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237A - 원추형 포장김밥 및 그 포장 시트 - Google Patents

원추형 포장김밥 및 그 포장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237A
KR20020072237A KR1020020012517A KR20020012517A KR20020072237A KR 20020072237 A KR20020072237 A KR 20020072237A KR 1020020012517 A KR1020020012517 A KR 1020020012517A KR 20020012517 A KR20020012517 A KR 20020012517A KR 20020072237 A KR20020072237 A KR 20020072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nical
sheet
piece
tri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즈키마코토
에이이치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스즈키마코토
에이이치 스즈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마코토, 에이이치 스즈키 filed Critical 스즈키마코토
Publication of KR2002007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04Wrappers or flexible covers non-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Wrapper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원추형 포장김밥은 포장 시트(S)로 원추형 밥(4)의 덩어리를 포장하여 구성된다. 포장 시트(S)는 내부 필름(2)과 외부 필름(1)의 사이에 시트형 식품(3)을 끼워 넣고, 시트형 식품(3)이 탈출하지 않도록 양 필름(2, 1)의 적절한 위치를 열용착한다.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은 각각 직사각형 필름편(11, 21)과 삼각형 필름편(12, 22)의 각각의 내부 단 가장자리를 겹쳐서 형성되고, 겹침부(15, 25)가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된다. 이 겹침부(15, 25)로 시트형 식품(3)에 접하는 안쪽의 필름편에는 겹침부(15, 25)를 따라서 단속적인 칼집(17, 27)이 형성되고, 이 칼집에는 겹침부(15, 25)의 외측의 필름편의 단부(15a, 25a)가 덮여져 있다. 포장 시트(S)는 그 삼각형부 선단이 원추형상 밥(4)의 원추 선단에 대응하여 원추형상 밥의 원추면에 감겨져 있다.

Description

원추형 포장김밥 및 그 포장 시트{CONICAL SEA-WEED ROLL AND PACKING SHEET THEREOF}
본 발명은 원추형상 밥을 포장한 원추형 포장김밥 및 그 포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은 이전에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포장 시트에 의해서,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원추형상 밥(4)을 포장한 원추형 포장김밥을 제안하였다(일본국 특허 제 2,990,196호).
상기 원추형 포장김밥의 포장 시트(S)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부 필름(100)과 내부 필름(200)의 사이에 김과 같은 시트형 식품(3)을 끼워 넣고,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부 필름(100)과 내부 필름(200)의 외부 가장자리를 열용착(140)하여 형성된다. 외부 필름(100) 및 내부 필름(200)은 직사각형 필름편(110, 210)과 대략 이등변 삼각형을 나타내는 삼각형 필름편(120, 220)의 각각의 장변을 겹쳐서 형성된다. 외부 필름(100)의 양쪽 필름편(110, 120)의 겹침부(150)는 점(spot)으로 약하게 열용착(130)되어 쉽게 박리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원추형 포장김밥은 원추형상 밥(4)의 원추면에 상기 포장 시트(S)가 감겨 있고, 내부 필름(200)이 원추형상 밥(4)에 접하며, 또한 이 밥(4)의 가느다란 끝부분이 포장 시트(S)의 삼각형 부분의 선단에 대응하고 있다. 포장 시트(S)의 양단은 시일(seal, 5)에 의해서 접합된다.
원추형 포장김밥의 포장을 풀기 위해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원추형 포장김밥의 가느다란 끝부분을 아래로 하여, 한쪽 손으로는 상기 김밥의 상단부를, 다른쪽 손으로는 김밥의 하단부를 잡고, 포장 시트(S)의 위쪽 가장자리를 상방으로 잡아당긴다.
내부 필름(200)은, 상부의 직사각형 필름편(210)과 하부의 삼각형 필름편(220)의 일부가 단순히 겹쳐져 있으며, 외부 필름(100)은, 상부의 직사각형 필름편(110)과 하부의 삼각형 필름편(120)이 박리 가능하게 열용착(130)되어 있다. 따라서, 원추형상 밥(4)의 하단부를 잡고, 포장 시트(S)의 위쪽 가장자리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외부 필름(100)과 내부 필름(200)의 각각의 직사각형 필름편(110, 210)은 도 17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각각 삼각형 필름편(120, 220)으로부터 떨어져서 잡아당겨진다. 이 때 직사각형 필름편(110, 210)은 시트형 식품(3)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시트형 식품(3)을 함께 들어올리지 않고, 일부분이 원추형상 밥(4)의 상부를 말아서 외부로 노출시킨다.
다음에, 직사각형 필름편(110, 210)이 제거되고, 외부로 노출된 원추형 포장김밥의 상단부를 한쪽 손으로 잡고, 다른쪽 손으로 원추형상 밥(4)에 씌워진 시트의 하단을 잘라서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도 17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삼각형 필름편(120, 220)만이 끌려 나오게 된다. 시트형 식품(3)은 남아서 원추형상 밥(4)에 직접 씌워진다.
상기 포장 시트는, 원추형상 밥(4)의 가느다란 끝부분에 씌워지는 부분이 삼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시트의 겹쳐서 말아진 부분이 적어서 필름의 인출 저항이 작다. 따라서, 부드럽게 필름의 인출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출원인은 상기 포장 시트에 다음과 같은 개선해야할 점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부 필름(100)과 내부 필름(200)은 외주 가장자리끼리 떨어지지 않도록 강하게 열용착(140)되어 있지만, 이 열용착은 서로의 직사각형 필름편(110, 210)과 삼각형 필름편(120, 220)의 겹침부(150, 250)에는 걸려 있지 않다. 이것은 겹침부(150, 250)까지 열용착(140)이 된다면, 포장을 해체할 때, 내외 필름(100, 200)이 직사각형 필름편(110, 210)과 삼각형 필름편(120, 220)으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부 필름(100)과 내부 필름(200)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필름은 직사각형 필름편과 삼각형 필름편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해둘 필요가 있다. 만약, 직사각형 필름편과 삼각형 필름편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면, 포장 시트(S)는 처음부터 직사각형 필름편(110, 210)과 삼각형 필름편(120, 220)으로 분리된 상태가 되어 원추형상 밥(4)을 포장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포장 상태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외부 필름(100)의 직사각형 필름편(110)과 삼각형 필름편(120)을 용이하게 박리하도록 열용착(130)을 한다.
그러나, 이 열용착강도의 가감이 미묘하여, 용착력이 너무 강하면 필름이 분리되지 않고, 너무 약하면 포장하기 전에 용착이 박리되어서 어느 것도 상품으로서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열용착강도는 열용착용 히터에 공급하는 전압의 미묘한 변화, 공장의 실온의 변화 및 필름의 보관 환경에 의해서 변화된다. 이 때문에, 열용착 조건을 일정하게 관리하며, 상기 미묘한 열용착강도의 열용착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상기 포장 시트로 포장한 원추형상 밥(4)의 확대 단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원추형상 밥(4)에 먼지가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직접적으로 손이 닿을 우려가 있어서 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원추형 포장김밥의 개방부로부터 이물질을 고의로 혼입할 우려가 있으며, 혼입되어도 흔적이 남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추형 포장김밥 및 그 포장 시트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 시트(S)는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의 사이에 시트형 식품(3)을 끼워 넣고, 양 필름(1, 2)의 외주 가장자리의 적절한 위치를 시트형 식품(3)이 탈출하지 않도록 열용착하여 형성된다. 포장 시트(S)는 내부 필름(2)을 안쪽으로 하여 원추형상 밥(4)의 원추 표면을 둘러싼다.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은 각각 대략 직사각 형상의 직사각형 필름편(11, 21)에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삼각형 필름편(12, 22)을 서로의 필름의 장변측의 단 가장자리를 겹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대략 오각형이다.
외부 필름(1)의 직사각형 필름편(11)과 삼각형 필름편(12)의 겹침부(15)는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16)되어 있다. 이 겹침부(15) 내에서 한쪽의 필름편에는 단속적인 칼집(17)이 형성되고, 이 칼집(17)에는 다른쪽의 필름편의 단부(15a)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씌여져 있다.
외부 필름(1)과 동일하게 해서 내부 필름(2)도 직사각형 필름편(21)과 삼각형 필름편(22)의 겹침부(25)가 벗겨지지 않도록 겹침부(25)를 열용착한다. 이 겹침부(25)의 한쪽의 필름편에 단속적인 칼집(27)을 형성하고, 이 칼집(27)을 겹침부(25)의 다른쪽의 필름편의 단부(25a)에 외측 또는 안쪽으로부터 덮어도 좋다.
본 발명의 원추형 포장김밥은 상기 포장 시트(S)의 내부 필름(2)측의 삼각형부를 원추형상 밥(4)의 원추 선단에 대응시켜, 이 포장 시트(S)를 원추형상 밥(4)의 원추면에 감는다.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 중의 적어도 한쪽의 필름에는 직사각형 필름편의 장변측을 열용착(18)을 넘어서 연장하고, 원추형상 밥(4)의 확대 단면을 덮는 커버부(10)를 설치해도 좋다(도 9 참조).
원추형 포장김밥에는 시트형 식품(3)이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외부 공기나 밥의 온기로부터 보호되어 맛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 필름(1)을 분리하기 위한 한쪽의 필름편의 칼집(17)에는 다른쪽 필름편의 단부(15a)가 외측 또는 안쪽으로부터 씌워져 있기 때문에, 칼집(17)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침입하여 시트형 식품(3)을 온기시키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원추형 김밥의 포장을 풀기 위해서는, 원추형 김밥의 가느다란 끝부분을 아래로 하여, 한쪽 손으로는 원추형 김밥의 하단부를 잡고, 다른쪽 손으로는 포장 시트(S)의 위쪽 가장자리를 상방으로 잡아당긴다.
외부 필름(1)은 상부의 직사각형 필름편(11)과 하부의 삼각형 필름편(12)의 겹침부(15)가 벗겨지지 않도록 단단히 열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열용착부(16)로부터 외부 필름(1)이 분리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겹침부(15) 내에는 열용착부(16)와는 별도로 한쪽의 필름편에 칼집(1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칼집(17)부분으로부터 외부 필름(1)이 2개로 분리된다.
내부 필름(2)의 직사각형 필름편(21)과 삼각형 필름편(22)의 겹침부(25)는 단순히 겹쳐져 있거나, 외부 필름(1)과 동일한 분리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포장 시트(S)의 위쪽 가장자리를 위로 잡아당김으로써,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의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은 칼집(17)이 잘라져서, 각각 삼각형 필름편(12, 22)으로부터 떨어져서 끌려 올라온다. 이 때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은 시트형 식품(3)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시트형 식품(3)이 함께 끌려 올라오는 경우는 없다.
다음에, 원추형 김밥(4)에 씌워진 포장 시트의 하단을 뜯어서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삼각형 필름편(12, 22)만이 끌려 나오고, 시트형 식품(3)은 남아서 원추형 김밥(1)에 직접 씌워진다.
여기에서, 내부 필름(2)의 겹침부(25)에 외부 필름(1)과 동일한 열용착부(26) 및 한쪽의 필름편에 단속적인 칼집(27)이 형성된 경우에도, 외부 필름(1)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로 칼집(27)으로부터 밥의 온기가 침입하여 시트형 식품(3)을 온기시키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시트에 있어서,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의 겹침부(15, 25)를 벗겨지지 않도록 강고하게 열용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겹침부(15, 25)가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 조건을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다.
원추형 김밥의 가느다란 끝부분이 포장 시트(S)의 대략 삼각형 부분에 의해서 감겨지기 때문에, 포장 시트의 겹쳐서 감겨진 부분이 적으며, 필름편의 인출 저항은 작아진다. 따라서, 부드럽게 필름편의 인출을 할 수 있고, 필름편의 인출 저항이 너무 커서 원추형상 밥의 선단이 찢어지거나, 김밥의 모양이 파손되는 것을방지할 수 있다.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 중의 적어도 한쪽 필름의 직사각형 필름편에 커버부(10)를 설치하고, 이 커버부(10)에 의해서 원추형상 밥(4)의 확대 단면을 닫으면, 원추형상 밥(4)의 건조를 방지하여 맛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추형상 밥(4)에 먼지가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손이 닿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위생적이며, 또한,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포장 시트의 사시도로, 직사각형 필름편의 단부를 절단한 도면이다.
도 2a는 직사각형 필름편과 삼각형 필름편을 용착하기 전의 외부 필름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직사각형 필름편과 삼각형 필름편을 용착한 외부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포장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을 A-A선을 포함하는 면에서 파단한 포장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포장 시트를 원추형상으로 감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원추형상으로 감은 포장 시트에 밥을 투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밥을 눌러 넣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원추형 포장김밥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커버부를 연장한 포장 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포장 시트를 원추형상으로 감아서 밥을 눌러 넣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커버부를 좌우에서 열용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커버부를 완전히 닫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출원인이 이전에 제안한 포장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포장 시트를 A-A선을 포함하는 면에서 파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포장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포장 시트로 포장한 원추형 포장김밥의 사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의 원추형 포장김밥의 포장을 해체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필름 2 : 내부 필름
3 : 시트형 식품 10 : 커버부
11 : 직사각형 필름편 12 : 삼각형 필름편
15 : 겹침부 16 : 열용착부
17 : 칼집
(포장 시트의 구성)
도 1은 포장 시트(S)의 사시도로, 후술하는 직사각형 필름편(11)의 단부를 절단한 도면이다. 포장 시트(S)는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의 사이에 시트형 식품(3)을 끼워 넣어서 형성되고, 양 필름(1, 2)의 주변부를 열용착하고 있다.
외부 필름(1)은 투명한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고, 내부 필름(2)은 밥과의 분리가 양호한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함께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의 한쪽의 장변에 이등변 삼각형의 삼각형 필름편(12, 22)의 장변을 겹쳐서 겹침부를 용착하고 있다. 양 필름(1, 2)은 전체적으로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은 삼각형 필름편(12, 22)이 겹쳐지는 측의 변의 양단에 삼각형 필름편(12, 22)의 양 경사변에 대응하는 커트부(19, 19)를 갖고 있다. 이 커트부의 크기는 상관없다. 또한, 삼각형 필름편(12, 22)의 형상은 대략 이등변 삼각형이다.
실시예의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길이가 대략 220㎜이고, 폭이 대략 55㎜이며, 삼각형 필름편(12, 22)의 돌출 높이는 대략 90㎜이며, 직사각형 필름편(11, 21)과 삼각형 필름편(12, 22)은 대략 10㎜폭으로 겹쳐져(15, 25) 있다.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은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각각 겹침부(15, 25)에서는 삼각형 필름편(12, 22)이 시트형 식품(3)측, 즉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겹침부(15, 25)에서 직사각형 필름편(11, 21)과 삼각형 필름편(12, 22)이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된다.
실시예에서는 겹침부(15, 25)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선형상으로 열용착(16, 26)이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삼각형 필름편(12, 22)에는 열용착부(16, 26)를 따라서 단속적인 칼집(17, 27)이 선형상의 열용착부(16, 26)에 근접하고, 삼각형 필름편(12, 2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칼집(17, 27)은 각각 삼각형 필름편(12, 22)의 표리에 관통한다.
상기 단속적인 칼집(17, 27)에는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의 단부(15a, 25a)가 외측으로부터 씌워진다.
도 3에 있어서, 직사각형 필름편(11, 21)과 삼각형 필름편(12, 22)의 경계를 경계선(L1)으로 한다.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의 각각의 겹침부(15, 25) 및 칼집(17, 27)의 위치는,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직사각형필름편(11, 21)과 삼각형 필름편(12, 22)의 경계선(L1) 근방이다. 또한, 이 경계선(L1)의 위치는 삼각형 필름의 선단측에 평행하게 어긋나도 좋다. 이 어긋남은 삼각형 필름편(12, 22)의 돌출 높이의 1/3 이하이다. 이것은 만약 겹침부(15, 25)가 삼각형 필름편(12, 22)의 선단측으로 크게 어긋난다면, 후술하는 것과 같이, 포장을 풀 때,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을 잡아당길 때의 저항이 너무 커서 원추형상 밥(4)의 형태를 파손시키기 때문이다.
실시예의 시트형 식품(3)은 내부 및 외부 양 필름(1, 2)보다도 1회전 작게 재단된 시트형 김이다. 한편, 시트형 김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형 곤포 등 먹을 수 있는 시트형 식품이 바람직하다.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의 사이에 시트형 식품(3)을 끼워 넣고,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의 외주 가장자리를 직사각형 필름편(11, 21)과 삼각형 필름편(12, 22)의 겹침부(15, 25)에 걸리지 않도록 선형상 혹은 점으로 열용착하여 포장 시트(S)를 완성한다. 이 열용착은 벗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벗겨지지 않도록 강하게 용착할 수 있다.
(원추형 포장김밥의 포장 순서)
다음에, 상기 포장 시트를 이용하여 원추형 김밥을 포장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포장 시트(S)를 삼각형 필름편(12, 22)측의 끝이 가늘어지도록 원추형상으로 감고, 감은 단을 시일(5)로 고정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원추형 구멍(71)을 설치한 가이드 블록(7)을 준비하여, 원추형상으로 감은 포장 시트(S)를 원추형 구멍(71)에 끼운다. 다음에, 포장 시트(S)의 상방으로부터 밥의 덩어리(41)를 포장 시트(S)의 안쪽에 투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가이드 블록(7)의 상방으로부터 돌입 부재(8)로 밥의 덩어리(41)를 돌입하여 포장 시트(S)의 원추 선단까지 밥을 채운다. 밥을 원추형상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돌입 부재(8)의 원형 돌출편(81)으로 원추형상 밥(4)의 상부 표면에 구멍(42)을 뚫는다.
상기 구멍(42)에 도 8에 도시하는 기구(40)를 넣고, 가이드 블록(7)으로부터 빼내어 원추형 포장김밥을 완성한다. 이 기구(40)는 식품 재료로서, 원추형상 밥(4)과 함께 먹을 수 있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추형 포장김밥에서는 외부 필름(1)의 직사각형 필름편(11)이 원추형상 밥(4)의 상단 가장자리보다도 상방으로 위치하고 있고, 원추형상 밥(4)의 가느다란 끝부분은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시트형 식품(3)은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3)에 끼워져 있고, 외부 공기나 밥의 온기로부터 보호되어 맛이 손상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부 필름(1)을 분리하기 위한 단속적인 칼집(17)에는 직사각형 필름편(11)의 단부(15a)가 씌워져 있다. 이 때문에, 칼집(17)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침입하여 시트형 식품(3)을 온기시키는 경우도 없다. 또한, 내부 필름(2)의 단속적인 칼집(17)에는 직사각형 필름편(21)의단부(25a)가 씌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밥의 온기가 칼집(27)으로부터 침입하여 시트형 식품(3)을 온기시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원추형 포장김밥의 포장 해제 순서)
원추형 포장김밥의 포장을 풀기 위해서, 한쪽 손으로는 원추형 포장김밥의 하단부를 잡고, 다른쪽 손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포장 시트(S)의 위쪽 가장자리를 상방으로 잡아당긴다.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은 각각 직사각형 필름편(11, 21)과 삼각형 필름편(12, 22)의 겹침부(15, 25)가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열용착부(16, 26)로부터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이 분리되는 경우는 없다.
단,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은 함께 열용착부(16, 26)의 근방에서 겹침부(15, 25)의 영역 내에 칼집(17, 2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칼집(17, 27) 부분으로부터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이 각각 2개로 분리된다.
상기 칼집(17, 28)은 직사각형 필름편(11, 21)과 삼각형 필름편(12, 22)의 경계선(L1)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즉, 원추형상 밥(4)의 확대 단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을 잡아 당겨서 올릴 때의 인장 길이가 작아지고, 인장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원추형상 밥(4)의 형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을 제거한 후에, 한쪽 손으로는 노출되어 있는 원추형 포장김밥의 상단부를 잡고, 하단부에 감겨진 삼각형 필름편(12, 22)을 잡아당긴다. 삼각형 필름편(12, 22)만이 아래쪽으로 끌려 나오고, 시트형 식품(3)은 남아서 원추형상 밥(4)에 직접 씌워진다.
(포장 시트의 다른 형태)
도 9는 포장 시트(S)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외부 필름(1)의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의 장변으로부터 장방형의 커버부(10)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상기 커버부(10)는 직사각형 필름편(11)의 장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약 60㎜ 폭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0은 도 9의 포장 시트(S)를 원추형상으로 감아서 가이드 블록(7)에 끼운 후에, 밥을 돌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커버부(10)는 전술한 순서로 포장 시트(S)를 원추형상으로 감고 나서 밥을 채웠을 때에,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커버부(10)가 원추형상 밥(4)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크게 돌출한 상태가 된다.
감은 포장 시트(S) 내에 밥을 넣은 후에, 포장 시트(S)의 외측에 2개의 열용착용 돌출편(8, 8)을 서로 대향시켜 준비한다. 양 돌출편(8, 8)을 서로 근접시키고, 상기 커버부(10)를 점으로 열용착한다(도 10, 도 11 참조).
다음에,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열용착용 돌출편(8, 8)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근접 이간하는 용착 끼움편(81, 81)에 의해서 커버부(10)를 열용착하여 닫는다.
이것에 의해서, 원추형상 밥(4)은 단면도 필름으로 덮여지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또한 이물질 혼입의 우려도 없다. 고의로 이물질을 혼입하려고 해도, 포장의 일부를 열지 않으면 안되며, 흔적이 남기 때문에 안전하다.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외부 필름(1)을 연장하여 커버부(10)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부(10)를 닫아도 커버부(10)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원추형상 밥(4)이나 기구(40)가 보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 필름(2)만을 연장하여 커버부(10)를 형성해도, 혹은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의 양쪽을 연장하여 커버부(10)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의 겹침부(15, 25)에서는 서로 삼각형 필름편(12, 22)이 안쪽에서 시트형 식품(3)에 접하고,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이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외부 필름(1)의 칼집(17)은 직사각형 필름편(11)의 단부(15a)에 숨어서 체재가 좋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원추형상을 감은 포장 시트에 밥의 덩어리(41)를 투입할 때에, 내부 필름(2)의 삼각형 필름편(22) 상의 칼집(17)에 씌우는 직사각형 필름편(21)의 단부(25a)는 아래쪽을 향하게 되고(도 4 참조), 투입하는 밥의 덩어리(41)가 걸리지 않는다.
단,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의 겹침부(15, 25)는 서로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을 시트형 식품(3)에 접하는 안쪽에 위치시키고, 삼각형 필름편(12, 22)을 외측에 위치시키고,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의 단부(15a, 25a)를 시트형 식품측(안쪽)으로부터 칼집(17, 27)에 씌워도 칼집(17, 27)으로부터의 온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필름(1), 내부 필름(2)의 칼집(17, 27)은 상기와 같이 삼각형 필름편(12, 22)에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겹침부(15, 25)에서 직사각형 필름편(11, 21)에 단속적인 칼집을 형성하고, 삼각형 필름편(12, 22)의 단부를 외측 혹은 안쪽으로부터 상기 칼집에 씌울 수도 있다.
이것에 대해서, 1장의 필름으로부터 구성되는 외부 필름에 개봉용의 칼집을 형성한 경우, 외부 필름을 2개로 분할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단속적인 칼집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투입하여 시트형 식품(3)을 온기시키는 문제가 남는다.
상기 예에서는, 내부 필름(2) 및 외부 필름(1)에 칼집(27, 17)을 설치하고 있지만, 외부 필름(2)에만 칼집(27)을 설치해도 좋다. 즉, 내부 필름(2)의 겹침부(25)는 직사각형 필름편(21)과 삼각형 필름편(22)이 단순히 겹쳐 있는 것만으로도 좋다.
또한, 외부 필름(1), 내부 필름(2)에 칼집(17, 27)을 설치하고 있지만, 칼집 대신에 얇은 선이나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약한 접착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포장 시트에 있어서, 외부 필름과 내부 필름의 겹침부를 벗겨지지 않도록 강고하게 열용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겹침부가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 조건을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다.
원추형 김밥의 가느다란 끝부분이 포장 시트의 대략 삼각형 부분에 의해서 감겨지기 때문에, 포장 시트의 겹쳐서 감겨진 부분이 적으며, 필름편의 인출 저항은 작아진다. 따라서, 부드럽게 필름편의 인출을 할 수 있고, 필름편의 인출 저항이 너무 커서 원추형상 밥의 선단이 찢어지거나, 김밥의 모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필름과 내부 필름 중의 적어도 한쪽 필름의 직사각형 필름편에 커버부를 설치하고, 이 커버부에 의해서 원추형상 밥의 확대 단면을 닫으면, 원추형상 밥의 건조를 방지하여 맛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추형상 밥에 먼지가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손이 닿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위생적이며, 또한,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의 사이에 시트형 식품(3)을 끼워 넣고, 양 필름(1, 2)의 외주 가장자리의 적절한 위치에 시트형 식품(3)이 탈출하지 않도록 열용착하여 형성한 포장 시트로, 내부 필름(2)을 안쪽으로 하여 원추형상 밥(4)의 원추 표면을 둘러싼 원추형 포장김밥에 있어서,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은 각각 직사각형 필름편(11, 21)에 대해서 삼각형 필름편(12, 22)을 서로 필름편의 장변측의 단 가장자리를 겹쳐서(15),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되고,
    외부 필름(1)은 직사각형 필름편(11)과 삼각형 필름편(12)의 겹침부(15)가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16)되고,
    상기 겹침부(15)에 있어서, 한쪽의 필름편에는 겹침부(15)의 영역 내에서 분단 가능부가 설치되고, 상기 분단 가능부에는 다른쪽의 필름편의 단부(15a)가 외측 또는 안쪽으로부터 씌워져 있고,
    상기 포장 시트(S)의 삼각형부 선단을 원추형상 밥(4)의 원추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원추형상 밥의 원추면에 감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포장김밥.
  2. 제1항에 있어서,
    분단 가능부는 단속적인 칼집(17), 얇은 선, 약한 접착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 중의 적어도 한쪽의 필름은 삼각형 필름편의 인출측의 반대측에 설치된 커버부(10)를 갖고, 상기 커버부(10)를 원추형상 밥(4)의 확대 단면 상에서 조여서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포장김밥.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필름(2)은 직사각형 필름편(21)과 삼각형 필름편(22)의 겹침부(25)가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되고, 또한 상기 겹침부(25)에서 한쪽의 필름편에는 겹침부(25)를 따라서 단속적인 칼집(27)이 형성되고, 상기 칼집(27)에는 다른쪽의 필름편의 단부(25a)가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포장김밥.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의 각각의 겹침부(15, 25)의 열용착부(16, 26)는 겹침부(15, 25)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포장김밥.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의 겹침부(15, 25)에서 삼각형 필름편(12, 22)이 시트형 식품(3)에 접하는 안쪽에 위치하고,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이 외측에 위치하고, 삼각형 필름편(12, 22)에 칼집(17, 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포장김밥.
  6. 외부 필름(1)과 내부 필름(2)의 사이에 시트형 식품(3)을 끼워 넣고, 양 필름(1, 2)의 외주 가장자리의 적절한 위치에 시트형 식품(3)이 탈출하지 않도록 열용착하여 형성되고, 내부 필름(2)을 안쪽으로 하여 원추형상 밥(4)의 원추 표면을 둘러싸기 위한 포장 시트에 있어서,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은 각각 직사각형 필름편(11, 21)에 대해서 삼각형 필름편(12, 22)을 서로의 필름편의 장변측의 단 가장자리를 겹쳐서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되고, 외부 필름(1)의 직사각형 필름편(11)과 삼각형 필름편(12)의 겹침부(15)가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되고, 또한 상기 겹침부(15)에서 한쪽의 필름편에는 겹침부(15)의 영역 내에서 분단 가능부가 설치되고, 상기 분단 가능부에는 다른쪽의 필름편의 단부(15a)가 외측 또는 안쪽으로부터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분단 가능부는 단속적인 칼집(17), 얇은 선, 약한 접착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내부 필름(2)은 직사각형 필름편(21)과 삼각형 필름편(22)의 겹침부(25)가 벗겨지지 않도록 열용착되고, 또한 상기 겹침부(25)에서 한쪽의 필름편에는 겹침부(25)를 따라서 단속적인 칼집(27)이 형성되고, 상기 칼집(27)에는 다른쪽의 필름편의 단부(25a)가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시트.
  8. 제6항에 있어서,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의 각각의 겹침부(15, 25)의 열용착부(16, 26)는 겹침부(15, 25)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시트.
  9. 제6항에 있어서,
    외부 필름(1) 및 내부 필름(2)의 겹침부(15, 25)에서 삼각형 필름편(12, 22)이 시트형으로 식품(3)에 접하는 안쪽에 위치하고, 직사각형 필름편(11, 21)이 외측에 위치하고, 삼각형 필름편(12, 22)에 칼집(17, 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시트.
KR1020020012517A 2001-03-08 2002-03-08 원추형 포장김밥 및 그 포장 시트 KR20020072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4175 2001-03-08
JP2001064175A JP2002262791A (ja) 2001-03-08 2001-03-08 包装円錐状寿司及びその包装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237A true KR20020072237A (ko) 2002-09-14

Family

ID=1892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517A KR20020072237A (ko) 2001-03-08 2002-03-08 원추형 포장김밥 및 그 포장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127308A1 (ko)
JP (1) JP2002262791A (ko)
KR (1) KR200200722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791A (ja) * 2001-03-08 2002-09-17 Makoto Suzuki 包装円錐状寿司及びその包装シート
US7073692B2 (en) 2004-02-19 2006-07-11 Pieter Weyts Conical reinforced re-sealable dispenser
US20060278667A1 (en) * 2005-01-25 2006-12-14 Pieter Weyts Conical re-sealable dispenser
US8701947B2 (en) 2004-02-19 2014-04-22 Pinar Holdings Llc Easy-to-use conical container
JP4971237B2 (ja) * 2008-04-16 2012-07-11 允 鈴木 包装円錐状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4787A (en) * 1987-09-16 1989-03-20 Nec Corp Characteristic selector for semiconductor laser
JPH01256357A (ja) * 1988-04-05 1989-10-12 Ishida Scales Mfg Co Ltd パック食品及び製造方法
JPH0581039U (ja) * 1992-04-07 1993-11-02 株式会社丸忠 包装用袋
JPH07143855A (ja) * 1993-11-24 1995-06-06 Musashino:Kk 手巻き寿司用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91337A (ja) * 1994-04-18 1995-11-07 Makoto Suzuki 円錐状寿司用包装シート及び包装円錐状寿司
JP2000197456A (ja) * 1999-01-06 2000-07-18 Makoto Suzuki 包装円錐状寿司及びその包装シ―ト
US20020127308A1 (en) * 2001-03-08 2002-09-12 Makoto Suzuki Conical sushi packages and wrapper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78Y2 (ko) * 1977-09-30 1982-01-21
US4784864A (en) * 1983-10-25 1988-11-15 Ishida Systems Engineering Co., Ltd. Food wrapper for a dried seaweed covered mass of rice
US4623568A (en) * 1984-10-17 1986-11-18 Kisaku Suzuki Wrapping films for "Norimaki" foods
JP2002019823A (ja) * 2000-07-13 2002-01-23 Makoto Suzuki 包装三角おにぎり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4787A (en) * 1987-09-16 1989-03-20 Nec Corp Characteristic selector for semiconductor laser
JPH01256357A (ja) * 1988-04-05 1989-10-12 Ishida Scales Mfg Co Ltd パック食品及び製造方法
JPH0581039U (ja) * 1992-04-07 1993-11-02 株式会社丸忠 包装用袋
JPH07143855A (ja) * 1993-11-24 1995-06-06 Musashino:Kk 手巻き寿司用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91337A (ja) * 1994-04-18 1995-11-07 Makoto Suzuki 円錐状寿司用包装シート及び包装円錐状寿司
JP2000197456A (ja) * 1999-01-06 2000-07-18 Makoto Suzuki 包装円錐状寿司及びその包装シ―ト
US20020127308A1 (en) * 2001-03-08 2002-09-12 Makoto Suzuki Conical sushi packages and wrappers therefor
JP2002262791A (ja) * 2001-03-08 2002-09-17 Makoto Suzuki 包装円錐状寿司及びその包装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27308A1 (en) 2002-09-12
JP2002262791A (ja) 200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4004B2 (ja) 飯包装体
JP2004248637A (ja) 包装飯塊及び飯塊の包装方法
KR20020072237A (ko) 원추형 포장김밥 및 그 포장 시트
JP4998799B2 (ja) 棒状食品包装体
JP2016214204A (ja) 包装シート、包装飯塊及び包装飯塊の包装を解く方法
JPH0711564U (ja) 包装体
JP2002019823A (ja) 包装三角おにぎり
JP2004323029A (ja) 食品包装材
JP3920283B2 (ja) 包装三角おにぎり
JP2004331180A (ja) 食品包装用シート体及び包装食品
JP2602430Y2 (ja) サンドイッチ用包装体
KR200479816Y1 (ko) 삼각김밥 포장체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삼각김밥 제작 세트
JP2006325604A (ja) 包装飯塊
JP2000342201A (ja) 包装おにぎり
JP2002166968A (ja) おにぎり用包装体
US20040033294A1 (en) Cooked rice packages and wrappers therefor
JP2002159271A (ja) 包装飯塊
JP5038282B2 (ja) 包装円錐状飯
JP2990196B1 (ja) 包装円錐状寿司及びその包装シ―ト
JP2003192075A (ja) 包装三角おにぎり及びその包装シート
JP2589425B2 (ja) おにぎり用包装体
JPH0350698Y2 (ko)
JP2003009788A (ja) 末広巻寿司等の食品の包装方法及び包装材
JP5690195B2 (ja) 包装用フィルムシート
JP5069197B2 (ja) 包装飯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