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275A -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275A
KR20020069275A KR1020010009437A KR20010009437A KR20020069275A KR 20020069275 A KR20020069275 A KR 20020069275A KR 1020010009437 A KR1020010009437 A KR 1020010009437A KR 20010009437 A KR20010009437 A KR 20010009437A KR 20020069275 A KR20020069275 A KR 20020069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support shaft
filler
housing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환
Original Assignee
유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환 filed Critical 유석환
Priority to KR102001000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9275A/ko
Publication of KR2002006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03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being rigidly connected to a trailing gui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4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바퀴가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반되는 화물을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러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레일러용 완충장치는 양측의 휠(6)을 각각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차축(8); 상기 양측의 차축(8)으로부터 각각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링크(10); 상기 양측의 연결링크(10)의 단부를 차체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비원형 단면의 지지축(12); 상기 지지축(12)이 그 중앙 내부로 통과되면서 차체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는 비원형 단면의 중공 하우징(20); 및 상기 하우징(20)내측과 상기 지지축(12)의 외측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지지축(12)의 비틀림 하중을 흡수하는 탄성을 갖는 충전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노면으로부터 휠에 전달되는 충격을 지지축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한 다음, 이의 지지축을 탄성을 갖는 충전체로 탄력적으로 억제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레일러용 완충장치{Apparatus for shock absorption of trailer}
본 발명은 트레일러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일러의 바퀴가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반되는 화물을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러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트레일러는 트럭 또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 뒷부분에 연결된 차량으로서, 엔진등의 구동장치가 없이 상측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견인차량에 의하여 단순히 견인되는 차량이다.
종래에 이러한 트레일러 중 특히 소형 트레일러의 경우에는, 견인차량과는 달리 완충장치(Shock absorber)가 없이 차축의 양측에 단순히 휠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상측의 적재함에 실린 화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정도로 제공됨으로써, 휠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 등의 장치가 쉽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휠을 통하여 그대로 적재함에 전달됨으로써 적재된 화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수한 트레일러에서는 견인차량에서 채용하고 있는 현가시스템과 유사한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의 완충장치는 예컨대, 겹판스프링, 에어스프링 등 필요이상으로 구조가 복잡하면서 가격이 비싼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트레일러에 설치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함과 아울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트레일러용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방향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간단한 설명>
2 : 트레일러4 : 적재함
6 : 휠8 : 차축
10 : 연결링크12 : 지지축
20 : 하우징30 : 봉형 충전체
32 : 구형 충전체34 : 매입형 충전체
40 : 브라켓42 : 체결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휠을 갖는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휠을 각각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차축; 상기 양측의 차축으로부터 각각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링크; 상기 양측의 연결링크의 단부를 차체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비원형 단면의 지지축; 상기 지지축이 그 중앙 내부로 통과되면서 차체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는 비원형 단면의 중공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내측과 상기 지지축의 외측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지지축의 비틀림 하중을 흡수하는 탄성을 갖는 충전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노면으로부터 휠에 전달되는 충격을 지지축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한 다음, 이의 지지축을 탄성을 갖는 충전체로 탄력적으로 억제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부호 '2'는 '트레일러'이고, '4'는 '적재함'을 지칭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적재함(4) 양측에 배치되는 휠(6)을 각각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차축(8)을 갖추고, 각 차축(8)으로부터는 연결링크(10)가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각 연결링크(10)의 연장단부는 차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비원형 단면의 지지축(12)으로써 연결되며, 이 지지축(12)이 그 중앙 내부로 통과되는 비원형 단면이면서 중공인 하우징(20)이 차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하우징(20) 내측과 상기 지지축(12)의 외측 사이에 충전체가 개재되어, 이 충전체로 하여금 상기 지지축(12)의 비틀림 하중을 흡수하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0)은 브라켓(40)과 체결수단(42)에 의하여 트레일러(2)의 차체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라서, 상기 충전체는 충격흡수를 위하여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는 러버(Rubber)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러버재이다.
도 2의 우측 상단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충전체는 상기 지지축(14)과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형 단면의 봉형 충전체(30)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봉형 충전체(30)는 도 2의 죄측 상단에 도시된 예와 같이 일정길이로 절단된 봉형 피스(Piece,30a) 형태로 이루어져서 이의 봉형 피스(30a)들이 지지축(12) 및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연속하여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12)과 하우징(20)은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고 있으며, 상기 봉형 충전체(30)는 상기 지지축(12)의 변과 하우징(20)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배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트레일러용 완충장치는, 하우징(20)이 차체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어 있고, 차축(8)이 휠(6)을 지지하고 있는 형태이므로, 상기 하우징(20) 내측으로 삽입된 지지축(12)이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휠(6)이 노면의 요철에 의하여 상,하로 요동함에 따라 휠(6)을 회전지지하고 있는 차축(8)이 상,하로 운동을 하게 되고, 이 차축(8)의 상,하 운동은 연결링크(10)에 연결되어 차체 횡방향으로 배치된 지지축(12)을 도 2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킨다.
다음, 지지축(12)이 회전하면, 이의 지지축(12) 외측과 하우징(20) 사이에 완충체(30)가 개재되어 있어, 이의 완충체(30)가 지지축(12)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억제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흡수 내지 감쇄된다.
결국, 노면으로부터 휠(6)이 받는 충격은 완충체(30)에서 흡수되므로 트레일러(2)와 이의 부품들의 손상을 줄일 수 있고, 트레일러(2)의 적재함(4)에 실린 화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앞선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미 파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지축(12)과 하우징(20)의 단면형상 및 충전체의 단면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지지축(12)의 회전에 따른 충격을 흡수 내지 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체는 하우징(20)과 지지축(12)으로부터 헛돌지 않는 단면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충전체의 단면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매입형 등 그 선택의 폭이 넓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5는 이러한 변형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예는 충전체를 구형 충전체(32)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상기 구형 충전체(32)는 상기 지지축(12)과 하우징(20) 사이에 지지축(1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배치된 형태를 갖출 수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구형 충전체(32)를 타원구체형, 다면체형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 4는 충전체를 지지축(12)과 하우징(2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우도록 매입되는 형태의 매입형 충전체(34)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첨부도면 도 5는 지지축(12)과 하우징(20)을 5각형으로 구성하면서 지지축(12)과 하우징(20)의 모서리 또는 변들이 서로 엇갈리도록 일정각도 회전시켜 배치한 후, 지지축(12)과 하우징(20) 사이의 공간을 충전체(34)로 완전히 채운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축(12)과 하우징(20)의 형태 및 충전체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요건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다양한 변화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로서 기재된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용 완충장치는 연결링크(10)와 지지축(12)에 의하여 노면으로부터 휠에 전달되는 충격을 지지축(12)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한 다음, 이의 지지축(12)을 탄성을 갖는 충전체로 탄력적으로 억제하는 구조로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차량에 저렴한 가격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면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8)

  1. 양측에 휠(6)을 갖는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휠(6)을 각각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차축(8);
    상기 양측의 차축(8)으로부터 각각 차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링크(10);
    상기 양측의 연결링크(10)의 단부를 차체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비원형 단면의 지지축(12);
    상기 지지축(12)이 그 중앙 내부로 통과되면서 차체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는 비원형 단면의 중공 하우징(20); 및
    상기 하우징(20)내측과 상기 지지축(12)의 외측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지지축(12)의 비틀림 하중을 흡수하는 탄성을 갖는 충전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는 러버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2)과 하우징(20)은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충전체는 상기 지지축(12)의 변과 하우징(20)의 내측 모서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는 상기 지지축(12) 및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봉형 충전체(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 충전체(30)는 원형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의 충전체(30)는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복수의 봉형 피스로 이루어져서, 이의 봉형 피스들이 지지축(12) 및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는 복수의 구형 충전체(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는 상기 지지축(12)과 하우징(2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우도록 매입되는 형태의 매입형 충전체(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KR1020010009437A 2001-02-24 2001-02-24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KR20020069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437A KR20020069275A (ko) 2001-02-24 2001-02-24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437A KR20020069275A (ko) 2001-02-24 2001-02-24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75A true KR20020069275A (ko) 2002-08-30

Family

ID=2769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437A KR20020069275A (ko) 2001-02-24 2001-02-24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92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924B1 (ko) * 2006-12-19 2014-04-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의 무한궤도용 서스펜션 장치
KR20150089773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스트립 용접용 진동저감장치 및 스트립 용접장치
KR101655681B1 (ko) * 2015-05-30 2016-09-07 이창규 고무소재를 이용한 서스펜션
KR20190072058A (ko) 2017-12-15 2019-06-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기용 틸팅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965A (ja) * 1981-07-23 1983-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三輪車のパ−キングロツク装置
JPS5847676A (ja) * 1981-09-16 1983-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揺動式三輪車の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US4655467A (en) * 1985-03-19 1987-04-07 Airstream, Inc. Steerable torsion axle
JPH02216307A (ja) * 1989-02-15 1990-08-29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6278435A (ja) * 1993-03-26 1994-10-04 Kayaba Ind Co Ltd 自動車用後輪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11334670A (ja) * 1998-05-21 1999-12-07 Honda Motor Co Ltd 揺動式三輪車のジョイント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965A (ja) * 1981-07-23 1983-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三輪車のパ−キングロツク装置
JPS5847676A (ja) * 1981-09-16 1983-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揺動式三輪車の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US4655467A (en) * 1985-03-19 1987-04-07 Airstream, Inc. Steerable torsion axle
JPH02216307A (ja) * 1989-02-15 1990-08-29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6278435A (ja) * 1993-03-26 1994-10-04 Kayaba Ind Co Ltd 自動車用後輪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11334670A (ja) * 1998-05-21 1999-12-07 Honda Motor Co Ltd 揺動式三輪車のジョイント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924B1 (ko) * 2006-12-19 2014-04-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의 무한궤도용 서스펜션 장치
KR20150089773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스트립 용접용 진동저감장치 및 스트립 용접장치
KR101655681B1 (ko) * 2015-05-30 2016-09-07 이창규 고무소재를 이용한 서스펜션
KR20190072058A (ko) 2017-12-15 2019-06-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기용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57429A (ja) ねじり力ブッシング装置
RU2713263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подвеска оси для задней ос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0069275A (ko) 트레일러용 완충장치
KR960005902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182186Y1 (ko) 완충튜브가내장된자동차범퍼
US5954352A (en) Rear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KR102209267B1 (ko) 주행 유동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는 화물차량용 캠핑부스 탑재유닛
KR100649270B1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US20060017254A1 (en) Vehicle-towed trailer with independent suspension
KR20070014551A (ko) 리어 서스펜션의 트레일링 아암 부쉬의 구조
KR200389308Y1 (ko) 도로용 화물차량의 독립식 현가장치
KR100655331B1 (ko) 지게차의 액슬빔 지지장치
KR100353941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200225042Y1 (ko) 자동차용현가장치의충격흡수장치
JPH0522404Y2 (ko)
KR100341750B1 (ko) 차량용현가장치
KR200141421Y1 (ko) 세미트레일링암형(semi trailing arm type) 뒤현가장치의 콘트롤 암(control arm) 고정구조
KR200174691Y1 (ko) 자동차의 아암부쉬
KR19980032757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100192407B1 (ko)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100530316B1 (ko)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KR0114408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80040706U (ko) 트레일링 링크형 리어 현가 장치의 터버 마운팅
KR19990026966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