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293Y1 -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293Y1
KR200269293Y1 KR2020010038012U KR20010038012U KR200269293Y1 KR 200269293 Y1 KR200269293 Y1 KR 200269293Y1 KR 2020010038012 U KR2020010038012 U KR 2020010038012U KR 20010038012 U KR20010038012 U KR 20010038012U KR 200269293 Y1 KR200269293 Y1 KR 200269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heave
governor
sheave
limit switch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8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293Y1/ko

Lin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버너 텐션시브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탈된 경우에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승강로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그 상면 양단에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재와, 기계실에 형성된 거버너 시브와 연결된 로프가 그 외주면에 권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텐션시브 및,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텐션시브의 하측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시브의 축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대응하도록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텐션시브와 더불어 상ㆍ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웨이트부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버너 텐션시브가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40) 일면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감지부(52)가 그 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50)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와 인접한 위치의 일측 가이드부재(12)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의 감지부(52)가 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감지 브라켓트(60a,60b)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BREAKAWAY SENSOR OF GOVERNOR TENSION SHEAVE}
본 고안은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가 권취된 상태에서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버너 텐션시브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탈한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과속을 검출 및 제어하기 위한 거버너를 구성하는 거버너 텐션시브 장치는 엘리베이터 기계실에 설치된 거버너 시브와 연결된 로프가 그 외주면에 권취되고, 그 축에는 소정 중량을 갖도록 이루어진 웨이트부재가 일체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웨이트부재의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서, 상기 텐션시브는 상기 웨이트부재와 일체로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태로 승강로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거버너 텐션시브에 있어서는 로프의 절단이나 처짐 등을 감지하므로서 거버너 텐션시브의 하부방향으로의 이탈은 용이하게 감지할 수가 있는데 비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상기 거버너 텐션시브에 상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발생된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감지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못하므로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고안은 거버너 텐션시브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탈된 경우에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승강로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그 상면 양단에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재와, 기계실에 형성된 거버너 시브와 연결된 로프가 그 외주면에 권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텐션시브 및,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텐션시브의 하측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시브의 축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대응하도록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텐션시브와 더불어 상ㆍ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웨이트부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버너 텐션시브가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 일면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감지부가 그 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인접한 위치의 일측 가이드부재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부가 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감지 브라켓트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 브라켓트는 대략 사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호 마주보는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외측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감지 브라켓트는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부와 각각 대략 80밀리미터(mm) 정도의 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거버너 텐션시브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탈된 경우, 리미트 스위치의 감지부가 감지 브라켓트에 접촉함에 따라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그 이상신호를 중앙의 컨트롤판넬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즉시 중단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부재, 12: 가이드부재,
20: 텐션시브, 22: 축,
30: 로프, 40: 웨이트부재,
42: 가이드홈, 50: 리미트 스위치,
52: 감지부, 60a,60b: 감지 브라켓트.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가 적용되는 거버너 텐션시브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부의 바닥면에 평면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0)가 구비되고, 그 상측으로는 엘리베이터 기계실에 형성된 거버너 시브(도시안됨)에 결합된 로프(30)가 소정 장력을 갖도록 그 외주면에 권취되는 텐션시브(20) 및, 상기 텐션시브(20)와 결합되며 소정 중량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텐션시브(20)가 하측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하는 웨이트부재(40) 등이 위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텐션시브(20)와 웨이트부재(40)의 결합시에는 상기 텐션시브(20)의 하측부분이 상기 웨이트부재(40)의 내부 상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시브(20)의 축(22)이 상기 웨이트부재(40)의 양면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면 양단부에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 (12)가 각각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텐션시브(20)와 결합된 상기 웨이트부재(4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대략 반원형상으로 가이드홈(42)이 형성되어 상기 텐션시브(20)에 권취된 로프(30)의 장력에 의하여 상기 텐션시브(20) 및 상기 텐션시브(20)와 결합된 웨이트부재(40)가 소정 범위 내에서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텐션시브(20) 및 웨이트부재(40)가 엘리베이터의 충격이나 진동 또는 로프의 처짐이나 단선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상부 및 하부에 대략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는 위치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일정 각도만큼 외측을 향해 절곡 형성된 감지 브라켓트(60a,60b)의 측면이 각각 결합되는 한편, 상기 웨이트부재(40)의 일면 하부의 모서리 부분에는 리미트 스위치(50)가 설치된 후, 그 전단부에 돌출 형성된 감지부(52)가 상기 감지 브라켓트(60a,60b)와 소정 간격(대략 각각 80밀리미터(mm) 정도)을 갖으며 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50)는 중앙 컨트롤판넬(도시안됨)과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52)로부터 이상 신호가 검출되면, 그 신호를 신속하게 상기 중앙 컨트롤판넬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거버너 텐션시브 장치에서 상기 텐션시브(20) 및 웨이트부재(40)가 상기 텐션시브(20)에 권취된 로프(30)의 장력에 의해 상기 웨이트부재(40)의 가이드홈(42)이 상기 가이드부재(12)에 유도되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텐션시브(20)에 권취된 로프(30)의 처짐이나 단선 등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텐션시브(20) 및 웨이트부재(40)는 그 하중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과다하게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의 감지부(52)는 상기 가이드부재(12)의 하부에 형성된 감지 브라켓트(60b)에 접촉되면서 그 신호를 리미트 스위치(50)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버너 텐션시브 장치와 연결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진동이나 충격 등이 발생되어 상기 텐션시브(20) 및 웨이트부재(40)가 상부방향으로 과다하게 이탈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의 감지부(52)는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상부에 형성된 감지 브라켓트(60a)에 접속되어 그 신호를 리미트 스위치(50)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부(52)를 통하여 리미트 스위치(50) 측으로 전달된 상기 텐션시브(20) 및 웨이트부재(40)의 이상신호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와 연결된 중앙 컨트롤판넬(도시안됨)로 신속하게 전송되고, 이에 따라 상기 중앙 컨트롤판넬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즉시 중단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한 개의 장치를 이용하여 거버너 텐션시브의 하부방향 이탈뿐만 아니라, 상부방향으로의 이탈도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따라 거버너 텐션시브의 상부 및 하부방향 이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한 후, 이에 따른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가 있게 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승강로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그 상면 양단에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재와, 기계실에 형성된 거버너 시브와 연결된 로프가 그 외주면에 권취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텐션시브 및,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텐션시브의 하측 일부가 그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텐션시브의 축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대응하도록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텐션시브와 더불어 상ㆍ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웨이트부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버너 텐션시브가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40) 일면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감지부(52)가 그 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50)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와 인접한 위치의 일측 가이드부재(12)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의 감지부(52)가 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감지 브라켓트(60a,60b)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브라켓트(60a,60b)는 대략 사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호 마주보는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외측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감지 브라켓트(60a, 60b)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의 감지부(52)와 각각 대략 80밀리미터(mm) 정도의 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KR2020010038012U 2001-12-10 2001-12-10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KR200269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012U KR200269293Y1 (ko) 2001-12-10 2001-12-10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012U KR200269293Y1 (ko) 2001-12-10 2001-12-10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293Y1 true KR200269293Y1 (ko) 2002-03-23

Family

ID=7308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012U KR200269293Y1 (ko) 2001-12-10 2001-12-10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2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9784B1 (en)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EP1880967B1 (en) Elevator apparatus
JP5102546B2 (ja)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ロープ状態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KR10094601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A1067838A (en) Elevator system
KR20150003476U (ko) 거리측정용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 인식 시스템
EP1524232A3 (en) Safety device for working on top of an elevator car
KR200269293Y1 (ko) 거버너 텐션시브의 이탈 감지장치
EP1422183A1 (en) Elevator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N101200258A (zh) 电梯限速器张紧装置
JP201321640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6648247B2 (ja)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4255687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KR20160094852A (ko) 락 다운 장치 유지 공구 및 균형차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
KR102484427B1 (ko) 연결벨트를 이용한 상부 구동형 승강기의 구조
JPWO2005077804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00116212A (ko)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1016628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승강패널승하강장치
JP659901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9110336A (ja) エレベーター
JP201105178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265012B1 (ko) 가변속도 엘리베이터의 강제 감속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00204B1 (ko) 와이어텐션 감지기능을 갖는 와이어 고정수단 및 이를구비하는 와이어 구동형 도어장치
KR20170000856A (ko) 슬라브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