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577B1 - 비점오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577B1
KR102556577B1 KR1020220134991A KR20220134991A KR102556577B1 KR 102556577 B1 KR102556577 B1 KR 102556577B1 KR 1020220134991 A KR1020220134991 A KR 1020220134991A KR 20220134991 A KR20220134991 A KR 20220134991A KR 102556577 B1 KR102556577 B1 KR 102556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ainwater
treatment tank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성
Original Assignee
(주)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스텍 filed Critical (주)젠스텍
Priority to KR102022013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되도록 한 상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뚜껑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고, 양측의 단면에는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유입관과 유출관이 각각 연결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는 위치에서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부로 이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일측면으로는 유입구와 연통되게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오염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의 제1 스크린; 상기 처리조에서 제1 스크린을 통해 오염물이 걸러진 우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1차 저수부를 형성하면서 1차 저수부에서의 유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하고, 일부의 판면은 절개되도록 하여 과도한 수압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며, 판면에는 ㄷ자형으로 절개한 판면이 절곡되도록 하여 일방으로 우수가 유동하도록 통수홀을 형성하는 도류판; 상기 도류판으로부터 일정 폭 이격시켜 설치되도록 하여 2차 저수부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하단부는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하단부로부터 일정 면적이 개방되도록 하여 개방된 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면과 함께 각 측면은 상기 제1 스크린의 기공보다 좁은 기공을 갖도록 망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통과한 우수는 3차 저수부에서 일정 수위가 되면 상기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제2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비점오염 저감장치{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공이 다른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에 도류판에 의해서 1차 저수부와 2차 저수부가 구분되도록 하여 1차 저수부로 유입된 1차 정화된 우수의 유속과 수압이 안정되도록 하고, 이렇게 안정된 우수를 제2 스크린을 통과시켜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오염물도 걸러지도록 하면서 3차 저수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오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오염물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초기 우수와 함께 하천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해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 우수를 정화하여 정화처리된 빗물만을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정화시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0913315호(2009.08.14.)의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는 격벽으로 구획한 내부 공간의 일측으로는 초기우수가 통과하도록 하는 초기우수 통과부를 형성하여 우수가 처리용량 이상으로 유입되면 초기우수 통과부의 일측에 형성한 월류수 통과공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초기우수 통과부의 하부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도록 하면서 측면으로는 내외면 사이에 여재가 충진되도록 필터가 구비되도록 한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따라서, 초기우수 통과부로 유입되는 초기우수는 필터에 의해 우수는 통과하고 퇴적물은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비점오염이 저감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 다량의 초기우수와 함께 비점오염이 필터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필터에 의한 여과에 한계가 발생되면서 필터 상부에서 초기우수 통과부의 일측으로 형성한 월류수 통과공을 통해 우수와 함께 비점오염 특히 부유성 물질들이 동시에 배출되므로 여전히 수질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0913315호(2009.08.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중의 스크린에 의해서 크고 작은 오염물이 걸러지도록 하면서 2차 스크린 앞에서는 도류판에 의해 급격한 우수의 유속을 완화시켜 2차 스크린에 의한 여과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스크린과 도류판을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분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 제거가 용이하고 설비의 유지 관리가 편리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개방되도록 한 상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뚜껑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고, 양측의 단면에는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유입관과 유출관이 각각 연결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는 위치에서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부로 이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일측면으로는 유입구와 연통되게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오염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의 제1 스크린; 상기 처리조에서 제1 스크린을 통해 오염물이 걸러진 우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1차 저수부를 형성하면서 1차 저수부에서의 유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하고, 일부의 판면은 절개되도록 하여 과도한 수압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며, 판면에는 ㄷ자형으로 절개한 판면이 절곡되도록 하여 일방으로 우수가 유동하도록 통수홀을 형성하는 도류판; 상기 도류판으로부터 일정 폭 이격시켜 설치되도록 하여 2차 저수부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하단부는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하단부로부터 일정 면적이 개방되도록 하여 개방된 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면과 함께 각 측면은 상기 제1 스크린의 기공보다 좁은 기공을 갖도록 망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통과한 우수는 3차 저수부에서 일정 수위가 되면 상기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제2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제1 스크린은 상기 처리조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한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상부로부터 슬라이드 하강시켜 일정 높이에서 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단부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스크린은 상단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내부에 걸러진 오염물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도류판과 상기 제2 스크린은 양단부가 상기 처리조의 마주보는 내주면에 요입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형성한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스크린은 일측면이 수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양단부가 상기 처리조의 상호 마주보는 양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하단부에서 길이 중심부로부터 일정 길이와 높이로 관통되도록 한 개구의 주면을 따라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서 거름망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거름망은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안치되는 면을 망형상 또는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의해 서로 다른 기공을 형성하는 2개의 스크린을 통해 크고 작은 오염물이 선택적으로 걸러지도록 하는 동시에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는 도류판을 이용하여 급격한 우수의 유속을 완화시켜 여과되게 함으로써 여과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스크린과 함께 도류판을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분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걸러진 오염물 제거를 보다 쉽고 설비의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예시하는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제1 스크린을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도류판을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에서 제2 스크린을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의한 우수의 유동 상태를 예시한 작동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예시하는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측단면도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처리조(10)와 제1 스크린(20)과 도류판(30)과 제2 스크린(4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처리조(10)는 내부가 빈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개방되도록 하여 뚜껑(미도시)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커버되도록 하고, 양측에는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함께 유출관(12)이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처리조(10)에 연결되는 유입관(11)과 유출관(12)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처리조(10)의 내부에는 유입관(11)측으로 제1 스크린(20)이 구비되도록 한다.
즉, 제1 스크린(20)은 처리조(10)의 내부에서 유입관(11)이 연결되는 위치에서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되 상부로 이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처리조(10)의 내주면에는 슬라이드 레일(13)이 고정되도록 하여 제1 스크린(20)이 안착 고정되도록 하고, 필요 시 상향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제1 스크린(20)은 도 4에서와 같이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면서 전면에 걸쳐 기공을 형성하는 망형상이며, 처리조(10)의 내주면에 고정한 슬라이드 레일(13)을 따라 상부로부터 슬라이드 하강시켜 일정 높이에서 안착되도록 하되 슬라이드 레일(13)의 상단부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판면 중 처리조(10)의 유입관(11)이 연결되는 내주면측의 유입구와 동심원상의 판면은 유입구보다는 큰 사이즈로서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관(11)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수용되도록 한다.
다만, 제1 스크린(20)은 상부면이 상향 개방이 가능하게 연결되게 함으로써 상부면을 개방시켜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스크린(20)에 의해서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낙엽과 같은 비교적 큰 사이즈의 오염물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스크린(20)에 의해 1차로 오염물이 걸러진 우수는 처리조(10)의 내부 공간이 분리되도록 한 도류판(30)에 의해 형성되는 1차 저수부(14)에 유입된다.
이때, 1차 저수부(14)는 제1 스크린(20)의 형성 폭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1차 저수부(14)에는 제1 스크린(20)이 수용되게 함으로써 제1 스크린(20)을 통과한 우수는 도류판(30)에 의해 1차 저수부(14)에 수용되도록 한다.
도류판(30)은 도 5에서와 같이 수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판면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ㄷ자형의 절개면을 절개하지 면을 축으로 후방으로 절곡되게 함으로써 1차 저수부(14)로 유입된 오수의 유동 유속이 완화되도록 한다.
즉, 도류판(30)은 제1 스크린(20)을 통해 1차 저수부(14)로 유입되는 오수가 평판의 판면에 일단 충돌하면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는 통수홀(31)을 통해 유동하도록 한다.
이때, 토류판(30)에는 하단부의 일측을 일정 사이즈로서 판면이 완전 절개되도록 하여 개구부(32)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1차 저수부(14)에서의 과도한 수압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토류판(30)에 의해 우수를 통수홀(31)을 통해서만 유동시키다보면 유속은 늦출 수가 있지만 수압과 함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류판(30)의 하단부 일측으로 개구부(32)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과도한 수압 발생이나 지나친 수위 상승이 방지되도록 한다.
토류판(30)에 의해 유속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키면서 유동하는 우수는 2차 저수부(15)로 유도되며, 토류판(30)으로부터 일정 폭을 이격시켜 제2 스크린(40)이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2차 저수부(15)는 토류판(30)과 제2 스크린(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며, 2차 저수부(15)로 유동하는 우수는 제2 스크린(40)을 통과하면서 제1 스크린(20)을 통과한 보다 작은 사이즈의 오염물이 걸러지도록 한다.
제2 스크린(40)은 도 6에서와 같이 일측면은 수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양단부가 처리조(10)의 상호 마주보는 양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41)과, 이 고정판(41)의 하단부는 길이 중심부로부터 일정 길이와 높이로 관통되도록 하면서 이렇게 관통된 개구의 주면을 따라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서 거름망(42)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거름망(42)은 일단이 고정판(41)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 형성되도록 하며, 판면에는 제1 스크린(20)보다는 작은 기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의 거름망(42)은 처리조(10)의 바닥면에 안치되는 면을 망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단순한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거름망(42)은 고정판(41)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3차 저수부(16)에 형성되고, 거름망(42)을 통과하면서 오수에 포함되어 있던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오염물이 걸러지도록 하여 처리조(10)를 통과한 오수는 보다 정화되어 하수 처리되도록 한다.
다만, 3차 저수부(16)에는 일정 높이에 유출관(12)이 연결되도록 하여 일정 수위 이상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처리조(10)의 내부에서 제1 스크린(20)과 마찬가지로 도류판(30)과 제2 스크린(40)은 상향 이탈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처리조(10)의 내부에는 도류판(30)과 제2 스크린(40)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수직으로 슬라이딩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홈(17)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처리조(10)에서 제1 스크린(20)과 제2 스크린(40)에 모아지는 오염물들의 제거와 도류판(30)의 세척을 위하여 상향 이탈시켜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고, 처리조(10)가 작업자가 직접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사이즈로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오염물을 수거할 수도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스크린(20)과 도류판(30) 및 제2 스크린(40)은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따른 작용과 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처리조(10)는 노면으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는 수로에 연결되면서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되 상단부는 노면으로부터 개방 가능하도록 뚜껑(미도시)에 의해 밀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처리조(10)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상단부 전체가 개폐되게 함으로써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스크린(20)과 도류판(30) 및 제2 스크린(40)이 수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결합 또는 이탈되게 함으로써 이들로부터 오염물을 수거하거나 세척할 수가 있도록 한다.
다만, 처리조(10)의 사이즈가 커서 제1 스크린(20)과 도류판(30) 및 제2 스크린(40)을 지상으로 이탈시키기 곤란한 경우에는 직접 작업자가 들어가 별도의 청소 장비를 이용하여 오염물 제거와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처리조(10)가 작업자의 투입이 가능한 사이즈인 경우 처리조(10)의 상단부는 밀폐되게 형성하면서 맨홀을 형성하여 작업자나 설비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처리조(10)에 제1 스크린(20)과 도류판(30) 및 제2 스크린(40)을 설치한 상태에서 수로를 통해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유입관(11)을 통하여 제1 스크린(20)을 통과하게 되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큰 사이즈의 오염물은 제1 스크린(20)에 걸러지게 되고, 제1 스크린(20)을 통과한 우수와 함께 작은 사이즈의 오염물은 1차 저수부(14)에 유입된다.
1차 저수부(14)에서 우수는 도류판(30)을 통과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우수는 도류판(30)에 충돌하면서 유속이 감속되고 판면에 경사지게 형성한 통수홀(31)과 판면을 일부 절개한 개구부(32)를 통해 2차 저수부(14)로 이동하게 된다.
도류판(30)에서 통수홀(31)은 일방향으로 경사직 형성되도록 하고 있어 2차 저수부(14)로 유입되는 우수는 직접적으로 바로 통과하지는 않고 판면에 충돌한 후 통수홀(31)을 통해 통과하게 되므로 통과 유속이 완화되며, 유속이 느려지는 만큼 2차 저수부(14)에서의 압력은 상승하게 되므로 유입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면 압력 또한 급격하게 상승할 수가 있으므로 도류판(30)의 하단부 일측으로 형성한 개구부(32)를 통해 1차 저수부(14)로부터 2차 저수부(15)로 저항없이 바로 이동하게 되어 1차 저수부(14)에서의 지나친 수압 상승은 방지되도록 한다.
도류판(30)을 통과하여 우수의 유속과 수압 상승이 방지되도록 하면 도류판(30)과 제2 스크린(40) 사이에 형성되는 2차 저수부(15)에서는 안정적으로 우수가 유동하게 된다.
2차 저수부(15)와 3차 저수부(16)는 제2 스크린(40)에 의해 연통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2차 저수부(15)와 3차 저수부(16)에는 거의 동시에 우수가 채워지게 되며, 이렇게 2차 저수부(15)로부터 3차 저수부(16)로 이동하는 우수로부터 보다 작은 사이즈의 오염물이 걸러지도록 한다.
즉, 우수에 포함되어 이동하는 진흙 덩어리와 같은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오염물들이 걸리지게 하는 동시에 부유물도 동시에 걸러지게 함으로써 3차 저수부(16)에 채워지는 우수는 좀더 정화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3차 저수부(16)에서 유출관(12)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3차 저수부(16)에 채워지는 우수로부터는 부유성 오염물 뿐만 아니라 부상하였다 하강하여 바닥면에 침적되는 오염물까지 배출이 방지되도록 하므로 보다 깨끗한 우수를 배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우수를 처리조(10)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면서 제1 스크린(20)과 제2 스크린(40)을 통해 크고 작은 오염물이 걸러지게 함으로써 하수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걸러진 오염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처리조
11 : 유입관 12 : 유출관
13 : 슬라이드 레일 14 : 제1 저수부
15 : 2차 저수부 16 : 3차 저수부
17 : 가이드홈
20 : 제1 스크린
30 : 도류판
31 : 통수홀 32 : 개구부
40 : 제2 스크린
41 : 고정판 42 : 거름망

Claims (6)

  1. 개방되도록 한 상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뚜껑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고, 양측의 단면에는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유입관과 유출관이 각각 연결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상기 유입관이 연결되는 위치에서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부로 이탈 가능하게 안착되고, 일측면으로는 유입구와 연통되게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오염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의 제1 스크린;
    상기 처리조에서 제1 스크린을 통해 오염물이 걸러진 우수가 모여지도록 하는 1차 저수부를 형성하면서 1차 저수부에서의 유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하고, 일부의 판면은 절개되도록 하여 과도한 수압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며, 판면에는 ㄷ자형으로 절개한 판면이 절곡되도록 하여 일방으로 우수가 유동하도록 통수홀을 형성하는 도류판;
    상기 도류판으로부터 일정 폭 이격시켜 설치되도록 하여 2차 저수부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하단부는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하단부로부터 일정 면적이 개방되도록 하여 개방된 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면과 함께 각 측면은 상기 제1 스크린의 기공보다 좁은 기공을 갖도록 망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통과한 우수는 3차 저수부에서 일정 수위가 되면 상기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제2 스크린;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크린은 일측면이 수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양단부가 상기 처리조의 상호 마주보는 양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하단부에서 길이 중심부로부터 일정 길이와 높이로 관통되도록 한 개구의 주면을 따라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서 거름망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은 상기 처리조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한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상부로부터 슬라이드 하강시켜 일정 높이에서 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상단부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은 상단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내부에 걸러진 오염물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류판과 상기 제2 스크린은 양단부가 상기 처리조의 마주보는 내주면에 요입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형성한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처리조의 바닥면에 안치되는 면을 망형상 또는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0220134991A 2022-10-19 2022-10-19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55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991A KR102556577B1 (ko) 2022-10-19 2022-10-19 비점오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991A KR102556577B1 (ko) 2022-10-19 2022-10-19 비점오염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577B1 true KR102556577B1 (ko) 2023-07-19

Family

ID=8742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991A KR102556577B1 (ko) 2022-10-19 2022-10-19 비점오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5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77B1 (ko) * 2005-05-27 2006-07-13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0913315B1 (ko) 2009-04-01 2009-08-26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235008B1 (ko) * 2012-05-04 2013-02-21 주식회사 그린텍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1479462B1 (ko) * 2014-07-04 2015-01-08 (주)공간파크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229515B1 (ko) * 2020-10-28 2021-03-18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하천의 수질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원형 스크린 여과장치를 이용한 무동력 비점오염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77B1 (ko) * 2005-05-27 2006-07-13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0913315B1 (ko) 2009-04-01 2009-08-26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235008B1 (ko) * 2012-05-04 2013-02-21 주식회사 그린텍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1479462B1 (ko) * 2014-07-04 2015-01-08 (주)공간파크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229515B1 (ko) * 2020-10-28 2021-03-18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하천의 수질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원형 스크린 여과장치를 이용한 무동력 비점오염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936B2 (e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stormwater and waste fluids
US57594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from rainwater drainage
JP3935216B2 (ja) 総汚染物質濾過装置
US20160001201A1 (en) Construction si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6733665B1 (en) Storm drain system for preventing and filtering debris, trash and hydrocarbons with removable inserts
KR101196653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20100020867A (ko)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US20150176265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KR100959945B1 (ko)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KR1017465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을 위한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KR101545448B1 (ko)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WO2015161339A1 (en) A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polluted drainage water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0420222B1 (ko)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US20130292315A1 (en) Device for Settlement of Particles from a Liquid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714397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43866B1 (ko)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255657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118557B1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