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872A -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및 변형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 - Google Patents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및 변형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872A
KR20020071872A KR1020027006895A KR20027006895A KR20020071872A KR 20020071872 A KR20020071872 A KR 20020071872A KR 1020027006895 A KR1020027006895 A KR 1020027006895A KR 20027006895 A KR20027006895 A KR 20027006895A KR 20020071872 A KR20020071872 A KR 20020071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lens
discharging
deformable intraocular
intraocular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흐제르트만비르게르
프리드홀름조나스
힘베르트한스
크라푸어드칼-괴란
Original Assignee
파마시아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마시아 에이비 filed Critical 파마시아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2007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8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67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rotatable plu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13Horseshoe-shaped, e.g. crescent-shaped, C-shaped, U-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눈 안의 작은 절개부 안에 삽입하기 위한 변형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는, a) 하우징과, b) 덕트 축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전방부 내의 렌즈 운송 덕트로서, 상기 덕트 축에 대해 작은 횡방향 최대 치수를 갖는 변형된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전방 렌즈 수용 단부와, 전방 단부에서보다 덕트 축에 대해 큰 힝방향 최대 치수를 갖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 또는 전방 단부에서보다 변형이 적은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후방 렌즈 수용 단부와, 상기 전방 렌즈 수용 단부와 후방 렌즈 수용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덕트내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수록 덕트 축에 대해 감소하는 횡방향 최대 치수를 갖는 중간 수렴 덕트부를 포함하는, 덕트와, c) 덕트 내의 렌즈를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에 따르면, 덕트의 부분은 초승달 형상이고, 플런저는 상이한 높이 대 폭의 비 사이에서 재성형 가능하며, 본 발명의 장치는 렌즈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구조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플런저는 사전 프로그래밍된 운동 패턴으로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장치의 조작 단계에 대응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및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INTRAOCULAR LENS IMPLANTER}
팽창 가능한 안내 렌즈(intraocular lens)는 백내장에 시달리는 안구에서 천연 수정체의 대체용으로 그리고 굴절 교정 목적의 추가의 렌즈의 외과 이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인 백내장 수술에 있어서, 안구를 가장자리의 가까이에 구멍을 뚫고 기구를 삽입하여 불투명한 수정체를 분해하고 제거한다. 그 다음에, 인공 렌즈를 절개부를 통해 삽입하여 천연 수정체를 대체하고, 가요성 날개(하나의 렌즈) 또는 가요성 나선형 레그(둘 이상의 렌즈) 형태의 접촉부에 의해 정위치에, 보통 후방 안실에 유지시킨다. 가요성 나선형 렌즈는 눈의 안정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두 단계 중에 힐론(R) 이나 유사한 약제를 적절히 삽입하여 수술하는 동안 체적을 제공하고 민감한 조직을 보호한다. 보통 천연 수정체는 제거되지 않고 얇은 렌즈도 홍채 전방의 앞면 안실에 배치될 수 있지만, 수술 과정은 패킥(phakic) 교정 렌즈와 대략 동일하다.
필요한 안구 절개부의 사이즈는 렌즈 사이즈와 제 1 세대의 하드 렌즈(hard lens)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하드 렌즈는 통상 PMMA으로 제조되고, 렌즈의 직경에 대응하는 절개를 필요로 한다. 안구에 렌즈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절개부를 제한하여, 안구의 왜곡 및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또 사후의 수술 치료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소프트 렌즈(soft lens)가 개발되었다. 예컨대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이러한 소프트 렌즈는 접혀지거나 그것의 최초의 직경의 몇 분의 일로 오므라든 다음, 눈 안에서 그것의 원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삽입하기 전에 손으로 접고, 작은 절개부를 통해 렌즈를 빼내고 다루기 위해서는, 의사가 고도의 기술을 실행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취급 단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종 기구가 개발되고 시판되어 왔다. 전형적인 일반적인 문제점은 변형 및 후속적인 난시를 유발하지 않고, 각막이나 박피 세포층에 접촉하지 않으며, 렌즈 시각부 및 특히 부유 접촉부의 위치설정을 제어하고 그리고 임의의 감염이나 안내로의 파편의 도입을 피하도록 작은 절개부를 인열됨이 없이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변형 가능한 렌즈가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긴 하였으나, 그 대신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렌즈의 재료는 약하고 삽입기나 다른 조작장치내의 단단하거나 예리한 부분 또는 결함에 의해 손상되거나 절단 또는 전단되기 쉽고, 재료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문제점에 의해 재료는 장치의 부품들 사이에 반드시 존재하는 허용오차에 쉽게 걸리게 된다. 렌즈 접촉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렌즈는 특히 접촉부와 그들의 고정점 사이의 충돌이나 중첩을 피하도록 접거나 변형시켜야 하지만, 아직까지는 멀리 떨어져 있어서 플런저가 렌즈에 직접 침범한다. 렌즈는 이송 도중에 손상되지 않고 배출시에는 해제되어 적절하게 펼쳐지도록 접혀져야 한다. 대부분의 렌즈는 말단측과 기단측이 비대칭이므로, 눈에 적절히 배향시킨 상태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접촉부가 가장 말초적인 렌즈 부품이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그들은 특수하게 노출되고, 또한 그것에 가해지는 힘은 렌즈에 높은 토크 및 비틀림 모멘트를 부여하며, 그로 인해 전체의 렌즈의 오정렬이나 회전이 발생하고, 부적절한 점힘 또는 변형이나 촉각 또는 시각의 손상 또는 배출시의 부적절한 해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점들의 대부분은 매우 높은 이동 저항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유연한 렌즈 특성은 렌즈 운송 채널을 갖는 조작 및 이식용 장치에 엄격한 요건을 부여한다. 그러한 채널의 전반적인 요건은 렌즈 시각부 또는 접촉부에 전단, 마찰, 연마, 절단 또는 조임을 부여하지 않도록 부드러워야 하는 것이며, 이것은 모놀리식 채널 부품으로의 임의의 변이와 여러 부분의 채널의 접합부에 적용되며, 후자의 경우는 부품들이 용접되고 연마되며 최종적으로 미량의 파편도 피하도록 세정되지 않는 한 등급 및 오정렬이 불가피하므로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 예컨대, 렌즈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어 또는 폐쇄체를 제공하는 경우 또는 별도의 외부 수단에 의해 변형된 렌즈용의 카트리지형 삽입물을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부품이 불가피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을 통한 렌즈의 운송은 적어도 별개의 2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단계에서, 이 단계는 보통은 팁을 눈 안에 삽입하기 전에 수행하지만, 렌즈는 가능한 완전한 변형 또는 부분적인 변형상태에서 준비 위치로 운송되고, 절개부를 통해 눈안에 삽입하도록 설계된 기다란 팁의 말단 가까이에서 해제할 준비를 한다. 팁을 눈 안에 삽입할 때 수행하는 제 2 단계에서, 렌즈를 눈 안에 해제하기 위한 준비 위치로부터 나머지의 단거리로 밀어넣는다. 플런저 장치는 이들 두 단계에서 상이한 조건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는데, 그 중 제 1 조건은 보통 렌즈를 압박하지 않도록 느리면서도 안정된 힘과 속도를 필요로 하는 반면에, 제 2 조건은 렌즈가 그것의 축적된 탄성 에너지에 의해 말단 팁에서 자동적으로 펼쳐지려고 하므로 더 많은 짧은 개시 작용을 하는 것이다. 렌즈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힘의 변화는 제 1 단계에서 상당히 크고 변형이 완결될 때까지 증가하며, 그리고 팁에 변형 형상부 또는 해제 형상부, 예컨대 슬릿이 설계되어 있는 제 2 단계에서 감소한다고 단언한다. 수작업에 있어서, 힘의 저하에 의해 최종의 해제시에 부주의한 변위, 특히 재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렌즈 변형 수렴 채널은, 특히 부각된 촉각의 문제점으로 인해서, 예컨대 계속된 절첩 뿐만아니라 제어된 개시에 관한 추가의 문제점을 제기한다. 이 문제점들은 보다 견고한 국부적 단일 접촉부에 비해서 약하고 난이한 나선형 접촉부를 갖는 둘 이상의 렌즈의 경우에 더욱 크다.
많은 유형의 공구가 제안되었지만, 전술한 조건들을 어떤 적절한 정도로 충족시키는 제안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종래의 장치의 제안은, 단순히 미국 특허 제 4,702,224 호, 제 5,100,410 호, 및 제 5,176,686 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렌즈의 핀셋 또는 후크 취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고정구 또는 지그이며, 높은 변형도나 작은 절개부를 달성할 수 없었고, 허용가능한 취급 제어도 달성할 수 없었다. 많은 후자의 제안은 별도의 렌즈 변형 및 렌즈 운송 수단, 예컨대 미국 특허 제 4,880,000 호의 조(jaw), 패들 또는 채널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변형 부재에 각각 의존한다. 그러한 장치는 반드시 여러 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그 부품들 사이에서 렌즈가 변형되며, 그러한 부품들 사이에서 변형된 렌즈는 재사용 가능한 삽입장치 내로 카트리지로서 종종 삽입되며, 전체의 부품들은 전술한 잠재적으로 해로운 결함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그러한 장치는 정확한 렌즈의 삽입 및 수동 변형을 위해 편리한 장치의 안전 형상부에 의한 보조보다는 조작자의 기술에 의존하므로, 임의적이고 일관성 없는 접음 및 해제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로서, 미국 특허 제 5,494,484 호 및 제 5,800,442 호는 2개의 힌지 결합된 반 튜브 사이의 렌즈 변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임의의 결과 시각 또는 촉각의 제한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미 변형된 렌즈가 단순한 플런저 전진 기구를 고려해야 하지만, 중요한 렌즈 해제 순간에 비현실적인 2번의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스크류 장치가 사용된다. 말단에서의 최종 해제 전에 채널내에서 전방 이송하는 동안 렌즈가 접혀서 변형되는 수렴 채널을 갖는 장치에 대한 수많은 제안이 있었다. 추가의 하류 변형과 수렴 채널 부분의 홈 또는 다른 구조체에 의해 자주 지원되는 적절한 접음을 위해, 렌즈는 채널의 입구에서 평탄하게 삽입되거나 약간 굽여질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 4,919,130 호, 미국 특허 제 5,275,604 호, 미국 특허 제 5,499,987 호, 미국 특허 제 5,584,304 호, 미국 특허 제 5,728,102 호, 미국 특허 제 5,873,879 호(국제 특허 96/03924), 독일 특허 제 3,610,925 호, 국제 특허 96/20662호, 및 국제 특허 96/25101 호가 그것의 전형적인 예이다. 그러한 변형 장치는 낮은 조작 기술을 필요로 하지만, 그것의 결과는 결코 만족스럽지도 일관적이지도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송 변형 원리는 높은 가변적 운송력을 필요로 하므로, 응력 및 채널과 플런저로부터의 렌즈의 손상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추가의 렌즈 손상 원인은, 그러한 장치의 채널 입구가 출구보다 더 큰 단면을 갖는다는 사실 때문이며, 변형되지 않은 렌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가의 영역이 종종 추가되지만, 그것은 플런저의 단면을 높이 방향으로 항상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단면이 감소하거나 변화하는 경우 채널과 플런저 사이의 전단은 불가피하며, 그에 따라 플런저와 비 변형 렌즈 사이에 가해지는 잠재적으로 파괴점의 힘에 부가하여 유연한 렌즈 재료의 압착 또는 절단이 발생한다. 또한, 최초에 접혀있지 않은 렌즈는 전술한 비틀림력에 의해 오정렬될 가능성이 크고, 그로 인해서 렌즈를 밀어넣는 동안 촉각을 조정하고 보호하기 위해 제안된 긴 수단에도 불구하고, 부적절한 접음 및 후속적 펼침이나 조정된 시각 또는 촉각에 손상을 입히는 결과가 발생한다. 격렬하게 변화하는 힘의 요건의 관점에서 장치의 편리한 사용의 문제점 뿐만아니라, 제어되지 않은 변화의 마스킹 효과로 인한 손상된 렌즈의 실제적인 삽입의 위험도 미해결상태로 남아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부드러운 안내 렌즈의 접음이나 변형 및 후속 배출을 위한 지금까지 사용되고 제안된 장치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렌즈 손상의 위험이 감소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각 삽입 단계에 적합한 조작 특징을 가지며 사용하기 편리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부적절한 사용 및 조작 단계를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손상된 렌즈의 삽입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렌즈의 손상 위험이 감소되고 그리고 렌즈의 변형이 감소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결함 및 허용오차로 인한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수렴 채널내의 운송에 의한 렌즈의 변형과 관련한 손상을 피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부적절한 렌즈의 접음, 운송 및 렌즈의 시각 및 접촉부에 대한 배출을 보호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렌즈의 탈구 및 소망의 운동 패턴에 대한 렌즈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단일 또는 다수 부분의 촉각을 갖는 렌즈에 유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단순하고 저렴하며 1회용 장치로서 사용 가능한 장치를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 설명하는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플런저의 전진 운동의 제 1 기간에서 회전 스크류 나사 운동을 필요로 하고, 렌즈 이송의 최종 기간동안 보다 축방향의 추진 운동을 필요로 하는 종동부 및 트랙 장치를 포함하는 플런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몇몇의 편리하고 안전한 목적이 달성된다. 최초의 나사 운동은 렌즈 운동의 민감한 최초의 부분에서 높은 힘과 저속을 보호한다. 렌즈 운동의 민감한 최초의 부분은, 촉각 조정을 포함하는 플런저와 렌즈의 접촉, 적재 카세트로부터 삽입 팁으로의 이송, 매우 다양한 힘 조건하의 수렴 채널의 변형 방위 및 상당한 변형과 관련한 렌즈의 적어도 약간의 변형, 및 배출 위치에서 장치의 팁에 근접한 렌즈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포함한다. 눈과 접촉하기 전에 준비 단계로서 조작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손으로 잡는 사용과, 적절한 렌즈 운송 및 장치에서 최종 렌즈 위치설정의 엄밀한 감시가 조장되고, 임의의 부주의한 렌즈 배출은 회전 운동의 요건에 의해 방지된다. 삽입단계 중에, 장치의 팁은 눈 안에 위치되어야 하고, 렌즈를 방출 위치로부터 방출하기 위해 플런저의 짧은 최종 전진 운동만이 필요하다. 이제 허용되거나 필요한 추진 운동은 플런저의 정교한 최종 전진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바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사람에게 동일하게 한손의 파지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민감한 안구 절개부를 찌르거나 흔들기 쉬운 성가신 2손 파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다른 필요한 작용을 위해 조작자의 다른 손은 자유롭게 한다. 예컨대, 팁에서의 렌즈의 방출을 위한 정확한 점에서 스크류나사 회전 운동과 최종의 플런저 이동중에 플런저 엑츄에티어의 회전 방지를 위한 정확한 정지부에 의해, 단계 사이의 변이가 강제적인 경우, 추가의 안전성이 달성된다. 자체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채널을 따라 단면에서 변화하는 폭 내 높이비를 갖는 수렴 채널내에서 운송에 의한 렌즈 변형을 위한 장치와 관련하여, 플런저의 전방이 변화비에 적합하도록 고쳐질 수 있는 경우 몇 가지 이점이 달성된다. 일정 형상의 플런저 팁을 갖는 것보다 플런저의 팁과 렌즈 사이의 큰 접촉 면적을 이용함으로써, 표면의 압력이 낮고 렌즈 손상의 위험이 적다. 또한, 필요한 경우, 즉 높은 다양한 힘이 존재하는 초기 변형 단계에서 차이가 최대이다. 림은 채널의 외주를 따라 보다 최적의 압력으로 인가되고, 중심에는 인가되지 않으므로, 운송이 향상되고 렌즈의 끌어당김 및 변형이 감소된다. 개조가능하고 플런저를 따르는 채널에 의해서, 채널의 구조는 렌즈 접음 목적에 적합하므로, 이러한 공정에 대한 제어를 향상시킬 수 있다. 초기 단계에서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플런저 부분에 대한 추가의 채널 구역이 더 이상 필요치 않으므로, 그러한 구역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고, 전체의 마찰이 적고, 부품 수가 적고 부품의 분할이 양호한 용이한 구조로 되며, 1회용 목적에 매우 적합한 적은 수의 에지 또는 중단부 및 부드러운 표면이 달성된다. 특히, 그러한 구조에 의하면, 변형된 렌즈는 그러한 추가의 구역 내로 팽창될 수 없으므로, 플런저와 채널 사이에서 렌즈의 압착, 끼임 및 절단의 위험이 상당히 감소된다. 채널이 그것의 연속적인 형상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략 일정한 단면을 갖고 있고 그리고 각 채널의 점의 단면이 렌즈의 단면에 대응하는 경우, 이점이 가장 두드러진다. 채널의 길이 전체에 걸친 플런저 전방 구역의 최적의 사용에 의해, 임의의 유형의 촉각 조정 및 보호를 위한 자유 구역의 배치가 용이하게 가능하다. 접촉부를 우선적으로 파지하는 고정구 또는 지그를 사용하여 렌즈를 그것의 최초의 비 변형상태로 보호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부적절한 위치설정이 방지되고, 기술의 요건이 감소되며, 렌즈의 회전 또는 비틀림이 방지되고, 의도하는 절첩 패턴이 대체적으로 보호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및 이점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눈 안의 작은 절개부에 삽입하기 위한 안내 렌즈를 변형시키고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a) 하우징과, b) 덕트 축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전방부에 있는 렌즈 이송 덕트로서, 덕트 축에 대한 작은 횡방향의 최대 치수를 갖는 변형된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전방 단부와, 상기 전방 단부에서보다 덕트 축에 대한 큰 횡방향의 최대 치수를 갖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 또는 전방 단부에서보다 적게 변형된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후방 렌즈 수용 단부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가변 단면 형상을 가지며 덕트 내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덕트 축에 대한 횡방향의 최대 치수가 감소하는 중간 수렴 덕트부를 구비하는, 렌즈 이송 덕트와, c) 렌즈를 덕트 내에서 적어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작동 단계에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 기술의 유형의 수렴형 채널 삽입 덕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 내지 1d는 덕트를 따른 4개의 상이한 축방향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e는 평행한 천장 및 바닥을 갖는 덕트를 통해 도시한 축방향 단면도,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상을 갖는 수렴 채널형 삽입 덕트의 개략도로서, 덕트를 따른 5개의 상이한 축방향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상으로 절곡될 수렴 채널형 삽입 덕트의 후방 또는 입구 말단에 가까운 가능한 단면 윤곽의 개략도,
도 4a 및 4b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탄한 형상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둥근 형상 사이에서 개조될 수 있는 부드럽고 특히 탄성이 있는 재료로 제조된 플런저의 개략적 사시도,
도 5a 및 5b는 도 5a에 도시된 평탄한 평상과 도 5b에 도시된 둥근 형상 사이에서 개조될 수 있는 브러시 형태로 배열된 필라멘트로 제조된 플런저의 개략적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평탄한 평상과 도 6b에 도시된 둥근 형상 사이에서 개조될 수 있는 벨로우즈 방식으로 접은 시트 재료로 제조된 플런저의 개략적 사시도,
도 7a 내지 7d는 도 7a에 도시된 평탄한 평상과 도 7b에 도시된 둥근 형상 사이에서 재배열될 수 있는 개개의 핑거로 제조된 플런저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 7c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부에 적합한 변형을 도시하고 있음,
도 8a 내지 8c는 나선형 접촉부를 갖는 렌즈용 핑거를 갖는 바람직한 플런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확대 정면도이며, 도 8c는 플런저의 전방부의 확대 평면도임.
도 9a 내지 9j는 초승달 형상의 덕트를 구비하며 도 8의 플런저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삽입기의 도면으로서, 도 9a는 삽입기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하우징 부분을 통한 축방향 단면도이며, 도 9c는 핸들 부분을 통한 축방향 단면도이고, 도 9d는 푸시 로드의 평면도이며, 도 9e는 렌즈 수납실 및 수렴 채널의 천장 부분을 갖는 하우징의 전방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9f는 장치의 팁과 수납실 및 수렴 채널의 천장 부분을 갖는 폐쇄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9g는 채널의 축을 횡단하는 부분(도 9h에 도시됨)이 표시된 폐쇄체의 평면도이며, 도 9i는 채널의 축을 횡단하는 여러 부분(도 9j에 도시됨)이 표시된 하우징의 평면도.
반대되는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가진" 등의 용어와 같은 표현은 인용한 요소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추가의 요소의 존재도 고려하도록 이해되어야 하고, 그리고 필수적으로 세분된 형태 또는 집합 형태의 임의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연결된", 부착된", "배열된", "인가된", "사이의" 및 기타 용어와 같은 표현들은 인용딘 요소들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하나 또는 몇 개의 개재 요소 또는 구조체의 존재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힘 및 작용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경우의 유사한 표현에도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한 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설명, 예컨대 "축방향", "전방", 후방", "전방으로", 및 "후방으로"는, 예컨대 덕트가 기변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 수렴형 덕트에서는 그러한 축이 항상 완전히 직선일 필요는 없고 곡선일 수도 있으나, 렌즈 발사 방향에 관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소프트 렌즈는 자체적으로 공지된 다수의 상이한 방법, 예컨대 나선형으로 감거나, 하나 또는 다수의 중첩부의 여러 형태 또는 벨로우즈 형상으로 한 번 또는 여러 번 접거나, 축방향 팽창 또는 연신 등의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변형 또는 신장되는 방법으로, 작은 눈 절개부 안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감소된 직경이 부여될 수도 있고, 실제로 보통 사용되는 임의의 방법은 몇 개의 순수한 사이즈 감소 원리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한 "절첩(folding)","굴곡(bending)","압축(compressing)", "변형(stressing)" 등은 다른 방식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명화가게 설명하지 않는 한, 삽입 목적을 위한 어떤 종류의 사이즈 감소 방법을 나타내도록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며, 어떤 특정 방법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유용한 형상 변화는 렌즈를 눈 안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일시적이어야 하며, 렌즈는 미 변형 상태에서 그것의 원래의 형상으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역으로, 임의의 주요한 영구 변형은 보통 렌즈의 손상에 해당한다. 전형적으로, 눈 안의 절개부는 길이가 1 내지 6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인 직선 절단부이며, 이것은 보다 둥근 구멍으로 횡방향으로 확대되고, 변형된 후의 렌즈의 형상은 가능하면 보다 타원형으로 약간 평탄화된 대체로 원통형의 외측면을 갖는 그러한 절개부를 통해 도입하기에 적합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삽입 장치는, 도입부에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현존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에 백내장용 및 교정용의 2가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렌즈는 대체로 시각부 및 접촉부를 포함한다. 시각부는 굴절 특성을 제공하며, 천연 수정체의 교체를 위한 강한 양성 굴절 또는 교정 목적의 어느 정도의 양성 또는 음성 굴절과 같은 임의의 소망의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시각부는 대체로 렌즈 형상을 취하지만, 다른 초기 형태, 예컨대 굴절 액체 또는 덩어리로 후속 충전하기 위한 백 형태, 눈 안에서 재성형 또는 교차결합하기 위한 다른 형태, 또는 눈 안에서 기억된 형태를 복구하기 위한 메모리를 갖는 예비 변형된 렌즈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시각부의 에지는 예리하거나 뭉툭하거나 평탄할 수 있다. 접촉부는 눈의 내부 주변부에 접촉하여 시각부를 눈 안에 중심설정하고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접촉부는 시각부로부터 연장된 평탄한 날개, 유사한 형상의 고리,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시각부 둘레에 나선형으로 된 둘 이상의 가요성 레그(leg)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눈안에서 최종 치수보다 작은 치수(눈 안의 작은 절개부를 통해 삽입하기에 적합함)를 갖는 능력을 지닌다는 의미에서 변형 가능한 한, 본 발명의 장치에 어떠한 유형의 렌즈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렌즈를 접고 변형시키는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하우징과, 렌즈를 위한 렌즈 운송 덕트와, 덕트내의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 장치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넓은 의미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장치의 하우징은, 후방 위치로부터 전방 위치로의 이동 및 장치로부터의 배출과 같은 전술한 렌즈의 위치 및 운동에 관한 기준점을 나타낸다. 최소한의 기능적 요건은, 하우징이 플런저 및 렌즈 덕트부의 지지체를 포함하거나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시에, 덕트부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 상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 수용부는, 예컨대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를 위해 하우징과 일체로 되거나, 또는 예컨대 렌즈의 변형에 의해 또는 변형을 위해 렌즈 수용 카세트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일반적인 목적을 위해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플런저 장치는 하우징에 대한 플런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적어도 플런저의 전방부가 덕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보통의 실행에서와 같이, 제작자가 제어하고 감시하도록 설계된 형상부, 예컨대 플런저 조작 제어부 또는 손잡이만이 노출되어, 전체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구조를 부여하는 정도로,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품을 수용하는 용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의 실행에 따르면, 하우징은, 예컨대 렌즈를 적재하기 위해 또는 세정이나 소독을 용이하게 하도록 분할가능하거나 개방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특징은 어떠한 유형의 덕트에도 이점을 부여하는 바, 덕트가 플런저의 사용에 의한 어떤 축방향 길이의 운송, 예컨대 장치의 전방부 배출 구역에 가까운 정지 위치로부터의 렌즈의 배출에 적합해야 한다는 최소한의 조건이 있다. 예컨대 전방 집게, 후퇴가능한 캐리어나 패들 또는 임의의 다른 공구에 의해 렌즈가 전방으로부터 배출구역 내로 직접 도입된다면, 또는 별도의 유닛이나 카세트로서 장치의 전방부에 부착된 임의의 외부 수단에 의해 렌즈가 배출구역 덕트부 내로 사전 적재된다면, 그러한 최소 운동은 충분할 수 있다. 대체로, 눈의 절개부를 통해 도입될 장치의 협소부(이하, 장치의 "팁" 부분이라 칭함)는 변형된 렌즈 시각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눈 안의 적절한 깊이, 예컨대 이 길이의 적어도 1.5배, 바람직하게는 2배까지 렌즈의 삽입 및 어떤 조작이 가능하다. 특히, 덕트의 이러한 팁 부분을 가능한 한 단순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출 구역의 후방으로의 렌즈의 덕트부를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송 덕트 및 배출 구역은 변형된 렌즈의 크기에 적합한 최소의 외부 치수를 갖는 단순한 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튜브의 전체의 단면은 약간 발산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정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수렴할 수 있다. 단면은 둥근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태, 예컨대 팽창된 슬릿 절결부에 일치하는 약간의 타원형 또는 팽창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팁의 전방 정점은, 예컨대 확실한 최종 팽창을 가능하게 하는 경사진 단부 절단부, 축방향 슬릿, 또는 얇은 벽 재료를 구비함으로서, 삽입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변형된 렌즈의 급격한 배출이 아닌 완만한 배출을 지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팁의 전방에서 도입하기 위한 예시한 것과 유시한 수단에 의해, 덕트의 팁 부분의 후단부에 변형된 형태의 렌즈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덕트는 팁의 후단부를 지나는 구역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 덕트 부분은 렌즈가 변형된 형태로 도입되거나 또는 변형되는 변형 챔버 구역을 포함한다. 렌즈는, 예컨대 삽입 장치를 가능한 한 간단하게 유지하도록, 외부 수단에 의해 사전 변형된 상태로 렌즈를 유지하는 카세트 또는 챔버 유닛 안에 삽입함으로써, 변형된 상태로 장치내에 도입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 변형 수단은 예컨대 변이를 피하고 또 취급 단계를 필요로 하기 위해 장치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렌즈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변형될 수도 있거나 변형되었다. 변형 방법의 임의의 분류 원리에 의해 구속됨이 없이, 통상적으로 2개의 힌지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반부 또는 부분 배관 사이에서 압착하는 것에 의해, 축방향 또는 접선방향 슬릿을 통해 배관의 일부 내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또는 핀셋이나 집게에 힌지결합된 배관 부분 사이에서 유사하게 압축하는 것에 의해서와 같은 단순한 변형 단계 중에 렌즈의 축방향 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덕트에 대한 횡방향의 운동 또는 작용에 의해 어떠한 방법도 실행될 수 있다. 변형 후에, 그러한 장치는 대략 일정한 단면의 덕트를 부여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어떤방법은 렌즈가 가변 단면 형상의 덕트를 통해 또는 축방향 길이에 걸친 구역을 통해 가압되는 경우와 같은 변형을 위한 렌즈의 축방향 이동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렌즈의 소망의 절첩 또는 변형 패턴에 대략 일치한다. 사용된 변형 방법 또는 장치의 통합 원리에 관계 없이, 변형 챔버의 전방 덕트 단부의 단면은 연결 덕트 부분과 일치해야 하고, 전술한 덕트의 팁 부분 또는 임의의 중간 덕트 부분이 삽입되어 취급, 제조 또는 공간의 고려와 같은 임의의 2차 목적에 대한 변형을 제공해야 한다.
여러 목적으로, 가변 형상의 덕트내 운송을 포함하는 마지막으로 언급한 변형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수렴 채널 방법이라 칭한다. 왜냐하면, 일정하거나 수축될 수도 있는 전체의 단면적의 크기에 관계 없이, 삽입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렌즈를 재 성형하도록, 덕트가 보통 미 변형된 렌즈의 최대 치수를 따라 덕트 축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치수로 반드시 수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수렴 채널의 설명을 위해, 덕트 축에 수직이고 또 에지에서 에지까지의 렌즈 연장부에 대응하는 채널의 방향을 채널의 "폭" 또는 "횡방향" 치수라 칭하는 한편, 덕트에 수직이고 렌즈의 두께에 대응하는 치수는 채널의 "높이"라 칭한다.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채널의 내부 표면을 채널의 "천정(roof)"이라 칭하는 한편,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반대쪽 표면을 채널의 "바닥(floor)"라 칭한다. 수렴 채널 덕트의 유형은 그것의 단순성으로 인해 삽입 장치에 쉽게 통합될 수 있고, 부드러운 덕트와 조화되며, 수렴 덕트 부분을 통한 렌즈의 이동을 위한 피스톤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그리고 렌즈 삽입시에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종래 기술의 구성이 특히 접촉부의 수용 및 덕트 내의 이동하에서의 과도한 렌즈 변형 또는 손상에 관한 어떤 단점을 갖지만, 그러한 공지된 수렴 채널 구조의 일반적인 이점은 본 발명의 여러 측면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보통, 렌즈를 수렴 채널 내에 밀어넣기 위해 사용되는 피스톤은 채널의 최대 협소부, 즉 팁 출구에 적합한 전방 사이즈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첫 번째 단점은, 피스톤의 전방이 덕트에 대한 그것의 횡방향 연장부의 일부에 걸쳐서만 접혀지지 않은 렌즈를 최초로 침해하여, 초기의 이동 단계 중에 높은 파괴점 압력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두 번째 단점은, 수렴 채널의 후방부가 플런저를 수용하기 위해 렌즈의 비 변형된 시각부의 두께에 의해 필요한 것보다 덕트에 대해서는 횡방향이지만 시각면에 대해서는 수직인 큰 높이 연장부를 가질 필요가 있어서, 통상적으로 2개의 융기에 의해 분리된 3개의 요부를 갖는 단면 천정면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변형 가능한 렌즈는, 밀어 넣는 경우 확대된 높이 공간 내로 부풀고 팽창하려고 하며, 플런저와 덕트 내의 더 하방의 협소한 벽 사이에 걸리게 되어, 절첩을 제어할 수 없고, 렌즈의 마찰, 손상 또는 심지어 절단이 증가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여기서 추가된 공간은 최악의 위치에, 즉 렌즈가 굴곡될 때 반드시 압축되고 평탄한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 경향의 의해 확대되는 천장의 중심에 위치한다. 그러한 공간이 비 폐쇄된 채널 원주부, 예컨대 렌즈가 팽창하는 슬릿 및 절단부에 있는 경우에도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최초의 큰 채널 및 나중의 협소한 채널로 팽창될 수 있는 부드러운 실린더형 플런저의 전방으로 밀어 넣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적어도 후방 채널부가 렌즈의 사이즈 또는 형상에 전혀 적합하지 않으므로, 여기서 렌즈의 절첩 개시는 완전히 제어되지 않는다. 또한, 플런저는 팽창하고 채널의 벽을 압축시켜, 접촉부의 여유 공간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플런저와 벽 사이에 후단 접촉부가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공통 수렴 채널 구조와 관련된 상기 문제점은, 수렴 채널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덕트의 단면을 접는 동안 렌즈 시각부의 단면의 크기 및 형상에 적합하게 함으로써 해결된다. 렌즈를 통한 단면에 대해 언급할 때, 그것은 최대 구역의 지점, 보통 렌즈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통한 렌즈의 중앙에서 취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적용이 의미하는 것은, 채널의 단면이 후술하는 미소한 편차를 두고 렌즈의 단면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다. 채널의 주변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의 시각부의 가장 두꺼운 부분이 통과하는 적어도 덕트의 중앙의 높이는, 이 방향으로의 변형된 렌즈의 팽창을 피하도록 그것의 천장부에서는 확대되어서는 안되지만, 상기 렌즈 시각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의 바닥부에서는, 렌즈가 바닥에 대해 압축되지 않으므로, 미소한 확대가 허용될 수 있다. 또한, 바닥은 이용 가능한 횡방향 연장부가 천장보다 더 크다. 소망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플런저를 위한 안내 홈을 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안내 홈은 플런저상의 대응하는 구조체와 협력하여, 예컨대 적절한 슬릿의 종단점에 의해 눈 안으로 너무 멀리 배출되거나 뻗지 않도록 플런저의 주행을 안정화시키고 그것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두가지 목적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그러한 확대부는 작아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으로 1.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미만인 반면에, 그것의 깊이는 관련이 적다. 내부에서 렌즈의 팽창을 용이하게 하지 않도록 확대부상의 예리한 에지가 바람직하다. 채널의 중앙부로부터 횡방향으로의 형상은 요구 사항이 적고, 렌즈의 높이에 정확히 일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그 높이는 중앙의 높이에 비해서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잔여의 횡방향 공간이 허용되고 그리고 접촉부, 자유 단부 및/또는 그들의 고정점을 위한 여유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멀리 떨어진 에지의 높이는 0으로 된다. 특히, 이러한 설계상의 고려사항이 의미하는 것은, 덕트의 천장이 전술한 3개의 요부를 갖도록 설계될 필요가 없고, 2개의 융기가 일열의 연속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단면은 원형도 타원형도 아니어야 한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단면은 덕트를 따른 적어도 어떤 곳에서 에지가 만날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렌즈의 최초의 굴곡 사이의 주요 부분에 걸쳐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상을 가져야 한다. 초승달 형상 에지의 형상은 중요하지 않지만, 예리하거나 뭉툭하거나 정사각형일 수 있다. 초승달 형상은, 예컨대 렌즈의 에지가 서로 압축될 덕트의 후속부에서 만나는 절첩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두꺼운 렌즈에 적합한 "C"자 형태의 대칭형이거나, 또는 예컨대 렌즈의 나선형 절첩을 개시하도록 에지가 덕트의 후속부에서 중첩 방식으로 만나는 얇은 렌즈에 적합한 절첩 패턴을 위한 "6"자 형태의 비대칭형일 수 있다. 덕트의 단면은 플런저를 위한 추가의 구역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단면적은 수렴 덕트의 주요 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고, 편리한 삽입에 의해 지시되는 임의의 작은 수렴 또는 반경방향 변형으로 인한 축방향 신장으로부터 발생하는 렌즈 긱경의 감소에 관계 없이, 변형된 렌즈의 주요 단면적에 적합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렌즈는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단일 또는 다수의 플런저에 의해 전술한 덕트 내로 추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이유 때문에, 플런저의 전방은 렌즈상의 넓은 구역을 덮도록 횡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에 의해, 초승달 형상에 수용될 수 있는 최대 원형 형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덕트의 형상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후술하게 되는재 성형 가능한 플런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의 플런저는, 기본적으로 덕트에 수용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목적으로 덕트를 통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그것은 덕트의 일부분에만, 예컨대 최초의 수렴 부분에만 수용되고 덕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플런저로 대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팁까지 줄곳 수용되고 또 눈 안의 렌즈의 조작을 위해 다소 길게 할 목적으로 덕트의 전체를 통해 동일한 로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본적인 목적을 위해, 조(jaw) 및 패들형 플런저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그것의 외주에서, 즉 덕트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접촉면에서 렌즈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한다. 특히, 절개부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그러한 장치 내에서 압착되는 경우의 렌즈의 손상 및 그러한 플런저를 펼치거나 눈 안에 배출하는 경우의 눈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추진(pushing)" 플런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진 플런저는, 덕트의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의 접촉면에서 렌즈에 접촉하여 힘을 전달하는 플런저로 이해될 것이다. 덕트 구역을 팽창시키는 전방이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간단한 로드와 같은 공지된 유형의 추진 플런저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를 최대로 하고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접촉부보다시각부상에 작용하는 것에 의해 렌즈를 밀어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위해서, 플런저의 전방부에는 종종 접촉부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형상부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상이한 접촉부의 유형마다 다를 수도 있다. 날개형 접촉부의 경우에, 플런저의 전방에는, 후단 접촉부를 수용하고 또 포크형 전방을 렌즈의 시각부에 습격하기에 충분한 깊이의 축방향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고리형 날개의 경우에, 플런저의 전방은 헤드 또는 후크 및 고리를 통과하는 후크 또는 헤드를 갖는 목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나선형 접촉부는 임의로 움직이지만, 예컨대 플런저를 덕트보다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덕트 내의 편심 방위에 의해, 플런저 전방의 절단부에 의해 플런저와 벽 사이에 약간의 틈새를 제공함으로써 벽에 가깝게 국한하는 경향을 이용한다. 이것은 전방 헤드부의 후방의 협소한 목부에 의해 지원되고, 헤드의 유지된 표면에 의해 접촉부의 보다 자유로운 방위를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로, 덕트는 접촉부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넓게 될 수 있거나, 또는 접촉부를 덕트로부터 주변으로 연장시키도록 덕트를 따라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측면으로부터, 전술한 플런저의 해결책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높은 길이 대 높이 연장 비를 갖는 제 1 형태와 낮은 길이 대 높이 연장 비를 갖는 제 2 형태 사이에서 재성형될 수 있는 플런저가 제공된다. 이러한 길이 대 높이 비는 이하에서는 연신율이라 칭하며, 바람직하게는 제 1 형태에서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또는 2.5 또는3 이상이다. 제 2 형태에서는, 연신율은 제 1 형태에서보다 작아야 하고, 예컨대 완전히 접히거나 변형된 렌즈의 경우에 최종 덕트 부분과 일치하도록1의 연신율, 즉 대칭 원형 또는 정사각형의 다각형을 포함할 것이다. 그것의 구조는 적어도 1.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적어도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의 2개의 연신율 사이의 몫으로서 표현되는 제 1 형태와 제 2 형태 사이의 연신율 변화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값은 주로 플런저의 전방 부분과 관련이 있다. 예컨대 가변 형상의 덕트를 통해 연장하는 경우, 기다란 플런저의 상이한 부분은 확실히 상이한 연신율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플런저는 몇가지 이점 및 용도를 갖는다. 그것은, 예컨대 상이한 유형의 접촉부와 또한 접촉부의 상이한 임의 위치에 대한 여유를 제공하기에 적합할 수도 있다. 그것은 예컨대 덕트 내의 변이부에 있는 제 1 평면에서 렌즈를 덕트 내로 밀어 넣는 경우와 같은 임의의 목적으로 덕트의 단면을 변화시키기 위해, 그리고 배출시에 점차 팽창하는 렌즈에 따라 일치시키기 위해 분포된 압력의 표면을 유지하는데 적합할 수도 있다. 그것은 수렴 채널 변형 방법과 관련하여 특히 유용하고, 또 초승달 형태의 단면을 수용한 전술한 덕트 구조와 관련하여 특히 유용하다. 여기서, 재성형 가능한 플런저는 플런저에 의해 지시되는 덕트의 확대 없이 큰 압력 표면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덕트의 전체에 걸쳐 동일한 플런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재성형 가능한 플런저는 추진형이어야 한다. 즉, 예컨대 덕트를 통해 단면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표면 성분을 갖는 덕트 축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뻗은 렌즈를 갖는 전방 접촉 표면을 제공한다.
플런저는 탄성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재성형 가능한 특징이 부여될 수도 있다. 특히, 예컨대 접촉부의 포획을 피하도록 덕트의 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비 변형 상태의 플런저의 형상이 1 이상의 연신율, 바람직하게는 제 1 형태에 대해 전술한 연신율을 갖는 의미에서 기다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 형태는 대략 덕트의 후단부에 대응하고, 이것은 비 변형된 렌즈에 대략 대응하며, 결과적으로 렌즈와 유사한 접힘 패턴이 달성된다.
재성형 가능한 플런저는 실질적으로 견고하고 적어도 그것의 전방부에서 금속 또는 강한 플라스틱과 같은 안정된 재료를 형성한다. 이것은 플런저상에 추진력을 가할 때 덕트 벽에 대한 압력을 더욱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것이며, 전방을 지나는 후방으로의 플런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이것은 플런저의 전방과 유사하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재료, 예컨대 소성 재료의 일체부에 축방향의 힘을 유지해야 한다. 이것은 렌즈가 서로에 대해 재배열되는 것이 가능한 둘 이상의 개별 부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중 부품의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품들은 예컨대 서로 횡방향으로 인접한 핑거를 갖는 평탄 형태와 다발 형태의 둥근 형태 사이에서 재열 가능한 축방향으로 연장된 "핑거"이다. 그러한 핑거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완전히 자유롭게 재배열될 수도 있다. 핑거들은 그들의 후단부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되어, 예컨대 각 핑거에 대한 상이한 축방향 추진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예컨대 실제로 수렴 덕트에 적합하도록 상이한 수의 핑거가 덕트의 상이한 부분에서 렌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로, 핑거는 공통 추진기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공통 추진기는, 예컨대 일정한 단면적이 덕트의 길이 전체를 통해 렌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후자의 목적을 위해서, 보다 제어된 재배열 패턴을 갖도록 핑거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는 핑거를 따라 어느 곳에도, 예컨대 접촉부의 수용을 위한 핑거 사이의 공간에 접합부로부터 어떤 추진 표면을 추가하고 또 덕트 벽을 향해 접촉부를 안내하도록 후방부와 전방부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접합부의 유형은 실질적으로 축방향인 힌지 축을 갖는 힌지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체이다. 그러한 힌지는 보통의 힌지로서 설계될 수도 있지만, 특히 핑거 사이의 접촉점 또는 외피 형태의 강한 힌지로서 1회용 구조체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접촉부용 핑거 사이의 분리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소망되는 경우, 힌지 부품은 핑거를 접어 서로간에 접촉하게 하거도록 소정의 횡방향 연장부이다. 최선의 재성형 능력에 대해, 각 핑거는 단일의 인접 핑거에서 접합된 말단 핑거를 제외하고는 2개의 인접 핑거에서만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핑거의 수는 가변적일 수 있다. 브러시형 핑거를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핑거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핑거들은 분리될 수 있고 후방 위치에서 접합되어, 전방부의 매우 자유로운 재배열 능력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개개의 핑거나 층에서 접합되어 재배열의 자유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즉 각 핑거가 층 형태로 2개의 다른 층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전방에서 접합될 수 있다. 특히, 절첩 패턴의 최대의 제어 및 접촉부의 수용을 위해서는, 단일 층의 핑거를,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적은 수의 핑거를 사용하여 덕트를 그것의 가장 평탄한 부분에서, 대체로 덕트의 후단부에 있는 입구측에서 팽창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핑거의 수는 단 10개, 바람직하게는 단 5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이다. 그 수는 적어도 2개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여야 한다. 특히 중앙 핑거 및 그 중앙핑거 둘레에 배열된 짝수의 핑거를 갖는 대칭형 덕트 단면에 대해서는 홀수의 핑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핑거는 크기 및 형상이 유사할 수 있지만, 그들을 다르게 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예컨대, 핑거 전방 표면을 덕트의 높이에 적합하게 하여 그들은 가능한 한 덕트에 대해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어떤 유격이 바람직하긴 하지만, 중앙부에서 가장 높은 경우가 흔하다. 핑거의 전방의 형상은 임의의 형상, 예컨대 선, 3각형, 정사각형, 규칙 또는 불규칙 형상의 다각형일 수 있다. 개개의 핑거는, 예컨대 추진면을 최대화하도록 분리됨이 없이 만나거나 또는 어떤 포크형의 분리를 형성하도록, 예컨대 그 사이에 날개형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측면 절단 직선에 의해 예컨대 3개의 핑거에 대해 120°로, 4개의 핑거에 대해 90°로 대체로 덕트의 전방부에서 가장 압축된 형태로 접혀질 경우 최선의 성능으로 서로에게 적합할 수도 있다. 변형예로, 전방은 결합 패턴, 예컨대 작은 원으로 또는 절단부에 의해 끼워지지 않도록 제조되어, 핑거 사이에 그리고 핑거와 덕트 벽 사이에 덮히지 않은 표면적을 남겨두도록, 예컨대 나선형 접촉부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대체로, 구역의 주요부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채워져야 하지만, 플런저의 전방은 덕트의 표면을 팽창시키지 않지만, 덮히지 않은 구역의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를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려사항은 렌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개개의 핑거 또는 플런저의 전방에 적용된다. 전방을 지나서, 플런저의 또는 핑거는 보다 자유롭게 설계될 수도 있어, 주로 이들 부분이 핑거의 재배열을 가능하게 해야 하지만 덕트를 통해 축방향의 추진적을 전달하는 목적의 기능을 한다. 전방 플런저 또는 핑거의 바로 뒤는 협소하게 되어 목부를 형성하고, 예컨대 자유 접촉부 위칫설정 또는 최종의 파괴되지 않는 배출을 지지한다.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채널과 접촉하는 스페이서 연장부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의 본체는 유사한 형상의 중공형 핵심 부재와 협력하도록 하여 안내하고 회전을 방지하는 비회전 대칭을 갖는다. 대략 평탄한 플런저의 구조는 그러한 덕트를 따라 굴곡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경우 초승달 형상의 수렴 채널과 관련한 이러한 특성을 자동적으로 가질 수도 있다.
플런저는 임의의 공지 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일 부분으로서 플런저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덕트를 통과하도록 설계된 플런저 부품상에 직접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경우, 최선의 설계 자유도 및 제어를 위해서 덕트의 부품에 영향을 미치도록 샤프트를 포함하는 분리된 구동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 및 구동 장치는 일괄적으로 "플런저 시스템"이라 칭할 것이다. 전술한 이유로, 렌즈의 이동은 본질적으로는 2단계의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렌즈는 제 1 단계에서는 장치의 팁에 가까운 발사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단계는 대체로 눈에 접촉하기 전에 수행한다. 제 2 단계에서는 렌즈가 발사되는데, 이 단계는 대체로 장치를 눈 안에 삽입한 후에 수행한다. 제 1 단계는 다시 예컨대 수렴 채널 덕트 유형을 갖는 렌즈 변형 단계와, 발사 위치로 변형된 렌즈를 이송하는 렌즈 이송 단계로 세분될 수도 있다. 이들 단계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단계는 장치를 취급하는 방법에서 반영되어, 특히 부주의한 렌즈 배출을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조작자로부터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조치가 필요하다. 플런저는 제어 버튼과 같은 제어 수단의 취급에 대해 조작자의 조치를 제한하도록 모터 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모터는 가능하면 스크류 및 너트 스핀들 장치 등의 전동장치를 거쳐 샤프트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일 수도 있다. 구동 샤프트에 임을 가하기 위해 실린더 및 피스톤 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공압 또는 유압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 샤프트로서 작용하거나 구동 시스템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기계식 스프링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모터 구동 장치에서, 상이한 작용의 요건은 제 1 및 제 2 단계에 대해 적어도 2번의 개시 작용을 각각 필요로 하는 장치에 의해, 예컨대 2개의 트리거 또는 동일한 트리거상에 2중 작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플런저의 순수한 수동 구동을 사용하여, 장치의 단순성과 경량 및 편리성을 유지하고 또 조작자로 하여금 수행한 단계로부터 촉각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의 추진을 위한 샤프트는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예컨대 레버와 같은 전동기를 거쳐 주사기형 방식의 직접 축방향 이동을 위한 핸들에 의해 반복 장용, 휠, 가능하면 기어 휠, 및 회전 전진을 위한 스크류와 너트 또는 다른 수단을 가능하게 하는 이 또는 마찰 결합과 관련하여 손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이한 작용의 요건은, 예컨대 기구상의 반복 장용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가지의 상이한 조작 원리의 조합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후자의 유형의 바람직한 장치는 제 1 단계에서의 전진은 액츄에이터에 가해지는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하여 스크류 및 너트 장치를 거쳐 종방향 운동으로 전달되고, 느리고 신중하고 제어된 렌즈의 전진을 부여하도록 기능하며 또 수렴 채널 덕트 유형에서 동시 변형의 경우에 적용될 충분한 힘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또한, 제 2 단계에서의 최종 전진 이동은 상당한 회전이 없이 액츄에이터의 실질적인 축방향 운동에 의해 발생하고, 이 단계 중에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민감한 눈 절개부에 요동 또는 인열 운동을 방지하는 렌즈의 간단한 제거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또 단일 핸드 그립과 일치한다. 후자의 운동은 스크류 및 너트 부품을 설치하여 축방향의 회전이 허용되는 지점에서 결합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단계 사이의 전이는 회전 운동 및 그 후의 실질적인 축방향 운동의 중지를 제공하도록 안내된다. 이것은, 실질적인 축방향 부분에서 연속되는 스크류 나사부를 갖는 트랙에 의해 안내되며, 예컨대 트랙을 추종할 수 있는 돌기에서 종동 요소와 협력한다. 주로 주사기형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한 이러한 유형의 구조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 5,728,075 호에 개시되어 있다. 트랙 및 종동부의 원리는 임이의 소망의 운동 프로그램을 특징으로 하고, 전술한 나사 및 직선 뿐만아니라 가변 피치에 의한 스크류 운동,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덕트의 각 단계 또는 부분에서의 힘의 요건에 적합한 기어비를 갖도록 일반화될 수 있다. 가변 곡률의 트랙에 대해서, 각 트랙에 단 하나의 종동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트랙마다 하나의 종동부를 설치한 몇 개의 평행 트랙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최종 축방향 운동은 예컨대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5㎜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5㎜미만 정도로 매우 짧지만, 대체로는 5㎜이상, 바람직하게는 8㎜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관련 용어에 있어서, 길이는 대략 변형된 렌즈의 길이이고, 그것은 반경방향의 압축에 의해 비 변형된 치수와 관련해 축방향으로 기다란 i 이다. 제 1 단계 중의 플런저의 축방향 이동은 대체로 제 2 단계에서보다 길다. 전술한 운동 패턴이 달성되는 한, 대응하는 수의 종동부를 갖는 몇 개의 평행한 또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트랙을 사용하고 하우징과 플런저 시스템의 사이에 임의의 방식으로 배열하는 것은 방지된다. 특히, 트랙 및 종동부 시스템의 고정, 섭, 또는 손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이들 부품을 장치의 외부로부터 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바람직하는 플런저 시스템 부품 및 하우징 부품을 둥근 단면을 갖는 관의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 부품은 절첩식으로 중첩되고 절첩 표면 사이에 트랙과 종동부를 배열하여 최선의 보호를 하고 관과 종동부 중 하나의 내측 또는 다른 관의 외부 표면상의 종동부상에 트랙이 배열되도록 한다. 최대의 접근성을 위해서는, 플런저 시스템 부분을 최외곽 관 부품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실히, 전술한 원리의 각종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2차적인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각종 다른 특징이 플런저 시스템 및 하우징에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은 플런저 시스템의 조작부의 특히 전진 운동을 위한 역 지지부로서 핑거 그립을 구비할 수 있다. 윈도우 또는 구멍은 플런저 장치의 감시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우징에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플런저 시스템이 플런저의 후퇴를 가능하게 하는 경우, 반복 사용을 위한 재사용 가능한 장치로서 개조될 수 있다. 단순성으로 인해, 그것은 일회 사용을 위한 1회용 장치로서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전진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추진을 위한 플런저 샤프트 순서에서 어느 곳에나 중단부를 갖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다. 렌즈의 가장 적절한 절첩은 필요한 과도한 이동력에서 명백하므로, 플런저 시스템은 힘 감응 기구, 예컨대 소정 힘에서 감압 클러치 분리(예컨대 미국 특허 제 5,921,989 호에 개시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굴절 정도의 유형에 관하여 사이한 렌즈에 대해 단일의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적절한 힘은 다양할 수도 있고, 전술한 이유로, 적절한 힘의 요건은 특히 수렴 채널 덕트 유형에 대해 덕트를 따라 가변적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어떤 압력이 초과되는 경우 조작자에게 신호를 전송하고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작자에게 실제의 힘을 전송하여 각 삽입 상황마다 적절한 힘의 윤곽을 감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에 바람직하다. 그러한 신호 시스템은, 예컨대 변환기를 갖는 전자 형태 또는 예컨대 비틀림 측정장치를 갖는 기계적 형태일 수 있다.
비 변형을 위한 렌즈 수용실 또는 플런저에 의해 접촉하고 밀어 넣어질 위치에서 약간 변형된 렌즈가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것은 플런저가 렌즈 변형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수렴 채널형 변형 방법과 관련하여 특별한 관계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힌 렌즈는 그것의 큰 횡방향 치수 뿐만아니라 멀리 뻗은 접촉부에 의해 회전하거나 오정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렌즈를 절첩을 개시하기 전에 적절하게 국소화시키고 안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컨대 챔버에 그리고 2개의 부재, 예컨대 덕트 내로 연장되는 바와 레일 사이에 도어를 폐쇄하는 경우 수용실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서 압착하는 것에 의해, 렌즈의 평면을실질적으로 횡단하는, 즉 직교하는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렌즈의 시각부상에 대한 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다음 렌즈는 처음에 덕트의 축에 평행한 절첩 축을 따라 약간 절곡된다. 왜냐하면, 렌즈의 회전이 절첩선의 변화로부터 발생하는 변형의 필요한 변화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보다 양호한 제어 및 회전에 대한 영향력을 위해서, 렌즈 접촉부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렌즈 시각부에 대해 전술한 방식으로 렌즈 평면을 횡단하는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지만, 전체의 시각부 유형에 사용할 수 있는 접촉부와 구조체 사이의 접촉을 통한 렌즈의 회전을 중단시키기 위해 횡방향으로 뻗은 제한 구조체를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구조체가 사용되며, 예컨대 하나의 접촉부를 양측에 유지하거나 하나의 접촉부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한 고정 또는 제 2 접촉부의 다른 방향으로 회전에 대한 고정에 의해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배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개의 구조체가 각 접촉부마다 사용되며, 예컨대 2개의 접촉부에 4개의 구조체가 사용되고 2개는 접촉부 둘레에 사용되며, 이들은 각 접촉부에서 양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항하도록 배열된다. 최선의 안정성을 위해, 구조체는 접촉부와 시각부 사이의 접속부 가까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체는 그들의 위치를 완전히 한정하도록 접촉부의 주변부의 주요부에 존재할 수도 있지만, 소망의 위치에 렌즈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뻗은 핀으로부터의 접촉점으로 충분하고, 렌즈의 이동 전에 구조체의 안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은 사이즈가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구조체 및 렌즈는 전진 운동을 위해 접촉부를 자유롭게 하는 정도로 서로에대해 이동해야 한다. 렌즈는 예컨대 캐리어상에 배치하여 구조체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고, 캐리어는 적어도 횡방향으로의 운동 성분에 의해 이동하지만, 덕트내로의 축방향으로의 운동 성분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장치를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구조체를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또는 제거 가능하게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컨대 이동하거나 편향될 수 있는 분리된 탄성 구조체에 의해 실행되며, 제거가능한 공통 플레이트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챔버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하게 하여 수동으로 또는 대응하는 만곡 표면에 의해 플런저 시스템의 일부에 의해 멀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장치 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특히 바람직한 배치는 챔버에 도어가 폐쇄될 때 구조체의 변형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 구조체는 유형에 따라 다소 상이한 렌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날개형 접촉부를 갖는 렌즈는 윙을 축방향으로, 즉 하나는 전방으로 다른 하나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윙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나선형 접촉부를 갖는 렌즈는 축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축과 직각 사이에서 약간의 각도를 형성하는 2개의 접촉부 고정점 사이의 직경 선에 의해, 그리고 접는 동안 접촉부의 어느 부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후방 고정 레그를 위한 고정점의 전방에 전방 고정 레그 고정 점에 의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수용실은 그것의 기능 및 편리성의 목적을 향상시키는 다음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렌즈의 시트는 렌즈를 챔버에 설치할 때 핀셋의 아암을 수용하도록 절단부를 가질 수도 있지만, 렌즈의 형상에 거의 일치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는 예컨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2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것에의해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의 부분은 예컨대 횡축 주위의 편리한 회전을 위해, 그러나 덕트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의 둘레에 용이한 접근을 위한 힌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회용 장치의 재사용을 피하기 위해 제거가능하거나 영구적인 록(lock)이 제공될 수 있다. 대체로, 수렴 채널형 덕트는 용이하게 일체로 제조될 수 없으므로, 2개의 부분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의 절단을 피하기 위해, 틈새를 연결하기 위해, 렌즈의 크리핑을 피하기 위해, 접촉부의 구역에 분할하기 위해, 그리고 끼임을 피하기 위해 접합 표면이 빗나가는 위험을 제한하기 위한 분리부를 형성해야 한다. 초승달형 덕트 유형에 대해서, 초승달형 횡방향 종단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최내측 분할 선을 위치설정하여 초승달형 단부가 만나 V자형 바닥편을 형성하는 구역에서 전방 천장 단부에서 만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자형 바닥편은 대략 일정한 단면 윤곽을 갖는 운송 덕트부에서 연속되고 변형 덕트부가 끝나는 장소 부근에 정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V자형의 광폭부는 존재하는 경우 렌즈 수용실에 걸쳐 연장되고 그리고 선은 폐쇄되며 렌즈를 지나 안전하게 종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제부터 설명하는 천장 편은 전술한 바와 같은 렌즈 수용실과 덕트에 접근하기 위한 장치의 개방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접합부의 부분들 사이의 접촉면은 렌즈에 가장 가까운 분할선의 내측부에서 렌즈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수직 성분을 가지며 뻗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렌즈의 평면에 배열된 접합면에 비해서 끼임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 장치는 렌즈와 양립 가능하고 또 관련된 힘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 금속,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등의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ET, PBT, PEI, PES, PPO, POM, GPPS 등이다. 덕트 수용부에 대해서는 조작자가 렌즈 및 플런저의 진행을 감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투명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사출 성형이다. 적어도 덕트 표면은 피복되거나 화학적으로 수정되어 예컨대, 글리세린, 실리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중합체 또는 하이드로겔의 친수성 피막의 렌즈에 대한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눈에 수술용으로 허용 가능한 윤활제로 렌즈상에 또는 덕트에 사용될 수 있는 Healon(등록상표)이 있다.
각 특징과 관련하여 장치의 사용 방법을 위에서 설명하였다. 수술 상황 전에, 장치를 다양한 방법으로 준비할 수 있다. 렌즈를 장치내에 미리 탑재하고 저장을 위한 제조 구역에서 살균하고 저장하며 장치 내부에 이송한다. 이것은 특히 1회용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운송 및 저장하는 동안 탑재실 위의 도어를 부분적으로만 폐쇄하고 도어를 완전히 폐쇄한 후에 전술한 구조체에 의해 렌즈를 적소에 배치하여 구조체를 이동시키고 렌즈를 해방시킬 수 있다. 변형예로, 점진적인 영구적 변형을 피하도록 열거한 그러한 방법 중 임의의 방법에 의해 변형된 상태로 장치 내에 렌즈가 탭되는 경우, 렌즈는 재사용가능한 장치에 대해 중요할 수도 있는 용도와 관련하여 장치 내에 탑재될 수도 있다. 렌즈는, 예컨대 카세트와 상이한 유형의 렌즈와 디옵터 사이에서 적합하도록 그리고 외부 공구에 의해 변형 가능하도록 카세트의 형태로 도입될 수도 있다. 카세트는 렌즈 수용실과 팁 사이에 임의의 단수 또는 다수의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렌즈는 예컨대 장치가 변형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노출된 상태로 도입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1e는 종래 기술의 수렴 채널 삽입 덕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 내지 1d는 덕트를 따른 4개의 상이한 축방향 위치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e는 천장 및 바닥과 평행한 덕트를 통한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덕트(10)는 천장(11), 바닥(12), 및 플런저(14)의 수용을 위한 중앙 확대부(13)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덕트의 단면에서, 덕트는 평탄하며, 렌즈의 굴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b에 도시된 덕트 단면에서, 덕트는 굴곡되어 천장이 약간 오목하게 되고, 천장에 2개의 요부(15, 15')가 형성되어 편향된 렌즈의 에지를 수용한다. 도 1c에서, 굴곡은 더욱 크게 되어 있고, 천장의 요부(15, 15')는 중앙 확대부(13)까지 넓어져, 2개의 융기부(16, 16')에 의해 분리된 3개의 요부(13, 15, 15')를 갖는 특징적인 천장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도 1d에서, 천장 구조체는 렌즈의 충분한 압축을 위해 하류가 더욱 협소하게 되어 있는 대체로 타원형 덕트(10)를 형성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도 1e에 도시된 축방향 단면도는 플런저(14)와 덕트(10) 사이의 사이즈 관계를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다. 플런저는 덕트의 최종 팁 부분(17)을 부풀리는 치수로 되어 있음이 명확하다. 그러므로, 덕트의 초기 부분이 대응하는 치수의 팁(17) 및 플런저(14) 보다 더 넓은 것은 불가피하다. 또한, 덕트의 횡방향 치수 뿐만아니라 전체의 단면적이 일정하지 않으며 덕트의 하류에서 감소되는 것도 명확하다. 왜냐하면, 도 1a 내지 1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덕트의 단면적이 중앙 확대부(13) 주위에 대응하는 반면, 덕트의 초기 부분의 총 면적은 더크기 때문이다. 도 1e에도 이러한 유형의 덕트에 있어서 흔한 문제점이 도시되어 있다. 부드러운 렌즈(18)는 (19,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와 덕트의 넓은 부분내의 벽 사이의 불가피한 틈새 안으로 팽창하여, 렌즈가 덕트의 협소부 내로 압착될 때, 플런저에 의해 렌즈에 최대의 힘이 가해진다. 적어도 끼어진 렌즈 부분(19, 19')은 마찰의 증가를 유발하고, 이것은 높은 플런저 힘을 필요로 하며, 그에 대응하여 렌즈 등에 높은 변형이 발생한다. 렌즈 접촉부를 포함할 수도 있는 끼어진 렌즈 부분은 플런저와 벽 사이의 결과적인 전단에 의해 손상되거나 심지어 절단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플런저 및 덕트를 상호 이동시키는 공정은 임의적이고 비대칭적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는 재생 가능한 결과가 달성되지 않을 것이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상을 갖는 수렴 채널형 삽입 덕트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들은 덕트를 따른 5개의 상이한 축방향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덕트(20)는 바닥(21) 및 천장(22)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플런저의 수용을 위한 중앙 확대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술하는 플런저(도시 안함)상의 상보적 형상의 구조체를 위한 선택적 안내 홈(23)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덕트 부분에서, 덕트는 거의 평탄하며 렌즈의 미소한 절곡만이 발생한다. 도 2b의 단면에서, 덕트는 절곡되어 바닥(21)을 오목하게 하고 천장(22)을 볼록하게 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오목면과 볼록면이 둥글고 부드러운 형태로 만나는 덕트의 횡방향 단부(25, 25')는 편향된 렌즈의 에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c에서, 굴곡은 보다크게되어 있다. 도 2d에서, 덕트의 횡방향 단부(25, 25')는 넓게 되어 있는 반면, 볼록한 천장(22)은 횡방향으로 협소하게 되어, 미소한 곡률 변화만이 남아 있다. 도 2e에서, 천장(22)의 구조체는 연속 곡률의 천장 선으로 접합되어 대체로 타원형 덕트(20)를 형성한다. 볼록한 천장선을 갖는 초승달 형상의 덕트가 도 2a 내지 2d의 전체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지만, 도 2b 및 2c에 가장 두드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2e에는 볼록한 천장과 초승달의 형상이 없고, 덕트는 보다 흔한 관의 형태로 변화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덕트의 단면적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감소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선택적 안내 구조체(23)의 면적에 관계없이, 덕트의 단면적이 덕트의 전체에 걸쳐 일정하고, 예컨대 변형된 렌즈의 단면에 의해 팽창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의 단면적의 미소한 감소는, 이차적인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적이다. 이러한 이차적인 이점은, 예컨대 전후로 연장된 나선형 접촉부의 횡방향 단부(25, 25')를 위한 여유를 두거나 또는 (29, 29')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 편의 접합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피하도록 횡방향 단부(25, 25')의 약간 확대된 구역에 렌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입구 말단의 구역을 확대한 것 또는, 렌즈의 연속된 압축을 위해 또는 접음 또는 반경방향 압축상태에서 렌즈가 축방향으로 정상적으로 팽창하는 것을 이용하기 위해 전방을 향해 단면이 감소된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도 2e에 도시한 것과 같은 덕트 구역은 도 1a의 구역과 정확히 동일할 필요는 없고, 도 1d에 도시한 구역은 최종 압축 또는 기하학적 구조의 변화를 위해 정점을 향해 약간 감소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도 1e에 도시한 잠재적으로 유해한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덕트를 두 부분으로 형성하여 예컨대 렌즈의 삽입을 위한 덕트 내부의 노출 및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재료의 분할이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부분들은 대략 축방향으로 연장된 접합면(28, 28')에서 분리되고 초승달 형상의 횡방향 단부(25, 25') 부근의 덕트의 접합 선(29, 29')에서 종단하는 폐쇄 부분(26) 및 본체 부분(27)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2d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선(29, 29')은 어떤 중간 축점에서 만나 별도의 폐쇄 편(26)의 외주를 완성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둘레에서 덕트가 초승달 형상으로부터 둥근 형상으로 변형되어 도 2e에 도시한 부분의 전방에 분할된 모놀리식 형태의 팁을 남겨둔다. 안내 홈(23)은 플런저의 전진 운동을 제한하고 중단시켜, 예컨대 피스톤 전방이 눈안으로 너무 멀리 침투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피하도록 덕트 내에서 플런저의 안정 및 중심설정의 이중 목적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홈은 도 2a 내지 2c의 단면에는 존재하지만, 도 2d 및 2d에는 존재하지 않고, 도 2d 및 2d는 홈이 중간의 축방향 위치에서 중단되어, 바람직하게는 덕트의 팁 부분을 홈이 없는 상태로 남겨 둔 바람직한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플런저의 전방이 소망의 최전방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상의 대응하는 구조체가 홈(23)의 종결부와 접촉하기에 적합한 거리로 플런저 전방의 후방에 배치되어야 한다. 홈(23)의 단면적은 덕트의 렌즈부와 결코 중첩되지 않고 단지 덕트와 평행하게 뻗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플런저(14)와 렌즈(18) 사이의 침범 구역과 완전히 일치하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확대부(13)와는 대조적이다. 또한, 도시된 것과 같은 홈(23)은 덕트의 바닥부에 바람직한 방식으로 배열되며, 이것은 표면이 덕트를 따라 증가하는 반면 천장은 수축되고, 그리고 평탄한 상태로 굴곡되려는 탄성으로 인해 렌즈가 압축되지 않는 표면이 렌즈를 천장에 대해 압축시킨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에 따라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상으로 절곡될 수렴 채널형 삽입 덕트의 후방 또는 입구 말단에 가까운 가능한 단면 윤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의 입구 형상을 변형될 렌즈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렌즈는 다양한 형태로 되기 때문에, 덕트의 형상은 그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30)는 높이 치수(31) 및 폭 또는 횡방향 치수(32)를 갖는다. 도 3 내지 3f에 예시한 바와 같이, 높이는 대부분의 윤곽에 대해 단면 폭에 걸쳐 변화될 수 있고, 확실히 높이 및 폭은 덕트를 따라 변화할 것이다. 도 3a에 있어서, 평이한 장방형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이한 종류의 렌즈 형상을 수용하기에 유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그것의 폭에 걸쳐 적어도 어떤 곳에서 반드시 큰 사이즈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채널의 전체의 단면 구역이 전방 방향으로 수축된다. 또한, 도 3b 내지 3f에 도시한 형상은 동일한 이유로 또는 앞서 언급한 이유로 완전히 수축된 단면적을 가질 수도 있지만, 그들 형상이 실제의 렌즈 형태와 유사하므로, 그들은 덕트의 축방향 연장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으로 설계되는 경우에도 유용할 수 있다. 도 3b는, 예컨대 날개형상의 접촉부를 갖는 유사한 형상의 렌즈에 적합한 예리한 횡방향 단부를 갖는 윤곽을 도시하고 있다. 도 3c는, 예컨대 유사한 형상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또는 나선형 접촉부의 여유를 두도록 횡방향 단부의 높이가 높게 되어 있는 윤곽을 도시하고 있다. 도 3d는 천장 및 바닥의 곡률이 상이한 비 대칭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3e는 바닥의 곡률이 볼록한 초승달 형상으로 최초로 절곡된 윤곽을 도시하며, 이미 절곡된 형태의 렌즈를 도입하는 선택사항을 도시하고 있다. 도 3f는 예컨대 교정 목적의 마이너스 굴절 지수의 렌즈에 대응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내지 3f에 도시된 전체의 윤곽은 덕트의 하류가 절곡되는 경우 초승달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것의 형태의 주요 요건은 천장 및 바닥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곡률을 갖는 것이다.
최대 폭 대 최대 높이의 비가 큰 제 1 형상과 그러한 비가 작은 제 2 형상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조 가능한 다양한 플런저 구조를 하기에 설명할 것이다. 플런저는 그와 같이 유용하지만, 그들은 전술한 초승달형 수렴 덕트와 관련하여 특히 유용하다.
도 4a 및 4b는 부드럽고 특히 탄성이 있는 재료로 제조되며 도 4a에 도시된 평탄한 형태와 도 4b에 도시된 둥근 형태 사이에서 개조 가능한 플런저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그것의 최대 폭(41)이 최대 높이(42) 보다 실질적으로 큰 플런저(4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플런저(40)는 최대 폭(43)과 최대 높이(44) 사이의 비가 적은 형상을 갖는다. 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플런저의 형상은, 예컨대 덕트의 최종 부분에 최대의 벽 압력을 가하도록 최종적으로 둥근 형태로 되거나, 또는 예컨대 렌즈와 대략 동일한 방식으로 플런저를 변형시키도록 최초로 평탄한 형태로 되거나, 또는 처음부터 끝까지 필요한 변형을 최소화시키도록 그들 사이의 임의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브러시 형태로 배열되고 도 5a에 도시한 평탄한 형태와 도 5b에 도시한 둥근 형태로 개조 가능한 플런저(50)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형태의 윤곽은 점선(52)으로 표시되어 있다. 필라멘트(51)는 축방향의 힘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강성 플라스틱, 금속, 또는 유리 등의 강성 재료로 제조되어야 한다. 필라멘트는 자유로울 수도 있지만,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기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6b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접혀지며 도 6a에 도시한 평탄한 상태와 도 6b에 도시한 둥근 상태 사이에서 개조 가능한 시트 재료로 제조된 플런저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플런저(60)는 축방향 절첩부(62) 사이의 직선부(61)를 포함하며, 절첩부는 후술하는 특징을 형성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교체 가능하게 향해 있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부(61)의 높이는 중앙부에서는 높고 중앙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낮아져, 점선(6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대체로 타원형을 형성한다. 도 6b에서, 구조체는 최외곽 에지끼리 접촉하여 점선(64)으로 도시한 둥근 형상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며, 내측 절첩부는 덕트의 축에 대해 편심인 지점에서 수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시트 재료는 축방향의 힘을 유지하도록 강성 재료이어야 하고, 축방향 절첩부(62)는 예컨대 얇은 재료의 강한 힌지일 수도 있다.
도 7a 내지 7d는 도 7a에 도시한 평탄한 형태와 도 7b에 도시한 둥근 형태 사이에서 재배열 가능한 별개의 핑거로 제조된 플런저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c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부에 적합한 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플런저(70)는 대체로 둥근 단면을 갖지만 중앙으로부터 횡방향의 외측으로 직경이 감소하여 점선(72)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최초의 타원형을 형성하는 5개의 핑거(71)를 포함한다. 핑거는 서로 완전히 자유로울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힌지 구조체(73)에 의해 접합되어, 보다 제어된 재배열을 위해 본질적으로 덕트의 축방향으로 뻗은 힌지 축을 따라 접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힌지 구조체(73)는 핑거 전방(74)의 뒤에 배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이것은 예컨대 렌즈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핑거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는데 유용할 수도 있다. 변형예로, 이 구조체는 핑거 전방(74)에 직접 배열되어, 예컨대 추가의 추진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형상의 공간에 의해 플런저와 주변 덕트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게 되어, 예컨대 나선형 접촉부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핑거의 단면은 둥근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도 7c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 고정점(80)을 갖는 시각부(79)를 구비한 렌즈(78)의 나선형 접촉부(77)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짧은 핑거(75) 또는 절단부(76)의 사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8c는 나선형 접촉부를 구비한 렌즈의 핑거를 갖는 바람직한 플런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확대 정면도이며 도 8c는 플런저 전방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플런저(800)는 렌즈와 접촉하도록 설계된 전방 플런저 헤드(810)와, 핑거의 재 배열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 가요성 부분(820)과, 주로 축방향의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대체로 강성 부분(830)과, 플런저 시스템의 구동 장치에 접속하도록 설계된 후단부(840)를 포함한다. 도 8b에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는 대체로 둥근 형상의 3개의 핑거, 즉 큰 중앙 핑거(811)와, 인접한 작은 핑거(812, 812')를 포함한다. 작은 핑거는 충분한 횡방향 길이 및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막(813, 813')에 의해 중앙 핑거에 결합되어, 작은 핑거를 화살표(814, 814')로 표시한 바와 같이 소형의 최종 장치를 향해 하방으로 또 횡방향 내측으로 접는 것이 가능하다. 플런저 헤드(810)의 뒤에서 전술한 핑거는 가요성 부분(820)에서 연속되며, 여기서 중앙 핑거(811)는 중앙 로드(821)에서 연속되고, 작은 핑거(812, 812')는 주위 로드(822, 822')에서 연속되어 있다. 로드는 축방향 연장 전방 구멍(824, 824') 및 중앙 구멍(825, 825')에 의해 분리되고, 그 사이에 막(823, 823')을 남긴다. 도 8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세트의 축방향 연장 후방 구멍(826, 826')이 중앙 구멍(825, 825')의 뒤에 배열되고, 다시 그 사이에 가요성 막(827, 827')을 남긴다. 이 구멍들은 핑거의 전술한 재배열을 용이하게 하고, 플런저 및 막의 상당한 부분에 걸친 그들 로드의 연속은 제어된 분리를 유지함과 동시에 축방향의 절첩을 가능하게 한다. 로드(821, 822, 822')는 플런저 헤드(810)의 대응하는 핑거(811, 812, 812')보다 높이 방향으로 더 얇아서, 플런저 헤드(810)와 가요성 부분(820) 사이의 교차부에 협소한 목부를 형성하고, 덕트와 핑거보다는 덕트와 로드 사이에 더 넓은 공간을 형성한다. 주변 로드(822)상의 횡방향 절단부(828)에 의해 추가의 공간이 제공된다. 이들 공간은 나선형 촉각 렌즈의 후방 접촉부의 수용, 재배열 및 배출을 위한 충분한 여유를 두기 위해 제공된다. 왜냐하면, 상기 접촉부는 핑거와 덕트 사이를 통과하고 플런저 헤드(810) 뒤의 구역에 진입하기 때문이다. 덕트 벽과 플런저의 로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그리고 로드의 전복을 피하기 위해 이격용 손잡이(829)가 제공된다. 가요성 부분(820)의 후방에 배열된 플런저의 강성 부분(830)은 핑거의 재배열에 견딜 정도로 강하다. 그것은 가요성 부분에서와 같은 구멍이 없지만, 로드 사이에 연속 막(831, 831')을 구비하며, 이 막은 더욱 강한 부분(832)까지 연장되어 있다. 강성 부분(830)을 따라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가요성 부분(820)을 따라 뻗어 있는 안내 융기부(833)는 도 2에 도시된 안내 홈(23)과 유사한 안내 홈과 협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플런저의 후단부(840)는 플런저 시스템의 구동 기구에 접속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가요성 아암(841)은 외측으로 뻗어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플런저의 중심설정을 위해 하우징 부분의 내부 표면과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아암은 구동 장치의 일부인 푸시 로드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후방 공동(842)을 형성한다. 전술한 플런저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소성 재료로 하나의 부분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j는 초승달 형상의 덕트를 구비하며 도 8의 플런저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삽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삽입기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하우징 부분을 통해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c는 핸들 부분을 통해 도시한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9d는 푸시 로드의 평면도이고, 도 9e는 렌즈 수용실 및 수렴 채널의 천장 부분을 갖는 하우징 전방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f는 장치의 팁 및 수용실 및 수렴 채널의 바닥 부분을 갖는 폐쇄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9g는 채널의 축을 횡단하는 부분들(도 9h에 도시됨)을 나타낸 폐쇄체의 평면도이다. 도 9i는 채널의 축을 횡단하는 여러 부분들(도 9j에 도시됨)을 나타낸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기(900)는, 렌즈 수용실 및 수렴 채널 덕트를 구비하는 후방 구동부(910) 및 전방 렌즈부(930)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분(901)과, 플런저의 수동 제어를 위한 후방 핸들(950)과, 렌즈 수용실과 수렴 채널 덕트의 상보적 바닥 부분을 포함하며 팁을 구비하는 폐쇄체(970)를 포함한다. 도 9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하우징 부분(901)의 후방 구동부(910)는 후술하는 푸시 로드 및 도 8의 피스톤 로드의 후단부(840)를 수용하기 위한 주로 관상 부분(911)을 포함한다. 관상 부분(911)의 후단부 가까이에서 튜브의 외주부의 대향 측면상에 배열된 돌기 형태의 2개의 트랙 종동부(912, 912')는 핸들의 트랙과 협력한다. 관상 부분(911)의 전방에는 타원형 핑거 그립(913) 및 여러개의 마찰 증가 링(914)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들도 타원형이며 그것의 짧은 축에는 플런저 채널(916)내에 뻗어 있는 플런저의 감시 기능을 하는 윈도우 구멍(915)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 채널은 관상 부분(911)의 내부를 렌즈 수용실과 결합한다. 도 9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채널은 접히지 않은 플런저의 높은 폭 대 높이 비를 가지며, 플런저의 안내 융기부(833)와 협력하는 안내 홈(817)을 구비한다. 플런저(800)는 관상 부분(911)의 개방된 후단부로부터 플런저 채널(916) 내에 삽입되고, 플런저의 펼쳐진 가요성 아암(841)은 관상 부분(911)의 내부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플런저를 중심설정하고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9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은 후방에 마찰 변형부(951)를 갖는 대체로 관상의 구조체이다. 핸들 튜브의 내부 표면상에는 종동부(912, 912')와 협력하는 트랙 시스템(9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트랙 시스템은 핸들의 내부 표면상에 홈 형태의 2개의 평행한 트랙(953, 953')을 포함하며, 각 홈은 트랙 종동부(912, 912')중 하나와 협력한다. 각 트랙은 관절부(955)에서 종단된 후방까지 그리고 직선 부분(956)에서 연속된 후방까지 스크류 나사 전방 부분(954)을 구비한다. 각 트랙 종동부(912, 912')가 각각의 트랙(953, 953') 내에 진입하는 방식으로 핸들(950)을 하우징 구동부(910)와 조립한 후에, 핸들의 회전 나사 운동에 의해 하우징에 대한 핸들의 전진 운동이 실행될 수 있다. 트랙 종동부가 관절부(955)에 접근한 후에, 회전 운동은 구별하여 중단된다. 핸들의 추가의 전진 운동은 핸들상의 직선 추진 운동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다. 스크류 나사 운동의 길이는 렌즈를 렌즈 수용 위치로부터 채널 팁에 가까운 배출 위치까지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반면에, 최종 직선 운동은 렌즈를 눈 안에 배출하고 가능한 조작을 하기에 적합하다. 핸들(950)의 전진 운동은 도 9d에 도시된 푸시 로드(960)를 거쳐 플런저에 전달된다. 푸시 로드는 핸들(950)의 후단부에 있는 접속부(957)에 수용되고 고정되기에 적합한 후방 확대 헤드(961)를 구비한다. 푸시로드(960)의 전단부(962)는 돌출해 있고, 플런저(800)의 대응하는 형상의 후방 공동(842) 내에 수용되기에 적합하다. 핸들 운동 방향을 역으로 하여 플런저의 후퇴를 가능하게 하도록 플런저와 푸시로드 사이에 록을 제공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플런저의 후퇴 또는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소망되지 않는 1회용 삽입기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록은 존재하지 않으며, 푸시 로드의 후진 운동은 푸시 로드와 플런저 사이의 분리 및 틈새만을 발생시킬 것이다.
도 9e는 하우징 부분(901)의 전방 렌즈부(930)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것은후방의 렌즈 수용부의 천정부와 전방의 수렴 채널을 구비한다. 대응하는 바닥부가 후술하는 폐쇄체(970)에 의해 형성된다. 렌즈 시트(931)는 삽입될 렌즈에 대략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경우에는 2개의 나선형 접촉부를 갖는 3 부분의 렌즈이며, 시트는 렌즈 시각부용 공동(232) 및 각각 후단 및 선단 접촉부용 접촉부 표시(933, 933')룰 포함한다. 채널을 통해 밀어 넣기 위한 적절한 위치에 렌즈를 초기에 고정시키기 위해 천장면을 횡단하여 뻗어 있는 안내 핀이 제공된다. 내부 핀(934, 934')은 고정점의 다른 개방측에 있는 촉각 및 시각 외부 핀(935, 935') 사이의 촉각 고정점 가까이에 배열된다. 슬릿(936, 936')은 핀 둘레에서 핀 전방의 바닥 주변의 지점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후방으로 뻗어 핀이 배치되는 텅(tongue)(937, 937')을 형성한다. 이러한 텅은 후방에 부착되지만 인출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편향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가요성이 있다. 이 텅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폐쇄체(970)에 의해 하방으로 편향되도록 배열되고, 그것에 의해 플런저의 작동 전에 핀을 렌즈와의 결합상태로부터 분리하여 하방으로 한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최초의 렌즈 위치는 접는 동안 접촉부 사이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렌즈 시각부(932)를 통한 횡방향 직경의 전방의 선단 접촉부(933')의 고정점과 선(938) 뒤의 후단 접촉부(933)의 고정점에 배치하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고정점은 후단 접촉부의 고정점에 대한 플런저의 직접적인 침범을 감행하도록 횡방향 선(938)으로부터 멀리, 예컨대 축선(939)을 따라 후방으로 멀리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그 거리는 플런저를 렌즈 시각부(932)를 직접 습격하기 위해 후단 접촉부(933)를 지나 아래로, 즉표시부(933)의 천장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선택되어, 접촉부가 플런저의 바닥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종종 접촉부는 시각부에 대해 비대칭상태로 부착되어 다른쪽 보다는 시각부의 한쪽을 향해 더욱 노력하고, 그러한 렌즈의 경우에는 접촉부가 도면에서 상부로 향하는 즉 바닥쪽을 향하는 측면에 렌즈를 배치하여 플런저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시트(931)의 바로 앞에는 렌즈의 절첩을 위한 천장면 채널부(940)가 설계되어 있는데, 이것은 그의 중앙부(941)가 점차 볼록해지는 한편 측면(942, 942')은 하방으로 편향된 렌즈 에지를 따라 협소하게 되도록 의도된다. 이 과정은 천장(943)의 전방에서 채널이 완전히 폐쇄부(970)로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또한, 폐쇄체의 힌지 축(946)의 후방 힌지(944) 및 전방 힌지(945)와, 그 반대측의 폐쇄체의 락 레일(lock rail)(947)도 도시되어 있다.
도 9f에서, 폐쇄체(970)는 렌즈 수용부 및 채널부의 상보적 표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폐쇄체는 힌지 축(973) 및 락 레일(974)을 따라 후방 힌지부(971) 및 전방 힌지부(972)를 구비한다. 이들 부품은 하우징 부분(901)의 전방 렌즈부(930)상의 대응 부분과 협력하도록 배열되어, 힌지 부품이 접속될 때 폐쇄체가, 내부에 접근 가능한 개방 위치와 렌즈의 변형 상태에서 형성된 힘 및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고정 위치 사이에서 공통 힌지 축(946, 97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락 레일(947, 974)은 장치의 전체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영구적 결합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폐쇄체의 내부는 바닥면(975)을 도시하며, 이것은 폭이 협소해진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수록 경우 점차 오목하게 된다. 천장의 말단 지점(943)에 대응하는 어떤 전방 지점(976)에서, 폐쇄 단부 및덕트 내의 횡방향 개구는 폐쇄체에서만 연속되고, 첫째로는 두꺼운 재료의 짧은 추가 부분(977)에 의해, 그 다음으로는 눈 안에 삽입하기 위한 얇은 팁 부분(978) 내에 연장되며, 이것은 비스듬한 절단 정점(979)에서 종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체의 덕트 바닥에는, 플런저 채널(916)의 안내 홈(917)의 직접적인 연속부를 형성하는 안내 홈(980)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체의 후방부는 폐쇄체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텅(937, 937')을 하방으로 편향시키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도시 안됨).
도 9g는 여러 부분이 표시된 폐쇄체(970)를 도시하는데, 이 부분들은 도 9g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면, 폐쇄체에 의해 제공되는 덕트 바닥(975)이 렌즈와 일치하여 처음에는 오목하고 렌즈의 변형상태에서는 점차 볼록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분(6-6) 및 부분(7-7) 사이에서, 폐쇄체는 덕트 둘레에 폐쇄되어 덕트용 관을 형성한다. 부분(7-7)에서, 벽 두께는 여전히 두껍지만, 덕트의 표면적이 본질적으로 일정하기는 하지만, 눈 안에 삽입하기 위한 팁 부분(978)에서 벽 두께는 얇다. 또한, 한내 홈(980), 하방 힌지부(971), 전방 힌지부(972), 및 락 레일(974)도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i는 도 9e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포위된 전방 렌즈부(930)를 통해 여러 부분을 나타낸 하우징 부분(901)을 도시한 것이다. 여러 부분들은 도 9j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면, 렌즈 시트(931)를 통한 부분(2-2)에서 렌즈 시각부의 공동(932)의 표면이 렌즈의 볼록면을 수용하도록 약간 오목하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하류로 내려가면, 오목면은 부분(4-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덕트의 점차 볼록한 천장면(940)이 된다. 폐쇄체(970) 및 하우징 부분(901)의 렌즈 부분(930)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덕트의 바닥 및 천장 부분은 도 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대략 덕트의 형상으로 조합된다. 또한, 가요성 텅(937, 937')을 형성하는 슬릿(936, 936')과, 폐쇄체의 락 레일(974)의 반대쪽의 폐쇄체의 후방 힌지(944) 및 전방 힌지(945)도 도 9j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장치의 부품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소성 재료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강성 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반면, 다른 부분들은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하고 도시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Claims (101)

  1. 눈 안의 작은 절개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를 변형시키고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가 a) 하우징과, b) 덕트 축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전방에 있는 렌즈 이송 덕트로서, 상기 덕트는 덕트 축에 대한 작은 최대 횡방향 치수를 갖는 변형된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전방 단부와, 상기 전방 단부에서보다 덕트 축에 대해 더 큰 최대 횡방향 치수를 갖는 미 변형상태 또는 상기 전방 단부에서보다 변형이 적은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후방 렌즈 수용 단부와, 덕트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덕트 축에 대해 감소하는 최대 힝방향 치수를 갖는 가변적인 단면 형상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중간 수렴 덕트를 포함하는, 렌즈 운송 덕트와, c) 덕트 내의 렌즈를 적어도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기 덕트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단면은 실질적인 연속 곡률의 볼록한 천장 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단면은 실질적인 연속 곡률의 오목한 바닥 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단면은 안내 홈을 제외하고 실질적인 연속 곡률의 오목한 바닥 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의 횡방향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덕트의 전방 단부의 후방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절개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치수의 덕트 팁 부분의 후방 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단면은 덕트 축을 통해 집중된 높이 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대칭적인 초승달 형상의 단면은 대략 C자 형상 또는 그것의 거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단면은 덕트 축을 통해 집중된 높이 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비대칭적인 초승달 형상의 단면은 대략 6자 형상 또는 그것의 거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단면 덕트 축으로부터 횡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천장과 바닥 사이의 높이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덕트 축으로부터의 횡방향 말단에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에지는 예리한 다각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둥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덕트 내의 결합 선을 따라 종단하는 표면을 따라 접합된 적어도 2 조각의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선은 덕트 축으로부터의 횡방향 말단에 있는 초승달형 에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선은 전방 방향에서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선은 초승달 형상이 종단부를 형성하는 장소 부근에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원주는 폐쇄 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체의 단면적은, 상기 덕트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덕트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때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 형상의 전체의 단면적은, 상기 덕트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덕트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때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절개부를 통해 삽입하기에 적합한 덕트의 렌즈 배출 단부 까지 덕트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덕트의 전체의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전체의 단면적은 변형상태의 렌즈의 최대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단면적 및 형상은 변형 상태의 렌즈의 단면적 및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최대의 원형 형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전방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전방 부분은 상기 원형 형상에 대해 횡방향으로 확대하는 것에 의해 초승달 형상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길이 대 높이의 비가 높은 제 1 형태와 그러한 비가 낮은 제 2 형태 사이에서 재성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의 항들에 기재된 임의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6. 눈 안의 작은 절개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를 변형시키고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가 a) 하우징과, b) 덕트 축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전방에 있는 렌즈 이송 덕트로서, 상기 덕트는 덕트 축에 대한 작은 최대 횡방향 치수를 갖는 변형된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전방 단부와, 상기 전방 단부에서보다 덕트 축에 대해 더 큰 최대 횡방향 치수를 갖는 미 변형상태 또는 상기 전방 단부에서보다 변형이 적은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후방 렌즈 수용 단부와, 덕트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덕트 축에 대해 감소하는 최대 힝방향 치수를 갖는 가변적인 단면 형상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중간 수렴 덕트를 포함하는, 렌즈 운송 덕트와, c) 덕트 내의 렌즈를 적어도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기 덕트의 단면적이 덕트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전방으로 이동할 때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절개부를 통해 삽입하기에 적합한 덕트의 렌즈 배출 단부 까지 덕트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덕트의 전체의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전체의 단면적은 변형상태의 렌즈의 최대 단면적과 실질적으로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단면적 및 형상은 변형 상태의 렌즈의 단면적 및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25 항중 어느 한 항 또는 하기의 항에 기재된 임의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1. 눈 안의 작은 절개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를 변형시키고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가 a) 하우징과, b) 덕트 축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전방에 있는 렌즈 이송 덕트로서, 상기 덕트는 덕트 축에 대한 작은 최대 횡방향 치수를 갖는 변형된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전방 단부와, 상기 전방 단부에서보다 덕트 축에 대해 더 큰 최대 횡방향 치수를 갖는 미 변형상태 또는 상기 전방 단부에서보다 변형이 적은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후방 렌즈 수용 단부와, 덕트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덕트 축에 대해 감소하는최대 힝방향 치수를 갖는 가변적인 단면 형상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중간 수렴 덕트를 포함하는, 렌즈 운송 덕트와, c) 덕트 내의 렌즈를 적어도 전방 방향으로 추진시키도록 작동하는 추진 플런저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적어도 전방은 1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제 1 형태와 상기 제 1 형태 보다 낮은 연신율을 갖는 제 2 형태 사이에서 재성형 가능하며, 상기 연신율은 길이 대 높이의 신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태의 연신율은 적어도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태의 연신율은 적어도 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형태의 연신율은 2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또는 약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2개의 연신율 사이의 몫으로서 표시되는 제 1 형태와 제 2 형태 사이의 연신율의 변화는 적어도 1.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개개의 부분 사이의 상호 재배열에 의해 연신율의 변화를 제공하도록 배열된 둘 이상의 개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축방향 연장 절첩선을 따라 벨로우즈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기다란 핑거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브러시형 플런저를 형성하는 다수의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접합부의 전방에서의 재배열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 점에서 플런저 전방의 후방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1. 제 38 항에 있어서,
    다수의 핑거는 최대 10개, 바람직하게는 최대 6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본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인지 축을 가지며, 상기 힌지 축은 핑거를 절첩 재배열 패턴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얇은 재료의 강한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핑거의 전방에 가깝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핑거의 전방의 후방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핑거를 단일 층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전방은 상이한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핑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핑거보다 큰 전방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49. 제 3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핑거는 그의 축방향 길이어 걸쳐 불균일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전방의 후방은 핑거와 덕트 사이의 공간이 감소된 목부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치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1.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전방 면적은 덕트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면적과 덕트 면적 사이의 차이는 후단 렌즈 접촉부의 수용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3. 제 31 항 내지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재료는 실질적으로 견고하고 실질적인 축방향 수축 및 횡방향 팽창이 없이 축방향 추진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4. 제 31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재료는 비 변형 상태에서 적어도 1.5 인치의 연신율을 갖는 탄성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5. 제 31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30 항 또는 하기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임의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6. 눈 안의 작은 절개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를 변형시키고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가 a) 하우징과, b) 덕트 축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전방에 있는 렌즈 이송 덕트로서, 상기 덕트는 덕트 축에 대한 작은 최대 횡방향 치수를 갖는 변형된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전방 단부와, 상기 전방 단부에서보다 덕트 축에 대해 더 큰 최대 횡방향 치수를 갖는 미 변형상태 또는 상기 전방 단부에서보다 변형이 적은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갖는 후방 렌즈 수용 단부와, 덕트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덕트 축에 대해 감소하는 최대 힝방향 치수를 갖는 가변적인 단면 형상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중간 수렴 덕트를 포함하는, 렌즈 운송 덕트와, c) 덕트 내의 렌즈를 적어도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의해 접촉하고 추진되기에 적합한 위치에 비 변형 상태 또는 약간 변형된 상태의 렌즈용 시트를 구비하는 상기 덕트의 후방 단부에 있는 렌즈 수용실과, 렌즈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고정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체는 약간 굽은 렌즈 시각부에 적합한 굽은 렌즈 공동으로 성형된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공동은 덕트의 축에 평행한 절첩 축을 따라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된 렌즈 공동은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초승달의 단면적은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로의 덕트의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1.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체는 렌즈의 접촉부가 점유하는 위치 부근에서 시트에 대해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한정부를 구비하며, 그에 따라 렌즈의 회전이 한정부에 대해 접촉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부는 렌즈 시각 평면에 대응하는 시트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3. 제 61 항에 있어서,
    렌즈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2개의 한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한정부는 하나의 접촉부의 시트 위치의 양측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5. 제 64 항에 있어서,
    각각의 렌즈 접촉부의 위치에 적어도 2개의 한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6.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부는 시각부에 대한 접촉부의 고정 점의 가까이에 접촉부를 갖는 접촉점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7.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부 및 시트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어, 접촉부에 대한 한정부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부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시트는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적어도 시각부의 평면 위치에 대해 수직 방향의 성분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적어도 축방향의 성분에 의해 덕트 내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한정부는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부는 제거 또는 편향에 의해 분리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부는 수동 분리를 위해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74.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부는 플런저의 전진 운동에 의해 분리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75.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부는 렌즈 수용실의 폐쇄부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분리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76. 제 56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55 항 또는 하기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임의의 특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77. 눈 안의 작은 절개부 내에 삽입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를 적어도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가 a) 하우징과, b) 덕트 축을 규정하는 하우징의 전방에 있는 렌즈 이송 덕트로서, 상기 덕트는 덕트 축에 대한 작은 최대 횡방향 치수를 갖는 변형된 상태의 렌즈에 적합한 단면을 가지며 눈 안의 절개부를 통해 삽입하기에 적합한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와, 상기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의 중간 덕트 부분을 포함하는, 렌즈 운송 덕트와, c) 덕트 내의 렌즈를 적어도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플런저와, 플런저용 구동기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배출용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트랙과, 적어도 하나의 종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랙 및 종동부 중 하나는 하우징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트랙 및 종동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구동부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트랙 및 종동부는 서로 협력하여 구동부와 하우징 사이에 프로그래밍된 운동을 부여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덕트의 후방부에서 플런저 전방을 전진시키기 위해 구동부의 회전 운동을 필요로 하고, 덕트의 전방부에서 플런저 전방을 전진시키기 위해 구동부의 실질적인 축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78.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덕트의 전방부에서 플런저를 전진시키기 위해 구동부의 실질적인 축방향 운동을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79. 제 78 항에 있어서,
    실질적인 축방향 운동을 위한 트랙은 축에 평행한 실질적인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0.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구동부의 실질적인 축방향 운동 전에 회전 운동에 대한 정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용 트랙은 관절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2.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운동을 위한 트랙은 스크류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부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4.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나사부는 불균일한 피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플런저의 전진 운동 상태에서 힘의 증대를 부여하도록 감소된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5.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부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6.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종동부와 협력하는 평행한 트랙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7.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동심이고 절첩식으로 중첩되는 대체로 관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 및 종동부는 중첩된 표면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하나의 관상부의 내부 표면상에 배열되고, 상기 종동부는 다른 관상부의 외부 표면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89. 제 8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중첩된 관상부의 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90.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배열되고, 하우징의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91.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전방부는 상기 덕트의 전방 단부에 가까운 배출 위치로부터 연장된 덕트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92.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전방부는 렌즈 배출 단부를 지나는 소정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93.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후방부는 상기 덕트의 렌즈 배출부 가까이에 있는 후방 렌즈 수용 단부와 배출 위치 사이의 덕트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94.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후방부는 덕트의 렌즈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95. 제 94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렌즈 변형부는 수렴 채널형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96. 제 95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후방부는 배출 위치까지의 이송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97. 제 77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77 항 또는 하기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임의의 특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배출용 장치.
  98.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를 덕트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
  99.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에 있어서,
    제 31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런저에 의해 렌즈를 덕트 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
  100.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를 회전에 대해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 56 항 내지 제 7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정 구조체에 대해 렌즈를 국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안정화 방법.
  101.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에 있어서,
    제 77 항 내지 제 9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동부의 사전 프로그래밍된 운동에 의해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
KR1020027006895A 1999-11-30 2000-11-29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및 변형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 KR20020071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4338A SE9904338D0 (sv) 1999-11-30 1999-11-30 Intraocular lens implanter
SE9904338-2 1999-11-30
PCT/SE2000/002372 WO2001039701A1 (en) 1999-11-30 2000-11-29 Intraocular lens impla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872A true KR20020071872A (ko) 2002-09-13

Family

ID=2041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895A KR20020071872A (ko) 1999-11-30 2000-11-29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및 변형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558395B2 (ko)
EP (1) EP1233730B1 (ko)
JP (1) JP4409804B2 (ko)
KR (1) KR20020071872A (ko)
CN (1) CN1402625A (ko)
AT (1) ATE429873T1 (ko)
AU (2) AU777150B2 (ko)
BR (1) BR0016007A (ko)
CA (2) CA2392393C (ko)
DE (1) DE60042126D1 (ko)
EA (1) EA003591B1 (ko)
EE (1) EE200200269A (ko)
HK (1) HK1052626A1 (ko)
HU (1) HUP0203854A2 (ko)
IL (1) IL149571A0 (ko)
MX (1) MXPA02005359A (ko)
NO (1) NO20022568L (ko)
PL (1) PL355905A1 (ko)
SE (1) SE9904338D0 (ko)
TW (1) TW471964B (ko)
WO (1) WO2001039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9890B1 (fr) * 1999-02-22 2002-01-18 Lab Contactologie Appl Lca Dispositif pour l'injection d'une lentille intra-oculaire en matiere souple
US6283976B1 (en) * 2000-05-05 2001-09-04 Allergan Sales Inc. Intraocular lens implanting instrument
WO2003045285A1 (de) * 2001-11-30 2003-06-05 Medicel Ag Set zum implantieren einer intraokularen linse
US7131976B2 (en) * 2002-05-08 2006-11-07 Canon-Staar Co. Inc. Insertion device for intraocular lens
CA2769703A1 (en) * 2002-07-26 2004-02-19 Amo Groningen B.V. Method and device for manipulation of an intraocular lens
US8623082B2 (en) * 2002-07-26 2014-01-07 Amo Groningen B.V. Method and device for manipulation of an intraocular lens
US20040059343A1 (en) * 2002-09-25 2004-03-25 Kevin Shearer Novel enhanced system for intraocular lens insertion
US7156854B2 (en) * 2003-05-28 2007-01-02 Alcon, Inc. Lens delivery system
JPWO2004105649A1 (ja) * 2003-06-02 2006-07-20 Hoyaヘルスケア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用インジェクタ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眼内レンズ挿入装置
US7429263B2 (en) * 2003-08-28 2008-09-30 Bausch & Lomb Incorporated Preloaded IOL injector
US7422604B2 (en) * 2003-08-28 2008-09-09 Bausch & Lomb Incorporated Preloaded IOL injector
US20080119864A1 (en) * 2004-02-27 2008-05-22 Klaus Deinzer Lens Holder for an Insertion Device for Deformable Intra-Ocular Lenses
CA2557488A1 (en) * 2004-02-27 2005-09-09 Klaus Deinzer Device for inserting deformable intra-ocular lenses
US7458976B2 (en) 2005-03-02 2008-12-02 Advanced Medical Optic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toring, loading, and delivering an intraocular lens
WO2005102223A1 (de) * 2004-04-22 2005-11-03 Advanced Vision Science, Inc. Vorrichtung zum einsetzen verformbarer intraocularlinsen
US20060085013A1 (en) * 2004-10-20 2006-04-20 Vaclav Dusek Intraocular lens inserter
EP1845898B1 (en) 2004-11-30 2011-08-10 Bausch & Lomb Incorporated Two stage plunger for intraocular lens injector
WO2006070628A1 (ja) * 2004-12-27 2006-07-06 Hoya Corporation 眼内レンズ移植装置
US20060142781A1 (en) * 2004-12-29 2006-06-29 Joel Pynson Preloaded IOL injector and method
ATE514395T1 (de) * 2004-12-29 2011-07-15 Bausch & Lomb Methode zur vorbereitung eines vorbeladenen intraokularlinseninjektors
US20060142780A1 (en) * 2004-12-29 2006-06-29 Joel Pynson Preloaded IOL injector and method
US20060167466A1 (en) * 2005-01-21 2006-07-27 Vaclav Dusek Intraocular lens inserter system components
JP5221949B2 (ja) 2005-01-26 2013-06-26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US9339374B2 (en) * 2005-02-11 2016-05-17 Abbo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insertion apparatus and lens case
US8435289B2 (en) 2005-02-11 2013-05-07 Abbott Medical Optics Inc. Rapid exchange IOL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US8562674B2 (en) * 2005-02-11 2013-10-22 Abbott Medical Optics Inc. Front loading IOL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JP4836046B2 (ja) * 2005-02-24 2011-12-14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7892282B2 (en) * 2005-04-08 2011-02-22 Abbott Medical Optic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into an eye
US7892283B2 (en) * 2005-04-08 2011-02-22 Abbott Medical Optic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into an eye
US20070005135A1 (en) * 2005-07-01 2007-01-04 Harish Makker Intraocular lens insertion plunger with low stimulus soft tip
US20070010879A1 (en) * 2005-07-07 2007-01-11 Gregg Feinerman Injector system for a lens
WO2007037223A1 (ja) 2005-09-28 2007-04-05 Hoya Corporation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JP4877643B2 (ja) 2005-12-08 2012-02-15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US8475526B2 (en) * 2005-12-22 2013-07-02 Bausch & Lomb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loading of an IOL injector
US20070150054A1 (en) * 2005-12-22 2007-06-28 Joel Pynso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ading of an IOL injector
EP1972306A4 (en) * 2006-01-13 2012-11-28 Hoya Corp INSTRUMENT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NL2000082C2 (nl) * 2006-05-24 2007-11-27 Akkolens Int Bv Injectie apparaat voor intraoculaire lens en toebehoren.
US8663303B2 (en) 2010-11-15 2014-03-04 Aquesys, Inc. Methods for deploying an intraocular shunt from a deployment device and into an eye
WO2008014260A1 (en) * 2006-07-25 2008-01-31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 injector plunger
JP4927473B2 (ja) * 2006-08-11 2012-05-09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4908977B2 (ja) * 2006-09-05 2012-04-04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US9681947B2 (en) 2006-10-23 2017-06-20 Novartis Ag Intraocular lens delivery system with temperature control
US8900249B2 (en) 2006-10-23 2014-12-02 Novartis Ag Method of delivering temperature controlled intraocular lens
US7879090B2 (en) * 2006-12-13 2011-02-01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 injector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20080147082A1 (en) * 2006-12-13 2008-06-19 Joel Pynson Injector apparatus for use with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of use
US20080154361A1 (en) * 2006-12-22 2008-06-26 Joel Pynson Intraocular lens injector subassembly
US20080255577A1 (en) * 2007-04-11 2008-10-16 Downer David A Lens Delivery System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08149794A1 (ja) * 2007-05-30 2008-12-11 Hoya Corporation 眼内レンズ挿入器具
WO2008149795A1 (ja) 2007-05-30 2008-12-11 Hoya Corporation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5086713B2 (ja) 2007-07-11 2012-11-28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20090018548A1 (en) * 2007-07-13 2009-01-15 Charles Steven T Pneumatically-Powered Intraocular Lens Injection Device with Removable Cartridge
US9849027B2 (en) 2007-11-08 2017-12-26 Alimera Sciences, Inc. Ocular implantation device
CN101938956B (zh) 2008-02-07 2013-12-18 爱尔康公司 一种用于晶状体输送系统的盒
EP2280676A2 (en) * 2008-04-25 2011-02-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vice to store and inject corneal graft
US8702794B2 (en) 2008-04-28 2014-04-22 Abbott Medical Optics Inc. Back loaded IOL insertion cartridge
JP5254669B2 (ja) 2008-06-05 2013-08-07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及びカートリッジ
JP5470753B2 (ja) 2008-06-17 2014-04-16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8273122B2 (en) 2008-06-23 2012-09-25 Abbott Medical Optics Inc. Pre-loaded IOL insertion system
US8721654B2 (en) * 2008-07-25 2014-05-13 William Beaumont Hospital Opthalmic lens capsule support
JP5323420B2 (ja) 2008-08-21 2013-10-23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5416379B2 (ja) 2008-09-04 2014-02-12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8308736B2 (en) * 2008-10-13 2012-11-13 Alcon Research, Ltd. Automated intraocular lens injector device
US8808308B2 (en) 2008-10-13 2014-08-19 Alcon Research, Ltd. Automated intraocular lens injector device
US8801780B2 (en) * 2008-10-13 2014-08-12 Alcon Research, Ltd. Plunger tip coupling device for intraocular lens injector
TW201021778A (en) * 2008-11-12 2010-06-16 Alcon Res Ltd Intraocular lens delivery device with a multi-part plunger tip
US20100125278A1 (en) * 2008-11-19 2010-05-20 Wagner Christopher E Hard and Soft Tip Intraocular Lens Injector System and Method
SG172876A1 (en) 2009-01-07 2011-08-29 Hoya Corp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EP2395943B1 (en) 2009-02-11 2014-10-01 Alcon Research, Ltd. Automated intraocular lens injector device
US20150359624A9 (en) * 2009-06-09 2015-12-17 Novartis Ag Lens delivery system
GB2472872B (en) 2009-08-18 2014-12-31 Carl Zeiss Meditec Sas Holding device for an intraocular lens, packaging and transport means for an intraocular lens and injector device for an intraocular lens.
GB2475568B (en) * 2009-11-20 2015-08-26 Carl Zeiss Meditec Sas Tip for intraocular lens injector
US9326847B2 (en) 2010-04-08 2016-05-03 Hoya Corporation Ocular implant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s
US8308799B2 (en) * 2010-04-20 2012-11-13 Alcon Research, Ltd. Modular intraocular lens injector device
US20130012956A1 (en) * 2010-04-22 2013-01-10 Ram Srikanth Mirlay Intraocular lens injecting device
JP5511530B2 (ja) 2010-06-10 2014-06-04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装置
US9220590B2 (en) 2010-06-10 2015-12-29 Z Lens, Llc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improving accommodation
US8579969B2 (en) * 2010-07-25 2013-11-12 Alcon Research, Ltd. Dual mode automated intraocular lens injector device
NL2005182C2 (en) * 2010-07-30 2012-01-31 Oculentis B V Intraocular lens injector system.
EP3848000A1 (en) 2010-08-24 2021-07-14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Intraocular lens delivery device
US20160256317A1 (en) 2010-11-15 2016-09-08 Aquesys, Inc. Methods for implanting intraocular shunts
US8535268B2 (en) 2010-12-22 2013-09-17 Alcon Research, Ltd. Device for at least one of injection or aspiration
EP2756823B1 (en) 2011-09-15 2019-02-13 Kowa Company Ltd.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US9808373B2 (en) 2013-06-28 2017-11-07 Aquesys, Inc. Intraocular shunt implantation
US9610195B2 (en) 2013-02-27 2017-04-04 Aquesys, Inc. Intraocular shunt implantation methods and devices
US8657835B2 (en) 2012-01-27 2014-02-25 Alcon Research, Ltd. Automated intraocular lens injector device
JP5888595B2 (ja) * 2012-01-31 2016-03-22 株式会社ニデック 手術器具
US9364318B2 (en) 2012-05-10 2016-06-14 Z Lens, Llc Accommodative-dis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CN104379092B (zh) * 2012-06-04 2016-12-14 爱尔康制药有限公司 眼内透镜插入器
CA3078098C (en) 2012-06-12 2022-03-15 Alcon Inc. Intraocular gas injector
US20140171957A1 (en) * 2012-12-19 2014-06-19 Alcon Research, Ltd. Control of Automated Intraocular Lens Injectors
US9504561B2 (en) * 2013-03-07 2016-11-29 Novartis Ag Systems and processes for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CA153455S (en) * 2013-04-22 2015-01-06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Operation-guiding cylinder fo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device
CA2930027C (en) * 2013-11-14 2019-10-29 Aquesys, Inc. Intraocular shunt inserter
EP3068341B1 (de) * 2013-11-15 2019-08-28 Medicel AG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r interokularen linse
WO2015075489A2 (en) * 2013-11-20 2015-05-28 Medicontur Orvostechnikai Kft. Preloaded injector with cartridge for storing and injecting hydrophobic intraocular lenses
CA2941015C (en) 2014-03-07 2019-11-12 Conexus Lens, Inc. Refocusable lens system with mutually-applanating internal surfaces
JP6276619B2 (ja) * 2014-03-19 2018-02-07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および眼内レンズ挿入装置
US10010408B2 (en) 2014-04-04 2018-07-03 Alcon Pharmaceuticals, Ltd. Intraocular lens inserter
JP6981615B2 (ja) * 2015-04-17 2021-12-15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EP3285689B1 (en) * 2015-04-19 2020-08-19 Atrion Corporation Spring-powered, hydraulically-operate intraocular lens inserter
WO2017047714A1 (ja) 2015-09-16 2017-03-23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10182939B2 (en) 2015-09-16 2019-01-22 Novartis Ag Hydraulic injector and methods for intra-ocular lens insertion
JP6646987B2 (ja) 2015-09-16 2020-02-14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10172706B2 (en) 2015-10-31 2019-01-08 Novartis Ag Intraocular lens inserter
JP2019517366A (ja) 2016-06-02 2019-06-24 アク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内薬物送達
KR102431211B1 (ko) 2016-06-28 2022-08-09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안내 렌즈 삽입기
WO2018039353A1 (en) 2016-08-24 2018-03-01 Z Lens, Llc Dual mode accommodative-disacommodative intraocular lens
US11000367B2 (en) 2017-01-13 2021-05-11 Alc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US11246753B2 (en) 2017-11-08 2022-02-15 Aquesys, Inc. Manually adjustable intraocular flow regulation
US11135089B2 (en) 2018-03-09 2021-10-05 Aquesys, Inc. Intraocular shunt inserter
US10849739B2 (en) * 2018-08-02 2020-12-01 Carl Zeiss Meditec Ag Ophthalmosurgical injector system
US11224537B2 (en) 2018-10-19 2022-01-18 Alcon Inc. Intraocular gas injector
CH715571A1 (de) * 2018-11-19 2020-05-29 Medicel Ag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r interokularen Linse, Injektor und Verfahren zum Falten sowie zum Falten und Ausstossen einer interokularen Linse.
JP7441074B2 (ja) 2020-02-28 2024-02-29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
DE102021006549A1 (de) 2021-07-12 2023-01-12 Carl Zeiss Meditec Ag Injektor mit einer eine Mehrzahl an Armen aufweisenden Kolbenspitze
DE102021006544A1 (de) 2021-07-12 2023-01-12 Carl Zeiss Meditec Ag Injektor mit einer eine Mehrzahl an Armen aufweisenden Kolbenspitze
DE102021117965A1 (de) 2021-07-12 2023-01-12 Carl Zeiss Meditec Ag Injektor mit einer eine Mehrzahl an Armen aufweisenden Kolbenspitz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2244A (en) 1982-02-05 1987-10-27 Staar Surgical Company Surgical device for implantation of a deformable intraocular lens
DE3610925C2 (de) 1986-03-24 1994-11-03 Michael Ulrich Prof D Dardenne Vorrichtung zum Falten einer insbesondere mit zwei seitlichen Kunststoffhaptikplatten versehenen, implantierbaren Intraokularlinse und zum Einbringen der gefalteten Intraokularlinse in das Auge
US4919130A (en) * 1986-11-07 1990-04-24 Nestle S.A. Tool for inserting compressible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and method
US5176686A (en) 1987-03-26 1993-01-05 Poley Brooks J Apparatus for packaging, folding, rigidifying and inserting an intraocular lens
US4834094A (en) * 1987-10-07 1989-05-30 Patton Medical Technologies, Inc. "Canoe" apparatu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 into the eye
US4880000A (en) 1987-12-15 1989-11-14 Iolab Corporation Lens insertion instrument
US4836201A (en) 1988-03-24 1989-06-06 Patton Medical Technologies, Inc. "Envelope" apparatu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 into the eye
US5100410A (en) 1991-01-28 1992-03-31 Andrew Tool Co., Inc. Mean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folding of an intraocular lens
US5190552A (en) * 1992-02-04 1993-03-02 Kelman Charles D Slotted tube injector for an intraocular lens
US5928245A (en) 1992-09-30 1999-07-27 Staar Surgical Company,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with transverse hinged lens cartridge
US5499987A (en) 1992-09-30 1996-03-19 Staar Surgical Company Deformable intraocular lens cartridge
US5941886A (en) 1992-09-30 1999-08-24 Staar Surgical Company, Inc. Hingeless lens cartridges for insertion of deformable intraocular lens
JP3664444B2 (ja) 1992-09-30 2005-06-29 スター・サージカル・カンパニー 眼内レンズ挿入システム
US6056757A (en) * 1992-09-30 2000-05-02 Staar Surgical Company, Inc. Implantation device with deformable nozzle tip for implanting a deformable intraocular lens
US5728102A (en) * 1992-09-30 1998-03-17 Staar Surgical Company, Inc. Disposable intraocular lens insertion system
US6022358A (en) 1992-09-30 2000-02-08 Staar Surgical Company,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device
US5772666A (en) 1992-09-30 1998-06-30 Staar Surgical Company,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with deformable tip plunger
US5860984A (en) 1992-09-30 1999-01-19 Staar Surgical Company, Inc. Spring biased deformable intraocular injecting apparatus
US5275604A (en) 1992-12-03 1994-01-04 Kabi Pharmacia Ophthalmics, Inc. Contoured duct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on of flexible intraocular lens
US5653715A (en) 1993-03-09 1997-08-05 Chiron Vision Corporation Apparatus for preparing an intraocular lens for insertion
US5468246A (en) * 1993-07-02 1995-11-21 Iovisi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SE9303568D0 (sv) 1993-10-29 1993-10-29 Kabi Pharmacia Ab Improvements in injection devices
US5584304A (en) 1993-11-18 1996-12-17 Allergan, Inc. Method of inserting an IOL using a forceps inside a folding tube
AU710419B2 (en) 1994-08-05 1999-09-23 Bausch & Lomb Incorporated Device for inserting a flexible intraocular lens
EP0804131B1 (en) 1995-01-04 2005-12-28 Staar Surgical Company Apparatus for folding a deformable intraocular lens
US5876406A (en) 1996-08-02 1999-03-02 Staar Surgical Company,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with transverse hinged lens cartridge
US5921989A (en) 1998-02-12 1999-07-13 Allergan Lens protector for intraocular lens inserter
US6143001A (en) * 1998-06-02 2000-11-07 Alcon Laboratories, Inc. Asymmetric intraocular lens injection cartridge
US6387101B1 (en) * 1999-10-22 2002-05-14 Staar Surgical Company,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92393A1 (en) 2001-06-07
US20010007075A1 (en) 2001-07-05
EP1233730B1 (en) 2009-04-29
HK1052626A1 (zh) 2003-09-26
EP1233730A1 (en) 2002-08-28
BR0016007A (pt) 2002-07-30
JP4409804B2 (ja) 2010-02-03
IL149571A0 (en) 2002-11-10
WO2001039701A1 (en) 2001-06-07
SE9904338D0 (sv) 1999-11-30
MXPA02005359A (es) 2002-11-29
PL355905A1 (en) 2004-05-31
TW471964B (en) 2002-01-11
AU777150B2 (en) 2004-10-07
EA003591B1 (ru) 2003-06-26
ATE429873T1 (de) 2009-05-15
JP2003515387A (ja) 2003-05-07
NO20022568L (no) 2002-07-23
EE200200269A (et) 2003-06-16
DE60042126D1 (de) 2009-06-10
CA2751099C (en) 2014-07-22
AU1910401A (en) 2001-06-12
AU2005200056A1 (en) 2005-02-03
CN1402625A (zh) 2003-03-12
HUP0203854A2 (en) 2003-03-28
US6558395B2 (en) 2003-05-06
EA200200617A1 (ru) 2002-12-26
NO20022568D0 (no) 2002-05-30
CA2751099A1 (en) 2001-06-07
CA2392393C (en)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1872A (ko)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및 배출용 장치 및 변형가능한 안내 렌즈의 변형 방법
JP5100725B2 (ja) 眼内レンズの操作方法および装置
EP0971634B1 (en) Apparatus for inserting a flexible membrane into an eye
US5275604A (en) Contoured duct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on of flexible intraocular lens
JP3407886B2 (ja) 眼内レンズを挿入するための準備装置及び方法
US5584304A (en) Method of inserting an IOL using a forceps inside a folding tube
US86230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ipulation of an intraocular lens
JP2005533616A5 (ko)
WO1998012969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 flexible membrane into an eye
JP3412106B2 (ja) 変形可能な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3412107B2 (ja) 変形可能な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2000060880A (ja) 変形可能な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MXPA990028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 flexible membrane into an ey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