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388A -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 Google Patents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388A
KR20020068388A KR1020027008281A KR20027008281A KR20020068388A KR 20020068388 A KR20020068388 A KR 20020068388A KR 1020027008281 A KR1020027008281 A KR 1020027008281A KR 20027008281 A KR20027008281 A KR 20027008281A KR 20020068388 A KR20020068388 A KR 20020068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tom
halogen atom
substituted
titl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802B1 (ko
Inventor
하네다도루
쓰루오카아키히코
가마타준이치
오카베다다시
다카하시게이코
나라가즈마사
하마오카신이치
우에다노리히로
와카바야시도시아키
후나하시야스히로
셈바다로
하타나오코
야마모토유지
오자와요이치
쓰카하라나오코
오와다카시
Original Assignee
에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자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자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38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07D217/24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07D217/2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0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311/0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 C07D311/1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substituted in position 7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Obesit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술폰아미드 또는 술포닐우레아 함유 복소환 화합물을 제공한다. 즉, 일반식 (I)인 복소환 화합물,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제공한다.
(I)
식 중에서, A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를, B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알릴기 또는 단환 헤테로아릴기, 또는
(식 중에서, 고리 Q 는 질소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방향족 고리, 고리 M은 고리 Q와 이중결합을 공유하는 고리를 의미함), 상기 고리는 이종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고리 Q 및 고리 M은 질소원자를 공유하는 경우가 있음)를, K은 단일결합을, T, W, X, Y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C(D)-(식 중에서, D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등) 또는 질소원자를, U, V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 C(D)-, 질소원자, -CH2-, 산소원자- 또는 -CO-을, Z는 단일결합 또는-CO-NH-을, R1는 수소원자 등.

Description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ONAMIDE GROUPS}
암의 증식과 혈관신생과는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이 명확해 지고 있다. 즉, 암의 부위에 혈관신생이 생기지 않는 경우, 암은 미소한 상태(dormant tumor)로 머물고 있다. 그러나, 혈관신생이 일어나면 혈중의 산소나 영양분이 종양에 보급되어 암의 증식이나 전이가 촉진되어 임상적으로 악성이 되는 것이 밝혀져 있다. 따라서, 암의 혈관신생을 저해하면 암의 증식 및 전이가 억제된다고 예상된다. 신생혈관은 숙주의 내피세포나 간질세포로 구성되기 때문에, 혈관신생 저해제의 표적물은 암 세포가 아니라 숙주의 정상세포가 된다. 암 세포를 직접 표적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항암제 반응하지 않는 암에도 효능을 기대할 수 있고, 또 암치료의 큰 문제인 내성암이 생길 가능성도 적다고 생각된다. 또, 혈관신생은 종양에 특징적인 현상이며, 성숙 개체에서는 월경주기에 따르는 자궁내막 형성 등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 항암제에 비해 부작용도 적다고 생각된다. 최근, 전임상 실험에서는 혈관신생 저해제가 이식암 모델에서의 암증식을 억제할뿐 아니라 축소시키고, 내성암이 생기지 않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어, 임상 실험에서는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대장암 등 많은 고형암의 악성화와 혈관신생과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암 조직에서는, 암 세포의 증식과 소멸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고, 그 사이의 균형점에 따라 증식성 암과 발육이 중지된 종양(dormant tumor)이 생기게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혈관신생 저해제는 암 세포를 직접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영양원을 끊는 것에 따라 평형점을 세포 사멸에 향하도록 하여, 발육 중지 또는 암의 축소를 유도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치료에 의해 우수한 효과(수명의 연장, 재발 억제, 전이 억제)를 기대할 수 있는 약제이다.
여러 가지 작용 메카니즘에 따른 혈관신생 저해제가 임상 단계에 있지만, 전임상 단계에서의 항종양 효과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임상에서의 유용성에 의문이 생기고 있고, 효과가 확실한 혈관신생 저해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 혈관신생이 망막증 또는 염증에 관여하고 있는 것은 알려져 있다. 망막으로 혈관이 증식하면 시력이 약해져, 심한 경우 맹목이 된다. 현재 효과적인 치료약이 필요한 상태이다.
US 662,798에는 하이드록시- 및 아실옥시 페닐술포닐아미노- 치환된 퀴놀린 및 퀴녹살린을 개시하고 있지만, 항바이러스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J. Sci. Ind. Res., sect. B, 21(1962)에는 3-p-톨루엔술포닐아미노-8-하이드록시 퀴놀린을 개시하고 있지만, 혈관신생 억제작용에 관하는 기재는 없다. 일본 특개평1-254682에는 치환된 술폰아미드를 가지는 1,8-나프틸리딘 및 피리도[2,3-d]피리미딘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제초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일본 특개소62-426 및 일본 특개평7-267936에는 항종양 작용을 가지는 술폰아미드 퀴녹살린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지만, 혈관신생 억제작용에 대한 기재는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우수한 혈관신생 억제작용을 가지고, 종래의 혈관신생 억제제와는 구조가 다른 신규한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중간체 및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유용한 술폰아미드함유 복소환 화합물, 및 그 혈관신생 저해작용에 관한 것이다. 또한, 혈관신생 저해작용에 기초하는 항종양제, 암전이 억제제, 당뇨병성 망막증 치료제, 류머티즘성 관절염치료제, 혈관종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혈관신생 억제제에 대해 집중적인 연구를 행하던 결과, 새로운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의 우수한 혈관신생 억제작용 및 의약으로서의 우수한 효과를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일반식 (I)로 표현되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제공한다.
(I)
상기 식에서,
A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CO)kNR2R3(식 중에서, R2및 R3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고 k는 0 또는 1을 의미함),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는 C2-C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 또는 하기의 A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는 페닐기 또는 페녹시기를,
B는 하기의 A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알릴기 또는 단일 고리 헤테로아릴기, 또는
(식 중에서, 고리 Q는 하나 또는 2개의 질소원자를 가질 수 있는 방향족 고리를, 고리 M은 고리 Q과 이중결합을 공유하는 C5-C12의 불포화 단일 고리 또는 복수 고리를 의미하고, 상기 고리는,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의 이종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고리 Q 및 고리 M은 질소원자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고, 또한, 고리 Q 및 고리 M은 하기 A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음)을,
K는 단일 결합, 또는 -(CR4R5)m-(식 중에서, R4및 R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C1-C4 알킬기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를 의미함)을,
T, W, X 및 Y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하고 각각은 =C(D)-[식 중에서, D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l-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CO)nNR6R7(식 중에서, R6및 R7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고 n은 O 또는 1을 의미함)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C2-C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의미함], 또는 질소원자를,
U 및 V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 C(D)-(식 중에서, D는 앞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임), 질소원자, -CH2-, 산소원자- 또는 -CO-을,
Z는 단일 결합 또는 -CO-NH-를,
R1은 수소원자 또는 Cl-C4 알킬기를,
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을 의미한다.
A 군은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R8R9N(NH)p -(식 중에서, R8및 R9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고 p는 O 또는 1을 의미하고, 또한, R8및 R9는 질소원자와 함께 결합하여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고리는 또 질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치환기를 포함할 수도 있음), 하나 또는 두 개의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술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C1-C8 아실기, C1-C4 알킬-S(0)s-C1-C4 알킬렌기(식 중에서, s는 0, 1 또는 2의 정수를 의미함), C1-C4 알킬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페닐술포닐아미노기, -(CO)qNR10R11(식 중에서, R10및 R11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 또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고 q는 0 또는 1을 의미함),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알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임.
단, U가 산소원자일 때 V는 -CO- 또는 -CH2-을 의미하고, V가 산소원자일 때 U는-CO- 또는 -CH2-을 의미하고, 또, 이하의 경우는 제외하는 것으로 한다. 1) T, U, V, W, X 및 Y 중 어느 하나만이 질소원자이고, A 및 D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경우. 2) T, U, V, W, X 및 Y가 동시에 질소원자인 경우. 3) Y 및 W가 질소원자로, T, U, V 및 X가 = C(D1)-(식 중에서, D1은 수소원자, 메틸기, 할로겐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메톡시기를 의미함)이고 Z가 단일 결합이고, A가 수소원자, 메틸기, 할로겐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메톡시기인 경우. 4) W가 질소원자로, T, U, V, X 및 Y가 = C(D2)-(식 중에서, D2는 수소원자를 의미함)이고 K 및 Z가 단일 결합이고, A가 수산기이고, B가 p-톨루엔술포닐 아미노기인 경우. 5) V 및 W가 질소원자인 경우. 6) T, V 및 W가 질소원자인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식(I)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인 하기의 일반식 (II)로 표현되는 할로겐-치환된 퀴놀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II)
[식 중에서,
Y1및 W1는 상이하고 질소원자 또는 = C(D3)-(식 중에서, D3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CO)nNR6R7(식 중에서, R6및 R7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고, n은 0 또는 1을 의미함)이고,
E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이고,
J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기, 또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카르복시기이고,
G1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CO)tNR14R15(식 중에서, R14및 R1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각각은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고, t는 0 또는 1을 의미함)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C2-C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의미함]. 단, Y1이 질소원자, E가 수산기, J가 아미노기, G1이 수소원자인 경우는 제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식 (III)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주석, 아연 또는 철에 의해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반식 (IV)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II)
식 중에서,
E1은 할로겐원자,
E2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
R16은 카르복시기의 보호기,
G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의미함
(IV)
식 중에서,
E1는 할로겐원자,
R16은 카르복시기의 보호기,
G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의미함.
상기 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II)에서, Y1가 질소원자, W1가 =CH-, E는 할로겐원자, J가 보호기를 가지는 카르복시기, G1이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식 (I)으로 표시되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신생 억제제, 항암제, 암전이 억제제, 당뇨병성 망막증 치료제, 류머티즘성 관절염 치료제 또는 혈관종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식(I)으로 표시되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의 약리학상 유효량을 환자에게투여하여 혈관신생 억제 작용의 예방 또는 치료가 효과가 있는 질환을 예방·치료하는 방법, 암, 암전이, 당뇨병성 망막증, 류머티즘성 관절염 또는 혈관종을 예방·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식(I)로 표현되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혈관신생 억제제, 항암제, 암전이 억제제, 당뇨병성 망막증 치료제, 류머티즘성 관절염 치료제 또는 혈관종 치료제의 제조하는 데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리 Q에서「하나 또는 2개의 질소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방향족 고리」라는 것은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하나 또는 2개의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6원 방향족 복소환이다. 고리 Q의 방향족 고리는 예를 들면 벤젠,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등이 있다. 또한, 고리 M의 「C5-C12의 불포화의 단일 고리 또는 복수 고리를 의미하고, 상기 고리는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4개의 이종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라는 것은 고리 Q와 이중결합을 공유하는 불포화의 단일 고리 또는 복수 고리를 의미하고, 벤젠, 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헵텐, 사이클로옥텐, 사이클로 펜타디엔, 사이클로헵타딘엔, 사이클로옥타디엔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 피롤, 퓨란, 티오펜, 옥사졸, 이속사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피라졸, 이미다졸, 트리아졸,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딘, 인톨, 이소인톨, 퀴놀린, 이소퀴놀린, 인다졸리딘, 나프틸리딘, 벤조퓨란, 벤조피란, 벤조티오펜, 벤트이미다졸벤즈옥사졸, 벤조티아졸, 피롤로피리딘, 피리도피리미딘, 이미다조피리딘 등의 불포화 복소환을 의미한다. 또한, "고리 Q와 고리 M은 하나의 질소원자를 공유할 수도 있다"라는 것은 양 고리의 축합 위치에 질소원자가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리는 예를 들면 인다조리딘, 이미다조[1, 2-a]피리딘, 이미다조[1, 5-a]피리딘, 피라졸로[1, 5-a]피리미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R1, R4, R5에서의 C1-C4 알킬기, 또는 A, D, R1, R2, R3,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G1, G2및 A 군에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l-C4 알킬기에서 C1-C4 알킬기는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기상의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를 의미한다.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라는 것은 이들 알킬기가 플루오르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에서 선택되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모노플루오로메틸기, 모노클로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 또는 2-모노플루오로에틸기, 1- 또는 2-모노클로로에틸기, 1- 또는 2-모노브로모에틸기, 1.2-디플루오로에틸기, 1, 2-디클로로에틸기, 1, 1, 2, 2, 2-펜타플루오로에틸기,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모노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 또는 2-모노플루오로에틸기, 1, 2-디플루오로에틸기, 1, 1, 2, 2, 2-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D 및 A 군에서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콕시기에서 C1-C4알콕시기로는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분기상의 알콕시기,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틸옥시기, 이소부틸옥시기, sec-부틸옥시기, tert-부틸옥시기를 포함한다.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라는 것은 이들 알콕시기가 플루오르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에서 선택되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모노플루오로메톡시기, 디플루오로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1- 또는 2-모노플루오로에톡시기, 1- 또는 2-모노클로로에톡시기, 1- 또는 2-모노브롬에톡시기, 1, 2-디플루오로에톡시기, 1, 1, 2, 2, 2-펜타플루오로에톡시기,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폭시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모노플루오로메톡시기, 디플루오로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1- 또는 2-모노플루오로에톡시기, 1, 2-디플루오로에톡시기, 1, 1, 2, 2, 2-펜타플루오로에톡시기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및 D에 보이는 C2-C4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탄소수 2로부터 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의미하며, 비닐기, 알릴기, 2- 또는 3-부테닐기, 1, 3-부탄디에닐기, 에티닐기, 2-프로피닐기, 2-메틸에티닐기, 및 2- 또는 3-부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B 및 A 군에 보이는 알릴기라는 것은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하여,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헤테로아릴기라는 것은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를 l 또는 2 이상 함유하는 단일 고리 또는 복수 고리로,예를 들면, 피롤릴,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푸릴기, 티에닐기, 옥사졸릴기, 이속사졸릴기, 티아졸릴기, 이소티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피리딜기, 피리미딜기, 피라질기, 인돌릴기, 인돌리지닐기, 벤즈이미다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퀴놀리닐기, 이소퀴놀리닐기, 퀴나졸리닐기 및 프탈라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R8및 R9에서 "R8및 R9는 결합하고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고리는 또 질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도 가능"이라는 것은 R8및 R9가 결합하고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피롤리디닐기, 피페리디닐기, 모르폴리노기, 티오모르폴리노기, 피페라지닐기 등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군에서 모노 또는 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술포닐기, C1-C4 알킬 S(0)s-C1-C4-알킬렌기, C1-C4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페닐술포닐아미노기,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라는 것은, 상기와 동일한 알킬기를 의미하고, 알킬렌기라는 것은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또는 메틸메틸렌기, 1- 또는 2-메틸에틸렌기, 1-, 2- 또는 3-메틸프로필렌기, 디메틸메틸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C1-C8 알카노일기라는 것은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이소부티릴기, 발레릴기, 벤조일기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J에 나타난 "보호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기"에서의 보호기라는 것은 보통의 유기 합성상 아미노기의 보호기로 알려져 있는 기라면 어떠한 기라도 가능하고, 특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벤질옥시카르보닐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포르밀기, 아세틸기, 클로로아세틸기, 2, 2, 2-트리클로로에틸기, 벤질리덴기, 벤즈히드릴기, 트리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호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카르복시기에서 보호기 및 R16에서의 카르복시기의 보호기라는 것은 통상의 유기 합성상 카르복시기의 보호기로 알려져 있는 기라면 어떠한 기라도 가능하고, 특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메톡시메틸기, 2, 2, 2-트리클로로에틸기, 피발로일옥시메틸기, 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치환기를 갖더라도 좋다」에서 치환기라는 것은 앞에 설명한 할로겐원자,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수산기, 하이드록시 C1-C4 알킬기, 모노 또는 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기, C2-C4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 시아노기, C1-C8 아실기, 모노 또는 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술포닐기, 카르복시기, C1-C4 알콕시카르보닐기, 모노 또는 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카르바모일기 등을 의미한다.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은 산 또는 염기와 염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화합물(I)의 염도 포함한다. 산과의염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황산염 등의 무기산염이나 초산, 젖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구연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또, 염기와의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등의 무기염, 트리에틸아민, 아르기닌, 리신 등의 유기염기와의 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수화물은 물론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는 이들 전부가 포함되는 것은 언급할 필요도 없다. 또, 생체내에서 산화, 환원, 가수분해, 접합(conjugation) 등의 대사를 받아 본 화합물로부터 유발되는 혈관신생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내에서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의 대사를 받아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화합물도 포함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합물(I)은 여러 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지만, 그들의 대표적인 방법은 이하와 같다.
1)Z가 단일 결합인 경우
식 중에서, A, B, T, U, V, W, X 및 T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식(V)으로 표현된 술폰산 또는 그 반응성 유도체와 식(VI)으로 표현된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술폰산(V)의 반응성 유도체로는, 예를 들면 할로겐화 술포닐, 술폰산무수물, N-술포닐이미다졸리드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잘 이용되는 반응성 유도체를 들 수 있지만, 특히 바람직한 예는 할로겐화 술포닐이다. 반응에 사용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료 물질을 용해하여, 또한 이들과 용이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피리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벤젠, 에틸에틸, 디클로로메탄,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용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반응에 있어서 할로겐화 술포닐을 이용한 경우와 같이, 반응의 진행에 따라 산이 유리하여 오는 경우에는, 적당한 탈산제의 존재하에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피리딘와 같은 염기성 용매의 사용은 특히 바람직하다. 중성용매를 사용할 때는, 탄산알칼리 금속, 유기제3급아민 등의 염기성물질을 첨가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여기에 든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 반응은 실온으로 진행하지만, 필요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할 수도 있다. 반응시간은 통상 10분∼20시간이지만, 원료 화합물의 종류, 반응 온도에 의해서 임의로 선택된다.
얻어진 생성물에 있어서, 아미노기 또는 수산기가 보호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망에 의해 산처리, 알칼리처리, 접촉환원 등 보통의 탈보호법을 행함으로써, 유리의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를 가지는 술폰아미드 유도체 (VII)를 얻을 수 있다.
2) Z가 -CO-NH-인 경우
식 중에서, L은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R17은 C1-C4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의미하며 A, B, T, U, V, W, X 및 T는 앞에서 정의된 바를 의미한다.
표제의 화합물은 식(VIII)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와 식(IX)으로 표현되는 술폰아미드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물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톤 등의 물혼화성 비반응성 용매중,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나트륨메톡시드, 수소화나트륨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행한다. 반응은 O℃ 내지 10O℃까지로써 행한다. 바람직한 온도는 약 20℃ 내지 3O℃ 이다.
다른 바람직한 반응은, 식 (XI)으로 표현되는 아민과 식 (IX)으로 표현되는술폰아미드와 식 (XIII)으로 표현되는 할로포르메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식 (XII)으로 표현되는 카바메이트를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식 (IX)으로 표시되는 술폰아미드와 식 (XIII)으로 표현되는 할로포르메이트와의 반응은,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틸에틸케톤 등의 비반응성 용매 중,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산불순물 제거제의 존재 하에서 행한다. 반응 온도는 약 3O℃ 내지 환류 온도로 행한다. 다음에, 식 (XII)로 표현되는 카바메이트와 식(XI)으로 표현되는 아민과의 반응은, 다이옥산, 톨루엔, 디글림 등의 불활성 고비점의 용매 중, 약 5O℃ 내지 환류 온도의 범위에서 가열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본 발명화합물인 술폰아미드 또는 술포닐우레아 함유 복소환 화합물의 원료인 식(VI) 또는(XI)으로 표시되는 아민화합물은 기지의 방법을 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퀴놀린, 이소퀴놀린 유도체는 이하의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식 중에서, A, E2, G2, R16은 앞에서 정의된 바를 의미하며, R18은 C1-C4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의미한다.)
(식 중에서, A, G2는 앞에서 정의된 바를 의미한다.)
(식 중에서, R18은 앞에서 정의된 바를 의미하며, R19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한다.)
(식 중에서, R18, E2는 앞에서 정의된 바를 의미하며, R20, R21는 수소원자 또는 C1-C4 알킬기를, R22는 C1-C4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페녹시기 또는 페닐기, 시아노기, 모노 또는 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기를, E3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C1-C4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페녹시기 또는 페닐기, 시아노기, 모노 또는 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된다. 투여량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감수성 차이, 투여 방법, 투여 시기, 투여 간격, 의약제의 성질, 조제, 종류, 유효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성인 하루 당 약 10∼6000 ㎎, 바람직하게는 약 50∼4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3000 ㎎이며, 이것을 통상 하루 1∼3회로 나누어 투여한다.
경구용 고형제를 조제하는 경우는, 주약에 부형제 또 필요에 따라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착색제, 향미제 등과 같은 기타 첨가제를 첨가한 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피복정제, 과립제, 미립제, 가루약, 캡슐제 등으로 한다.
부형제로는, 예를 들면 락토오스, 옥수수 녹말, 설탕, 포도당, 솔비톨, 결정 셀룰로즈, 이산화규소 등이, 결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콜, 에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아라비아 고무,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즈 등이, 윤활제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실리카 등이, 착색제로는 의약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는 것을 포함한다. 향미제로는, 코코아 분말, 멘톨, 방향산, 박하유, 용뇌, 계피 분말 등이 이용된다. 이들 정제, 과립제에는 당의, 젤라틴의, 기타 필요에 의해 적절한 코팅하는 것은 물론 상관이 없다.
주사제를 조제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의해 주약에 pH 조정제, 완충제, 현탁화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맥, 피하, 근육내주사제로 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동결건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탁화제로는, 예를 들면 메틸 셀룰로즈, 폴리소르베이트 80,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아라비아 고무, 트라간트 분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용해 보조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 80, 니코틴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Macrogol, 피마자유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로는, 예를 들면 아황산나트륨, 메타아황산나트륨 등을, 보존제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소르빈산, 페놀, 크레졸, 클로로크레졸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약리 실험예에 의해 본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약리 실험예1 - 혈관신생 저해작용
래트 대동맥편을 콜라겐 내에서 배양했을 때에 관찰되는 신생혈관에 대한 저해도를 혈관신생 저해활성으로 정의하였다. 즉, Sprague-Dawley 계 암컷 래트(10- 12주령)로부터 적출한 대동맥을 Hanks'solution으로 세정하면서 주변의 지방조직을 정교하게 제거한다. 대동맥을 절개하여 2mm 각의 절편을 작성한 후, 24개의 웰플레이트 내로 내피 세포면을 위로해서 정치한다. 다음에, 500 ㎕의 중성화한 타입 I 콜라겐(Cell Matrix Type I-A: Nitta Gelatin사 제조)을 각 웰로 부어, 깨끗한 벤치 내에서 약 20분간 실온으로 방치하여 겔을 굳어지게 한다. 겔이 굳어진 것을 확인한 후에 500 ㎕의 MCDB 131 배지(크로레라 공업)를 첨가하여, C02인큐베이터(5% C02)로 37℃로 배양한다. 다음날, 시험 화합물을 포함하는 500 ㎕의 MCDB 131 배지와 배양액을 교환하여, 배양을 계속한다. 3일 후에 다시 시험 화합물을 포함하는 500 ㎕의 MCDB 131 배지와 교환하여, 시험 화합물 첨가 개시보다 7일째의 시점에서 대동맥 주위에 형성된 모세혈관수를 현미경으로 계측하였다. 시험 화합물 함유 용액은 10 ㎍/㎖을 최고 농도로서 3배 희석 시스템으로 조정하였다.
이하의 식으로 억제율을 산출하여, 각 시험 화합물의 5O% 억제농도(IC50치)를 구하였다.
억제율 (%)=(C-T)/C ×1OO
C: 화합물 무첨가시의 모세혈관수
T: 화합물 첨가시의 모세혈관수
[표 1]
시험 화합물(실시예 번호) IC50(㎍/㎖) 시험 화합물(실시예 번호) IC50(㎍/㎖)
실시예 1 0.49 실시예 50 0.31
실시예 2 0.74 실시예 53 0.53
실시예 4 0.09 실시예 59 0.20
실시예 6 0.12 실시예 61 0.3
실시예 11 0.04 실시예 69 0.15
실시예 15 0.87 실시예 77 0.39
실시예 24 0.49 실시예 80 0.20
실시예 27 0.08 실시예 81 0.85
실시예 38 0.15 실시예 84 0.14
실시예 47 0.09 실시예 91 0.33
실시예 48 0.35 실시예 92 0.2
이하, 본 발명 화합물의 원료 화합물의 제조를 나타내는 제조예 및 발명 화합물의 대표 화합물에 대해 실시예를 들지만,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2-아미노-5-브로모퀴놀린
2-브로모-6-니트로벤즈알데히드(3O.4 g), 마그네슘옥사이드(75 g), 디메틸설폭사이드(11.3 ㎖)를 1분간 잘 교반한 후, 디에틸(시아노메틸)포스포네이트(25.8 ㎖)를 첨가하고 2시간 더 교반하였다. 교반을 중지하고 하룻밤 방치한 후, 초산에틸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초산에틸)로써 정제하여 3-(2-브로모-6-니트로페닐)-2-프로펜니트릴(E-이성체: Z-이성체= 3:1) 32 g을 얻었다.
1H-NMR(CDCl3)δ(ppm): 5.63(d, J=16.5Hz, E-이성체 1H), 5.81(d, J=10.8Hz, Z-이성체 1H), 7.42-7.52(m, E-이성체 1H, Z-이성체 2H), 7.56(d, J=16.5Hz, E-이성체 1H), 7.90-8.16(m, E-이성체 2H, Z-이성체 2H).
다음에, 3-(2-브로모-6-니트로페닐)-2-프로펜니트릴(E-이성체 : Z-이성체= 3:1) 32g에 에탄올(250 ㎖), 주석(60 g), 증류수(150 ㎖)를 첨가하여, 교반하에서 90℃로 가열하고, 농염산(256 ㎖)을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로 3시간 교반하였다. 실온에 되돌린 후, 액층을 상층액 분리하여 O℃로 식혀 얻어지는 개체를 여과 채취하여,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농축하여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 크로마토그래피(초산에틸)로써 정제하고 표제 화합물을 5.0 g 얻었다.
제조예 2
2-아미노-5-클로로퀴놀린
제조예 1과 같이 하여 2-클로로-6-니트로벤즈 알데히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3
3-카르브에톡시-4-하이드록시-8-브로모퀴놀린
2-브로모 아닐린 50g(0.291 mol)과 디에틸에톡시메틸렌말로네이트 63g(O.291 mol)의 혼합물을 3시간 감압하에서 10O℃로 가열한 후, 또 20O℃로 12시간 가열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의 고체를 초산에틸로 세척하여, 결정을 여과 채취하고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50g 얻었다.
제조예 4
3-카르브에톡시-8-브로모퀴놀린
3-카르브에톡시-4-하이드록시-8-브로모퀴놀린 2.5 g (8.4 mmol)과 옥시염화인 10 ㎖의 혼합물을 1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종료 후 옥시염화인을 제거하여, NH 실리카겔로 정제하고 염소화 유도체를 2.6 g 얻었다. 다음에, 염소화 유도체 500 ㎎(1.6 mmol)을 다이옥산 20 ㎖에 용해하여, 아연 분말 1 g과 초산 3 ㎖을 첨가하여, 65℃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반응액에 초산에틸을 첨가하고 셀라이트(Celite) 여과하고, 여과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척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초산 1 ㎖을 첨가하여 12시간 방치 후, 초산을 제거하여,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용매(초산에틸 n-헥산= 1-7)로 용출하여 표제 화합물을 180 ㎎ 얻었다.
제조예 5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3-카르브에톡시-8-브로모퀴놀린 500 ㎎(1.8 mmol)을 에탄올(10 ㎖)/1N Na0H 수용액(10 ㎖)에 첨가하여 실온으로 3시간 교반하였다. 에탄올을 제거하여, 1N HCl로 중화하고 석출되는 고체를 여과 채취하고, 수세, 건조하여 카르본산을 450㎎ 얻었다. 다음에, 이 카르본산 450 ㎎(1.8 mmol)을 tert-부탄올 25 ㎖에 더하고, 또 DPPA 0.58 ㎖(2.7 mmol)과 트리에틸아민 0.37 ㎖(2.7 mmol)을 첨가하여 12 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에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용매(초산에틸-n-헥산 = 1-4)로 용출하여 아미드 유도체를 352 ㎎ 얻었다. 다음에, 아미드 유도체 350 ㎎(1.1 mmol)을 메탄올 4 ㎖ 및 무수 HCl 2 ㎖의 혼합액에 첨가하여 실온으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암모니아수에 의해 알칼리성으로 만들고, 초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240 ㎎ 얻었다.
제조예 6
3-아미노-8-요오드퀴놀린
제조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2-요오드아닐린으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7
3-아미노-8-시아노퀴놀린
제조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2-시아노아닐린으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8
3-아미노-8-(메틸술포닐)퀴놀린
제조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9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
제조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10
3-아미노-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
제조예 (3-5)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11
에틸-8-클로로-4-비닐퀴놀린-3-카르복시레이트
제조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에틸-4, 8-디클로로퀴놀린-3-카르복시레이트 2.0 g(7.4 mmol)의 톨루엔 용액(20㎖)에 트리부틸비닐친(2.8 ㎖)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171 ㎎)을 첨가하고, 가열환류 하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셀라이트여 과, 농축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1.92 g 얻었다.
제조예 12
3-아미노-8-클로로-4-비닐퀴놀린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4-비닐8-클로로퀴놀린-3-카르복시레이트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13
에틸-7-아미노-2-클로로퀴놀린-4-카르복시레이트
메타페닐렌디아민 25g (231m mol)에 옥살로초산 디에틸 에스테르 43 g (231 mmol)을 첨가하여, 160도로 1시간 교반하였다. 방냉 후, 결정을 메탄올로 세정하였다. 이 결정 3.0 g(13 mmol)의 클로로포름 용액(30㎖)에 옥시염화인(3.6 ㎖)을 첨가하여, 1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방냉 후, 얼음물에 부어, 1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알칼리화한 후, 결정을 여과채취하였다. 결정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세정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 하는 것으로, 표제 화합물 4.85 g을 얻었다.
제조예 14
2-벤질티오-4-메톡시피리다진
수소화나트륨 843㎎(21 mmol, 55% 유성)을 디메틸설폭사이드(30 ㎖)에 현탁하고, 빙냉하에서 벤질메르캅탄 2.0 ㎖(16.7 mmol)을 첨가하여 10 분간 교반하였다. 그 반응액에, 4-메톡시-2-클로로피리다진 2.5 g(17.6 mmol)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철야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염화 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농축 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표제 화합물을 1.63 g 얻었다.
제조예 15
2-벤질티오-4-카르복시아미드피리딘
2-클로로이소나이아신 25 g(159 mmol)에 티오닐클로라이드(120 ㎖)를 첨가하여, 가열환류 하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방냉 후, 감압농축 하는 것으로 잔류물을 얻었다. 이 잔류물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200 ㎖)을 빙냉하에서, 포화 암모늄 수용액(200 ㎖)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200 ㎖)의 혼합 용액에 첨가하였다. 빙냉 하에서 15 분정도 교반한 후, 감압 농축 후하고, 결정을 여과채취, 수세하는 것으로 백색 결정 22.6 g을 얻었다. 이 백색 결정 5.13 g(32 mmo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용액(70㎖)에 벤질티오메르캅탄 4.2 ㎖(36 mmol)과 탄산칼륨 10g(77 mmol)을첨가하여, 가열환류 하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 농축 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얻어진 결정을 헥산으로 세정함으로써, 표제 화합물 6.3 g을 얻었다.
제조예 16
7-아미노-2-클로로-4-메틸퀴놀린
메타페닐렌디아민 27 g(251 mmol)에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32 ㎖(251 mmol)을 첨가하여, 200도로 1 시간 교반하였다. 방냉 후, 결정을 헥산으로 세정하였다. 이 결정 9.5g(54 mmol)에 옥시염화인 15m을 첨가하여, 2시간가열환류하고, 방냉 후, 얼음물에 부어, 포화암모늄 수용액으로 알칼리화하였다. 생성한 결정을 여과채취하여, 수세하였다. 결정을 메탄올로 세정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 하는 것으로, 표제 화합물 4.85 g을 얻었다.
제조예 17
3, 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
1, 2, 3, 4-테트라하이드로 이소퀴놀린 26.67 g(0.2 mol)의 염화메틸렌 용액(300 ㎖)에 빙냉하에서, N-브로모숙신이미드(39.. 2g)를 2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40 분간 교반하여, 반응액에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30 ㎖)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수세 후, 10% 염산물(200㎖)로 추출, 수층을 염화메틸렌으로 세정하였다. 수층을 암모니아수로 알칼리화하여,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증류(약 16 mmHg, 120도)하고 표제 화합물 21.5 g을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
제조예 18
7-니트로이소퀴놀린
질산칼륨 15 g을 농축황산(70 ㎖)에 더하고, -15도로써 3, 4-디하이드로 이소퀴놀린 18 g(0.14 mol)의 농황산(70 ㎖) 용액의 20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실온으로 1시간 교반 후, 60도로 40분간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얼음물에 넣어, 암모니아수로써 알칼리화하였다. 초산에틸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농축 후, 잔류물에 데카린(1OO ㎖), 니트로벤젠(1OO ㎖), Pd-Black(2 g)을 첨가하여, 질소기류하에서, 200도로 하룻밤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초산에틸로 세정한 후, 2N 염산물로 추출하고, 수층을 초산에틸로 세정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생긴 침전물을 여과채취하여, 수세하면 표제 화합물 l 4. 4 g을 얻었다.
제조예 19
4-브로모-7-니트로이소퀴놀린
7-니트로퀴놀린 1.6 g(9.19 mmol)에 HBr수 1.2 ㎖, 브롬 3 ㎖을 첨가하여, 180도에서 5시간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초산에틸로 추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순차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농축 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헥산: 초산에틸= 4: 1로 용출)로써 정제하면 표제 화합물 500 ㎎이 얻어졌다.
제조예 20
7-아미노-4-브로모이소퀴놀린
7-니트로-4-브로모이소퀴놀린 66 ㎎(O.26 mmol)을 에탄올 1 ㎖,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 ㎖, 물 1 ㎖에 용해시키고, 철가루 70 ㎎, 염화암모늄 140 ㎎을 첨가하여, 50도로 3시간 가열하였다. 반응액에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농축 후 얻어진 잔류물을 이소프로필에틸로 결정화하면 표제 화합물이 33 ㎎ 얻어졌다.
제조예 21
6-(4-톨루엔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이소퀴놀린(3.348g, Synthesis, 733(1975))를 피리딘(30 ㎖)에 용해하고, 4-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5.13 g)를 첨가하고 실온으로 철야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용매를 감압제거하였다. 에탄올로 재결정하고, 담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5.958 g, 85%)을 얻었다.
제조예 22
1-클로로-6-(4-톨루엔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4-톨루엔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3.0 g, 제조예 21)을 클로로포름(100 ㎖)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m-클로로퍼벤조산(2.57g)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철야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제거하여, 얻어진 결정을 디에틸에틸로 세정, 여과채취, 건조하여, 담황색 결정을 얻었다. 이것을 클로로포름(83 ㎖)에 현탁시키고, 옥시염화인(19 ㎖)을 첨가하여, 5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냉각 후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얼음욕하에서 포화 중탄산나트륨물을 첨가하여 알칼리화한 후,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 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고, 표제 화합물의 조결정(1.630 g, 49.40%)을 얻었다.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무색 결정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23
6-아미노-1-클로로이소퀴놀린
1-클로로-6-(4-톨루엔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3.323 g, 제조예 22)을 황산(30 ㎖)에 용해하여, 실온으로 철야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얼음 중에 넣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계속해서 탄산칼륨을 첨가하여 알칼리화한 후,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황갈색 결정의 표제 화합물(1.37g, 76.81%)을 얻었다.
제조예 24
2-클로로-16-나프틸리딘
1, 6-나프틸리딘-2-온(1.09, J.0rg. Chem.4744 (1990))을 옥시염화인(19 ㎖)에 용해하여, 12O℃로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냉각 후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물, 탄산칼륨으로 알칼리성으로 한 후,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오렌지색결정으로서 표제화합물(0.658g, 58.45%)을 얻었다.
제조예 25
2-아미노-1.6-나프틸리딘
2-클로로-1, 6-나프틸리딘(0.628 g, 제조예 22), 암모니아수(40 ㎖)를 밀폐된 관에서 13O℃으로 11시간 가열하였다. 냉각 후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담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0.497g, 89.73%)을 얻었다.
제조예 26
N-(3-니트로페네틸)프탈이미드
3-니트로페네틸알콜(15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225 ㎖)에 용해하고, 트리페닐포스핀(26 g), 프탈이미드(13.9 g)를 더한 후 빙냉하고,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시레이트(15.5 ㎖)를 적하하였다. 실온으로 1시간교반후, 석출한 결정을 여과채취, 디에틸에틸로 세정, 건조하여, 무색결정으로서 N-(3-니트로페네틸)프탈이미드를 얻었다.
제조예 27
3-니트로페네틸아민
제조예 26로 얻어진 N-(3-니트로페네틸)프탈이미드를 에탄올(150 ㎖)에 현탁시키고, 히드라진(5.7 ㎖)을 첨가하여 1 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액은 일단 완전히 용해되었지만, 다시 결정이 석출하였다. 이것을 여과제거, 냉에탄올로 세정 후,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의 표제 화합물(5.559g, 99%)을 얻었다.
제조예 28
N-아세틸-N-(3-니트로페네틸)아민
3-니트로페네틸아민(5.559 g, 제조예 25)를 피리딘(33 ㎖)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염화아세틸(2.5 ㎖)을 적하하였다. 실온으로 0.5 시간 교반 후 다시 빙냉하여 물을 첨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의 표제 화합물(6.323 g, 91%)을 얻었다.
제조예 29
N-아세틸-N-(3-아미노페네틸)아민
N-아세틸 N-(3-니트로페네틸)아민(2.l g, 제조예 28)을 에탄올(40 ㎖)에 용해하고, 철가루(2.25 g), 초산암모늄(4.3 g), 물(20 ㎖)을 더하고, 1.5 시간 가열환류하였다. 고형물을 여과제거, 에탄올로 세정 후, 여과액을 일부 감압 제거하였다.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의 표제 화합물(1.723g, 96%)을 얻었다.
제조예 3O
N-아세틸 N-(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네틸)아민
N-아세틸-N-(3-아미노페네틸)아민(1.7 g, 제조예 29)을 피리딘(5 ㎖)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클로로포름산에틸(1.4 ㎖)을 적하하였다. 실온으로 1시간 교반 후 다시 빙냉하여, 물을 첨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의 표제 화합물(2.358 g, 97%)을 얻었다.
제조예 31
6-에톡시카보닐아미노-1-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
N-아세틸-N-(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네틸)아민(1.0g, 제조예 30)을 이용하여, Heterocycles 31(2), 341(1990)기재의 방법에 의해 고리화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종료 후, 반응액을 얼음 중에 넣어, 탄산칼륨에 의해 알칼리화한 후,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갈색 오일상 물질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32
6-에톡시카보닐아미노-1-메틸이소퀴놀린
6-에톡시카보닐아미노-1-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에, p-시멘(100 ㎖), 팔라듐탄소(0.9 g)를 첨가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195℃로 1시간 가열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제거, 에탄올로 세정후, 여과액을 일부감압제거하였다. 1N 염산으로 추출 후 탄산칼륨으로 알칼리화한 후,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 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담황색 결정의 표제 화합물(0.629g, 69%, 2단계)을 얻었다.
제조예 33
6-아미노-1-메틸이소퀴놀린
6-에톡시카보닐아미노-1-메틸이소퀴놀린(0.629 g, 제조예 32)을 에탄올(20 ㎖)에 용해하고,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6.8 ㎖)을 더하고, 1.5 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실온까지 방냉 후, 포화염화 암모늄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담황색 결정의 표제 화합물(0.31l g, 72%)을 얻었다.
제조예 34
N-t-부톡시카보닐-3-니트로페네틸아민
3-니트로페네틸아민(4.559 g, 제조예 27)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30 ㎖)에 용해하고, 트리에틸아민(8.4 ㎖), 디- t-부틸디카보네이트(6.6 g)를 첨가하여, 실온으로 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후 포화식염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의 표제 화합물(8.789 g, 불순물있음)을 얻었다. 다음 반응에는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서 이용하였다.
제조예 35
3-(2-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아닐린
N-t-부톡시카보닐-3-니트로페네틸아민(8.789 g, 불순물있음, 제조예 34)을 이용하여 제조예 170과 동일하게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의 표제 화합물(5.521 g, 76%)을 얻었다.
제조예 36
3-(2-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에톡시카보닐아미노벤젠
3-(2-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아닐린(5.521 g, 제조예 35)을 이용하여 제조예 29와 동일하게 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의 표제 화합물(0.320g)을 얻었다. 다음 반응에는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서 이용하였다.
제조예 37
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네틸아민 염산염
3-(2-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에톡시카보닐아미노벤젠(14.96 g, 제조예 36)를 에탄올(15 ㎖)에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염산(15 ㎖)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20분간 교반하였다. 염산(12 ㎖), 에탄올(15 ㎖)을 추가하여 실온으로 20분간 교반한 후, 또 염산(20 ㎖), 에탄올(30 ㎖)을 추가하여, 실온으로 30분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톨루엔 공비)후, 담황색 결정의 표제 화합물(11.99 g)을 얻었다.
제조예 38
6-아미노에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제조예 39로 얻어진 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네틸 아민염산염(4.7 g)를 이용하고, Chem. Pharm. Bul1.42(8), 1676(1994)의 방법에 따라서, 황색오일상 물질의 표제 화합물(4.226 g, 불순물있음)을 얻었다.
제조예 39
6-에톡시카보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에틸 1, 2, 3, 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10 g, 제조예 38)에 p-시멘(100 ㎖), 팔라듐탄소(0.9 g)를 첨가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195℃로 1시간 가열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제거, 에탄올로 세정후, 여과액을 감압제거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디에틸에틸로 세정,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담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6.51g, 66%)을 얻었다.
제조예 40
6-에톡시카보닐아미노이소퀴놀린-N-옥사이드
6-에톡시카보닐아미노이소퀴놀린(250 ㎎, 제조예 39)을 이용하여 제조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담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293 ㎎)을 얻었다.
제조예 41
1-클로로-6-에톡시카보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에톡시카보닐아미노이소퀴놀린-N-옥사이드(250 ㎎)를 이용하여 제조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담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173 ㎎, 60%, 2 단계)을 얻었다.
제조예 42
1-메톡시-6-메톡시카보닐아미노이소퀴놀린
1-클로로-6-에톡시카보닐아미노이소퀴놀린(2.27 g, 제조예 41)을 디메틸설폭사이드(45 ㎖)에 용해하고, 28% 나트륨메톡시드 용액(8.7 ㎖)을 더하고, 11O℃로 1.5 시간가열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방냉후, 포화염화 암모늄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갈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1.75 g, 84%)을 얻었다.
제조예 43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1-메톡시-6-메톡시카보닐아미노이소퀴놀린(1.75 g, 제조예 42), 또, 용매로서 메탄올을 이용하여, 제조예 41과 동일하게 하여 담갈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1.04 g, 99%)을 얻었다.
제조예 44
N-프로피닐-(3-니트로페네틸)아민
3-니트로페네틸아민(3.0 g, 제조예 27), 염화프로피오닐(2.5 ㎖)을 이용하고 제조예 28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3.070 g, 77%, 불순물있음)을 얻었다.
제조예 45
N-프로피닐-(3-아미노페네틸)아민
N-프로피닐-(3-니트로페네틸)아민(3.070 g, 제조예 44)을 이용하여 제조예 29와 동일의 방법에 의해 반응을 행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고, 담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0.857g, 32%)을 얻었다.
제조예 46
N-프로피닐-(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네틸)아민
N-프로피닐-(3-아미노페네틸)아민(0.857 g, 제조예 44)을 이용하여 제조예 30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반응을 행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고, 옅은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0.747g, 61%)을 얻었다.
제조예 47
6-에톡시카보닐아미노-1-에틸이소퀴놀린
N-프로피닐-(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네틸)아민(0.747 g, 제조예 46)을 이용하고 제조예 31-32와 동일의 방법에 의해, 갈색결정으로서 6-에톡시카보닐아미노-1-에틸 l-3, 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 계속해서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0.516 g, 75%, 2 단계)을 얻었다.
중간체, 표제 화합물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6-에톡시카보닐아미노-1-에틸-3, 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
6-에톡시카보닐아미노-1-에틸이소퀴놀린
제조예 48
6-아미노-1-에틸이소퀴놀린
6-에톡시카보닐아미노-1-에틸이소퀴놀린(0.516 g, 제조예 47)을 이용하고 제조예 33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담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0.320 g, 88%)을 얻었다.
제조예 49
1-메톡시-4-(3-니트로페닐)프로판-1-엔
메톡시메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31.1 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0 ㎖)에 현탁시키고, 빙냉하에서, 포타슘 t-부톡시드(10.2 g)를 첨가하여, 반응액이 붉은색으로 되면 바로 3-니트로아세토페논(10 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 ㎖)에 용해한것을 피펫으로 조금씩 첨가하였다. 실온으로 2.5 시간교반한 후, 빙냉하에서 포화 염화 암모늄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8.010 g)을 얻었다.
제조예 5O
2-(3-니트로페닐)프로파날
1-메톡시-4-(3-니트로페닐)프로판-1-엔(8.010 g)에 2N 염산(150 ㎖)을 첨가하여 8O℃로 4 시간 가열교반한 후, 염산(5 ㎖)을 더하고 2.5 시간가열환류하였다. 냉각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7.531 g)을 얻었다.
제조예 51
2-(3-니트로페닐)프로판-1-올
2-(3-니트로페닐)프로파날(7.531g)을 에탄올(100 ㎖)에 용해하고, 빙냉하 수소화붕소나트륨(1.9g)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1시간교반하였다. 포화식염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고, 갈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6.275 g, 57.19%, 3 단계)을 얻었다.
제조예 52
2-(3-니트로페닐)프로필아민
2-(3-니트로페닐)프로판-1-올(1.908 g, 제조예 51)을 이용하여 제조예 26-27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53
1-t-부톡시카보닐아미노-2-(3-니트로페닐)프로판
제조예52로 얻어진 2-(3-니트로페닐)프로필아민을 이용하여 제조예 35와 같이 반응을 행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2.626g)을 얻었다.
제조예 54
2-(3-아미노페닐)-1-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판
얻어진 1-t-부톡시카보닐아미노-2-(3-니트로페닐)프로판(2.626 g)을 이용하여 제조예 29와 동일의 방법에 의해,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55
1-t-부톡시카보닐아미노-2-(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프로판
얻어진 2-(3-아미노페닐)-1-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판을 이용하여 제조예 30과 같이 반응을 행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고, 갈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2.960 g, 77.56%, 3 단계)을 얻었다.
제조예 56
6-에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1-t-부톡시카보닐아미노-2-(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프로판(2.960 g, 제조예 55)을 이용하고 제조예 38-39와 동일의 방법에 의해, 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2.967g, 조산물)을 얻었다.
제조예 57
6-에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이소퀴놀린
얻어진 6-에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1, 2, 3, 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2.967g, 조산물)을 이용하고 제조예 40와 같이 반응을 행하고, 담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2.061g, 조산물)을 얻었다.
제조예 58
6-아미노-4-메틸이소퀴놀린
얻어진 6-에톡시카보닐아미노-4-메틸이소퀴놀린(2.061 g, 조산물)을 이용하여 제조예 30과 같이 반응을 행하고, 얻어진 결정을 디에틸에틸로 세정, 건조함으로써, 담황색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0.403g, 27.75%, 4 단계)을 얻었다.
제조예 59
2-(3-니트로페닐)부탄-1-올
3-니트로프로피오페논(10 g)을 이용하고 제조예 52-55와 동일의 방법에 의해,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5.456 g, 50.08% 3 단계)을 얻었다.
제조예 60
2-(3-니트로페닐)부틸아민
2-(3-니트로페닐)부탄-1-올(5.456 g, 제조예 59)을 이용하고 제조예 26-27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5.247 g)을 얻었다.
제조예 61
1-t-부톡시카보닐아미노-2-(3-니트로페닐)부탄
이어서, 얻어진 2-(3-니트로페닐)부틸아민(5.247g)을 이용하여 제조예 27과 같이 반응을 행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고, 담황색 오일상물질로서 표제 화합물(7.679 g)을 얻었다.
제조예 62
2-(3-아미노페닐)-1-t-부톡시카보닐아미노부탄
1-t-부톡시카보닐아미노-2-(3-니트로페닐)부탄(7.679g)을 이용하고 제조예 29와 동일의 방법에 의해,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6.31lg, 85.40% 4 단계)을 얻었다.
제조예 63
1-t-부톡시카보닐아미노-2-(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부탄
계속해서 이것을 이용하고 제조예 30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귤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8.230g, 조산물)을 얻었다.
제조예 64
6-에톡시카보닐아미노-4-에틸-1, 2, 3, 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1-t-부톡시카보닐아미노-2-(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부탄(8.23O g, 조산물, 제조예 63)을 이용하여 제조예 38-39와 동일의 방법에 의해, 갈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65
6-에톡시카보닐아미노-4-에틸이소퀴놀린
얻어진 6-에톡시카보닐아미노-4-에틸-1, 2, 3, 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3.O g)을 이용하여 제조예 40과 같이 반응을 행하고, 얻어진 조결정을 에탄올·디에틸에틸로 세정하여 건조함으로써, 귤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66
6-아미노-4-에틸이소퀴놀린
6-에톡시카보닐아미노-4-에틸이소퀴놀린을 이용하여 제조예 30과 같이 반응을 행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NH-실리카겔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얻어진 조결정을 디에틸에틸로 세정, 건조함으로써, 귤색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0.637 g)을 얻었다.
제조예 67
디에틸 메틸-(3-니트로벤질)말로네이트
에탄올(45 ㎖)에 나트륨(0.7 g)을 용해하고, 디에틸메틸말로네이트(5.26 ㎖), 3-니트로벤질클로라이드(5 g)를 첨가하여,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이것을 빙냉하여, 포화염화 암모늄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담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9.724 g)을 얻었다.
제조예 68
에틸 1-메틸-2-(3-니트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얻어진 디에틸 메틸-(3-니트로벤질)말로네이트(9.724 g)를 디메틸설폭사이드(30 ㎖)에 용해하고, 물(0.54 ㎖), 염화리튬(2.54 g)을 더하고, 19O℃로 3.5 시간 가열교반하였다. 방냉후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갈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5.071 g, 73.35% 2 단계)을 얻었다.
제조예 69
1-메틸-2-(3-니트로페닐)프로피온산
에틸 1-메틸-2-(3-니트로페닐)프로피오네이트(5.071 g, 제조예 68)를 에탄올(50 ㎖)에 용해하여, 5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43 ㎖)을 더하고, 2.5 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방냉후 디에틸에틸, 물을 첨가하여, 수층을 분리, 유기층을 포화중탄산나트륨물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모아 묽은 염산을 첨가하여 산성으로 한 후, 디에틸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고, 적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2.918 g, 65.27%)을 얻었다.
제조예 70
N-Boc-1-메틸-2-(3-니트로페닐)에틸아민
1-메틸-2-(3-니트로페닐)프로피온산(2.918 g, 제조예 69)을 t-부탄올(36 ㎖)에 용해하고, 트리에틸아민(4.09㎖),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를 첨가하고, 2.5 시간 가열환류하여, 방냉후 용매를 감압제거하였다. 포화 중탄산나트륨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고, 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2.117g, 54.14%)을 얻었다.
제조예 71
N-Boc-2-(3-아미노페닐)-1-메틸에틸아민
N-Boc-1-메틸-2-(3-니트로페닐)에틸아민(2.117 g, 제조예 7O)을 이용하여 제조예 29와 같이 반응을 행하고, 추출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0.976 g, 51.63%)을 얻었다.
제조예 72
N-Boc-1-메틸-2-(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에틸아민
N-Boc-2-(3-아미노페닐)-1-메틸에틸아민(0.976g)을 이용하고 제조예 3O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1.173g, 조산물)을 얻었다.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서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제조예 73
2-(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1-메틸에틸아민염산염
N-Boc-1-메틸-2-(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에틸아민(1.173g, 조산물)을 에탄올(5.0 ㎖)에 용해하여 염산(5 ㎖)을 첨가하고 실온으로 1.5 시간교반한 후, 또 염산(2.5 ㎖)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2시간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황색 오일상 물질로서 표제 화합물(1.148 g, 조산물)을 얻었다. 더 이상정제하지 않고서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제조예 74
6-에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1, 2, 3, 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2-(3-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1-메틸에틸아민염산염(1.148 g, 제조예 73)을 이용하고, Chem. Pharm. Bul1. 42(8),1676(1994)의 방법에 의해 반응을 행하고, NH-실리카겔 컬럼에 의해 정제하고, 표제 화합물(0.441 g)을 얻었다.
제조예 75
6-에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이소퀴놀린
얻어진 6-에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1, 2, 3, 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0.441 g)을 이용하고 제조예 39와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0.356 g)을 얻었다.
제조예 76
6-아미노-3-메틸이소퀴놀린
얻어진 6-에톡시카보닐아미노-3-메틸이소퀴놀린(0.356 g)을 이용하여 제조예 33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결정(0.182 g)을 디에틸에틸로 세정, 건조하여,담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93 ㎎)을 얻었다.
실시예 1
N-(8-브로모퀴놀린-3-일)-3-피리딘술폰아미드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300 ㎎, 제조예5)을 피리딘(5 ㎖)에 용해하여, 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254 ㎎)를 첨가하여 실온으로 30분간교반하였다. 반응종료후, 포화식염수에 반응액을 부어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농축. 얻어진 조결정을 초산에틸, IPA에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270㎎)을 얻었다.
실시예 2
N-(5-브로모퀴놀린-2-일)-5-메틸-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2-아미노-5-브로모퀴놀린(제조예 1)과 5-메틸-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
6-아미노-N-(8-브로모퀴놀린-3-일)-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제조예 5)과 6-아미노-3-피리딘술포닐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
N-(8-브로모퀴놀린-3-일)-4-시아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제조예 5)과 4-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
실시예 5
6-클로로-N-(8-브로모퀴놀린-3-일)-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제조예 5)과 6-클로로-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
N-(8-브로모퀴놀린-3-일)-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제조예 5)과 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
N-(8-브로모퀴놀린-3-일)-5-시아노-2-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제조예 5)과 5-시아노-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
N-(8-시아노퀴놀린-3-일)-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시아노퀴놀린(제조예 7)과 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9
N-(8-시아노퀴놀린-3-일)-4-시아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시아노퀴놀린(제조예 7)과 4-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0
N-(5-브로모퀴놀린-2-일)-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2-아미노-5-브로모퀴놀린(제조예 1)과 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l
N-(8-브로모퀴놀린-3-일)-5-인당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제조예 5)과 5-인당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N-(8-요오드퀴놀린-3-일)-N*-아세틸-5-인돌린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요오드퀴놀린(제조예 6)과 N-아세틸6-인돌린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3
N-(8-브로모퀴놀린-3-일)-3-퀴놀린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제조예 5)과 3-퀴놀린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4
N-(8-브로모퀴놀린-3-일)-N*-아세틸-1, 2, 3, 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제조예 5)와 N-아세틸-1, 2, 3, 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6-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5
N-(8-요오드퀴놀린-3-일)-4-이소퀴놀린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요오드퀴놀린(제조예 6)과 4-이소퀴놀린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6
4-시아노-N-(8-요오드퀴놀린-3-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요오드퀴놀린(제조예 6)과 4-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7
N-(8-요오드퀴놀린-3-일)-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요오드퀴놀린(제조예 6)와 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8
N-(5-브로모퀴놀린-2-일)-4-시아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2-아미노-5-브로모퀴놀린(제조예 1)과 4-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9
N-(8-브로모퀴놀린-3-일)-6-에틸-3-피리딘술폰아미드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18㎎, 제조예 5)에 피리딘(0.5㎖)과 6-에틸-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30㎖)의 염화메틸렌(0.5㎖)용액을 0℃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으로써 30분간 교반한 후,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써 추출하였다. 제조용 TLC(헥산-초산에틸= 1:1)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을 얻었다
실시예 20
4-클로로-N-(5-클로로퀴놀린-2-일)-벤젠술폰아미드
2-아미노-5-클로로퀴놀린(119 ㎎, 제조예 2)에 피리딘(1㎖)과 4-클로로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255 ㎎)를 실온으로써 더하였다. 실온으로써 3일간교반한 후,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써 추출하였다. 초산에틸층을 황산나트륨으로써 건조하여 농축후 얻어진 고체를 메탄올로써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20㎎)을 얻었다.
실시예 21
N-(8-클로로퀴놀린-3-일)-6-에틸-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제조예 9)과 6-에틸 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2
N-(5-클로로퀴놀린-2-일)-6-에틸-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2-아미노-5-클로로퀴놀린(제조예 2)과 6-에틸-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3
N-(8-클로로퀴놀린-3-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제조예 9)과 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4
4-시아노-N-(5-클로로퀴놀린-2-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제조예 2)과 4-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5
N-(5-클로로퀴놀린-2-일)-4-메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2-아미노-5-클로로퀴놀린(제조예 2)과 4-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6
N-(5-클로로퀴놀린-2-일)-4-설파모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2-아미노-5-클로로퀴놀린(제조예 2)과 4-설파모일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7
N-(5-브로모퀴놀린-2-일)-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2-아미노-5-클로로퀴놀린(제조예 2)과 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8
3-시아노-N-(8-클로로퀴놀린-3-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제조예 9)과 3-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9
N-(8-클로로퀴놀린-3-일)-3-메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제조예 9)과 3-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0
N-(8-클로로퀴놀린-3-일)-3-설파모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제조예 9)과 3-설파모일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1
N-(8-메틸퀴놀린-3-일)-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7-아미노-2-클로로-4-메틸퀴놀린 1.02g(5.2 mmol, 제조예 16) 및 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 0.9g(5.2 mmol)을 이용하여, 백색 결정 562㎎을 얻었다. 이 백색결정 102㎎(0.29 mmol)에 메탄올(4㎖)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4㎖)과 10% 팔라듐카본(5㎎)을 첨가하여, 수소분위기 하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세라이트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초산에틸로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 65㎎을 얻었다.
실시예 32
N-(8-메틸퀴놀린-3-일)-4-시아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7-아미노-2-클로로-4-메틸퀴놀린 305㎎(1.58 mmol, 제조예 16) 및 4-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0.48g(2.4 mmol)을 이용하여, 백색 결정 358㎎을 얻었다. 이 백색 결정 140㎎(0.38 mmol)에 초산(6㎖)과 물(2㎖)과 아연(122㎎)을 첨가하여, 60도로 15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세라이트 여과한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정,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2㎎을 얻었다.
실시예 33
N-(6-클로로-8-시아노퀴놀린-3-일)-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에틸-7-아미노-2-클로로퀴놀린-4-카르복시레이트3.0g(13 mmol, 제조예 13) 및 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 2.3g(13 mmol)을 이용하여, 백색 결정 764㎎을 얻었다. 이 결정 108㎎(0.28 mmol)의 에탄올용액(6 ㎖)에 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0.5㎖)을 첨가하여, 철야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 1규정 염산수용액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이 잔류물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용액(1O ㎖)에 빙냉하에서, 옥살릴 클로라이드(0.O4㎖)와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점적하여, 실온으로 30분동안 교반하였다. 30분 후, 포화 암모늄수용액(5㎖)을 첨가하여, 또 1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 포화식염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이 잔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용액(6㎖)에 빙냉 하에서 피리딘(0.06㎖)과 무수트리플루오로초산(0.05㎖)을 첨가하여, 실온 하에서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포화식염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7㎎을 얻었다.
실시예 34
N-(8-클로로퀴놀린-3-일)-4-시아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 38㎎(0.21 mmol, 제조예 9) 및 4-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43㎎(0.21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58㎎을 얻었다.
실시예 35
N-(8-클로로퀴놀린-3-일)-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 36㎎(0.19 mmol, 제조예 9) 및 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52㎎(0.19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36㎎을 얻었다.
실시예 36
N-(8-클로로퀴놀린-3-일)-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 33㎎(0.19 mmol, 제조예 9) 및 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 33㎎(0.19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29㎎을 얻었다.
실시예 37
N-(8-클로로퀴놀린-3-일)-5-에틸설파모일-2-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 30㎎(0.17 mmol, 제조예 9) 및 5-에틸설파모일-2-클로로술포닐피리딘 95㎎(0.34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1O ㎎를 얻었다.
실시예 38
N-(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3-일)-4-시아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 35㎎(0.17 mmol, 제조예 10) 및 4-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37㎎(0.18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59㎎을 얻었다.
실시예 39
N-(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3-일)-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 35㎎(0.17 mmol, 제조예 10) 및 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56㎎(0.20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60㎎을 얻었다.
실시예 40
N-(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3-일)-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 45㎎(0.21 mmol, 제조예 10) 및 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 45㎎(0.25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71㎎을 얻었다.
실시예 41
N-(8-클로로퀴놀린-3-일)-1, 2, 3, 4-테트라하이드로-6-나프탈렌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 33㎎(0.19 mmol, 제조예 9) 및 6-클로로술포닐-1, 2, 3, 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73㎎(0.22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46㎎을 얻었다.
실시예 42
N-(8-클로로퀴놀린-3-일)-2, 3-디하이드로-5-벤조퓨란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클로로퀴놀린 30㎎(0.17 mmol, 제조예 9) 및 5-클로로술포닐-2, 3-디하이드로벤조퓨란 44㎎(O.20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57㎎을 얻었다.
실시예 43
N-(8-클로로-4-비닐퀴놀린-3-일)-4-시아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4-비닐-8-클로로퀴놀린 3O㎎(O.15 mmol, 제조예 12) 및 4-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36㎎(0.18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15㎎을 얻었다.
실시예 44
N-(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3-일)-5-(N-아세틸인돌린)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 109㎎(0.51 mmol, 제조예 10) 및 5-클로로술포닐-N-아세틸인돌린 200㎎(0.77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186㎎을 얻었다.
실시예 45
N-(8-브로모퀴놀린-3-일)-2-메틸티오-5-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100㎎(0.56 mmol, 제조예 5) 및 2-클로로-5-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 142㎎(0.67 mmol)을 이용하고, 백색결정을 197㎎(0.556 mmol)을 얻었다. 이 결정 60㎎(0.17 mmol)에 디메틸포름아미드(l㎖)와 피리딘(1㎖)과 나트륨티오메톡사이드 111㎎(1.6 mmol)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3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 포화식염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잔류물을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62㎎ 얻었다.
실시예 46
N-(8-브로모퀴놀린-3-일)-4-(2-메틸술포닐에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30㎎(O.13 mmol, 제조예 5) 및 4-(2-메틸술포닐에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57㎎(0.20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55㎎을 얻었다.
실시예 47
N-(8-브로모퀴놀린-3-일)-4-옥사-7-벤조티오크로만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51㎎(0.23 mmol, 제조예 5) 및 7-클로로술포닐-4-옥사-벤조티오크로만 86㎎(0.34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99㎎을 얻었다.
실시예 48
N-(8-브로모퀴놀린-3-일)-4-(2-아세트아미드에틸)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30㎎(0.13 mmol, 제조예 5) 및 N-(4-클로로술포닐페네틸에틸)아세트아미드 201㎎(0.77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56㎎을 얻었다.
실시예 49
N-(8-브로모퀴놀린-3-일)-1, 2, 3, 4-테트라하이드로-N-아세틸-7-이소퀴놀린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145㎎(0.65 mmol, 제조예 5) 및 1,2,3,4-테트라하이드로-2-(트리플루오로아세틸)이소퀴놀린-7-술포닐 클로라이드 277㎎(0.85 mmol)을 이용하여, 백색결정 180㎎을 얻었다. 이 결정에 에탄올(20㎖)과 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0.5㎖)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 1규정 염산수용액(0.4㎖)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이 잔류물에 피리딘(0.5㎖)과 무수초산(0.014㎖)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1시간 교반하였다. 포화식염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13㎎을 얻었다.
실시예 50
N-(8-브로모퀴놀린-3-일)-1, 1-디옥사이드-6-벤조티오크로만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71㎎(0.32 mmol, 제조예 5) 및 6-클로로술포닐벤조티오크로만 119㎎(0.48 mmol)을 이용하여, 백색결정을 얻었다. 빙냉하에서, 이 결정에 클로로포름(10㎖)과 메타클로로 과벤조산(145㎎)에 첨가하여, 실온으로 1시간 교반하였다. 포화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농축후,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113㎎ 얻었다.
실시예 51
N-(8-브로모퀴놀린-3-일)-4-(3-메틸술포닐프로필)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33㎎(O.14 mmol, 제조예 5) 및 4-(3-메틸술포닐프로필)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66㎎(0.22 mmol)을 이용하여, 표제화합물 62㎎을 얻었다.
실시예 52
N-(8-브로모퀴놀린-3-일)-4-플루오로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33㎎(0.14 mmol, 제조예 5) 및 4-플루오로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39㎎(0.20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50㎎을 얻었다.
실시예 53
N-(8-브로모퀴놀린-3-일)-4-메톡시-2-피리다진술폰아미드
2-벤질티오-5-메톡시피리다진(0.86g, 3.7 mmol, 제조예 14)의 농축염산용액(8㎖)에, 빙냉하 1시간 염소가스를 불어넣기 교반한 후, 반응액에 얼음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포화식염수로 순차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하고, 잔류물 700㎎(2.1 mmol)을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이, 이 잔류물 180㎎(0.54 mmol) 및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60㎎(0.27mmol, 제조예 5)를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93㎎을 얻었다.
실시예 54
N-(8-브로모퀴놀린-3-일)-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30㎎(0.13 mmol, 제조예 5) 및 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35㎎(0.20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49㎎을 얻었다.
실시예 55
N-(8-브로모퀴놀린-3-일)-4-카르복시아미드-2-피리딘술폰아미드
2-벤질티오-4-카르복시아미드피리딘(1.1g, 4.3 mmol, 제조예 15)의 농축염산용액(16㎖)에, 빙냉하에서 1시간 염소가스를 불어넣기 교반한 후, 반응액을 얼음물에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포화식염수로 순차 세정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이, 이 잔류물 14O㎎(O.40 mmol) 및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45㎎(0.20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37㎎을 얻었다.
실시예 56
N-(8-브로모퀴놀린-3-일)-3-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40㎎(0.18 mmol, 제조예 5) 및 3-메톡시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56㎎(0.27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70㎎을 얻었다.
실시예 57
N-(8-브로모퀴놀린-3-일)-3-하이드록시벤젠설폰아미드
실시예 1과 같이, 3-아미노-8-브로모퀴놀린 45㎎(0.20 mmol, 제조예 5) 및 3-하이드록시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117㎎(0.61 mmol)을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73㎎을 얻었다.
실시예 58
N-(4-브로모퀴놀린-7-일)-4-클로로벤젠술폰아미드
7-아미노-4-브로모이소퀴놀린 20㎎(0.. 09 mmol, 제조예 20)를 피리딘 1.5㎖에 용해시키고, 4-클로로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 23㎎를 첨가하여, 실온으로 하룻밤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농축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면 표제 화합물이 13㎎ 얻어졌다.
융점: 229도로부터 서서히 분해
실시예 59
N-(4-브로모이소퀴놀린-7-일)-6-클로로-3-피리딘술폰아미드
실시예 57과 같이 하여 7-아미노-4-이소퀴놀린(제조예 20)과 6-클로로-3-피리딘술포닐 클로라이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O
2-(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 6-나프틸리딘
2-아미노-1, 6-나프틸리딘(200㎎, 제조예 25)를 디클로로메탄(6.0㎖)에 용해하고, 트리에틸아민(0.20㎖),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0.31g)를 더하고, 40C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포화중탄산 나트륨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고, 담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84㎎, 21.44%)을 얻었다.
실시예 61
1-클로로-6-(4-시아노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1-클로로이소퀴놀린(제조예 23), 4-시아노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2
1-클로로-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1-클로로이소퀴놀린(제조예 23),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3
1-클로로-6-(4-(피롤리딘-1-일술포닐)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1-클로로이소퀴놀린(제조예 23), 4-(피롤리딘-1-일술포닐)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4
1-클로로-6-(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1-클로로이소퀴놀린(제조예 23), 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5
1-메톡시-6-(피리딘-3-일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3-피리딘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6
6-(4-시아노벤젠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4-시아노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7
6-(4-카르바모일벤젠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4-시아노벤젠술포닐아미노)-l-메톡시이소퀴놀린(실시예 65)을 이용하여, Synthesis, 949(1989) 기재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8
6-(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4-(N-에틸설파모일)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9
6-(2-아미노피리딘-5-일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6-아미노-3-피리딘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0
1-메톡시-6-(4-메틸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4-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1
6-(4-아세틸아미노벤젠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4-아세트아미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2
6-(4-메탄술포닐아미노벤젠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4-니트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합성한 것을, 제조예 170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니트로기를 환원하여, 이것을 피리딘에 용해하여 빙냉하에서 염화메탄술포닐을 첨가하여 그대로 4시간 교반하였다. 포화식염수를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얻어진 결정을 에탄올로 재결정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3
6-(2-클로로피리딘-5-일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6-클로로-3-피리딘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4
1-메톡시-6-(3-메틸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3-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5
6-벤질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벤질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6
6-(3-시아노벤젠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3-시아노벤젠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7
1-메톡시-6-(4-티아졸-2-일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4-요오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40㎎), 2-트리-n-부틸스탠닐티아졸(136㎎),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1㎎)를 톨루엔중 질소분위기 하 1시간 가열환류, 용매를 감압제거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얻어진 결정을 메탄올로 재결정함으로써, 표제 화합물(20㎎)을 얻었다.
실시예 78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톡시이소퀴놀린(제조예 43),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79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메틸이소퀴놀린
6-아미노-1-메틸이소퀴놀린(제조예 33),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0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에틸이소퀴놀린
6-아미노-1-에틸이소퀴놀린(제조예 48),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1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4-에틸이소퀴놀린
6-아미노-4-에틸이소퀴놀린(제조예 66),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2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메틸이소퀴놀린
6-아미노-4-메틸이소퀴놀린(제조예 58),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3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3-메틸이소퀴놀린
6-아미노-3-메틸이소퀴놀린(제조예 76),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84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시아노이소퀴놀린
6-아미노이소퀴놀린(0.5g, Synthesis, 733(1975)),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0.88g)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의 방법으로 얻어진 화합물을 클로로포름(150㎖)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m-클로로퍼벤조산(0.9g)를 첨가하여, 실온으로 철야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하여, 얻어진 결정을 디에틸에틸로 세정, 여과채취, 건조하고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N-옥사이드(1.072g)를 얻었다. 이 중 50㎎을 아세토니트릴(1.5㎖)에 용해하고, 트리메틸시아니드(0.08㎖), 트리에틸아민(0.04㎖)을 더하고 3.5시간가열환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황색 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23㎎, 64%)을 얻었다.
실시예 85
1-카르바모일-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시아노이소퀴놀린(30㎎, 실시예 83)으로 Synthesis, 949(1989)기재의 방법에 따라서, 얻어진 결정을 디에틸에틸로 세정함으로써, 무색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26㎎, 82%)을 얻었다.
실시예 86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메틸아미노이소퀴놀린
1-클로로-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50㎎, 실시예 61, 40% 메틸아민메탄올 용액(5.0㎖)을 밀폐된 관에서 13O℃, 18시간 가열하였다. 방냉후, 포화중탄산 나트륨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 후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28㎎, 52%)을 얻었다.
실시예 87
1-아미노-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N-옥사이드(실시예 83 중간체, 50㎎)를 이용하여, 藥誌(Journal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84,35(1964)기재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결정을 디에틸에틸로 세정, 건조함으로써, 담갈색결정으로서 표제 화합물(2㎎)을 얻었다.
실시예 88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디메틸아미노이소퀴놀린
1-클로로-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실시예 61, 60㎎)를 디메틸설폭사이드(1㎖)에 용해하고, 50% 디메틸아민메탄올용액(0.04㎖)을 첨가하여, 80C에서 10시간 가열교반하였다. 방냉후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후 제조용 TLC에서 정제하여,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고화시킴으로써, 표제 화합물(17㎎)을 얻었다.
실시예 89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하이드록시이소퀴놀린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N-옥사이드(실시예 83 중간체, 50㎎)를 무수초산(0.75㎖)에 용해하여 80℃에서 16시간 가열교반한 후,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방냉후 포화 중탄산나트륨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하고, 이것을 에탄올(2.0㎖), 물(0.5㎖)에 용해하고 0.5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용매를 감압제거후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담홍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20㎎)을 얻었다.
실시예 90
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1-에톡시이소퀴놀린
I-클로로-6-(4-클로로벤젠술포닐아미노)이소퀴놀린(실시예 61, 57㎎)를 디메틸설폭사이드(1㎖)에 용해하고, 에탄올(0.1 ㎖), 60% 수소화나트륨(14㎎)을 첨가하여, 8O℃로 9시간 가열교반하였다. 방냉후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 포화식염수로 세정,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용매를 감압제거후 제조용 TLC에서 정제하여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고화시킴으로써, 표제 화합물(21㎎)을 얻었다.
실시예 91
N-(5-비닐퀴놀린-2-일)-3-피리딘술폰아미드
2-아미노-5-브로모퀴놀린(510㎎, 제조예 1), 비닐트리부틸틴(0.94㎖), 톨루엔(4㎖),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가)(20㎎), 2,6-디-t-부틸-p-크레졸(약 O.1 ㎎)의 용액을 12O℃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 되돌린 후,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써 추출하여, 초산에틸층을 황산나트륨으로써 건조하여 농축후 얻어진 고체를 헥산으로써 세정하여 비닐체를 포함하는 고체 282㎎를 얻었다. 이 고체를 피리딘2 ㎖에 녹여, 3-피리딘술포닐클로라이드 412㎎를 첨가하여 실온으로써 철야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써 추출하여, 초산에틸층을 황산나트륨으로써 건조하여 농축후 얻어진 고체를 메탄올로써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235㎎)을 얻었다.
실시예 92
N-(4-트리플루오로메틸쿠마린-7-일)-4-클로로벤젠술폰아미드
7-아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쿠마린 200㎎(0.87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의 피리딘 용액(3㎖)에 4-클로로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 203㎎(0.96 mmol)을 첨가하였다. 70도로 50분간 교반하여, 반응액에 2N 염산물을 첨가하여 초산에틸로써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수세, 포화식염수로 세정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농축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초산에틸-디이소프로필 에틸로부터 결정화하면 표제 화합물 253㎎을 담황색고체로서 얻었다.
[표 2-1]
[표 2-2]
[표 2-3]
[표 2-4]
[표 2-5]
[표 2-6]

Claims (18)

  1. 일반식 (I)로 표현되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
    (Ⅰ)
    [식 중에서,
    A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CO)kNR2R3(식 중에서, R2및 R3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여, k는 0 또는 1을 의미함),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C2-C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 또는 하기 A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페닐기 또는 페녹시기를,
    B는 하기 A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알릴기 또는 단환 헤테로아릴기, 또는
    (식 중에서, 고리 Q는 하나 또는 2개의 질소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방향족 고리를, 고리 M은 고리 Q와 이중결합을 공유하는 C5-C12 불포화의 단일 고리 또는 복수 고리를 의미하고, 상기 고리는,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이종원자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고리 Q 및 고리 M은 질소원자를 공유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고리 Q 및 고리 M은 하기 A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음)를,
    K는 단일 결합, 또는 -(CR4R5)m-(식 중에서, R4및 R5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C1-C4 알킬기를, m은 1 또는 2의 정수를 의미함)를,
    T, W, X 및 Y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 C(D)-[식 중에서, D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CO)nNR6R7(식 중에서, R°및 R7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여, n은 0 또는 1을 의미함),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C2-C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임], 또는 질소원자를,
    U 및 V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C(D)-(식 중에서, D는 앞에서 정의된 바를 의미함), 질소원자, -CH2-, 산소원자, 또는 -CO-을,
    Z는 단일 결합 또는 -CO-NH-을,
    R1는 수소원자 또는 C1-C4 알킬기를,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을 의미함]
    A 군: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R8R9N(NH)p -(식 중에서, R8및 R9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여, p는 O 또는 1을 의미하고, 또, R8및 R9는 결합하고 있는 질소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고리는 또 질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음), 모노 또는 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술포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C1-C8 아실기, C1-C4 알킬 S(0)s-C1-C4 알킬렌기(식 중에서, s는 0, 1 또는 2의 정수를 의미함), C1-C4 알킬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페닐술포닐 아미노기, -(CO)qNR10R11(식 중에서, R10및 R11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 또는 C1-C4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여, q는 0 또는 1을 의미함),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알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
    단, U가 산소원자일 때, V는-CO- 또는 -CH2-을 의미하여, V가 산소원자일 때, U는 -CO- 또는 -CH2-을 의미하고, 또한, 1) T, U, V, W, X 및 Y 중 어느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때, A 및 D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경우, 2)T, U, V, W, X 및 Y가 동시에 질소원자인 경우, 3)Y 및 W가 질소원자로, T, U, V 및 X가 =C(D1)-(식 중에서, D1은 수소원자, 메틸기, 할로겐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메톡시기를 의미함)으로, Z가 단일결합으로, A가 수소원자, 메틸기, 할로겐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메톡시기인 경우, 4)W가 질소원자로, T, U, V, X 및 Y가 =C(D2)-(식 중에서, D2는 수소원자를 의미함)으로, K 및 Z가 단일결합으로, A가 수산기로, B가 p-톨루엔술포닐아미노기인 경우, 5)V 및 W가 질소원자인 경우, 및 6)T, V 및 W가 질소원자인 경우를 제외함.
  2. 제1항에 있어서,
    U 및 V가 = C(D)-(식 중에서, D는 앞에서 정의된 바를 의미함) 또는 질소원자인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Z가 단일 결합인 술폰아미드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 U, V, W, X 및 Y 중 적어도 하나가 질소원자인 술폰아미드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가 할로겐원자,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CO)rNR12R13(식 중에서, R12및 R13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여, r은 0 또는 1을 의미함)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C2-C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인 술폰아미드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 U, V, W, X 또는 Y 중 하나만이 질소원자인 술폰아미드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 W 또는 Y의 하나만이 질소원자인 술폰아미드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
  8. 일반식 (II)로 표현되는 할로겐 치환 퀴놀린 유도체 또는 그의 염:
    (II)
    [식 중에서, Y1 및 W1은 상이하고 질소원자 또는 = C(D3)-(식 중에서, D3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CO)nNR6R7(식 중에서, R6및 R7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여, n은 0 또는 1을 의미함), E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J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아미노기, 또는 보호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카르복시기, G1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시아노기, -(CO)tNR14R15(식 중에서, R14및 R15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를 의미하여, t는 0 또는 1을 의미함)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C2-C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의미함],
    단, Y1이 질소원자, E가 수산기, J가 아미노기, G1가 수소원자인 경우는 제외.
  9. 일반식 (III)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주석, 아연 또는 철로 환원하여
    (III)
    (식 중에서, E1는 할로겐원자, E2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 R16는 카르복시기의 보호기, G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의미함),
    일반식 (IV)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IV)
    (식 중에서, E1는 할로겐원자, R16는 카르복시기의 보호기, G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C1-C4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의미함).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신생억제제.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전이 억제제.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성 망막증 치료제.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류머티즘성 관절염 치료제.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종 치료제.
  1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의 약리학상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신생억제작용이 예방·치료에 유효한 질환을 예방·치료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암, 암전이, 당뇨병성 망막증, 류머티즘성 관절염 또는 혈관종인 치료 방법.
  1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들의 수화물을 혈관신생 억제제, 항암제, 암전이 억제제, 당뇨병성 망막증 치료제, 류머티즘성 관절염 치료제 또는 혈관종 치료제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
KR1020027008281A 1999-12-28 2000-12-27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KR100641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548999 1999-12-28
JPJP-P-1999-00375489 199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388A true KR20020068388A (ko) 2002-08-27
KR100641802B1 KR100641802B1 (ko) 2006-11-02

Family

ID=1850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281A KR100641802B1 (ko) 1999-12-28 2000-12-27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787534B2 (ko)
EP (1) EP1243583B1 (ko)
JP (1) JP4234344B2 (ko)
KR (1) KR100641802B1 (ko)
CN (1) CN1217936C (ko)
AT (1) ATE305302T1 (ko)
AU (1) AU776933B2 (ko)
CA (1) CA2395772C (ko)
DE (1) DE60022906T2 (ko)
ES (1) ES2246922T3 (ko)
HU (1) HUP0203973A3 (ko)
MX (1) MXPA02006474A (ko)
NO (1) NO324268B1 (ko)
NZ (1) NZ519380A (ko)
RU (1) RU2239631C2 (ko)
WO (1) WO2001047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4045A1 (fr) * 2002-03-05 2003-09-12 Eisai Co., Ltd. Agent antitumoral comprenant une combinaison d'un compose heterocyclique contenant un sulfamide et d'un inhibiteur d'angiogenese
US7030115B2 (en) 2002-03-21 2006-04-18 Abbott Laboratories N-sulfonylurea apoptosis promoters
ATE372330T1 (de) * 2002-03-21 2007-09-15 Abbott Lab N-sulfonylurea-apoptosis-förderer
EP1731507A1 (en) 2005-04-26 2006-12-13 Institut National des Sciences Appliquees de Rouen (INSA) New heterocyclic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in particular as anti-alzheimer agents
DK1893612T3 (da) 2005-06-22 2011-11-21 Plexxikon Inc Pyrrol [2,3-B]pyridin-derivater som proteinkinasehæmmere
WO2007008942A2 (en) * 2005-07-11 2007-01-18 Aerie Pharmaceuticals, Inc. Phenylamino-acetic acid [1-(pyridin-4-yl)-methylidene]-hydrazide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modulators of g protein-coupled receptor kinases for the treatment of eye diseases
US7470787B2 (en) * 2005-07-11 2008-12-30 Aerie Pharmaceuticals, Inc. Isoquinoline compounds
KR101396783B1 (ko) * 2005-10-07 2014-05-21 엑셀리시스, 인코포레이티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아제 억제제 및 이의 사용 방법
AU2007214594B2 (en) * 2006-02-13 2010-11-11 F. Hoffmann-La Roche Ag Heterobicyclic sulfon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X2009000919A (es) * 2006-08-04 2009-04-16 Merz Pharma Gmbh & Co Kgaa Pirazolopirimidinas substituidas, proceso para su preparacion y su uso como medicina.
ES2729424T3 (es) 2006-09-20 2019-11-04 Aerie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de Rho cinasa
US8455513B2 (en) 2007-01-10 2013-06-04 Aerie Pharmaceuticals, Inc. 6-aminoisoquinoline compounds
TWI425945B (zh) * 2007-05-28 2014-02-11 Seldar Pharma Inc 四氫異喹啉-1-酮衍生物或其鹽
US8455514B2 (en) 2008-01-17 2013-06-04 Aerie Pharmaceuticals, Inc. 6-and 7-amino isoquinoline compoun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450344B2 (en) 2008-07-25 2013-05-28 Aerie Pharmaceuticals, Inc. Beta- and gamma-amino-isoquinoline amide compounds and substituted benzamide compounds
ES2672624T3 (es) 2009-05-01 2018-06-15 Aerie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de mecanismo doble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US20220315555A1 (en) 2009-05-26 2022-10-06 Abbvie Inc. Apoptosis 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US8546399B2 (en) 2009-05-26 2013-10-01 Abbvie Inc. Apoptosis 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US9034875B2 (en) 2009-05-26 2015-05-19 Abbvie Inc. Apoptosis-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ME02205B (me) * 2009-05-26 2016-02-20 Abbvie Bahamas Ltd INDUKUJUĆI AGENSI APOPTOZE ZA LEČENJE KANCERA I IMUNIH l AUTOIMUNIH OBOLJENJA
US8329724B2 (en) 2009-08-03 2012-12-11 Hoffmann-La Roche Inc.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US20120196854A1 (en) 2009-10-06 2012-08-02 Kyowa Hakko Kirin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romatic heterocyclic compound
KR20180059560A (ko) 2010-10-29 2018-06-04 애브비 인코포레이티드 아폽토시스―유도제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UA113500C2 (xx) 2010-10-29 2017-02-10 Одержані екструзією розплаву тверді дисперсії, що містять індукуючий апоптоз засіб
AU2011332043C1 (en) 2010-11-23 2016-11-10 Abbvie Inc. Salts and crystalline forms of an apoptosis-inducing agent
UY33746A (es) 2010-11-23 2012-06-29 Abbott Lab Método de tratamiento que usa inhibidores selectivos de bcl-2
CA2826892A1 (en) * 2011-02-24 2012-08-30 Jiangsu Hansoh Pharmaceutical Co., Ltd. Phosphorus containing compound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US20140275082A1 (en) 2013-03-14 2014-09-18 Abbvie Inc. Apoptosis-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FI3811943T3 (fi) 2013-03-15 2023-04-14 Aerie Pharmaceuticals Inc Yhdiste käytettäväksi silmäsairauksien hoidossa
CN104447536B (zh) * 2014-10-25 2017-04-12 大连理工大学 一种n‑2‑喹啉基芳基磺酰胺类化合物的制备方法
WO2016087593A1 (en) * 2014-12-05 2016-06-09 Syngenta Participations Ag Novel fungicidal quinolinylamidines
CN108601355B (zh) 2015-11-17 2021-03-30 爱瑞制药公司 制备激酶抑制剂及其中间体的方法
US9643927B1 (en) 2015-11-17 2017-05-09 Aerie Pharmaceuticals,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kinase inhibitors and intermediates thereof
CN109640966A (zh) 2016-08-31 2019-04-16 爱瑞制药公司 眼用组合物
CA3057872A1 (en) 2017-03-31 2018-10-04 Aerie Pharmaceuticals, Inc. Aryl cyclopropyl-amino-isoquinolinyl amide compounds
US11505544B2 (en) 2017-12-15 2022-11-22 Bayer Animal Health Gmbh Process for preparing antihelmintic 4-amino-quinoline-3-carboxamide derivatives
US11427563B2 (en) 2018-09-14 2022-08-30 Aerie Pharmaceuticals, Inc. Aryl cyclopropyl-amino-isoquinolinyl amide compounds
WO2020172615A1 (en) * 2019-02-22 2020-08-27 Glaukos Corporatio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ocular disease
WO2021257857A1 (en) 2020-06-19 2021-12-23 Incyte Corporation Naphthyridinone compounds as jak2 v617f inhibitors
WO2021257863A1 (en) 2020-06-19 2021-12-23 Incyte Corporation Pyrrolotriazine compounds as jak2 v617f inhibitors
US11767323B2 (en) 2020-07-02 2023-09-26 Incyte Corporation Tricyclic pyridone compounds as JAK2 V617F inhibitors
CA3188639A1 (en) 2020-07-02 2022-01-06 Incyte Corporation Tricyclic urea compounds as jak2 v617f inhibitors
WO2022046989A1 (en) 2020-08-27 2022-03-03 Incyte Corporation Tricyclic urea compounds as jak2 v617f inhibitors
WO2022140231A1 (en) 2020-12-21 2022-06-30 Incyte Corporation Deazaguaine compounds as jak2 v617f inhibitors
CA3211748A1 (en) 2021-02-25 2022-09-01 Incyte Corporation Spirocyclic lactams as jak2 v617f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688C (de) T. REMUS in Plauen bei Dresden Filter
DD9688A (ko) *
GB662798A (en) 1948-05-06 1951-12-12 American Cyanamid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sulphonamides and intermediates thereof
NL76414C (ko) * 1949-07-23
US3157684A (en) * 1961-02-13 1964-11-17 Atomic Energy Authority Uk Tritiated-2-methyl-naphthaquinol-(1, 4)-diphosphoric acids
US3801321A (en) 1972-07-18 1974-04-02 Eastman Kodak Co Photothermographic element,composition and process
GB1492029A (en) * 1974-01-30 1977-11-16 Bellon R Lab 4-oxo-1,4-dihydro-1,6-benzo-(h)-naphthyridine-3-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eful as anti-bacterial agents and their preparation
US4343804A (en) * 1979-03-26 1982-08-10 A. H. Robins Company, Inc. 4-Amino-3-quinolinecarboxylic acids and esters-antisecretory anti-ulcer compounds
US4333760A (en) * 1980-08-22 1982-06-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rbicidal sulfonamides
JPS59220733A (ja) * 1983-05-30 1984-12-1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DE3422824A1 (de) * 1984-06-20 1986-01-02 Celamerck Gmbh & Co Kg, 6507 Ingelheim Neue herbizid wirksame sulfonylharnstoffe
DE3686688T2 (de) 1985-06-24 1993-03-18 Merck & Co Inc Verwendung von sulfanilamido quinoxalinen zur behandlung von neoplastischen krankheiten.
WO1988003137A1 (en) * 1986-10-28 1988-05-05 Smith Kline & French Laboratories Limited Tetrahydroisoquinolin-2-yl derivatives of carboxylic acids as thromboxane a2 antagonists
US5089633A (en) * 1987-04-28 1992-02-1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ubstituted isocoumarins
DE3804990A1 (de) 1988-02-18 1989-08-31 Basf Ag Herbizid wirksame, heterocyclisch substituierte sulfonamide
JPH02149562A (ja) * 1988-11-30 1990-06-08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相間移動触媒を用いた1,4−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NZ233641A (en) 1989-05-16 1992-07-28 Merrell Dow Pharma Quinoline and thienopyridine derivatives and excitatory amino acid antagoni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H03150560A (ja) * 1989-11-08 1991-06-26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カラー写真感光材料
DE4102234A1 (de) * 1991-01-23 1992-07-30 Dresden Arzneimittel Neue (alpha)-aminochinolinoyl-(3)-penicillin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JPH06199047A (ja) 1993-01-08 1994-07-19 New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JPH07138493A (ja) * 1993-11-19 1995-05-30 Konica Corp 金属錯体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用いた光記録媒体
US5529999A (en) 1994-03-04 1996-06-25 Eli Lilly And Company Antitumo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FR2725719B1 (fr) 1994-10-14 1996-12-06 Jouveinal Inst Rech Diazepino-indoles inhibiteurs de phosphodiesterases iv
CN1201393A (zh) * 1995-10-23 1998-12-09 酶遗传学股份有限公司 治疗骨缺陷疾病的组合物及方法
DE19727117A1 (de) 1997-06-26 1999-01-0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Phenylalkylderivat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TW527355B (en) * 1997-07-02 2003-04-11 Bristol Myers Squibb Co Inhibitors of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DE60141889D1 (de) * 2000-02-03 2010-06-02 Eisai R&D Man Co Ltd Inhibitoren der integrinex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24268B1 (no) 2007-09-17
ES2246922T3 (es) 2006-03-01
NO20023097D0 (no) 2002-06-26
CN1217936C (zh) 2005-09-07
DE60022906D1 (de) 2006-02-09
MXPA02006474A (es) 2002-11-29
HUP0203973A2 (hu) 2003-03-28
US6787534B2 (en) 2004-09-07
AU776933B2 (en) 2004-09-23
JP4234344B2 (ja) 2009-03-04
US20030144507A1 (en) 2003-07-31
WO2001047891A1 (fr) 2001-07-05
KR100641802B1 (ko) 2006-11-02
EP1243583B1 (en) 2005-09-28
RU2002120515A (ru) 2004-01-10
RU2239631C2 (ru) 2004-11-10
CA2395772A1 (en) 2001-07-05
CA2395772C (en) 2010-09-28
CN1414952A (zh) 2003-04-30
NO20023097L (no) 2002-08-28
NZ519380A (en) 2004-10-29
EP1243583A1 (en) 2002-09-25
DE60022906T2 (de) 2006-07-06
AU2228301A (en) 2001-07-09
HUP0203973A3 (en) 2004-07-28
EP1243583A4 (en) 2003-08-20
ATE305302T1 (de) 200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802B1 (ko) 술폰아미드 함유 복소환 화합물
AU766936B2 (en) Sulfonamide-containing indole compounds
US7834049B2 (en) Integrin expression inhibitor
EP1437346B1 (en) Benzamide derivatives useful as cell differentiation inducers
JP4287649B2 (ja) Hivインテグラーゼ阻害薬として有用なアザ−およびポリアザ−ナフタレニルカルボキサミド類
CA2409743C (en) Substituted pyrrolopyridinone derivatives useful as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KR20190135027A (ko) 아릴 시클로프로필-아미노-이소퀴놀리닐 아미드 화합물
KR100818060B1 (ko) 아미드 화합물 및 그의 용도
SG172079A1 (en) Toluidine sulfonamides and their use
JP2000309534A (ja) 血管新生阻害剤
JPWO2004002484A1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
JP2001525398A (ja) 選択的β3アドレナリン作動性アゴニスト
CN116874407A (zh) 一种异吲哚啉酮衍生物、制备方法、药物组合物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