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640Y1 -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40Y1
KR200219640Y1 KR2019980020644U KR19980020644U KR200219640Y1 KR 200219640 Y1 KR200219640 Y1 KR 200219640Y1 KR 2019980020644 U KR2019980020644 U KR 2019980020644U KR 19980020644 U KR19980020644 U KR 19980020644U KR 200219640 Y1 KR200219640 Y1 KR 200219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warning signal
resul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794U (ko
Inventor
공승기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모비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모비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80020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4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7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4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주정차시 파킹 브레이크(parking brake)의 작동불량으로 인한 자동차의 유동을 감지 및 경고할 수 있도록 한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car's moving sensing System on parking) 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시동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와,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2 스위칭부와, 주정차를 위한 파킹 브레이크의 구동여부에 따라 온/오프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3 스위칭부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구동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속도 감지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부와 속도 감지부에서 전달받은 각각의 동작 또는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 유동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경고신호발생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정차시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불량이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차량이 유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운전자나 그 외의 사람들에게 차량의 유동을 경고하여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본 고안은 주정차시 파킹 브레이크(parking brake)의 작동 불량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차량의 유동을 감지 및 경고할 수 있도록 한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언덕이나 비탈진 곳에 차량이 주정차된 경우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킹 브레이크의 풀림으로 차량이 미끄러지게 되면 시스템에서 이를 감지하여 위험상태를 운전자 및 다른 사람들에게 경고하는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자동차 사고로 인하여 운전자를 비롯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차 안전 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상기 자동차 안전 시스템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나 차량의 도난 방지를 위한 것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런데, 자동차가 증가하는데 비해 주차 공간이 미약함으로 인해 주택 근처의 여유 공간에 자동차를 주정차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주정차 공간이 비탈지거나 언덕에 위치되어 있다면 주정차 후에 운전자의 부주의나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 불량으로 인하여 상기 파킹 브레이크가 풀려 자동차가 아랫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운전자나 그 외의 사람이 차량의 미끄러짐을 인지하고 드라이브 도어를 열어 파킹 브레이크를 다시 잠금 고정시키면 큰 피해가 발생되지 않지만, 드라이브 도어가 잠겨있거나 운전자가 근처에 없는 경우, 또는 파킹 브레이크가 고장난 경우에는 운전자나 주변 사람들에게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경고할 수 있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의 미끄러짐으로 인적 또는 물적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정차시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불량이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차량이 유동되면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나 그 외의 사람들에게 차량의 유동을 경고하여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의 제어 로직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의 각 구성 부분에 따른 신호 파형이 도시된 클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스위치 2 : 제2 스위치
3 : 제3 스위치 4 : 제4 스위치
4' : 멈춤 램프 5 : 제5 스위치
5' : 파킹 램프 10 : 경고신호 발생수단
10' : 앤드 게이트 11 : 사이렌
12 : 경고 램프 B : 배터리
ALTR : 교류발전기 IGN SW : 시동 스위치
REV : 회전수 T : 펄스 주기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의 특징에 따르면,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시동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와,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2 스위칭부와, 주정차를 위한 파킹 브레이크의 구동여부에 따라 온/오프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3 스위칭부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구동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속도 감지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부와 속도 감지부에서 전달받은 각각의 동작 또는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 유동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경고신호발생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고신호 발생부는 그 판단 결과가 차량이 유동되는 경우에 위험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 발생수단 또는 경고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의 제어 로직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의 각 구성 부분에 따른 신호 파형이 도시된 클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구동을 위한 시동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1 스위치(1)와, 드라이버 도어 및 도어 로크의 열림/잠금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각각의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2 및 제3 스위치(2, 3)와, 주행시 차량의 급정차에 관여하는 풋브레이크의 구동 여부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그 동작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4 스위치(4)와, 상기 풋브레이크가 구동되지 않음으로 인해 상기 제4 스위치(4)가 오프되면 운전자에게 정차됨을 알리는 멈춤 램프(4')와, 차량의 주차시 관여하는 파킹 브레이크의 구동여부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5 스위치(5), 및 상기 제5 스위치(5)의 온 동작으로 상기 파킹 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이 주차됨을 알리는 파킹 램프(5')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구동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속도 센서(6)와, 상기 제1 내지 제5 스위치(1,2,3,4,5) 및 속도 센서(6)에서 전달받은 각각의 동작 또는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의 유동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 발생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고신호 발생수단(10)은 제어논리(control logic)로 상기 제1 내지 제5 스위치(1,2,3,4,5) 및 속도 센서(6)에서 입력되는 각 동작 또는 감지 결과가 모두 경고신호 발생 여부 조건에 충족되면 경고신호를 생성 출력하도록 하는 앤드 게이트(AND Gate)(10')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경고신호 발생수단(10)에서는 상기 속도 센서(6)에 의해 감지되는 구동속도를 비롯하여 상기 제1 스위치(1)의 오프 동작, 상기 제2 스위치(2)의 온 동작, 상기 제3 스위치(3)의 온 동작, 상기 제4 스위치(4)의 오프 동작, 상기 제5 스위치(5)의 온 동작이 전달되면 이를 경고신호 발생 조건에 모두 충족되었다고 판단하고 차량의 주정차시 상기 파킹 브레이크의 오동작으로 차량이 유동되고 있음을 경고신호를 생성 출력하여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고신호 발생수단(10)은 차량이 유동됨이 감지되면 이를 운전자 및 그 외의 사람들에게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사이렌(siren)(11) 또는 이를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경고를 표시하게 되는 경고 램프(12)를 포함하게 된다.
도 1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B는 시스템에 전원(12V)을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이고, 참조부호 ALTR은 교류발전기이고, 참조부호 IGN SW는 시동 스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차량의 주정차시 파킹 브레이크의 오동작으로 차량이 유동될 경우에 운전자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에게 이를 알리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5 스위치(1,2,3,4,5)를 비롯하여 상기 속도 센서(6)에서 전달되는 각 신호의 클록 펄스(clock pulse)가 도시되어 있고, 게다가 상기 앤드 게이트(10'), 즉 경고신호 발생수단(10)에 의해 동작되는 경고 램프(12) 및 사이렌(11)에서 출력되는 경고신호의 클록 펄스도 함께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의해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으로 인적 또는 물적 피해가 사전에 방지될 수 있도록 운전자 및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하기 위한 각 부의 동작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발생되는 각각의 클록 펄스를 통해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1REV는 1회전수를 나타내고, T1은 펄스 주기(2㎐)를 나타내고, 부가적으로 상기 펄스 주기(T1)에 대한 펄스 폭의 비율인 듀티 사이클(duty cycle)은 50%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을 주정차하기 위해 시동을 끈 상태에서 파킹 브레이크를 구동시키게 되어 제5 스위치(5)는 온동작 되게 된다. 그런데, 제4 스위치(4)가 오프 동작하게 되면, 즉 풋브레이크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속도 센서(6)에 의해 일정 속도가 감지되고, 제2 및 제3 스위치(2, 3)가 온 동작되면 드라이버 도어 및 도어 로크가 잠김 상태이므로 파킹 브레이크의 이상으로 차량이 유동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어 차량의 유동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나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차량의 유동을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드라이버 도어가 열림 상태이면 상기 드라이브 도어를 통해 운전자나 주변 사람들이 신속히 파킹 브레이크를 정상 동작시켜 차량의 유동을 멈추게 할 수도 있고, 파킹 브레이크를 조작할 수 없을 경우에는 신속히 대피하여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속도 센서(6)에 의해 일정 속도가 감지되면서 상기 드라이브 도어나 도어 로크가 잠김 상태이기 때문에 파킹 브레이크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없어 신속하게 대피해야만 한다.
즉, 상기 속도 센서(6)에 의해 감지되는 구동속도를 비롯하여 제1 스위치(1)와 제4 스위치(4)는 오프 동작되는데 비해, 제2 스위치(2), 상기 제3 스위치(3) 제5 스위치(5)는 온 동작되게 되어 각각에서 전달되는 동작 또는 감지 결과가 앤드 게이트(10'), 즉 경고신호 발생수단(10)에 입력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경고신호 발생수단(10)은 전달받은 각각의 신호에 의해 현재 주정차 중인 차량이 유동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즉시 경고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경고신호 발생수단(10)에서 발생된 경고신호는 사이렌(11) 또는 경고 램프(12)에 전달되어 운전자나 차량 주변의 사람들에게 경고음이나 경고 표시를 하게 되고, 상기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불량이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상기 파킹 브레이크의 풀림으로 발생될 수 있는 인적, 물적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은 주정차시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불량이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차량이 유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운전자나 그 외의 사람들에게 차량의 유동을 경고하여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시동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1 스위칭부와, 도어의 잠금 또는 열림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2 스위칭부와, 주정차를 위한 파킹 브레이크의 구동여부에 따라 온/오프되어 그 동작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3 스위칭부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구동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속도 감지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부와 속도 감지부에서 전달받은 각각의 동작 또는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 유동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경고신호발생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 발생부는 그 판단 결과가 차량이 유동되는 경우에 위험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 발생수단 또는 경고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KR2019980020644U 1998-10-28 1998-10-28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KR200219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644U KR200219640Y1 (ko) 1998-10-28 1998-10-28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644U KR200219640Y1 (ko) 1998-10-28 1998-10-28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794U KR20000008794U (ko) 2000-05-25
KR200219640Y1 true KR200219640Y1 (ko) 2001-04-02

Family

ID=6952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644U KR200219640Y1 (ko) 1998-10-28 1998-10-28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794U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9640Y1 (ko) 주정차시 차량의 유동 감지 시스템
JP3257195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H07251711A (ja) シートベルト未着用警報装置
KR100190403B1 (ko) 산소센서 및 진동센서의 원리를 응용한 도난경보 시스템
KR0145835B1 (ko) 사이드 브레이크의 잠금확인 경보장치 및 경보방법
KR0128449Y1 (ko)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의 경보장치
KR200155440Y1 (ko) 차량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장치
KR100412435B1 (ko)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보장치
KR20020084490A (ko)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KR0150921B1 (ko)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0151671B1 (ko) 자동차 위치감지장치
KR0178909B1 (ko) 자동차의 속도 경보 장치
KR100706377B1 (ko) 자동차의 갓길 정차용 비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65235B1 (ko) 자동차의 혼 고장 진단 방법
KR200155888Y1 (ko) 자동차의 후진경고장치
KR100405475B1 (ko) 자동차용 시동 장치
JP2001047973A (ja) 乗物用盗難防止システム
KR19990021662A (ko) 차량의 평지 주차시 스티어링 휠 정렬 장치
KR19980031419A (ko) 차량용 수동 주차브레이크 상태 제어회로
KR20060067558A (ko) 시동의 꺼짐을 알리는 차량
KR19990026992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잠김상태 주행시 경보장치
JPH0536258B2 (ko)
KR19980084004A (ko) 주차브레이크 작동여부 경고 방법 및 장치
KR19990018263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경보장치
KR20000013101A (ko) 차량의 사고 예방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