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395B1 -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395B1
KR100665395B1 KR1020000069138A KR20000069138A KR100665395B1 KR 100665395 B1 KR100665395 B1 KR 100665395B1 KR 1020000069138 A KR1020000069138 A KR 1020000069138A KR 20000069138 A KR20000069138 A KR 20000069138A KR 100665395 B1 KR100665395 B1 KR 10066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ewing machine
shaft
adjusting
machin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825A (ko
Inventor
이와타토시유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2Work-feeding means with means for setting length of stitc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Abstract

작은 힘으로 천이송의 조정을 무단계로 할 수 있는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경사각도를 바꿈으로써 이송톱니의 천이송량이 바뀌고, 경사방향을 역회전함으로써 이송톱니의 천이송방향이 역회전하는 캠부(31a,31b)를 구비한 이송조절기(31)와, 이 캠부(31a,31b)에 닿는 선단부(32a)를 갖고 재봉틀 프레임에 비회전 또는 전진후퇴가능하게 지지되어 암나사(32b)가 형성된 이송조절나사(32)와, 이 암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숫나사(33a)가 형성되고 재봉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이송조절대축(33)으로 되어있다. 재봉틀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송조절대(35)를 통해 이송조절대축(33)에 이송다이얼(34)이 일체화되고, 이송조절대(35)에 의해 이송조절대축(33)의 축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FEED AMOUNT OF CLOTHING IN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이송조절체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도면으로 (1)은 조립상태의 단면도, (2)는 이송조절체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분해측면도, (3)은 재봉틀 프레임 통모양부와 이송조절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도면으로 (1)은 조립상태의 단면도, (2)는 이송조절체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분해측면도, (3)은 동 평면도, (4)는 재봉틀 프레임 통모양체와 이송조절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4의 (1)은 종래의 천이송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사시도이며, (2)는 그 이송량 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이송조절기 31a: 캠부
31b: 캠부 32: 이송조절나사
32a: 선단부 32b: 암나사
33: 이송조절축 33a: 숫나사
34: 이송다이얼 35: 이송조절대
F: 재봉틀 프레임
본 발명은 재봉틀의 천이송량을 조절하는 이송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은 도 4(1)을 참조하여 예를들면 재봉틀의 천이송장치의 개략을 설명한다.
상단을 재봉틀 주축(M)에 연결한 두개로 나뉜 로드(1)는 하단을 수평이송팔(2)에 연결한다. 수평이송팔(2)은 회전운동을 행하는 수평이송축(3)에 고정되고, 수평이송축(3)에는 단부에 고정된 팔(7)을 통해 이송톱니(10)를 구비한 이송대(11)가 연결되고 있다. 팔(7)은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왕복회전운동을 행하는 상하이송축(6)은 수평이송축(3)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단부에 고정된 팔(8)에 모서리 바퀴(9)가 마련된다. 팔(8)은 옆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모서리 바퀴(9)는 상기 이송대(11)에 배치된 2갈래로 나뉜부에 결합한다. 또 상하이송축(6)은 상하이송팔(5)을 통해 주축(M)에 연동하여 상하운동하는 상하이송로드(4)에 연결되고 있다.
캠부(13a)(13b)를 갖는 이송조절기(13)는 상단이 나사(12)에 의해 재봉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링크팔(16)은 상단이 나사(14)에 의해 두개로 나뉜 로드(1)에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하단이 나사(15)에 의해 이송조절기(13)의 중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재봉틀 기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이송조절체(17)는 재봉틀 기틀 바깥쪽으로 돌출한 기단에 조작다이얼(19)을 고정하고, 재봉틀 기틀안쪽의 선단을 이송조절기(13)의 캠부(13a) 또는 (13b)에 결합한다. 재봉틀 프레임 바깥쪽에 배치된 이송레버(18)는 그 지지축을 이송조절기(13)의 하단에 연결하여 이송레버(18)가 회전조작될 때 이송조절기(13)가 크게 경사짐으로써 천이송방향을 역방향으로 변환하도록 되어있다.
이 천이송장치에 있어서는 수평이송축(3)의 왕복회전운동에 의한 팔(7) 선단의 수평방향으로의 요동운동과 상하이송축(6)의 왕복회전운동에 의한 팔(8) 선단의 수직방향으로의 요동운동이 합성된 결과, 이송대(11)상의 이송톱니(10)가 평행사변형 또는 타원의 운동궤적을 갖는 이송운동을 행한다.
이송조절체(17)의 나사량이 바뀌면 나사(17) 선단이 캠부(13a)(13b)에 대해 전진후퇴하고, 그에 따라 이송조절기(13)가 나사(12)를 중심으로 기울기 정도를 변화시키며, 이송조절기(13)에 지지되고 있는 링크팔(16)의 하단위치가 이동한다. 링크팔(16) 하단의 위치이동에 의해 두갈래로 나뉜 로드(1)의 상하운동의 분력(分力)이 변화한다. 즉 이송조절체(17)의 나사공급량에 따라 수평이송축(3)의 회전각도가 정해지고, 1바늘째의 이송량이 조절된다.
도 4(2)와 같이 이송조절체(17)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재봉틀 프레임(F)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결합된다. 그 기부에 고정된 이송다이얼(19)의 뒷면에는 다이얼 위치결정용의 여러개의 노치부(19a)가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들어가있다. 한편 재봉틀 프레임(F)에는 상기 노치부(19a)에 대향하여 구멍(Fa)이 형성되고, 그 구멍(Fa)안에는 스프링(20) 및 조절핀(21)이 수용된다. 따라서 이송다이얼(19)을 회전조작하면 조절핀(21)이 노치부(19a)에서 빠질 때 다이얼 뒷면에 의해 스프링(20)의 힘에 맞서 조절핀(21)이 구멍(Fa)안으로 밀려내려 다이얼(19)의 회전이 허용되고, 원하는 노치부(19a)에 조절핀(21)이 결합할 때 이송다이얼(19)은 그 위치에 계지된다.
조정가능한 최소회전각도가 노치부(16a)의 핏치에 의해 규정되지만 이송다이얼(19)은 통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노치부(16a)의 핏치를 작게할 수 없고, 실제 봉제시에 있어 세세한 조정은 불가능하였다. 보다 미세한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송다이얼을 튼튼한 금속제로 하여 노치부를 작은 핏치로 하거나 이송다이얼의 지름을 크게하여 조절핀을 2개 배치하고, 노치부를 2중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그것도 무단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이 때문에 노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송조절체의 나사부에 판스프링을 밀어부치는 것도 있지만 판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이송다이얼의 회전에 상당히 큰 힘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작은 힘으로 무단계로 천이송량을 조정할 수 있는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는 경사각도를 바꿈으로써 이송톱니의 천이송량이 바뀌고, 경사방향을 역회전함으로써 이송톱니의 천이송방향이 역회전한다. 캠부(31a,31b)를 구비한 이송조절기(31)와, 이송조절기(31)의 캠부(31a,31b)에 닿는 선단부(32a)를 갖고 재봉틀 프레임(F)에 비회전과 함께 전진후퇴할 수 있도록 지지된 이송조절체(32)와, 재봉틀 프레임(F)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이송조절축(33)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송조절체(32)와 이송조절축(33)이 나사로 나사결합되고, 이송조절축(33)의 회동에 의해 이송조절체(32)가 전진후퇴하는 것이다.
이송조절체(32)는 선단부(32a)가 닫힌 통모양으로 그 내주에 암나사(32b)를 형성하고, 이송조절축(33)의 외주에 숫나사(33a)를 형성한다(도 1, 도 2).
재봉틀 프레임(F)에 고정되는 이송조절대(35)를 통해 이송조절축(33)에 이송다이얼(34)을 일체화하고, 이송조절대(35)에 의해 이송조절축(33)의 축방향의 위치를 고정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의 제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송조절기(31)는 캠부(31a) 또는 캠부(31b)를 갖는 종래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원통상의 이송조절체(32)는 그 통안에 암나사(32b)가 형성되고 있다.
이송조절체(32)의 선단부(32a)는 반원구상의 외주를 갖고 캠부(31a) 또는 캠부(31b)에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이송조절체(32)의 후단부에는 턱부(32c)가 일체화되고, 그 턱부(32c)에는 원반의 양측을 잘라낸 평면부(32c')(32c')가 형성된다.
한편 재봉틀 프레임(F)에는 이송조절체(32)를 전진후퇴가능하도록 감합고정하는 횡단면이 타원형으로 된 구멍(b)이 형성된다. 도 2(3)에 있어 구멍(Fb)의 양측 벽면(Fb')(Fb')은 이송조절체(32)의 평면부(32c')(32c')에 접동가능하도록 접촉하는 평면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송조절축(33)이 회전하거나 이송조절체(32)를 전진후퇴시켜도 이송조절체(32)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송조절축(33)의 외주에는 이송조절체(32)의 암나사(32b)에 나사결합하는 숫나사(33a)가 형성된다. 또 이송조절축(33)의 후단부에는 탈출방지용의 턱부(33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후단에 개구된 나사구멍(33c)이 형성된다.
재봉틀 프레임(F)에 고정된 이송조절대(35)는 이송조절축(33)의 턱부(33b)를 눌러 재봉틀 프레임(F)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부에 이송조절축(33)의 후단이 삽통하는 구멍(35a)이 형성된다.
이송조절축(33)은 상단을 이송조절대(35)의 구멍(35a), 시트(37), 와셔(36)를 삽통하고나서 나사(38)에 의해 이송다이얼(34)과 결합하여 일체화된다. 와셔(36)는 이송다이얼(34)의 단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시트(37)는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이송조절대(35)를 통해 이송조절축(33)과 이송다이얼(34)을 일체화하기 때문에 이송조절축(33)은 그 턱부(33b)가 이송조절대(35)에 결합하여 빠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립도 간단하다. 또한 이송조절축(33)과 이송다이얼(34)의 대 향면에는 각각 가는 방사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서도 일체화 된 후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송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이송다이얼(34)이 회전하면 그것과 일체인 이송조절축(33)이 회전된다. 그 이송조절축(33)의 숫나사(33a)에 암나사(32b)가 나사결합하는 이송조절체(32)는 그 평면부(32c)와 벽면(Fb')에 의해 축둘레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이송조절축(33)의 회전에 따라 재봉틀 프레임(F)의 구멍(Fb)안을 전진 또는 후퇴한다. 그로써 선단부(32a)와 이송조절기(31)의 캠부(31a) 또는 캠부(31b)와의 거리가 변한다. 그 때문에 이송조절기(31)의 경사각도가 변화하여 이송톱니의 천이송량이 변화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송량 조절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송량 조절장치에 비해 이송조절체(32)의 부재가 하나 늘어나고 또한 그 부재와 다른 부재 사이에 그리스가 개재됨으로써 전자솔레노이드에 의한 자동백기구 작동시의 탁탁거리는 소리가 현저히 낮아진다. 또한 이송조절체(32)의 외주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고 대략 전 길이에서 재봉틀 프레임 통상부(Fb)와의 감합상태가 얻어지기 때문에 내진성이 높아지고 재봉틀 운전시의 천이송량의 흐트러짐이 거의 없어진다.
다음 도 3에 있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제 1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이송량 조절장치와 제 1실시예의 차이점은 이송조절체(32)가 그 외주에 숫나사(32d)가 형성되고, 한편 이송조절축(33)이 통모양이고 그 내주에 암나사(33c)가 형성된 점이다. 이 숫나사(32d)의 형성에 의해 이송조절체(32)의 턱부(32c)의 위치가 그 중간부가 되고, 이송조절체(32) 및 이송조절축(33)의 나사형성부분이 제 1실시예의 것에 비해 짧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들면 정역이송량을 변경하는 캠부(31a)(31b)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 대신에 정이송용의 캠부재와 역이송용의 캠부재를 개별로 배치하여 각 캠부재에 각각 대응하고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의 이송조절체와 이송조절축 등을 배치함으로써 정이송량, 역이송량을 따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는 작은 힘으로 천이송의 조절을 무단계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천이송량의 미세조정이 용이하고, 나아가서는 봉제품질이 향상된다. 또 자동백기구 작동시의 탁탁거리는 소리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이송조절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이송조절축에 숫나사를 형성할 경우 이송조절체는 대략 앞길이에서 재봉틀 프레임과 감합상태가 얻어지기 때문에 내진성이 높아지고 재봉틀 운전시의 천이송의 흐트러짐이 거의 없어진다.
이송조절대를 통해 이송조절대축과 이송다이얼을 일체화하므로 이송조절대축이 재봉틀 프레임에서 빠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립도 간단하다.

Claims (3)

  1. 경사각도를 바꿈으로써 이송톱니의 천이송량을 바꾸는 캠부를 갖는 이송조절기와, 선단에 이 캠부에 닿는 결합부를 갖고 또한 기단측에 나사부를 갖고 재봉틀 프레임에 비회전과 함께 축선방향으로 전진후퇴가 가능하도록 지지된 이송조절체와, 재봉틀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이송조절축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송조절체와 이송조절축이 나사로 나사결합되어 이송조절축의 회동에 의해 이송조절체가 축선방향으로 전진후퇴하는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송조절체가 통상체로서 그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송조절축의 외주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재봉틀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송조절대를 통해 이송조절축에 이송다이얼이 일체화되고, 이송조절대에 의해 이송조절축의 축방향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KR1020000069138A 1999-11-22 2000-11-21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KR100665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74599 1999-11-22
JP1999-330745 1999-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825A KR20010051825A (ko) 2001-06-25
KR100665395B1 true KR100665395B1 (ko) 2007-01-04

Family

ID=1823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138A KR100665395B1 (ko) 1999-11-22 2000-11-21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665395B1 (ko)
CN (1) CN1117896C (ko)
CZ (1) CZ302077B6 (ko)
TW (1) TWI2432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4169B2 (ja) * 2004-09-22 2011-02-02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送り装置
JP2006180977A (ja) * 2004-12-27 2006-07-13 Brother Ind Ltd ミシンの送り調節機構
KR100597201B1 (ko) * 2005-02-25 2006-07-04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세퀸 공급장치
JP2006238905A (ja) * 2005-02-28 2006-09-14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の送り調節機構
JP4823700B2 (ja) * 2006-01-31 2011-11-24 Juki株式会社 ミシン
KR101006540B1 (ko) * 2007-07-06 2011-01-07 주식회사 썬스타 다이얼위치고정장치, 상기 다이얼위치고정장치에 의해고정되는 땀수조절다이얼장치, 및 상기땀수조절다이얼장치가 장착된 미싱
CN104264384B (zh) * 2014-10-23 2016-08-24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包缝机所用的针距调节结构及包缝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7078A (zh) 2001-05-30
CZ20004332A3 (cs) 2002-11-13
KR20010051825A (ko) 2001-06-25
CN1117896C (zh) 2003-08-13
TWI243220B (en) 2005-11-11
CZ302077B6 (cs)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700B2 (ja) ミシン
JP4036353B2 (ja) 送り歯高さ調整機構
KR100665395B1 (ko) 재봉틀의 이송량 조절장치
JP3673902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JP7030464B2 (ja) ミシン
JP4809551B2 (ja) 針送りミシン
JP4272766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JPS6121680B2 (ko)
JP4406505B2 (ja) ミシンの送り量調節装置
JP2016209560A (ja) ミシンのステッチ長さ調整装置及び該ステッチ長さ調整装置を備えるミシン
JP2007097811A (ja) ミシンのリンク天秤機構
US5875724A (en) Forward and reverse fabric feed control device with feed control cams for buttonhole sewing machine
JP4036361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KR200463364Y1 (ko) 재봉기의 땀폭 조절 장치
JPS6330391Y2 (ko)
JPH07213766A (ja) 回転ステッチ長調節器を備えたミシン
JP3758551B2 (ja) 針送りミシン
GB2194559A (en) A feed dog drive for sewing machines
JPS5823345Y2 (ja) 環縫いミシンの針受け装置
CN112626726B (zh) 一种抬牙高度调节机构及缝纫机
JPH0349655Y2 (ko)
CN111926471A (zh) 针进给缝纫机
JP3424191B2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S5818857Y2 (ja) ミシンの送り量規制装置
JPH03496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