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076U -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076U
KR19990026076U KR2019970038610U KR19970038610U KR19990026076U KR 19990026076 U KR19990026076 U KR 19990026076U KR 2019970038610 U KR2019970038610 U KR 2019970038610U KR 19970038610 U KR19970038610 U KR 19970038610U KR 19990026076 U KR19990026076 U KR 199900260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bus
door
turned
vehic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8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076U/ko
Publication of KR19990026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076U/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가 개문발차(開門發車)되면 경보를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버스의 개문발차를 알려 주도록 된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운전자가 탑승객을 하차시킨 후 버스의 도어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버스를 출발시키면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컨텍스위치(20)가 온되고 차속감지센서(10)로부터 출력된 차속감지신호가 경보제어부(30)로 인가되므로 경보제어부(30)가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릴레이(40)를 여자시키며, 경보릴레이(40)가 여자되어 접점이 온되면 경보기(50)와 경보등(60)으로 구동전압이 인가됨에 따라서 경보기(50)와 경보등(60)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에게 버스의 도어가 열려 있음을 알려 주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An apparatus for alarming bus drivers open-door starting)
본 고안은 차량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가 개문발차(開門發車)되면 경보를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버스의 개문발차를 알려 주도록 된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버스나 마을버스와 같은 승합용 버스는 탑승객이 승하차를 할 때마다 운전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개폐용 레버나 버튼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노선을 따라서 버스를 반복적으로 운행하는 운전자가 부주의하여 승객을 하차시킨 후 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로고 버스를 출발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에 따라서 버스 안에 탑승객이 많을 경우 도어 쪽에 서있는 탑승객이 버스에서 떨어져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승객을 하차시키기 위해 버스의 도어를 열어 놓은 후 도어를 닫지 않고 버스를 출발시키면, 즉 개문발차를 하면 자동으로 경보기와 경보등이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버스의 도어가 열려 있음을 알려 주도록 된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고안은, 버스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주행 속도에 비례하는 전압특성을 가지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차속감지센서와; 버스의 도어가 열리면 온되는 컨텍스위치; 상기 컨텍스위치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속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제어부; 상기 경보제어부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여자되어 접점이 온되는 경보릴레이; 상기 경보릴레이의 접점이 온됨에 따라서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작동하여 도어가 열려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 및; 상기 경보릴레이의 접점이 온됨에 따라서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도어가 열려 있음을 알리는 경보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는, 운전자가 탑승객을 하차시킨 후 버스의 도어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버스를 출발시키면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상기 컨텍스위치가 온되고 상기 차속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차속감지신호가 상기 경보제어부로 인가되므로 상기 경보제어부가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경보릴레이를 여자시키며, 상기 경보릴레이가 여자되어 접점이 온되면 상기 경보기와 상기 경보등으로 구동전압이 인가됨에 따라서 상기 경보기와 상기 경보등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에게 버스의 도어가 열려 있음을 알려 주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보등이 버스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차속감지센서 20: 컨텍스위치
30: 경보제어부 40: 경보릴레이
50: 경보기 60: 경보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보등이 버스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버스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주행 속도에 비례하는 전압특성을 가지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차속감지센서(10)와; 버스의 도어가 열리면 온되는 컨텍스위치(20); 상기 컨텍스위치(20)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속감지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제어부(30); 상기 경보제어부(30)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여자되어 접점이 온되는 경보릴레이(40);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이 온됨에 따라서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작동하여 도어가 열려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50) 및;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이 온됨에 따라서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도어가 열려 있음을 알리는 경보등(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차속감지센서(10)는 버스가 정지하고 있을 경우, 즉 차속이 "0Km/h"일 때는 차속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차속이 "0Km/h" 보다 큰 값을 나타내면 그 차속에 비례하는 전압값을 가지는 차속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경보제어부(30)는 상기 차속감지센서(10)로부터 차속감지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컨텍스위치(20)가 온될 때만 하이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보기(50)와 상기 경보등(60)은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일단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을 통해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경보기(50)와 상기 경보등(60)은 동시에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컨텍스위치(20)는 버스의 도어가 열리면 온되고 버스의 도어가 닫히면 오프되도록 되어 있다.
만약, 버스의 도어가 닫혀 있으면 상기 컨텍스위치(20)가 오프되므로 버스가 주행중이거나 정지하고 있더라도 상기 경보제어부(30)는 하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즉, 이때에는 상기 차속감지센서(10)로부터 차속감지신호가 출력되더라도 상기 경보제어부(30)는 로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경보제어부(30)로부터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경보릴레이(40)가 여자되지 않으므로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이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경보기(50)와 상기 경보등(60)으로는 구동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경보기(50)는 운전자에게 버스의 도어가 열려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상기 경보등(60)은 점등되지 않는다.
또한, 버스의 도어가 열려 있고 버스가 정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컨텍스위치(20)가 오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기 차속감지센서(10)로부터 차속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상기 경보제어부(30)는 로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경보제어부(30)로부터 로우신호가 출력되면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버스가 주행중이거나 정지하고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경보릴레이(40)가 여자되지 않으므로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이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경보기(50)와 상기 경보등(60)으로는 구동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경보기(50)와 상기 경보등(60)은 작동되지 않는다.
반면에, 버스의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버스를 출발시키면 상기 컨텍스위치(20)가 온되고 상기 차속감지센서(10)로부터 차속감지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경보제어부(30)로 인가되므로 상기 경보제어부(30)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이때에는 상기 경보제어부(30)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 경보릴레이(40)가 여자되고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이 온된다. 따라서, 상기 경보기(50)와 상기 경보등(60)으로 구동전압이 공급되므로 상기 경보기(50)는 운전자에게 버스의 도어가 열려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경보등(60)은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경보기(50)로부터 경보음이 발생되고 상기 경보등(60)이 점등됨에 따라서 운전자가 개문발차를 하고 있음을 인식한 후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개폐용 레버나 버튼을 조작하여 도어를 닫으면 상기 컨텍스위치(20)가 오프되므로, 상기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버스가 주행중이거나 정지하고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경보릴레이(40)가 여자되지 않고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이 오프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경보기(50)와 상기 경보등(60)으로 인가되던 구동전압이 차단되므로 상기 경보기(50)와 상기 경보등(60)은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서 운전자가 승객을 하차시키기 위해 버스의 도어를 열어 놓은 후 도어를 닫지 않고 버스를 출발시키면 자동으로 경보기와 경보등이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버스의 도어가 열려 있음을 알려 주도록 하면, 개문발차를 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주행 속도에 비례하는 전압특성을 가지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차속감지센서(10)와;
    도어가 열리면 온되는 컨텍스위치(20);
    상기 컨텍스위치(20)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속감지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제어부(30);
    상기 경보제어부(30)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여자되어 접점이 온되는 경보릴레이(40);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이 온됨에 따라서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작동하여 도어가 열려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50) 및;
    상기 경보릴레이(40)의 접점이 온됨에 따라서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도어가 열려 있음을 알리는 경보등(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KR2019970038610U 1997-12-19 1997-12-19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KR199900260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610U KR19990026076U (ko) 1997-12-19 1997-12-19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610U KR19990026076U (ko) 1997-12-19 1997-12-19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076U true KR19990026076U (ko) 1999-07-15

Family

ID=6969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610U KR19990026076U (ko) 1997-12-19 1997-12-19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07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6076U (ko)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JP2003182365A (ja) 自動車の衝突事故防止装置
KR100391663B1 (ko) 도어 열림 시 차량 주행 방지장치
KR970074291A (ko) 자동차 하차시의 사고 방지장치
KR200392792Y1 (ko) 차량의 도어열림 경고장치
KR200291424Y1 (ko) 차량의 도어 오픈 경보 장치
KR200149125Y1 (ko) 자동차 도어 글래스 개방장치
KR0119405Y1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회로
KR0127697Y1 (ko) 자동차용 도어열림 경고장치
KR960002252B1 (ko) 차량의 하차경보장치
KR970010204A (ko) 주차시 윈도우 열림 경보장치
KR200156244Y1 (ko) 차량의 자동개폐문 제어회로
KR960023589A (ko) 자동차 파워윈도우 고장시 수동에 의한 윈도우 개폐 장치
KR0123272Y1 (ko) 자동차의 도어개방시 후방물체감지장치
KR100518309B1 (ko) 유동형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사각지대 감지 장치
KR20200065296A (ko) 도어 연동 하차 알림장치
KR19990026951A (ko) 버스용 스윙 자동도어의 안전개방장치
KR970044005A (ko) 타임이 제어되는 안전파워 윈도우 장치
JPH0253649A (ja) 自動車の室内灯装置
KR19980012520U (ko) 주차시 윈도우 개방 경고 장치
KR960023581A (ko) 자동차 도어의 자동 열림장치
KR19980062510A (ko) 자동차용 윈도우(Window)의 경고장치
JPH01237248A (ja)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KR19980022345U (ko) 도어열림상태 경고장치
KR970039472A (ko) 자동차 주행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