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381A -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381A
KR20020081381A KR1020027011419A KR20027011419A KR20020081381A KR 20020081381 A KR20020081381 A KR 20020081381A KR 1020027011419 A KR1020027011419 A KR 1020027011419A KR 20027011419 A KR20027011419 A KR 20027011419A KR 20020081381 A KR20020081381 A KR 20020081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able
jacket
vertical member
frame
shor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346B1 (ko
Inventor
바바라 페르네르
Original Assignee
피르마 오르토페디츠나 "메도르트"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르마 오르토페디츠나 "메도르트" 에스.아. filed Critical 피르마 오르토페디츠나 "메도르트"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2008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2003/0216Crutches in which movement is limited to a pivoting in one plane, e.g. 2-point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와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는, 두 개 이상의 수직부재(1)로 구성된다. 서로에 관하여 조절 가능한 상부부재(2)와 하부부재(3)는, 두 측면이 짧고 나머지 한 측면이 길며 단부에서 코너(7)를 형성하면서 연결된 삼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재킷(6)에 상호 연결되며, 남아 있는 장변 측부가 클로져(8)를 구성한다. 장변 측부에서의 코너(7)는 각각 커넥팅 부쉬(9)를 구비하며, 각각의 커넥팅 바(10)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변 측부에서의 코너(7)는 각각 커넥팅 부쉬(11)를 구비하며, 각각의 커넥팅 바(12)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클로져(8)는 일 측면에 조절 가능한 커넥팅 바(14)를 구비한 커넥팅 부쉬(13)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중의 하나는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단변 측부에서 상기 커넥팅 바(12) 중의 하나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커넥터 중의 나머지는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다른 쪽 단변 측부에서 각각의 커넥팅 바(12)의 단부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15)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단변 측부에는 두 개의 조절 가능한 겨드랑이 지지대(17)가 상측으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단변 측부에는 두 개의 조절 가능한 겨드랑이 지지대(17)가 상측으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는 사용자가 딱 맞도록 조일 수 있는 상기 클램프 링(19)들이 구비되고, 각각의 커넥터(20)로 설치된다. 그리고 차례로 조절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수직부재(1)로 설치된다. 상기 스키드의 각각의 외측 모서리의 중앙에가까운 상기 스키드(24)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용 부쉬들(23)의 내부로 상기 수직부재(1)의 하단이 유연하게 연결된다. 상기 유연 연결구는 탄성 재료와 유연한 재료가 복합(25)되어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고정용 부쉬(23)들의 외면에는 길이가 조절 가능한 안정용 로드(27)의 각각의 단부가 부착된다.

Description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DEVICE FOR ENABLING PERSONS WITH PARESIS OF LOWER LIMPS TO WALK}
본 발명의 목적은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지된 장애인의 보행 훈련을 위한 장치들이 있는데 그러한 장치중의 하나가 폴란드 특허 제17609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수직축에 대해 대칭으로 설치된 두 개의 병렬 수평 2차 기구로 구성되는데, 상기 기구의 막대 링크들의 회전축들은 사용자의 둔부 관절에 대응하고, 상기 2차 기구는 네 개의 요소들이 구비된 주요 비평면 2차 기구의 매개체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링크들은 그 회전축들이 사용자의 각각의 둔부 관절의 중앙에 가로로 놓인다.
또한, 다른 공지된 보행 훈련 장치가 폴란드 특허출원 P-31982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보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기구에 고정된 능동 타원 재킷으로 구성되고, 그 후방 부재가 개방되어 잠금 장치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몸에 딱 맞도록 두 개의 고정된 원통형의 클램프 링이 장착된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위한 두 개의 수직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 부재들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플랫폼이 구비되며, 상기 플랫폼에는 걸을 때 바닥에 닿는 견고하게 고정되는 발판들이구비된다.
또한,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을 위한 다른 공지된 장치가 폴란드 특허출원 P-33740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재킷의 일측에서, 두 개의 수평부가 구비된 그 하부에서 안쪽으로 두 번 굽어져 있고 피봇 조인트에 의해 상부에서 삼각 연결부로 부착되는 두 개의 수직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삼각 연결부는 그 측면이 재킷 프레임의 각각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수평부들에는 스키드들이 구비되고, 반원형으로 바깥으로 휘어진 지지대가 상기 스키드들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반원형의 지지대들은 수직부재의 굽어진 부분의 수평부의 길이보다 1.5 내지 2.5배 큰 직경을 갖고, 전향부에 있는 재킷 프레임에는 삼각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삼각 레버의 바에는 유연한 커넥터들이 설치되고 상기 삼각 레버의 타단은 사용자의 등받이로 구성되는 피봇 부재에 고정된다. 그리고, 스키드가 구비된 상기 수직부재의 피봇 내에서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는 일측에서 보든 케이블(Bowden cable)이 설치된다. 더욱이, 반원형의 지지대 근처에서 상기 스키드는 텔레스코픽 커넥터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앞에서 설명된 모든 장치들은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위한 돌출된 지지대가 장착된 재킷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보행의 편의를 돕는다.
모든 공지된 장치의 단점은 사용자의 키에 장치의 수직부재의 높이가 맞도록, 그리고 사용자의 몸집에 재킷의 크기가 맞도록 조절할 수 없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수직부재의 하단 고정부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핸들이 구비된 두 개의 수직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재는 재킷에 의해 그 상부에서 내부 프레임과 상호 연결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 일측에 위치하는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는 발판이 구비된 하단 스키드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딱 맞게 조일 수 있도록 클램프 링이 그 하부에서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상기 수직부재는 상호 간의 관계에서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재킷은 두 개의 단변 측부와 하나의 장변 측부가 구비된 삼각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그 각각의 측단에서 코너에 의해 결합된다. 남아 있는 장변 측부가 클로져를 구성하고, 장변 측부와 단변 측부에서의 코너는 각각 커넥팅 부쉬를 구비하며, 각각의 커넥팅 바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클로져는 일 측면에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한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중의 하나는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단변 측부에서 상기 커넥팅 바 중의 하나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커넥터 중의 나머지는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다른 쪽 단변 측부에서 각각의 커넥팅 바의 단부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단변 측부에는 두 개의 조절 가능한 겨드랑이 지지대가 상측으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딱 맞도록 조일 수 있는 상기 클램프 링들은 각각의 커넥터로 설치된다. 그리고 차례로 조절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수직부재로 설치된다. 상기 스키드의 각각의 외측 모서리의 중앙에 가까운 상기 스키드의 상면에 연결되는 고정용 부쉬들의 내부로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이 유연하게 연결된다. 상기 유연 연결구는 탄성 재료와 유연한 재료가 복합되어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고정용 부쉬들의 외면에는 길이가 조절 가능한 안정용 로드의 각각의단부가 부착된다.
상기 수직부재의 조절 가능한 부재들, 조절 가능한 겨드랑이 지지대 및 상기 재킷 프레임의 조절 가능한 커넥팅 바 덕분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의 키와 몸집에 맞게 장치를 조절하여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 부호 및 이에 대응하는 부분이 표시된 이하의 첨부 도면을 고려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실재하는 이점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두 개의 수직부재(1)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부재는 차례로 각각의 상부부재(2)와 하부부재(3)의 두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부재(3)는 각각 스크류(4)들이 구비된 상부부재(2)로 적절히 삽입된다. 상기 스크류(4)들은 상기 수직부재(1)의 길이를 원하는 대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부재(2)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핸들(5)이 구비된다. 상부부재(2)는그 상단에 커넥터(18)에 의해 고정되는 재킷(6)과 상호 연결된다. 상기 재킷(6)은 코너(7)와 클로져(8)를 구비한 삼면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너(7)에는 상기 재킷 프레임의 장변 측에 위치하는 커넥팅 부쉬(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부쉬(9)는 재킷(6)의 장변 측 내부에 위치하는 커넥팅 바(10)에 의해 적절히 연결된다. 또한, 상기 코너(7)에는 재킷(6)의 단변 측에서 커넥팅 부쉬(11)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 부쉬(11) 내부로는 길이 조절 가능한 커넥팅 바(12)가 삽입된다. 상기 재킷(6)의 상기 클로져(8)는 신장된 커넥팅 부쉬(13)로 구성된다. 그리고 한 쪽 끝으로는 커넥팅 바(14)가 삽입된다. 하나의 커넥팅 바(14)는 커넥팅 바(12)들 중의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커넥팅 바(14)들은 잠금 장치(15)에 의해 다른 커넥팅 바(12)에 설치된다. 상기 커넥팅 부쉬(9), 커넥팅 부쉬(11) 및 신장된 커넥팅 부쉬(13)는 스크류(16)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스크류(16)는 각각의 커넥팅 부쉬들과 커넥팅 바들의 상대 운동을 방지한다. 겨드랑이 지지대(17)가 위로부터 조절할 수 있고 움직일 수 있는 방식(미도시)으로 상기 재킷(6)의 단변 측에 구비된다. 수직부재(1)의 하부부재(3) 상에는 가동 커넥터(21)가 구비된다. 각각의 가동 커넥터(21)는 회전 가능하게 상호 교차 연결되는 두 개의 부쉬로 구성된다. 상기 부쉬 중의 하나의 안으로 하부부재(3)가 삽입된다. 다른 부쉬의 안으로는 직각으로 굽어진 가동 로드(20)의 일단이 삽입되고 스크류(22)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 로드(20)의 타단에는 사용자에게 딱 맞도록 조일 수 있는 클램프 링(19)들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부재(1)의 하부부재(3)의 하단에는 상기 스키드(24)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용 부쉬(23) 안으로 유연하게 고정된다. 상기 스키드의 각각의 외부 모서리와, 상기 하부부재(3) 및 고정용 부쉬(23)들의 유연 연결구는 탄성 재료와 유연한 재료가 결합된 것이다. 더욱이, 상기 고정용 부쉬(23)의 외면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정용 로드(27)의 각각의 단부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키드(24)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플랫폼고정용이 부착된다.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상기 핸들(5)에는 측면 보호판(29)이 부착된다. 상기 재킷(6)의 모든 외면, 겨드랑이 지지대(17) 및 측면 보호판(29)에는 부드러운 재료로 된 커버(30)가 부착된다.
스크류(4)를 풀게되면, 사용자의 키에 맞게 본 발명의 장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상부부재(2)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겨드랑이 지지대(17)의 높이를 바꿈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도록 겨드랑이 지지대(17)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16)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재킷(6)을 사용자의 몸집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걷는 동작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몸체의 상부를 흔듦으로써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바꾸고, 스키드(24)를 하나씩 들어올림으로써 핸들(5)을 잡고있는 사용자의 손의 작은 움직임과 연결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전방으로의 운동이 이루어진다. 길이 조정이 가능한 안정용 로드(27)는 상기 스키드(24)가 항상 같은 평면에 놓이도록 유지한다.

Claims (4)

  1.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핸들이 구비된 두 개의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재는 재킷에 의해 그 상부에서 내부 프레임과 상호 연결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 일측에는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재는 발판이 구비된 하단 스키드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딱 맞게 조일 수 있도록 클램프 링이 그 하부에서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로서,
    상기 수직부재(1)는 상호 간의 관계에서 조절이 가능한 상부부재(2)와 하부부재(3)로 구성되고,
    상기 재킷(6)은 두 개의 단변 측부와 하나의 장변 측부가 구비된 삼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프레임은 측단에서 코너(7)에 의해 결합되고, 남아 있는 장변 측부는 클로져(8)를 구성하며,
    장변 측부에서의 코너(7)는 각각 커넥팅 부쉬(9)를 구비하여 각각의 커넥팅 바(10)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변 측부에서의 코너(7)는 각각 커넥팅 부쉬(11)를 구비하여 각각의 커넥팅 바(12)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클로져(8)는 일 측면에 조절 가능한 커넥팅 바(14)를 구비한 커넥팅 부쉬(13)로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 중의 하나는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단변 측부에서 상기 커넥팅 바(12) 중의 하나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커넥터 중의 나머지는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다른 쪽 단변 측부에서 각각의 커넥팅 바(12)의 단부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15)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재킷 프레임의 단변 측부에는 두 개의 조절 가능한 겨드랑이 지지대(17)가 상측으로부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딱 맞도록 조일 수 있는 상기 클램프 링(19)들이 각각의 커넥터(20)에 설치되어 조절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수직부재(1)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의 각각의 외측 모서리의 중앙에 가까운 상기 스키드의 상면에 연결되는 고정용 부쉬(23)들의 내부로 상기 수직부재(1)의 하단이 유연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연 연결구(25)는 탄성 재료와 유연한 재료가 복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부쉬(23)들의 외면에는 길이가 조절 가능한 안정용 로드(27)의 각각의 단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KR10-2002-7011419A 2000-03-09 2001-01-29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KR100499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P.338911 2000-03-09
PL00338911A PL338911A1 (en) 2000-03-09 2000-03-09 Apparatus enabling paraparetic persons to wal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381A true KR20020081381A (ko) 2002-10-26
KR100499346B1 KR100499346B1 (ko) 2005-07-04

Family

ID=2007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419A KR100499346B1 (ko) 2000-03-09 2001-01-29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38630B2 (ko)
EP (1) EP1253902B1 (ko)
JP (1) JP2003525702A (ko)
KR (1) KR100499346B1 (ko)
AU (1) AU2001228934A1 (ko)
CA (1) CA2397866A1 (ko)
DE (1) DE60102564T2 (ko)
ES (1) ES2218435T3 (ko)
PL (1) PL338911A1 (ko)
WO (1) WO20010660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7093B2 (en) 2002-09-16 2006-03-21 Lsi Logic Corporation Circuit and/or method for automated use of unallocated resources for a trace buffer application
PL204062B1 (pl) * 2002-10-21 2009-12-31 Firma Ortopedyczna Medort Społka Akcyjna Urządzenie umożliwiające chodzenie osobom z paraliżem lub niedowładem kończyn dolnych
FR2868293B1 (fr) * 2004-04-02 2007-07-06 Georges Jean Marie Franc Barbe Appareil de reeducation musculaire orthostatique pour blesses medullaires
US7717123B2 (en) 2007-01-10 2010-05-18 Egro-Crutch, Llc Biomechanically derived crutch
FR3034659B1 (fr) * 2015-04-07 2022-06-10 Wandercraft Exosquelette comprenant des coques connectees avec des degres de mobilite passifs
CA3032318A1 (en) 2016-07-22 2018-01-25 Mobi Acquisition Company, Llc Improved biomechanical and ergonomical adjustable crutch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105A (en) * 1893-08-08 John tingley
US2010482A (en) * 1934-05-26 1935-08-06 Florence M Henn Walking motion
US2210269A (en) * 1938-02-01 1940-08-06 Byron M Taylor Means to aid in regaining normal body locomotion
US2833332A (en) * 1956-03-20 1958-05-06 William A Nabors Walker
US3195550A (en) * 1962-09-06 1965-07-20 John G Ingalls Walking devices
GB1188647A (en) * 1966-07-19 1970-04-22 Brian Hartle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ter-connected Limb Arrangements
US3557782A (en) * 1968-02-02 1971-01-26 James Wafer Brace apparatus
US3709216A (en) * 1971-08-02 1973-01-09 B Hilyard Spine-adjustment mechanism
US4226413A (en) * 1978-11-08 1980-10-07 Daugherty Wilma J Wheel mounted walker with foot pedal brake
US5340139A (en) * 1993-01-11 1994-08-23 Davis Daniel W Ambulatory wheelstand with torso and leg support
US5476432A (en) * 1993-12-14 1995-12-19 Dickens; Robert Medical stroller
CA2115528C (en) * 1994-02-11 2000-04-11 David Hart Orthotic walker
PL176092B1 (pl) * 1995-03-10 1999-04-30 Politechnika Warszawska Urządzenie wspomagające chód osób niepełnosprawnych
PL319821A1 (en) 1997-05-06 1998-11-09 Politechnika Warszawska Apparatus designed to enable disabled persons to walk
GB9809755D0 (en) * 1998-05-08 1998-07-08 R T Palmer Limited Orthotic walker
US6666796B1 (en) * 1999-09-16 2003-12-23 Aerovironment, Inc. Walking assisting apparatus
PL337403A1 (en) 1999-12-21 2001-07-02 Medort Sa Device enabling paraparetic persons to wal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28934A1 (en) 2001-09-17
ES2218435T3 (es) 2004-11-16
US20030000561A1 (en) 2003-01-02
US6938630B2 (en) 2005-09-06
PL338911A1 (en) 2001-09-10
WO2001066059A3 (en) 2001-12-27
KR100499346B1 (ko) 2005-07-04
DE60102564T2 (de) 2004-08-05
WO2001066059A2 (en) 2001-09-13
JP2003525702A (ja) 2003-09-02
DE60102564D1 (de) 2004-05-06
CA2397866A1 (en) 2001-09-13
EP1253902B1 (en) 2004-03-31
EP1253902A2 (en) 200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344B1 (ko)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회복을 위한 장치
EP0232120B1 (en) Orthopaedic trolley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US20140116482A1 (en) Up-right walker for supporting a patient with up-right posture
US20050212255A1 (en) Wheelchair provided with legrest and calfrest
KR20140088757A (ko) 기립 보조형 휠체어
JP2002085458A (ja) 立ち上がり型車椅子用身体支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椅子
CN105853156A (zh) 康复助行器
ITRM20060684A1 (it) Deambulatore con sedile e schienale regolabili
ITUA20163483A1 (it) Dispositivo robotico per la verticalizzazione e la mobilita' di disabili motori gravi
KR100499346B1 (ko)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BRPI0714309B1 (pt) dispositivo auxiliar de caminhada
KR101629724B1 (ko)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이동방법
US2769483A (en) Universally adjustable invalid chair
US5320590A (en) Orthopedic bracing mechanism for facilitating hip reciprocation
EP2289478A1 (en) A-frame walker
JPH1128220A (ja) 上体支持装置
KR200362325Y1 (ko)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JP2506558Y2 (ja) ベッド等における立上り補助具
CN209220869U (zh) 一种带有收缩固定架的行走辅助架
PL245147B1 (pl) Chodzik, zwłaszcza dla dziecka z niepełnosprawnością ruchową
FR2913880A1 (fr) Appareil orthopedique articule lie a une base mobile
JP4401844B2 (ja) 簡易便器
JP5534848B2 (ja) 歩行補助具
RU2039542C1 (ru) Инвалидная коляс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