층으로 나란하게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다수의 관통홀(23)이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23)은 그 크기가 차단하려고 하는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측벽(21)의 경사부(24)는 상단부가 그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부(22)의 외측을 따라 결합되고, 하단부가 그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부(22)의 내측을 따라 결 합된다. 따라서, 경사부(24)는 수평부(22)의 하면과 예각을 이루며 결합된다.
한편, 바닥판(25)은 측벽(21)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일측에 분리기(20)의 내부에 쌓이는 협잡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26)가 형성되며, 협잡물이 배출부(26)로 모이기 용이하도록 배출부(26)를 중심으로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출부(26)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부(26)의 일측에는 하기의 협잡물 이송관(30)이 연결된다.
이러한 분리기(20)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금속판의 표면에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으로 도금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가 개구된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7)은 우수토실(미도시)과 연결되어 월류수가 유입되는 것으로서 몸체(10)를 관통하여 분리기(20)에 연결된다. 이때, 유입관(27)은 유입되는 월류수가 분리기(20) 내에서 분리기의 측벽으로 따라 회전 유동될 수 있도록 분리기(20)의 측벽(21)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입관(27)은 몸체(10)에 연결될 때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기(20) 내로 유입되는 월류수의 유속이 빨라져 회전 유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유출관(28)은 분리기(20)를 통과하여 협잡물이 걸러진 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0)의 외벽에 연결된다.
협잡물 이송관(30)은 분리기(20) 내부에 쌓이는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25)에 형성된 배출부(26)를 통하여 분리기(20)와 연결된다.
이러한 협잡물 이송관(30)은 그 일단부가 지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협잡물을 강제로 이송 배출하기 위한 이송스크류(3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상으로 연결된 협잡물 이송관(30)의 단부에는 이송스크류(31)에 의해 배출되는 협잡물을 적층하기 위한 수거함(36)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송스크류(31)의 한쪽 끝에는 이송스크류(3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33)이 결합될 수 있다. 구동수단(33)으로는 예를 들어, 이송스크류(31)에 결합되는 감속기(34)와 감속기(34)에 결합되는 전동모터(3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동모터(53)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는 예를 들어,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태양광 발전장치(미도시)는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광어레이와 생성된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 및 충전된 전기를 변환하여 전동모터에 공급하는 인버터(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침전조 및 웨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기(20)를 거쳐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미세한 협잡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미세 협잡물 침전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세 협잡물 침전조(40)는 유출관(28)과 연결되며 지하에 매설되는 침전조 몸체(41)와, 침전조 몸체(4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사침전기(50)와, 경사침전 기(5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웨어(60) 및 침전조 몸체(41)의 하부에 결합되는 미세 협잡물 이송관(70)으로 이루어진다.
침전조 몸체(41)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매설되는 깊이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땅파기 된 지면에 배치되는 침전조 하부몸체(42)와, 침전조 하부몸체(4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침전조 중간몸체(43) 및 침전조 중간몸체(43)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덮개(45)가 결합되는 침전조 상부몸체(44)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침전조 하부몸체(42)의 내부 저면에는 그 내부에 쌓이는 미세 협잡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미세 협잡물이 배출부(46)로 모이기 용이하도록 배출부(46)를 중심으로 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46)의 일측에는 하기의 미세 협잡물 이송관(70)이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침전기(50)는 침전조 몸체(41) 내면에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형관 형상을 갖는 지지체(51)와, 지지체(51)의 내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떨어지며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결합되는 다수의 경사판(53)으로 이루어지며, 유출관(28)과 겹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경사판(53)은 지지체(51)의 깊이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어, 30°정도 기울지게 결합될 수 있으며, 그 폭은 지지체(51)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판(53)이 지지체(51)의 내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심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된다.
웨어(60)는 경사침전기(50)를 통과하면서 미세 협잡물이 침전된 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웨어(60)의 상부면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수관(61)이 연결된다.
이러한 웨어(60)는 그 상부면이 경사침전기(50)의 상부에 위치되고, 배수관(61)이 경사침전기(50)의 하부에 위치되며, 배수구(61)는 침전기 몸체(41)를 관통하여 하천이나 호소 등으로 연결된다.
미세 협잡물 이송관(70)은 침전조 몸체(41) 내부에 쌓이는 미세 협잡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침전조 몸체(41)의 내부 저면에 형성된 배출부(46)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미세 협잡물 이송관(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지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미세 협잡물을 강제로 이송 배출하기 위한 이송스크류(7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송스크류(71)의 한쪽 끝에는 이송스크류(7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73)이 결합되며, 구동수단(73)으로는 예를 들어, 이송스크류(71)에 결합되는 감속기(74)와 감속기(74)에 결합되는 전동모터(75)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미세 협잡물 이송관(70)의 단부에는 이송스크류(71)에 의해 배출되는 미세 협잡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76)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a는 도 7에 표시된 "A"부의 확대도이다.
강우시에 합류식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우수의 량이 증가되면, 일정량이 하수관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가고 나머지는 우수토실을 월류하게 된다. 이러한 월류수는 우수토실과 연결된 유입관(27)을 통하여 월류수 처리장치(100)의 분리기(20) 내로 유입된다.
유입관(27)이 분리기(20)의 측벽(21)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므로 유입되는 월류수가 분리기(20)의 측벽(21)을 따라 회전 유동하면서 분리기(20) 내에서 와류가 발생된다. 이때, 유입관(27)의 단부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월류수의 유속이 증가된 상태로 유입되므로 회전 유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되는 월류수는 분리기(20)의 측벽(21)을 따라 회전 유동하면서 수평부(22)에 형성된 관통홀(23)을 통하여 미세 협잡물을 포함하고 있는 하수는 통과되고, 관통홀(23) 보다 큰 조대 협잡물은 관통홀(23)에 걸려 월류수에서 분리된다. 또한, 분리기(20)를 통과한 하수는 유출구(28)를 통해 미세 협잡물 침전조(40)로 유입된다.
이때, 월류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중에 질량이 큰 것은 월류수와 함께 분리기(20)의 측벽(21)을 따라 회전 유동하면서 분리기(20)의 하부로 침전될 수 있다. 이렇게, 침전되는 협잡물은 분리기(20)의 바닥판(25)에 적층되고, 배출부(26)로 집중되어 협잡물 이송관(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중에 비중 이 작은 것은 월류수와 함께 분리기(20)의 측벽(21)을 따라 회전 유동하면서 수평부(22)에 형성된 관통홀(23)을 통하여 하수는 통과되고, 협잡물은 수평부(22)의 하면에 걸려 통과하지 못하면서 월류수에서 분리된다. 이때, 월류수는 수평부(22)의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관통홀(23)을 통과하므로, 협잡물이 수평부(22)의 하면에 걸려진다.
이렇게 수평부(22)의 하면에 걸려진 협잡물은 월류수 처리장치(100)로 유입되는 월류수의 양이 줄어들어 수위가 내려가게 되면, 수평부(22)의 하면에서 탈락되어 분리기(20)의 하부로 적층되고, 협잡물 이송관(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기(20)에서 조대 협잡물이 걸러진 하수는 몸체(10)에 결합된 유출관(28)을 통하여 미세 협잡물 침전조(40)로 공급된다. 이때, 하수에는 토사나 용존성 오염물질과 같이 미세한 입자의 협잡물은 그대로 배출된다.
미세 협잡물 침전조(40)의 침전조 몸체(41) 내로 유입되는 하수는 그 수위가 상승되면서 경사침전기(50)의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되고, 웨어(60)의 내부로 유입되며 웨어(60)의 하부에 연결된 배수관(6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하수는 경사침전기(50)의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되면서 유속이 저하됨에 따라 미세 협잡물이 그 자중에 의해 침전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침전되는 미세 협잡물은 경사판(53)을 따라 침전조 몸체(41)의 하부에 쌓이게 되고, 배출부(46)로 집중되어 미세 협잡물 이송관(7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100)는 우수토실을 월류하는 월류 수에 포함되어 있는 조대 협잡물은 물론 미세 협잡물까지 모두 제거되어 배출되어 하천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수토실을 월류하는 월류수가 분리기(20)와 경사침전기(50)를 거쳐 웨어(60)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월류수의 수위차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월류수에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다.
한편, 비강우시에는 합류식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우수가 없으므로 우수토실을 월류하는 월류수가 없으므로, 월류수 처리장치의 몸체(10) 및 침전조 몸체(42) 내의 수위가 내려가게 되면, 분리기(20)의 내부 및 침전조 몸체(42)에 적층된 협잡물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협잡물의 배출은 먼저, 전동모터(35)에 전원이 인가되면 감속기(34)를 회전되면서 협잡물 이송관(30) 내부의 이송스크류(31)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배출부(26)로 집중되어 협잡물 이송관(30)으로 유입되는 협잡물이 이송스크류(31)를 타고 지상에 설치된 수거함(36)으로 배출되어 적층된다.
이때, 협잡물과 함께 협잡물 이송관(30)을 유입되는 하수는 협잡물 이송관(30)과 이송스크류(31) 사이의 틈으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협잡물만 배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침전조 및 웨어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a는 도 7에 표시된 "A"부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7 : 덮개
20 : 분리기 21 : 측벽
25 : 바닥판 27 : 유입관
28 : 유출관 30 : 협잡물 이송관
31 : 이송스크류 33 : 구동수단
40 : 미세 협잡물 침전조 41 : 침전조 몸체
50 : 경사침전기 51 : 지지체
53 : 경사판 60 : 웨어
70 : 미세 협잡물 이송관 100 : 월류수 처리장치

Claims (11)

  1. 지하에 매설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내로 월류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과, 상기 분리기를 통과한 월류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관 및 상기 분리기 내의 협잡물을 배출하기 위한 협잡물 이송관으로 이루어진 월류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수평부와 경사부가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주름관 형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매설되는 깊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의 바닥판은 일측으로 상기 협잡물 이송관과 연결되는 배출부과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를 중심으로 함입된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부가 개구된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이송관은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6. 제 1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이송관은 상기 구동수단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가 지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며 지하에 매설되는 침전조 몸체와;
    상기 침전조 몸체의 내면에 결합되는 관형상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내면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경사판으로 이루어진 경사침전기와;
    상기 경사침전기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배수관이 결합되는 웨어 및
    상기 침전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침전조 몸체 내에 쌓이는 미세 협 잡물을 배출하기 위한 미세 협잡물 이송관으로 이루어지는 미세 협잡물 침전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 몸체는 매설되는 깊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의 상부면에 삼각 웨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협잡물 이송관의 내부에는 이송스크류가 삽입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11. 제 7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협잡물 이송관은 상기 구동수단이 연결되는 일측 단부가 지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처리장치.
KR1020070112348A 2007-11-05 2007-11-05 월류수 처리장치 KR10082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348A KR100826676B1 (ko) 2007-11-05 2007-11-05 월류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348A KR100826676B1 (ko) 2007-11-05 2007-11-05 월류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676B1 true KR100826676B1 (ko) 2008-05-02

Family

ID=3964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348A KR100826676B1 (ko) 2007-11-05 2007-11-05 월류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6077A (zh) * 2021-08-13 2021-09-10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现场实测的生物滞留设施海绵绩效评价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577A (en) 1985-09-16 1987-03-17 Delta Process Equipment Co., Inc. Apparatus for treating and purifying waste water
KR100362865B1 (ko) 2000-07-03 2002-12-05 김상돈 오폐수처리 장치
KR100629151B1 (ko) 2006-03-16 2006-09-27 최원영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100649180B1 (ko) 2006-06-09 2006-11-24 (주) 일신네이쳐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577A (en) 1985-09-16 1987-03-17 Delta Process Equipment Co., Inc. Apparatus for treating and purifying waste water
KR100362865B1 (ko) 2000-07-03 2002-12-05 김상돈 오폐수처리 장치
KR100629151B1 (ko) 2006-03-16 2006-09-27 최원영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100649180B1 (ko) 2006-06-09 2006-11-24 (주) 일신네이쳐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6077A (zh) * 2021-08-13 2021-09-10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现场实测的生物滞留设施海绵绩效评价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0862740B1 (ko)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87770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02809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673536B1 (ko) 우수처리장치
US20060283814A1 (en) Gravitational separator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particulate and volatile liquids from a stormwater stream adaptable for inline usage
KR100649180B1 (ko)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KR20070067943A (ko) 원심 분리식 오수처리장치
US20200139268A1 (en)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KR200424846Y1 (ko)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826676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Shammas et al. Sedimentation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SU1142607A1 (ru) Система дождевой канализации
KR20100122372A (ko) 협잡물 거름 원통형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88641B1 (ko) 상,하수 및 폐수의 종합 전처리장치
KR20000064153A (ko) 하이드로 싸이클론을 이용한 오물수거식 맨홀
KR102095891B1 (ko) 입상 여재를 이용한 하향 여과방식의 비점오염저감장치
CN215592635U (zh) 一种市政污水预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