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414A -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414A
KR20020073414A KR1020020013794A KR20020013794A KR20020073414A KR 20020073414 A KR20020073414 A KR 20020073414A KR 1020020013794 A KR1020020013794 A KR 1020020013794A KR 20020013794 A KR20020013794 A KR 20020013794A KR 20020073414 A KR20020073414 A KR 20020073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diaper
elastic member
elastic
pa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츠보도시후미
야마모토히로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3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61F13/1560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the ribbons being applied in an irregular p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4Straps, belts, ties or endles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2013/490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decoupled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10T156/1015F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75Prior to assembly of plural laminae from single stock and assembling to each other or to additional lam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tan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 부분이 생기지 않는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팬츠형 기저귀가 U자형으로 절곡된 체액 흡수성 패드 부재(4)와, 각각이 몸통 둘레를 반주(半周)하는 앞몸통 둘레 부재(2)와 뒷몸통 둘레 부재(3)를 갖는다. 앞뒤 몸통 둘레 부재(2, 3)는 기계 방향으로 주행시킨 1폭 웨브의 한 면에 각각이 사인커브형 곡선을 그리면서 기계 방향으로 병렬로 연장되는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를 접착한 후, 웨브를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이분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는 웨브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이지만, 기계 방향으로 사인커브형의 반주기분(半周期分)만큼 어긋나 있다.

Description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CONTINUOUS PROCESS FOR RPODUCING PANTS TYP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의 용도에 적합한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3-139349호 공보에는 탄성 신축성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는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 제조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정에서는 기계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2 라인의 탄성 부재를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병렬로 주행시켜, 연속적으로 흐르는 웨브의 한 면에 접착한다. 서로 이격된 2 라인의 탄성 부재는 웨브에 있어서 다리 둘레 개구부의 형성이 예정된 부위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다. 웨브를 다리 둘레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려 내면, 가장자리 둘레에 탄성 부재를 갖는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9-224973호 공보에도 또한, 탄성 신축성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 제조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정에서는 웨브가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사인커브형 곡선을 그리면서 기계 방향으로 병렬로 연장되는 2 라인의 연속 탄성 부재가 그 웨브의 한 면에 접착된다. 웨브는 2 라인의 탄성 부재 사이에서 이들 부재가 그리는 곡선을 따라서 절단되어, 폭 방향으로 이분된다. 이분된 웨브는 폭 방향으로 소요 치수 이격되도록 기계 방향에대한 직교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 후에, 양 웨브 중의 한쪽이 사인커브형 곡선의 반주기분만큼 기계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그 후, 양 웨브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서 접합된다. 접합된 양 웨브에서는 서로 마주 보아 사인커브형 곡선을 그리면서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는 가장자리가 그 곡선의 산 부분과 골짜기 부분에 의해 다리 둘레 개구부를 형성하고, 탄성 부재가 그 개구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있다.
상기 일본국 특허 공개 평3-139349호 공보에 개시한 기저귀 제조 공정에서는, 웨브를 오려 내어 기저귀에 다리 둘레 개구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웨브로부터는 다리 둘레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한 폐기 부분이 생기고, 이것을 처분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수고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상기 특허 공개 평9-224973호 공보에 개시한 기저귀 제조 공정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분되어 병렬로 주행하는 웨브를 기계 방향과 이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2회에 걸쳐 평행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므로, 그만큼 공정의 관리가 복잡하게 되고, 또 생산성의 향상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탄성 신축성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는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웨브로부터 폐기 부분이 생기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거나, 주행 중인 웨브의 평행 이동 횟수를 최대한 적게 하거나 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기저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패드 부재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패드 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같은 식의 도면.
도 5는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저귀 제조 공정의 부분도.
도 6은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기저귀를 제조하는 공정의 부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저귀
2 : 앞몸통 둘레 영역
3 : 뒷몸통 둘레 영역
4 : 패드 부재
5 : 몸통 둘레부
31 : 표면 시트
33 : 코어
35 : 양측 부분
39 : 탄성 부재
61 : 웨브
64 : 탄성 부재
65 : 복합 웨브
66 : 탄성 부재
70 : 제2 웨브
74 : 제1 탄성 부재
75 : 제2 복합 웨브
76 : 제2 탄성 부재
81 : 제1 반절 웨브
82 : 제2 반절 웨브
84 : 패드 부재
85 : 제1 기저귀 연속체
88 : 제2 기저귀 연속체
89 : 접합 부위
111 : 복합 웨브
112 : 제2 복합 웨브
c : 중심선
cd : 직교 방향
e : 중심선
md : 기계 방향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이하의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이다. 즉, 가랑이부 영역을 중심으로 U자형을 띠도록 절곡되어 배 쪽과 등 쪽으로 연장되는 체액 흡수성 패드 부재와, 상기 배 쪽에서 상기 패드 부재의 외면측에 부착되어 몸통 둘레 방향을 반주하는 시트형의 앞몸통 둘레 부재와, 상기 등 쪽에서 상기 패드 부재의 외면측에 부착되어 상기 몸통 둘레 방향을 반주하는 시트형의 뒷몸통 둘레 부재를 지니고, 상기 앞뒤 양몸통 둘레 부재가 각각의 몸통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끼리 접합하여 환상의 몸통 둘레부를 형성하며, 이들 패드 부재와 앞뒤 몸통 둘레 부재에 의해 팬츠형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상기 제조 방법이 하기한 공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a. 상기 앞뒤 몸통 둘레 부재를 형성할 1 폭의 웨브를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행시키고, 상기 기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몸통 둘레 반주기분의 길이 각각의 범위 내에서 사인커브형 곡선의 반주기만큼을 그리도록 서로 병행하는 복수 라인의 탄성사로 이루어지는 신장 상태의 제1 탄성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웨브의 한 면에 접착제로 접합하는 한편, 상기 기계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웨브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에 대해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대칭이며, 또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그리는 곡선과는 반주기분이 어긋나 있는 신장 상태의 제2 탄성 부재를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에 접근시킨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웨브의 한 면에 접착제로 접합하여 제1복합 웨브를 형성하고,
b. 필요하면, 상기 웨브의 한 면에, 상기 제1, 2 탄성 부재 위에서부터 1 폭의 제2 웨브를 공급하는 동시에 접착제로 접합하여 제2 복합 웨브를 형성하고,
c. 그 후에, 상기 제1 복합 웨브 및 제2 복합 웨브 중 어느 것을 상기 직교 방향에서 이분하도록 상기 제1, 2 탄성 부재 사이에서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직교 방향으로 소요 치수 이격시켜, 상기 기계 방향으로 병렬로 연장되는 제1 반절 웨브와 제2 반절 웨브를 형성하고,
d. 상기 기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반주기분 길이 범위의 거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반절 웨브와 제2 반절 웨브에, 이들 양 웨브 사이를 걸친 상태로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계 방향의 치수가 상기 반주기분의 길이보다 짧은 개체의 체액 흡수성 패드 부재를 얹어 이들 양 웨브와 패드 부재를 접합하여,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제1 기저귀 연속체를 형성하고,
e. 상기 제1 기저귀 연속체를 상기 직교 방향에서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따라, 상기 연속체를 상기 패드 부재가 내측이 되도록 하여 상기 직교 방향으로 겹쳐 포개어 제2 기저귀 연속체를 형성하고,
f. 상기 제2 기저귀 연속체에 있어서 중첩되는 상기 제1 반절 웨브와 제2 반절 웨브를, 인접하는 상기 패드 부재와 패드 부재 사이의 거의 중심에서 접합하여, 상기 패드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헐적으로 나란히 늘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 부위를 형성하고,
g. 상기 제2 기저귀 연속체를 상기 접합 부위 및 상기 접합 부위의 근방 중어디에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선에서 분단하여, 상기 패드 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반절 웨브와 제2 반절 웨브가 접합하고 있는 개체의 기저귀를 형성하는 공정.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1)의 사시도이다. 기저귀(1)는 몸통 둘레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몸통 둘레 부재(2)와, 몸통 둘레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몸통 둘레 부재(3)와, U자형으로 만곡하여 가랑이부 영역에 위치하는 체액 흡수성 패드 부재(4)를 갖는다. 앞뒤 몸통 둘레 부재(2, 3)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각 몸통 둘레를 반주하도록 연장되고, 몸통 둘레 방향에서 단부끼리 합장형으로 중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나란히 늘어서는 부위(6)에서 접합하여 환상의 몸통 둘레부(5)와 몸통 둘레 개구부(7)를 형성하고 있다. 앞뒤 몸통 둘레 부재(2, 3) 각각은 상연부(11, 12)와, 하연부(13, 14)를 갖는다. 상연부(11, 12)의 내면에는 복수 라인의 탄성사(16, 17)로 이루어지는 배 쪽 및 등 쪽의 상측 탄성 부재(18, 19)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있고, 이들 양 부재(18, 19)가 일련의 것으로 되어 몸통 둘레 개구부(7)를 둘러싸고 있다. 하연부(13, 14)의 내면에는 복수 라인의 탄성사(21, 22)로 이루어지는 배 쪽 및 등 쪽의 하측 탄성 부재(23, 24)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패드 부재(4)는 기저귀(1)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31)와, 옷에 접촉하는 이면 시트(32)와, 이들 양 시트(31, 32)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 흡수성 코어(33)를 지니고, 코어(33)의 주연부에서부터 연장된 표면 및 이면 시트(31, 32)가 중첩되어 서로 접합하여, 코어(33)의 양측부 바깥쪽에 측연부 플랩(35)을 형성하고 있다. U자형으로 만곡하고 있는 패드 부재(4)는 배 쪽 상단부(36)와 등 쪽 상단부(37)를 지니고, 이들 중의 상단부(36)는 앞몸통 둘레 부재(2)의 내면에 접합하고, 또 한쪽의 상단부(37)는 뒷몸통 둘레 부재(3)의 내면에 접합하고 있다. 측연부 플랩(35)에서는 코어(33)의 측부를 따라 U자형을 그려 상측으로 연장되는 1 라인 또는 복수 라인의 탄성사(38)로 이루어지는 측부 탄성 부재(39)가 신장 상태로 표면 및 이면 시트(31, 32)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 부재(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몸통 둘레 측부에서 앞뒤 몸통 둘레 부재(2, 3)의 하연부(13, 14)와 교차함으로써 다리 둘레 개구부(41)를 형성하고, 패드 부재(4)의 측부 탄성 부재(39)와, 앞뒤 몸통 둘레 부재(2, 3)의 하측 탄성 부재(23, 24)가 기저귀(1)의 다리 둘레 탄성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몸통 둘레의 측부에서, 배 쪽과 등 쪽의 하측 탄성 부재(23과 24)는 실질상 일련으로 되어 배 쪽에서 등 쪽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지고 있고, 하측 탄성 부재(24)는 패드 부재(4)를 기저귀(1) 착용자의 둔부에 하측에서부터 밀착시키도록 작용한다.
도 2는 기저귀(1) 제조 공정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기계 방향이 화살표 md로 표시되고, 기계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이 화살표 cd로 표시되어 있다. 공정은 제1∼8 공정(51∼58)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 중 제1 공정(51)에서는 도면의 좌측에서부터 1 폭의 웨브(61)가 md 방향을 향해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제2 공정(52)에서는 웨브(61)의 양측연부에 각각 복수 라인의 탄성사(62,63)로 이루어지는 몸통 둘레 개구부용 탄성 부재(64, 66)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웨브(61)의 상면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부착된다. 그 접착제는 탄성사(62, 63)에 도포되어 있는 경우와, 웨브(61)에 도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제3 공정(53)에서는 복수 라인의 탄성사(67)로 이루어지는 제1 탄성 부재(73)와 복수 라인의 탄성사(68)로 이루어지는 제2 탄성 부재(74)가 웨브(61)의 상면에 사인커브형의 곡선을 그리면서 소요의 신장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부착되어, 웨브(61)와 각 탄성 부재(64, 66, 73, 74)로 이루어지는 복합 웨브(65)가 형성된다. 제1 탄성 부재(73)와 제2 탄성 부재(74)는 웨브(61)의 중심선(c)에 대해 대칭이며, 또한 md 방향으로 반주기(a)의 길이만큼 어긋나 있다. 즉, 도면에서 제1 탄성 부재(73)를 md 방향으로 반주기(a)만큼 위치를 바꾸면, 제1 탄성 부재(73)가 그리는 골짜기(76)와 산(77)의 곡선 형상은 제2 탄성 부재(74)가 그리는 산(78)과 골짜기(79)의 곡선 형상과 중심선(c)에 대해 대칭이 된다.
제4 공정(54)에서는 제3 공정(53)에서 제1 탄성 부재(73)와 제2 탄성 부재(74) 사이를 이등분하는 선(d)을 따라 웨브(61)가 절단되어 제1 반절 웨브(81)와 제2 반절 웨브(82)가 되고, 이들 양 웨브(81, 82)가 md 방향으로 직교하는 cd 방향으로 소요 치수(83)만큼 이격되도록 평행 이동한다.
제5 공정(55)에서는 부분적으로 파단하여 표시한 개체의 체액 흡수성 패드 부재(84)를, 그것이 제1, 2 반절 웨브(81, 82) 사이를 걸치고 있는 듯한 형태로 제1, 2 반절 웨브(81, 82)에 겹치고, 중첩되는 부분을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로 접합하여 제1 기저귀 연속체(85)를 얻는다. 패드 부재(84)의 md 방향의 치수는 반주기(a)의 길이보다 짧고, md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패드 부재(84)는 그 중의 하나(84a)가 제1 탄성 부재(73)가 그리는 골짜기부(76)와 제2 탄성 부재(74)가 그리는 골짜기부(79)의 중앙에 위치하고, 또 하나의 패드 부재(84b)는 제1 탄성 부재(73)가 그리는 산부(77)와 제2 탄성 부재(74)가 그리는 산부(78)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인접하는 패드 부재(84a와 84b)에서는 측연부(46)에서부터 패드 부재(84a)까지의 거리(86)와 측연부(47)에서부터 패드 부재(84b)까지의 거리(87)가 같다. 패드 부재(84)는 체액 흡수성 코어(33)와 측부 탄성 부재(39)를 갖는 것이지만(도 3 참조), 도 2에서 웨브(61)에 실린 패드 부재(82)는 그 외형만이 표시되어 있다. 단, 부재(8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2 반절 웨브(81, 82) 및 제1, 2 탄성 부재(73, 74)는 그 존재를 명시하기 위해서 가상선으로 표시하였다.
제6 공정(56)에서는 제1 기저귀 연속체(85)를 그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e)을 따라, 패드 부재(84)가 내측이 되도록 하여 겹쳐 포개어, 제2 기저귀 연속체(88)를 얻는다.
제7 공정(57)에서는 제2 기저귀 연속체(88)에 있어서 인접하는 패드 부재(84와 84) 사이의 중심선(f)을 따라, 중첩되는 제1, 2 반절 웨브(81과 82)를 부위(89)에서 접합한다.
제8 공정(58)에서는 제2 기저귀 연속체(88)를, 화살표(90)가 지시하는 부분, 즉 중심선(f)에서, 접합 부위(89)가 좌우로 이분되도록 절단하여 개체의 기저귀(101)를 얻는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사인커브형 곡선을 그리는제1, 2 탄성 부재(73, 74)의 반주기(a)마다 1개의 기저귀(101)를 얻을 수 있다. 또, 제2 기저귀 연속체(88)를 중심선(f)에서 분단하면, 패드 부재(84a)를 갖는 전향의 기저귀(101)와, 패드 부재(84b)를 갖는 후향의 기저귀(101)를 교대로 얻을 수 있는데, 이들 기저귀(101)는 제조될 때의 방향이 다를 뿐이며, 같은 것이다. 어느 쪽의 기저귀(101)에 있어서도, 접합 부위(89)에서는 몸통 둘레 개구부용 탄성 부재(64와 66)가 중첩되고, 제1 탄성 부재(73)와 제2 탄성 부재(74)가 중첩되고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 얻어지는 기저귀(101)는 도 1의 기저귀(1)와 동일하며, 패드 부재(84)는 기저귀(1)의 패드 부재(4)에 해당한다. 패드 부재(84) 중의 84a를 갖는 기저귀(101)에서, 제1 반절 웨브(81)와 제2 반절 웨브(82)는 기저귀(1)의 뒷몸통 둘레 부재(3)와 앞몸통 둘레 부재(2)를 형성한다. 몸통 둘레 개구부용 탄성 부재(64와 66)는 기저귀(1)의 등 쪽과 배 쪽의 상측 탄성 부재(19와 18)를 형성한다. 제1 탄성 부재(73)와 제2 탄성 부재(74)는 기저귀(1)의 등 쪽과 배 쪽의 하측 탄성 부재(24와 23)를 형성한다. 패드 부재(84b)를 갖는 기저귀(101)에서는 제1 반절 웨브(81)와 제2 반절 웨브(82)가 기저귀(1)의 앞몸통 둘레 부재(2)와 뒷몸통 둘레 부재(3)를 형성한다. 몸통 둘레 개구부용 탄성 부재(64와 66)는 기저귀(1)의 배 쪽과 등 쪽의 상측 탄성 부재(18과 19)를 형성한다. 제1 탄성 부재(73)와 제2 탄성 부재(74)는 기저귀(1)의 배 쪽과 등 쪽의 하측 탄성 부재(23과 24)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웨브(61)에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와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웨브(61)는 액체 불투과성인 것이라도 좋고, 통기 액체 불투과성인 것이라도 좋고, 액체 투과성인 것이라도 좋다.
도 3은 도 2에서의 패드 부재(84)의 III-III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패드 부재(84)는 도 1의 패드 부재(4)와 같은 것으로,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31)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32)와, 이들 양 시트(31, 32)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 흡수성 코어(33)를 갖는다. 코어(33)의 양측연부 외측에 형성된 플랩(35)에서는 신장 상태의 측부 탄성 부재(39)가 표면 및 이면 시트(31, 32)에 끼워져 있다. 표면 시트(31)에는 부직포나 개공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이면 시트(32)에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패드 부재(84)의 일례를 도시한 도 3과 같은 도면이다. 이 패드 부재(84)에서는 코어(33)의 측연부에서부터 연장된 표면 및 이면 시트(31, 32) 중 이면 시트(32)가 표면 시트(31)보다 길게 연장되고, 그 연장된 부분(91)이 패드 부재(83)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부분(91)의 내연부에는 도 2에서 cd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92)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분(91)은 도 2에서의 cd 방향의 단부 내면이 표면 시트(31)에 대하여 접합됨으로써, 패드 부재(84)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포켓(93)을 형성하고 있다. 패드 부재(84)의 폭 방향으로 흐르는 체액은 포켓(93)으로 유입됨으로써, 패드 부재(84)로부터의 누설이 저지된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같은 식의 공정의 부분도이다. 도시한 예의 공정에서는 제1 공정(51)에서 공급된 웨브(61)에 대하여 제2, 3공정(52, 53)에서 각 탄성 부재(64, 66, 73, 74)가 접착되어 복합 웨브(65)가 형성된 후에, 추가 공정(53a)에서 제2 웨브(70)가 각 탄성 부재(64, 66, 73, 74)의 위로부터 공급되어 복합 웨브(65)에 접합되어, 제2 복합 웨브(75)를 얻을 수 있다. 제2 복합 웨브(75)는 도 2에 표시된 제4∼8 공정(54∼58)을 거쳐 개체의 기저귀(101)가 된다. 제2 웨브(70)에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정에 의한 기저귀(101)에서는 각 탄성 부재(64, 66, 73, 74)가 기저귀(101)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일이 없으므로, 착용했을 때의 촉감이 양호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팬츠형 기저귀(1)로, 도 1의 것과는 다른 것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기저귀(1)는 도 1의 그것과 외형은 동일하지만, 복수 라인의 탄성사(21)로 이루어지는 배 쪽의 하측 탄성 부재(23)와 복수 라인의 탄성사(22)로 이루어지는 등 쪽의 하측 탄성 부재(24)가 도 1과 같이 몸통 둘레를 반주하는 것이 아니고, 좌우의 다리 둘레 개구부(41)의 주연부에만 위치하여, 이들 하측 탄성 부재(23, 24)가 측부 탄성 부재(39)와 협동하여 기저귀(1)에 있어서의 다리 둘레 탄성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기저귀(1)는 배 쪽과 등 쪽의 중앙부에 하측 탄성 부재(23, 24)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도 1의 기저귀(1)와는 외관이 다른 것으로 된다.
도 7은 도 6의 기저귀(1)를 제조하는 공정의 부분도이다. 기저귀(1)는 도 2의 공정에 더하여, 도 2의 제3 공정(53)과 제4 공정(54) 사이에 설치되는 추가 공정(53b)을 거침으로써 제조된다. 추가 공정(53b)에서는 쇄선으로 표시되고 있는 제1 탄성 부재(73)의 골짜기부(76)와 산부(77) 및 제2 탄성 부재(74)의 산부(78)와골짜기부(79)의 대부분이 절제되어, 이들 양탄성 부재(73, 74)는 실선으로 표시되고 있는 부분이 웨브(61)에 남는다. 이 절제가 용이하게 되도록, 도 2의 제3 공정(53)에서의 제1 탄성 부재(73)의 골짜기부(76)와 산부(77) 및 제2 탄성 부재(74)의 산부(78)와 골짜기부(79)는 웨브(61)에 실질적인 의미에서 접착되는 일이 없다. 제1, 2 탄성 부재(73, 74)는 이들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웨브(61)와 동시에 절제할 수도 있는 것이지만, 제1, 2 탄성 부재(73, 74)만을 절제하고 웨브(61)를 절제하지 않으면, 그만큼 폐기 부분의 양이 적어진다. 이들 절제 대신에, 제1, 2 탄성 부재(73, 74)는 골짜기부(76)와 산부(77) 및 산부(78)와 골짜기부(79)를 md 방향에서 이분하는 도시한 선(116, 117)을 따라 절단한 후에 수축시키더라도 좋다. 제1 탄성 부재(73)가 골짜기부(76)나 산부(77)에서 신장 상태로 있고, 제2 탄성 부재(74)가 산부(78)나 골짜기부(79)에서 신장 상태로 있으면, 이들 부재(73, 74)를 절단하여, 골짜기부(76, 79)나 산부(77, 78)에서 수축시키는 것만으로 도 6의 기저귀(1)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2 탄성 부재(73, 74)로부터도 웨브(61)로부터도 폐기 부분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는 제1, 2 탄성 부재(73, 74)를 소요 부위에서 절제하거나, 절단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도 6에 예시한 기저귀(1) 대신에, 배 쪽의 하측 탄성 부재(23) 및 등 쪽의 하측 탄성 부재(24) 중 어느 한쪽만을 갖는 기저귀(1)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한 예의 제조 방법에서, 몸통 둘레 개구부용 탄성 부재(64, 66)의 공급은 제1, 2 탄성 부재(73, 74)의 공급후로 바꿀 수 있다. 또,몸통 둘레 개구부용 탄성 부재(64, 66)의 공급을 도시한 공정에서 제외하고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제1, 2 탄성 부재(73, 74)가 그리는 사인커브형 곡선의 반주기마다의 형상은 대칭으로 할 수도 있고, 비대칭으로 할 수도 있다. 제1, 2 반절 웨브(81, 82)를 부위(89)에서 접합할 때에는 도시한 예 외에, 중심선(f)을 사이에 두고 cd 방향으로 연장되는 2 라인의 접합선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때에도, 제2 기저귀 연속체(88)는 중심선(f)에서 분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기저귀의 고속 연속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비용 경쟁이 심한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서는, 앞뒤의 몸통 둘레 부재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웨브의 폭을 사인커브형의 곡선을 따라서 이분하는 것만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웨브로부터 폐기 부분이 생기는 일이 없어, 폐기 부분을 처리하기 위한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분한 웨브는 cd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앞뒤 몸통 둘레 부재로 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서 공정이 단순하고, 공정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기저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가랑이부 영역을 중심으로 U자형을 띠도록 절곡되어 배 쪽과 등 쪽으로 연장되는 체액 흡수성 패드 부재와, 상기 배 쪽에서 상기 패드 부재의 외면측에 부착되어 몸통 둘레 방향을 반주하는 시트형의 앞몸통 둘레 부재와, 상기 등 쪽에서 상기 패드 부재의 외면측에 부착되어 상기 몸통 둘레 방향을 반주하는 시트형의 뒷몸통 둘레 부재를 지니고, 상기 앞뒤 양 몸통 둘레 부재가 각각의 몸통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끼리 접합하여 환상의 몸통 둘레부를 형성하며, 이들 패드 부재와 앞뒤 몸통 둘레 부재에 의해 팬츠형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앞뒤 몸통 둘레 부재를 형성할 1 폭의 웨브를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행시키고, 상기 기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몸통 둘레 반주기분의 길이 각각의 범위 내에서 사인커브형 곡선의 반주기만큼을 그리도록 서로 병행하는 복수 라인의 탄성사로 이루어지는 신장 상태의 제1 탄성 부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웨브의 한 면에 접착제로 접합하는 한편, 상기 기계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웨브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에 대해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대칭이며, 또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그리는 곡선과는 반주기분이 어긋나 있는 신장 상태의 제2 탄성 부재를 상기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에 접근시킨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웨브의 한 면에 접착제로 접합하여 제1 복합 웨브를 형성하고,
    b. 필요하면, 상기 웨브의 한 면에, 상기 제1, 2 탄성 부재 위에서부터 1 폭의 제2 웨브를 공급하는 동시에 접착제로 접합하여 제2 복합 웨브를 형성하고,
    c. 그 후에, 상기 제1 복합 웨브 및 제2 복합 웨브 중 어느 것을 상기 직교 방향에서 이분하도록 상기 제1, 2 탄성 부재 사이에서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직교 방향으로 소요 치수 이격시켜, 상기 기계 방향으로 병렬로 연장되는 제1 반절 웨브와 제2 반절 웨브를 형성하고,
    d. 상기 기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반주기분 길이 범위의 거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반절 웨브와 제2 반절 웨브에, 이들 양 웨브 사이를 걸친 상태로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계 방향의 치수가 상기 반주기분의 길이보다 짧은 개체의 체액 흡수성 패드 부재를 얹어 이들 양 웨브와 패드 부재를 접합하여, 상기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제1 기저귀 연속체를 형성하고,
    e. 상기 제1 기저귀 연속체를 상기 직교 방향에서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따라, 상기 연속체를 상기 패드 부재가 내측이 되도록 하여 상기 직교 방향으로 겹쳐 포개어 제2 기저귀 연속체를 형성하고,
    f. 상기 제2 기저귀 연속체에 있어서 중첩되는 상기 제1 반절 웨브와 제2 반절 웨브를, 인접하는 상기 패드 부재와 패드 부재 사이의 거의 중심에서 접합하여, 상기 패드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헐적으로 나란히 늘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 부위를 형성하고,
    g. 상기 제2 기저귀 연속체를 상기 접합 부위 및 상기 접합 부위 근방 중 어디에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선에서 분단하여, 상기 패드 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반절 웨브와 제2 반절 웨브가 접합하고 있는 개체의 기저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상기 제1 웨브, 제2 웨브, 제1 복합 웨브, 제2 복합 웨브 중 어느 하나에, 이들 웨브의 상기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부에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로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상기 제1, 2 탄성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소요 부위에서 절제 및 절단 중 어느 하나를 위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부재가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를 지니고, 상기 패드 부재의 상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에는 상기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갖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20013794A 2001-03-15 2002-03-14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 KR20020073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74711A JP3862510B2 (ja) 2001-03-15 2001-03-15 パンツ型おむつの連続的製造方法
JPJP-P-2001-00074711 2001-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414A true KR20020073414A (ko) 2002-09-26

Family

ID=1893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794A KR20020073414A (ko) 2001-03-15 2002-03-14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27804B2 (ko)
EP (1) EP1240881B1 (ko)
JP (1) JP3862510B2 (ko)
KR (1) KR20020073414A (ko)
CN (1) CN1202789C (ko)
AU (1) AU784591B2 (ko)
CA (1) CA2376419C (ko)
DE (1) DE60214263T2 (ko)
MY (1) MY127484A (ko)
TW (1) TW5314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6878B2 (ja) * 2001-04-12 2007-05-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3735586B2 (ja) 2002-05-30 2006-01-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表示要素形成方法
JP3732459B2 (ja) * 2002-05-30 2006-0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表示要素形成方法
US8043273B2 (en) 2002-12-19 2011-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a stretchable absorbent insert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7220335B2 (en) 2002-10-01 2007-05-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piece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stretchable crotch membe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6979380B2 (en) 2002-10-01 2005-12-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piece disposable undergarmen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7837665B2 (en) 2002-10-01 2010-11-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piece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folded crotch member
JP4574548B2 (ja) * 2002-10-24 2010-11-04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US7347914B2 (en) * 2002-12-13 2008-03-25 Zui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n article having an elastic bonded between two webs
CN100333705C (zh) 2002-12-18 2007-08-29 株式会社瑞光 一次性穿着物的制造方法
US7172669B2 (en) * 2003-03-07 2007-02-06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for applying elastic members on a pant-shaped absorbent article
US7604624B2 (en) 2003-05-30 2009-10-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overlapping absorbent assembly secured to front and back panels
GB2402408B (en) * 2003-06-03 2005-11-23 Schlumberger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liquids from gas wells
US20050004549A1 (en) * 2003-07-01 2005-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pant-like undergarment
US20050010188A1 (en) * 2003-07-10 2005-01-13 Glaug Frank S. Efficiently manufacturable absorbent disposable under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ent disposable article
US7635360B2 (en) * 2003-07-22 2009-12-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disposable undergarment having a cutout
US7314465B2 (en) 2003-07-22 2008-0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undergarment having a slit
EP1661535B1 (en) 2003-08-06 2012-12-19 Zuiko Corporation Disposable wearing article
US7264686B2 (en) * 2003-12-12 2007-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rming a waist band on an absorbent article
JP4920424B2 (ja) * 2004-12-24 2012-04-18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US7517572B2 (en) 2005-04-27 2009-04-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web
DE602006016098D1 (de) * 2005-04-28 2010-09-23 Zuiko Corp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tragbaren artikel
JP4847193B2 (ja) * 2006-04-20 2011-12-28 株式会社瑞光 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71600A1 (en) * 2006-06-13 2009-03-19 Takao Wada Method for producing disposable worn article
JP2008060963A (ja) * 2006-08-31 2008-03-13 Aiphone Co Ltd 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074774B2 (ja) * 2007-01-12 2012-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JP5270143B2 (ja) * 2007-12-07 2013-08-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312730A1 (en) 2008-06-17 2009-12-17 Gary Dean Lavo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Folded Web
US8168034B2 (en) * 2008-09-30 2012-05-01 Uni-Charm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absorbent article
JP5142330B2 (ja) * 2008-10-28 2013-02-1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ウエスト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150477B2 (ja) * 2008-12-22 2013-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5404923B2 (ja) * 2009-06-04 2014-02-05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使い捨て吸収用品の表面シート又は裏面シートを製造する方法
JP4769891B2 (ja) * 2009-08-25 2011-09-07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US8622983B2 (en) 2009-12-31 2014-0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incorporating leg elastics in a pant-like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and garment made thereby
JP5972791B2 (ja) * 2010-09-09 2016-08-17 株式会社瑞光 着用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SG188525A1 (en) 2010-09-16 2013-04-30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rticle with elastic distribu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120152446A1 (en) * 2010-12-16 2012-06-21 Rhodes Brian K Method of incorporating oscillating elastic into disposable garments
US8945324B2 (en) 2011-04-04 2015-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elastomeric absorbent garments to reduce absorbent bunching
RU2651437C2 (ru) 2013-03-22 2018-04-19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WO2015108090A1 (ja) * 2014-01-14 2015-07-23 株式会社光洋 使い捨てパンツ型下着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6076223A1 (ja) 2014-11-14 2017-08-24 株式会社瑞光 着用物品におけるシート状物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US10342710B2 (en) 2014-11-14 2019-07-09 Zuiko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worn article
EP3236907B1 (en) * 2014-12-25 2018-10-1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JP6085707B1 (ja) * 2016-03-31 2017-02-22 株式会社光洋 使い捨て下着及び使い捨て下着の製造方法
EP3558190B1 (en) * 2016-12-20 2021-10-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with elastic strands unwound from beams
JP6865028B2 (ja) * 2016-12-21 2021-04-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11050718B (zh) 2017-09-01 2021-12-14 宝洁公司 制备弹性体层合物的方法和设备
EP3659563B1 (en) 2018-11-29 2022-05-04 Ontex BV Elasticised absorbent article
CN110613555A (zh) * 2019-08-30 2019-12-27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易穿脱的吸收性物品及其制备方法
WO2021132723A1 (ja) * 2019-12-26 2021-07-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EP4098234A4 (en) * 2020-01-27 2023-07-05 Zuiko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WAIST PART OF A WEARABLE ARTICLE
EP3895673B1 (en) 2020-04-14 2023-08-30 Ontex BV Environmentally-friendly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0078A1 (fr) * 1980-09-15 1982-03-19 Boussac Saint Freres Bsf Couche-culot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telles couches-culottes
US4917746A (en) 1982-06-21 1990-04-17 Kons Hugo 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ouring elastic ribbon on disposable garments
JPH0611275B2 (ja) * 1989-06-29 1994-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ブリーフの製造方法
JPH0813310B2 (ja) * 1989-12-04 1996-02-14 株式会社瑞光 ブリーフ形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H0759243B2 (ja) 1989-12-18 1995-06-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5330598A (en) * 1992-08-14 1994-07-19 Paragon Trade Brand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garment with target region and end caps
US5389173A (en) * 1992-12-02 1995-02-14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disposable diaper type products
JP3317836B2 (ja) * 1996-02-28 2002-08-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その構成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使い捨て着用物品
US5879500A (en) * 1996-06-21 1999-03-09 Herrin; Robert M. Disposable undergarment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3916878B2 (ja) 2001-04-12 2007-05-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4263D1 (de) 2006-10-12
CA2376419C (en) 2007-01-23
EP1240881A2 (en) 2002-09-18
MY127484A (en) 2006-12-29
AU784591B2 (en) 2006-05-11
DE60214263T2 (de) 2007-07-19
TW531410B (en) 2003-05-11
CN1202789C (zh) 2005-05-25
CA2376419A1 (en) 2002-09-15
EP1240881B1 (en) 2006-08-30
US20020129888A1 (en) 2002-09-19
CN1375269A (zh) 2002-10-23
JP3862510B2 (ja) 2006-12-27
JP2002272781A (ja) 2002-09-24
US6827804B2 (en) 2004-12-07
AU2323802A (en) 2002-09-19
EP1240881A3 (en)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3414A (ko) 팬츠형 기저귀의 연속적 제조 방법
KR100792199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KR0180909B1 (ko) 일회용 팬츠 및 그 제조방법
EP1602348B1 (en) Method for producing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100869086B1 (ko) 일회용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
JP4546925B2 (ja) 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56444A1 (en) Disposable diaper
KR100833632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H06327716A (ja) テープレス形吸収体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88672A (ko) 인체배설물처리용제품및이것의제조방법
KR20020011087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389183B1 (ko) 팬츠 형상의 착용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39162A (ko) 일회용 팬츠형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
KR100597573B1 (ko)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KR20010040755A (ko) 일회용의 트렁크스형 착용 물품의 제조 방법
JP4871071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KR20010040863A (ko) 일회용의 트렁크스형 팬츠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29978A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5074774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JP2000237233A (ja) 使い捨てパンツの製造方法
JP5457827B2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US20230270602A1 (en) Boxer-shorts-type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727842B2 (ja) 使い捨てガーメントの製造方法
JP2017196239A (ja) 着用物品の製造方法および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