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023A -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023A
KR20020075023A KR1020010015180A KR20010015180A KR20020075023A KR 20020075023 A KR20020075023 A KR 20020075023A KR 1020010015180 A KR1020010015180 A KR 1020010015180A KR 20010015180 A KR20010015180 A KR 20010015180A KR 20020075023 A KR20020075023 A KR 20020075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hain
belt conveyor
recovery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423B1 (ko
Inventor
문성룡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15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4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75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9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for vertical or inclined conveyance
    • B65G2812/02742Bucket elevators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 B65G2812/02772Plates or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 B65G2814/0331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4/0332Bucke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동풀리(24)를 통하여 리턴 및 이송라인(R)(P)으로 궤도 이송하는 벨트(22) 사이에 궤도 이송토록 설치되는 체인수단(30) 및, 상기 체인수단(30)에 설치된 제 1,2 스토퍼(40)(50)로서 일정폭으로 좌우 이동되고, 개구(62)부분이 리턴라인(R)의 벨트(22a) 표면에 밀착토록 복수개가 배열 연결되는 운송물 회수수단(60)을 갖춘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서 벨트의 구동을 위한 구동풀리측에 낙하된 운송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특히 운송물이 컨베이어의 외곽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토록 운송물 자체를 회수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TRANSPORTING GOODS ON BELT CONVEYOR}
본 발명은 산업체 예를 들어,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원,연료인 광석 또는 석탄들과 같은 운송물들을 장거리 운반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벨트 컨베이어에 낙하된 운송물이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측 구동풀리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운송물을 회수하여 이송라인의 벨트상에 적재시킴으로서, 낙하된 운송물에 의한 컨베이어 주변의 환경오염 또는 추가적인 운송물 처리작업을 피할 수 있도록 한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산업체 즉, 제철소와 같은 대형 제조공장에서는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광석 및 석탄을 선박의 하역장소인 부두에서 부터 공장의 야적장소까지 운반하기 위하여 상당한 규모의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에서 운반되는 운송물, 예를 들어제철공장에서의 광석 또는 원료탄등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운송되는 도중에, 컨베이어의 벨트에서 부터 낙하하기 쉽고, 이와 같은 운송물의 낙하현상은 벨트 컨베이어의 원활한 가동을 어렵게 하고, 특히 낙하된 주변지역의 환경을 오염시키는환경문제가 제기되고, 또한 낙하된 운송물은 재처리해야 하는 후속작업이 필요하게되는 문제들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에서 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기술들은 오래전 부터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에 더하여 추가적인 문제는 낙하된 운송물이 리턴라인의 벨트상에 떨어지면서 벨트와 구동풀리 사이에 끼여 벨트 및 구동풀리의 절손 및 파손을 초래하는 것인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벨트에서의 운송물 제거작업을 위한 크리너가 도 1에서 도시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풀리(100)를 통하여 궤도 이송하는 벨트(110)의 리턴라인(R)상에 벨트(110)의 표면에 거의 밀착되고 구동풀리(100)의 전방으로 위치된 대략 V자 형상의 운송물(120) 제거용 크리너(130)를 설치함으로서, 운송물(120)이 리턴라인(R)의 벨트(110)상에 떨어지면, 상기 크리너(130)는 운송물 (120)이 구동풀리(100) 측으로 끼이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의 크리너(130)에 있어서는, 운송물 (120)이 구동풀리(100)에 끼이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는 있으나, 결국 운송물(120)이 벨트(110)로부터 외곽으로 낙하됨으로서 발생되는 벨트 컨베이어 주변의 환경오염 및 낙하된 운송물(120)을 처리하기 위한 후속처리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풀리(100)에 운송물(120)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운송물 자체를 회수하여 이송라인(P)상의 벨트(110)에 다시 적재시키어 운반을 수행토록 한다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벨트 컨베이어에서 운송물이 리턴라인의 벨트에 낙하하여 구동풀리에 끼이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토록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송물이 벨트 컨베이어 설비의 구동풀리에끼이는 것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특히 운송물을 회수하여 이송라인의 벨트에 적재시킴으로서, 운송물의 낙하에 따른 주변 환경오염을 피하고, 후속 작업이 필요없게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 설비의 리턴벨트에서 운송물이 이송롤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크리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의 회수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운송물 회수장치10....운송물
20.... 벨트 컨베이어22.... 벨트
24.... 구동풀리30.... 체인수단
34... 체인블록36.... 연결아암
37.... 체인부38.... 체인 스프로켓
40,50.... 제 1,2 스토퍼60.... 회수박스
62.... 박스개구R,P.... 리턴 및 이송라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운송물을 이송하기 위한 벨트와 상기 벨트의 구동을 위한 구동풀리를 갖춘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를 통하여 리턴 및 이송라인으로 궤도 이송하는 벨트사이에 궤도 이송토록 설치되는 체인수단 및,
상기 체인수단에 설치된 제 1,2 스토퍼로서 일정폭으로 좌우 이동되고, 개구부분이 리턴라인의 벨트 표면에 밀착토록 복수개가 배열 연결되는 운송물 회수수단을 갖추고,
상기 체인수단은 이송라인의 벨트 상부구간에서는 경사지게 구성되는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에서 구동부분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1)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회수장치(1)는 크게 리턴라인(R)의 벨트(22)와 이송라인(P)의 벨트(22b)사이를 통과하여 대략 마름모형상의 궤도를 이루는 체인수단(30) 및 상기 체인수단(30)에 여러개가 연결되어 있어 체인수단(30)의 궤도 이송시 리턴벨트(22a)상의 낙하된 운송물(10)을 회수하는 회수수단(60)으로 나누어 질수 있다.
그런데, 상기에서 설명한 리턴라인(R)과 이송라인(P)은 본 발명의 회수장치 (1)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분한 것이고, 실제 벨트(22)부분이 풀리(24)측으로 감기어 지는 벨트(22a) 라인을 리턴라인이라 이해하고, 반대로 풀리(24)에서 부터 구동력을 받아 이송되면서 운송물(10)을 이송시키는 라인을 이송라인(P)으로 이해하면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주요구성인 체인수단(30) 및 회수수단(60)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도 4에서는 상기 체인수단(30)을 요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수단(30)은 크게 실질적인 체인부(37)와 상기 체인부(37)에 맞물리는 스프로켓(38)으로 나누어 질수 있고, 상기 체인부(37)는 다시 여러 개의 핀(32)을 매개로 체인블록(34)과 연결아암(36)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체인부(37)는 2열로 구성되어 있고, 이는 다음에 설명하는 회수수단(60)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로켓(38)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으로서 대략 2열로 된 한쌍의 스프로켓(38)들이 대략 마름모 형상의 모서리부분에 5 지점에 위치되는데, 이와 같은 스프로켓(38)의 배치는 체인부(37)가 궤도 이송되도록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한, 상기 스프로켓(38)중 하나(38a)에는 실질적인 체인부(37)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M)가 연결되는데,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모터(M)는 커플링과 감속기등을 통하여 구동력을 받는 스프로켓(38a)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동모터(M)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제어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라인(P)의 벨트(22b) 상측으로 위치되는 체인부(37)는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하며(도 3의 D부분), 이를 위하여 상기 스프로켓(38)들은 체인부(37)가 적정한 경사를 이루면서 궤도 이송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 도 2 및 도 4에서는 상기 회수수단(60)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회수수단(60)은 상기 2열의 체인블록(34)사이에 횡설된 회전축(64)의 양단부에 연결대(66)을 통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축(64)은 체임블록(34)을 통하여 외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66)는 상기 회전축(64)의 양단부에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66)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수수단(60)의 측부에 고정되는 연결축 (66a)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66a)과 연결대(66)도 고정링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며, 상기 회수수단(60)은 운송물(10)이 들어오는 개구(62)가 이송방향에 맞추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는 중공된 회수박스가 가장 적당하다..
즉, 체인수단(30)에 의하여 이송되는 회수박스(60)의 개구(62)를 통하여 그 내부로 리턴라인(R)의 벨트(22a)에 낙하되어 있어 풀리(24)측으로 끼이는 운송물 (10)을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추가적인 중요한 구성이 제 1,2 스토퍼(40)(50)인데, 이와 같은 제 1, 2스토퍼(40)(50)는 도 4 에서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먼저 제 1 스토퍼(40)는 상기 체인수단(30)의 2열 체인블록(34)사이에 연결 고정된 고정대 (42)의 중앙부분에서 수직 고정된 연결대(4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제 1 스토퍼(40)는 체인부(37)에서 하방으로 수직 위치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 2 스토퍼(50)는 상기 제 1 스토퍼(40)와 체인블록(34)사이에 고정된 고정대(52)의 중앙에서 경사지게 고정된 연결대(5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제 2 스토퍼(50)가 체인부(37)를 기준으로 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인데, 이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게 지만, 회수박스(60)의 궤도 이동시 이송라인(P)에서의 회수박스(60)를 제 2 스토퍼(50)가 지지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 제 1, 2 스토퍼(40)(50)는 실질적으로 회수박스(60)에 의한 운송물(10) 회수작동 및 이송후에 이송라인(P)의 벨트(22b)상에 운송물(10)을 다시 배출 적재시키는 회수박스(60)의 작동폭을 조정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40)(50)들은 회수박스(60)가 계속적으로 좌우 이동하면서 충돌하기 때문에, 회수박스(6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갖는 러버가 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체인부(37)에 회수박스(60)의 궤도 이송시 담겨진 운송물(10)이 이송라인(P)의 벨트(22b)상으로 적재될 때, 운송물(10)의 벨트 이탈을 방지하도록 얇은 판상의 가이드들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더하여, 상기 회수박스(60)가 운송물(10)을 회수하여 벨트(22b)상에 재차 적재시키는 이동작동을 확인시키어 운송물(10)이 벨트(22) 외곽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더욱이 회수해야 할 운송물(10)의 양을 감지하여 본 발명의 회수장치(1)의 작동속도를 조정하는 감지장치를 설치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운송물 회수장치(1)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산업체 예를 들어, 제철공장에서 선박하역작업을 거친 광석 또는 원료탄들과 같은운송물(10)들은 상당히 원거리로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 설비(20)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이송되는데,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 설비(20)를 통한 운송물(10)은 벨트사행현상등으로 인하여 벨트(22)에서 부터 낙하하게 되고, 결국에는 실제 운송물(10)을 이송하는 이송라인(P)에서 운송물(10)의 이송후 리턴라인(R)으로 이송되는 벨트(22a)부분에 운송물(10)이 낙하게 되고, 이와 같은 낙하된 운송물(10)은 벨트(22a)를 따라 풀리 또는 구동풀리(24)측으로 끼이면서 풀리(24)의 파손 또는 벨트(22)의 절손을 초래하게 되게 된다.
따라서, 리턴라인(R)에 낙하된 운송물(10) 즉, 광석등은 회수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수장치(1)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은 회수장치(1)는 계속적으로 가동시키어 운송물(10)을 회수시키거나 또는 낙하된 운송물(10)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운송물(10)을 회수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만 가동시킬 수도 있는데, 입자가 작은 운송물인 경우에는 그 감지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구동모터(M)를 작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한쌍의 스프로켓(38a)이 구동하게 되고, 결국 리턴 및 이송라인(R)(P)의 벨트(22a)(22b)사이를 통과하면서 마름모형상의 궤도경로로 이동하는 체인수단(30)의 체인부(37)는 여러개의 스프로켓 (38)(38a)들을 따라 궤도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부(37)의 체인블록(34) 하측으로 연결대(66)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수수단인 회수박스(60)는 리턴라인(R)의 벨트(22a) 표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벨트(22a)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이동하고, 결국 상기 회수박스(60)의 일측부에 형성된 개구(62)를 통하여 벨트(22a)상의 운송물 (10)은 회수박스(60)내로 들어가면서 회수되는데, 이때 상기 운송물(10)의 양에 따라 회수박스(60)의 이송속도를 적당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시하지 않은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제어판을 통하여 조정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박스(60)에 의한 정확한 운송물(10) 회수작동을 위해서는 제 1,2 스토퍼(40)(50)가 필수적이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수박스(60)의 좌측 즉, 이송방향으로 기준으로 후방에는 제 1 스토퍼(40)가 수직하게 체인부(37)에서 부터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수박스(60)의 우측 즉, 이송방향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제 2 스토퍼(50)가 체인부(37)에서 부터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수박스(60)가 벨트(22a)상의 운송물(10)을 회수할 때에는 수직한 제 1 스토퍼(40)가 회수박스(60)의 후단부를 지지하면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궤도 이송되어 회수박스(60)가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면 그 후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회수박스(60)가 다시 수평방향 즉, 이송라인(P)의 벨트 (22b)상부에 도달하면, 상기 회수박스(60)는 체인부(37)에 설치된 회전축(64)을 축으로 연결대(66)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일정각도 급속하게 회전되며, 이때 상기 제 2 스토퍼(50)는 경사진 연결대(54)로 인하여 상기 회수박스(60)의 전단부를지지하면서 회수박스(60)가 벨트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2 스토퍼(40)(50)는 회수박스(60)의 이동폭을 제한하기도 하는데, 이는 상기 회수박스(60)가 수평상태에서 이동하다가 이송라인(P)에서는 그 개구(62)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회전되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 이송라인(R)의 벨트(22a)상에서 회수된 운송물(10)은 이송라인 (P)의 벨트(22b)상에서 회수박스(60)의 개구(62)를 통하여 다시 적재되어 이송라인 (P)을 따라 운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크리너(130)만으로 운송물을 제거하여 풀리 및 벨트의 파손을 방지하는 종래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운송물(10) 자체를 회수하여 이송라인의 벨트(22b)에 다시 적재 운반토록 함으로서, 운송물(10)의 낙하에 의한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더욱이 물론, 작업자가 벨트(22)에서 이탈된 운송물(10)을 처리하는 후속작업이 필요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벨트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에서 운송물이 리턴라인의 벨트에 낙하하여 구동풀리에 끼이는 것을 차단하여 운송물의 끼임에 의한 벨트 및 풀리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잇점이 있다.
더하여, 운송물이 벨트와 풀리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운송물 자체를 회수하여 이송라인의 벨트에 다시 적재 운반토록 함으로서, 운송물의 낙하에 따른 주변 환경오염을 피하고, 추가적인 작업자의 후속 작업이 필요없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운송물(10)을 이송하기 위한 벨트(22) 및, 상기 벨트(22)의 구동을 위한 풀리(24)를 갖춘 벨트 컨베이어(20)에 있어서,
    상기 풀리(24)를 통하여 리턴 및 이송라인(R)(P)으로 궤도 이송하는 벨트(22) 사이에 궤도 이송토록 설치되는 체인수단(30); 및,
    상기 체인수단(30)에 설치된 제 1,2 스토퍼(40)(50)로서 이동폭이 제한되고, 개구(62)부분이 리턴라인(R)의 벨트(22a) 표면에 밀착토록 복수개가 상기 체인수단 (30)에 배치되는 운송물 회수수단(60)을 갖추고,
    상기 체인수단(30)은 이송라인(P)의 벨트(22b) 상부구간(D)에서는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수단(30)은,
    핀(32)을 매개로 연결되는 체인블록(34)과 연결아암(36)으로 된 2열의 체인부(37) 및,
    상기 체인부(37)에 맞물리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체인부(37)가 궤도 이동토록 다수개가 2열로 배열 설치되는 체인스프로켓(38)을 포함하고,
    상기 일 스프로켓(38a)에는 체인수단(3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M)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단(60)은,
    상기 2열의 체인블록(34)사이에 횡설된 회전축(64)의 양단부에 연결대(66)로서 연결되며 개구(62)가 이송방향에 맞추어 일측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는 중공된 회수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스토퍼(40)(50)는, 상기 체인수단(30)에 연결되는 회수박스(60)의 전,후방으로 횡설된 고정대(42)(52)의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설치된 연결대(44)(54)의 하단부에 상기 회수박스(60)의 이동폭을 조정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스토퍼(50)의 고정대(52)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KR1020010015180A 2001-03-23 2001-03-23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KR100758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180A KR100758423B1 (ko) 2001-03-23 2001-03-23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180A KR100758423B1 (ko) 2001-03-23 2001-03-23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023A true KR20020075023A (ko) 2002-10-04
KR100758423B1 KR100758423B1 (ko) 2007-09-14

Family

ID=2769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180A KR100758423B1 (ko) 2001-03-23 2001-03-23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93B1 (ko) * 2004-12-24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의 낙코크스처리장치
CN112537600A (zh) * 2020-12-02 2021-03-23 东阳市菊苏科技有限公司 机械物料传动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35B1 (ko) 2020-02-06 2020-07-03 이래용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687B2 (ja) * 1987-04-27 1995-02-01 株式会社佐竹製作所 バケツト式エレベ−タ−
JPH0576471A (ja) * 1991-09-20 1993-03-30 Omron Corp 残菜処理洗浄装置
JPH0639830U (ja) * 1992-11-09 1994-05-27 日立金属株式会社 粉粒体回収装置
JP3086191B2 (ja) * 1997-07-01 2000-09-11 株式会社椿本バルクシステム ピボテッドバケットコンベヤのこぼれ回収装置
JP2001031232A (ja) * 1999-07-21 2001-02-06 Hideki Zenmei 落下物回収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93B1 (ko) * 2004-12-24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의 낙코크스처리장치
CN112537600A (zh) * 2020-12-02 2021-03-23 东阳市菊苏科技有限公司 机械物料传动设备
CN112537600B (zh) * 2020-12-02 2022-09-02 山东三英建筑科技有限公司 机械物料传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423B1 (ko) 200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8483B2 (ja) 高速傾斜ベルト仕分け機
JP2002538058A (ja) 整頓・配列コンベヤ
CN1448326A (zh) 片状材料堆的翻转装置
RU22306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тары на линии конвейера
KR10116716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NL8401329A (nl) Bandtransporteur voor het verticaal of steil transporteren van stortgoed.
CN110606347A (zh) 传输机及运货小车
KR10075842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US3866740A (en) Method of feeding discrete articles from a storage location and a machine therefor
JP5159206B2 (ja) パネル排出装置
KR20010075883A (ko) 이송대차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JPS6144770B2 (ko)
US3315782A (en) Article conveying apparatus
KR200399271Y1 (ko) 주름혹 컨베이어 벨트의 낙분회수장치
CN111942861A (zh) 传输装置及分拣设备
JP2008265986A (ja) 物品の仕分装置
JPS6031421A (ja) 物体移載装置
US3834517A (en) High speed container orienting mechanism
JP2001019147A (ja) 仕分装置
JP2532680Y2 (ja) 物品移載装置
KR20020039566A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KR20040051772A (ko)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CN116477283B (zh) 一种电子元器件加工用无尘加工输送线
KR2003000816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