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335A -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 Google Patents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335A
KR20020075335A KR1020020049975A KR20020049975A KR20020075335A KR 20020075335 A KR20020075335 A KR 20020075335A KR 1020020049975 A KR1020020049975 A KR 1020020049975A KR 20020049975 A KR20020049975 A KR 20020049975A KR 20020075335 A KR20020075335 A KR 20020075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shelf
lathe
control pane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응규
Original Assignee
정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응규 filed Critical 정응규
Priority to KR102002004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5335A/ko
Publication of KR2002007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335A/ko
Priority to PCT/KR2003/001707 priority patent/WO2004018149A1/en
Priority to AU2003253458A priority patent/AU2003253458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08Control or regulation of cutting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162Pendant control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NC 밀링머신을 통한 절삭 가공시 기 제공되는 조작패널 이외에 그 조작패널과 커넥터를 매개하여 별도 제공되는 원격 제어패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은 기설정된 좌표입력값에 따라 선반에 안착된 공작물을 절삭 가공하도록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키도록 조작패널이 제공되는 컴퓨터수치제어 방식의 밀링머신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과 커넥터를 매개하여 연결되는 원격제어패널이 선반 전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별도로 제공되며, 그 원격제어패널은 상기 선반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수동 또는 자동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수동 및 자동조작부, 상기 수동 또는 자동방식을 선택하는 절환스위치, 상기 X축, Y축, Z축에 대한 영점을 설정하는 제로리턴 스위치, 상기 공작물에 대한 절삭 가공시에 그 오차범위를 1/10, 1/100, 1/1000로 미세조정하기 위한 미세조정핸들, 상기 이송되는 선반 속도를 조절하는 이송속도선택핸들, 상기 수동 및 자동조작부에 의한 선반 이송작업시 작업개시를 지시하는 지시키이, 전반적인 구동 상태를 일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버튼, 선반을 이송하기 위해 입력한 좌표값 이전에 행했던 작업데이터를 호출하는 포스(Pos) 키이, 상기 공작물에 대한 절삭 가공시 스핀들의 회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어 절삭 가공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CNC MILLING MACHINE HAVING A DISTANT CONTROL PANEL}
본 발명은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절삭 가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별도로 제공되는 원격제어패널에 의해 보다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테이블 이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좌우 및 상하, 전후의 구동범위에 해당되는 X축, Y축, Z축 이송핸들이 제공되며, 그 X축, Y축, Z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서보모터가 제공되어 공작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송핸들을 수동·조작하여 절삭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공작물의 가공 부분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이송핸들을 조작하기 때문에, 간단한 절삭작업은 가능하나 형상이 복잡한 사선가공·원호가공 등은 작업자체가 번거롭고 정밀도가 저하되어 효율적인 절삭 가공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종 프로그램을 입력하거나 절삭조건을 설정하는 조작패널이 별도 구비되고 컴퓨터를 통해 절삭공정을 제어하는 CNC 밀링머신의 보급에 의하여 복잡한 밀링공정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NC 밀링머신은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밀링커터 등이 구비된 툴(tool)이 제공되며, 베이스(12)를 가진 프레임(14); 상기 베이스(12)에 대해 직립되게 설치되어 Z축 방향(상하)으로 왕복이동되게 설치되는 상하이송부재(16); 상기 상하이송부재(16)의 상면에 대해 X축방향(좌우)으로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는 테이블부재(18); 상기 테이블부재(18)의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되는 Y축방향(전후)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4)에 설치된 전후이송부재(20); 본체 측면부위에 공작물의 가공작업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설정값 입력을 위한 키이입력부(32); 밀링커터의 회전속도·선반의 이송방향 및 이송속도와 X축·Y축·Z축을 각각 선택하는 등의 절삭 가공작업에 필요한 구동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조작반(34)이 구비된 조작패널(30)로 구성되며, 작업자는 그러한 조작패널(30)의 각종 버튼 조작을 통해 자동으로 X축·Y축·Z축 방향으로 선반을 이송시키고, 밀링커터의 회전속도 등을 설정하여 절삭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였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선반이 해당 서보모터 구동에 따라 X축·Y축·Z축 방향으로 이송될 때, CRT(36)에 나타나는 축의 좌표값을 참조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가공물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CNC(컴퓨터 수치제어) 밀링머신은 회전하는 날끝을 가진 밀링커터를 사용하여 평면절삭, 곡면절삭, 각종 홈 절삭은 물론 나사, 기어, 캠 등의 절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공작기계로서, 수직 및 수평 밀링작업과 공작물의 평면, 측면 및 사면 가공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상하 및 전후, 좌우로 구동 범위를 갖는 테이블의 이송을 조절하여 가공물을 가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CNC 밀링머신에 구비된 조작패널(30)은 프레임(14)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 연결브라켓에 연결된 구조로 그 프레임(1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조작패널(30)은 대부분 상기 연결브라켓으로 인해 작업자 전방에 위치되지 못하고 밀링머신의 본체 측면부위에 대부분 위치되기 때문에, 절삭 가공시 작업자는 조작패널(30) 및 그 조작패널(30)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절삭공정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는 선반(즉, 테이블부재 상부)(18)을 동시에 주시해야 함으로써, 집중력 분산으로 인한 밀링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조작패널(30)과 선반(18) 상호간의 이격 간격으로 인해 작업자는 조작패널(30)과 선반(18)을 번갈아가며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대해, 상기 조작패널(30)을 작업자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지만, 조작패널(30)이 갖는 크기로 인해 밀링머신의 전면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작업시 불편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CNC 밀링머신을 통한 절삭 가공시 X축·Y축·Z축 각각에 대한 선반의 이송속도, 좌표값 등의 절삭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원격제어패널을 조작패널과 커넥터를 매개하여 별도 제공하고 조작패널과 원격 제어패널을 적절하게 선택·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은, 기설정된 좌표입력값에 따라 선반에 안착된 공작물을 절삭 가공하도록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키도록 조작패널이 제공되는 컴퓨터수치제어 방식의 밀링머신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과 커넥터를 매개하여 연결되는 원격제어패널이 선반 전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별도로 제공되며, 그 원격제어패널은 상기 선반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수동 또는 자동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수동 및 자동조작부, 상기 수동 또는 자동방식을 선택하는 절환스위치, 상기 X축, Y축, Z축에 대한 영점을 설정하는 제로리턴스위치, 상기 공작물에 대한 절삭 가공시에 그 오차범위를 1/10, 1/100, 1/1000로 미세조정하기 위한 미세조정핸들, 상기 이송되는 선반 속도를 조절하는 이송속도선택핸들, 상기 수동 및 자동조작부에 의한 선반 이송작업시 작업개시를 지시하는 재 지시키이, 전반적인 구동 상태를 일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버튼, 선반을 이송하기 위해 입력한 좌표값 이전에 행했던 작업데이터 또는 이후에 행해졌던 호출하는 이전/이후 데이터 호출키이, 상기 공작물에 대한 절삭 가공시 스핀들의 회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반이 구동되는 도중에 상기 축선택버튼의 임의의 버튼이 조작되면 무조건적으로 선반운전이 중지되며 상기 재지시키이 조작에 따라 재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CNC 밀링머신을 통한 절삭 가공시, 작업자는 기 제공되는 조작패널 이외에 작업하기 좋은 위치에 제공되며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원격제어패널을 통해 간단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CNC 밀링머신을 보이고 있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CNC 밀링머신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의 원격 제어패널(A)을 보이고 있는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원격 제어패널을 이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조작에 따른 선반 이송시 접점단자의 개폐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도 6은 도 2에서의 선반의 이송제한구조(B)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원격제어패널, 102 : 수동조작부,
104 : 자동조작부, 108 : 제로리턴스위치,
110 : 스핀들 온/오프스위치, 120 : 재지시키이,
122 : 보조스위치, 130 : 선반의 이송거리 제한설정부,
132 : 가이드홈, 134 : 가이드편,
136 : 막대봉, 140 : 스위칭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CNC 밀링머신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의 원격제어패널(A)을 보이고 있는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원격제어패널을 이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조작에 따른 선반 이송시 접점단자의 개폐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송부재(16)·테이블부재(18)·전후이송부재(20)가 베이스(12)가 구비된 프레임(14)에 설치되며, 그 각각에는 절삭 가공작업이 가능하도록 밀링커터날이 장착된 주축모터 및, 상기 공작물이 안착되는 선반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서보모터 등의 X축·Y축·Z축 구동수단(50)이 구성된다.
상기 X축·Y축·Z축 구동수단(50)은 키이입력부(32)와 기능조작부(32)로부터 입력된 설정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CNC프로그램이 내장된 CPU(10), 상기 X축·Y축·Z축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킴과 아울러 일정 작업을 선택하는 모드선택바(42), 비상정지버튼(40), 작업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CRT(36)가 구비된 조작패널(30)과 연계되어 구성되며, 상기 조작패널(30)에는 X축·Y축·Z축 각각에 대한 좌표값을 영점조정하기 위한 원터치식 제로리턴스위치(108)가 개재된다.
그리고, 절삭공정시 작업자가 현재 공정상태를 근접하여 확인하면서 보다 손쉬운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조작패널(30)과 커넥터를 매개하여 연결되며 선반의 전방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격제어패널(A)이 구성된다.
상기 원격제어패널(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패널(30)과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의 선반 이송 및 이송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스위치가 구비되는 바, 도면부호 102 및 104는 선반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수동 또는 자동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수동 및 자동조작부, 106은 상기 수동 또는 자동방식을 선택하는 절환스위치, 108은 제로리턴지시스위치(108a)의 조작후 선반의 X축, Y축, Z축에 대한 좌표값을 제로점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로리턴스위치, 110은 상기 공작물에 대한 절삭 가공시 스핀들의 회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 112와 113은 선반을 이송하기 위해 입력한 좌표값 이전에 행했던 작업데이터 또는 이후 작업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이전/이후 데이터호출 키이, 114는 공작물에 대한 절삭 가공시에 그 가공 정밀도(오차 허용범위)를 1/10, 1/100, 1/1000로 미세조정하기 위한 미세조정핸들, 116은 이송되는 선반 속도를 조절하는 이송속도선택핸들, 117은 선반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조정하는 스피드버튼, 118은 전반적인 구동 상태를 일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버튼, 120은 수동 및 자동조작부에 의한 선반 이송작업시 작업개시를 지시하는 재지시키이, 122는 후술하는 선반의 이송거리제한설정부(130)에 의해 정지된 선반을 재가동시키기 위한 보조스위치이다.
상기 수동조작부(102)는 선반의 이송 방향을 지시하는 X축, Y축, Z축 선택버튼(102a)과, 상기 선택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온 상태일 때 상기 선반을 해당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수동조작핸들(102b)로 구성되며; 상기 자동조작부(104)는 선반의 X축, Y축, Z축 이송 방향을 지시하는 축 선택레버(104a)와, 상기 선택레버(104a)가 상기 X축, Y축, Z축 중 어느 하나의 축에 선택 위치되었을 때 상기 선반을 좌우,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이송방향지시스위치(104b)로 구성된다.
한편, 선반이 소정 축방향으로 이송되는 도중 상기 축선택버튼(102a)이 조작되면 선반 가동이 중지되며, 그 축선택버튼(102a)이 눌러진 상태에서 수동조작핸들(102b)이 조작되면 상기 선반이 조작방향으로 이송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CNC 밀링머신을 이용하여 공작물의 절삭 가공을 행할 때, 작업자는 조작패널(30)을 이용하여 각종 절삭 조건을 입력하고 그에 따른 절삭 가공을 수행할 수 있지만, 그 조작패널(30)에 구비된 모드선택바(42)의 단자를 핸들(Handle)부위에 위치시키게 되면 원격제어패널(100)을 이용한 절삭 가공을 행할 수 있게된다.
상기 원격제어패널(100)을 통한 절삭 가공시에도 좌표계산 기준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X축·Y축·Z축의 각각에 대해 제로점 조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제로리턴지시스위치(108a)를 선(先)조작하고, 하단에 위치한 X축·Y축·Z축의 제로리턴스위치(108)를 누르면 CPU(10)는 상기 조작된 축에 대해 각각 제로점 조정을 수행하며, CRT(36)에 X축·Y축·Z축의 좌표값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원격제어패널(100)뿐만 아니라 조작패널(30)에 구비된 제로리턴스위치(108)를조작하여 각 축에 대한 좌표값의 제로점 복귀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패널(30)에 장착되어 기계적인 동작에 따라 제로점을 복귀시키기 위한 제로리턴스위치(108) 이외에, 별도의 X축, Y축, Z축의 제로점 복귀를 위한 단축키(도면 미도시)를 제공하고, 그 단축키 조작시에 프로그램적으로 각 축의 제로점을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제로점 복귀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자동(JOG) 또는 수동(HANDEL) 방법에 의해 공작물을 작업 위치로 이송한다.
먼저, 절환스위치(106)가 자동모드상태인 조그(Jog)단자에 위치된 상태에서 X축, Y축, Z축 선택레버(104a)와 이송방향지시스위치(104b) 만을 이용하여 선반을 이송시킬 수 있는 바, 축선택레버(104a)가 X축에 위치하는 초기 상태에서 축선택레버(104a)를 X축부터 선택적으로 움직이면서 이송방향지시스위치(104b)를 조작하면, 상기 선반이 X축에 대한 좌·우방향, Y축에 대한 전·후방향, 그리고 Z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송되고 작업자는 절삭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을 원하는 작업위치에 오게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패널(30)의 X,Y,Z단자는 원격제어패널(100)의 축선택레버(104a)의 X,Y,Z단자와 상호 연결되어 있고, X단자를 통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축선택레버(104a)가 X축에 위치하게 되면 P1과 X2가 도통되면서 테이블부재(18)는 이송방향지시스위치(104b)의 위치에 따라 어느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축선택레버(104a)를 Y축으로 변경하면, P2와 Y2가 도통되면서 전후이송부재(20)를 이송시킬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축선택레버(104a)가 임의의 축에 위치하기만 하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시간동안 구동된다. 다시말해 원격 제어패널(100)의 축 선택레버(104a)는 조작패널(30)과 연결된 상태에서 X축, Y축, Z축 각각의 선택레버가 온되면 해당 단자가 공통전원공급단자(P)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방향지시스위치(104b)의 조작만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방향지시스위치(104b)는 + 또는 -방향을 나타내며, 작업자가 그 조작방향을 용이하도록 비틀린 상태로 제공되는 바, 좌측 하방향으로 꺽이면 선반은 각 축에 대해 좌측, 전진, 하부방향으로 이송되며, 우측 상방향으로 꺽이면 선반은 각 축에 대해 우측, 후진, 상부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수동이송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격제어패널(100)의 측면부에 제공된 X축, Y축, Z축의 선택버튼(102a)과 수동조작핸들(102b)을 조작하여 선반을 이송시키는바, 도 5와 같이 X축, Y축, Z축 각각의 단자는 공통전원공급단자와 연결되지 않는 상태에서 만약 X축 버튼을 누르게 되면 공통전원공급단자(P)와 연결상태가 되면서, 작업자가 수동조작핸들(102b)을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테이블부재(18)는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Y축 버튼 및 Z축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선반이 이송되게 되며, 이때 그 X축·Y축·Z축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 선반 이송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이 자동모드상태에서 소정 축방향을 따라 이송될 때 작업자가 축선택버튼(102a)을 누르게 되면 현재 구동중인 선반의 구동상태를 중지시킬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절삭공정을 위해 전술한 상하이송부재(16)·테이블부재
(18)·전후이송부재(20)의 선반을 제로점 복귀후 절삭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자동운전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작업을 하는 도중에, 수동운전에 의해 선반을 재위치시키고자 하거나, 또는 선반구동을 정지시키고 하는 경우 등에 작업자가 원격제어패널(100)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축선택버튼(102a)을 조작하면 무조건적으로 현재 구동중인 선반운전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때 스핀들은 계속 온(on)상태를 유지하고 선반운전만이 정지상태로 변한다.
그와 같은 상태로부터, 선반을 재운전 할때에는 작업자는 상기 선반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축에 대응되는 축선택버튼(102a)을 누른 상태에서 수동조작핸들 (102b)을 이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해당 상하이송부재(16)·테이블부재(18)·전후이송부재(20) 중 어느 하나의 부재가 다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동운전에 의해 선반을 재위치시킨 후에 다시 자동운전을 수행시키거나 선반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다시 선반을 구동시키려면 재지시키이(120)의 조작에 따라 현재 작업상태 이전의 상태로서 운전을 행하게 된다. 즉, 운전중인 선반이 중지된 상태에서 다시 재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재지시키이(120)의 조작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 선반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스피드버튼 (117)을 누르면 현재 운전속도보다 소정 배율 이상으로 이송속도를 향상시킬수 있게 되며, 스피드버튼(117)을 오프하면 원래 이송속도로 운전된다. 그 스피드버튼 (117) 은 이송속도선택핸들(116)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이송속도선택핸들(116)은 처음부터 선반 이송속도를 설정하는 반면, 스피드버튼(117)은 소정 시간동안만큼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선택버튼(102a)은 상기 X축·Y축·Z축 버튼에 한정하여 제공되고 있지만, 4차원, 5차원적으로 절삭공정이 필요한 경우(예컨대, 사면 가공작업)에는 버튼을 추가로 장착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3참조).
그와 같이 원격제어패널(100)을 이용한 절삭 공정시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제로점 조정을 수행한 후,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따라 선반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며, 이때 작업자는 이송중인 선반을 보면서 동시에 원격제어패널(100)을 조작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NC 밀링머신 본체의 소정 위치, 예컨대 절삭 가공시 작업자의 전방 부위에 일정 크기를 가지는 CRT가 장착될 수 있는 바(도면 미도시), 그 CRT가 장착된 경우에는 작업자는 각종 좌표 입력값을 조작패널(30)의 CRT(36)를 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원격 제어패널(100)만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도 2에서의 선반의 이송제한구조(B)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이송제한구조는 공작물이 안착되는 선반의 좌우 이송거리에 제한을 두지 않아 절삭공정시 작업자가 부주의 등에 의해 작업위치를 이탈했을 때 선반의 좌우 이송거리를 제한할 수 없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링머신의 X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선반의 테이블부재(18)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32)에 막대봉(136)이 고정된 브라켓(134)이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부재(18)의 좌우 이동시 상기 막대봉(136)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태변환되는 스위칭부(140)가 테이블부재(18) 하단(예컨대 전후이송부재)에 장착되는 구성을 보인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140) 상단에는 스위치단자(140a)가 제공된다.
그와 같이 구성된 것에 의해 선반이 이송될 때 선반의 이송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바, 브라켓(134)을 장착한 상태에서 선반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될 때 그 브라켓(134)의 막대봉(136)이 스위칭부(140)의 상면에 제공된 스위치단자(140a)를 누르게 되면, 그 스위치단자(140a)의 접점개폐에 의해 상태 천이됨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상기 테이블부재(18)가 소정 위치에 도달되었음을 인지하게 되고, 이송중인 테이블부재(18)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 중지된 선반은 보조스위치(122)의 온 동작에 따라 다시 구동된다. 예컨대, 보조스위치((122)를 누르면 스위치단자(140a)에 의해 천이된 상태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테이블부재(18)는 재가동을 하게 된다.
예컨대, 평상시 스위치단자(140a)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막대봉 (136)에 의해 스위치단자(140a) 위치가 변환되어 온 상태로 상태천이가 이루어지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이를 감지하게 되어 선반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테이블부재(18)는 상기 스위치단자(140a)가 눌러진 상태 즉 온 상태인 경우에만 해당되기 때문에, 테이블부재(18)가 중지된 상태에서 보조스위치(122)의 동작 후 작업자가 전술한 자동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선반을 이송시키게 되면, 이송거리 제한범위 외에서도 테이블부재(18)는 구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32)에 브라켓(134)을 결합하고, 스위칭부(140)에 의해 그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테이블부재(18)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하이송부재(16) 및 전후이송부재(20)에도 동일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X축, Y축, Z축에 대해 모두 그 구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NC 밀링머신을 통한 절삭 가공시 조작패널과 커넥터를 매개하여 별도 제공된 원격제어패널을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절삭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조작패널을 이용할 때 영점 조정을 하기 위해 축을 선택하고 키이입력부(32)를 통해 '0'과 입력(input)단자를 순차적으로 누르는 것에 비하여 간단하게 제로점 복귀를 행할 수 있으며, 자동운전중인 선반 구동을 축선택버튼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중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 중지된 선반의 재운전도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이송제한구조가 제공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위치를 이탈하더라도 기 지정된 범위이상 벗어날 때 자동적으로 선반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어 안전하게 절삭 가공작업을 할 수 있다.

Claims (4)

  1. 기설정된 좌표입력값에 따라 선반에 안착된 공작물을 절삭 가공하도록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키도록 조작패널이 제공되는 컴퓨터수치제어 방식의 밀링머신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과 커넥터를 매개하여 연결되는 원격제어패널이 선반 전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별도로 제공되며, 그 원격제어패널은 상기 선반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수동 또는 자동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수동 및 자동조작부, 상기 수동 또는 자동방식을 선택하는 절환스위치, 상기 X축, Y축, Z축에 대한 영점을 설정하는 제로리턴스위치, 상기 공작물에 대한 절삭 가공시에 그 오차범위를 1/10, 1/100, 1/1000로 미세조정하기 위한 미세조정핸들, 상기 이송되는 선반 속도를 조절하는 이송속도선택핸들, 상기 수동 및 자동조작부에 의한 선반 이송작업시 작업개시를 지시하는 재 지시키이, 전반적인 구동 상태를 일시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버튼, 선반을 이송하기 위해 입력한 좌표값 이전에 행했던 작업데이터 또는 이후에 행해졌던 호출하는 이전/이후 데이터 호출키이, 상기 공작물에 대한 절삭 가공시 스핀들의 회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부는 선반의 이송 방향을 지시하는 X축, Y축, Z축 선택버튼과,상기 선택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온 상태일 때 상기 선반을 해당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수동조작핸들로 구비되며; 상기 자동조작부는 선반의 X축, Y축, Z축 이송 방향을 지시하는 선택레버와, 상기 선택레버가 상기 X축, Y축, Z축 중 어느 하나의 축에 선택 위치되었을 때 상기 선반을 좌우,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이송방향지시스위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부는 X축, Y축, Z축 선택버튼이 눌러진 시간동안 온 구동되며, 자동조작부는 선택레버가 소정 축에 위치되었을 때 온 구동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4.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이 구동되는 도중에 상기 축선택버튼의 임의의 버튼이 조작되면 무조건적으로 선반운전이 중지되며 상기 재지시키이 조작에 따라 재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KR1020020049975A 2002-08-23 2002-08-23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KR20020075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975A KR20020075335A (ko) 2002-08-23 2002-08-23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PCT/KR2003/001707 WO2004018149A1 (en) 2002-08-23 2003-08-23 Cnc milling machine provided with remote control panel
AU2003253458A AU2003253458A1 (en) 2002-08-23 2003-08-23 Cnc milling machine provided with remote control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975A KR20020075335A (ko) 2002-08-23 2002-08-23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335A true KR20020075335A (ko) 2002-10-04

Family

ID=2772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975A KR20020075335A (ko) 2002-08-23 2002-08-23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0075335A (ko)
AU (1) AU2003253458A1 (ko)
WO (1) WO200401814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638B1 (ko) * 2008-12-08 2015-02-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
KR101496583B1 (ko) * 2013-11-28 2015-02-26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축 이송 자동 제어 방법
KR101695679B1 (ko) * 2016-03-25 2017-01-12 이문섭 근접 센서와 전자클러치와 타이머를 이용한 원통 연마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6105B1 (ko) * 2020-01-10 2020-04-01 주식회사 별랑 양두밀링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200093471A (ko) 2019-01-28 2020-08-05 (주)파인드몰드 Cnc 장치를 이용한 공정 자동화 시스템
KR102633846B1 (ko) * 2022-12-13 2024-02-05 이문섭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선반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9492A1 (fr) * 2004-12-21 2006-06-23 Chambon Sas Soc Par Actions Si Pupitre de commande amovible pour scie a format
ES2275401B1 (es) * 2005-04-26 2008-04-16 Consejo Superior Investig. Cientificas Dispositivo adicional de control para maquina con control numerico.
DE102007026117B4 (de) * 2007-06-05 2010-10-14 Siemens Ag Werkzeugmaschine
WO2011154773A1 (en) * 2010-06-09 2011-12-15 Viaduct Sheet Metal Ltd.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sheet metal components
CH703967A1 (de) * 2010-10-27 2012-04-30 Fehlmann Ag Steuereinrichtung für eine Werkzeugmaschine.
JP6983004B2 (ja) * 2017-08-16 2021-12-17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729A (ko) * 1985-07-23 1987-03-17 허신구 칼라 디스플레이 튜우브
JPH065849U (ja) * 1992-06-26 1994-01-25 村田機械株式会社 外部工具オフセット入力装置
JP2000315103A (ja) * 1999-04-30 2000-11-14 Star Micronics Co Ltd Nc工作機械の管理システム、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nc工作機械
JP2002073125A (ja) * 2000-09-01 2002-03-12 Murata Mach Ltd 工作機械の非常停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6750A (ja) * 1981-09-24 1983-04-04 Hitachi Ltd 数値制御装置
JPS60118448A (ja) * 1983-11-30 1985-06-25 Amada Co Ltd フライス盤の切削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DE3917691C2 (de) * 1989-05-31 1994-03-17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numerisch gesteuerten Werkzeugmaschine
DE4408887A1 (de) * 1994-03-16 1995-09-21 Nienkemper Maschinenbau Gmbh & Einrichtung zur Regelung der Schnittgeschwindigkeit des Trennwerkzeuges einer Werkzeugmaschine
US6135682A (en) * 2000-01-14 2000-10-24 Unova Ip Corporation Multi-spindle phase controlled machi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729A (ko) * 1985-07-23 1987-03-17 허신구 칼라 디스플레이 튜우브
JPH065849U (ja) * 1992-06-26 1994-01-25 村田機械株式会社 外部工具オフセット入力装置
JP2000315103A (ja) * 1999-04-30 2000-11-14 Star Micronics Co Ltd Nc工作機械の管理システム、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nc工作機械
JP2002073125A (ja) * 2000-09-01 2002-03-12 Murata Mach Ltd 工作機械の非常停止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638B1 (ko) * 2008-12-08 2015-02-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
KR101496583B1 (ko) * 2013-11-28 2015-02-26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축 이송 자동 제어 방법
KR101695679B1 (ko) * 2016-03-25 2017-01-12 이문섭 근접 센서와 전자클러치와 타이머를 이용한 원통 연마기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3471A (ko) 2019-01-28 2020-08-05 (주)파인드몰드 Cnc 장치를 이용한 공정 자동화 시스템
KR102096105B1 (ko) * 2020-01-10 2020-04-01 주식회사 별랑 양두밀링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2633846B1 (ko) * 2022-12-13 2024-02-05 이문섭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선반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53458A1 (en) 2004-03-11
WO2004018149A1 (en)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587B2 (en) Automatic tool changing method and device for machine tool controlled by numerical controller
US7899574B2 (en) Machine-tool controller
KR20020075335A (ko) 원격제어패널을 갖는 cnc 밀링머신
EP1661657B1 (en) Laser processing robot system with a scanning head and a rapid movable support mechanism ;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66583B1 (ko) Plc 셋팅 제어를 이용한 자동 호빙머신
CN111496945A (zh) 一种电脑裁板锯的控制系统及工作方法
US5453674A (en) Numerical control apparatus
CN203212456U (zh) 新型激光打孔设备
US7136718B2 (en) Numerical control apparatus
WO1994015266A1 (en) Numerical controller
CN214024706U (zh) 一种汽车零部件加工用cnc快速换刀装置
JP2007094458A (ja) 数値制御装置
CN112536871A (zh) 扫码型数控锯切系统及其加工方法
JPH0623614A (ja) 簡易描画機
CN213998513U (zh) 无刷定子焊锡切脚机
CN214291029U (zh) 一种连接座加工用的铣端面设备
JP3045535U (ja) 加工装置および切断加工装置
EP04882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numerical control data for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JP2958438B2 (ja) 汎用フライス盤及びその動作範囲制限設定方法
JPH05134722A (ja) 数値制御工作機械の制御方法
JPH0675618A (ja) 加工中断機能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
JPH0623641A (ja) ボール盤用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254778B1 (ko) 씨엔씨(cnc)제어기의가공중단점기억방법
JP2555662B2 (ja) 多品種少量生産におけるセルの運転モード
CN116736787A (zh) 一种用于封边机伺服调整精修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