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348B1 - 재봉틀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348B1
KR101266348B1 KR1020050087711A KR20050087711A KR101266348B1 KR 101266348 B1 KR101266348 B1 KR 101266348B1 KR 1020050087711 A KR1020050087711 A KR 1020050087711A KR 20050087711 A KR20050087711 A KR 20050087711A KR 101266348 B1 KR101266348 B1 KR 10126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kiln
conveying
feed
shangha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480A (ko
Inventor
타츠히토 아키야마
이쿠코 타케다
요시유키 사사키
토시유키 이와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4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arranged above the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봉제물의 이송을 적정하게 수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늘판(11)상의 피봉제물을 이송하는 이송톱니(41)를 유지시키는 이송대(42)와, 전(全)회전하여 이송대에 상하방향의 요동 구동력을 부여하는 상하이송축(43)과, 이송대에 이송방향의 요동 구동력을 부여하는 수평이송축(46)과, 수평이송축의 수평요동폭을 조절하는 이송량조절기구(52)를 구비하며, 상하이송축을 수평이송축보다도 피봉제물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배치한다. 상하이송축(43)의 이송대(42)측 단부는, 수평이송축(46)의 이송대(42)측 단부 혹은 전회전 가마(31)의 이송대(42)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22)측이 되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이송장치{FEEDING DEVICE USED FOR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의 베드부내의 주요부의 구성만을 평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W-W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전달기구에 있어서의 수평이송축에 전달하는 왕복회동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이송량조절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이송톱니의 정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의 이동궤적과 상류측 단부의 이동궤적을 나란히 도시한 선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재봉틀의 이송장치의 주요한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재봉틀에 있어서의 이송톱니의 정이송방향의 하류측 단부의 이동궤적과 상류측 단부의 이동궤적을 나란히 도시한 선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전회전 가마(31)의 근방을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100)을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재봉틀 11 : 바늘판
13 : 타이밍 벨트 14, 15 : 풀리
31 : 전(全)회전 가마 31a : 겉가마
31b : 속가마 32 : 가마축
33 : 속가마 누르개 40 : 이송장치
41 : 이송톱니 42 : 이송대
43 : 상하이송축 46 : 수평이송축
52 : 이송량조절기구 60 : 기어기구
본 발명은, 이송톱니의 이송운동에 의해 피봉제물을 이송하는 재봉틀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봉틀에서는, 주 구동원인 재봉틀 모터로부터 재봉틀의 각부에 그 구동력을 전달하여 활용함으로써, 구동원의 단일화를 도모하고 있다(또한, 여기서 말하는 '동기'란 자연수 배의 주기 또는 주파수로 구동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재봉틀 아암부측에서, 재봉틀 모터에 의해 재봉틀 아암내에서 전(全)회전 구동하는 상축을 통해 각부에 그 구동력이 부여되고, 재봉틀 베드부측에서, 벨트나 로드 등의 연결에 의해 상축과 동일속도/동일방향으로 전회전 구동하는 하축을 통해 이송톱니 등의 각부에 그 구동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이송톱니는, 상하이송축 및 수평이송축에 의해 상하의 요동과 이송방향의 요 동이 같은 주기 및 적당한 위상으로 조합되어 부여되며, 타원형의 궤적을 그리는 운동을 한다. 이러한 타원형 궤적의 상부를 통과할 때 이송톱니의 상단부가 바늘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피봉제물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가마는, 상축에 연동하여 상축의 2배속이면서 역회전으로 회전구동된다.
통상, 하축은 상기한 상하이송축으로서 사용되며, 상하이송축으로부터 가마축이나 수평이송축에 연결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재봉틀 베드부내의 공간의 유효한 활용이나 부품수의 감소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에는, 하축이 가마축, 상하이송축, 수평이송축의 모든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마축을 상축의 2배속으로 역회전 구동시킬 필요가 있고, 게다가 수평이송축은 요동운동이 되므로, 상하이송축의 기능으로서만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재봉틀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틀 베드부내에서 가마축(101)을 사이에 두고 피봉제물의 이송방향 상류측에 수평이송축(102)이 설치되고, 하류측에 상하이송축(103)이 설치되어 있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상하이송축(103)은, 상축과 동일방향 동일속도로 재봉틀 모터에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편심 캠(104)에 의해 상하방향의 왕복구동으로 변환하여 이송톱니(105)를 유지시키는 이송대(106)에 상하동작을 전달하였다.
또한, 수평이송축(102)은, 상하이송축(103)의 회전구동을 수평방향의 왕복요동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그 왕복범위의 조절이 가능한 주지의 전달기구에 의해 이송대(106)에 수평왕복동작을 전달하였다.
또한, 가마축(101)은, 상하이송축(103)으로부터 주지의 전달기구에 의해 2배 속 역회전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가마를 회전구동하였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0-176189호
그런데, 상기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이송톱니(105)를 가지는 이송대(106)의 이송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이송방향의 왕복이동동작이 부여되며, 타단부로부터 상하방향의 왕복이동동작이 부여되는 구조이므로, 이송톱니의 이송방향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에서는 그 상하이동의 변위가 달라진다. 도 7의 A1은 이송톱니(105)의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며, B1은 이송톱니(105)의 이송방향 상류측 단부의 이동궤적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중 가로축은 바늘판 상면의 높이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톱니의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에서는, 상하이송축(103)으로부터 가깝기 때문에, 그 상하이동의 변위가 커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재봉틀의 바늘판상에는 봉제시에 상방으로부터 피봉제물을 가압하여 누르는 노루발(107)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노루발(107)은, 그 이송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가 무게중심이 되며, 상기 무게중심에 대해 이송방향의 하류측 위치에서 지지 로드(10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노루발(107)에 대해, 이송톱니(105)에 의해 이송방향 하류측이 커다란 변이로 상방이동력을 부여받으면, 탄성적으로 가압지지되어 있던 노루발(107)이 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되어, 피봉제물의 이송이 적정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톱니(105)의 상 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에서 바늘판으로부터의 돌출높이가 일치하도록 조정하면, 상하방향의 변이가 작은 상류측에서, 타원의 장축측 정점위치가 바늘판의 상방에 나타나, 도 7의 부호 h의 거리만큼 이송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이송톱니의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에서 이송량에 차이가 생기는데, 이 경우 또한 피봉제물의 적정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노루발의 튀어오름을 방지하는 이송톱니의 이송궤적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이송축의 회전기구의 구성을 간단히 함과 동시에 상기 기구에 대해 윤활재를 불필요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에 의한 유지보수(maintenance) 등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바늘판상의 피봉제물을 이송하는 이송톱니를 유지시키는 이송대; 전(全)회전함으로써 이송대에 대해 상하방향 요동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상하이송축; 가마축을 사이에 두고 상하이송축의 반대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이송대에 이송방향의 요동의 구동력을 부여하는 수평이송축; 및 수평이송축의 수평요동폭을 조절하는 이송량 조절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의 요동과 이송방향의 요동의 합성에 의해 이송톱니가 타원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피봉제물을 이송하는 재봉틀의 이송장치로서, 상하이송축을 수평이송축보다도 피봉제물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전회전'이란,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왕복회동하는 경우와는 달리, 연속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상하이송축이 수평이송축보다도 이송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방향 상류측이 하류측보다도 상하이동의 변위가 커지는 상태에서 이송톱니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하이송축이 타이밍 벨트에 의해 전회전의 구동력을 부여받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상하이송축이 타이밍 벨트를 통해 구동원 혹은 상축으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가, 상기 수평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에 배치되며, 전회전운동을 함으로써 고온이 되는 부위가, 수평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측에 배치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가, 상기 가마축에 연결되는 가마의 세로몸체부와는 반대되는 측의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채용하 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에 배치되며, 전회전운동을 함으로써 고온이 되는 부위가, 가마축에 연결되는 가마의 세로몸체부와는 반대되는 측의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측에 배치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마축의 세로몸체부와는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는, 속가마와 회전하는 겉가마로 이루어진 가마가 설치되며, 상기 속가마를 누르는 속가마 누르개는, 상기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의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와 반대되는 측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가마축의 세로몸체부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는 속가마와 겉가마로 이루어진 가마가 설치되고, 상기 속가마를 누르는 속가마 누르개는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와 반대되는 측에서 고정된다.
[제 1 실시형태]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재봉틀(10)의 후술하는 베드부(21)내의 주요부의 구성만을 평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W-W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재봉틀(10)은, 재봉바늘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기구(미도시)와, 그 구동원이 되는 재봉틀 모터(미도시)와, 전회전 가마(31)에 의해 재봉바늘에 삽 입통과된 재봉실에 밑실을 얽어매는 가마기구(30)와, 재봉바늘의 상하이동에 맞추어 바늘판(11)상의 피재봉물인 천을 이송하는 이송장치(40)와, 이송장치(40)의 상하이송축(43)으로부터 가마기구(30)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기구(60)와, 바늘판(11)상의 천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유지시키는 노루발(19)과, 상기 각 구성을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2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20)은, 재봉틀(10) 전체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하는 베드부(21)와, 재봉틀 베드부(2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세워 설치된 세로몸체부(22)와, 세로몸체부(22)의 상단부로부터 베드부(21)와 동일방향으로 연장설치된 아암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드부(21)는 재봉틀(10)을 수평면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이 수평이 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베드부(21)의 길이방향을 Y축방향으로 하고, 수평면에 평행하면서 Y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축방향이라 하고, X축 및 Y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Z축방향이라 한다.
(바늘판 및 노루발)
바늘판(1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부(21)의 상면이면서 세로몸체부(22)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늘판(11)에는 재봉바늘이 삽입통과되는 바늘구멍과 후술하는 이송장치(40)의 이송톱니(41)가 출몰하는 관통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노루발(19)은 바늘판(11)의 바늘구멍 및 관통구멍(11a)의 수직상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노루발(19)을 지지하는 노루발 로드(18)를 통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노루발(19)은 그 길이방향이 X축방향을 따른 상태로 바늘판(11)상에 배치되며, 노루발(19)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보다도 천 이송방향의 하류측(도 3의 좌측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난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노루발(19)은, 노루발 로드(18)의 하단부에 대해 Y축방향을 따른 지지축 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노루발(19)의 양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어느 정도 요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노루발(19)의 길이방향에서의 정확히 중간위치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재봉바늘을 통과시키는 노치(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치가 재봉바늘의 바늘낙하위치와 일치하는 배치로 노루발 로드(18)에 지지되어 있다.
(상하이동기구 및 재봉틀 모터)
상하이동기구는, 아암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재봉틀 모터에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Y축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축(12)과, 재봉바늘을 하단부에서 유지시키는 바늘대와, 상축(12)의 회전구동력을 상하이동의 왕복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바늘대에 전달하는 주지의 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축(12)에는 세로몸체부(22)측의 단부에, 후술하는 이송장치(40)의 상하이송축(43)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타이밍 벨트(13)를 거는 풀리(14)가 고정적으로 장비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밍 벨트(13)는, 세로몸체부(22)내에서 Z축방향에 대해 어느 정도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걸쳐져 있다.
재봉틀 모터는, 아암부의 세로몸체부측 단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축(12)을 회전구동시킨다. 재봉틀 모터는 그 출력축을 상축(12)의 일단부에 직접 연결시켜도 좋고, 기어 등의 전달기구를 통해 연결시켜도 좋다.
(가마기구)
가마기구(30)는, 베드부(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술한 전회전 가마(31)와, 그 일단부에서 전회전 가마(31)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베드부(21)내에서 Y축방향을 따른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가마축(32)을 구비하고 있다.
가마축(32)은, 전회전 가마(31)의 배치에 대응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부(21)내에서 X축방향의 중앙위치이면서 Y축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마축(32)은 전회전 가마(31)와는 반대측 단부에서 기어기구(60)로부터 전회전 가마(31)의 회전구동력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전회전 가마(31)는, 재봉바늘로부터 재봉실을 포착하여 루프를 형성하는 뾰족한 끝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회전 가마(31)의 회전에 의한 뾰족한 끝부분의 통과궤적이 정확히 재봉바늘의 바늘낙하위치 옆을 지나도록, 전회전 가마(31)는 바늘판(11)의 바늘구멍의 수직 하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회전 가마(31)는, 전술한 뾰족한 끝부분을 구비하며 회전하는 겉가마(31a)와, 겉가마(31a)의 내측에 끼워진 속가마(31b)를 구비하고 있다.
겉가마(31a)는, 가마축(32)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부여받음으로써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속가마(31b)는, 일단이 베드부(21)에 고정된 속가마 누르개(33)의 타단부와 걸림결합됨으로써 축둘레방향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속가마 누르개(33)는, 그 일단, 즉 기저단부가 후술하는 수평이송축(46)의 이송대(42)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22)와 반대되는 측에서 베드부(2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속가마 누르개(33)는,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구부러져 형성되며, 그 타단부가 속가마(31b)의 세로몸체부(22)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걸림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재봉틀(10)의 작업자는, 베드부(21)에 대한 속가마 누르개(33)의 부착 위치를, 베드부(21)의 하방으로부터 나사(33a)를 느슨하게 풀고, 긴 구멍(33b)이 형성된 속가마 누르개(33)를 베드부(21)에 형성된 가이드홈(21a)을 따라 X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속가마(31b)의 베드부(21)에 대한 고정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송장치)
이송장치(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11a)으로부터 바늘판(11) 상면으로 출몰하여 천을 소정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톱니(41)와, 이송톱니(41)를 유지하는 이송대(42)와, 이송대(42)를 상하방향(Z축방향)을 따라 왕복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력이 상축(12)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이송축(43)과, 상하이송축(43)의 회전구동력을 편심 캠(44; 제 1 편심 캠)에 의해 상하방향의 왕복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이송대(42)에 전달하는 편심 로드(45; 제 1 편심 로드)와, 이송대(42)를 이송방향(X축방향)을 따라 왕복시키기 위한 왕복회동 구동력이 상하이송축(43)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이송축(46)과, 수평이송축(46)의 왕복회동 구동력을 이송방향의 왕복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이송대(42)에 전달하는 수평이송 아암(47)과, 상하이송축(43)의 회전구동력을 왕복회동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수평이송축(46)으로 전달하는 전달기구(48)를 구비하고 있다.
상하이송축(43)은, 베드부(21)내에서 Y축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전술한 가마축(32)보다도 천의 이송방향 상류측(도 2 및 도 3에서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이송축(43)의 세로몸체부(22)측의 일단부에는 상축(12)으로부터 타이밍 벨트(13)를 통해 전회전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는 풀리(15)가 고정적으로 장비되어 있다. 이러한 풀리(15)는 전술한 상축의 풀리(14)와 톱니의 수가 동일하며, 상하이송축(43)에는 상축(12)과 동일한 방향(도 2 및 도 3에서의 시계회전방향)에서 동일한 속도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상하이송축(43)의 타단부는 바늘판(11)의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타단부에는 편심 캠(44)이 고정적으로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 캠(44)을 통해 편심 로드(45)의 일단부가 상하이송축(43)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편심로드(45)는, 그 일단부가 원형인 편심 캠(4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이송대(42)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편심 로드(45)는, 이송대(42)와의 연결단부가 상하이송축(43)과의 연결단의 거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이송축(43)이 전회전으로 구동하면, 편심 캠(44)에 의해 그 편심량의 2배의 스트로크로 상하방향을 따른 왕복이동의 구동력을 이송대(42)의 일단부에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하이송축(43)의 타단부는, 그 선단, 즉 상기 상하이송축(43)의 이송대(42)측 단부가 후술하는 수평이송축(46)의 선단보다도 세로몸체부(22)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8 참조). 즉,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상하이송축 (43)은, 그 좌측단이 도 1 및 도 8에서의 수평이송축(46)의 좌측단보다도 우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이송축(43)의 세로몸체부(22)측의 일단부 근방에는, 전달기구(48)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전달기구(48)가 구비하는 수평이송축(46)에 전달하는 왕복회동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이송량조절기구(5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기초하여 전달기구(48)에 대해 설명한다.
전달기구(48)는, 상하이송축(43)에 고정적으로 장비된 편심 캠(49; 제 2 편심 캠)과, 편심 캠(49)을 통해 상하이송축(43)에 일단부가 연결된 편심 로드(50; 제 2 편심 로드)와, 수평이송축(46)에 고정적으로 장비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이송축(46)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요동 아암(51)과, 편심 로드(50)의 타단부와 요동 아암(51)의 요동단부와의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수평이송축(46)에 전달하는 왕복회동각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송량 조절기구(52)를 구비하고 있다.
편심로드(50)는, 그 일단부가 원형인 편심 캠(49)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이송량 조절기구(52)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편심 로드(50)는, 그 길이방향이 대체로 X축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이송축(43)이 전회전으로 구동하면, 편심 캠(49)에 의해 그 편심량의 2배의 스트로크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동작을 한다. 이러한 편심 로드(50)의 왕복동작이 이송량 조절기구(52) 및 요동 아암(51)을 통해 수평이송축(46)에 대한 왕복회동 구동력으로서 전달된다.
이송량 조절기구(52)는, 편심 로드(50)의 타단부와 요동 아암(51)을 연결하 는 한 쌍의 제 1 링크체(53)와, 편심 로드(50)의 타단부의 왕복운동방향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제 2 링크체(54)와, 제 2의 링크체(54)에 의한 유도방향을 조절하는 브래킷 부재(55)와, 상기 조절을 위해 브래킷 부재(55)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조절용 손잡이(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링크체(53)는, 그 일단부가 편심 로드(50)의 타단부에, 그리고 그 타단부가 요동 아암(51)의 요동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링크체(54)는, 그 일단부가 편심 로드(50)의 타단부에, 그리고 그 타단부가 브래킷 부재(55)의 회동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브래킷 부재(55)는, 그 기저단부가 본체 프레임(20)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회동단부는 제 2 링크체(54)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량 조절기구(52)의 상기 각 구성의 회동연결부는 모두 그 회동축이 Y축방향을 향해 있다.
조절용 손잡이는, 그 수동조작부가 본체 프레임(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수동조작부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브래킷 부재(55)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용 손잡이는 수동조작부에 의해 회전조작을 가할 수 있으며, 그 정·역의 회전방향에 따라, 브래킷 부재(55)의 회동단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량 조절기구(52)에서는, 제 1 링크체(53)와 제 2 링크체(54)의 각각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는 상태, 즉 각 링크체(53, 54)가 정확히 겹쳐지는 상태에서 편심 로드(50)의 구동력이 요동 아암(51)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 수평이송축(46)은 회동을 하지 않으므로, 천의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각 링크체(53, 54)가 겹치도록 브래킷 부재(55)가 회동조절된 위치를 상기 브래킷 부재(55)의 중립위치로 하고, 조절용 손잡이에 의해 브래킷 부재(5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회동각도에 따른 이송량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이송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력을 수평이송축(46)에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수평이송축(46)은, 베드부(21)내에서 Y축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전술한 가마축(32)보다도 천 이송방향의 하류측(도 2 및 도 3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이송축(46)의 세로몸체부(22)측의 일단부에는 전술한 이송량조절기구(52)를 통해 상하이송축(43)으로부터 왕복회동 구동력이 부여되며, 타단부로부터 수평이송아암(47)을 통해 이송대(42)에 X축 방향을 따른 왕복 구동력을 전달한다.
수평이송아암(47)은, 그 기저단부가 수평이송축(46)의 바늘판(11)측 단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그 요동단부는 대략 상방을 향한 상태로 이송대(42)에 연결되어 있다.
이송대(42)는, 바늘판의 하방에 설치되며, 천 이송방향(X축방향)에서의 일단부가 편심로드(45)를 통해 상하이송축(4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수평이송아암(47)을 통해 수평이송축(4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송대(42)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의 상부에는 이송톱니(41)가 고정적으로 장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송대(42)는 그 일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왕복 구동력이 부여 되며, 타단부로부터는 동일한 주기로 이송방향의 왕복 구동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이러한 왕복 구동력이 합성됨으로써 X-Z 평면을 따라 타원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이송대(42)를 따라 이송톱니(41)도 타원운동을 하며, 상기 타원운동 궤적의 상부영역을 통과할 때 이송톱니(41)의 선단부가 바늘판(11)의 관통구멍(11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천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송대(42)는, 상하이송축(43)측의 단부가 약간 세로몸체부(22)측에 구부러져 형성(오프셋)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기어기구)
기어기구(60)는, 이송장치(40)의 상하이송축(43)에 고정적으로 장비된 주동기어(61)와, 가마기구(30)의 가마축(32)에 고정적으로 장비된 종동기어(6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주동기어(61)와 종동기어(62)는 서로 맞물리며, 주동기어(61)의 톱니수가 종동기어(62)의 톱니수의 2배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어기구(60)는, 가마축(32)을 통해 전회전 가마(31)를 상축(12) 및 상하이송축(43)의 2배의 회전속도로 양축(12, 43)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재봉틀의 동작 설명)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재봉틀(10)에서는, 재봉틀 모터가 회전구동을 개시하면, 상축(12)이 재봉틀 모터의 회전 출력에 따른 회전수로 회전 구동되어, 상하이동기구는 상축(12)의 회전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재봉바늘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축(12)의 회전구동력은 타이밍 벨트(13)를 통해 이송장치(40)의 상 하이송축(43)에 전달되며, 상기 상하이송축(43)은 상축과 동일방향 및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구동한다. 상하이송축(43)은 편심 캠(44) 및 편심 로드(45)를 통해 이송대(42) 및 이송톱니(41)를 재봉바늘의 상하이동과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하이송축(43)의 회전구동력이 전달기구(48)에 의해 왕복의 회동구동력이 되어 수평이송축(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수평이송축(46)은 수평이송아암(47)을 통해 이송대(42) 및 이송톱니(41)를 재봉바늘의 상하이동과 동기하여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이송장치(40)는 이송톱니(41)에 대해 상하이동 및 이송방향에 따른 왕복이동의 구동력을 합성하여 부여하고, 그 결과, 이송톱니(41)가 타원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원운동 궤적의 상부를 통과할 때 이송톱니가 바늘판(11)의 관통구멍(11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노루발(19)에 의해 가압된 천을 하방으로부터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또한, 이송장치(40)에는 이송방향의 왕복이동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는 이송량조절기구(5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절용 손잡이를 수동조작함으로써, 정(正)이송방향(도 2 및 도 3의 좌측) 또는 역(逆)이송방향의 이송 피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 이송 피치를 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송장치(40)에서는 설정된 이송 피치로 재봉바늘의 상하이동에 동기하여 천을 이송한다.
또한, 상하이송축(43)의 회전구동력은 기어기구(60)를 통해 가마축(32) 및 전회전 가마(31)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전회전 가마(31)가 재봉바늘의 상하이동 에 대해 2배의 회전속도로, 상축(12) 및 상하이송축(43)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들 상하이동기구, 이송장치(40) 및 가마기구(30)의 협동에 의해, 재봉바늘이 상하로 이동할 때마다 전회전 가마(31)가 재봉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얽어매고, 재봉바늘에 동기하여 설정 피치로 천이 이송되어 봉제가 실행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설명)
도 5의 A2는 이송톱니(41)의 정이송방향의 하류측 단부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며, B2는 이송톱니(41)의 정이송방향의 상류측 단부의 이동궤적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중 가로축은 바늘판 상면의 높이를 나타낸다.
상기 재봉틀(10)에서는, 상하이송축(43)을 수평이송축(46)보다도 정이송방향의 상류측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송톱니(41)의 상류측 단부의 이동궤적(B2)을 하류측의 이동궤적(A2)보다도 그 상하이동의 변위에 대해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노루발(19)은 그 무게중심위치(길이방향의 중간위치)보다도 정이송방향의 하류측에서 노루발 로드(18)에 가압지지되어 있으므로, 하류측 단부쪽이 상하이동의 변위가 작아지도록 이송톱니(41)가 상하이동을 하면, 이송톱니(41)의 상단의 운동에 용이하게 추종하여, 그 튀어오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이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된 피치에 충실하게 피봉제물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루발(19)의 튀어오름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이송톱니(41)의 상류측 단부의 상사점 위치를 높은 위치로 설정할 필요가 없어져, 천의 이송이 리턴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도 천의 이송을 적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축(12)과 상하이송축(43)을 타이밍 벨트(13)에 의해 연동시킴으로써, 이들 사이에 기어를 개재시킬 필요를 없애, 드라이화(액체윤활제를 사용하지 않음)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밍 벨트에 의해 각 축(12, 43)을 연동시키면, 기어전달의 경우에 비해, 구조의 용이화, 부품수의 경감, 설치 공간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밍 벨트(13)에 의해 상축(12)과 상하이송축(43)간의 연동을 도모한 경우에는, 상기 상축(12)과 상하이송축(43)간의 동일속도 및 동일방향 회전의 연동을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이송축(43)의 이송대(42)측 단부가 수평이송축(46)의 이송대(42)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22)측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전회전 가마(31) 부분으로의 액세스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하이송축(43)을 수평이송축(46)보다도 피봉제물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피봉제물의 반송방향 상류측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경우에, 전회전시 고온화될 우려가 있는 상하이송축(43)의 이송대(42)측 단부를 작업자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속가마(31b)를 누르는 속가마 누르개(33)를 상하이송축(43)의 이송대(42)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22)와 반대되는 측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속가마 누르개(33)에 대한 액세스가 용이해져, 속가마 누르개(33)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그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100)에 있어서, 일단에 풀리(15)가 장비된 상하이송축(430)의 타단부는, 그 선단, 즉 상기 상하이송축(430)의 이송대(420)측 단부가 전회전 가마(31)의 세로몸체부(22)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22)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전술한 재봉틀(10)과 다르다(도 9 참조). 즉, 도 9에 도시한 상하이송축(430)은, 그 이송대(420)측 단부가 도 9에서의 전회전 가마(31)의 좌측보다도 우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송대(420)는, 상하이송축(430)측의 단부가 세로몸체부(22)측에 구부러져 형성(오프셋)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에 의한 재봉틀(100)의 전회전 가마(31) 부분에 대한 액세스가 한층 용이해진다. 따라서, 전회전으로 인해 고온이 될 우려가 있는 상하이송축(430)의 선단부(도 9의 좌측단부)에 대한 작업자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이송축이 수평이송축보다도 이송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방향 상류측이 하류측보다도 상하이동 변위가 커지는 상태에서 이송톱니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그 무게중심 위치보다도 이송방향 하류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가압지지되어 있는 노루발은 이송톱니의 상단부의 운동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게 되어, 튀어오름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적정하게 피봉제물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효과에 수반하여, 종래와 같이, 이송톱니의 상류측 단부의 상사점(上死點) 위치를 높은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되돌아오는 현상이 발생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관점에서 보더라도 피봉제물의 이송을 적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타이밍 벨트에 의해 회전구동됨으로써, 드라이화(액체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음)에 용이하게 대응함과 동시에, 기어 전달의 경우에 비해, 구조의 용이화, 부품수의 감소, 설치 공간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밍 벨트에 의해 상축과의 연동을 도모한 경우에는, 상기 상축과 상하이송축 간의 동일속도 동일방향 회전의 연동을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가 수평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보빈의 교환 등 작업자에 의한 재봉틀의 가마부분 등으로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이송축을 수평이송축보다도 피봉제물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피봉제물의 반송방향의 상류측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경우에, 전회전을 함으로써 고온화될 우려가 있는데, 그 경우에도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를 작업자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가 가마축에 연결되 는 가마의 세로몸체부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재봉틀의 가마부분 등으로의 액세스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이송축을 수평이송축보다도 피봉제물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피봉제물의 반송방향의 상류측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경우에, 전회전을 함으로써 고온화될 우려가 있는데, 그 경우에도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를 작업자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속가마를 누르는 속가마 누르개가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와 반대측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속가마 누르개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속가마 누르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일단부에서 전(全)회전 가마를 유지하는 동시에 베드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마축과,
    바늘판상의 피봉제물을 이송하는 이송톱니를 유지시키는 이송대와,
    상기 피봉제물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피봉제물의 반송방향 하류측에서 지지되는 노루발과,
    아암부의 세로몸체부측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아암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축을 회전 구동하는 재봉틀 모터와,
    베드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이송축과,
    상기 상축과 상기 상하이송축에 걸쳐지며, 상기 재봉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 상축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상하이송축에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와,
    상기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의 단부에 고정 장비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에 의해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상하방향의 왕복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제 1 편심 캠과,
    상기 제 1 편심 캠에 의해 변환된 상기 상하방향의 왕복 구동력을 상기 이송대에 전달하는 제 1 편심 로드와,
    상기 베드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가마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하이송축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수평이송축과,
    상기 상하이송축의 세로몸체부측의 단부에 고정 장비된 제 2 편심 캠과,
    상기 제 2 편심 캠을 통해 상기 상하이송축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상하이송축의 회전 구동력을 왕복회동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수평이송축에 전달하는 제 2 편심 로드와,
    상기 제 2 편심 로드의 타단부와 상기 수평이송축의 세로몸체부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수평이송축의 수평 요동폭을 조절하는 이송량조절기구와,
    상기 수평이송축의 이송대측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 2 편심 로드에 의해 상기 수평이송축에 전달된 왕복회동 구동력을 이송방향의 왕복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송대에 전달하는 수평이송 아암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편심 로드에 의해 전달된 상하방향의 왕복 구동력과 상기 수평이송 아암에 의해 전달된 이송방향의 왕복 구동력의 합성에 의해 상기 이송톱니가 타원 운동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피봉제물을 이송하는 재봉틀의 이송장치로서,
    상기 상하이송축을 상기 수평이송축보다도 상기 피봉제물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배치하며,
    상기 상하이송축에는, 상기 가마축에 고정된 종동(從動)기어에 서로 맞물려 상기 가마축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는 주동(主動)기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이송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는, 상기 수평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 단부는, 상기 가마축에 연결되는 전회전 가마의 세로몸체부와는 반대되는 측의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심 캠 및 상기 제 1 편심 로드는, 상기 수평이송아암보다도 상기 가마축에 연결되는 전회전 가마에 접근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이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회전 가마는, 속가마와 회전하는 겉가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마축의 세로몸체부와는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속가마를 누르는 속가마 누르개는, 상기 상하이송축의 이송대측의 단부보다도 세로몸체부와 반대되는 측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이송장치.
KR1020050087711A 2004-09-22 2005-09-21 재봉틀의 이송장치 KR101266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5729 2004-09-22
JPJP-P-2004-00275729 2004-09-22
JP2005123492A JP4624169B2 (ja) 2004-09-22 2005-04-21 ミシンの送り装置
JPJP-P-2005-00123492 2005-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480A KR20060051480A (ko) 2006-05-19
KR101266348B1 true KR101266348B1 (ko) 2013-05-22

Family

ID=3620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711A KR101266348B1 (ko) 2004-09-22 2005-09-21 재봉틀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24169B2 (ko)
KR (1) KR101266348B1 (ko)
CN (1) CN1752321B (ko)
DE (1) DE102005045278A1 (ko)
TW (1) TWI3742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7007828U1 (de) 2007-06-02 2008-10-09 Quithell Kunststofftechnik Gmbh Dehnungsfugenstreifen für Estrichböden
JP2009142411A (ja) * 2007-12-13 2009-07-02 Brother Ind Ltd ミシン
EP2143854B1 (de) 2008-07-07 2015-11-18 Quithell Kunststofftechnik GmbH Dehnungsfugenstreifen für Estrichböden
JP2010246839A (ja) * 2009-04-20 2010-11-04 Juki Corp ミシン
DE202010003965U1 (de) 2010-03-19 2011-08-03 Quithell Kunststofftechnik Gmbh Dehnungsfugenstreifen oder Randdämmstreifen
CN202766776U (zh) * 2011-07-25 2013-03-06 兄弟工业株式会社 缝纫机
JP5940307B2 (ja) * 2012-01-18 2016-06-29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送り調節機構
CN103469498B (zh) * 2013-09-12 2015-04-08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平缝机大针距送料机构
KR20170017185A (ko) 2015-08-05 2017-02-15 주식회사 골든아타치먼트 재봉틀의 피봉제물 이송장치
CN111926471B (zh) * 2019-05-13 2023-09-05 Juki株式会社 针进给缝纫机
JP7262323B2 (ja) * 2019-06-24 2023-04-21 Juki株式会社 ミシン及び調節方法
MX2022003953A (es) * 2019-10-01 2022-04-25 Vi Be Mac Spa Dispositivo de avance de tela para maquinas de coser.
CN115182104A (zh) * 2021-04-02 2022-10-14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柔性调节的送料勾线机构及缝纫机
CN115182111B (zh) * 2021-04-02 2024-06-18 杰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缝纫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5481U (ja) * 1984-03-27 1985-10-16 株式会社 廣瀬製作所 ミシンの全回転かま
JP2897308B2 (ja) * 1990-01-11 1999-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H04211754A (ja) * 1990-03-19 1992-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ム機構およびこのカム機構を用いたミシン
KR100665395B1 (ko) * 1999-11-22 2007-01-04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JP2001162076A (ja) * 1999-12-07 2001-06-19 Juki Corp ミシンの布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480A (ko) 2006-05-19
DE102005045278A1 (de) 2006-05-04
CN1752321B (zh) 2012-01-11
TWI374208B (en) 2012-10-11
CN1752321A (zh) 2006-03-29
JP2006116290A (ja) 2006-05-11
TW200619450A (en) 2006-06-16
JP4624169B2 (ja) 201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348B1 (ko) 재봉틀의 이송장치
KR20170114978A (ko) 재봉기
US8272111B2 (en) Device for needling a fibrous web
JP2008259752A (ja) ミシンの送り装置
KR20080108035A (ko) 재봉기 및 이 재봉기를 위한 작업 방법
EP2476789B1 (en) Sewing Machine
JP6001424B2 (ja) ミシン
KR101365475B1 (ko) 모터 직결식 재봉기의 이송 구조
KR100723025B1 (ko) 미싱
EP2615199B1 (en) Buttonholing machine
JP2013132330A (ja) ミシン
CN106048917B (zh) 缝纫机
CN109537182B (zh) 缝纫机
KR20040038716A (ko) 재봉틀
JP2007222282A (ja) ミシン
CN104711777A (zh) 驱动针刺机中的针杆的方法
KR20000048795A (ko)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을 위한 구동장치
KR20020075729A (ko) 재봉틀의 천이송장치
KR100364337B1 (ko) 상향이송기구를구비한평바느질재봉틀
CN111926471B (zh) 针进给缝纫机
JP3424191B2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US325599A (en) Button-hole sewing-machine
CN118087169A (zh) 缝纫机
US3538870A (en) Looptaker drive mechanism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CN109518362A (zh) 缝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