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490A -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490A
KR20020084490A KR1020010023800A KR20010023800A KR20020084490A KR 20020084490 A KR20020084490 A KR 20020084490A KR 1020010023800 A KR1020010023800 A KR 1020010023800A KR 20010023800 A KR20010023800 A KR 20010023800A KR 20020084490 A KR20020084490 A KR 20020084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gnal
vehicle
ecu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663B1 (ko
Inventor
박진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6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60W2710/065Idl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44Control of engine at id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 이를 시각과 음성 메시지로 출력함과 더불어 엔진을 아이들 상태로 유지시켜 차량을 주행 불능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된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열림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10)과, 이 경고수단(10)으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엔진으로 혼합기를 유입시키는 드로틀밸브(50)를 제어하는 ETC(40)로 신호를 전송하는 ECU(20) 및 운전자의 가속폐달 답입량을 감지하여 상기 ETC(40)와 ECU(20)로 전송하는 APS(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열림 시 이를 감지하는 경고수단(10)의 신호를 받아 ECU(20)가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체크단계와, 이어 상기 ECU(20)가 도어의 열림 상태를 인식하면 엔진을 아이들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된 로직에 따라 드로틀밸브(50)의 개도량을 "0"으로 변환하도록 ETC(30)로 신호를 전송하는 아이들단계 및 상기 ECU(20)가 도어의 닫힘 상태를 인식하면 운전자가 밟는 가속폐달의 답입량인 APS(40)신호에 따라 엔진의 상태를 제어하는 주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The preventing drive device at an automotive door open status}
본 발명은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의 닫힘 상태를 인식하지 않을 때 엔진을 아이들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로 차량을 주행하는 것은 특히, 어린이의 탑승시 사고의 위험성이 커 통상, 운전석의 계기판에 설치된 도어 열림 경고 램프를 통해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도어 열림 경고장치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스위치들이 직렬로 접속되어 도어가 열리면 온(ON)이 되어 전원과 회로를 구성하는 경고수단을 통해 운전자에게 인식시켜주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도어 열림 경고장치는 자동차의 도어가 모두 닫히면 감지 스위치가 모두 오프(OFF)되어 회로는 개방되고 상기 경고수단은 불이 켜지지 않는다. 그러나 다수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잘못 닫히면 그 도어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가 온(ON)이 되어 전원에서 나오는 전류가 경고수단과 감지 스위치를 거쳐 흐르게 되므로 경고수단에 불이 켜지게 되어 도어가 열려 있음을 인지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어 열림 경고장치는 경고수단에 상기 감지 스위치의 온(ON)/오프(OFF) 상태만이 표시되어 어느 도어가 잘못 닫혀져 있는지 구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경고수단에 불이 켜지는 경우 각각의 도어를 모두 점검해 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도어 열림 경고장치는 도어의 열림 상태를 단지 시각적으로만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습과적으로 계기판을 보지 않는다거나 또는 미처 계기판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라도 차량을 주행할 수 있게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게됨은 물론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량의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 이를 시각과 음성 메시지로 출력함과 더불어 엔진을 아이들 상태로 유지시켜 차량을 주행 불능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된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열림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과, 이 경고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엔진으로 혼합기를 유입시키는 드로틀밸브를 제어하는 ETC로 신호를 전송하는 ECU 및 운전자의 가속폐달 답입량을 감지하여 상기 ETC와 ECU로 전송하는 APS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열림 시 이를 감지하는 경고수단의 신호를 받아 ECU가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체크단계와, 이어 상기 ECU가 도어의 열림 상태를 인식하면 엔진을 아이들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된 로직에 따라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을 "0"으로 변환하도록 ETC로 신호를 전송하는 아이들단계 및 상기 ECU가 도어의 닫힘 상태를 인식하면 운전자가 밟는 가속폐달의 답입량인 APS신호에 따라 엔진의 상태를 제어하는 주행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도어 열림 시 엔진을 아이들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고수단11 : 센서부
12 : 처리기13,14 : 경고부
20 : ECU30 : ETC
40 : APS50 : 드로틀밸브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차량의 각 도어에 대응되어 해당 도어가 열리면 온(ON)되어 계기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10)과, 이 경고수단(10)으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설정된 로직에 따라 처리하는 ECU(Engine Control Unit ; 20), 이 ECU(20)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엔진으로 혼합기를 유입시키는 드로틀밸브(50)를 제어하는 ETC(Electronic Throttle Controller ; 40) 및 이 ETC(40)로 신호를 전송함과 더불어 이를 매개로 상기 ECU(20)로 전달되는 가속폐달의 답입량 신호를 발생시키는 APS(Accellarator Posion Sensor ; 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경고수단(10)은 한쪽단을 접지시킴과 더불어 차량의 각 도어에 대응되어 해당 도어가 열리면 온(ON)되는 스위치들로 구성되는 센서부(11)와, 이 센서부(11)의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온 되어 발생된 신호를 설정된 로직에 따라 처리하는 처리기(12) 및 이 처리기(12)로부터 처리된 신호를 인가 받아 차량의 배터리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매개로 점등되는 경고부(13,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고수단(10)은 소정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여 소정 칩 인에이블 신호와 소정 어드레스를 받아 상기 어드레스 위치에 있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메모리와, 이 음성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가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어의 열림 시 이를 감지하는 경고수단(10)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매개로 ECU(20)와 ETC(30)에 의해 드로틀밸브(50)의 개도량을 "0"으로 변환시켜 도어 열림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엔진을 아이들(Idle)상태로 유지시켜 출발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이를 도 2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각 도어에 설치된 센서부(11)를 통해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한 처리기(12)로 이루어진 경고수단(10)의 신호를 받아 ECU(20)가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체크단계와, 이어 상기 ECU(20)가 도어의 열림 상태를 인식하면 엔진을 아이들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된 로직에 따라 드로틀밸브(50)의 개도량을 "0"으로 변환하도록 ETC(30)로 신호를 전송하는 아이들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이들단계 수행 중 경고수단(10)으로부터 도어 열림 상태 신호가 ECU(20)로 전송되지 않게 되면 상기 체크단계로 피드백(Feedback)되어짐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ECU(20)가 도어의 닫힘 상태를 인식하면 운전자가 밟는 가속폐달의 답입량인 APS(40)신호를 ETC(30)를 통해 전송 받아 설정된 드로틀밸브(50)개도량 값을 다시 ETC(30)로 인가하여 드로틀밸브(50)의 개도량을 엔진의 상태(아이들, 부분부하등)에 따라 제어하는 주행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시각과 청각적으로 알려줌과 더불어 운전자가 이를 미 확인한 상태에서 가속폐달을 밟더라도 ECY가 엔진을 아이들 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므로 도어 열림으로 인한 불의의 사고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각 도어에 대응되어 해당 도어가 열리면 온(ON)되어 계기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10)과, 이 경고수단(10)으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설정된 로직에 따라 처리하는 ECU(20), 이 ECU(20)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엔진으로 혼합기를 유입시키는 드로틀밸브(50)를 제어하는 ETC(40) 및 이 ETC(40)로 신호를 전송함과 더불어 이를 매개로 상기 ECU(20)로 전달되는 가속폐달의 답입량 신호를 발생시키는 APS(40)로 이루어진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10)은 한쪽단을 접지시킴과 더불어 차량의 각 도어에 대응되어 해당 도어가 열리면 온(ON)되는 스위치들로 구성되는 센서부(11)와, 이 센서부(11)의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온 되어 발생된 신호를 설정된 로직에 따라 처리하는 처리기(12) 및 이 처리기(12)로부터 처리된 신호를 인가 받아 차량의 배터리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매개로 점등되는 경고부(13,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KR10-2001-0023800A 2001-05-02 2001-05-02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KR10039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800A KR100391663B1 (ko) 2001-05-02 2001-05-02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800A KR100391663B1 (ko) 2001-05-02 2001-05-02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490A true KR20020084490A (ko) 2002-11-09
KR100391663B1 KR100391663B1 (ko) 2003-07-12

Family

ID=2770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800A KR100391663B1 (ko) 2001-05-02 2001-05-02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388B1 (ko) * 2001-08-16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주행제어장치
KR100461831B1 (ko) * 2002-04-18 2004-1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3102B (zh) * 2019-08-13 2021-04-0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内发动机阶次声音分析方法及电动汽车主动发声系统
CN110803103B (zh) * 2019-08-13 2021-04-0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主动发声系统声音控制方法及主动发声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388B1 (ko) * 2001-08-16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주행제어장치
KR100461831B1 (ko) * 2002-04-18 2004-1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663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249A (ko) 전기자동차의 제어장치
US4278963A (en) Automotive anti-theft system
KR100391663B1 (ko)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US20090109009A1 (en) Audible alert on school buses for bus stop active master flasher switch
KR20020036477A (ko) 자동차의 침수 사고 대처 장치
JP2013139172A (ja) 車載ランプ自動消灯装置
GB2451171A (en) Hybrid vehicle drive state alert
KR100190403B1 (ko) 산소센서 및 진동센서의 원리를 응용한 도난경보 시스템
KR20070062661A (ko) 자동차 윈도우 자동 조절장치
KR0182989B1 (ko) 차량의 도어열림 경고장치
JP2000344054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200291424Y1 (ko) 차량의 도어 오픈 경보 장치
KR0150553B1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회로
KR20040065870A (ko) 차량의 엔진꺼짐 경고시스템 및 그 경고방법
KR100224166B1 (ko) 연료캡 미장착시 시동불등 및 경고장치
KR200151523Y1 (ko) 도어 오픈시 주행 금지장치
KR0118432Y1 (ko) 자동차용 도난 경보장치의 경보신호 발생장치
KR20190015895A (ko) 대형 차량용 배터리 방전 경보장치
KR0119405Y1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회로
KR970005813B1 (ko) 자동차의 비상 경보장치
JPH0253649A (ja) 自動車の室内灯装置
KR200219640Y1 (ko)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KR960036244A (ko) 자동차용 전원 공급원 방전 방지 장치
KR19980069179A (ko) 자동차의 도어 열림 경보장치
KR19990026076U (ko)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