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103A -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103A
KR20020068103A KR1020010008350A KR20010008350A KR20020068103A KR 20020068103 A KR20020068103 A KR 20020068103A KR 1020010008350 A KR1020010008350 A KR 1020010008350A KR 20010008350 A KR20010008350 A KR 20010008350A KR 20020068103 A KR20020068103 A KR 20020068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brackets
roller
dimensional park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5371B1 (ko
Inventor
안성모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37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탑재된 차량을 승ㆍ하강 시키는 캐리지에 결합된 로프 중 어느 한 곳의 로프에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중앙의 컨트롤판넬로 이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의 로프절단 감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조시브(30)를 통하여 메인시브(20)로 권취되는 로프(10)의 양측면에 저부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서로 대응하도록 쌍으로 설치되는 브라켓트(60)와, 상기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브라켓트(60)의 상부면에 그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를 연결시키는 샤프트(62)와, 상기 샤프트(62)에 그 몸체가 관통되어 각각의 브라켓트(60)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울러브라켓트(70)와,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60) 사이를 진행하는 로프(10)상에 안착되는 V형로울러(80) 및,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60)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상단부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감지부(9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92)로부터 로울러브라켓트(70)의 회동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중앙의 컨트롤판넬로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9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ROPE DISCONNECTION SENSING APPARATUS OF THREE-DIMENSIONAL PARKING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에서 탑재된 차량을 승ㆍ하강 시키는 캐리지의 4지점에 각각 연결된 로프 중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된 로프의 절단시에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하여 순간 낙하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왕래가 많은 고층건물에 있어서는 대량의 주차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설치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에는 차량을 안전하게 승ㆍ하강 시킬 수 있도록 로프의 절단 및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가 설치되는데, 종래의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된 차량을 승ㆍ하강 시키는 캐리지(50)의 상부 중심에 로프(1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캐리지(50)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로프(10)는 다수개의 시브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균형추(40)의 중심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50)의 상부 중심에 결합된 로프(10)의 끝단에는 마이크로 스위치(도시안됨)가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50) 및 균형추(40) 사이에 연결된 로프(10)의 절단 및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캐리지 상부에 결합된 로프의 끝단에 마이크로 스위치를 설치하여 로프의 절단 및 이상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는 그 설치비용이 증대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함과 더불어, 캐리지의 4지점에 로프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로프가 보조시브 및 메인시브로 집결되는 로핑구조로 이루어진 입체주차장치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탑재된 차량을 승ㆍ하강 시키는 캐리지의 4지점에 결합된 로프 중 어느 한 곳의 로프에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중앙의 컨트롤판넬로 이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차량을 적재한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탑재된 차량을 승ㆍ하강 시키는 캐리지의 4지점에 각각 쌍으로 로프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에 연결된 각각의 로프가 보조시브를 통해 2개의 메인시브로 집결된 후, 다시 다수개의 보조시브를 통해 로프의 타단부가 균형추와 연결되는 로핑구조를 갖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에서 상기 로프의 절단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브를 통하여 메인시브로 권취되는 로프의 양측면에 저부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서로 대응하도록 쌍으로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브라켓트의 상부면에 그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를 연결시키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그 몸체가 관통되어 상기 각각의 브라켓트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울러브라켓트와, 상기 로울러브라켓트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 사이를 진행하는 로프상에 안착되는 V형로울러 및,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브라켓트의 상단부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감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로울러브라켓트의 회동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중앙의 컨트롤판넬로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V형로울러는 그 외주면상에 V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형의 몸체부와,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로울러브라켓트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로울러브라켓트를 결합시키는 로울러핀 및,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결합된 로울러핀의 외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절단 감지장치는 상기 메인시브에 권취되는 로프의 수에 비례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지의 4지점에 로프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로프가 다수개의 보조시브 및 메인시브를 경유한 후, 타단부가 균형추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를 승ㆍ하강 시키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에서 상기 로프의 어느 한 지점에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이를 리미트스위치에서 감지한 후, 중앙의 컨트롤판넬로 전송하여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의 운행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핑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가 일측 메인시브 주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가 정상상태일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의 이상상태감지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로프, 20: 메인시브,
30,32: 보조시브, 40: 균형추,
50: 캐리지, 60: 브라켓트,
62: 샤프트, 70: 로울러브라켓트,
80: V형로울러, 81: 가이드홈,
82: 몸체부, 84: 로울러핀,
86: 베어링, 90: 리미트스위치,
92: 감지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핑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내부에 차량을 탑재하여 해당층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50)의 모서리부 4지점에는 각각 한쌍의 로프(1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50)에 연결된 각각의 로프(10)는 수직방향에 위치한 보조시브(30)에 각각 권취된 후,2개의 메인시브(20)에 나뉘어 집결되며, 상기 메인시브(20)에 집결된 로프(10)는 다시 다수개의 보조시브(32)를 경유하여 그 타단부가 균형추(4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로핑구조를 갖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캐리지(50)가 상ㆍ하로 이동하면서 그 내부에 탑재된 차량을 해당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가 일측 메인시브 주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은 로핑구조를 갖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에서, 상기 캐리지(50)의 4지점에 쌍으로 연결된 후, 그 상부에 설치된 보조시브(30)를 통해 2개의 메인시브(20)로 나뉘어 집결되는 로프(10)상에는 상기 로프(10)의 절단을 감지할 수 있도록 로프절단 감지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로프절단 감지장치는 상기 메인시브(20) 후방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메인시브(20)에 권취되는 로프(10)의 양측면으로 대략 저부가 고정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메인시브(20)에 권취되는 로프(10)의 개수와 비례하도록 구성되는 브라켓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와 같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브라켓트(60)는 그 상부면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대략 봉형상의 샤프트(62)를 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62)에는 상기 로프(10)의 양측면에 형성된 브라켓트
(60)에 각각 대응하는 로울러브라켓트(70)가 결합되는데,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는 그 몸체부의 중앙이 상기 샤프트(62)에 의하여 관통되어 상기 브라켓트(60)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하단부에는 상기 로프(10)상에 안착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V형상의 가이드홈(81)이 형성된 V형로울러(80)가 결합되는데, 상기 V형로울러(80)는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82)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하단부에 고정된 로울러핀(84)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로울러핀(84)의 외주면에는 상기 V형로울러(80)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86)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로프(10)상에 각각 안착된 V형로울러(80)가 상기 로프(10)가 전ㆍ후진함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로프(10)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브라켓트(60)의 일측 상단부에는 리미트스위치(90)가 설치되는데, 상기 리미트스위치
(90)에는 하측에 로프(10)가 위치하도록 그 내측을 향하여 대략 봉형상의 감지부(9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92)는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상단부와 대략 10mm 내지 20mm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로프(10)의 절단에 따른 로울러브라켓트(70)의 회동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리미트스위치(90)를 통하여 중앙 컨트롤판넬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로프절단 감지장치는 상기 메인시브(20)에 집결되는 로프(10)의 개수에 비례하여 구성되는데, 예컨대 상기 메인시브(20)에 집결되는 로프(10)가 4개인 경우에는 상기 로프(10)의 양측면에 2쌍의 브라켓트(60)를 설치하고, 이에 따라 4개의 로울러브라켓트(70) 및 V형로울러(80)를 결합하여 각각의 로프(10)의 절단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로프절단 감지장치는 상기 메인시브(20)에 권취되는 로프(10)의 개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메인시브(20)에 권취되는 다수개의 로프(10)의 양측면에 브라켓트(60)를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트(60)의 상부면에 샤프트(62)를 통하여 그 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로울러브라켓트(70)를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하단부에는 V형로울러(8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V형로울러(80)의 가이드홈(81)을 상기 브라켓트(60)의 내측에 위치한 로프(10)상에 안착시켜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몸체가 회동하면서 상기 브라켓트(60)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로울러브라켓트(70)의 상단부에는 대략 10 내지 20 밀리미터(mm)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리미트스위치(90)의 감지부(92)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로프절단 감지장치는 사용자의 버튼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시브(20)가 구동되어 상기 캐리지(50)를 승ㆍ하강 시키게 되면, 상기 브라켓트(60)의 사이에 위치된 로프(10)는 상기 메인시브(20)의 구동에 따라 전ㆍ후진을 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로프(10)상에 안착된 V형로울러(70)는상기 로프(10)의 전ㆍ후진 대응하여 회전하므로서,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는 상기 브라켓트(60)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그 측면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90)의 감지부(92)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다수개의 로프(10) 중 어느 한곳에 이상상태가 발생하거나 로프(10)의 절단이 발생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트(60)의 내측에 위치한 로프(10) 중 절단되거나 이상상태가 발생한 로프(10)는 하측으로 처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로프(10)상에 안착된 V형로울러(80)는 상기 하측으로 처진 로프(10)와 더불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V형로울러(80)에 결합된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는 수직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가 수직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상단부는 대략 10 내지 20mm의 간격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상기 리미트스위치(90)의 감지부(92)에 접촉되고, 상기 감지부(92)를 통해 감지된 로프(10)의 이상신호는 상기 리미트스위치(90)를 통하여 중앙의 컨트롤판넬로 전달됨으로서, 상기와 같이 이상상태가 발생한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의 운행을 즉시 중지시키고,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지의 각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보조시브 및 메인시브에 집결되는 다수개의 로프상에 각각 V형로울러를 안착시키고 그 상측에는 상기 로프상에 안착된 로울러의 상태를 감지할 수있는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로프의 절단이나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다수개의 로프 중 한 곳이라도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가 있으므로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로프절단 감지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비용과 유지보수비용 등을 절감할 수가 있으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탑재된 차량을 승ㆍ하강 시키는 캐리지의 4지점에 각각 쌍으로 로프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에 연결된 각각의 로프가 보조시브를 통해 2개의 메인시브로 집결된 후, 다시 다수개의 보조시브를 통해 로프의 타단부가 균형추와 연결되는 로핑구조를 갖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치에서 상기 로프의 절단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브(30)를 통하여 메인시브(20)로 권취되는 로프(10)의 양측면에 저부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서로 대응하도록 쌍으로 설치되는 브라켓트(60)와,
    상기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브라켓트(60)의 상부면에 그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를 연결시키는 샤프트(62)와,
    상기 샤프트(62)에 그 몸체가 관통되어 상기 각각의 브라켓트(60)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울러브라켓트(70)와,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이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60) 사이를 진행하는 로프(10)상에 안착되는 V형로울러(80) 및,
    상기 한쌍의 브라켓트(60)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브라켓트
    (70)의 상단부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감지부(9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92)로부터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회동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중앙의 컨트롤판넬로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형로울러(80)는 그 외주면상에 V형상의 가이드홈(81)이 형성된 원형의 몸체부(82)와,
    일측이 상기 몸체부(82)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82)와 상기 로울러브라켓트(70)를 결합시키는 로울러핀(84) 및,
    상기 몸체부(82)의 중앙에 결합된 로울러핀(84)의 외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82)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8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절단 감지장치는 상기 메인시브(20)에 권취되는 로프(10)의 수에 비례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KR10-2001-0008350A 2001-02-20 2001-02-20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KR10039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350A KR100395371B1 (ko) 2001-02-20 2001-02-20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350A KR100395371B1 (ko) 2001-02-20 2001-02-20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103A true KR20020068103A (ko) 2002-08-27
KR100395371B1 KR100395371B1 (ko) 2003-08-21

Family

ID=2769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350A KR100395371B1 (ko) 2001-02-20 2001-02-20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3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9298A (zh) * 2011-07-29 2012-02-22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机械式停车库钢丝绳防断装置
CN107060431A (zh) * 2017-06-02 2017-08-18 爱泊车机器人张家口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的平层定位装置
CN114109102A (zh) * 2021-11-29 2022-03-01 广州广日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升降横移类停车设备及其横移框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32B1 (ko) * 2015-01-21 2015-07-10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9298A (zh) * 2011-07-29 2012-02-22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机械式停车库钢丝绳防断装置
CN107060431A (zh) * 2017-06-02 2017-08-18 爱泊车机器人张家口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的平层定位装置
CN114109102A (zh) * 2021-11-29 2022-03-01 广州广日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升降横移类停车设备及其横移框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5371B1 (ko)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079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310464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13036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591399B1 (en) Elevator equipment
JP5963335B1 (ja) エレベータ用速度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CN101139064B (zh) 电梯轿箱的调风装置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KR100395371B1 (ko)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WO2006100869A1 (ja) 管制運転装置及びこの管制運転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WO2001058796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travailler sur une cage d'ascenseur
CN217478796U (zh) 一种电梯偏载报警装置
JP2002087716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KR102378998B1 (ko) 자동차 주차용 리프트장치
CN206985420U (zh) 用于电梯主机的曳引件的防跳脱装置及设有该装置的电梯
JPH0412067Y2 (ko)
KR1008982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2356283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伸び検出装置および安全運転方法
CA2169878A1 (en) Directional indicating device for detecting improper orientation of a hoist lifting line
JP3927268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姿勢検出装置
JPH04125273A (ja) エレベータ
KR20050007612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030186A (ja) 昇降リフトの検出装置。
JPWO2005077804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269293Y1 (ko)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CN112897271B (zh) 一种电梯对重安全保护装置及该装置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