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696A - 피스톤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피스톤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696A
KR20020084696A KR1020020023592A KR20020023592A KR20020084696A KR 20020084696 A KR20020084696 A KR 20020084696A KR 1020020023592 A KR1020020023592 A KR 1020020023592A KR 20020023592 A KR20020023592 A KR 20020023592A KR 20020084696 A KR20020084696 A KR 20020084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element
suction
reed valv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113B1 (ko
Inventor
히로세류우이찌
나다모또히로야스
Original Assignee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4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F04B39/10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circular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02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having an integral flexible member co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sea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16K15/162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with limit s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38Plural
    • Y10T137/7839Dividing and recombining in a single flow pa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38Plural
    • Y10T137/7839Dividing and recombining in a single flow path
    • Y10T137/784Integral resilient member forms plura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1Flap or r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1Flap or reed
    • Y10T137/7892With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실린더 블록과 하우징 사이에는 밸브 기부판이 배치된다. 밸브 기부판에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흡입 챔버를 갖는 실린더 블록 내의 피스톤 챔버 각각을 유체 연통하기 위한 상호 고립된 제1 및 제2 흡입 개구가 형성된다. 리드 밸브 요소는 각각의 피스톤 챔버와 합체된다. 리드 밸브 요소는 유체의 도움으로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개방하도록 배열된다. 피스톤이 리드 밸브 요소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유체의 도움으로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개방하고 피스톤이 리드 밸브 요소를 향해 이동할 때 유체의 도움으로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폐쇄하도록 리드 밸브 요소가 배열된다. 2개, 즉 제1 및 제2 흡입 개구의 마련으로 인해, 리드 밸브 요소의 개방 운동이 그의 비틀림 운동을 따라 수행된다.

Description

피스톤식 압축기 {PISTON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통상 압축기, 특히 자동차 공조기의 냉각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는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일본 특허 공개 평9-280168에 개시된 피스톤식 압축기가 간단히 설명될 것이다. 사실상, 공개된 압축기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요동판을 갖는 소위 요동판 피스톤식이다.
공개된 압축기는 복수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가 원형으로 배열된 실린더 블록을 통상 포함한다.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는 요동판에 의해 작동된 피스톤을 각각 수용한다. 하우징은 실린더 블록의 일 단부에 부착되어 그와의 사이에 배치된 밸브 기부판을 갖는다. 하우징은 그 내부에 형성된 흡입 챔버를 갖는다. 밸브 기부판에는 복수의 흡입 개구가 형성되어 그를 통해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는 각각 흡입 챔버와 연통한다. 흡입 개구는 흡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리드 밸브 요소 각각과 함께 실린더 블록 측에 마련된다. 즉, 각각의 흡입 개구와 대응 리드 밸브 요소는 냉매 흡입 밸브를 구성한다. 리드 밸브 요소는 대응 흡입 개구를 실제로 개방 및 폐쇄하는 확대된 선단부를 갖는 형식이다. 정지판은 리드 밸브 요소의 상승을 조절하도록 실린더 블록의 단부면에 마련된다. 정지판의 마련으로 인해, 각각의 리드 밸브 요소의 과도한 개방 운동이 억제되어 원하지 않는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된다. 흡입 밸브의 냉매 흡입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리드 밸브 요소 각각은 비대칭 측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작동 중에, 리드 밸브 요소의 개방 운동이 그의 비틀림 운동을 따라 수행된다. 이 때문에, 흡입 밸브의 작동에 의해 야기된 압력 손실이 감소되어 냉매 흡입 효율이 증가된다.
그러나, 고유한 구조로 인해, 전술된 형식의 리드 밸브 요소는 그의 응답성을 낮추는 경향이 있다. 즉, 이러한 리드 밸브 요소에서, 대칭 측을 갖는 통상의 리드 밸브 요소와 비교하여 개방 운동의 시작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만일 이러한 지연이 적지 않다면, 흡입 밸브의 냉매 흡입 효율의 만족스러운 증가는 기대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이 없는 피스톤식 압축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응답성을 희생하지 않고 확실한 비틀림 운동을 따라 리드 밸브 요소의 개방 운동이 수행되는 피스톤식 압축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보어를 갖는 실린더 블록과, 피스톤 보어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사용하여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를 흡입하고 피스톤 보어 내의 유체 압축을 위한 구동 유닛과,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챔버를 갖고 실린더 블록의 일 단부에 부착되어 피스톤 보어의 일 단부가 흡입 챔버에 대면하는 하우징과, 실린더 블록의 단부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고립된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갖고 이를 통해 흡입 챔버와 피스톤 보어가 유체 연통되는 밸브 기부판과, 실린더 블록의 단부와 밸브 기부판 사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 한정된 리드 밸브 요소를 갖고, 피스톤이 리드 밸브 요소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흡입 챔버로부터 그를 통하여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를 도입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그에 의해 개방하고 피스톤이 리드 밸브 요소를 향해 이동할 때 흡입 챔버로부터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의 도입을 중지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그에 의해 폐쇄하도록 리드 밸브 요소가 배열되는 흡입 밸브판을 포함하는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피스톤식 압축기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를 갖는 실린더 블록과, 피스톤 보어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된 피스톤과, 피스톤 보어 내에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구동 유닛과, 요동 운동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요동판과, 피스톤에 만능 피봇식으로 접속된 단부와 요동판에 만능 피봇식으로 접속된 다른 단부를 갖는 피스톤 로드와,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챔버를 갖고 실린더 블록의 일 단부에 부착되어 피스톤 보어의 일 단부가 흡입 챔버를 대면하는 하우징과, 실린더 블록의 단부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고립된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갖고 이를 통해 흡입 챔버와 피스톤 보어가 유체 연통되는 밸브 기부판과, 실린더 블록의 단부와 밸브 기부판 사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 한정된 적어도 하나의 리드 밸브 요소를 갖고, 피스톤이 리드 밸브 요소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흡입 챔버로부터 그를 통하여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를 도입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그에 의해 개방하고 피스톤이 리드 밸브 요소를 향해이동할 때 흡입 챔버로부터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의 도입을 중지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그에 의해 폐쇄하도록 리드 밸브 요소가 배열되고, 리드 밸브 요소는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흡입 밸브판의 내부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탄성 아암부와, 탄성 아암부와 일체이고 제1 흡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인 제1 밸브 요소 부분과, 탄성 아암부와 일체이고 제2 흡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인 제2 밸브 요소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밸브 요소 부분은 가상의 중심선 상에 위치되고, 제2 밸브 요소 부분은 가상의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 되어 위치되는 흡입 밸브판을 포함하는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가 마련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화살표 "Y" 방향으로부터 취해진 흡입 밸브판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의 화살표 "Y" 방향으로부터 취해진 밸브판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의 화살표 "X" 방향으로부터 취해진 실린더 블록의 단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5는 제1 실시예의 필수 부분의 확대도로서,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 제1 흡입 개구, 제2 흡입 개구, 배출 개구 및 리드 밸브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6a 및 도6b는 리드 밸브 요소의 작동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6a는 도5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취해진 도면이고 도6b는 도5의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취해진 도면.
도7은 제1 실시예의 압축기와 종래 실시예 사이의 냉매 흡입 효율의 차이를 압축기의 모든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 내로 흡입되는 냉매의 양과 압축기의 회전 속도 사이의 관계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8은 도5와 유사한 도면이나, 종래 압축기에 사용된 리드 밸브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9, 도10 및 도11은 도5와 유사한 도면이나, 본 발명의 제2, 제3 및 제4 실시예의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에 각각 사용된 리드 밸브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정지부가 마련된 실린더 블록의 전방 단부면의 사시도.
도13은 도12와 유사한 도면이나, 정지부의 변형예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실린더 블록
3: 피스톤 보어
4: 전방 하우징
6: 후방 하우징
7: 흡입 챔버
9: 밸브 기부판
10: 구동 샤프트
15: 요동판
27: 피스톤
28: 제1 흡입 개구
29: 제2 흡입 개구
35, 40, 41, 42: 리드 밸브 요소
36: 제1 밸브 요소 부분
37: 탄성 아암부
38: 제2 밸브 요소 부분
100, 200, 300, 400: 압축기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우측, 좌측, 상부, 하부, 우향 등과 같은 다양한 방향에 대한 용어가 설명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대응 부품이나 부분이 도시된 도면 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도1 내지 도7에서, 특히 도1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100)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0)는 소위 단일 헤드 타입이다.
도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0)는 6개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가 원형으로 배열된 실린더 블록(2)과, 실린더 블록(2)의 좌측 단부면에 부착되어 그와의 사이에 크랭크 챔버(5)를 형성하는 전방 하우징(4)과, 실린더 블록(2)의 우측 단부면에 부착되고 그와의 사이에 원형 밸브 기부판(9)이 배치된 후방 하우징(6)을 포함한다.
후방 하우징(6)은 대체로 원형인 벽(W)에 의해 분리되는 환형 흡입 챔버(7)와 원형 배출 챔버(8) 모두를 내부에 갖는다. 도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환형 흡입 챔버(7)는 원형 배출 챔버(8)를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다시 도1에서, 크랭크 챔버(5) 내에는 구동 샤프트(10)가 연장된다. 구동판(11)은 구동 샤프트(10)에 고정되어 그와 함께 회전한다. 슬리브(12)는 구동 샤프트(10)에 대해 축방향으로 활주식으로 배치된다. 저널 부재(14)는 정렬된 핀(13)을 통해 슬리브(12)에 피봇식으로 접속된다. 요동판(15)은 볼 베어링(19)을 통해 저널 부재(14)의 보스부(18) 상에 배치된다. 볼 베어링(19)은 보스부(18) 상에 단단히 배치된 내부 레이스와 요동판(15) 내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단단히 배치된 외부 레이스를 갖는다. 구동 샤프트(10)에 대한 요동판(15)의 요동 각도는 구동판(11) 내에 형성된 긴 개구(16)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저널 부재(14)의 핀(17)에 의해 제어된다. 제1 및 제2 코일 스프링(12a, 12b)은 힘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를 향해 슬리브(12)를 편의시키도록 구동 샤프트(10)의 주위에 배치된다.
전방 하우징(4)은 직경방향으로 감소된 좌측 단부를 갖고 그 위에 풀리(20)가 볼 베어링(21)을 통해 배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더라도, 구동 벨트는 풀리(20) 상에 놓여 그를 구동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4)의 감소된 좌측 단부는 중심 보어를 갖는데 이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10)의 좌측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지나간다.
금속 클러치판(24)은 풀리(20)의 좌측 단부면에 대면하는 방식으로 구동 샤프트(10)의 노출된 좌측 단부에 단단히 접속된다. 전자석 코일(25)은 풀리(20) 내에 동심적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코일(25)에 전원이 가해질 때, 클러치판(24)은 풀리(20)에 의해 당겨지고 그에 부착되어 구동 샤프트(10)와 함께 풀리(20)가 일체 회전하도록 한다.
실린더 블록(2)의 6개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는 각각 피스톤(27)을 수용한다. 피스톤(27)의 각각은 피스톤 로드(26)를 통해 요동판(15)에 작동식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작동식 접속을 위해, 피스톤 로드(26)는 요동판(15) 내에 형성된 구형의 보어에 만능 피봇식으로 수용된 구형의 좌측 단부와, 피스톤(27) 내에 형성된 구형의 보어에 만능 피봇식으로 수용된 구형의 우측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10)가 그의 축에 대해 회전될 때, 그 회전은 각각의 피스톤 로드(26)를 통해 각각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 내의 6개의 피스톤(27)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된다. 피스톤(27) 각각의 왕복 운동으로 인해, 냉매는 흡입 챔버(7)로부터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 내로 안내되고, 고압 및 고온 매체로 바뀌도록 압축되어 배출 챔버(8)로 배출된다.
각각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와 각각의 흡입 및 배출 챔버(7, 8) 사이에 긴밀히 배치된 밸브 기부판(9)에는 6개의 제1 흡입 개구(28), (도1에 도시되지 않은) 6개의 제2 흡입 개구(29) 및 6개의 배출 개구(30)가 형성된다. 6개의 배출 개구(30)가 6개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와 배출 챔버(8)를 각각 연통하는 동안, 6개의 제1 흡입 개구(28) 및 6개의 제2 흡입 개구(29)는 6개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와 흡입 챔버(7)를 각각 연통하는 6쌍의 흡입 개구를 구성한다. 흡입 및 배출 챔버(7, 8)에 대한 이들 개구(28, 29, 30)의 위치는 도3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된다.
다시 도1에서, 배출 개구(30)의 각각에는, 배출 챔버(8)에 대면하는 밸브 기부판(9)의 우측 표면 상에, 리드 밸브 요소(35)가 마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밸브 요소(35) 각각은 고정 부재(33)에 의해 정지판(32)과 함께 밸브 기부판(9)에 접속된다. 정지판(32)은 리드 밸브 요소(31)의 상승을 조절하도록 배열된다.
밸브 기부판(9)의 좌측 표면 상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흡입 밸브판(34)이 놓여지는데 그의 주연부는 밸브 기부판(9)의 주연부와 실린더 블록(2)의 주연부 사이에서 단단히 유지된다. 흡입 밸브판(34)은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 밸브판(34)에는 중심 개구 둘레에 원형으로 배열된 6개의 리드 밸브 요소(35)가 형성된다. 이들 리드 밸브 요소(35)는 방향을 제외한 형상이 동일하며 흡입 밸브판(34)의 블랭크 시트를 가압 또는 펀칭함으로써 제조된다. 조립시에, 이들 6개의 리드 밸브 요소(35)는 밸브 기부판(9) 내에 형성된 전술된 6쌍의 흡입 개구(28, 29)와 각각 결합된다. 리드 밸브 요소(35)의 각각은 적절한 탄성을 나타내는 형상이다.
리드 밸브 요소(35) 중 하나가 도5에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밸브 요소(35)는 대응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형상을 갖는다.
리드 밸브 요소(35)는 (도2 및 도5의) 흡입 밸브판(34)의 내부 기부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탄성 아암부(37)와, 밸브 기부판(9)의 대응 제1 흡입 개구(28)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의 대체로 원형인 제1 밸브 요소 부분(36)과, 대응 제2 흡입 개구(29)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의 반원형 제2 밸브 요소 부분(38)을 포함한다. 전술된 설명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제2 밸브 요소 부분(38)은 비틀림 응력을 수용하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도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 요소 부분(36)과 흡입 밸브판(34)의 내부 기부 사이의 거리는 제2 밸브 요소 부분(38)과 흡입 밸브판(34)의 내부 기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도5는 대응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에 대한 각각의 리드 밸브 요소(35), 대응 제1 및 제2 흡입 개구(28, 29) 및 대응 배출 개구(30)의 배열을 상세히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제1 흡입 개구(28)의 중심은 28c로 표시되고, 제2 흡입 개구(29)의 중심은 29c로 표시된다. 리드 밸브 요소(35)의 탄성 아암부(37)의 중심선은 37L로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 아암부(37)의 중심선(37L)은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 중심선(3L)과 일치한다. 제1 흡입 개구(28)의 중심(28c)은 중심선(37L) 상에 있는 한편, 제2 흡입 개구(29)의 중심(29c)은 중심선(37L)에서 떨어져 있다. 즉, 제2 흡입 개구(29)는 리드 밸브 요소(35)의 중심선(37L)에 대해 오프셋 위치를 취한다. 중심선(37L)과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 중심선(3L) 사이의 정합 때문에, 리드 밸브 요소(35)의 기부로부터 제1 흡입개구(28)의 중심(28c)까지의 거리(D1)는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에 이용 가능한 값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2)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 각각에는 그의 우측 단부 주연면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리드 밸브 요소(35)의 선단부(35a)를 수용하도록 하는 위치 및 크기인 반원형 정지 리세스(39)가 형성된다.
도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지 리세스(39)는 피스톤 보어(3)의 우측 단부 주연면(3a)과 평행한, 즉 흡입 밸브판(34)의 주요면과 평행한 평평한 바닥(39a)을 갖는다. 각각의 정지 리세스(39)의 평평한 바닥(39a)은 대응 리드 밸브 요소(35)의 상승을 조절하는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즉, 리세스(39)를 마련함으로 인해, 밸브 요소의 과도한 상승 또는 개방 운동이 억제되어 원하지 않는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된다.
이하에, 제1 실시예의 압축기(100)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1을 참조하여 압축기(100)의 피스톤(27) 중 하나의 흡입 행정에 관하여 설명이 시작될 것이다.
즉, 압축/배출 행정 후에, 피스톤(27)은 흡입 행정을 시작할 것이다. 이 조건에서, 피스톤(27)(즉, 도1에 도시된 피스톤)은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해 막 이동하여서 대응 리드 밸브 요소(35)는 대응 제1 및 제2 흡입 개구(28, 29)를 여전히 폐쇄한다.
피스톤(27)이 좌향으로, 즉 하사점을 향해 이동할 때, 실린더형 피스톤보어(3)의 내부 압력은 점차로 감소되고, 보어(3)의 내부 압력이 흡입 챔버(7) 내의 압력보다 낮아질 때, 리드 밸브 요소(35)는 제1 및 제2 흡입 개구(28, 29)를 개방하여 흡입 챔버(7)로부터 피스톤 보어(3) 내로 냉매를 흡입한다.
피스톤 보어(3) 내로 냉매의 이러한 흡입 유동 시에, 리드 밸브 요소(35)는 약간 비틀린다.
이 때, 도6a 및 도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드 밸브 요소(35)는 제2 흡입 개구(29)로부터 안내된 냉매의 유동으로부터 제2 밸브 요소 부분(38)에 의해 수용되는 힘으로 인해 일정한 각도로 비틀린다. 즉, 피스톤(27)의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서, 리드 밸브 요소(35)의 개방 운동은 그의 비틀림 운동을 따라 수행된다. 이는 밸브 요소(35)의 개선된 개방 작동을 야기하여서, 밸브 요소(35)의 작동에 의해 야기된 압력 손실이 감소되거나 또는 최소화되어 피스톤(27)의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서 냉매 흡입 효율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밸브 요소(35)에 의해 취해진 비틀린 상태로 인해, 제1 및 제2 흡입 개구(28, 29)로부터의 냉매 유동은 피스톤 보어(3)의 실린더 내부면을 향해 유동하도록 강제되어 피스톤 보어(3) 내에 냉매의 소용돌이 유동을 유도한다. 이는 피스톤(27)의 흡입 행정의 초기 단계에서 냉매 흡입 효율을 증진 또는 증가시킨다.
하사점을 향한 피스톤(27)의 추가 이동으로 인해, 리드 밸브 요소(35)는 그의 개방도를 증가시킨다. 피스톤(27)의 이러한 이동 중에, 밸브 요소(35)의 선단부(35a)가 실린더 블록(2) 상에 형성된 정지 리세스(39)의 바닥과 접촉되었을 때, 리드 밸브 요소(35)의 개방도는 고정된다. 따라서, 그 후에 냉매는 밸브 요소(35)의 고정된 개방도에 의해 결정된 비율로 피스톤 보어(3) 내로 흡입된다. 이 조건에서도, 밸브 요소(35)의 비틀린 상태는 제2 흡입 개구(29)로부터의 냉매 유동에 의해 보유된 힘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만족스러운 냉매 흡입 효율이 피스톤(27)의 흡입 행정 중에 유지된다.
피스톤(27)이 하사점에 도달할 때, 흡입 행정이 종료되고 피스톤(27)의 압축/배출 행정이 시작된다.
성능 시험을 위해, 제1 실시예의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100)는 시간(h)당 6개의 피스톤 보어(3) 내로 안내되는 냉매의 양(Kg)과 압축기(100)의 [즉, 구동 샤프트(10)의] 회전 속도(rpm)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성능 시험 상태에 있다. 비교를 위해, 본 발명의 종래 실시예가 또한 시험되었다. 도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실시예의 리드 밸브 요소(135)는 제1 실시예(100)에 사용된 제2 밸브 요소 부분(38)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100)에 사용된 제2 흡입 개구(29)에 대응하는 개구가 없다.
양 압축기에서,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은 28.7 mm이고, 제1 흡입 개구(28)의 직경은 8.0 mm이고, 밸브 요소(35 또는 135)의 두께는 0.3 mm이고, 탄성 아암부(37 또는 137)의 폭(D2)은 5.8 mm이다. 압축기(100)에서, 제2 흡입 개구(29)의 직경은 5.0 mm이고, 제2 흡입 개구(29)의 중심(29c)과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 중심선(3L) 사이의 거리(D3)[즉, 중심선(37L)에 대한 제2 밸브 요소 부분(38)의 오프셋 정도]는 6.0 mm이다.
성능 시험의 결과는 도7의 그래프에 의해 도시된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기(100)는 회전 속도가 약 1,800 rpm을 초과할 때 종래 실시예의 압축기보다 약간 높은 냉매 흡입 효율을 보이고, 두 압축기 사이의 효율의 차이는 회전 속도가 약 3,000 rpm까지 증가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며, 효율의 차이는 회전 속도가 약 3,000 rpm을 초과할 때 포화상태가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속도가 1,800 rpm 보다 작을 때, 두 압축기 사이에 효율은 사실상 차이가 없다. 이는, 이러한 낮은 속도의 작동에서, 냉매 유동 속도가 너무 낮아서 밸브 요소(35 또는 135)의 작동에 의해 야기된 압력 손실이 상당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압력 손실은 유동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100)에서, 밸브 기부판(9)에는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 각각을 위해 2개, 즉 제1 및 제2 흡입 개구(28, 29)가 형성되고, 대응 리드 밸브 요소(35)는 제2 흡입 개구(29)의 중심(29c)이 리드 밸브 요소(35)의 중심선(37L)에 대해 오프셋 위치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리드 밸브 요소(35)에는 제2 흡입 개구(29)에 대면하는 제2 밸브 요소 부분(38)이 형성된다. 따라서, 리드 밸브 요소(35)의 압력 수용 영역이 확대되어 밸브 요소(35)의 응답성을 개선하고, 리드 밸브 요소(35)의 비틀림 운동은 피스톤(27)의 흡입 행정에서 확실히 수행된다. 따라서, 각각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냉매 흡입 효율은 증가되어 압축기(100)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제1 실시예(100)에서, 리드 밸브 요소(35)의 중심선(37L)에 대한 제2 흡입포트(29)의 오프셋 정도는 크다. 따라서, 작동시, 밸브 요소(35)는 제2 흡입 포트(29)로부터 안내되는 냉매 유동으로부터의 상당한 비틀림 응력을 수용할 수 있어서, 비틀림 운동이 개방 작동 중에 밸브 요소(35)에 의해 확실히 나타난다.
제1 실시예(100)에서, 리드 밸브 요소(35)의 중심선(37L)은 대응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 중심선(3L)과 일치한다. 따라서, 요소(35)의 탄성 아암부(37)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가장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장 긴 길이는 제1 흡입 개구(28)의 개방 및 폐쇄 시에 적절한 탄성을 야기한다.
더욱이, 제1 실시예(100)에서, 밸브 기부판(9) 내에 제1 및 제2 흡입 밸브(28, 29)의 고립된 배열에 의해 이하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100)에서, 냉매 유동 영역의 확대는, 하나의 흡입 개구의 크기를 확대함으로써가 아니라 2개의 흡입 개구(28, 29)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작동중에 단지 제한된 부분, 즉 제1 밸브 요소 부분(36)에는 확대된 흡입 개구(28)로부터 유도된 냉매 유동에 의한 과도한 부하가 인가되는 이러한 원하지 않는 현상으로부터 리드 밸브 요소(35)가 보호된다. 즉, 제1 실시예(100)에서, 밸브 요소(35)의 제1 및 제2 밸브 요소 부분(36, 38)은 이러한 과도한 부하로부터 보호된다.
제1 실시예(100)에서, 제1 흡입 개구(28)의 크기는 제2 흡입 개구(29)의 크기보다 크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제1 흡입 개구(28)의 크기는 제2 흡입 개구(29)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실시예(100)에서, 제1 및 제2 흡입 개구(28, 29)는 원형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흡입 개구(28, 29)는 다른 형상, 예컨대 반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및 육각형일 수 있다.
도9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200)에 사용된 리드 밸브 요소(40)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200)에서, 리드 밸브 요소(40)는 대칭인 형상이다. 즉, 리드 밸브 요소(40)는 중심선(40L)이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 중심선(3L)과 일치하는 탄성 아암부(37)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아암부(37)는 제1 및 제2 흡입 개구(28, 29) 모두를 덮는 크기이다. 즉, 제1 및 제2 흡입 개구(28, 29)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밸브 요소 부분(36, 38)은 탄성 아암부(37) 내에 모두 포함된다. 탄성 아암부(37)의 선단부는 40a로 표시되고, 이는 정지 리세스(39)와 결합 가능하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밸브 요소 부분(38)은 중심선(40L)에 대해 오프셋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밸브 요소 부분(38)의 오프셋 정도(D3)는 전술된 제1 실시예(100)에 비해 비교적 작다. 제2 실시예(200)는 각각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이 비교적 커서 탄성 아암부(37)가 증가된 길이를 갖는 형식의 압축기에 특히 유용하다. 즉, 증가된 길이로 인하여, 제2 밸브 요소 부분(38)의 작은 오프셋 정도(D3)에 의해 야기된 작은 힘(또는 모멘트)에 의해 탄성 아암부(37)는 용이하게 비틀릴 수 있다.
도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300)에 사용된 리드 밸브 요소(41)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300)에서, 리드 밸브 요소(41)의 탄성 아암부(37)의 중심선(41L)이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 중심선(3L)에 대해오프셋 위치에 위치된다. 제1 흡입 개구(28)의 중심(28c)은 중심선(41L)과 일치하고, 제2 흡입 개구(29)의 중심(29c)은 직경 중심선(3L)과 일치한다. 탄성 아암부(37)의 선단부는 41a로 표시되고, 이는 정지 리세스(39)와 결합가능하다. 제3 실시예(300)에서, 리드 밸브 요소(41)의 비틀림은 아암부(37)의 선단부(41a)가 정지 리세스(39)에 의해 수용될 때 확실히 형성된다.
도11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400)에 사용된 리드 밸브 요소(42)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에에서는 제2 흡입 개구(29)의 중심(29c)이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3)의 직경 중심선(3L)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4 실시예(300)는 전술된 제3 실시예(300)와 상당히 동일하다. 탄성 아암부(37)의 선단부는 42a로 표시되고, 이는 정지 리세스(39)와 결합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도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지 리세스(43) 각각은 피스톤 보어(3)의 우측 단부 주연면(3a)에 대해 경사진, 즉 흡입 밸브판(34)의 주요면에 대해 경사진 바닥(43a)을 가질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43a)의 경사는 리드 밸브 요소(35, 40, 41 또는 42)의 선단부(35a, 40a, 41a 또는 42a)가 정지 리세스(43)에 의해 완전히 수용될 때, 리드 밸브 요소(35, 40, 41 또는 42)의 비틀림 운동을 증진시키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설명이 요동판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라도, 본 발명은 소위 회전 경사판 피스톤식 압축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피스톤의 일 단부는 슈를 통해 회전 경사판의 주연부에 활주식으로 결합된다.
2001년 5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1-134482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로 위에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위의 설명의 관점에서 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판에 리드 밸브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한 위치에 개구 중심을 갖는 다른 흡입 개구를 마련하는 한편, 리드 밸브에 다른 흡입 개구에 대향하여 리드 밸브를 비틀어 동작시키는 비틀림 응력 받침부를 설치하였으므로, 리드 밸브의 압력 수용 영역이 확대되어 상기 리드 밸브의 응답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상기 리드 밸브가 확실하게 비틀려 동작한다. 그로 인해, 리드 밸브의 응답성이 향상되고 확실한 리드 밸브의 비틀림 운동에 의해 냉매 흡입량이 증가하여 압축기의 압축 성능이 높아진다.
또한, 리드 밸브의 중심선을 실린더 보어의 직경선 상에 일치시켰으므로, 리드 밸브를 가장 길게 하여 리드 밸브의 휨 강성을 가장 낮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리드 밸브의 응답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보어를 갖는 실린더 블록과,
    상기 피스톤 보어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사용하여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를 흡입하고 피스톤 보어 내의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구동 유닛과,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챔버를 갖고, 상기 실린더 블록의 일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피스톤 보어의 일 단부가 흡입 챔버에 대면하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록의 상기 단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고립된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갖고 이를 통해 상기 흡입 챔버와 피스톤 보어가 유체 연통되는 밸브 기부판과,
    상기 실린더 블록의 단부와 밸브 기부판 사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 한정된 리드 밸브 요소를 갖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리드 밸브 요소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상기 흡입 챔버로부터 그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를 도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그에 의해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이 리드 밸브 요소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흡입 챔버로부터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의 도입을 중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그에 의해 폐쇄하도록 상기 리드 밸브 요소가 배열되는 흡입 밸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피스톤 챔버 내에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유도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밸브 요소는,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흡입 밸브판의 내부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탄성 아암부와, 상기 탄성 아암부와 일체이고 상기 제1 흡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이고, 상기 가상의 중심선 상에 위치되는 제1 밸브 요소 부분과, 상기 탄성 아암부와 일체이고 상기 제2 흡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인 제2 밸브 요소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 요소 부분은 가상의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의 가상의 중심선은 상기 피스톤 보어의 직경 중심선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요소 부분과 내부 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밸브 요소 부분과 내부 기부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6.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밸브 요소 부분들 각각은 둥근 주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와 제1 밸브 요소와 제2 밸브 요소는 병합되어 직사각형인 리드 밸브 요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아암부의 가상의 중심선은 상기 제1 흡입 개구의 중심을 통해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보어의 직경 중심선은 상기 제2 흡입 개구의 중심을 통해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10. 제3항에 있어서, 정지 구조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 아암부가 주어진 정도로 상승될 때 정지 구조에 의해 상기 리드 밸브 요소의 탄성 아암부의 선단부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구조는 피스톤 보어의 주연 단부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평평한 바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평평한 바닥은 상기 흡입 밸브판의 주요면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평평한 바닥은 상기 흡입 밸브판의 주요면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바닥의 경사는,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개구로부터 리드 밸브 요소의 상승시에, 유체가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통해 흡입 챔버로부터 피스톤 챔버 내로 안내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밸브 요소 부분에 대항하여 충돌할 때 생성될 수 있는 리드 밸브 요소의 비틀림 운동을 증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압축기의 작동 중에 요동 운동을 수행하는 요동판과, 상기 요동판에 만능 피봇식으로 접속된 일 단부와 상기 피스톤에 만능 피봇식으로 접속된 다른 단부를 갖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압축기의 작동 중에 회전 경사판 운동을 수행하는 회전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경사판은 피스톤에 작동식으로 접속되어 작동시에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17.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왕복 운동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형 피스톤 보어를 갖는 실린더 블록과,
    상기 피스톤 보어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보어 내에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구동 유닛과,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챔버를 갖고, 상기 실린더 블록의 일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피스톤 보어의 일 단부가 흡입 챔버에 대면하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록의 상기 단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고립된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갖고 이를 통해 상기 흡입 챔버와 피스톤 보어가 유체 연통되는 밸브 기부판과,
    상기 실린더 블록의 단부와 밸브 기부판 사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 한정된 적어도 하나의 리드 밸브 요소를 갖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리드 밸브 요소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상기 흡입 챔버로부터 그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를 도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그에 의해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이 리드 밸브 요소를 향해 이동할 때 상기 흡입 챔버로부터 피스톤 보어 내로 유체의 도입을 중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흡입 개구를 그에 의해 폐쇄하도록 상기 리드 밸브 요소가 배열되고, 상기 리드 밸브 요소는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흡입 밸브판의 내부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탄성 아암부와, 상기 탄성 아암부와 일체이고 상기 제1 흡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인 제1 밸브 요소 부분과, 상기 탄성 아암부와 일체이고 상기 제2 흡입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는 형상 및 크기인 제2 밸브 요소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요소 부분은가상의 중심선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밸브 요소 부분은 가상의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 되어 위치되는 흡입 밸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식 압축기.
KR10-2002-0023592A 2001-05-01 2002-04-30 피스톤식 압축기 KR100496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34482 2001-05-01
JP2001134482A JP4034044B2 (ja) 2001-05-01 2001-05-01 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96A true KR20020084696A (ko) 2002-11-09
KR100496113B1 KR100496113B1 (ko) 2005-06-20

Family

ID=1898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592A KR100496113B1 (ko) 2001-05-01 2002-04-30 피스톤식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67193B2 (ko)
EP (1) EP1255042A3 (ko)
JP (1) JP4034044B2 (ko)
KR (1) KR100496113B1 (ko)
MY (1) MY1287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4734B2 (en) * 1999-12-28 2006-02-28 Zexel Valco Climate Control Corporation Reciprocating refrigerant compressor
JP4390444B2 (ja) * 2002-12-04 2009-12-24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の吐出弁機構
JP2004360686A (ja) * 2003-05-12 2004-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媒圧縮機
JP2005083296A (ja) * 2003-09-10 2005-03-31 Sanden Corp 圧縮機
DE102004003137A1 (de) * 2004-01-21 2005-08-11 Behr Gmbh & Co. Kg Kompressionsvorrichtung für gasförmige Medien
JP4408389B2 (ja) * 2004-05-10 2010-02-03 サンデン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
EP1724467B1 (en) * 2005-05-20 2016-07-13 Magneti Marelli S.p.A. Fuel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BRPI0505734A (pt) * 2005-12-19 2007-09-25 Brasil Compressores Sa arranjo de montagem de válvula para compressor de refrigeração
DE102006034334B3 (de) * 2006-07-19 2008-01-1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Verringerung von NVH und Gaspulsation in einem Klimaanlagenverdichter
ITRM20060461A1 (it) 2006-08-31 2008-03-01 Me S R L Perfezionamenti ai compressori volumetrici alternativi
JP5378381B2 (ja) * 2007-08-25 2013-12-25 イクセティック・マク・ゲーエムベーハー 往復ピストン機関
JP2010540814A (ja) * 2007-09-20 2010-12-24 シオン−スプレイズ リミテッド リードバルブを備えた流体インジェクタ
JP2012500355A (ja) * 2008-08-21 2012-01-05 イグゼティック エムエーシー ゲーエムベーハー 往復ピストン機関
ES2428241T3 (es) * 2009-07-08 2014-02-28 Aerocrine Ab Válvula de retención
AT509081B1 (de) * 2010-04-08 2011-06-15 Hoerbiger Kompressortech Hold Hohle ventilplatte
US10208740B2 (en) 2012-09-04 2019-02-19 Carrier Corporation Reciprocating refrigeration compressor suction valve seating
KR20140145659A (ko) * 2013-06-13 2014-12-24 학교법인 두원학원 리드 타입의 토출 밸브플레이트
US10982633B2 (en) 2017-07-03 2021-04-20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Fuel pump solenoid assembly method
CN114251252A (zh) * 2021-12-24 2022-03-29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阀片、阀组件、压缩机以及制冷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5183A (en) * 1951-01-10 1955-11-29 Carrier Corp Valves for reciprocating compressors
US3751005A (en) * 1971-11-30 1973-08-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Powdered metal valve plate assembly
US4764091A (en) * 1985-12-05 1988-08-16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Piston type compressor for air conditioning unit with asymmetric valve mechanisms
US4781540A (en) * 1985-12-05 1988-11-01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Piston type compressor for air conditioning unit having asymmetric valve mechanism
JPS6341683A (ja) * 1986-08-06 1988-02-22 Toshiba Corp 圧縮機のリ−ド弁装置
US5328338A (en) * 1993-03-01 1994-07-12 Sanyo Electric Co., Ltd. Hermetically sealed electric motor compressor
JP3301895B2 (ja) * 1995-09-05 2002-07-15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
JPH09228951A (ja) * 1996-02-26 1997-09-02 Matsushita Refrig Co Ltd 圧縮機のバルブ装置
JPH09273478A (ja) * 1996-04-08 1997-10-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式圧縮機
JPH09280168A (ja) 1996-04-10 1997-10-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式圧縮機
GB9715742D0 (en) * 1997-07-26 1997-10-01 Knorr Bremse Systeme Gas compressors
GB2343934B (en) * 1998-11-20 2003-05-21 Arctic Circle Ltd A reed for use in a valve assembly
JP2000329066A (ja) * 1999-05-19 2000-11-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吸入弁構造
JP2000345966A (ja) * 1999-06-01 2000-12-12 Sanden Corp 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8766A (en) 2007-02-28
JP2002332968A (ja) 2002-11-22
US20020176786A1 (en) 2002-11-28
US6767193B2 (en) 2004-07-27
EP1255042A2 (en) 2002-11-06
EP1255042A3 (en) 2007-04-25
JP4034044B2 (ja) 2008-01-16
KR100496113B1 (ko) 2005-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113B1 (ko) 피스톤식 압축기
US5533871A (en) Single-headed-piston-type swash-plate compressor having pulsation damping system
US6336795B1 (en)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suction reed valve stopper
JP4910184B2 (ja) 往復式冷媒圧縮機
KR101452888B1 (ko)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조립체
EP1394410A2 (en) Compressor having reduced pressure pulsation
JP2001221161A (ja) 往復式冷媒圧縮機
JP3084377B2 (ja) 圧縮機及びそれに使用するための片頭ピストン
KR100282043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US5771775A (en) Device for guiding a piston
JP2005105975A (ja) 圧縮機の弁構造
KR20020039144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01193647A (ja) 往復動型圧縮機
US7413421B2 (en) Multi-cylinder reciprocating compressor
JPH04105982U (ja) コンプレツサ
JPH09250461A (ja) 弁板装置
KR101179588B1 (ko) 사판식 압축기
JPH11117868A (ja) コンプレッサ
JPH0510257A (ja) 往復動式圧縮機の弁装置
KR200267898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밸브장치
JPH11117867A (ja) コンプレッサ
KR20230071955A (ko) 사판의 스트로크 크기에 따른 가변 냉매 배출 구조를 갖는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20040052665A1 (en) Double-acting refrigerant compressor
KR100927830B1 (ko)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JPH05174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