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729A -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729A
KR20020075729A KR1020020015516A KR20020015516A KR20020075729A KR 20020075729 A KR20020075729 A KR 20020075729A KR 1020020015516 A KR1020020015516 A KR 1020020015516A KR 20020015516 A KR20020015516 A KR 20020015516A KR 20020075729 A KR20020075729 A KR 20020075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loth
teeth
movement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1147B1 (ko
Inventor
아키야마타츠히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work fee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장치가 콤팩트하고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더욱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는 천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이송방향을 따라 분할된 오른쪽 이송톱니·왼쪽 이송톱니로 이루어지는 좌우이송톱니(27,28,65,66)와,
이들 좌우이송톱니를 천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이송대(20)와,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상하구동수단(35)과,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수평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수평구동수단(38)과,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좌우구동수단(51,63,액튜에이터)을 구비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개별로 고정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배치된 여러개의 지지축(29a,29b,67,68)과,
이 지지축을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대의 슬라이드방향 양단측에 형성된 여러개의 지지구멍(21c,21d,21m,21n)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천이송장치{CLOTH FEEDING APPARATUS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의 천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이송톱니에 대해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재봉틀의 천이송장치로서는 본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일본국 특개2000-271364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좌우이송톱니를 천이송시에 서로 이격하도록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1과 같이 이 장치는 평면이 ㄷ자모양의 이송대(1)와, 이송대(1)에 놓여지는 오른쪽 이송톱니대(2)와 왼쪽 이송톱니대(3)와 일단측이 좌우이송톱니대(2)(3)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좌우이송톱니(4)(5)를 개별로 고정·유지하는 파지부(6)(7)와, 이송대(1)의 중앙 절개부 밑면에 배치된 북(8) 등으로 구성된다. 좌우이송톱니(4)(5)는 일단측이 파지부(6)(7)에 고정되고, 조립후 타단측이 다른 파지부(6)(7)에 지지된다.
좌우이송톱니대(2)(3)는 그 작업자측 선단부(2a)(3a)가 이송톱니대 안내홈부(9)에 접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그 반작업측에는 지지축(10)(11)이 각각 돌설된다. 이들의 지지축(10)(11)은 천이송대에 형성된 지지구멍(1a)에 여유있게 끼워진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좌우이동수단에 의해 좌우이송톱니대(2)(3)에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슬라이드방향 Y로의 운동이 부여되면 좌우이송톱니대(2)(3)는 지지구멍(1a) 또는 이송톱니대 안내홈부(9)로 안내되고, 슬라이드방향 Y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재봉틀의 천이송장치에 의해 좌우로 이격하는 천이송을 행할 경우, 통상의 평바느질 봉제는 문제가 없지만 2장의 옷감의 단부를 맞추면서 솔기를 단부를 걸쳐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좌우이송톱니(4)(5)는 일단측이 파지부(6)(7)에 고정되고, 타단측이 다른 파지부(6)(7)에 지지된다. 이 좌우이송톱니(4)(5)의 한쪽 지지구조는 상부로부터의 하중이 큰 경우, 강성이 부족할 염려가 있다. 그리고 하중에 의한 변위가 좌우의 이송톱니에 발생한 경우, 천의 직진성을 저해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으로서 2장의 옷감의 좌우단에 걸쳐 봉합하는 봉제를 가능하게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목적으로 한다.
또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량을 조절하거나 운동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목적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방향으로 운동하는 이송톱니에 덧붙여 종래의 4이송 운동하는 직진운동하는 직진이송톱니를 적절히 배치하여 천의 직진성을 유지하는 것을 제 3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형태의 조립후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부품마다의 분해도.
도 4는 도 2의 부품마다의 측면도.
도 5는 이송톱니의 분해도와 조립도.
도 6은 도 5의 K-K라인 단면도.
도 7은 제 2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제 3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제 4실시형태의 설명도.
도10은 이송톱니 리브구조의 변형예.
도11은 종래의 이송톱니장치.
도12는 제 5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
도13은 제 5실시형태의 요부측면도.
도14는 제 5실시형태의 캠부 상세.
도15는 제 6실시형태의 캠부 상세.
도16은 제 6실시형태의 캠부 조절위치 설명도.
도17은 제 7실시형태의 설명도.
도18은 제 8실시형태의 설명도.
도19는 제 9실시형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7: 오른쪽 이송톱니 28: 왼쪽 이송톱니
65: 오른쪽 이송톱니 66: 왼쪽 이송톱니
20: 이송대35: 상하이동수단
38: 수평이동수단51: 좌우이동수단
63: 좌우이동수단29a: 오른쪽 지지축(지지축)
29b: 왼쪽 지지축(지지축)67: 각 핀(지지축)
68: 각 핀(지지축)21c: 지지구멍
21d: 지지구멍21m: 각 구멍(지지구멍)
21n: 각 구멍(지지구멍)26: 슬라이드 레일(결합수단)
9: 안내홈(결합수단)23: 오른쪽 이송톱니대
24: 왼쪽 이송톱니대23d: 절개부
24d: 절개부27b: 오른쪽 파지부(파지부)
28b: 왼쪽 파지부(파지부)27ba: 리브
28ba: 리브80,81: 좌우이송톱니
84,85: 좌우이송톱니82,83,86: 직진이송톱니
88: 슬라이드 이송톱니87: 직진이송톱니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천이송방향을 따라 분할된 오른쪽 이송톱니·왼쪽 이송톱니로 이루어지는 좌우이송톱니(27,28,65,66)와,
이들 좌우이송톱니를 천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이송대(20)와,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상하이동수단(35)과,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수평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수평이동수단(38)과,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51,63, 액튜에이터)을 구비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좌우이송톱니가 최소한 바늘판 위에 있을 때 접근하도록 슬라이드방향으로 운동을 부여하고, 좌우이송톱니가 바늘판 밑에 있을 때 이격하도록 슬라이드방향으로 운동을 부여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천이송시에 바늘에 접근시키도록(천을 댄다)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함으로써 2장의 옷감의 좌우단에 걸쳐 솔기를 형성하는 봉제를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개별로 고정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배치된 여러개의 지지축(29a,29b,67,68)과,
이 지지축을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개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이송대의 슬라이드방향 양단측에 형성된 여러개의 지지구멍(21c,21d,21m,21n)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천이송대의 슬라이드방향 길이(h)를 길게 하지 않고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이동시 덜컹거림의 발생이 방지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하방향을 따라 접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하체(44)와,
일단측이 상기 상하체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연결되는 좌우이송톱니링크(45,46)와,
상기 좌우이송톱니링크와 상하체 또는 좌우이송톱니를 연결하는 여러개의 연결핀(47,48,49)을 구비하고, 이들 연결핀의 안 최소한 하나를 편심핀(70,71,72)으로 하여 이 편심핀을 소정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편심핀의 고정위치를 변경하고, 소정위치에서 유지함으로써 좌우이송톱니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좌우이송톱니의 균형을 고려한 더욱 최적인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천이송방향을 따라 분할된 오른쪽 이송톱니·왼쪽 이송톱니로 이루어지는 좌우이송톱니(27,28,65,66),와
이들 좌우이송톱니를 천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대(1,20)와,
상기 천이송대를 통해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상하이동수단(35)과,
상기 천이송대를 통해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수평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수평이동수단(38)과,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51,63,액튜에이터)을 구비한 재봉틀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을 따라 접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하체(44)와,
일단측이 상기 상하체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연결되는 좌우이송톱니링크(45,46)와,
상기 이송대의 상하이동 위상에 대해, 바늘봉의 상하이동에 대해 상기 상하체의 위상을 변경하는 위상변경수단(40,75,76,77,78,79,63,6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위상변경수단에 의해 이송대의 상하이동에 대해 상하체의 위상을 변경함으로써 천이송시의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운동을, 바늘에 접근시키거나(천을 댄다), 바늘로부터 이간시키거나(천을 팽팽하게한다),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없애거나(천으로의 신축작용이 없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변경수단의 조정에 의해 봉제조건에 맞추어 최적인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슬라이드 이송톱니(88)를 천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대(1,20)와, 상기 이송대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 이송톱니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상하이동수단(35)과, 상기 이송대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 이송톱니에 수평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수평이동수단(38)과, 상기 슬라이드 이송톱니에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일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51,63,액튜에이터)과, 상기 슬라이드 이송톱니의 이동 일방향측에 상하이송축과 수평이송축에 의해 4이송 운동을 부여하는 직진이송톱니(87)를 배치했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봉제물을 좌우 한쪽 방향으로 대게하면서 직진안정성을 갖는 봉제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천누름부에 봉제방향을 따라 천을 안내하는 가이드(벽)를 구비한 경우, 이 가이드에 자동적으로 천단이 따르게 되어 봉제품질이 향상된다.
먼저 도 1 ~ 도 6을 기초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송대(20)는 측면에서 보아 역 ㄷ자 모양으로 그 윗면에 천이송방향 X를 따라 뻗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L자모양의 팔부(22)로 구성된다. 이송대의 본체부(21)는 뒤쪽(반작업자측)에 4각모양의 장착구멍(21a)이 형성되고, 이 장착구멍(21a)을 관통하도록 천이송방향과 직행하는 Y방향을 따라 지지구멍(21c,21d)이 평행하게(대향하여) 형성된다. 또 이송대의 본체부(21)의 앞쪽(작업자측)에는 오목부(21b)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21b)상부에는 지지판(25)이 고정되고, 이 지지판(25)과 오목부(21b)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결합수단)(26)이 형성된다.
이송톱니는 천이송방향을 따라 2분할된 오른쪽 이송톱니(27)와 왼쪽 이송톱니(28)로 구성된다.
오른쪽 이송톱니(27)는 그 톱니부(27a)와, 톱니부(27a)의 양단을 고정유지하는 평면에서 보아 ㄷ자의 오른쪽 파지부(27b)로 구성된다. 오른쪽 파지부(27b)는 오른쪽 이송톱니대(23)의 상부 평탄면에 놓여지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천이송방향 X를 따라 긴 변이 배치된다. 오른쪽 이송톱니대(23)는 앞쪽의(작업자측) 슬라이드부(23a)와, 뒤쪽의 지지부(23b)로 구성된다. 지지부(23b)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방향 Y(천이송방향과 직행하는 방향)를 따라 감합구멍(23c)이 형성된다. 또 감합구멍(23c)에 근접하여 절개구멍(절개부)(23d)이 형성된다. 또 지지부(23b)의 밑면에는 Y방향을 따라 2개의 돌기모양 연결부(23e)(23e)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왼쪽이송톱니(28)는 톱니부(28a)와 왼쪽파지부(28b), 왼쪽파지부에 형성된 감합구멍(24c), 절개구멍(절개부)(24d)로 구성되고, 파지부(28b)는 이송톱니대(24)에 고정된다.
이송대(20)의 장착구멍(21a)에 셋트된 좌우이송톱니대(23)(24)는 이송대측면의 지지구멍(21c)(21d)에 대해 각각 오른쪽 지지축(29a), 왼쪽지지축(29b)이 삽통된다. 삽통된 오른쪽 지지축(29a), 왼쪽지지축(29b)은 각각 좌우이송톱니대의 감합구멍(23c)(24c)을 지나 소정위치에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오른쪽 지지축(29a)은 슬라이드 방향 Y를 따라 형성된 지지구멍(21c)에, 왼쪽 지지축(29b)은 지지구멍(21d)에 각각의 양단을 자유롭게 접동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오른쪽 지지축(29a)의 삽통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왼쪽이송 톱니대(24)에는 절개구멍(절개부)(24d)이 형성된다. 왼쪽 지지축(30)의 삽통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오른쪽 이송톱니대(23)에는 절개구멍(절개부)(23d)이 형성된다.
주지와 같이 재봉틀베드 밑면에는 Y방향을 따라 상하이송축(30), 수평이송축(31)이 배치된다. 상하이송축(30) 선단부에는 상하이송캠(32)이 고정된다. 상하이송캠(32)의 돌기부(32a)는 상하이송링크(33)의 일단측에 연결되고, 상하이송링크(33)의 타단측은 축(34)을 통해 이송대의 팔부(22b)에 연결된다. 재봉틀이 구동하여 상하이송축(30)이 회전하면 상하이송캠(32), 상하이송링크(33), 축(34)을 통해 이송대(20)와 좌우이송톱니(27)(28)가 상하이동한다. 이들 상하이송축(30), 상하이송캠(32), 상하이송링크(33), 축(34)이 상하이동수단(35)을 구성한다.
도시하지 않은 주지의 수평이송기구에 의해 수평이송축(31)은 재봉틀 구동에 연동하여 왕복요동한다.
수평이송축(31)의 좌단은 수평이송팔(36)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수평이송팔(36)의 상단은 축(37)을 통해 이송대(1)의 후단부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연결된다. 재봉틀이 구동하여 수평이송축(31)이 왕복요동하면 수평이송팔(36),축(37)을 통해 이송대(20)와 좌우이송톱니(27)(28)가 수평방향 X(천이송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이 수평이송축(31), 수평이송팔(36), 축(37)이 수평이동수단(38)을 구성한다.
상하이송축(30)에는 편심캠(40)이 고정된다. 편심캠(40)은 좌우이송링크(41)에 연결된다. 좌우이송링크(41)의 자유단측은 축(41a)에 의해 연동체(42)의 연동팔(42a)에 연결된다. ㄷ자 모양의 연동체(42)는 수평이송축(3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그 돌기부의 한쪽이 연동팔(42a)이고 다른쪽이 베어링부(42b)이다.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베어링부(42b)는 축(43)의 일단측을 고정한다. 축(43)의 타단측은 X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하체의 긴 구멍(44c)에 여유있게 끼워진다.
상하체(44)는 상자모양의 본체부(44a)와, 본체부 우측면에 형성된 각모양 돌기부(44b)와, 슬라이드방향 Y를 따라 평행하게 본체부 상부에 돌설된 한쌍의 원호모양 돌기부(44d)(44e)와, 슬라이드방향 Y를 따라 형성된 관통홈(44f)과, 슬라이드방향 Y를 따라 형성되어 긴쪽의 축심이 천이송방향 X와 일치하는 긴 구멍(44c)으로 구성된다.
한쌍의 원호모양 돌기부(44d)(44e)사이에 배치된 좌우이송톱니링크(44)(45)의 일단측은 원호모양 돌기부에 지지된 축(4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오른쪽 이송톱니링크(45)의 타단측은 오른쪽 이송톱니대의 한쌍의 연결부(23e)(23e)사이에 배치되고, 핀(48)에 의해 오른쪽 이송톱니대(2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왼쪽 이송톱니링크(46)의 타단측은 왼쪽이송 톱니대의 한쌍의 연결부(24e)(24e)사이에 배치되고, 핀(49)에 의해 왼쪽이송 톱니대(2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하체(44)의 각모양 돌기부(44b)는 팔부(22)의 하부에 형성된 세로홈(22a)에 여유있게 끼워지고, 상하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지지된다. 또 L자모양의 가이드부재(50)는 절곡된 일단측이 상하체의 관통홈(44f)에 여유있게 끼워지고, 타단측이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팔(22)의 측면에 고정된다. 이와같이 상하체(44)는 세로홈(22a)과 가이드부재(50)에 의해 상하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지지된다.
재봉틀이 구동하고 상하이송축(30)이 회전하면 좌우이송링크(41), 연동체(42), 축(43)을 통해 상하체(44)는 상하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상하체(44)의 왕복이동은 좌우이송톱니링크(45)(46)를 통해 좌우이송톱니대(23)(24)에 천이송방향과 직행하는 슬라이드방향 Y로의 운동을 부여한다. 이들 상하이송축(30), 연동체(42), 축(43), 상하체(44), 좌우이송톱니링크(45)(46)등이 좌우이동수단(51)을 구성한다.
좌우이송톱니(27)(28)는 이송대(20)에 슬라이드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좌우이동수단을 구성하는 상하체(44)에 연결된다. 그리고 좌우이동수단(51)에 의해 부여되는 상하체(44)의 상하방향 운동벡터(전자)와, 상하이동수단(35)에 의해 부여되는 이송대(20)의 상하방향 운동벡터(후자)와의 차(상대량)가 좌우이송톱니에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부여한다. 그리고 전자와 후자의 운동벡터의 차가 0인 경우,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은 0이다. 또상승시(이송대(20)의 운동량) > (상하체(44)의 운동량)인 경우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은 바늘에 접근하는 방향(천을 줄이거나, 천을 대거나 하는 작용)이다. 또 상승시(이송대(20)의 운동량) < (상하체(44)의 운동량)인 경우,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은 바늘에 이간하는 방향(천을 팽팽하게 하는 작용)이다.
도 2와 같이 조립후의 좌우이송톱니대(23)(24)는 장착구멍(21a)에 셋트되고, 각 이송톱니대에 고정된 좌우지지축(29a)(29b)은 슬라이드방향 Y을 따라 이송대 지지구멍(21c)(21d)에 접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 각 이송톱니대의 슬라이드부(23a)(24a)는 슬라이드레일(결합수단)(26)에 의해 슬라이드방향 Y를 따라 접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좌우이동수단(51)에 의해 좌우 이송톱니대 끼리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의 이동이 부여된 경우, 오른쪽 이송톱니대 측벽(23f)과 왼쪽 이송톱니대 측벽(24f)은 각각 천이송대의 장착구멍 측벽(21e)(21f)에 접촉한다. 장착구멍 측벽(21e)(21f)은 좌우이송 톱니대(23)(24)를 계지하는 스토퍼기능을 갖고 있다.
또 도 2 ~ 도 6과 같이 좌우이송톱니(27)(28)의 톱니부는 그 양단측을 각 파지부(27b)(28b)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윗면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해 맞설 수 있는 강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천을 보낼 때 윗면으로부터 이송톱니에 큰 하중이 작용해도 이송톱니가 기울어 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천의 직진성이 유지된다. 그리고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좌우이송톱니의 파지부(27b)(28b)끼리는 일정한 간극(J)을 가지면서 겹치도록(적층모양) 배치된다. 또 파지부(27b)로부터는 좌단측에 보강용 리브(27ba), 파지부(28b)로부터는 우단측에 보강용 리브(28ba)가 각각 돌설된다. 이 때문에 파지부의 측면형상은 L자모양, 역 L자모양이다.
상기와 같이 파지부(27b)(28b)끼리가 마모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수명이 향상하고, 또 보강용 리브를 배치했기 때문에 보다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고 강성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로 재봉틀이 구동하여 상하이송축(30)이 회전하면 상하이송캠(32)에 의해 상하이송링크(33)를 통해 이송대(20)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한다. 또 도시하지 않은 수평이송 구동기구에 의해 수평이송축(31)을 회동(요동)시키고, 이 수평이송축(31)의 회동에 의해 수평이송팔(36)을 통해 이송대(20)에 수평방향의 운동을 부여한다. 이 이송대(20)의 상하방향의 운동과 수평방향의 운동에 의해 좌우이송톱니(27)(28)는 종래와 같은 4이송운동을 행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이송축(30)의 회전에 의해 편심캠(40)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좌우이송링크(41)와 연동체(42)를 통해 축(43)이 수평이송축(31)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상하체(44)의 긴 구멍(44c)에 의해 축(43)의 운동은 축(43)의 상하방향운동만이 전달되어 상하체(44)를 상하이동시킨다. 이 때 상하체(44)는 세로홈(22a)과 가이드부재(50)에 의해 상하방향만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지지되므로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이송대(20)의 상승량보다 상하체(44)의 상승량쪽이 큰 경우, 축(47), 좌우이송톱니링크(45)(46) 좌우이송톱니대(23)(24)를 통해 좌우이송톱니(27)(28)는 각각 바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천을 팽팽하게 하고자 작용한다. 그리고 좌우이송톱니대(23)(24)에 고정된 각 지지축(29a)(29b)은 이송대에 형성된 지지구멍(21c)(21d)에 자유롭게 접동하도록 지지된다. 또 좌우이송톱니대의 슬라이드부(23a)(24a)는 안내홈(26)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문에 좌우이송톱니대(23)(24)는 원활하게 슬라이드방향 Y를 따라 이간하도록 이동한다.
이송대(20)의 하강량보다 상하체(44)의 하강량 쪽이 큰 경우, 축(47), 좌우이송톱니링크(45)(46) 좌우이송톱니대(23)(24)를 통해 좌우이송톱니(27)(28)는 각각 바늘에 접근하도록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좌우이송톱니(27)(28)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은 대략 바늘끝이 천에서 빠져나올 때(좌우이송톱니(27)(28)에 의한 천이송방향의 천이송이 시작할 때)부터 바늘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운동이 시작하고, 바늘이 천에 꽂힐 때(좌우이송톱니(27)(28)에 의한 천이송이 끝날 때)부터 바늘에 다가가는 방향의 운동이 시작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상하축 이송축(30)에 대한 편심캠(40)의 장착하는 각도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천이송시, 좌우이송톱니(27)(28)의 슬라이드방향 Y의 운동은 좌우이송톱니(27)(28)의 상하방향의 운동과 수평방향의 운동과의 합성운동이 되고, 천은 바늘로부터 좌우로 멀어지는 방향의 작용력을 받아 횡방향으로 뻗으면서 천이송방향 X의 앞쪽으로 보내진다. 이 때문에 봉제주름이 발생하기 쉬운(퍼커링이라고 함) 지그재그봉제 재봉틀이나 위장식봉제 재봉틀 등에 제 1실시형태의 천이송장치를 이용하면 퍼커링의 발생이 거의 없다.
제 1실시형태에 의하면 좌우이송톱니(27)(28)에 개별로 고정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배치된 여러개의 지지축(29a)(29b)과, 이 지지축(29a)(29b)을 슬라이드방향 Y를 따라 개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대(20)의 슬라이드방향 양단측에 형성된 지지구멍(21c)(21d)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천이송대의 슬라이드방향 길이(h)를 길게하지 않고 즉 천이송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덜컹거림의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확실하게 퍼커링이 방지된다.
또 이송대에는 지지구멍(21c)(21d)에 대해 천이송방향 X에 소정량 이간한 위치에 좌우이송톱니(27)(28)를 슬라이드방향 Y로 안내가능하게 또한 상하방향으로 규제가능한 슬라이드레일(결합수단)(26)을 갖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천이송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이동시 덜컹거림의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확실하게 퍼커링이 방지된다.
또 좌우이송톱니대의 한쪽은 다른쪽의 이송톱니대에 고정된 지지축을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절개부(23d)(24d)를 갖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지지축은 이송톱니대로부터 이간되지 않고 배치되므로 지지축이 재봉틀의 북이나 북 축 등에 간섭할 염려가 없고 또 천이송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이송대의 기부에는 좌우이송톱니대가 장착되는 각모양 장착구멍(21a)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좌우이송톱니대(23)(24)는 이 각모양 장착구멍의 측벽부(21e)(21f)에 계지가능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이송대(1)의 측벽부는 좌우이송톱니대의 스토퍼기능을 겸용하므로 천이송장치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좌우이송톱니의 톱니부(27)(28)는 그 양단측을 파지부(27b)(28b)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좌우이송톱니는 그 윗면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해 맞설 수 있는 강성을 가지므로 천의 직진성이 유지된다.
또 상기 좌우이송톱니의 파지부 끼리 또는 리브가 형성된 파지부 끼리는 소정의 간극(j)을 가지면서 겹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파지부끼리가 마모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수명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 7을 기초로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2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와 좌우이동수단이 다르다. 다른 동일한 것에는 동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좌우이동수단(63)은 재봉틀 프레임에 고정된 모터(61)와, 모터(61)의 출력축에 고정된 요동판(62)과, 일단이 요동판(6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상하체(44)의 긴 구멍(44c)에 여유있게 끼워진 축(43)으로 구성된다.
모터(61)가 회동하면 요동판(61)과 축(43)이 요동하고, 상하체(4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실시형태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이 상하체(44)의 상하이동과 이송대(20)의 상하이동의 상대운동에 의해 좌우이송톱니링크(45)(46)가 개폐하고, 좌우이송톱니(27)(28)를 Y방향으로 접근·이간시킨다.
모터(61)에는 모터(61)의 회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제어수단)(60)가 접속된다. 이 제어수단(60)은 내부에 CPU, ROM, RAM을 갖고, 재봉바늘의 상하위치를 검출하는 바늘위치신호나 작업자가 키 스위치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입력설정수단이, CPU입력측에 접속된다. 이들 입력신호와 데이터가 CPU로 연산된 후 드라이버회로를 통해 모터(61)에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 구동신호에 의해 좌우이송톱니(27)(28)를 Y방향으로 접리 또는 이간할 수 있다.
그리고 바늘위치신호에 의해 천이송시, 모터(61)를 초기위치로부터 소정량(이송대(20)의 상승량보다 상하체(44)의 상승량이 커지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좌우이송톱니(27)(28)를 Y방향으로 이간시킨다. 그 후 천이송이 끝나는 시기부터 모터(6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초기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좌우이송톱니(27)(28)를 Y방향으로 접근시켜 초기위치로 되돌린다. 이 좌우이송톱니(27)(28)를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퍼커링이 없는 솔기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어와는 역으로 천이송시, 모터(61)를 초기위치로부터 소정량(이송대(20)의 상승량보다 상하체(44)의 상승량이 작아지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좌우이송톱니(27)(28)를 Y방향으로 접근시킨다(천을 댄다). 그 후 천이송이 끝나는 시기부터 모터(6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 제어에 의해 천은 내측에 대면서 봉제되므로 구멍이 나는 것을 방지(맞추어 재봉한 경우에 옷감 끼리의 맞춤매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하는 효과가 있다.
또 천이송시, 이송대(20)와 상하체(44)의 상승량, 속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고, 이송톱니를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들 모터(61)등으로 이루어지는 좌우이동수단(63)과, 이모터(61)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제어수단)(60)는 위상변경수단을 구성한다. 이 위상변경수단에 의해 이송대(20)의 상하이동에 대해 상하체(44)의 위상을 변경하고, 천이송시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바늘에 접근시켜 천을 대거나 바늘로부터 이간시킨 천을 팽팽하게 하거나 없애거나 할 수있다. 따라서 위상변경수단의 조정에 의해 봉제조건에 맞추어 최적인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을 기초로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3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와 좌우이송톱니의 지지구조등이 다르다. 다른 동일한 것에는 동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좌우이송톱니는 천이송방향을 따라 2분할된 오른쪽 이송톱니(65)와 왼쪽 이송톱니(66)로 구성된다.
오른쪽 이송톱니(65)는 톱니부(65a)와, 톱니부의 일단측을 고정유지하는 평면 L자모양의 오른쪽 파지부(65b)로 구성된다. 우단부(65b)는 오른쪽 이송톱니(23)의 상부 평탄면에 놓여지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왼쪽 이송톱니(66)는 톱니부(66a), 왼쪽파지부(66b)로 구성되고 왼쪽 파지부(66b)는 왼쪽 이송톱니대(24)의 상부평탄면에 놓여져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이송대(20)에 장착된 좌우이송톱니(65)(66)는 좌우이송톱니링크(45)(46)를 통해 상하체(44), 상하축(30) 등과 연결된다. 그리고 오른쪽 이송톱니의 타단측 톱니부 밑면(65aa)이 왼쪽 이송톱니의 파지부(66bb)에 지지된다. 또 왼쪽 이송톱니의 타단측 톱니부 밑면(66aa)이 오른쪽 이송톱니의 파지부(65bb)에 지지된다. 즉 왼쪽 이송톱니의 자유단측이 오른쪽 이송톱니의 파지부에 지지되고, 오른쪽 이송톱니 자유단측이 왼쪽이송톱니의 파지부에 지지되는 이송톱니끼리가 서로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제 3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천이송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덜컹거림의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확실하게 퍼커링이 방지된다.
다음에 도 9를 기초로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4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에 비해 슬라이드방향으로 좌우이송톱니대를 안내하는 지지축과 지지구멍의 형상이 다르다. 다른 동일한 것에는 동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좌우이송톱니대(23)(24)에는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개별로 각핀(67)(68)이 고정된다. 그리고 이송대(20)의 측면에는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2방향의 각 구멍(21m)(21n)이 형성된다. 이 각 구멍(21m)(21n)은 각 각핀(67)(68)을 개별로 접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4실시형태에 의하면 더욱 확실하게 덜컹거림의 발생이 방지된다.
다음에 도 12 ~ 도 15를 기초로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5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에 비해 상하체(44)와 좌우이송톱니링크(45)(46)의 일단측을 연결하는 연결핀과, 좌우이송톱니링크(45)(46)의 타단측과 좌우이송톱니대(23)(24)를 연결하는 연결핀에 편심핀을 이용한 점에서 다르다. 또 상하이송축(30)과 그것에 고정되는 편심캠(40)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른 동일한 것에는 동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최초에 편심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의 상하체(44)의 원호모양 돌기부(44d)(44e)에는 X방향으로 평행한 일축선을 따라 편심핀 지지구멍(44da)(44ea)이 형성된다. 편심핀(70)은 동심모양의 앞쪽 지지부(70b), 뒤쪽 지지부(70a)와, 양 지지부 사이에 양 지지부에 대해 편심한 편심부(70c)를 구비하고 있다. 양 지지부(70a)(70b)는 각각 상하체의 지지구멍(44da)(44e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편심부(70c)에는 좌우이송톱니링크의 양 일단측이 장착된다. 편심핀(70)을 회동하면 좌우이송톱니링크(45)(46)를 통해 좌우이송톱니(27)(28)가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이 조정 후 도시하지 않은 나사나 넛트 등에 의해 편심핀(70)은 소정위치에서 고정된다.
좌우편심핀(71)(72)은 먼저 설명한 편심핀(70)과 동일한 구성이다. 우편심 핀(71)은 그 양 지지부(71a)(71b)를 오른쪽 이송톱니대의 연결부(23e)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마찬가지로 좌편심 핀(72)도 왼쪽 이송톱니대의 연결부(24e)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우편심 핀(71)은 그 회동에 의해 오른쪽 이송톱니대(23)를 통해 오른쪽 이송톱니(27)의 슬라이드방향 초기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나 넛트 등에 의해 소정위치에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좌편심 핀(72)은 왼쪽 이송톱니대의 연결부(24e)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왼쪽 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의 초기위치를 설정한다.
제 5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편심핀(70)(71)(72)을 이용하여 좌우이송톱니의 상대위치를 조정했지만 최소한 한개의 편심핀을 이용하여 좌우이송톱니의 상대위치를 변경하고, 최적인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상하체(44) 좌우이송톱니와는 2개의 링크를 V자모양으로 연결했지만 평행모양의 연결을 대신해 편심핀을 4개 이용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다음에 상하이송축과 편심캠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의 편심캠(75)은 도 12의 편심캠부(40)를 상세하게 기재한 것으로 원통모양의 본체부(75a)와 본체부 외주에 형성된 캠부(75b)로 구성된다. 이 편심캠(75)의 외주(75b)는 좌우이송링크(41)의 연결구멍(41b)에 감합한다. 원통모양의 본체부(75a)는 상하이송축(30)을 통과한 후 상하이송축(3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나사(76)에 의해 작업자는 편심캠(75)을 소정위치에서 고정한다.
먼저 설명한 것과 같이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은, 상하체(44)의 상하이동과 이송대(20)의 상하이동과의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상대운동이다. 편심캠(75)을 회전시켜 그 고정위치를 바꾸면 상하이송축(30)에 의해 일정주기로 상하이동하는 이송대(20)에 대해 상하체(88)의 상하이동위상이 바뀐다. 이 때문에 좌우이송톱니(23)(24)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이 변화한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서는 이송대(20)의 상하량에 대해 핀(43)의 상하량, 위상이 일치하도록 편심캠(75)의 편심량, 위상을 고정하면 좌우이송톱니(23)(24)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로부터 편심캠(75)을 반시계방향을 향해 약 45도 회전하여 고정하면 천이송시 좌우이송톱니가 바늘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고, 천을 팽팽하게 하고자 한다. 또 편심캠(75)을 시계방향을 향해 약 45도 회전하여 고정하면 천이송시 좌우이송톱니가 바늘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고, 천을 내측에 대도록 한다. 이와같이 편심캠(75)과 나사(76)가 이송대(20)의 상하이동위상에 대해 상하체(44)의 위상을 변경하는 위상변경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도 15, 도 16을 기초로 본 발명의 제 6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6실시형태는 제 5실시형태와, 편심캠의 구조가 다른 것이다.
도 15의 상하이송축(30)에는 정면에서 보아 장방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그 긴변이 배치된 조절대(77)가 고정된다. 조절자(78)는 원주모양으로 상하축(30)의 축심과 조절자(78)의 축심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조절자(78)는 그 지름 중심으로부터 소정량 편이한 위치에 수평방향을 따라 홈(78a)이 형성된다. 조절자(78)의 외형(78c)은 좌우이송링크(41)의 연결구멍(41b)에 감합한다.
조절자의 홈(78a)에는 관통하는 장공모양의 홈(78b)이 형성된다. 또 이 조절홈(78a)은 조절대(77)보다 상하방향으로 약간 광폭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조절자(78)를 조절대(77)에 장착하면 조절자(78)는 수평방향을 따라 접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소정위치에서 나사(79)에 의해 고정된다.
도 16은 그 조절위치의 상태 변화의 설명도이다.
상하이송축(30)에 대해 조절자(78) 좌우에 이동시킨 것으로 상하이송축 중심수직선 Q에 대해 조절자(78)의 외경 기준중심선 P이 동일선상인 경우가 (a)이고, P에 대해 Q가 오른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b)이며, P에 대해 왼쪽방향의 경우가 (c)이다.
(a)의 조절위치에서는 상하체(44)와 이송대(20)의 상하방향의 운동량과 위상이 일치하는 기준위치로서 설정된다. 이 때문에 (a)의 위치에서 조절자(78)를 조절대(77)에 고정하고, 상하이송축(30)과 좌우이송링크(41)를 연결하면 좌우이송톱니(23)(24)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일어나지 않는다.
(b)의 조절위치에서는 천이송시 좌우이송톱니가 바늘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고, 천을 내측에 대도록 한다.
(c)의 조절위치에서는 천이송시 좌우이송톱니가 바늘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고, 천을 당기고자 한다. 또 (b)(c)에서는 직선 P에 대해 직선 Q의 거리가 떨어지는 정도,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의 운동량이 커진다. 이와같이 조절자(78)의 고정위치를 변경하면 이송대(20)의 상하이동 위상에 대해 상하체의 위상과 운동량을 변경한다. 이들 조절자(78)와, 조절대(77)와, 나사(79)가 위상변경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도 17 ~ 도 19를 기초로 본 발명의 제 7,8,9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7,8,9실시형태는 슬라이드방향(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하는 좌우이송톱니에 덧붙여 종래의 4이송운동을 하는 직진이송톱니를 구비한 천이송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17의 제 7실시형태는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좌우이송톱니(80)(오른쪽 이송톱니), (81)(왼쪽 이송톱니)의 양측에는 천이송방향을 따라 직진이송톱니(82)(83)가 배치된다. 이들 좌우이송톱니(80)(81)는 천이송방향을 따라 대칭인 八 모양의 비스듬한 톱니이다. 또 직진이송톱니(82)(83)는 이송대(20)에 고정되어 종래의 4이송운동을 행한다. 이와같이 이송톱니를 배치했기 때문에 좌우이송톱니(80)(81)에 의해 천이 팽팽해지거나 다가가도 직진이송톱니(82)(83)에 의해 천은 직진성이 유지된다. 또 좌우이송톱니를 비스듬한 톱니로 했기 때문에 좌우방향의 천유지력이 향상되고, 천으로의 작용이 효과적이게 된다.
도 18의 제 8실시형태는 도면과 같이 천이송방향 상류측에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좌우이송톱니(84)(오른쪽 이송톱니), (85)(왼쪽 이송톱니)를 배치하고, 천이송방향 하류측에 직진이송톱니(86)를 배치했다. 그리고 바늘낙하점은 좌우이송톱니와 직진이송톱니 사이에 설정된다. 이 때문에 봉제전의 천을 팽팽하게 하거나, 대거나(줄인다) 해도 봉제후(바늘낙하점 이후)는 직진이송톱니(86)에 의해 보내지므로 천의 직진성이 안정된다. 또 좌우이송톱니(84)(85)는 천이송방향을 따라 대칭인 八모양의 비스듬한 톱니로 했기 때문에 좌우방향의 천유지력이 향상되고 천으로의 작용이 효과적이게 된다.
또 도 19의 제 9실시형태는 천이송방향을 따라 우측에 직진이송톱니(87)를, 좌측에 슬라이드 이송톱니(88)가 배치된다. 슬라이드 이송톱니(88)는 먼저 설명한 좌우이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드운동하는 좌우이송톱니대(23)(24)의 한쪽에 고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이송톱니(88)가 운동을 부여하는 오른쪽 방향으로, 상하이송축과 수평이송축에 의해 4이송운동을 부여하는 직진이송톱니(87)가 배치된다. 또이 좌우이송톱니(88)는 천이송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비스듬한 톱니이다. 이 구성의 경우, 슬라이드 이송톱니(88)가 천을 직진이송톱니(87)를 향하게 대어도 대어진 방향으로 직진이송톱니(87)가 배치되므로 천의 직진성이 안정된다. 특히 봉제방향을 따라 천누름부에 천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배치된 경우, 이 가이드에 자동적으로 천 단이 따르게 되어 봉제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하다.
예를들면 제 1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이송톱니(27)(28)에 리브를 배치하고, 오른쪽 이송톱니(27)는 측면에서 보아 역 L자모양, 왼쪽 이송톱니(28)는 측면에서 보아 L자모양으로 하여 공간을 취하지 않고 이송톱니의 강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대신해 도 10과 같이 오른쪽 이송톱니(27)는 측면에서 보아 L자모양, 왼쪽 이송톱니(28)는 측면에서 보아 역 L자모양으로 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 오른쪽 이송톱니가 측면에서 보아 U자모양, 왼쪽 이송톱니가 측면에서 보아 역 U자모양으로 조합하거나 또 오른쪽 이송톱니가 측면에서 보아 T자모양, 왼쪽 이송톱니가 측면에서 보아 U자모양으로 조합시키거나 위에서 보아 사선모양으로 리브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 제 1실시예에서는 좌우이송톱니(27)(28)에 천이송 방향으로 교차하는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51)은, 상하이송축(30), 연동체(42), 축(43), 상하체(44), 좌우이송톱니링크(45)(46)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대신해 좌우이동수단은 슬라이드방향 Y를 따라 이송대에 고정된 2개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된 좌우이송톱니대(23)(24)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즉 좌우이송톱니의 상하운동에 동기시켜 여러개의 실린더를 제어함으로써 좌우이송톱니를 이간·접근시킴으로써 퍼커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이동수단으로서 모터를 이용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한개의 전자실린더를 이용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즉 전자실린더의 로드가 수직 위쪽을 향하도록 재봉틀 프레임에 고정하고, 이 로드와 상하체(44)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 전자실린더를 상하이동에 의해 상하체(44) 등을 통해 좌우이송톱니를 이간·접근시킴으로써 퍼커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나 전자실린더나 공기압 실린더 등을 총칭하여 액튜에이터로 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방향 Y는 천이송 방향 직행하는 방향만으로 했지만 슬라이드방향은 천이송방향에 대해 좌우의 이송방향을 역 八자모양으로 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이들 방향 등을 총칭하여 천이송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다.
또 상기 모터 등의 위상변경수단을 이용하여 역이송시에는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의 이동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 도 11의 종래의 이송장치의 이송톱니(4)(5)와 그 파지부(6)(7)를 제 1실시형태의 이송톱니(27)(28)로 치환해도 좌우이송톱니의 강성이 상승하고 또 이송톱니 끼리에 마모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이송톱니에는 각각 한 개의 지지축이 고정되지만 이를 대신해 좌우이송톱니에 각각 2개의 지지축을 고정시키고 각각을 지지축에대응하는 4개의 지지구멍을 갖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하체(44)와 좌우이송톱니대(23)(24)는 좌우이송톱니링크(45)(46)에 의해 연결되고, 그 연결형상은 V자모양이지만 평행링크형상으로 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위상변경수단은 상하이송축(30)과 좌우이송링크(41)와의 연결부에, 편심캠(75)이나 조절대(77)와 조절자(78)를 이용했다. 이를 대신하여 상하이송축(30)과 상하이송캠(32)과의 연결부에 상기 위상변경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지지구멍의 길이나 천이송대의 슬라이드방향 길이(h)를 길게 하지 않고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덜컹거림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퍼커링이 방지되는 재봉틀의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편심캠의 고정위치를 변경하여 소정위치에서 고정함으로써 좌우이송톱니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좌우이송톱니의 밸런스를 고려한 더욱 최적인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위상변경수단에 의해 바늘봉의 상하이동에 대해 상하체의 위상을 변경함으로써 천이송시의 좌우이송톱니의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운동을, 바늘에 접근시키거나(천을 줄임), 바늘로부터 이간시키거나(천을 팽팽하게함), 슬라이드방향의 운동을 없애거나(천으로의 신축이 없다)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상변경수단의 조정에 의해 봉제조건에 맞추어 최적인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봉제물이 좌우 한쪽의 방향으로 다가가면서 직진안정성을 갖는 봉제를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천이송방향을 따라 분할된 오른쪽 이송톱니·왼쪽 이송톱니로 이루어지는 좌우이송톱니와,
    이들 좌우이송톱니를 천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이송대와,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천이송방향을 따르는 수평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좌우이송톱니 각각에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을 구비한 재봉틀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좌우이송톱니가 최소한 바늘판 위에 있을 때 접근하도록 슬라이드방향으로 운동을 부여하고, 좌우이송톱니가 바늘판 밑에 있을 때 이격하도록 슬라이드방향으로 운동을 부여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개별로 고정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배치된여러개의 지지축과,
    이 지지축을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개별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최소한 상기 이송대의 양단측에 형성된 여러개의 지지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하방향을 따라 접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하체와,
    일단측이 상기 상하체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연결되는 좌우이송톱니링크와,
    상기 좌우이송톱니링크와 상하체 또는 좌우이송톱니를 연결하는 여러개의 연결핀을 구비하고, 이들 연결핀의 안 최소한 하나를 편심핀으로 하여 이 편심핀을 소정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4. 천이송방향을 따라 분할된 오른쪽 이송톱니·왼쪽 이송톱니로 이루어지는 좌우이송톱니와,
    이들 좌우이송톱니를 천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를 통해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이송대를 통해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수평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슬라이드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을 구비한 재봉틀의 천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을 따라 접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하체와,
    일단측이 상기 상하체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상기 좌우이송톱니에 연결되는 좌우이송톱니 링크와,
    상기 이송대의 상하이동 위상에 대해 상기 상하체의 위상을 변경하는 위상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5. 슬라이드 이송톱니를 천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 이송톱니에 상하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이송대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 이송톱니에 수평방향의 운동을 부여하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이송톱니에 천이송방향으로 교차하는 일방향으로의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좌우이동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이송톱니의 이동 일방향측에 상하이송축과 수평이송축에 의해 4이송 운동을 부여하는 직진이송톱니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KR1020020015516A 2001-03-23 2002-03-22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KR100861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5611 2001-03-23
JPJP-P-2001-00085611 2001-03-23
JP2001241487A JP2002346260A (ja) 2001-03-23 2001-08-09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JP-P-2001-00241487 2001-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729A true KR20020075729A (ko) 2002-10-05
KR100861147B1 KR100861147B1 (ko) 2008-09-30

Family

ID=2661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516A KR100861147B1 (ko) 2001-03-23 2002-03-22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346260A (ko)
KR (1) KR100861147B1 (ko)
CN (1) CN1376820A (ko)
TW (1) TW5859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37833B (zh) * 2006-03-17 2011-07-06 兄弟工业株式会社 图案缝缝纫机的送料装置
CN102514042B (zh) * 2012-01-11 2013-01-09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冲孔机的冲刀选择结构
CN103710890A (zh) * 2013-12-31 2014-04-09 西安标准工业股份有限公司 缝纫机用送布机构
CN104294484B (zh) * 2014-09-05 2016-05-04 宁波瑞铭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缝纫机的牙架及其加工方法
CN104294483B (zh) * 2014-09-05 2016-05-11 宁波瑞铭机械有限公司 一种送布组件及其制备方法
CN104294495B (zh) * 2014-09-05 2016-06-08 宁波瑞铭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水平传送轴及其加工方法
JP6761659B2 (ja) * 2016-04-05 2020-09-30 Juki株式会社 ミシン
TWI684689B (zh) * 2018-08-01 2020-02-11 曾賢長 縫紉機的送布齒穩定機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6410C2 (de) * 1992-06-19 1994-10-06 Union Special Gmbh Nähmaschine mit einer Nähgutvorschubeinrichtung
JP2959338B2 (ja) * 1993-06-24 1999-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シンの送り運動発生機構
JPH08155164A (ja) * 1994-12-07 1996-06-18 Aisin Seiki Co Ltd ミシンの布送りの上下送り装置
JP4261698B2 (ja) * 1999-01-21 2009-04-30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機構
JP4105817B2 (ja) * 1999-02-03 2008-06-25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76820A (zh) 2002-10-30
JP2002346260A (ja) 2002-12-03
KR100861147B1 (ko) 2008-09-30
TW585948B (en) 200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348B1 (ko) 재봉틀의 이송장치
JP4981012B2 (ja)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おける筬振り装置
KR100861147B1 (ko)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KR100576405B1 (ko) 재봉기의 천이송장치
KR100558499B1 (ko) 재봉기의 x-y이송 구동장치
EP0682133B1 (en) Knitting yarn feeding apparatus for flat knitting machine
EP2615199B1 (en) Buttonholing machine
JPS6241035B2 (ko)
JPS6244054B2 (ko)
US7503272B2 (en) Rack and pinion type power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60049731A (ko) 재봉틀의 루퍼구동장치
CN101173431B (zh) 齿条-小齿轮式动力传递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用于驱动绣花机的绣花架的设备
JP3673902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GB2109021A (en) Cycle sewing machine
US20080168935A1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KR20000048795A (ko)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을 위한 구동장치
KR100364337B1 (ko) 상향이송기구를구비한평바느질재봉틀
KR100467107B1 (ko) 다두식 자수기
JPH09299639A (ja) 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WO2008056904A1 (en) Multihead quilting machine
JP5525204B2 (ja) ミシン
JP3656172B2 (ja) ミシン
JP7126305B1 (ja) 送り出し腕型ミシン
JP3592379B2 (ja) ミシンのx−y送り駆動装置
JP4105913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