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720A -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720A
KR20020065720A KR1020010005887A KR20010005887A KR20020065720A KR 20020065720 A KR20020065720 A KR 20020065720A KR 1020010005887 A KR1020010005887 A KR 1020010005887A KR 20010005887 A KR20010005887 A KR 20010005887A KR 20020065720 A KR20020065720 A KR 20020065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image data
mirror functio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7984B1 (ko
Inventor
양회선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1-000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984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어질 때, 보여지는 실제 화면의 좌우가 반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거울영상 기능 장치는 1필드의 영상신호를 메모리에 기억시켰다가 주소 지정을 변환시켜 출력함으로써, 출력 시에는 1필드의 영상 신호를 저장해야 하는 메모리공간이 있어야 하며, 또한, 종래의 미러 기능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전체화면을 좌우 반전시키기 때문에, 두개 이상의 화면을 디스플레이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화면도 좌우가 반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반면에 본 발명은 출력되어지는 상대방 화면 및 자기 화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만 좌우반전이 가능하도록 미러기능을 제공하여 화상전화나 화상회의 같은 화상통화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경우, 사용자가 좌우반전되는 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The mirror function device for image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어질 때, 보여지는 실제 화면의 좌우가 반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상호간에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시스템은 음성정보만을 교환하는 전화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허나 화상회의 시스템의 발전 및 보급으로 인하여 영상, 음성, 문자, 그래픽, 이미지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전송하므로써, 멀티미디어적인 정보교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통신망과 영상 압축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압축률이 향상되어 통신 채널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었으며,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이동형 및 개인형 영상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LAN의 보급에 따라 화상 시스템은 공용시스템이 아닌 개인용 시스템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거울영상 기능장치를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1)와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영상 출력부(11)와, 사용자가 거울영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2)와, 선입력 후출력(First in Last Out)의 성질을 갖는 제 1 수평주사기간 지연소자(7) 및 제 2 수평주사기간 지연소자(8)와, 상기 선택부(2)에서 출력되는 선택 신호와 영상신호를 입력 받아 선택신호를 영상 신호중 수직동기 신호에 맞추어 거울 영상 기능신호를 출력하는 거울영상 기능신호 발생부(3)와, 영상 신호중 수평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매 수평동기신호마다 레벨을 변화하는 제 1 경로 제어신호 및 상기 제 1 경로제어신호의 반대신호인 제 2 경로 제어신호의 출력하는 경로제어신호 발생부(4)와, 영상 신호중 수직 동기 신호를검출하여 지연 리셋(Delay reset)신호를 출력하는 지연 리셋신호 발생부(5)와, 상기 거울영상 기능신호 발생부(3), 경로제어신호 발생부(4), 경로제어신호 발생부(4)를 제어하는 제어부(6)와, 상기 제어부(6)의 출력신호인 거울영상 기능신호에 따라 영상 입력부(1)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영상 출력부(11)로 출력시키거나, 또는 거울 영상을 얻기 위하여 영상신호를 다음 단계로 출력시키는 제 1경로 선택부(10)와, 상기 제어부(6)의 출력신호인 제 1 경로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경로 선택부(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 받아 제 1 수평주사기간 지연소자(7) 및 제 2 수평주사기간 지연소자(8) 중에서, 하나를 입력소자로 선택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그 나머지를 출력소자로 선택하여 영상신호를 제 1 경로 선택부(10)로 출력하는 제 2 경로 선택부(9)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의 거울영상 기능신호 발생부(3)는 거울영상 기능을 온/오프(On/Off) 시키는 신호인 거울 영상 기능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거울영상기능을 원할 경우, 선택부(2)에서 얻어지는 신호를 영상신호의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신호레벨을 변하게 함으로써, 거울영상기능이 필드단위로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경로 선택부(10)는 거울영상 기능신호에 따라 영상신호를 영상출력부(11)로 인가하거나, 또는 영상 좌우 반전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부분으로 영상신호를 인가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거울영상 기능 장치로는 1필드의 영상신호를 메모리에 기억시켰다가 주소 지정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것으로서 영상 화면이 1필드씩 지연되어 온라인 출력 시에는 화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며, 1필드의 영상 신호를 저장해야 하는 메모리공간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미러 기능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전체화면을 좌우 반전시키기 때문에, 화상전화나 화상회의 같은 화상통화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경우, 원하지 않는 화면도 좌우가 반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화면이 1필드씩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화면을 구성하는 영상신호를 1라인 영상신호로 미러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력되어지는 상대방 화면 및 자기 화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만 좌우반전이 가능하도록 미러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로 부터 입력되는 지정한 크기의 영상데이터를 캡쳐하여 제 1 입력버퍼부에 임시저장하는 자기 화면 입력부와, 상기 제 1 입력버퍼부에 임시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읽어와서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할 영상데이터의 주소를 계산하는 제 1 쓰기 DMA부와,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대방 화면을 복원하여 임시저장하는 제 2 입력 버퍼부와, 상기 제 2 입력버퍼부로 부터 읽어온 저장할 영상데이터의 주소를 계산하는 제 2 쓰기 DMA부와, 비디오 메모리에 자기 화면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의 주소를 계산하여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 전송된 자기 화면 영역의 주소정보와 매칭되는 자기 화면의 영상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 제 1 출력버퍼부에 임시저장하는 제 1 읽기 DMA부와, 상기 제 1 출력버퍼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자기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 디스플레부에 출력하는 자기화면 출력부와, 비디오 메모리에 통신 선로를 통해 전송되어 복원된 상대방 화면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의 주소를 계산하여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 전송된 상대방 화면 영역의 주소정보와 매칭되는 상대방 화면의 영상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 제 2 출력버퍼부에 임시저장하는 제 2 읽기 DMA부와, 상기 제 2 출력버퍼에 임시 저장된 상대방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 디스플레부에 출력하는 상대방화면 출력부와, 상기 제 1 읽기 DMA부 및 제 2 읽기 DMA부를 제어하여 자기 화면의 영상데이터나 혹은 상대방 화면의 영상데이터 중, 사용자가 지정한 화면의 영상을 좌우반전 시키도록 미러기능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미러기능신호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화면상에, 상대방 화면만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또는 자기 화면만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또는 상대방 화면과 자기 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제어하는 화면 출력 모드 결정부와, 상기 제 1 쓰기 DMA부 및 상기 제 2 쓰기 DMA부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영상데이터의 주소에 맞추어 메모리 저장에 필요한 신호들을 생성하는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거울영상 기능장치를 나타낸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거울영상 기능장치를 나타낸 시스템도.
도 3a, 3b는 미러기능신호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미러기능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데이터의 비디오 메모리 맵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거울영상 기능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미러기능이 적용이 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영상입력부2 : 선택부
3 : 거울영상 기능신호 발생부4 : 경로제어신호 발생부
5 : 지연 리셋 신호발생부6 : 제어부
7 : 제 1 수평주사기간 지연소자8 : 제 2 수평주사기간 지연소자
9 : 제 2 경로 선택부10 : 제 1 경로 선택부
11 : 영상출력부12 : 자기화면 입력부
13 : 제 1 입력버퍼부14 : 제 1 쓰기 DMA부
15 : 복호기16 : 제 2 입력버퍼부
17 : 제 2 쓰기 DMA부18 : 제 1 읽기 DMA부
19 : 제 1출력버퍼부20 : 자기화면 출력부
21 : 제 2 읽기 DMA부22 : 제 2 출력버퍼
23 : 상대방화면 출력부24 : 미러기능신호 제어부
25 : 화면출력 모드결정부26 :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
30 : 전체화면부31 : 상대방화면부
32 : 자기화면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미러영상 기능장치를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자기화면 입력부(12)와, 자기화면 출력부(20)와, 상대방 화면 출력부(23)와, 제 1 입력 버퍼부(13)와, 제 2 입력 버퍼부(16)와, 제 1 출력 버퍼부(19)와, 제 2 출력 버퍼부(22)와, 제 1 쓰기 DMA부(14)와, 제 2 쓰기 DMA부(17)와, 제 1 읽기 DMA부(18)와, 제 2 읽기 DMA부(21)와, 미러기능신호 제어부(24)와,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26)와, 복호기를 통해 복원된 상대방 화면을 출력하는 상대방화면 출력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자기 화면 입력부(12)는 카메라로 부터 입력되는 사용자가 지정한 크기의 영상데이터를 캡쳐하여 제 1 입력버퍼부(13)로 전송한다.
제 1 입력 버퍼부(13)는 상기 자기 화면 입력부(12)로부터 출력된 영상데이터를 입력 받아 임시저장한다.
제 1 쓰기 DMA부(14)(Direct Memory Access)는 상기 제 1 입력버퍼부(13)에 임시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읽어와서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할 영상데이터의 주소(Address)를 계산하여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26)로 전송한다.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26)는 상기 제 1 쓰기 DMA부(14)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의 주소에 맞추어 메모리 저장에 필요한 신호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복호기(15)는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대방 화면을 복원하여 제 2 입력 버퍼부(16)로 전송한다.
제 2 입력 버퍼부(16)는 상기 복호기(15)로부터 출력된 복원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 임시저장한다.
제 2 쓰기 DMA부(17)는 상기 제 2 입력버퍼부(16)로 부터 읽어오는 저장할 영상데이터의 주소를 계산하여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26)로 전송한다.
제 1 읽기 DMA부(18)는 비디오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자기 화면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의 주소를 계산하여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26)로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26)에 전송된 자기 화면 영역의 주소정보와 매칭되는 자기 화면의 영상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 제 1 출력버퍼부(19)로 전송한다.
제 1 출력버퍼부(19)는 상기 제 1 읽기 DMA부(18)로부터 출력된 자기 화면의 영상데이터를 입력 받아 임시저장한다.
자기화면 출력부(20)는 상기 제 1 출력버퍼(19)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자기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 디스플레부(미도시)에 출력한다.
제 2 읽기 DMA부(21)는 비디오 메모리에 통신 선로를 통해 전송되어 복원된 상대방 화면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의 주소를 계산하여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26)로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26)에 전송된 상대방 화면 영역의 주소정보와 매칭되는 상대방 화면의 영상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 제 2 출력버퍼부(22)로 전송한다.
제 2 출력버퍼부(22)는 상기 제 2 읽기 DMA부(21)로부터 출력된 자기 화면의 영상데이터를 입력 받아 임시저장한다.
상대방화면 출력부(23)는 상기 제 2 출력버퍼(22)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상대방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 디스플레부에 출력한다.
미러기능신호 제어부(24)는 자기 화면의 영상데이터나 혹은 상대방 화면의 영상데이터 중, 사용자가 지정한 화면의 영상을 미러(Mirror)기능이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미러기능신호 제어부(24)는 제 1 읽기 DMA부(18) 및 제 2 읽기 DMA부(21)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읽기 DMA부(18) 및 제 2 읽기 DMA부(21)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즉, 미러기능 제어신호가 "0"이면 원래대로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오고, 미러 기능 제어신호가 "1"이면 평상시와 반대로 읽어오면 된다.
화면 출력 모드 결정부(25)는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을 출력할 때, 상대방 화면만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또는 자기 화면만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또는 상대방 화면과 자기 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결정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도 3a, 3b는 미러기능신호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미러기능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데이터의 비디오 메모리 맵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것처럼, 입력되는 자기 화면의 영상데이터, 또는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대방 화면의 영상데이터가 m×n 크기의 영상을 제 1 읽기 DMA부(18), 또는 제 2 읽기 DMA부(21)를 통해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한다고 하면 도 3b와 같은 형태로 맵핑된다.
여기서, 미러 기능 제어신호의 값에 따라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오는 영상데이터의 순서는 먼저 미러기능 제어신호가 "0"인 경우,
의 순서로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온다.
또한, 미러기능 제어신호가 "1"인 경우,
의 순서로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거울영상 기능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미러기능이 적용이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이 될 때, 상대방 화면(31)은 미러 기능을 적용하지 않고, 자기 화면(32)은 미러기능을 적용하여 전체화면(30)에 출력이 되어진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기 화면, 또는 상대방 화면을 키조작을 통하여 미러기능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자기 화면, 또는 상대방 화면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한 화면만 볼 경우에도 미러기능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력되어지는 상대방 화면 및 자기 화면을 전체, 또는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미러기능을 적용하도록 구현되어 화상 전화, 또는 화상회의와 같은 화상 통화 시스템에서 두개, 이상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만 좌우반전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화면을 구성하는 영상신호를 1라인 영상신호로 미러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영상신호를 저장해야 하는 메모리 공간이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로 부터 입력되는 지정한 크기의 영상데이터를 캡쳐하여 제 1 입력버퍼부에 임시저장하는 자기 화면 입력부와,
    상기 제 1 입력버퍼부에 임시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읽어와서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할 영상데이터의 주소를 계산하는 제 1 쓰기 DMA부와,
    통신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대방 화면을 복원하여 임시저장하는 제 2 입력 버퍼부와,
    상기 제 2 입력버퍼부로 부터 읽어온 저장할 영상데이터의 주소를 계산하는 제 2 쓰기 DMA부와,
    비디오 메모리에 자기 화면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의 주소를 계산하여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 전송된 자기 화면 영역의 주소정보와 매칭되는 자기 화면의 영상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 제 1 출력버퍼부에 임시저장하는 제 1 읽기 DMA부와,
    상기 제 1 출력버퍼(19)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자기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 디스플레부에 출력하는 자기화면 출력부(20)와,
    비디오 메모리에 통신 선로를 통해 전송되어 복원된 상대방 화면이 저장되어 있는 영역의 주소를 계산하여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 전송된 상대방 화면 영역의 주소정보와 매칭되는 상대방 화면의 영상데이터를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 제 2 출력버퍼부에 임시저장하는 제 2 읽기 DMA부와,
    상기 제 2 출력버퍼에 임시 저장된 상대방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읽어 디스플레부에 출력하는 상대방화면 출력부와,
    상기 제 1 읽기 DMA부 및 제 2 읽기 DMA부를 제어하여 자기 화면의 영상데이터나 혹은 상대방 화면의 영상데이터 중, 사용자가 지정한 화면의 영상을 좌우반전 시키도록 미러기능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미러기능신호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화면상에, 상대방 화면만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또는 자기 화면만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또는 상대방 화면과 자기 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제어하는 화면 출력 모드 결정부와,
    상기 제 1 쓰기 DMA부 및 상기 제 2 쓰기 DMA부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영상데이터의 주소에 맞추어 메모리 저장에 필요한 신호들을 생성하는 비디오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러기능신호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미러기능 제어신호가 "0"이면 원래대로 비디오 메모리에서 읽어오고, 미러 기능 제어신호가 "1"이면 좌우반전하여 읽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KR10-2001-0005887A 2001-02-07 2001-02-07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KR100377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887A KR100377984B1 (ko) 2001-02-07 2001-02-07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887A KR100377984B1 (ko) 2001-02-07 2001-02-07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720A true KR20020065720A (ko) 2002-08-14
KR100377984B1 KR100377984B1 (ko) 2003-03-29

Family

ID=2769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887A KR100377984B1 (ko) 2001-02-07 2001-02-07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9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7362A1 (en) * 2007-04-30 2008-1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conference system with symmetric reference
CN103347157A (zh) * 2013-06-25 2013-10-09 杭州士兰微电子股份有限公司 实时输入数字图像镜像存储的方法及装置
CN103369363A (zh) * 2013-06-27 2013-10-23 北京新思易佳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控制方法、系统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245B1 (ko) 2020-08-04 2021-03-29 주식회사 클래스랩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6084B2 (ja) * 1997-07-14 2003-08-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その駆動方法およびその信号処理回路、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原稿読取装置
KR19990017559A (ko) * 1997-08-25 1999-03-15 구자홍 카메라 입력영상의 선택적 좌우반전방법
KR100497519B1 (ko) * 1997-11-24 2005-10-12 주식회사 엘지 실물화상기의화면표시방법
KR20010000328A (ko) * 2000-09-15 2001-01-05 민복기 화상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7362A1 (en) * 2007-04-30 2008-1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conference system with symmetric reference
CN103347157A (zh) * 2013-06-25 2013-10-09 杭州士兰微电子股份有限公司 实时输入数字图像镜像存储的方法及装置
CN103369363A (zh) * 2013-06-27 2013-10-23 北京新思易佳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控制方法、系统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7984B1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4364A (en) Media pipeline with multichannel video processing and playback
US7425979B2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377984B1 (ko)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US20070030260A1 (en) Circuit for controlling display of modulated image in a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US20020158895A1 (en) Method of and a system for distributing interactive audiovisual works in a server and client system
KR102174290B1 (ko) 화상 회의시 화상 및 영상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 판서 기능을 구현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S59267A (ja) 電子黒板装置
JP2817409B2 (ja) カラー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10322674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2882632B2 (ja) 画像会議装置
KR100263318B1 (ko) 실물화상기기
JPH05191803A (ja) 動画像の合成装置および多地点間会議装置
JPH11177947A (ja) 画像通信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JPH05153487A (ja) 映像表示左右反転装置
JP3171275B2 (ja) 多地点テレビ会議の多地点同時表示における制御先表示方式
JP361389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20030101221A1 (en) Network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082361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253219B1 (ko)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영상 처리장치
JPS6179388A (ja) 静止画テレビ会議装置
JPH0340583A (ja) 画像復号化装置
CN116761021A (zh) 图像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13657255A (zh) 一种自动框选人的方法和存储设备
JPH08251563A (ja) テレビ電話方式
JPS64894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