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116A - 롤링 요소를 위한 양성으로 안내된 케이지를 갖는선형운동 가이드 - Google Patents

롤링 요소를 위한 양성으로 안내된 케이지를 갖는선형운동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116A
KR20020069116A KR1020020008611A KR20020008611A KR20020069116A KR 20020069116 A KR20020069116 A KR 20020069116A KR 1020020008611 A KR1020020008611 A KR 1020020008611A KR 20020008611 A KR20020008611 A KR 20020008611A KR 20020069116 A KR20020069116 A KR 20020069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ositive
elements
linear motion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151B1 (ko
Inventor
피터 벡
사무엘 비르트
에른스트 미쉴러
한스 에거
Original Assignee
쉬니베르거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니베르거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쉬니베르거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02006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06Means to synchronise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41Ball or roller bearings having rollers crossed within a r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43Ball or roller bearings with two massive rectangular rails having facing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 구성부를 장착하고 종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선형운동 가이드에서, 기계의 구성부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제 1 가이드 요소는 제 2 가이드 요소에 대한 종방향 운동축을 따라 여러개의 롤링 요소에 의해 안내되며, 마찬가지로 기계의 구성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각각의 가이드 요소는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한 요홈형식의 리세스에 고정되고, 각각의 가이드 요소에 대한 리세스의 경계면은 롤링요소에 대한 롤링표면으로 제공되며, 롤링요소는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의 하나 이상의 열에서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상기 케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양성 가이드 요소로 구비되며, 제 1 양성 가이드 수간을 갖는 케이지는 가이드 요소에 고정된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으로 안내되며, 각각의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가이드 요소 중 하나에만 정렬되고 상대적인 위치에 고정되는 것에 관련된다.
정밀한 가이드와 적합한 재조 그리고 조립 특성을 갖는 이러한 형식의 선형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이 요홈 같은 리세스(4,5) 외부에 개별의 가이드 요소(1,2)에 고정되며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을 안내하기 위해서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에서 돌출되고,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롤링 요소를 위한 양성으로 안내된 케이지를 갖는 선형운동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WITH A POSITIVELY GUIDED CAGE FOR ROLLING ELEMENTS}
본 발명은 기계 구성부를 종축으로 안내하고 장착하기 위한 선형운동 가이드에 관련되는데, 기계의 구성부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제 1 가이드 요소는 제 2 가이드 요소에 대해서 종방향 운동축을 따라 여러개의 롤링요소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요소 또한 기계의 구성부에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각의 가이드 요소는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한 요홈 같은 리세스를 갖는다. 각각의 가이드 요소에 있는 리세스의 경계면은 롤링요소를 위한 롤링표면으로 제공되며, 상기 롤링요소는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에 하나 이상의 열을 지어 일렬로 정렬되고, 상기 케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으로 구비되며,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을 갖는 케이지는 가이드 요소에 고정된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으로 안내된다. 각각의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가이드 요소들 중 하나에만 정렬되고 상대적인 위치에 고정된다.
일반적인 형태의 선형운동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이루고 요홈에서 롤링하며 항상 직선운동을 하는 롤링요소를 포함한다. 재순환하는 선형운동 가이드와는 달리, 일반적인 선형운동 가이드의 경우에서 롤링요소는 직선운동 경로를 떠나지 않으며, 하중 베어링 기능으로써 가이드 요소들과 접촉해 있다. 전술된 형식의선형 운동 가이드는 대개 기계의 구성요소가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롤링요소가 항상 서로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배열되도록 하기 위해 롤링요소를 케이지에 배열시키는 것이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 케이지에서 각각의 롤링요소가 전용으로 장착되어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선형으로 운동하는 가이드 요소는 케이지가 차례로 선형 운동을 따라 이송됨에 따라 롤링요소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며 또한 선형운동을 하게 한다.
본래 두 개의 가이드 요소에 대한 롤링요소 및 케이지의 위치는 정해져있다. 그러나 외부의 영향으로 원래 의도된 정해진 위치에 대한 롤링요소의 변위가 일어난다. 이것은 케이지의 변위를 일으킨 다음 변위 범위를 변화시키고, 두 개의 가이드 요소 혹은 기계의 구성요소는 서로에 대해서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지 일탈(cage wandering)"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운동을 피하기 위해서, 케이지를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양성 가이드가 이미 존재한다.
예를들어, 전술된 제 1 양성 가이드에서 케이지를 피니언에 연결시키기 위해 설비가 이루어진다. 피니언은 두 개의 요홈 바깥에 위치하고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옆에 위치한다. 피니언은 두 개의 랙(rack)에 연결되고, 상대운동을 하게 되어 있는 두 개의 기계 구성부 중 하나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랙을 기계의 구성부에 고정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선형운동 가이드의 제작자가 미리 조절된 형식으로 공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제작자가 랙을 맞추어야 하며 개별의 가이드 구성요소는 맞물림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근접한 공차를 가져야한다.
미국특허 4,524,671에 동일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나와있다. 상기 문헌에서 가이드 슬리브(sleeve)에 대한 포신을 위한 롤링 접촉 베어링에 기초를 둔 선형 가이드가 공지되었다. 소위 스트립(strip)이라고 하는 것은 포신에 형성되고, 베어링 레일은 가이드 슬리브에 형성된다. 롤링 요소는 스트립과 베어링 레일 사이의 공간에 있는 케이지에 정렬된다. 또한, 총(gun)을 양성으로 안내하기 위해서, 피니언은 케이지 맞물림에 정렬되는데 랙의 경우에는 스트립과 베어링 레일에 고정된다. 피니언과 랙은 베어링 레일 중 하나에 대한 스트립들 중 하나의 롤링요소에 제공되는 공간 밖에 위치한다.
또 다른 해결책이 미국 특허 5,427,454에 공지되었는데, 랙이 가이드 요소들의 요홈부 하단에 삽입되는 경우이다. 케이지에 연결된 피니언은 양쪽 랙에 의해 양성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에서, 랙이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이드 요소를 제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조립이 어려운데, 케이지의 위치가 피니언이 랙에 맞물리자마자 더 이상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다른 어려운 점은 양쪽 랙이 피니언에 알맞게 맞물리도록 요홈에 정렬된 두 개의 랙이 상호적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조립하는 중에 톱니를 망가뜨리게 할 가능성도 있다.
마지막으로, 롤링요소에 속해 있는 케이지가 양성으로 안내되는 또 다른 가이드가 공지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변형롤러는 케이지의 두 개의 단부에 적합하며, 얇은 로프나 끈은 각각의 경우에서 안내된다. 두 개의 로프의 단부는 각각가이드요소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조립을 복잡하게 한다. 또한 요구되는 얇은 줄과 적은 변형롤러는 결함에 민감하다. 또한 온도변화, 줄의 길이 변화 같은 외부 영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만약 케이지가 미국 특허 4,262,974에 공지된 바와 같이 줄 대신에 탄성 스프링 요소로 안내되면, 정확한 양성 가이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원하는 제작과 조립특성을 나타내며 케이지가 가장 정밀한 가이드를 할 수 있는 선형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를 둔다.
처음에 설명된 형식의 장치의 경우에서, 본 발명을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요홈 형상의 리세스 외부에서 개별의 가이드 요소에 고정되며,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을 안내하기 위해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에서 돌출되며,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선형운동에서, 모든 양성 가이드 수단은 이미 제조업자에 의해 서로 사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 모든 양성 가이드 수단이 선현 운동 가이드 자체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선형 운동 가이드의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가이드 요소 자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기계의 구성부에 고정되어야 할 필요가 없게 한다.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요소의 쉽게 접근이 가능한 측면 같은 외부표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선호적으로 선형 운동 가이드가 조립된 상태라 하더라도 본 발명을 따르는 선형운동 가이드는 조립하기가 쉽다. 물론각각의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이 가이드 요소중 하나의 요홈 외부에 위치한 외부 표면에 들어맞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표면은 선형운동 가이드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다른 가이드 요소의 외부 표면에 반대 쪽에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에 있는 틈을 경계짓는 가이드 요소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운동 가이드를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이점은 비교적 제조하기에 단순한 종래의 가이드 요소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 요소는 제 2 양성 가이드 요소를 상기 가이드 요소에 고정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선형운동 가이드의 경우에서,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정해진 위치에 있는 가이드 요소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다시말해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에 대해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비가동성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쉽게 조립될 수 있으며, 작동 중 결함에 대해서 덜 민감하다.
본 발명의 선형운동 가이드의 경우에서, 가이드 요소의 양성 가이드 수단은 선호적으로 본질적으로 강체가 될 수 있고, 순수한 장력 하중이 아닌 하중을 흡수하고 전송할 수 있기 위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로프의 경우가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질적으로 강체(intrinsically rigid)"는 연성 로프와 반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양성 가이드 수단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서, 만약 자체 강성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탄성을 갖는다면, 역변형으로 하중을 흡수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으로 인해 구성요소가 빨리 분열될 수 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양성 가이드 수단은 적합한 금속 재료 혹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선형운동의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각각 작동 연결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부는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하게 작동하는 종방향 연장부를 갖는 가이드 요소의 고정된 위치에 정렬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변위 방향에서 있는 두 개의 작동 가능한 연결 구성부의 최대 길이는 두 개의 가이드 요소가 서로에 대해서 변위될 수 있는 최대 변위의 거의 1/2이 되거나 1/2보다 약간 길수가 있다. 롤링 접촉 요소에 기초를 둔 일반적인 형식의 선형 가이드의 경우에서, 케이지는 서로에 대한 상대 운동으로써 두개의 가이드 요소에 의한 변위의 거의 반을 수용한다. 만약 작동 연결 구성부의 길이가 변위의 1/2보다 약한 길게 선택된다면, 양성 가이드 수단 사이의 작동 연결이 변위의 끝부분에서도 확고히 될 수가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은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지에 고정된 피니언이다. 피니언은 선호적으로 케이지 중심에 위치한다. 특히 케이지에 큰 힘이 가해질 경우 여러개의 피니언이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양성 가이드는 맞물림 시스템에 기초를 두고, 제 2 가이드 수단은 두 개의 랙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서 하나는 가이드 요소 중 하나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조립할 동안 톱니에 손상을 주지 않거나 조립을 어렵게 하지 않아서 피니언/랙에 기초를 둔 양성 가이드의 높은 기능적인 안정성의 이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서, 랙이 횡단면에 대해서 비스듬한 측면으로 설계되는 것이 선호되며, 상기 측면이 고정 레그(leg)와 그에 대해 비스듬한 톱니 레그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 레그는 상응하는 가이드요소의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측면에 꼭 맞으며,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하다.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의 작동 연결 구성부로 제공되는 톱니 레그는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두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에 있는 틈에 맞물릴 수 있다.
만약 가이드 요소의 외부 표면에 있는 랙이 두 개의 가이드 요소의 다른 측면에 잘 맞으면, 가이드 요소에 필요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여 두 개의 가이드 요소는 구조적으로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 비용을 절감시킨다.
톱니 맞물림에 기초를 둔 양성 가이드가 본 발명에 대해서 선호됨에도 불구하고, 이것 대신에 자석 혹은 유도력을 사용하는 양성 가이드 같은 다른 형태 맞춤 혹은 압력 맞춤 양성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호되는 정밀함은 청구항과 도면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은 도면에 계략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롤링 접촉 요소로써 볼에 기초를 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르는 선형 가이드의 부분도;
도 3은 롤러에 기초를 두며 본 발명을 따르는 선형운동 가이드에 속한 삽입된 케이지를 갖는 가이드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따르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도;
도 5는 도 4에서 랙에 대한 정면도;
도 6은 가이드 요소의 하나의 단부에 근접한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가이드 요소중 하나에 대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을 따라 도시된 도면;
* 부호 설명 *
1,2......가이드 요소3......종방향 운동축
4,5......요홈6,7....외부 측면
8,9......랙10.....볼
11......케이지14.....회전축
15......피니언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선형운동 가이드를 도시하는데, 측면 스트립으로 설계된 두 개의 가이드 요소(1,2)를 갖는다. 두 개의 가이드 요소(1,2)의 세로 길이의 방향은 두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의 상대 운동이 가능한 종방향 운동축(3)에 상응한다. 단일 V 형상 요홈(4,5)은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각각의 가이드요소(1,2)로 만들어진다. 개방부분이 횡단면에서 반대 측면인 두 개의 요홈(4,5)은 각각의 경우에서 90°각도로 된 오프닝을 갖는 등변 삼각형으로 설계된다. 경계면(4a,4b)과 두개의 요홈의 경계면(5a,5b)은 롤링요소에 대한 롤링 표면 역할을 한다. 요홈(4,5)은 각각 가이드 요소(1,2)의 전체 길이에 뻗어있다. 하기 자세히 언급되겠지만, 케이지와 내부에 정렬된 롤링요소 그리고 피니언으로 설계된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을 갖는 구조적 유닛은 요홈(4,5)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적 유닛으로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구조적 유닛은 하기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가이드 요소의 외부 측면(6,7)에서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한데, 랙(8,9)의 형태를 갖는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도시되지 않은 여러개의 스크류로 고정된다. 물론 스냅인(snap-in) 연결 같은 다른 형식의 고정이 가능하다. 피니언 같은 랙(8,9)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적합한 재료 선택과 치수를 기초로 하여 본질적으로 강체로 설계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랙(8,9)은 선형운동 가이드의 개별의 다른 측면에 있는 가이드 요소(1,2)에 고정된다. 두 개의 가이드 요소를 따라 최대 변위의 1/2 혹은 1/2을 조금 넘는 길이에 상응하는 두 개의 랙의 변위 방향에 대한 최대 길이는 서로에 대해서 변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링 요소는 볼(10)로 설계된다. 모든 볼(10)은 도 2의 평면에 직각인 하나의 열에만 세로로 줄지어 배열된다. 볼(10)은 각 요홈(4,5)의 두 개의 롤링 표면(4a,4b; 5a,5b)에 놓이고 기계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과 같이 고정 위치에 있는 가이드 요소(2)에 대한 가동성 가이드 요소(1) 연결된기계의 구성부(도시 안됨)로부터 하중을 전송한다. 각각의 경우에서 연속적인 볼(10)은 케이지(11)에 홀더에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배열된다. 이 경우에서 볼(10)은 홀더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홀더에 적은 틈을 갖고 위치한다.
도 2의 횡단면은 피니언(15)의 회전(16) 축을 정확하게 통과하고, 선호적으로 케이지(11)의 중심에(종방향 길이에 대해서)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략적이 도시되고 케이지(11) 위의 회전축(14)에 정렬된 디스크 형식의 피니언(15)은 종방향 운동축에 대해 반대 방향인 케이지(11)의 중심에 위치한다. 회전축(14)은 피니언(15)의 회전(16) 축을 형성한다. 상기 축은 종방향 운동축에 직각으로 배열되고 기계의 구성부가 가이드 요소에 놓이는 가이드 요소(1,2)의 외부 접촉 표면(1a,2a)에 직각으로 배열된다. 피니언(15)의 이러한 배열로 인해 종방향 운동축은 맞물림 시스템(15a)이 형성되는 피니언(15)의 원주 표면을 통과한다.
피니언(15)은 각각의 랙(8,9)의 톱니레그(18,19)의 맞물림 시스템(17)(예, 도 1)과 연속적으로 맞물린다. 맞물림 시스템(17)은 두 개의 톱니레그(18,19)의 자유단부에 있는 직선 맞물림 시스템으로 설계된다. 톱니레그(18,19)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두 개의 랙(8,9)중 하나의 레그로써 차례로 제공된다. 두 개의 톱니레그(18,19)는 두 개의 가이드 요소(1,2) 사이에 형성되는 틈(20)(도 2)에서 다른 측면으로부터 맞물린다. 각각의 랙(8,9)의 톱니레그(18,19)에 대해 직각으로 굽어지는 고정레그(21,22)는 각각 가이드 요소(1,2)의 외부 측면(6,7)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성 가이드 요소(1)의 랙(8)에 대한 고정레그(21)는 우측 외부 측면(6)에 고정된다. 고정 위치에 있는 가이드 요소(2)의 랙(9)에 대한고정레그(22)는 그와 반대로 좌측 외부 측면(7)에 고정된다.
이로부터, 두 개의 가이드 요소(1,2)와 두 개의 랙(8,9)은 개별 횡단면에 대해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두 개의 가이드 요소(1,2)와 두 개의 랙(8,9)은 그 길이만 달라서 제조비용에는 영항을 주지 않지만 아주 적은 영향만 끼친다.
상단 가이드 요소(1)에 연결된 기계의 구성부에 대한 드라이브로 생산될 수 있는 상단 가이드 요소(1)가 선형 운동을 하는 동안, 롤링 표면(4a,4b)을 갖는 가이드 요소(1)는 볼(10) 위에서 움직인다. 여기서 볼(10)은 롤링 표면(4a,4b)과의 마찰 연결로 이송되며 회전한다. 각각의 볼(10)의 중심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는 상단 가이드 요소(1)의 종방향 이동 길이에 1/2이다. 볼(10)은 이동하는 동안에 차례로 케이지를 취하고, 상기 케이지는 볼의 중심과 동일한 길이로 선형 운동한다. 동시에 피니언(15)은 두 개의 랙(8,9)의 맞물림 시스템에 맞물린다. 피니언(15)과 두 개의 랙(8,9) 사이의 작동 연결로 인해, 케이지(11)는 가이드 요소(1)의 특정한 종방향 운동이 미리 정해지는 동안 그 위치에 양성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었다. 두 개의 가이드 요소를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 하나의 하단 가이드 요소(2)만 도시되었으며, 그 요홈에 케이지(11)가 삽입되었다. 이 케이지(11)는 또한 롤링 요소를 수용하며 리세스의 피니언(15)을 수용한다. 상기 실시예는 롤링요소와 그 배열에 대해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차이점만 기술될 것이다. 우선, 도 3에서 보듯이 롤러(110)가 볼 대신 사용되었다. 둘째로, 롤러(110)는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한 두 개의 열(111,112)에 배열된다. 동일한 열(111,112)에 있는 롤러(110)는 두 개의 가이드 요소에 있는 두 개의 요홈에서 동일하게 놓이지만 롤링 표면(5a,5b)중 하나에만 놓인다는 사실과 구별된다. 그러므로 도 3에서 열(111)의 롤러(110)는 롤링 표면(5b)에 놓이고, 반면에 열(112)의 롤러(110)는 롤링 표면(5a)에서 지지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롤러(111,112)의 롤러는 종 운동방향(3)에서 서로에 대해 오프셋(offset) 배열된다. 종 운동방향에서 롤링요소의 이러한 교류배열은 선호적으로 십자형 롤러 가이드 같은 것이다.
도 4는 두 개의 양성 가이드 수단의 선호적인 고정, 특히 개별의 가이드 요소(1,2)에 대한 랙(8,9)의 고정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면(6,7)에 랙(8,9)의 잠금레그(21,22)가 놓이며, 가이드 요소(1,2)는 종방향 길이가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요홈 같은 리세스(24,25)를 갖는다. 각각의 가이드 요소(1,2)는 또한 각각 표면(26,27)에서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한 요홈(28,29)으로 구비되며, 톱니레그(18,19)에 반대이고 틈(20)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의 각각의 랙(8,9)은 그 고정레그(18,19) 위에서 적어도 두 개의 가늘고 긴 웨브(web)(30,31)를 갖을 수 있는데, 상기 웨브는 요홈(24,25)중 하나에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웨브(30,31)의 높이는 요홈(24,25)의 깊이 보다 약한 작아야 한다. 또한 각각의 톱니레그(18,19)는 여러개의 톱니(17a) 위에 톱니 폭 이상의 돌출부(32)를 갖는다. 돌출부(32)가 요홈(28,29)중 하나에 맞물리기 위해서 제공되기 때문에, 돌출부(30,31)의 높이는 요홈의 깊이와 맞아야 하며, 만약 필요하다면 개별의 톱니레그(18,19)와 개별의 표면(26,27) 사이의 거리에 맞아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랙(8,9)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웨브(30,31) 및 돌출부(31)와 함께 가이드 요소(1,2)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요홈(24,25,28,29) 안을 따라 랙(8,9)이 미끄러질 수 있다. 그런다음 랙(1,2)은 선호적으로 플라스틱이며 단부에서 가이드 요소(1,2)에 스크류되고 랙에 대해서 놓이는 플레이트(도시 안됨)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랙(8,9)은 가이드 요소의 길이 만큼 되어야 한다. 랙(8,9)이 종방향 운동축에 대해서 반대 방향에 대해서도 틈이 없이 고정되기 위해서, 웨브(30,31)와 돌출부(21)는 선호적으로 요홈 표면(28a,29a)에 대해 놓여야 하며, 상기 표면은 가이드 요소의 모따기 코너(34,35)에 가장 근접하다.
제 2 가이드 수단을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특히 랙(8,9)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과 개별의 가이드 요소(1,2) 사이에서 형태 맞춤 및(혹은) 압력 맞춤으로 고정 추가적인 고정 수단 없이 가이드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예를 들어 웨브(30,31)와 돌출부(32)의 치수에 대한 요홈(24,25,28,29)의 치수가 맞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웨브(30,31)와 돌출부(32)는 적합은 고정 압력을 갖는 코너(34,35)에 가깝게 놓인 요홈 표면(28a,29a)에 대해 각각 놓인다. 개별의 가이드 요소에 두 개의 선호적으로 동일한 랙 중에서 하나를 장착하기 위해서, 개별의 랙(8,9)에 대한 두 개의 레그(18,21;19,22)로 형성된 각도를 약간 넓히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레그의 회복력은 종방향 운동축에 대해 역방향으로 형태 맞춤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고, 개별의 랙과 가이드 요소 사이의 스냅인 연결로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압력맞춤으로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운동축(3) 방향에서 제 2 가이드 수단(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고정시키는 한가지 가능성 있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종방향 운동축(3)의 방향에서 비교적 짧고 횡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인 정지부(40)는 가이드 요소(1,2)의 각각의 단부 영역과 개별의 두 개의 요홈(25,29)에서 가이드 요소(1,2)의 측면(6,7) 중 하나에 고정된다. 종방향 운동축(3)의 방향으로 상응하는 제 2 가이드 수단의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약간의 이동은 각각의 가이드 요소의 두 개의 정지부(40)에 대해서 부딪혀서 제한된다.
개별의 가이드 요소의 측면(6,7)에 반대 영역에서, 각각의 정지부(40)는 두 개의 스프링 레그(41,42)를 갖으며, 가이드 요소(2)에 있는 수평 구멍(43)에 맞물린다. 스프링 레그(41,42)는 종방향 운동축(3)에 평행한 라인(44) 위에 위치한다. 상기 레그는 스프링 압력을 만들면서 구멍의 벽(43a)에 놓이며 정지부(40)를 종방향 운동축(3)에 평행한 방향의 변위에 고정시킨다. 또한 정지부(40)는 웨브(30)와 돌출부(32)를 포함하며, 가이드 요소(2)의 요홈(25,29)에 맞물린다. 웨브(30)와 돌출부(32)로 만들어지는 고정압력으로 인해, 정지부(40)는 종방향 운동축(30)에 반대방향으로 고정된다.

Claims (14)

  1. 기계 구성부를 장착하고 종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선형운동 가이드에서, 기계의 구성부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제 1 가이드 요소는 제 2 가이드 요소에 대한 종방향 운동축을 따라 여러개의 롤링 요소에 의해 안내되며, 마찬가지로 기계의 구성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각각의 가이드 요소는 종방향 운동축에 평행한 요홈형식의 리세스에 고정되고, 각각의 가이드 요소에 대한 리세스의 경계면은 롤링요소에 대한 롤링표면으로 제공되며, 롤링요소는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의 하나 이상의 열에서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상기 케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양성 가이드 요소로 구비되며, 제 1 양성 가이드 수간을 갖는 케이지는 가이드 요소에 고정된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으로 안내되며, 각각의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가이드 요소 중 하나에만 정렬되고 상대적인 위치에 고정되는데,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요홈 같은 리세스(4,5) 외부에서 개별의 가이드 요소(1,2)에 고정되며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을 안내하기 위해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에서 돌출되며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 요소(1,2)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1a,2a,6,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선형운동 가이드.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가이드 요소(1,2)의 측면(6,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측면(6,7)은 종방향 운동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5. 전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수단은 스냅인 연결로 가이드 요소중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6. 전 항들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다른 가이드 요소(1,2)의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두 개의 가이드 요소(1,2)의 개별적으로 다른 측면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7. 전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은 각각 작동 연결 구성부를 갖는데, 상기 구성부는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 연결 구성부는 종방향 운동축(3)에 평행한 종방향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양성 가이드 수단의 작동 연결 구성부는 랙(8,9)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운동 가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랙(8,9)은 각각 고정레그(21,22)와 톱니레그(18,19)를 갖는 기울어진 측면으로 설계되며, 상기 톱니 레그는 고정레그에 대해 기울어지고, 고정레그(21,22)는 가이드 요소(1,2)의 측면(6,7)에 놓이며, 톱니레그(18,19)는 두 개의 가이드 요소 사이의 틈(20)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10. 제 7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랙(8,9)의 길이는 두 개의 가이드 요소가 각각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최대 변위 길이의 1/2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11. 제 8,9,10 항에 있어서, 케이지(11)에 피니언(15)으로 설계되고, 랙(8,9)에 작동 가능하게연결된 제 1 양성 가이드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피니언(15)은 종방향 운동축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고가이드 요소를 가로지르는 회전(16)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13. 제 10 항 혹은 제 11 항에 있어서, 종방향 운동 방향에 대해서 피니언(15)은 케이지(11)의 중심에 거의 가까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14. 전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1,2)는 실질적으로 직사각 횡단면이고, 개별의 가이드 요소 중 하나의 표면 영역에서 리세스로써 V 요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운동 가이드.
KR1020020008611A 2001-02-22 2002-02-19 롤링 요소를 위해 확동 안내되는 케이지를 갖는 선형운동 가이드 KR100905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314/01 2001-02-22
CH3142001 2001-02-22
CH10632001 2001-06-13
CH1063/01 2001-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16A true KR20020069116A (ko) 2002-08-29
KR100905151B1 KR100905151B1 (ko) 2009-06-29

Family

ID=2573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611A KR100905151B1 (ko) 2001-02-22 2002-02-19 롤링 요소를 위해 확동 안내되는 케이지를 갖는 선형운동 가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92151B2 (ko)
EP (1) EP1236912B1 (ko)
JP (1) JP4061572B2 (ko)
KR (1) KR100905151B1 (ko)
AT (1) ATE346248T1 (ko)
DE (1) DE50208738D1 (ko)
TW (1) TW55235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528B1 (ko) * 2006-04-28 2013-07-24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 구동 장치
US8573847B2 (en) 2010-12-22 2013-11-05 Won St Co., Ltd. Linear motion guide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7794A1 (en) * 2005-03-24 2009-04-16 Darrell Grayson Higgins Gear Bearing
US7625120B2 (en) * 2007-04-05 2009-12-01 Hiwin Technologies Corp. Roller retainer
ATE497585T1 (de) 2008-02-27 2011-02-15 Schneeberger Holding Ag Linearführungssystem mit einer einen laufbahneinsatz aufweisenden führungsschiene und mit einem zwangsgeführten käfig für wälzkörper
US20100116139A1 (en) * 2008-11-11 2010-05-13 Chang-Cheng Ho Chain protector for a linear motion processing machine
DE102009014890B4 (de) * 2009-03-25 2023-03-23 Ewellix AB Linearführung mit zwangsgeführtem Käfig
JP5208832B2 (ja) * 2009-03-31 2013-06-12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保持器のずれ防止機構を備えた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KR101092978B1 (ko) * 2009-10-12 2011-12-12 (주)원에스티 직선운동 안내 유닛
EP2397712A1 (de) * 2010-06-21 2011-12-21 Aktiebolaget SKF Linearführung mit zwangsgeführtem Käfig
EP2916450B1 (de) 2014-03-03 2017-06-28 Picofine GmbH Antriebs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ie Erzeugung einer geführten, linearen oder rotatorischen Bewegung
JP6704678B2 (ja) * 2015-04-30 2020-06-03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JP6815107B2 (ja) * 2016-07-06 2021-01-20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保持器ずれ防止機構を備えた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DE102018118973A1 (de) 2018-08-03 2020-02-06 Liebherr-Verzahntechnik Gmbh Teleskopschiene
JP2021139443A (ja) * 2020-03-05 2021-09-16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
JP7456807B2 (ja) * 2020-03-05 2024-03-27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
JP7355421B1 (ja) * 2022-10-24 2023-10-03 豊司 風間 摺動案内機構及び摺動案内機構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791A (en) * 1910-05-14 1916-10-17 Noiseless Typewriter Co Ball-retainer.
US2294665A (en) * 1940-02-01 1942-09-01 Ibm Typewriting machine
US2607636A (en) * 1946-12-26 1952-08-19 Gen Motors Corp Mounting for slidable members
GB892596A (en) * 1959-08-24 1962-03-28 Hammond Machinery Builders In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ctilinear-motion bearings
US3024073A (en) * 1959-08-24 1962-03-06 Hammond Machinery Builders Inc Bearing structure and support for reciprocable member
US3857618A (en) 1973-03-21 1974-12-31 M Hagen Synchronization and precision sequencing of ball retainer relationship to one-half of slide movement
US3975063A (en) * 1975-05-12 1976-08-17 Nl Industries, Inc. Progressive slide assembly
JPS5551119A (en) * 1978-10-12 1980-04-14 Toshiba Corp Linear bearing device
DE3150250A1 (de) * 1981-12-18 1983-06-30 INA Wälzlager Schaeffler KG, 8522 Herzogenaurach Waelzlagerung zur laengsverschieblichen fuehrung eines geschuetzrohres
JPS62179423A (ja) * 1986-02-03 1987-08-06 三洋電機株式会社 コ−ヒ−沸し器
JPH0798295B2 (ja) * 1989-05-11 1995-10-25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保持器のずれ防止装置つき薄肉形直動案内ユニット
JP2667516B2 (ja) * 1989-06-19 1997-10-27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US5116141A (en) * 1990-11-01 1992-05-26 Anwar Chitayat Anti-creep for bearing retainers
US5281031A (en) * 1990-12-20 1994-01-25 Nippon Thompson Co., Ltd. Linear motion guide unit having a synchronized retainer
JP2540164Y2 (ja) * 1990-12-20 1997-07-02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有限直動用転がり軸受
JPH06280868A (ja) * 1993-03-23 1994-10-07 Origin Electric Co Ltd 有限型リニアベアリング
US5607238A (en) * 1993-04-05 1997-03-04 Deltron Precision, Inc. Reduced friction linear slide with rolling elements
JP3242503B2 (ja) * 1993-09-27 2001-12-25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有限直動用転がり軸受
US5685646A (en) * 1996-07-15 1997-11-11 Automation Gages, Inc. Linear ball slide
DE19815526B4 (de) * 1998-04-07 2009-02-12 Skf Linearsysteme Gmbh Linearführung mit Zwangsführung des Käfi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528B1 (ko) * 2006-04-28 2013-07-24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 구동 장치
US8573847B2 (en) 2010-12-22 2013-11-05 Won St Co., Ltd. Linear motion guid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14546A1 (en) 2002-08-22
JP4061572B2 (ja) 2008-03-19
JP2002327742A (ja) 2002-11-15
EP1236912B1 (de) 2006-11-22
DE50208738D1 (de) 2007-01-04
ATE346248T1 (de) 2006-12-15
EP1236912A3 (de) 2004-11-17
KR100905151B1 (ko) 2009-06-29
EP1236912A2 (de) 2002-09-04
TW552356B (en) 2003-09-11
US6692151B2 (en) 200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151B1 (ko) 롤링 요소를 위해 확동 안내되는 케이지를 갖는 선형운동 가이드
KR100407282B1 (ko) 선형 액츄에이터
US8047095B2 (en) XY table actuator
US7845251B2 (en) Roller screw having plural circulating devices cooperating with plural helical grooves
JP4500278B2 (ja) 保持器のずれ防止機構を備えた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JPS6025651B2 (ja) リニアモ−シヨン用のころがり軸受
JP5739205B2 (ja) クロスローラ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JP6704678B2 (ja) 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KR910003134B1 (ko) 경량형 선형볼베어링구조
JPH0324318A (ja) 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US20110200277A1 (en) Circumferential guide for rolling bodies, and linear guide unit equipped therewith
US4921360A (en) Linear roller contact bearing assembly
WO2013084024A1 (es) Guia lineal de rodillos compacta
WO2015155928A1 (ja) 転動装置
JP4340547B2 (ja) ローラチェーンを組み込んだ案内ユニット
KR20210101906A (ko) 리테이너의 크립 방지 기능을 갖는 크로스 롤러 베어링
US3974706A (en) Lead screw coupling assembly
EP1193518B1 (en) Compensation mechanism for component and assembly deviation in a component precision positioning stage
US20080199112A1 (en) Linear guide apparatus and rolling elements accommodation belt
JP2005147353A (ja) 直動案内装置
US9797444B1 (en) Threadless linear guide
KR100380194B1 (ko) 수평이동 실린더
CN113167321B (zh) 线性运动引导件
EP1705891B1 (en) Driving device for scanner
KR200491611Y1 (ko) 롤러 스플라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