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541A -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541A
KR20020073541A KR1020027010197A KR20027010197A KR20020073541A KR 20020073541 A KR20020073541 A KR 20020073541A KR 1020027010197 A KR1020027010197 A KR 1020027010197A KR 20027010197 A KR20027010197 A KR 20027010197A KR 20020073541 A KR20020073541 A KR 20020073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triking
contact
striking member
hi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935B1 (ko
Inventor
고시카와신이치로
이시가야가즈유키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제 1 힌지부재(2)에는, 가동부재(6)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한다. 제 2 힌지부재(3)에는, 타격부재(7)를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한다. 코일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동부재(6)를 타격부재(7)에 접촉시킨다. 가동부재(6)와 타격부재(7)와의 접촉면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의 가하는 힘을, 타격부재(7)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으로 변환시키는 힘변환기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제 2 힌지부재(3)의 바깥둘레에는, 접촉볼록부(32)를 형성한다. 타격부재(7)의 바깥둘레에는, 접촉볼록부(32)가 끼워넣음 접촉오목부(71)를 형성한다. 접촉오목부(71)의 폭 W2 은, 접촉볼록부(32)의 폭 Wl 보다 약간 넓고, 그 분량만큼만 타격부재(7)를 제 2 힌지부재(3)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HINGE DEVICE AND CELL PHONE}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힌지장치는, 제 1, 제 2 힌지부재를 갖고 있다. 제 1, 제 2 힌지부재는, 휴대전화기의 송화부와 수화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힌지축을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기의 송화부와 수화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그런데, 제 1, 제 2 힌지부재는, 코일스프링 등의 가압수단에 의해서 서로 닿아 접하고 있다. 도 13(A),(B)는, 제 1, 제 2 힌지부재(1),(2)의 각 접촉면을 나타낸다. 제 1 힌지부재(1)의 접촉면에는, 단면이 대략 대형상의 3개의 끼워맞춤오목부(1a,1b,1c)가 둘레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제 2 힌지부재(2)의 접촉면에는, 2개의 끼워맞춤 볼록부(2a, 2b)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끼워맞춤 볼록부(2a, 2b)는, 예를 들면 송화부와 수화부를 닫힘 위치로 회동시키면,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오목부(1a, 1b)에 끼워 넣어진다. 그렇게 하면, 끼워맞춤 오목부(1a, 1b) 및 끼워맞춤 볼록부(2a, 2b)의 경사면(힘변환기구)에 의해서 가압수단의 가하는 힘이 제 1, 제 2 힌지부재(1, 2)를 회동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그 회동력에 의해, 송화부와 수화부가 고속으로 회동시켜지고 힘있게 충돌한다. 그 결과, 클릭음이 발생한다. 또한, 송화부와 수화부가 열림 위치로 회동할 때는, 끼워맞춤 볼록부(2a, 2b)가 끼워맞춤 오목부(1c, 1a)에 각각 끼워 넣어져, 송화부와 수화부가 충돌한다. 그것에 의하여 클릭음이 발생한다(일본국 특개평 7-11831 참조).
상기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송화부 및 수화부가 닫힘 위치로 회동할 때, 혹은 열림 위치로 회동할 때, 요컨대 끼워맞춤 볼록부(2a, 2b)가 끼워맞춤 오목부(1a, 1b) 또는 (1c, 1a)에 걸어맞춤할 때에, 송화부와 수화부를 가압수단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저속으로 회동시키면, 송화부와 수화부는 단순히 접촉하는 것뿐이고, 힘있게 맞부딪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클릭음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힌지장치를 일본국 특원평 11-376023호에서 제안하고 있다. 이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제 1 힌지부재에 가동부재가 회동 불가능하게, 또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 가동부재는 코일스프링(가압수단)에 의해서 제 2 힌지부재에 맞부딪쳐지고 있다. 가동부재와 제 2 힌지부재와의 각 접촉면에는,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힌지부재와 수화부(또는 송화부)에는, 서로 끼워맞춤하는 접촉 볼록부와 접촉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 볼록부와 접촉 오목부가 끼워맞춤하는 것에 의해, 제 2 힌지부재가 수화부를 따라서 회동하게 되어 있다. 단, 접촉 오목부의 둘레방향의 폭은, 접촉볼록부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힌지부재는, 수화부에 대하여 미소한 각도만큼 상대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힌지장치에서는, 수화부가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회동하여 끼워맞춤 볼록부가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춤되면, 가압수단의 가하는 힘에 의해서 제 2 힌지부재가 수화부에 대하여 급속히 회동한다. 그 결과, 접촉볼록부의 둘레방향의 측면이 접촉 오목부의 둘레방향의 측면에 맞부딪쳐서, 클릭음이 발생한다. 이 경우, 제 2 힌지부재는,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가 끼워맞춤하면, 송화부와 수화부와의 회동속도에도 불구하고, 수화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속 회동한다. 따라서, 송화부와 수화부를 저속으로 회동시켰어도 클릭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에 관한 힌지장치에 있어서는, 송화부 또는 수화부에 클릭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접촉 오목부 또는 접촉 볼록부를 설치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실제로 클릭음이 발생하는지 하지 않는지는, 힌지장치를 송화부 또는 수화부에 조립해 넣지 않으면 알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치수오차 등의 관계로부터 클릭음이 나지 않거나, 혹은 클릭음이 났다고 해도 대단히 작은등 좋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가 있었다.
본 발명은, 소정의 회동위치에서 클릭음을 발생할 수 있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의 X원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는, 동 휴대전화기에 사용된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동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X-X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동 힌지장치의 제 1 힌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그 정면도, 도 5(B)는 그 측면도, 도 5(C)는 도 5(A)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D)는 도 5(B)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E)는 도 5(C)의 E-E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동 힌지장치의 가동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은 그 정면도, 도 6(B)은 그 측면도, 도 6(C),(D)는 각각 도 6(A)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 화살표 D 방향에서본 도면, 도 6(E)은 도 6(C)의 E-E 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동 힌지장치의 타격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그 평면도, 도 7(B)는 그 정면도, 도 7(C)은 그 저면도, 도 7(D)은 도 7(A)의 D-D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힌지장치의 제 2 힌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A)은 그 평면도, 도 8(B)은 그 측면도, 도 8(C)은 그 정면도, 도 8(D)은 도 8 (A)의 D-D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8(E)은 그 저면도, 도 8(F)은 도 8(A)의 F-F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동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일례를 열림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동 휴대전화기를 닫힘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동 휴대전화기를 열림 상태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힌지장치에 있어서의 한 쌍의 힌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A), (B)는 한 쌍의 힌지부재의 대향면을 도시한 도면이고,도 13(C)은 한 쌍의 힌지부재를 대향시킨 상태로 도시한 도면 13(A)의 C-C 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힌지장치 자체에서 클릭음을 확실히 발생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의 발명은, 힌지축을 통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힌지부재와, 상기 제 1, 제 2 힌지부재의 사이의 상기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상기 제 1 힌지부재에 회동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힌지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제 2 힌지부재와의 사이의 상기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타격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타격부재로 밀어붙이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의 상호간의 접촉면사이에는, 상기 가압수단의 가하는 힘을,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하는 힘변환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에는, 서로 끼워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타격부재를 상기 제 2 힌지부재를 따라서 회동시키는 접촉볼록부와, 접촉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제 2 힌지부재에 대해 미소한 각도만큼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오목부의 둘레방향의 폭이 상기 접촉볼록부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2의 발명은, 송화부와 수화부가 힌지장치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가, 힌지축을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힌지부재와, 상기 제 1, 제 2 힌지부재의 사이의 상기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상기 제 1 힌지부재에 회동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힌지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제 2 힌지부재와의 사이의 상기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타격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상기 타격부재로 밀어붙이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의 서로의 접촉면사이에는, 상기 가압수단의 가하는 힘을,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하는 힘변환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에는, 서로 끼워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타격부재를 상기 제 2 힌지부재에 따라서 회동시키는 접촉볼록부와 접촉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제 2 힌지부재에 대하여 미소한 각도만큼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오목부의 둘레방향의 폭이 상기 접촉볼록부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와의 어느 한쪽에 상기 제 1 힌지부재가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에 상기 제 2 힌지부재가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가 사용된 휴대전화기(A)를 나타내는 것으로, 휴대전화기(A)는 얇은 금속제의 판재를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송화부(B) 및 수화부(C)를 갖고 있다. 송화부(B)의 한 끝단부의 양쪽에는, 연결통부(Bl,Bl)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통부 (Bl,B1)는, 서로 대향하는 안쪽의 끝단부가 개구하고, 바깥쪽의 끝단부가 닫혀져 있다. 각 연결통부(B1)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장치 (1)의 일끝단부가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이하, 힌지장치(1)의 연결통부(B1)측을 앞끝단측이라 칭하고, 다른 끝단측을 기초끝단측이라 칭한다]. 한편, 수화부(C)의 한 끝단부의 중앙부에는, 연결통부(C1)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통부(C1)는 그 양 끝단부가 개구하고 있고, 연결통부(B1,B1)사이에 그들과 축선을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다. 연결통부(C1)의 양 끝단부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힌지장치(1,1)의 기초끝단부가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힌지장치(1)의 연결통부(B1)에 끼워맞춰진 앞끝단부와, 연결통부(C1)에 끼워맞춰진 기초끝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송화부(B)와 수화부(C)는, 힌지장치(1)에 의해 연결통부(Bl,C1)의 축선[힌지장치(1)의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송화부(B)와 수화부(C)는, 서로 맞부딪혀 닿은 도 11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와, 닫힘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160°∼170°정도) 회동한 도 12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힌지장치(1)에 관해서 설명하면, 도 1∼도 4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장치(1)는 제 1, 제 2 힌지부재(2, 3) 및 힌지축(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힌지부재(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끝단부(도 5에 있어서 하단부)가 개구하고, 기초끝단부에 바닥부(21)를 갖는 원통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연결통부(C1)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힌지부재(2)의 바깥둘레면에는, 그 한 끝단으로부터 다른 끝단까지 관통하는 2개의 키홈(22, 22)이 둘레방향으로 180° 떨어져 배치 형성되어 있다. 각 키홈(22)에는, 연결통부(C1)의 안둘레면에 형성된 키부(도시하지 않음)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따라, 제 1 힌지부재(2)가 연결통부(C1)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아가서는, 커버(C)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축(4)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끝단부에 형성된 원판형상을 이루는 머리부(41), 이 머리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단면이 원형인 지지축부(42), 이 지지축부(42)의 앞끝단면에 형성된 단면이 육각형인 걸어맞춤 축부(43) 및 이 걸어맞춤 축부(43)의 앞끝단면에 형성된 조임부 (44)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머리부(41), 지지축부(42),걸어맞춤 축부 (43) 및 조임부(44)는, 서로의 축선을 일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축부(43)의 대각선상의 치수는, 지지축부(42)의 바깥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조임부(44)의 바깥지름은, 걸어맞춤 축부(43)가 대향하는 두 변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지지축부(42)는, 제 1 힌지부재(2)의 바닥부(21)에 형성된 관통구멍 (23)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 2 힌지부재(3)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기판부(31)를 갖고 있다. 이 기판부(31)의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에는, 제 1 힌지부재(2)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접촉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제 2 힌지부재(3)는, 송화부(B)의 연결통부(B1)에 회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힌지부재(3)가 송화부(B)와 일체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더구나, 제 2 힌지부재(3)는 연결통부(B1)의 안둘레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송화부(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힌지부재(3)의 기판부(31)의 중앙부에는, 그곳을 관통하는 눌러넣는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눌러넣는 구멍(33)에는, 힌지축(4)의 걸어맞춤 축부 (43)의 각 모서리부가 눌러넣어져 있다. 이에 따라, 제 2 힌지부재(3)이 힌지축 (4)에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힌지부재(3)는, 제 1 힌지부재(2)에 힌지축(4)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눌러넣는구멍(33)의 앞끝 개구부에는, 면따냄형상의 테이퍼구멍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축(4)의 조임부(44)가 테이퍼구멍부(34)에 대응한 형상이 되도록 더욱 죄어져서 확대지름부(45)가 형성되고, 이 확대지름부(45)와 지지축부(42)의 앞끝단면에 의해서 기판부(31)가 끼워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힌지부재 (3)가 힌지축(4)에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힌지축(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1 힌지부재(2)의 바닥부(21)와 힌지축(4)의 머리부(41)와의 사이에는, 도전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도전부재(5)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중앙부가 지지축부(42)에 의해서 관통되어 있다. 더구나, 도전부재 (5)는, 제 1 힌지부재(2)의 바닥부(21)와 힌지축(4)의 머리부(41)에 의해서 끼워지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위치고정됨과 동시에, 힌지축(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전부재(5)의 양 끝단부는, 제 2 힌지부재(3)측을 향해서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고, 그곳이 단자부(51)로 되어 있다. 이 단자부(51)는, 제 1 힌지부재(2)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오목부(24)에 끼워넣어져 있다. 다만, 단자부(51)의 바깥면은 제 1 힌지부재(2)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단자부(51)는, 수화부(C)의 연결통부(C1)의 안둘레면에 반드시 접촉하고, 도전부재(5)가 수화부 (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결과, 수화부(C)와 송화부(B)가, 도전부재 (5), 힌지축(4) 및 제 2 힌지부재(3)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힌지장치(1)의 안테나기능의 향상과, 정전기대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힌지부재(2)와 제 2 힌지부재(3)와의 사이에는, 제 1 힌지부재(2)측으로 가동부재(6)가 배치되고, 제 2 힌지부재(3)측에 타격부재(7)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부재(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이루는 기초부(61)를 갖고 있다. 이 기초부(61)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62)에는, 힌지축(4)의 지지축부(2)가 회동 가능하게, 또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가동부재(6)의 기초부(61)의 둘레방향으로 180° 떨어진 한측부와 다른 측부에는, 가이드부(63, 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63, 63)는, 제 1 힌지부재(2)의 앞끝단면으로부터 기초끝단측을 향해서 뻗은 가이드홈(25,25)에 힌지장치(1)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재(6)가 제 1 힌지부재(2)에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타격부재(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중앙부에는 관통구멍(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7a)에는, 힌지축(4)의 지지축부(42)가 회동 가능하게, 또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타격부재(7)의 바깥둘레면에는, 한 쌍의 접촉오목부(71,71)가 둘레방향으로 180°떨어져 배치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촉오목부(71,71)에는, 제 2 힌지부재 (3)의 접촉볼록부(32,32)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힌지부재(3)가 회동하면, 그것에 따라서 타격부재(7)가 회동하게 되어 있다. 다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오목부(71)의 둘레방향의 폭(W2)은, 접촉볼록부(32)의 둘레방향의 폭(W1)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타격부재(7)는, 접촉오목부(71)와 접촉볼록부(32)의 폭차의 분량만큼 제 2 힌지부재(3)에 대하여 근소하게 상대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힌지부재(1)의 바닥부(21)와 가동부재(6)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가압수단)(8)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8)에 의해, 가동부재(6)가 타격부재 (7)에 접촉되어 있고, 타격부재(7)는, 제 2 힌지부재(3)의 기판부(31)에 의해서 받아멈춤되고 있다. 가동부재(6)의 타격부재(7)와의 접촉면에는, 도 6(D),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오목부(64, 64)가 둘레방향으로 180°떨어져 배치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오목부(64)에는, 끼워맞춤 볼록부로서의 구형상체(9)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격부재(7)의 가동부재(6)와의 대향면에는, 한 쌍의 끼워맞춤 오목부(72,72)가 둘레방향으로 180°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끼워맞춤 오목부(72,72)는, 지지오목부(64,64) [구형상체(9, 9)]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고, 수화부(C)가 닫힘 위치로 회동하면, 도 7(A)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형상체(9)의 중심이 끼워맞춤 오목부(72)의 곡률중심과 둘레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형상체(9)는, 수화부(C)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면, 끼워맞춤 오목부(72)를 구획하는 바닥면중의 경사면에 접촉한다. 그 결과, 코일스프링(8)의 가하는 힘은, 구형상체(9)를 화살표 Y 방향으로 가하여지는 힘, 바꾸어 말하면 타격부재(7)를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회동가압력에 의해, 제 2 힌지부재(3) 및 수화부(C)가 같은 방향(열림 위치측으로부터 닫힘 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눌러지고, 수화부(C)가 닫힘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수화부(C)가 열림 위치로 회동하면, 구형상체(9)는, 도 7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점대칭인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결과, 타격부재(7)가 도 7의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가압되고, 나아가서는 제 2 힌지부재(3) 및 수화부(C)가 닫힘 위치측으로부터 열림 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수화부(C)가 열림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오목부(72)와 구형상체(9)에 의해서 힘변환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끼워맞춤 오목부(72,72)사이에는, 가이드홈(73,73)이 형성되어 있고, 수화부(C)가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할 때에는, 구형상체(9)가 가이드홈(73)내를 굴러서 이동한다.
상기 구성의 힌지장치(1)에 있어서, 지금, 수화부(C)가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열림 위치측으로부터 닫힘 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도 7의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힌지부재(3)의 접촉볼록부(32)의 한쪽의 측면(32a)이 접촉오목부(71)의 측면(71b)에 부딪혀 닿고 있다. 따라서, 접촉볼록부(32)의 다른쪽의 측면(32b)과 접촉오목부(71)의 측면(71a)과의 사이에는, 그들의 폭의 차에 대응하는 미소한 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때 구형상체(9)는 가이드홈(73)내를 상대적으로 화살표 Y방향으로 굴러서 이동하고 있다. 수화부(C)가 닫힘 위치 또는 그 직전에 달하면, 도 7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형상체(9)의 중심이, 끼워맞춤 오목부 (72)의 둘레가장자리부와 그 곡률중심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구형상체(9)가 끼워맞춤 오목부(72)를 구획하는 벽면중의 경사면에 맞부딪친다. 그 결과, 코일스프링(8)의 가압력이 타격부재(7)를 화살표 X방향으로 누르는 회동가압력으로 변환된다. 이 때, 타격부재(7)는 제 2 힌지부재(3)에 대하여 미소한 각도만큼 상대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회동가압력에 의해서 화살표 X방향으로 고속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타격부재(7)의 접촉오목부(71)의 측면(71a)이 접촉볼록부(32)의 측면(32b)에 고속으로 충돌한다. 이것에 의해서, 클릭음이 발생한다. 더구나, 측면 (71a)이 측면(32b)에 맞부딪치는 것에 의해, 제 2 힌지부재(3)가 코일스프링 (8)에 의해서 화살표 X방향으로 눌러지고, 수화부(C)가 닫힘 위치에 유지된다.
수화부(C)가 닫힘 위치측에서 열림 위치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수화부(C)가 열림 위치 또는 그 직전에 달하면, 타격부재(7)가 화살표 Y방향으로 급속 회동하여, 접촉오목부(71)의 측면(71b)이 접촉볼록부(32)의 측면(32a)에 맞부딪친다. 이것에 의해서, 클릭음이 발생한다. 또한, 측면(71b)이 측면(32a)에 맞부딪치는 결과, 제 2 힌지부재(3)가 화살표 Y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수화부(C)가 열림위치에 유지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1)를 휴대전화기(A)에 사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힌지장치(1), 휴대전화기(A)이외의 기기, 예를 들면 노트형 퍼스널컴퓨터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힘변환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끼워맞춤 볼록부로서의 구형상체(9)를 가동부재(6)와 별개로 형성하고 있지만, 끼워맞춤 볼록부는 가동부재(6)에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힌지장치는, 휴대전화기, 퍼스널컴퓨터, 그 밖의 본체와 덮개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2)

  1. 힌지축을 통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힌지부재와, 상기 제 1, 제 2 힌지부재사이의 상기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관통되고, 상기 제 1 힌지부재에 회동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힌지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제 2 힌지부재 사이의 상기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타격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타격부재로 밀어붙이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의 상호간의 접촉면사이에는, 상기 가압수단이 가하는 힘을,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하는 힘변환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에는, 서로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타격부재를 상기 제 2 힌지부재에 따라서 회동시키는 접촉볼록부와 접촉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제 2 힌지부재에 대하여 미소한 각도만큼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오목부의 둘레방향의 폭이 상기 접촉볼록부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송화부와 수화부가 힌지장치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가, 힌지축을 통해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힌지부재와, 상기 제 1, 제 2 힌지부재사이의 상기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상기 제 1 힌지부재에 회동 불가능하게, 또한 상기 힌지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제 2 힌지부재 사이의 상기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타격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타격부재로 밀어붙이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의 상호간의 접촉면 사이에는, 상기 가압수단이 가하는 힘을, 상기 타격부재를 회동시키는 힘으로 변환하는 힘변환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에는, 서로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타격부재를 상기 제 2 힌지부재에 따라서 회동시키는 접촉볼록부와 접촉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제 2 힌지부재에 대하여 미소한 각도만큼 상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오목부의 둘레방향의 폭이 상기 접촉볼록부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송화부와 상기 수화부와의 어느 한쪽에 상기 제 1 힌지부재가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쪽에 상기 제 2 힌지부재가 회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KR20027010197A 2000-12-14 2001-11-28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KR100786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79705A JP3825627B2 (ja) 2000-12-14 2000-12-14 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器
JPJP-P-2000-00379705 2000-12-14
PCT/JP2001/010371 WO2002048558A1 (fr) 2000-12-14 2001-11-28 Dispositif d'articulation et telephone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541A true KR20020073541A (ko) 2002-09-26
KR100786935B1 KR100786935B1 (ko) 2007-12-17

Family

ID=1884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7010197A KR100786935B1 (ko) 2000-12-14 2001-11-28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90711B2 (ko)
EP (1) EP1251286A4 (ko)
JP (1) JP3825627B2 (ko)
KR (1) KR100786935B1 (ko)
CN (1) CN1211591C (ko)
CA (1) CA2400756A1 (ko)
HK (1) HK1051717A1 (ko)
TW (1) TW576075B (ko)
WO (1) WO2002048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1651B2 (ja) * 2001-02-28 2008-08-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2003120655A (ja) * 2001-10-15 2003-04-23 Ohashi Technica Inc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3986794B2 (ja) * 2001-10-19 2007-10-03 株式会社オーハシテクニカ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WO2004079935A1 (en) * 2003-03-03 2004-09-16 M2Sys Co., Ltd Hinge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0381716C (zh) * 2003-09-12 2008-04-16 欧姆龙株式会社 旋转支撑机构和便携式终端
KR100595631B1 (ko) * 2003-12-16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678058B1 (ko) * 2004-09-1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0413388C (zh) * 2004-10-23 2008-08-2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及应用该铰链的移动电话
CN2745325Y (zh) * 2004-11-06 2005-12-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JP2006174275A (ja) * 2004-12-17 2006-06-29 Nec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ヒンジ構造
US7324092B2 (en) * 2005-02-07 2008-01-29 Invente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inge structure
JP2006258116A (ja) * 2005-03-15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装置
US7107648B1 (en) * 2005-03-18 2006-09-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JP4554454B2 (ja) * 2005-07-05 2010-09-2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4473306B2 (ja) 2005-07-12 2010-06-0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20070234514A1 (en) * 2006-04-05 2007-10-11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a multi-stage positioning function
DE102006037218B4 (de) * 2006-08-09 2008-11-13 Mekra Lang Gmbh & Co. Kg Rastgelenk und Außenspiegel mit einem solchen Rastgelenk
US7854041B2 (en) * 2006-10-17 2010-12-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TW200848629A (en) * 2007-06-11 2008-12-16 Jarllytec Co Ltd Revolving axle structure with position-locking engagement means
US8019394B2 (en) * 2007-06-29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Component packaging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JP2009063105A (ja) * 2007-09-06 2009-03-26 Sony Corp 開閉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
US8204560B2 (en) * 2008-12-17 2012-06-19 Motorola Mobility, Inc. Clamshell phone with edge access
DE112009004398B4 (de) * 2009-02-10 2014-08-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elenkmechanisinus
US9223355B2 (en) * 2009-02-28 2015-12-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atch system
CN201599306U (zh) * 2009-12-30 2010-10-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补偿包覆式转轴
KR101690794B1 (ko) 2010-10-11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US8753128B2 (en) 2011-03-31 2014-06-1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2013108526A (ja) * 2011-11-17 2013-06-06 Shimonishi Giken Kogyo Kk ヒンジ
JP6031001B2 (ja) * 2013-06-19 2016-11-24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CN103993799A (zh) * 2014-06-12 2014-08-20 宁波镇明转轴有限公司 一种微波炉门合页的机轴
US11543095B2 (en) 2018-04-06 2023-01-03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with particular attachment of spatial light modulator to heat sink
JP7075299B2 (ja) * 2018-07-12 2022-05-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20190041918A1 (en) * 2018-06-27 2019-02-07 Intel Corporation Spine assembly for a computing system with multiple computing parts
US11795747B2 (en) * 2021-06-28 2023-10-24 Rivian Ip Holdings, Llc Vehicle door hinge
CN115076215A (zh) * 2022-06-21 2022-09-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铰链悬停机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2283A1 (de) 1990-10-11 1992-04-16 Rauschenberger Metallwaren Gmb Gelenk, insbesondere zur verbindung der leiterholme einer zusammenklappbaren mehrzweckleiter
JP2526490B2 (ja) 1993-06-23 1996-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ヒンジ構造
US5724683A (en) * 1994-10-20 1998-03-10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Hinge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seat or the seat lid of a toilet bowl
JPH08139793A (ja) * 1994-11-15 1996-05-31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用電話器の開閉装置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US5905796A (en) * 1995-09-19 1999-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141099Y1 (ko) * 1995-09-19 1999-05-15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JP3053369B2 (ja) 1996-07-01 2000-06-19 株式会社田窪工業所 関節部の接続方法
JP3818407B2 (ja) 1997-05-14 2006-09-0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JP3721244B2 (ja) 1997-05-15 2005-11-30 加藤電機株式会社 開閉体の開閉装置
JP3732619B2 (ja) 1997-06-16 2006-01-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3816202B2 (ja) 1997-07-31 2006-08-30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TW411069U (en) * 1997-10-08 2000-11-01 Kato Electric & Machinary Co Hinge device
US5996178A (en) * 1997-10-15 1999-12-07 Motorola, Inc. Hinge suitable for use in a foldable device
JP4125408B2 (ja) 1997-12-26 2008-07-30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回転動作支持機構
GB2334068B (en) * 1998-02-06 2001-10-03 Nec Technologies Hinge construction for a mobile phone handset
SE511799C2 (sv) * 1998-03-24 1999-11-29 Ericsson Telefon Ab L M Gångledsanordning vid en mobiltelefonapparat med lucka
EP0961457B1 (en) * 1998-05-26 2004-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US6195431B1 (en) * 1998-08-13 2001-02-27 Ericsson Inc. Rotational hinge damping mechanism
JP3489668B2 (ja) 1999-05-31 2004-01-2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
JP4175493B2 (ja) 1999-11-25 2008-11-0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3734659B2 (ja) * 1999-12-28 2006-01-1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2002039161A (ja) * 2000-07-31 2002-02-06 Nifco Inc ヒンジユニット及びヒンジ構造
JP4014814B2 (ja) * 2001-03-30 2007-11-28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TW482229U (en) * 2001-07-17 2002-04-01 Hinge Basestrong Co Ltd Rotating axle structure with lift and clos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935B1 (ko) 2007-12-17
EP1251286A4 (en) 2005-07-06
CN1211591C (zh) 2005-07-20
HK1051717A1 (en) 2003-08-15
WO2002048558A1 (fr) 2002-06-20
CA2400756A1 (en) 2002-06-20
JP2002181031A (ja) 2002-06-26
TW576075B (en) 2004-02-11
CN1401058A (zh) 2003-03-05
JP3825627B2 (ja) 2006-09-27
US20030056325A1 (en) 2003-03-27
EP1251286A1 (en) 2002-10-23
US6990711B2 (en)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35B1 (ko)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US6832411B2 (en) Hinge device
US5257310A (en) Portable telephone
US6772481B2 (en) Hinge assembly
US7200224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960000155B1 (ko) 힌지 장치
US6125507A (en) Closing device for covering member
US6785936B2 (en) Hinge device
KR20050004259A (ko) 힌지장치
US6704418B1 (en) Hinge device
JP3830745B2 (ja) ヒンジ装置
EP1767796A1 (en) Two-axis hinge device
JP2001049938A (ja) ヒンジ
JP4112324B2 (ja) ヒンジ装置
WO2005066508A1 (ja) ヒンジ装置
JP4226828B2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H09195611A (ja) ヒンジ構造
KR100797103B1 (ko) 휴대 단말기
JP4660892B2 (ja) 開閉装置
JP2002330206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