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831B1 -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831B1
KR100461831B1 KR10-2002-0021299A KR20020021299A KR100461831B1 KR 100461831 B1 KR100461831 B1 KR 100461831B1 KR 20020021299 A KR20020021299 A KR 20020021299A KR 100461831 B1 KR100461831 B1 KR 100461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vehicle
accelerator
speed limiting
out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2807A (ko
Inventor
이동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8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6Adjusting of accelerator pedal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028/00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inhibiting the starter motor, e.g. by controlling ignition or park lock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액셀 메카니즘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2),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22),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2)와 상기 차속 센서(22)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해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와 차량 속도의 설정 속도값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액츄에이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제한 E.C.U(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되는 액셀 인터록 장치를 차속 제한 장치와 별도의 독립된 시스템으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동일한 제어 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ACCELERATOR MECHANIS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차를 위한 차량 도어의 개방시 차량이 출발하지 못하도록 액셀 페달의 작용을 제어하는 액셀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속이 소정의 제한속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속 제한 장치와 연계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액셀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어식으로 작동되는 차량에 있어서, 현재 승,하차를 위한 차량 도어의 개방시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이 출발하지 못하도록 액셀 페달의 작용을 제어하는 액셀 인터록 장치가 다수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셀 인터록 장치와 차속 제한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액셀 인터록 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종래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오던 액셀 인터록 장치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도어가 개방되면, 도어에 부착된 마이크로 스위치(12)가 ON(접점) 상태가 되어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솔레노이드 밸브(4)가 개방되어 에어 탱크(14)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면서 액셀 인터록 액츄에이터(6)가 작동된다.
액셀 인터록 액츄에이터(6)내의 피스톤과 연결된 제1 샤프트 어셈블리(2)는, 액셀 인터록 액츄에이터(6)가 작동하면 상기 피스톤의 움직임에 의해 제1 샤프트 어셈블리(2)에 부착된 레버를 구속하게 되어 이 레버에 연결된 액셀 페달(1)이 록킹되게 된다.
한편, 전자 제어식으로 작동되는 차량에는, 차량이 법규 속도(한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 가속을 할 수 없도록 방지하는 차속 제한 장치가 다수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차속 제한 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종래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오던 차속 제한 장치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행중 차량이 속도 한계 값을 초과하면 차속 센서(22)에서 이를 감지하여 차속 제한 E.C.U(SPEED LIMITER ELECTRONIC CONTROLLED UNIT, 26)에 입력 신호를 보낸다. 차속 제한 E.C.U(26)에서는 이 신호를 받아 경고 램프(24)를 점등시키고,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SPEED LIMITER ACTUATOR, 10)를 작동시킨다.
액셀 메카니즘상에서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와 제2 샤프트 어셈블리(8)에 연결된 케이블(9)은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가 작동됨에 따라 제2 샤프트 어셈블리(8)에 부착된 레버를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연료 분사 펌프(F.I.P: FUEL INJECTION PUMP) 차속 레버는 아이들(IDLE)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추가로 가속하기 위하여 액셀 페달(1)을 밟으면 댐퍼(7)가 작동되어 스프링처럼 늘어나므로, 액셀 페달(1)은 밟혀지지만 페달의 변동량은 전부 무효 스트로크화 되어 가속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셀 메카니즘상에서는 액셀 인터록 장치와 차속 제한 장치가 각각 별도의 독립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그 기능이 수행되고 있었다.
즉, 액셀 인터록 장치는 액셀 인터록 액츄에이터(6)가 제1 샤프트 어셈블리(2)에 부착된 레버를 록킹시킴으로써 액셀 페달(1)이 전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구성되었고, 차속 제한 장치는 액셀 페달(1) 변화량이 댐퍼(7)를 통해 전부 무효 스트로크화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구성되었다.
다른 관점으로 보면, 액셀 인터록 장치는 액셀 페달(1)이 전혀 움직이지 못하게 단단히 구속시킴으로써 엔진 RPM 상승을 억제하고, 차속 제한 장치는 액셀 페달(1)은 밟혀지지만 페달 변화량을 전부 무효 스트로크화 시킴으로써 엔진 RPM 상승을 억제하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액셀 메카니즘상에서 이 두가지 시스템의 공통 목적은 실질적으로는 운전자가 액셀 페달(1)을 밟았을 때 엔진 RPM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가지 시스템이 각각 독립적으로 개발되어왔다는 연혁상의 이유로 하나의 액셀 메카니즘상에서 거의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로 독립된 2가지 시스템, 즉 공압을 이용하는 액셀 인터록 장치와 전기 제어를 이용하는 차속 제한 장치를 사용하므로, 불필요하게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액셀 인터록 장치의 경우 공압을 이용하여 액셀 인터록 액츄에이터(6)를 작동시키므로, 에어 탱크(14)로부터 별도의 에어 유입 장치가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차량 중량도 증가되며, 제조 코스트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되는 액셀 인터록 장치를 차속 제한 장치와 별도의 독립된 시스템으로 구성하지 않고 차속 제한 장치와 연계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보다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동일한 제어 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셀 인터록 장치와 차속 제한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액셀 인터록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차속 제한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액셀 페달 3: 로드
6: 액셀 인터록 액츄에이터 7: 댐퍼
8: 샤프트 어셈블리 9: 케이블
10: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 12: 마이크로 스위치
22: 차속 센서 24: 경고 램프
26: 차속 제한 E.C.U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액셀 메카니즘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2),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22),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2)와 상기 차속 센서(22)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해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와 차량 속도의 설정 속도값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액츄에이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제한 E.C.U(26)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속 제한 E.C.U(26)는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를 작동시킬 때에 경고 램프(24) 점등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상용차에 주로 적용되어오던 차속 제한 장치의 기본 구성에 도어의 개방 상태에 의해 작동되는 액셀 인터록 장치를 통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의한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차속 제한 장치는 종래의 차속 제한 장치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의 작동시 연료 분사 펌프(F.I.P) 차속 레버를 아이들 상태로 위치시키는 샤프트 어셈블리(8)와, 액셀 페달(1)의 답력 전달용 로드(3)상에 설치되며 상기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의 작동시 페달의 변동량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댐퍼(7)를 그 구성요소로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본 실시예의 액셀 메카니즘에서는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2)의 출력 신호가 직접 차속 제한 E.C.U(26)에 입력되도록 구성하여, 종래의 액셀 인터록 장치가 생략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마이크로 스위치(12)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차속 제한 E.C.U(26)가 차량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면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가 작동하도록 하여, 종래의 차속 제한 장치와 동일한 작동 원리에 의해 차량의 출발 또는 가속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액셀 인터록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개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12)와 차속 센서(22)를 이용하여 시스템이 구성되므로, 입력 신호가 차속과 도어 개방 상태 2가지가 된다.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도어가 개방되어 차속 제한 E.C.U(26)에서 마이크로 스위치(12)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를 받게 되면, 차속 제한 E.C.U(26)는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경고 램프(24)를 점등시킨다.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에 연결된 케이블(9)은 샤프트 어셈블리(8)에 부착된 레버를 당겨서 엔진측 연료 분사 펌프(F.I.P) 차속 레버의 위치가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시킨다.
운전자가 도어 개방 상태를 미처 감지하지 못하고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액셀 페달(1)을 밟으면 로드(3)에 연결된 댐퍼(7)가 작동하여 스프링처럼 늘어나 액셀 페달(1)의 변동량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속이 불가능하게 되어 종래의 인터록 기능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차속 센서(22)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차속 제한 E.C.U(26)에 입력된다. 차량의 속도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차속 제한 E.C.U(26)에 의해 차량의 속도가 한계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차속 제한 E.C.U(26)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를 작동시키고 경고 램프(24)를 점등시킨다.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와 액셀 메카니즘상의 샤프트 어셈블리(8)에 연결된 케이블(9)은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가 작동함에 따라 샤프트 어셈블리(8)에 부착된 레버를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연료 분사 펌프(F.I.P) 차속 레버는 아이들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추가로 가속하기 위하여 액셀 페달(1)을 밟으면 로드(3)에 연결된 댐퍼(7)가 작동하여 스프링처럼 늘어나 액셀 페달(1)의 변동량이 무효 스트로크화 됨으로써 가속이 불가능하게 되어 차속 제한 기능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속 제한 장치의 차속 신호와 도어 개방 상태에의한 입력 신호가 연계되어 처리되는 하나의 시스템이 구성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차속 제한 기능과 액셀 인터록 기능 2가지가 모두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각각은 상기한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에서 권리로서 청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물론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은,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되는 액셀 인터록 장치를 차속 제한 장치와 별도의 독립된 시스템으로 구성하지 않고 차속 제한 장치와 연계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감소되도록 하고, 작업 공수를 줄여 공정이 단순화되도록 하므로 제조 코스트를 절감시키게 되며, 전체 차량 중량이 감소되도록 하여 차량의 성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Claims (2)

  1.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액셀 메카니즘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2),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속도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22),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2)와 상기 차속 센서(22)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해 차량 도어의 개방 상태와 차량 속도의 설정 속도값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액츄에이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제한 E.C.U(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 제한 E.C.U(26)는 차속 제한 액츄에이터(10)를 작동시킬 때에 경고 램프(24) 점등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KR10-2002-0021299A 2002-04-18 2002-04-18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KR100461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299A KR100461831B1 (ko) 2002-04-18 2002-04-18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299A KR100461831B1 (ko) 2002-04-18 2002-04-18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807A KR20030082807A (ko) 2003-10-23
KR100461831B1 true KR100461831B1 (ko) 2004-12-14

Family

ID=3237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299A KR100461831B1 (ko) 2002-04-18 2002-04-18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937B1 (ko) * 2005-09-07 2007-04-13 오정호 유골함용 포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030A (ja) * 1984-05-29 1985-12-12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用定速走行装置
KR970031171U (ko) * 1995-12-30 1997-07-24 자동차의 속도 제한장치
KR19980015582A (ko) * 1996-08-23 1998-05-25 박병재 자동차용 최고 속도 조절장치
KR20010066519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버스의 중간 도어 열림 시 가속 페달 밟힘 방지 장치
KR20020084490A (ko) * 2001-05-02 200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030A (ja) * 1984-05-29 1985-12-12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用定速走行装置
KR970031171U (ko) * 1995-12-30 1997-07-24 자동차의 속도 제한장치
KR19980015582A (ko) * 1996-08-23 1998-05-25 박병재 자동차용 최고 속도 조절장치
KR20010066519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버스의 중간 도어 열림 시 가속 페달 밟힘 방지 장치
KR20020084490A (ko) * 2001-05-02 200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807A (ko)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69843A (ja) 自動車の電子制御装置
CA2999813C (en) Valve control device
KR100863429B1 (ko) 가속 페달 시스템
KR860007108A (ko) 자동변속장치의 변속제어장치
JPH09507452A (ja) クラッチ制御システム
WO1991015669A1 (en) Throttle valve
US4987872A (en) Process and device for monitoring a set value indicator of a drive motor of a motor vehicle
US5906256A (en) Automatic clutch unit for vehicle use
KR100394654B1 (ko) 자동차용 전자 스로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KR19980701607A (ko) 엔진 제어 시스템의 에러에 의존하는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dependent on an error in the engine control system)
KR20030050446A (ko) 차량용 전자 트로틀 밸브 제어 시스템
KR100461831B1 (ko) 차량용 액셀 메카니즘
KR20080088626A (ko) 하이브리드 구동기용 모니터링 방법
KR920006788B1 (ko) 자동차용 엔진의 스로틀밸브 제어장치
US5168450A (en) Learning control system for the throttl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7277027A (ja) 車両の駆動ユニットにおける調整操作部材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5121728A (en) Load adjustment device
KR20030033170A (ko) 자동차용 동력 인출 시스템
KR200174680Y1 (ko)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KR20010064614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0199724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클러치 장치
KR20030024203A (ko)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514875B1 (ko) 클러치 조작 장치
JPH09195320A (ja) エンジン最高回転数の切換機構
KR100376288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를 위한 엔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