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798A - 고주파회로 및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주파회로 및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798A
KR20020082798A KR1020020022448A KR20020022448A KR20020082798A KR 20020082798 A KR20020082798 A KR 20020082798A KR 1020020022448 A KR1020020022448 A KR 1020020022448A KR 20020022448 A KR20020022448 A KR 20020022448A KR 20020082798 A KR20020082798 A KR 20020082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igh frequency
output
amplifier
pow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893B1 (ko
Inventor
야마구치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8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Abstract

고주파회로는 고주파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신호원과, 고주파 신호원으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전력증폭하는 전력증폭기 및,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춘다. 특히, 제어부는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과 입력전력 및 동작 바이어스점의 관계를 규정하는 제어정보를 유지하고,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외부로부터의 전력지정명령에 대응시키기 위해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증폭기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주파회로 및 통신시스템 {RADIO 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고주파신호(radio frequency signal)의 전력증폭에 있어서 출력전력을 광범위하게 제어하는 고주파회로 및 이 고주파회로를 송신용으로 갖춘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특히 이동체 무선통신에서는 송신전력제어가 행해지는 경우가 많고, 저출력전력시에 전력증폭기 및 이 전력증폭기의 전단에 배치되는 드라이버 증폭기 등의 신호원의 전력부가효율의 열화가 문제로 된다. 이 전력부가효율은 RF(고주파)출력전력을 DC(직류)입력전력으로 나눈 것이다.
종래, 도 15a에 나타낸 고주파회로가 이 전력부가효율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고주파회로는 출력전력의 저하에 맞춰 바이어스 전압을 변화시킨다. 예컨대, 출력전력을 1/4로 하는 경우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B2에서 B1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이 고주파회로는 대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가변전원(V1)을 필요로 한다. 가변전원(V1)은 일반적으로 도 15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DC-DC 변환기를 이용하여 구성되지만, 이것은 부품점수의 증가와 실장면적의 증가 및 가격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 이 고주파회로에서는 바이어스 전압에서 차지하는 니전압의 비율이 출력전력의 저하에 따라 증대하기 때문에, 효율의 유지가 곤란하게 된다. 덧붙여, 가변전원(V1)의 최저출력전압은 내부 레귤레이터(re gulator)의 기준전압에 의존하여 약 1V 정도로 된다. 저전압출력시에는 DC-DC 변환기의 효율이 열화한다는 등의 이유로 넓은 출력전력범위에 있어서 높은 효율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이 고주파회로에서는, 가변전원(V2)이 무신호시에 아이들(idle) 전류로 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병용된다. 그러나, 이 고주파회로는 출력저하에 따른 전력부가효율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바이어스 전류는 저출력시에서도 증폭기의 전력이득을 극력 저하시키지 않도록 조정된다.
또, 도 15a에 나타낸 가변전원(V1) 대신에 고정전원을 이용하는 방식도 제안되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바이어스 전류만이 고정바이어스 전압하에서 가변전원 (V2)에 의해 제어된다. 단, 이 방식의 목적도 출력저하에 따른 전력부가효율의 열화를 억제함에 있기 때문에, 바이어스 전류는 저출력시에 있어서도 증폭기의 전력이득을 극력 저하시키지 않도록 조정된다. 전력증폭기가 최대출력시에 약 24dB의 전력이득을 갖도록, 예컨대 2개의 증폭단으로 구성된 경우 바이어스점은 저출력시에서도 21dB 정도의 전력이득을 갖도록 조정된다.
여기에서, 가변전원(V2)에 의해 바이어스 전류만을 제어하는 방식의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과 이 전력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신호중 소망하는 신호성분에 대한 소망하지 않는 신호성분의 비율(D/U비)의 관계를 나타낸다. 가변전원(V2)은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증대시킨 경우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D/U비가 왜곡기준값(R)에 대해 일정한 여유를 가지고 추이하여 최대출력전력(P)에 있어서 기준값(R)을 넘는 전압값으로 고정된다. 전력증폭기의 바이어스점을 이 전압값보다도 B급 근처 값으로 설정하면, 도 8에 나타낸 출력전력-D/U비의 특성곡선은 약간의 형상변화를 따라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특성곡선이 최대출력전력보다 저전력측으로 기준값(R)을 넘는 극대값을 갖지 않으면, 최대출력전력(P)의 약간의 저하만으로 전력부가효율의 열화를 보상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고주파회로는 전력부가효율의 열화를 보상하는 다른 방식으로서 이용된다. 이 고주파회로에서는, 최대출력전력이 다른 복수의 전력증폭기 AM P1(최대출력전력 -20dBmW), AMP2(최대출력전력 5dBmW), AMP3(최대출력전력 3dBmW)가 스위치회로(S71, S72, S73, S74)를 매개로 직렬로 배치되고, 바이패스회로(75, 76)가 증폭기(AMP2, AMP3)에 병렬로 배치된다. 스위치회로(S71, S72, S73, S74)는 증폭기(AMP1) 후단의 신호경로를 증폭기(AMP2) 및 바이패스회로(75) 사이에서 절환함으로써 접속형태를 변경한다.
즉, 이 고주파회로는 저출력시에 불필요한 전력증폭단을 없애고 이 전력증폭단에서 소비되는 아이들 전류를 삭감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에서, 스위치(S71~S74) 및 바이패스회로(75, 76)의 손실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증폭기(AMP1, AMP2, AMP3)는 5dBmW를 넘는 전력을 출력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증폭기(AMP3)는 5dBmW 이하의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절단된다. 더욱이, 증폭기(AMP2, AMP3)는 -20dBmW 이하의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절단된다. 따라서, 증폭기(AMP2, AMP3)의 적어도 한쪽에서 소비되는 아이들 전류를 삭감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4와 같은 스위치에 의한 방법은 간편하지만, 스위치의 삽입손실이 문제가 된다. 특히, 최종단 증폭기(AMP3)의 출력측에 설치된 스위치(S74)의 삽입손실은 증폭단 전체를 본 경우의 전력부가효율을 크게 열화시킨다. 스위치의 삽입손실을 1dB로 가정하면, 증폭기(AMP3)의 출력전력은 31dBmW여야만 한다. 증폭기 (AMP3)의 최대출력시의 전력부가효율을 40%, 전원전압을 3.5V, 전력이득을 25dB로 가정하면 소비전류는 896mA이다. 스위치가 없으면 30dBmW를 출력하면 좋고, 출력부가효율 40%, 전원전압 3.5V, 전력이득 25dB로 가정하면, 소비전류는 712mA로 된다. 증폭기(AMP3)의 출력측에 1dB의 스위치를 삽입함으로써 소비전류는 1.26배로증가된다. 이것은, 1dB 출력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디바이스의 사이즈를 분명히 1.26배로 하고 있어, 전체 출력전력의 범위에 있어서 소비전류는 1.26배로 된다. 당연히 아이들 전류도 1.26배로 된다. 또, 증폭기(AMP2) 및 증폭기(AMP3)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S73, S72)의 삽입손실 각 1dB를 보상하기 위해, 증폭기(AMP2)는 스위치(S74)도 포함한 합계 3dB를 보상할 필요가 있다. 또, 증폭기(AMP2)에는 증폭기(AMP3)보다도 엄격한 왜곡 기준이 부과되는 경우가 많아, 선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력부가효율은 4% 정도로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증폭기(AMP2)의 특성을 출력전력 8dBmW, 전력부가효율 4%, 전원전압 3V, 전력이득 25dB로 가정하면, 소비전류는 52.4mA로 된다. 한편, 스위치(S74, S73)를 닫아 항상 증폭기(AMP3)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면, 증폭기(AMP2)는 6dBmW를 출력하면 좋고, 소비전류는 33.1mA로 된다. 증폭기(AMP3)를 바이패스하는 경우의 63%에 상당한다. 증폭기 (AMP3)와 증폭기(AMP2)의 합계에서는 78% 저소비전류로 된다.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하는 방식은 언뜻 보기에는 간단하여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출력전력의 증대에 따라 소비전류의 증가가 커지기 때문에, 종래는 증폭기(AMP2)의 바이패스회로(75)는 적극적으로 이용되는 반면, 증폭기(AMP3)의 바이패스회로(76)는 거의 이용되고 있지 않다. 또, 스위치에 의한 실장면적의 증가, 부품점수의 증가, 스위치에 의한 왜곡도 문제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실장면적 및 부품점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실효적인 직류소비전력을 삭감하는 한편,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얻을 수 있는 고주파회로및 통신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의 변형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의 출력전력-제어전압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의 출력전력-인접채널 누설전력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의 출력전력-전력이득의 특성 및 출력전력-입력전력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의 출력전력과 소비전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를 이동체 통신시스템의 단말장치 및 기지국 장치에 각각 적용시킨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일반적인 AB급 선형증폭기의 출력전력과 왜곡성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일반적인 AB급 전력증폭기의 RF출력전력과 DC소비전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송신전력제어를 행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확률밀도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확률밀도 함수로부터 구해진 소비전류의 확률분포 함수의 그래프,
도 12a 및 도 12b는 B급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에 대한 전력부가효율 및 그 역수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
도 13a 및 도 13b는 전력증폭기의 저출력시에서의 전력부가효율의 저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종래의 고주파회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a, 도 15b, 도 15c는 다른 종래의 고주파회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주파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신호원과, 고주파 신호원으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전력증폭하는 전력증폭기 및,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추고, 제어부는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과 입력전력 및 동작 바이어스점의 관계를 규정하는 제어정보를 유지하며,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외부로부터의 전력지정명령에 대응시키기 위해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증폭기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주파회로가 제공된다.
이 고주파회로에 의하면, 제어부가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과 입력전력 및 동작 바이어스점의 관계를 규정하는 제어정보를 유지하고,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외부로부터의 전력지정명령에 대응시키기 위해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전력증폭기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조정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저하시키는 경우에 전력증폭기의 이득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실장면적 및 부품점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얻는 한편, 무신호시에 전력증폭기에 흐르는 아이들 전류와 같은 실효적 직류소비전류를 삭감할 수 있다. 더욱이, 전력증폭기가 전력이득없이 고주파신호를 통과시키는 상태로 되면, 보다 대폭적인 실효적 직류소비전류의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이 고주파회로는, 예컨대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고주파신호를 송신용으로 전력증폭함과 더불어 출력전력을 광범위하게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최초로, 이 고주파회로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일반적인 전력제어와 저출력전력시에서의 전력부가효율의 열화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AB급으로 바이어스된 전력증폭기의 RF(고주파)출력전력과 DC(직류)소비전류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10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확률밀도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송신전력이 최대 30dBmW에 도달하지만, 가장 송신할 확률이 많은 전력은 10dBmW 부근에 있다. 또, 송신전력은 0dBmW 이하의 값을 취하는 경우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RF출력전력에 따라 소비전류도 증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력부가효율이 출력전력에 따르지 않고 일정하면, 출력 30dBmW일 때 400mA였던 소비전류는 20dBmW 출력시에는 1/10인 40mA로 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실제의 소비전류는 전력증폭기의 전력부가효율이 출력전력의 저하에 따라 열화됨으로써 130mA로 된다.
RF출력전력이 10dBmW 이하인 경우에는 RF출력전력에 따르지 않고 소비전류가 유한한 일정값에 점근한다. 이 소비전류는 도 9에 있어서 약 60mA이고, 전력증폭기를 AB급으로 바이어스하는 세트전류, 아이들 전류 또는 정지전류(quiescent current)로서 이용된다.
또, B급으로 바이어스하면, 저출력시의 소비전류는 0에 점근한다. 그러나, 선형변조용의 전력증폭기의 경우, 왜곡을 억제하기 위해 AB급으로 바이어스할 필요가 있다. AB급에서는, 저출력시에 있어서 고주파전력에 기여하지 않는 쓸데없는 전류를 소비한다. 도 10에 나타낸 송신전력 확률밀도 함수를, 도 9에 나타낸 RF출력전력에 대한 DC소비전류의 함수에 적용시키도록 하면,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소비전류의 확률분포함수가 얻어진다. 평균소비전류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 84mA이다. 50% 이상의 확률에서 아이들 전류인 약 60mA의 전류가 소비되고, 100mA 이상의 전류가 소비되는 것은 전체의 14%, 200mA 이상은 3.5%, 300mA 이상은 겨우 1%이다. 도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평균소비전류는 아이들 전류에 의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광범위한 송신전력제어를 행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전력증폭기의 아이들 전류 삭감이 중요하게 된다.
도 12a는 아이들 전류가 0으로 되는 B급 증폭기로 얻어지는 전력부가효율과 RF출력전력의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증폭기의 전력부가효율은 포화출력 부근에서 최대로 되어 저출력시에 열화된다. 이 전력부가효율은 상술한 바와 같이, RF출력전력을 DC입력전력으로 나눈 것이고, 바이폴러 트랜지스터의 경우는 콜렉터효율,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경우는 드레인효율에 상당한다. 도 12b는 도 12a의 전력부가효율의 역수를 대수눈금으로 나타낸다. 이에 따라, RF출력전력에 대해 몇배의 직류입력전력이 전력증폭기에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출력전력 30dBmW일 때 72%였던 전력부가효율이 20dBmW 출력시에는 21.8%, 10dBmW 출력시에는 4.7%, 5dBmW 출력시에는 1.5%까지 열화하고 있다. 투입 DC입력전력은 RF출력전력에 대해 30dBmW 출력시에 1.4배, 20dBmW 출력시에 4.6배, 10dBmW 출력시에는 21.2배, 5dBmW 출력시에는 67.1배까지 증가하고, 저출력시에는 RF출력전력에 제공되지 않는 쓸데없는 DC입력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부가효율이 저출력시에 열화되는 이유에 대해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전력증폭기가 단순한 이상적 트랜지스터 모델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전류와 전압의 순시값을 전력증폭기의 정특성상에 중합한 동적인 부하선이 꺽은선 KBC로 나타내어지며, 출력전압이 바이어스 전압을 평균치로 한 정현파로 나타내어지고, 출력전류가 반파정류파로 나타내어진다고 가정한다. 전력증폭기는 도 13a에 나타낸 점(B)을 바이어스점으로 하여 B급 동작을 행한다. RF출력전력은 출력전압의 기본파 성분 Vout(t)의 실효값과 출력전류의 기본파 성분 I1(t)의 실효값의 곱이고, 도 13a에 있어서 점(R)과 점(B)을 대각으로 하여 점선으로 규정되는 사각형 면적의 1/2에 상당한다. DC입력전력은 바이어스 전압과 출력전류 Iout(t)의 평균값의 곱이고, 도 13a에 있어서 점(D)과 점(B)을 대각으로 하여 파선(破線)으로 규정되는 사각형 면적에 상당한다. 전력부가효율은 파선으로 규정되는 사각형과 점선으로 규정되는 사각형의 면적비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점(R)과 점(B)을 연결하는 직선이 기본파에 대한 부하선으로 된다.
전류진폭 및 전압진폭이 도 13a에 나타낸 값에서 도 13b에 나타낸 값으로 반감하면, RF출력전력은 1/4로 된다. 한편, 직류전류는 RF전류의 평균값이기 때문에 같은 비율로 반감하지만, 직류전압은 점(B)에서 고정하기 때문에 사각형 DB의 면적은 1/2이다. 이 결과, RF출력전력이 1/4(-6dB)로 될 때마다 전력부가효율은 반감해 간다. 이와 같이, 전력증폭기의 전력부가효율은 저출력시에 열화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회로의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AB급의 동작점으로 바이어스된 일반적인 선형고주파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과, 이 전력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신호의 소망하는 신호성분에 대한 소망하지 않는 신호성분의 비율(이하, D/U비로 칭함)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곡선의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소망하지 않는 신호는 3차 고조파 왜(歪), 인접채널 누설전력 등의 스펙트럼 리글로스 및 EVM(Error Vector Mean)을 초래하는 신호왜곡이고, 무선신호 시스템에 있어서 중요한 항목으로서 규정된다. 도 8에서는 종축이 D/U비를 나타내고, 횡축이 출력전력을 나타낸다. 이 소망하지 않는 신호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마다 왜곡 기준값(R)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허용왜곡이 무선시스템 내부의 컴포넌트간에서 배분되어, 전력증폭기에 대한 최종적인 왜곡기준값(R)이 결정된다. 사용하는 전력증폭기에는 이 왜곡기준값을 만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즉, 전력증폭기는 D/U비가 이 왜곡기준값(R) 이하의 값으로 되는 출력전력을 내보내지 않으면 안된다. 도 8에서는 P가 왜곡기준값(R)을 만족하는 최대 출력전력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선형고주파 전력증폭기의 경우, 출력전력의 증가에 따라 D/U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력증폭기의 정합회로나 바이어스점은 출력전력(P)으로 최적화된다. 따라서, 출력전력에 따라 바이어스점을 제어하지 않으면, 실선으로 나타낸 그래프와 같이 변곡점을 갖는 형상으로 된다. 출력전력의 증가에 따라 일단 D/U비의 증가가 완만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감소하며, 그 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이 커브는 A급 동작에 가까이 감에 따라 직선적으로 되고, B급 동작에 가까이 감에 따라 증감이 심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전력증폭기에 있어서는, A급 동작에 가까이 감에 따라 왜곡이 저감하지만 전력부가효율도 열화하고, B급 동작에 가까이 감에 따라 왜곡은 증가하지만 전력부가효율도 개선된다. 왜곡과 전력부가효율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다.
또, A급 동작에서는 도 13a에 있어서 부하선이 점(K)과 점(C)을 연결한 선이고, 전류 Iout(t)는 정현파로 되며, 아이들 전류는 진폭 절반에 상당하는 전류로 된다. B급 동작에서도 마찬가지로 아이들 전류가 점(B)에서 O으로 된다. 즉, 전력부가효율 개선과 아이들 전류삭감의 관점으로부터 B급 동작에 가까운 동작급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래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전력의 증가에 따라, 기준값(R)과 일정 마진을 가지고 D/U비가 추이하도록 가능한 한 동작급을 AB급중에서도 B급 근처로 설정하도록 바이어스점을 제어하면 좋다.
도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출력전력의 저하에 따라 왜곡 기준값(R)에 대한 마진이 발생하고, 저출력시에는 보다 깊은 바이어스점(가능한 한 B급 근처)에서 동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낸다. 이고주파회로는 고주파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신호원(11)과, 이 고주파 신호원 (11)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전력증폭하는 전력증폭기(12) 및, 이들 고주파 신호원(11) 및 전력증폭기(12)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8)를 갖춘다. 도 1에서는 13이 고주파 신호원(11)으로부터 발생되어 전력증폭기(12)에 입력되는 고주파신호, 14가 전력증폭기(12)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신호, 15는 전력증폭기(12)의 제어단자, 16은 고주파 신호원(11)의 출력전력을 변경하기 위해 제어부(18)로부터 고주파 신호원(11)에 공급되는 제1제어신호, 17은 전력증폭기(12)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조정하기 위해 제어부(18)로부터 전력증폭기(12)의 제어단자(15)에 공급되는 제2제어신호를 나타낸다. 이 고주파회로는 전력증폭기(12)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결정하는 입력전력과 전력이득 및 출력전력 3개중 어느 2개의 제어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 테이블(19)을 더 갖춘다. 20은 통신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 등의 제어부로부터 공급된 출력전력 지정명령을 나타낸다.
제어단자(15)는 전력증폭기(12)의 출력전력에 따라 전력증폭기(12)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제2제어신호(17)에 따라 설정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단자의 일례로서는, 전력증폭기(12)가 에미터 접지 바이폴러 트랜지스터의 경우에 직접 혹은 바이어스 회로 등을 매개로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를 들 수 있다.
제2제어신호(17)는 디지털 제어 경우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이산적인 값으로서 제어부(18)로부터 발생되고, 전력증폭기(12)의 제어단자(15)에 공급된다. 제어부(18) 및 제어단자(15)간의 신호전류의 방향 및 전류구동 혹은 전압구동과 같은 구동방식은 제어단자(15)를 매개로 접속되는 전력증폭기(12)의 내부회로구성에 의존한다.
여기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레벨측에서 A급 근처의 얕은 바이어스점으로 되고, 저레벨측에서 B급 근처의 깊은 바이어스점으로 되는 전압구동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실제 회로에서는 이 관계가 반대로 되어도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또, 전력증폭기(12)가 복수의 증폭단으로부터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어단자 (15)를 이들 증폭단수 만큼 설치함으로써 세심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동작설명이 복잡하게 되지 않도록 1개의 제어단자를 이용한 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에 있어서는 출력전력이 최대출력전력(P) 이상일 때에 D/U비가 기준값(R)을 넘도록 최대출력전력(P)으로 바이어스점 및 정합점을 최적화하고 있다. 이 때의 D/U비의 출력전력 의존성을 편의상「종래의 D/U비」로 칭하고, 이 때의 바이어스 전압을「종래의 바이어스점」으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에는 제2제어신호(17)가「종래의 바이어스점」으로 고정되었을 때의「종래의 D/U비」를 나타낸다.
제어부(18)는 D/U비가 최대출력전압(P) 이하의 출력전력으로「종래의 D/U비」 이상으로 되어 왜곡기준값(R) 이하로 되는 제어를 행한다.
즉, 제2제어신호(17)는「종래의 바이어스점」보다도 B급 근처의 바이어스점을 선택하기 때문에, 기준값(R)을 만족시킬 수 있는 출력전력이 최대출력전력(P)보다도 내려간다. 또, 일반적으로 바이어스점이 B급 근처로 되면 전력이득도 저하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작 바이어스점을 변경한 경우에도 왜곡기준값 (R)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각 동작 바이어스점에 대응하는, 출력전력(Pout), 전력이득(Ga), 입력전력(Pin) 3개중 어느 2개의 제어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19)에 격납하고 있다. 또, 출력전력(Pout), 전력이득(Ga), 입력전력(Pin) 3개중 어느 2개의 제어데이터를 가지면, Pin+Ga=Pout식으로부터 나머지 제어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출력전력 지정명령(20)에 따라 D/U비가 왜곡기준값(R) 이하로, 또한 이 왜곡기준값(R) 근방으로 되는 최적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제2제어신호(17)에 따라 설정한다. 그러면 전력증폭기(12)의 전력이득(Ga)이 결정된다. 따라서, 전력증폭기(12)의 입력전력(Pin), 즉 고주파신호(13)의 전력이 위 식 Pin+Ga=Pout을 만족시키도록 제1제어신호(16)에 의해 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력증폭기(12)의 동작 바이어스점을「종래의 바이어스점」보다도 깊은 B급 근처로 설정하기 때문에, 제2제어신호(17)의 전압이 최대출력전력(P)일 때보다도 저출력측에 있어서 내리도록 선정된다.
데이터 테이블(19)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해진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력증폭기(12)가 결정되면, 이 전력증폭기(12)의 입력전력(Pin)과 출력전력(Pout) 및 전력이득(Ga) 3개중 1개를 정하여 다른 1개가 왜곡기준값(R)을 만족시키는 조건을 측정하면 좋다. 예컨대, 제1제어신호에 의해 입력전력(Pin)을 정하고, 제2제어신호(17)에 의해 전력이득(Ga)을 조정하여 D/U비가 왜곡기준값(R)을 만족시키는 값을 찾는다. 그리고, 입력전력(Pin) 및 전력이득(Ga)에 대한 출력전력(Pout)을 측정한다.
고주파 신호원(11)은 적어도 가변이득 증폭기, 감쇠기와 같은 출력조정부를포함하고, 이 외에 예컨대 베이스밴드부, D/A변환기, 변조기, 업컨버터 등을 포함해도 좋다. 출력조정부에 의해 고주파신호(13)의 전력이 조정되어 전력증폭기(11)에 입력된다.
제어부(18)는 전력증폭기(12)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신호(14)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고주파 신호원(11) 및 전력증폭기(12)를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전력증폭기(12)로부터 고주파신호(14)를 출력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고주파 신호원(11) 및 전력증폭기(12)는 전력소비를 없애기 위해 OFF상태 (셧다운 상태)로 절환된다.
출력전력 지정명령(20)이 통신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 등의 제어처리부로부터 제어부(18)에 공급되면, 제어부(18)는 이 출력전력 지정명령(20)에 대응하는 전력증폭기(12)의 입력전력(Pin) 및 전력이득(Ga)을 데이터 테이블(19)로부터 독출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테이블(19)의 내용이 입력전력(Pin) 및 출력전력(Pout)의 조합이 아니라, 입력전력(Pin) 및 전력이득(Ga)의 조합 혹은 전력이득 (Ga) 및 출력전력(Pout)의 조합인 경우에는, 입력전력(Pin), 출력전력(Pout), 출력이득(Ga)의 상호관계로부터 환산하여 구한다.
또, 데이터 테이블(19)의 내용은 서로 이산적인 데이터이기 때문에, 제어부 (18)는 필요에 따라 이들 데이터를 보간(補間)한다. 이 보간방법으로서는, 직선보간 또는 스플라인 보간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완은 진수로 행해도, 대수로 행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고주파회로에서는, 출력전력 지정명령(20)이 제어부(18)에 공급되면, 제어부(18)가 이 출력전력 지정명령(20)에 따라 전력증폭기(12)의 출력전력(Pout)을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한다. 즉, 출력전력 지정명령(20)으로 지정된 출력전력(Pout)에 대응하는 전력증폭기(12)의 입력전력(Pin)을 구하고, 이 입력전력(Pin)에 기초하여 제1제어신호(16)를 생성하며, 이 제1제어신호 (16)에 의해 고주파 신호원(11)의 출력전력을 특정한다. 제어부(18)는 더욱이 출력전력 지정명령(20)으로 지정된 출력전력(Pout)에 대응하는 전력이득(Ga)을 구하고, 이 전력이득(Ga)에 기초하여 제2제어신호(17)를 생성하며, 이 제2제어신호(17)에 의해 전력증폭기(12)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특정한다. 여기에서, 제2제어신호 (17)의 전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출력전력(P)일 때보다도 낮은 출력전력측에 있어서 내리도록 제어된다. 이 결과, 모든 출력전력에 있어서도 왜곡기준값(R)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동작 바이어스점을「종래의 바이어스점」보다도 깊은 B급 근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출력전력 지정명령(20)이 저소비전력 요구이면, 제어부(18)가 제2제어신호(17)에 의해 동작 바이어스점을「종래의 바이어스점」보다도 깊은 B급 근처로 설정할 뿐만 아니라, 전력증폭기(12)의 전력이득(Ga)을 저하시키는 이득제어를 행하기 위해 핀치오프(차단영역) 근방으로 동작 바이어스점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전력증폭기(12)가 전력이득없이 고주파신호를 통과시키는 스루(through)상태로 되어, AB급 증폭의 아이들 전류와 같은 전력증폭기(12)의 소비전류를 대폭적으로 삭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송신전력제어를 필요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전체의 소비전류도 대폭적으로 삭감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의 변형례를 나타낸다. 이 변형례는 전력증폭기(12)의 온도보상을 행하기 위한 구성을 제외하면 도 1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고, 도 1과 마찬가지인 부분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변형례에서는, 제어부(18)가 제2제어신호(17)를 전력증폭기(12)의 제어단자(15)에 직접 입력하는 대신에 제어신호 변환기(21)에 입력한다. 이 제어신호 변환기(21)는 전력증폭기(12)의 온도보상을 행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겸하도록 제2제어신호(17)를 제3제어신호(22)로 변환하고, 이 제3제어신호(22)를 전력증폭기(12)의 제어단자(15)로 입력한다. 도 2에서는 제어신호 변환기(21)가 전력증폭기(12)로부터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제어신호 변환기(21) 및 전력증폭기(12)가 물리적으로 동일한 패키지 또는 모듈 또는 집적회로에 짜넣어지는 경우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에 대해 왜곡기준값을 -3dBc로 한 경우의 실험결과가 도 3∼도 6에 나타난다. 도 3은 전력증폭기(12)의 출력전력-제어전압의 특성을 나타내고, 도 4는 전력증폭기(12)의 출력전력-인접채널 누설전력의 특성을 나타낸다. 종래 방식에서는 제어전압이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되기 때문에 인접채널 누설전력이 출력전력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여 기준값인 -3dBc보다도 상당히 낮은 값을 취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방식에서는, 제2제어신호(17)가 제어전압으로서 전력증폭기(12)의 제어단자(15)로 입력된다. 이 제어전압은 인접채널 누설전력을 -38dBc로 되도록 하고, 출력전력의 저하에 따라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9V에서 2V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전력증폭기(12)의 전력이득도 변화한다.
도 5는 전력증폭기(12)의 출력전력-전력이득의 특성 및 출력전력-입력전력의 특성을 나타낸다. 종래방식에서는 제어전압이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되기 때문에, 전력이득(Ga)이 출력전력에 거의 의존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방식에서는 전력이득(Ga)이 저출력시에 0dB 부근까지 저하하여, 전력이득 (Ga)의 제어범위로서 25dB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식에서는 인접채널 누설전력의 기준값 -38dBc를 만족시키기 위해 입력전력(Pin)은 제어전압에 따라 제한된다.
도 6은 전력증폭기(12)의 출력전력과 소비전류의 관계를 나타낸다. 종래 방식에서는 제어전압이 고정되기 때문에, 소비전류가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출력시에 70mA의 아이들 전류로 점근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방식에서는 소비전류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들 전류의 약 1/10인 7mA까지 삭감된다. 이 결과를 송신전력 제어에 의한 송신전력의 확률밀도함수에 적용시켜 평가하면, 그 결과로서 최고 50%의 소비전류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방식에 의하면 전력이득(Ga)을 24 dB에서 15dB까지 9dB 내리고, 최대 출력시의 1/8 이하의 출력전력으로 하면, 소비전류를 현격히 내릴 수 있다. 더욱이, 전력이득(Ga)을 6dB까지 내리면, 소비전류도 더 내릴 수 있다. 또, 전력이득(Ga)이 0dB∼-3dB 범위이어도 마찬가지로 소비전류는 내려갔다. 즉, 전력이득(Ga)을 6dB∼-3dB 범위내인 거의 0dB로 하면, 소비전류는 더 내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회로는 특히 출력전력범위의 넓은 전력증폭기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적당하다. 예컨대, 이동국과의 통신이나 혹은 고정국끼리에 있어서도 전파(電波) 전파(傳播)의 환경이 변화하기 쉬운 경우에 유효하다. 특히, 휴대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시스템이나 무선 LAN기기 등으로 대표되는 무선 억세스 시스템, 특히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필요로 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분할다원접속) 방식에 의한 시스템에서는 유효하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를 이동체 통신시스템의 단말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는 이 이동체 통신시스템의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단말장치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부(100)와, 무선부(100)에 접속되는 안테나(101, 102)를 갖춘다. 무선부(100)는 안테나(101, 102)를 절환하는 안테나 공용절환기(103), 안테나(101, 102)를 매개로 송신되는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송신용 증폭기(104), 안테나(101, 102)를 매개로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수신용 증폭기(105), 송신용 증폭기(104)에 공급되는 고주파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106), 수신용 증폭기(105)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108) 및, 송수신용 주파수를 생성하는 고주파 신시사이저(synthesizer; 107)를 포함한다. 송신용 증폭기(104)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고주파회로로 구성된다. 단말장치는 입출력신호의 인터페이스로 되는 입출력부(110), 입출력부(110) 및 무선부(100)간에서 베이스밴드 신호의 변환처리를 행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 (109), 입출력부(110) 및 무선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11)를 더 갖춘다. 고주파 신시사이저(107)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9)에 동기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무선부(100)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9) 및 입출력부(110)는 전원(11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입출력부(110)는 외부로부터의 음성등의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110a),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하는 키패드(110d), 음성 등의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10b), 문자와 숫자 및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10c),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110e), 여러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입출력하는 데이터 입출력장치(110f)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출력장치 (110f)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USB, IEEE1394와 같은 주변기기용 인터페이스, CF(Compact Flush)카드나 SD(Super Density)카드와 같은 메모리카드용 인터페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접속용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이 단말장치에서는 여러 신호가, 예컨대 입출력부(110)의 마이크(110a), 키패드(110d) 및 데이터 입출력장치(110f) 등으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9)에서 처리되고, 변조기(106)에서 변조되며, 고주파신호로서 송신용 증폭기(104)에 공급된다. 이 송신용 증폭기(104)는 변조기 (106)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와 마찬가지로 처리하고, 안테나 공용절환기(103)를 매개로 안테나(101, 102)로부터 송신되는 송신용 고주파신호로서 출력한다.
또, 안테나(101, 102)로 수신된 고주파신호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 공용절환기(103)를 매개로 수신용 증폭기(105)에 의해 증폭되고, 복조기(108)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복조되며,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9)에 의해 입출력부 (110)의 스피커(110b)나 표시부(110c), 바이브레이터(110e), 데이터 입출력장치 (110f)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변환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를 이동체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b는 이 이동체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기지국 장치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무선부(200)와, 이들 무선부(100)에 접속되는 복수조의 안테나(201, 202)를 갖춘다. 각 무선부 (200)는 대응조의 안테나(201, 202)를 절환하는 안테나 공용절환기(203), 안테나 (201, 202)를 매개로 송신되는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송신용 증폭기(204), 안테나 (201, 202)를 매개로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수신용 증폭기(205) 및 송신용 증폭기(204)에 공급되는 고주파신호를 변조하여 수신용 증폭기(205)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기(206)를 포함한다. 송신용 증폭기(204)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고주파회로로 구성된다. 기지국 장치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7), 전송로 접속부(208) 및 제어부(209)를 더 갖춘다. 전송로 접속부(208)는 전송로간의 접속을 행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7)는 전송로 접속부(208) 및 무선부(200)간에서 베이스밴드 신호의 변환처리를 행한다. 제어부(109)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6), 전송로 접속부(208) 및 무선부(200)를 제어한다. 무선부 (200),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7) 및 전송로 접속부(208)는 전원(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이 기지국 장치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전송로 접속부(208)를 매개로 입력되면, 이 신호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7)에서 처리되고, 변복조기(206)에서 변조되며, 고주파신호로서 송신용 증폭기(204)에 공급된다. 이 송신용 증폭기(104)는 변복조기(206)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도 1에 나타낸 고주파회로와마찬가지로 처리하고, 안테나 공용절환기(203)를 매개로 안테나(201, 202)로부터 송신되는 송신용 고주파신호로서 출력한다.
또, 안테나(201, 202)로 수신된 고주파신호는 제어부(209)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 공용절환기(203)를 매개로 수신용 증폭기(205)에 의해 증폭되고, 변복조기 (206)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복조되며,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9)에 의해 제어신호로 변환되고, 전송로 접속부(208)를 매개로 외부로 출력된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도 1의 데이터 테이블(19) 대신에 전력증폭기(12)의 각 동작 바이어스점에 대응하는 입력전력과 전력이득 및 출력전력중 적어도 2개의 제어데이터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기술된 함수로서 제공되어도 좋다. 또, 이들 제어데이터는, 예컨대 OP앰프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아날로그적으로 출력되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주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당히 변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전력제어를 행하는 전력증폭기에 있어서, 저출력시의 소비전류를 종래비에서 1/10로 삭감할 수 있다. 이 우수한 특성에 의해 송신전력제어를 고려한 실효적인 평균소비전류를 최고 50%까지 삭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필요한 회로는 MMIC 혹은 LSI에 탑재가능하기 때문에, 소형, 저가격이 요구되는 휴대전화용의 전력증폭기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1)

  1. 고주파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신호원과,
    상기 고주파 신호원으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전력증폭하는 전력증폭기 및,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과 입력전력 및 동작 바이어스점의 관계를 규정하는 제어정보를 유지하며,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외부로부터의 전력지정명령에 대응시키기 위해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증폭기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더욱이 상기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주파 신호원의 출력전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를 격납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함수를 기술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를 아날로그적으로 출력하는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바이어스점은 상기 전력지정명령이 상기 전력증폭기의 최대출력전력보다도 낮은 출력전력을 지정한 경우에 상기 전력증폭기로부터의 고주파신호의 소망하는 신호성분과 쓸모없는 신호성분의 비율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해진 왜곡기준값 이하로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최대로 하는 값보다도 B급 근처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전력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신호의 소망하는 신호성분과 쓸모없는 신호성분의 비율을 상기 전력증폭기의 전체 출력전력 범위에 있어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해진 왜곡기준값 이하로, 또한 이 왜곡기준값 근방으로 유지하여 상기 전력증폭기를 A급 동작으로부터 B급 동작시키는 동작 바이어스점을 규정하는 입력전력과 전력이득 및 출력전력중 적어도 2개를 측정한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지정명력이 상기 전력증폭기의 최대출력전력보다도 낮은 출력전력을 지정한 경우에 상기 전력증폭기로부터의 고주파신호의 소망하는 신호성분과 쓸모없는 신호성분의 비율을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해진 왜곡기준값 이하로 유지하여 가능한 한 큰 값으로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을 조정하는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전력증폭기의 전력이득을 최대전력시의 1/8 이하로 하는 값으로 고주파신호의 출력전력을 조정하는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정보로부터 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제어신호를 구하기 위해 상기 제어정보를 보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증폭기의 온도보상을 겸하는 제3제어신호로 상기 제1제어신호를 변환시키는 제어신호 변환기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회로.
  11. 고주파신호의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조절수단과, 상기 전력조절수단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증폭기 및, 외부로부터의 출력전력 지정명령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에 대응한, 전력조절수단의 출력과 전력증폭기의 동작 바이어스점에 관한 데이터를 미리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출력전력 지정명령에 따라 상기 유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증폭기의 동작 바이어스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출력전력 지정명령이 낮을 때에는 상기 전력증폭기의 소비전류를 저하시키는 고주파회로와, 상기 고주파회로의 전력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안테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KR10-2002-0022448A 2001-04-25 2002-04-24 고주파회로 및 통신시스템 KR100488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7133A JP3664990B2 (ja) 2001-04-25 2001-04-25 高周波回路及び通信システム
JPJP-P-2001-00127133 2001-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98A true KR20020082798A (ko) 2002-10-31
KR100488893B1 KR100488893B1 (ko) 2005-05-11

Family

ID=1897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448A KR100488893B1 (ko) 2001-04-25 2002-04-24 고주파회로 및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046974B2 (ko)
EP (1) EP1253727A3 (ko)
JP (1) JP3664990B2 (ko)
KR (1) KR100488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560B1 (ko) * 2009-12-07 2012-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증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0401B2 (en) * 2001-10-12 2006-10-10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ter output lev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2004297656A (ja) 2003-03-28 2004-10-21 Toshiba Corp フィードフォワード型増幅器とこの増幅器を備えた無線通信機
KR20040104177A (ko) * 2003-06-03 2004-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시분할방식 전력증폭모듈
US7623896B2 (en) * 2004-02-04 2009-11-24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5252471A (ja) * 2004-03-02 2005-09-15 Fujitsu Ltd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増幅回路の制御方法
US7769355B2 (en) * 2005-01-19 2010-08-03 Micro Mobio Corporation System-in-packa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prepackaged power amplifier
US7817973B1 (en) * 2006-10-05 2010-10-19 DAC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oherty-type power amplifier sub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8014738B2 (en) * 2006-10-30 2011-09-06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output power levels in power amplifiers
US8670356B1 (en) * 2006-11-09 2014-03-11 Broadcom Corporation Fast frequency hopping full-duplex radio
JP4429347B2 (ja) * 2007-09-18 2010-03-1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ミリ波レーダ装置のバイアス調整方法
US8063698B2 (en) * 2008-05-02 2011-11-22 Bose Corporation Bypassing amplification
US8325931B2 (en) * 2008-05-02 2012-12-04 Bose Corporation Detecting a loudspeaker configuration
US20090295485A1 (en) * 2008-05-27 2009-12-03 Motorola, Inc. Dynamically biasing class ab power amplifiers over a range of output power levels
JP2012015791A (ja) * 2010-06-30 2012-01-19 Fujitsu Ltd 送信回路及び移動通信端末
US8269558B1 (en) 2011-03-01 2012-09-1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ower supply controller for a multi-gain step RF power amplifier
US9071975B2 (en) * 2011-09-08 2015-06-30 Apple Inc.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ry with linearity optimization capabilities
CN103095229B (zh) * 2013-01-22 2016-04-06 宜确半导体(苏州)有限公司 射频功率放大器
CN103312278B (zh) * 2013-05-10 2016-04-20 华中科技大学 一种射频功率放大器功率控制系统
US9837972B2 (en) * 2015-12-30 2017-12-05 Skyworks Solutions, Inc. Multi-mode power amplifier module
CN111106847A (zh) * 2018-10-25 2020-05-05 好萌呀科技服务(内蒙古)有限公司 一种无线数据传输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5474A (en) * 1946-02-27 1949-07-05 Raytheon Mfg Co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948808A (en) * 1958-03-05 1960-08-09 Rca Corp Single sideband communication system
US3588331A (en) * 1968-05-29 1971-06-28 Nasa Facsimile video remodulation network
US3965421A (en) * 1974-12-19 1976-06-22 Motorola, Inc. Automatic master-slave carrier switching circuit
US4131850A (en) * 1977-02-18 1978-12-26 Glade Wilcox Single side band radio apparatus
US4412348A (en) * 1982-04-16 1983-10-25 Rca Corporation Apparatus for testing linearity of an FM transmitter
US4885798A (en) * 1987-01-28 1989-12-0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Power consumption control apparatus
JPH0198304A (ja) * 1987-10-09 1989-04-17 Furuno Electric Co Ltd 電力増幅回路装置
GB8828635D0 (en) * 1988-12-08 1989-01-11 Hewlett Packard Co Rf amplifier bias circuit
US5113525A (en) * 1989-11-06 1992-05-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Linear-modulation type radio transmitter
US4999583A (en) * 1990-02-28 1991-03-12 Hughes Aircraft Company Amplifier drive controller
JP3033623B2 (ja) 1990-11-30 2000-04-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バイアス制御回路および増幅器
US5678198A (en) * 1991-05-22 1997-10-14 Southwestern Bell Technology Resources, Inc. System for controlling signal level at both ends of a transmission link, based upon a detected value
JPH05299944A (ja) * 1991-05-30 1993-11-12 Nec Corp Rf電力増幅器
JPH05129860A (ja) * 1991-11-08 1993-05-25 Oki Electric Ind Co Ltd 電力増幅装置及び送信装置
JPH0661750A (ja) * 1992-08-10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増幅装置
JP3098897B2 (ja) * 1993-07-23 2000-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オフセット調整装置
GB9316869D0 (en) * 1993-08-13 1993-09-29 Philips Electronics Uk Ltd Transmitter and power amplifier therefor
JPH07154169A (ja) * 1993-11-30 199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電力増幅器
GB2286305B (en) 1994-01-29 1998-12-02 Motorola Ltd Power amplifier for radio transmitter and dual mode remote radio
FR2716313B1 (fr) * 1994-02-11 1996-04-12 Alcatel Mobile Comm France Dispositif de commande de la polarisation d'un amplificateur.
JPH0851317A (ja) 1994-08-05 1996-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増幅器回路
JPH0923124A (ja) * 1995-07-04 1997-01-21 Toyo Commun Equip Co Ltd 電力増幅器の制御回路
DE19718109A1 (de) * 1996-05-01 1997-11-13 Whitaker Corp Linearverstärker
JPH1022756A (ja) * 1996-07-04 199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送信機およびその送信制御方法
US6148220A (en) * 1997-04-25 2000-11-14 Triquint Semiconductor, Inc. Battery life extending technique for mobile wireless applications
JP3423200B2 (ja) * 1997-09-30 2003-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増幅器
US6498926B1 (en) * 1997-12-09 2002-12-24 Qualcomm Incorporated Programmable linear receiver having a variable IIP3 point
DE69829650T2 (de) * 1997-12-12 2006-02-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WO1999041843A2 (en) * 1998-02-17 1999-08-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mitting/receiving station having impedance-matched receiving means for transponder answer signals
JP2000151317A (ja) * 1998-11-10 2000-05-30 Hitachi Ltd 送信機および電力増幅器
US6140874A (en) * 1998-10-19 2000-10-31 Powerwave Technologies, Inc. Amplification system having mask detection and bias compensation
US6327462B1 (en) * 1998-12-29 2001-12-04 Conexan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varying operational parameters of an amplifier
US6178313B1 (en) * 1998-12-31 2001-01-2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Control of gain and power consumption in a power amplifier
JP3235580B2 (ja) * 1999-01-08 2001-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高効率増幅器
US6681100B1 (en) * 1999-03-15 2004-01-20 Teletronics International, Inc. Smart amplifier for time division duplex wireless applications
JP3607855B2 (ja) * 1999-07-19 2005-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力増幅器
US6313705B1 (en) * 1999-12-20 2001-11-06 Rf Micro Devices, Inc. Bias network for high efficiency RF linear power amplifier
US6614300B2 (en) * 2001-08-27 2003-09-02 Nokia Corporation Dual current mirror power amplifier bias control
US6791418B2 (en) * 2002-10-02 2004-09-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pacitor coupled dynamic bias boosting circuit for a power amplifier
US6831511B2 (en) * 2003-02-05 2004-12-14 Sirenza Microdevices, Inc. Distortion cancellation for RF amplifiers using complementary biasing circuit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560B1 (ko) * 2009-12-07 2012-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25020A (ja) 2002-11-08
US7046974B2 (en) 2006-05-16
US20060019621A1 (en) 2006-01-26
US20020183024A1 (en) 2002-12-05
EP1253727A3 (en) 2004-06-23
KR100488893B1 (ko) 2005-05-11
US7526259B2 (en) 2009-04-28
EP1253727A2 (en) 2002-10-30
JP3664990B2 (ja)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893B1 (ko) 고주파회로 및 통신시스템
US6639471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control method for power amplifier circuit,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WI583132B (zh) 用於功率放大器系統中之波封之形塑之裝置及方法
US7496334B2 (en) Transmitter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66150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mplifiers in a communications device
CN101729029B (zh) 具有校准射频通信电路的电子设备
US8289084B2 (en) RF power amplifie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6917246B2 (en) Doherty bias circuit to dynamically compensate for process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KR100844398B1 (ko) 다중 레벨 전력 증폭기
JP4608487B2 (ja) 増幅器、情報通信機器、及び増幅方法
US2005028796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7436257B2 (en) High-efficiency mixed-mode power amplifier
US8040186B2 (en) Radio frequency amplifier circui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7688156B2 (en) Polar modulation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JP5861946B2 (ja) 高周波信号処理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EP1419574A2 (en) Power amplifier control
US20060232341A1 (en)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CN103493368A (zh) 用于包络跟踪校准的装置和方法
US200100342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interconnecting amplifiers in a communications device
KR20020062409A (ko) 듀얼모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전력증폭기 효율 개선 회로
JP4549863B2 (ja) 線形電力増幅器において零入力電流の動的制御を可能にする自己適応型バイアス回路
JP2003008365A (ja) 電力増幅用回路、電力増幅用回路の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CN115622514A (zh) 负载调制推挽式功率放大器
US7782133B2 (en) Power amplifier with output power control
JP2006510291A (ja) 線形電力増幅器において零入力電流の動的制御を可能にするスライディング・バイアス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