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532B1 -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532B1
KR101535532B1 KR1020150009740A KR20150009740A KR101535532B1 KR 101535532 B1 KR101535532 B1 KR 101535532B1 KR 1020150009740 A KR1020150009740 A KR 1020150009740A KR 20150009740 A KR20150009740 A KR 20150009740A KR 101535532 B1 KR101535532 B1 KR 101535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moving
auxiliary
moving bod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은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0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이동몸체(120)와; 상기 이동몸체(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재(13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보조몸체(140)와; 상기 보조몸체(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재(150)와; 필러(C)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160)와; 상기 보조몸체(140)의 전방 일측에 설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단관(170)과;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다단관(17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180)으로 이루어지는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래들의 노즐 내부에 필러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위치에 필러를 공급하여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필러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Automatic input device ladle filler}
본 발명은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들의 노즐에 따라서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필러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들은 산소세척 후 노즐 내부에 충전제인 필러를 채워 조업시 노즐에 적정한 소결층을 형성하여 개공 전까지 용강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필러를 투입하는 구조상 필러의 정량공급이 어렵고 필러 내부에 이물질 혼입으로 개공 불량으로 인한 생산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래들의 상부에서 수작업으로 필러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고온 또는 분진 등에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최근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래들의 노즐에 필러를 공급하고 있으나, 이는 래들 및 주변설비와의 간섭 및 충돌로 작동효율을 제한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공급설비의 대형화로 잦은 고장은 물론 유지보수의 어려운 구조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래들의 노즐에 따라서 정확한 위치를 유도할 수 없으므로 불필요하게 필러를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1369호(2000.01.25)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6890호(2000.04.25) 한국등록특허 제10-0396083호(2003.08.27) 한국등록특허 제10-0489234호(2005.05.17) 한국등록특허 제10-0699505호(2007.03.26) 한국등록특허 제10-0803979호(2008.02.15) 한국등록특허 제10-0954793호(2010.04.28) 한국등록특허 제10-1376578호(2014.03.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래들의 노즐 내부에 필러를 공급할 수 있는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의 내부에 일정량의 필러를 투입할 수 있는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이동몸체(120)와; 상기 이동몸체(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재(13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보조몸체(140)와; 상기 보조몸체(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재(150)와; 필러(C)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160)와; 상기 보조몸체(140)의 전방 일측에 설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단관(170)과;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다단관(17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18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부재(130)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제1회전체(132)와; 상기 제1롤러(121)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2회전체(133)와; 제1회전체(132) 및 제2회전체(133)를 순환하여 연결하는 연결체(13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2구동부재(150)는 상기 보조몸체(140)의 양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제3롤러(141)와;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51)와; 상기 구동모터(151)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제1회전체(152)와; 상기 제3롤러(141)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2회전체(153)와;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를 순환하여 연결하는 연결체(15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재(160)는 호퍼(161)와; 상기 호퍼(161)의 하부에 형성하여 필러(C)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162)와; 상기 밸브(162)의 하부에 형성하는 배출펌프(16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에 상기 저장부재(160)를 통해서 필러(C)를 공급받기 위한 보조호퍼(171)를 형성하고, 상기 다단관(170)과 보조호퍼(172)의 사이에 개폐밸브(172)로 구비하며, 상기 다단관(170)의 일측에 카메라(173)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절부재(180)과 다단관(170)의 사이에 로프(181)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로프(181)의 절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재(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재(190)는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힌지축(191)과; 상기 로프(181)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힌지축(19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롤러(192)와; 상기 지지롤러(192)의 타측에 형성하는 중량체(193)와; 상기 지지롤러(192)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9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120)와 보조몸체(140)의 후방에 로프(210)를 연결하고, 상기 로프(210)를 감기 위한 윈치(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래들의 노즐 내부에 필러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위치에 필러를 공급하여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필러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이동몸체(120)와; 상기 이동몸체(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재(13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보조몸체(140)와; 상기 보조몸체(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재(150)와; 필러(C)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160)와; 상기 보조몸체(140)의 전방 일측에 설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단관(170)과;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다단관(17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래들(A)의 주변설비 또는 구조물에 설치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도록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120)는 래들(A)의 위치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치를 조절한다.
특히 상기 이동몸체(120)의 양측에 상기 본체(110)의 내측면에 맞닿아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롤러(121) 및 제2롤러(122)를 각각 형성하여 원활한 이동력 및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롤러(121)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양측에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면에 올려진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롤러(122)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재(130)는 상기 이동몸체(1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한다.
이를 위한 상기 제1구동부재(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제1회전체(132)와; 상기 제1롤러(121)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2회전체(133)와; 제1회전체(132) 및 제2회전체(133)를 순환하여 연결하는 연결체(134)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131)의 일측에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모터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속도 및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체(132) 및 제2회전체(133)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스프로킷 또는 풀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134)는 체인 또는 벨트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31)의 작동으로 상기 제1롤러(121)를 일정속도로 회전시켜 상기 이동몸체(1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몸체(140)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몸체(140)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휘어짐과 변형이 발생하므로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를 최소화하면서 래들(A)의 위치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부재(1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몸체(140)의 양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제3롤러(141)와;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51)와; 상기 구동모터(151)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제1회전체(152)와; 상기 제3롤러(141)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2회전체(153)와;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를 순환하여 연결하는 연결체(154)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제3롤러(141)는 상기 보조몸체(140)의 양측에서 상기이동몸체(120)의 내측면에 올려진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51)의 일측에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모터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속도 및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스프로킷 또는 풀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154)는 체인 또는 벨트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51)의 작동으로 상기 제3롤러(141)를 일정속도로 회전시켜 상기 보조몸체(1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재(160)는 내부에 필러(C)를 저장한 상태로 상기 다단관(170)의 내부로 필러(C)를 공급한다.
이를 위한 상기 저장부재(16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161)와; 상기 호퍼(161)의 하부에 형성하여 필러(C)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162)와; 상기 밸브(162)의 하부에 형성하는 배출펌프(163)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호퍼(161)는 내부에 필러(C)를 저장한 상태로 래들(A)의 주변설비 또는 구조물에 설치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밸브(162)는 상기 호퍼(161)의 내부에 저장한 필러(C)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작동시켜 이동하는 슬라이드식 또는 회전식 개폐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펌프(163)는 필러(C)를 하부방향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로터리 펌프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에 상기 저장부재(160)를 통해서 필러(C)를 공급받기 위한 보조호퍼(171)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다단관(170)은 서로 지름이 다른 관이 겹치거나 펼쳐지면서 길이를 조절하여 노즐(B)의 내부로 필러(C)를 투입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다단관(170)과 보조호퍼(172)의 사이에 개폐밸브(172)로 구비하여 상기 보조호퍼(172)의 내부에 저장한 필러(C)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단관(170)의 일측에 카메라(173)를 마련하여 노즐(B)의 내부상태 및 필러(C)의 투입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감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단관(17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조절부재(180)과 사이에 로프(181)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180)를 로프(181)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다단관(1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윈치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재(180)의 작동으로 상기 로프(181)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다단관(1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로프(181)의 이동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받침롤러(18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로프(181)의 절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재(19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힌지축(191)과; 상기 로프(181)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힌지축(19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롤러(192)와; 상기 지지롤러(192)의 타측에 형성하는 중량체(193)와; 상기 지지롤러(192)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94)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롤러(192)는 로프(181)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나, 만일 상기 로프(181)가 절단되면 상기 중량체(193)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지지롤러(192)가 상기 힌지축(19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감지센서(194)가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 또는 운전실로 전달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20)와 보조몸체(140)의 후방에 로프(210)를 연결하고, 상기 로프(210)를 감기 위한 윈치(2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이동몸체(120) 및 보조몸체(140)가 전진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부재(130) 또는 제2구동부재(150)가 고장이 날 경우 상기 윈치(200)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몸체(120) 및 보조몸체(14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유지보수 및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110: 본체
120: 이동몸체 121: 제1롤러
122: 제2롤러
130: 제1구동부재 131: 구동모터
132: 제1회전체 133: 제2회전체
134: 연결체
140: 보조몸체 141: 제3롤러
150: 제2구동부재 151: 구동모터
152: 제1회전체 153: 제2회전체
154: 연결체
160: 저장부재 161: 호퍼
162: 밸브 163: 배출펌프
170: 다단관 171: 보조호퍼
172: 개폐밸브 173: 카메라
180: 조절부재 181: 로프
182: 받침롤러
190: 감지부재 191: 힌지축
192: 지지롤러 193: 중량체
194: 감지센서
200: 윈치 210: 로프
A: 래들 B: 노즐
C: 필러

Claims (9)

  1.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이동몸체(120)와; 상기 이동몸체(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재(13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보조몸체(140)와; 상기 보조몸체(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재(150)와; 필러(C)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160)와; 상기 보조몸체(140)의 전방 일측에 설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단관(170)과;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다단관(17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18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구동부재(130)는 상기 이동몸체(120)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제1회전체(132)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하부에 형성한 제1롤러(121)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2회전체(133)와; 제1회전체(132) 및 제2회전체(133)를 순환하여 연결하는 연결체(134)로 구성하고, 상기 제2구동부재(150)는 상기 보조몸체(140)의 양측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몸체(120)의 내측면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제3롤러(141)와; 상기 보조몸체(140)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51)와; 상기 구동모터(151)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제1회전체(152)와; 상기 제3롤러(141)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2회전체(153)와; 제1회전체(152) 및 제2회전체(153)를 순환하여 연결하는 연결체(154)로 구성하며, 상기 저장부재(160)는 호퍼(161)와; 상기 호퍼(161)의 하부에 형성하여 필러(C)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162)와; 상기 밸브(162)의 하부에 형성하는 배출펌프(163)로 구성하고,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에 상기 저장부재(160)를 통해서 필러(C)를 공급받기 위한 보조호퍼(171)를 형성하고, 상기 다단관(170)과 보조호퍼(172)의 사이에 개폐밸브(172)로 구비하며, 상기 다단관(170)의 일측에 카메라(173)를 마련하며, 상기 조절부재(180)과 다단관(170)의 사이에 로프(181)를 연결하되,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로프(181)의 절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재(190)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재(190)는 상기 다단관(17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힌지축(191)과; 상기 로프(181)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힌지축(19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롤러(192)와; 상기 지지롤러(192)의 타측에 형성하는 중량체(193)와; 상기 지지롤러(192)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94)로 구성하며, 상기 이동몸체(120)와 보조몸체(140)의 후방에 로프(210)를 연결하고, 상기 로프(210)를 감기 위한 윈치(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09740A 2015-01-21 2015-01-21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KR101535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40A KR101535532B1 (ko) 2015-01-21 2015-01-21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40A KR101535532B1 (ko) 2015-01-21 2015-01-21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532B1 true KR101535532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740A KR101535532B1 (ko) 2015-01-21 2015-01-21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5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042Y1 (ko) * 2000-11-23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래들필러 자동투입장치
KR100395371B1 (ko) * 2001-02-20 2003-08-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KR20050015049A (ko) * 2003-08-01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래이들 용강배출구 필러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042Y1 (ko) * 2000-11-23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래들필러 자동투입장치
KR100395371B1 (ko) * 2001-02-20 2003-08-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로프절단 감지장치
KR20050015049A (ko) * 2003-08-01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래이들 용강배출구 필러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771B1 (ko) 자동나사조임장치
JP4858861B2 (ja) 自動注湯機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システム
KR1016482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CN104014954A (zh) 钢管法兰焊接定位装置
KR101909344B1 (ko)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원터치 볼트 윤활유 자동 분사장치
JP2017512283A (ja) パイプ敷設機械およびパイプ敷設方法
CN204503818U (zh) 平整机组带钢头部处理装置
KR101573456B1 (ko) 회전작업대와 3축방향 용접기가 일체화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기
US8596344B2 (en) Handling device for pipes
KR101535532B1 (ko) 래들용 필러 자동투입장치
KR101041530B1 (ko) 턴디쉬 플럭스 투입장치
JPWO2011030647A1 (ja) 溶湯の溶解炉から処理取鍋への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528772B1 (ko) 래들 경동식 자동주탕장치
CN205851867U (zh) 一种中间包水口旋转快速更换机构
CN205662132U (zh) 一种具有自动纠偏功能的金属带放卷机
CN212264523U (zh) 钢包滑动水口自动填砂装置以及炼钢工艺系统
KR101712162B1 (ko) 전기로 출탕구 탭핑 장치
KR20150056103A (ko) 곡직 작업용 자동 캐리지
KR101482510B1 (ko) 슬래그 유출 방지 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고압가스 분사 랜스
KR20130034966A (ko) 선박 탑승용 연결장치
KR20180069422A (ko) 종횡 이동형 운반기기의 그리스 급지장치
KR20130088387A (ko) 페이로더용 살수장치
KR100975978B1 (ko) 턴디쉬 노즐용 통기량 자동 측정장치
US3450399A (en) Apparatus for forming a tap hole including boring tool,blowpipe and blowpipe cutoff means
KR200223042Y1 (ko) 래들필러 자동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