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245B1 -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 Google Patents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245B1
KR102233245B1 KR1020200112633A KR20200112633A KR102233245B1 KR 102233245 B1 KR102233245 B1 KR 102233245B1 KR 1020200112633 A KR1020200112633 A KR 1020200112633A KR 20200112633 A KR20200112633 A KR 20200112633A KR 102233245 B1 KR102233245 B1 KR 102233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mode
rotating body
head
learner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래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래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래스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245B1/ko
Priority to EP21853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94946A1/en
Priority to US18/013,318 priority patent/US20230269476A1/en
Priority to PCT/KR2021/005588 priority patent/WO2022030731A1/ko
Priority to JP2022580119A priority patent/JP7446490B2/ja
Priority to CN202180068105.9A priority patent/CN116348816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45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가 쓰러지지 않게 중량을 가하여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일단에 상기 바닥면과 대면하는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학습자의 얼굴 높이에 헤드부를 위치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카메라 렌즈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를 조작할 필요없이 학습자 촬영모드와 학습자료 촬영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촬영모드 전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PRESENTER HAVING HEAD PART TO CONTROL SHOOTING DIRECTION}
본 발명은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황에 따라 교재와 학습자를 변경하며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 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강의가 활성화 되고 있는데, 강의 시청시 상호 작용이 어려우며 그에 따라 강의 중 수강생이 딴짓을 하거나 집중력이 떨어져 학업 성취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강의 자료 뿐 아니라 선생님과 학생이 수시로 서로의 얼굴과 학습자료를 번갈아 보며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실물화상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실물화상기는 책상 위의 물체를 촬영하는 용도로 사용하다 보니, 책상 위 물체를 촬영하다가 전면을 촬영할 경우 물체의 상이 거꾸로 맺히게 되기 때문에 바로 표시된 상대방의 모습을 보기 위해서는 전면 촬영시 헤드부를 180도 회전시키는 하드웨어적인 방법 또는 출력되는 영상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치 비용이 상승해 일반 가정의 학생들에게 실물화상기를 보급하기 어려우며, 초등학생 저학년 등 어린 학생들의 경우 복잡한 구조의 기기를 정확히 조작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기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270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75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79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단순한 동작으로 손쉽고 정확하게 학습자 촬영모드와 학습자료 촬영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보급형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실물화상기에 장착하여 손쉽게 학습자 촬영모드와 학습자료 촬영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탈착형 촬영모드 변환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도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가 쓰러지지 않게 중량을 가하여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일단에 상기 바닥면과 대면하는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학습자의 얼굴 높이에 헤드부를 위치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카메라 렌즈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를 조작할 필요없이 학습자 촬영모드와 학습자료 촬영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촬영모드 전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모드 전환 모듈은 헤드부부재에 밀착되는 학습자료 촬영모드 위치와 상기 카메라 렌즈의 하부에 오버랩 되어 전방에 배치된 물체의 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에 맺히게 하는 학습자 촬영모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하면에 배치되어 반사부재와, 상기 회전바디와 상기 카메라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학습자 촬영모드 위치에서 상기 회전바디가 상기 카메라 렌즈와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바디를 지지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각도제어바디와, 상기 각도제어바디와 상기 회전바디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디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바디는 상기 힌지와 상기 반사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자석과 접하여 상기 회전바디를 상기 학습자 촬영모드 위치에 고정시키는 자성체판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부재에는 상기 자석과 접하여 상기 회전바디를 상기 학습자료 촬영모드 위치에 고정시키는 자성체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제어바디는 상기 회전바디와 상기 경사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렌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촬영 이미지를 좌우반전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이 상기 자성체판에 접하여 형성되는 자력의 크기 변화를 감지하는 자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바디는 사용자가 상기 학습자료 촬영 모드 위치의 고정을 해제할 경우 자동으로 학습자 촬영 모드 위치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석과 자성체판은 상기 회전바디가 바닥면과 수직인 위치보다 작은 사이각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바디를 끌어당겨 상기 빗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력이 조정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회전바디가 상기 헤드부부재에서 분리되면 상기 바닥면과 수직인 위치까지 낙하할 수 있도록 댐핑이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이 상기 자성체판에 접하여 힘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모드 전환 모듈은 상기 헤드부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내장할 필요가 없으며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등 어린 학생들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보급형 실물화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회전바디 하면에는 반사부재가 장착되어 사용자 촬영 모드로 위치시킬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상하반전 없이 촬영될 수 있게 한다.
셋째, 촬영모드 전환 모듈은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바디와 반대쪽에 일정 경사각을 이루는 각도제어바디가 배치되어 사용자 촬영 모드에서 회전바디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넷째, 회전바디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외력에 각 촬영 모드에서 회전바디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은 힘에도 각 촬영 모드 위치로 손쉽게 고정이 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효과들도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실시예의 조합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물화상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의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구조를 확대한 개념도.
도 4는 도 3의 A 방향에서 촬영모드 전환 모듈을 바라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촬영모드 전환 모듈의 개념도.
도 6은 탈착형 촬영모드 전환 모듈의 장착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중 몇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일 뿐,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100)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물화상기(100)는 베이스부(110)와, 지지부(120)와, 헤드부(130)와,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장치가 쓰러지지 않게 중량을 가하여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0)에는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해 무게추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상기 헤드부(130)와 베이스부(110)를 연결한다.
지지부(120)는 헤드부(130)가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부(11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지지부(120)는 헤드부(130)가 학습자의 얼굴 높이에 위치하게 하여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을 조작할 때 학습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는 실물화상기(100)를 책상 위에 배치하고 의자에 앉아서 실물화상기(100) 아래에 놓인 학습자료를 보게 된다.
이 때 학습자의 앉은 키를 고려하여 헤드부(130)가 학습자의 얼굴과 비슷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지지부(120)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헤드부(130)는 책상의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130)는 필요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정 범위에서 헤드부(130)의 높이를 변화시켜 책상의 바닥면과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부(130)의 일단에는 책상 위에 놓인 학습자료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133)가 장착된다.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은 헤드부(13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은 상기 카메라 렌즈(133)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은 일면에 반사부재(142)가 부착된 회전바디(141)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헤드부(130)를 조작할 필요없이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학습자 촬영모드와 학습자료 촬영모드를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구조를 확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방향에서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을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렌즈(133)에 인접하게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은 회전바디(141)와, 반사부재(142)와, 각도제어바디(146)와, 힌지(14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는 헤드부부재(131)에 밀착되는 학습자료 촬영모드 위치와 상기 카메라 렌즈(133)의 하부에 오버랩 되어 전방에 배치된 물체의 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133)에 맺히게 하는 학습자 촬영모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회전 바디의 하면에는 반사부재(142)가 형성된다.
반사부재(142)는 학습자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 렌즈(133)가 실물화상기(100) 정면에 위치한 학습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이미지를 반사시킨다.
각도제어 바디는 회전바디(141)와 카메라 렌즈(133) 사이에 배치된다.
각도제어 바디는 일면이 회전 바디와 접하며, 상기 접하는 일면은 헤드부부재(131)와 일정 각도를 갖는 빗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회전바디(141)에는 자석(143)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143)은 회전바디(141)의 회전축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석(143)은 반사부재(142)에 비해 힌지(148)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자석(143)과 각도제어바디(146) 사이의 인력에 의해 회전바디(141)가 학습자 촬영모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각도제어 바디에는 상기 자석(143)과 대면하는 자성체판(145)이 구비될 수 있다.
자석(143)과 헤드부부재(131) 사이의 인력에 의해 회전바디(141)가 학습자료 촬영모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헤드부부재(131)에는 상기 자석(143)과 대면하는 자성체부재(1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판(145)와 자성체부재(144)는 자석에 붙는 철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판(145)와 자성체부재(144)가 자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자석(143)이 철과 같은 자성체로 대치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바디(141)의 하면에는 반사부재(142)가 배치된다.
반사부재(142)는 거울 등 반사율이 높은 부재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힌지(148)가 회전바디(141)의 회전축을 이룬다. 즉, 회전바디(141)의 일단에 힌지(148)가 연결된다.
회전축의 일측에는 회전바디(141)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각도제어바디(146)가 연결된다.
각도제어바디(146)에는 센서(14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147)는 회전바디(141)가 각도제어바디(146)에 접하는 것을 감지한다. 다시말해, 센서(147)는 회전바디(141)의 위치 변화에 따른 모드 변화를 감지하고 제어부(132)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센서(147)는 자석(143)이 자성체판(145)에 접하여 형성되는 자력의 크기 변화를 감지하는 자력센서(147)일 수도 있고, 자석(143)이 자성체판(145)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47)일 수도 있다.
헤드부부재(131)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133) 작동 및 이미지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2)는 센서(147)로부터 신호를 받아 출력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2)는 상기 각도제어바디(146) 센서(147)의 신호를 감지하여 카메라 렌즈(133)의 촬영 이미지를 좌우반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에 의해 학습자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상하반전을 방지할 수 있지만 거울에 비치는 이미지를 출력하다 보니 영상의 좌우가 반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단순히 학습자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면 이미지 좌우반전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학습자나 교사의 동작을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좌우반전도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학습자 촬영모드로 전환된 것이 확인되면 촬영 이미지를 좌우반전시킨다.
즉, 각도제어바디(146)의 센서(147)에서 회전바디(141)가 각도제어바디(146)에 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센서(147)는 제어부(132)에 신호를 보내 좌우가 반전된 이미지를 출력시키게 한다.
회전바디(141)의 일단에는 힌지(148)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힌지(148)의 회전 저항력과 자석(143)의 자력 크기를 조절하여 모드 변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이 일정 각도에서 저항을 높게 받아 바디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이스가 각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저항을 작게 받아 쉽게 회전하다가 특정 각도 범위 내에 들어왔을 때 회전축의 저항이 높아져 쉽게 회전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학습자료 촬영 모드 위치에 고정된 회전바디(141)에 힘을 가할 경우 상기 회전바디(141)는 자동으로 학습자 촬영 모드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석(143)의 크기 및 강도, 힌지(148)의 저항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자석(143)과 자성체판(145)은 상기 회전바디(141)가 바닥면과 수직인 위치보다 작은 사이각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바디(141)를 끌어당겨 상기 빗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력이 조정되고, 힌지(148)는 상기 회전바디(141)가 상기 헤드부부재(131)에서 분리되면 상기 바닥면과 수직인 위치까지 외력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저항력이 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바디(141)는 자석(143)과 자성체부재(144)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회전바디(141)는 M1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가 회전바디(141)를 아래쪽으로 당기면 자석(143)과 자성체부재(144)가 멀어지며 자기력이 중력보다 큰 구간(I구간)을 벗어나게 된다. 힌지(148)의 저항력을 조정하여 III구간에서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회전바디(141)가 스스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바디(141)가 바닥면과 수직인 위치보다 작은 사이각을 갖는 구간(II구간)에서는 자석(143)의 세기를 조절하여 회전바디(141)가 인력에 의하여 스스로 각도제어바디(146)에 다가가 붙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석(143)과 자성체판(145)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회전바디(141)가 M2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회전바디(141)를 아래쪽으로 당기면 자석(143)과 자성체판(145)이 떨어지며 회전바디(141)는 회전력을 받게 된다. 자석(143)과 자성체판(145)을 떨어뜨리기 위해 가해진 힘의 관성에 의하여 회전바디(141)는 I 구간까지 회전하게 되며 I 구간에서는 다시 자력에 의하여 M1 위치에 자동으로 고정된다.
즉, 사용자가 M1 위치 또는 M2 위치에 고정된 회전바디(14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정도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의 개념도이고, 도 6은 탈착형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의 장착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은 실물화상기(100)에 결합된 형태가 아니라 탈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은 실물화상기(100)의 헤드부부재(131)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10)재(149)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110)재(149)에는 위에서 설명한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의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존의 실물화상기(100)에 촬영모드 전환 모듈(140)을 장착하여 손쉽게 학습자 촬영모드와 학습자료 촬영모드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내장할 필요가 없으며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등 어린 학생들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보급형 실물화상기를 제공할 수 있고, 회전바디 하면에는 반사부재가 장착되어 사용자 촬영 모드로 위치시킬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상하반전 없이 촬영될 수 있으며, 촬영모드 전환 모듈은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바디와 반대쪽에 일정 경사각을 이루는 각도제어바디가 배치되어 사용자 촬영 모드에서 회전바디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회전바디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외력에 각 촬영 모드에서 회전바디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은 힘에도 각 촬영 모드 위치로 손쉽게 고정이 될 수 있게 하는 등 종래 기술에 비해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실물화상기 110 : 베이스부
120 : 지지부 130 : 헤드부
131 : 헤드부부재 132 : 카메라 기판
133 : 카메라 렌즈 140 : 촬영모드 전환 모듈
141 : 회전바디 142 : 반사부재
143 : 자석 144 : 자성체부재
145 : 자성체면 146 : 각도제어바디
147 : 센서 148 : 힌지
149 : 베이스부재
I 구간 : 자력에 의한 M1모드 진입구간
II 구간 : 자력에 의한 M2 모드 진입구간
III 구간 : 회전바디 낙하 구간
M1 : 학습자료 촬영 모드
M2 : 학습자 촬영 모드

Claims (10)

  1. 장치가 쓰러지지 않게 중량을 가하여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일단에 상기 바닥면과 대면하는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학습자의 얼굴 높이에 헤드부를 위치시키는 지지부; 및
    상기 카메라 렌즈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를 조작할 필요없이 학습자 촬영모드와 학습자료 촬영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촬영모드 전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모드 전환 모듈은,
    학습자료 촬영모드와 학습자 촬영모드 변경시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도 카메라 렌즈에 맺히는 상의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헤드부부재에 밀착되는 학습자료 촬영모드 위치와 상기 카메라 렌즈의 하부에 오버랩 되어 전방에 배치된 물체의 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에 맺히게 하는 학습자 촬영모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바디;
    상기 회전바디의 하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상기 회전바디가 상기 학습자 촬영모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각도제어바디; 및
    상기 각도제어바디와 상기 회전바디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디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디는 상기 힌지와 상기 반사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제어바디는,
    상기 자석과 접하여 상기 회전바디를 상기 학습자 촬영모드 위치에 고정시키는 자성체판이 형성되는 경사면;
    상기 자석과 접하여 상기 회전바디를 상기 학습자료 촬영모드 위치에 고정시키는 자성체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헤드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제어바디는,
    상기 회전바디와 상기 경사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촬영 이미지를 좌우반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이 상기 자성체판에 접하여 형성되는 자력의 크기 변화를 감지하는 자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디는,
    사용자가 상기 학습자료 촬영 모드 위치의 고정을 해제할 경우 자동으로 학습자 촬영 모드 위치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자성체판은 상기 회전바디가 바닥면과 수직인 위치보다 작은 사이각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바디를 끌어당겨 상기 경사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력이 조정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회전바디가 상기 헤드부부재에서 분리되면 상기 바닥면과 수직인 위치까지 낙하할 수 있도록 저항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이 상기 자성체판에 가하는 힘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드 전환 모듈은,
    상기 헤드부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KR1020200112633A 2020-08-04 2020-09-03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KR102233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53463.4A EP4194946A1 (en) 2020-08-04 2021-05-04 Visual presenter having head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photographing direction
US18/013,318 US20230269476A1 (en) 2020-08-04 2021-05-04 Presenter having head part to control shooting direction
PCT/KR2021/005588 WO2022030731A1 (ko) 2020-08-04 2021-05-04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JP2022580119A JP7446490B2 (ja) 2020-08-04 2021-05-04 撮影方向を変更可能なヘッド構造を備える実物画像機
CN202180068105.9A CN116348816A (zh) 2020-08-04 2021-05-04 具备能够改变拍摄方向的头部结构的实物成像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7170 2020-08-04
KR1020200097170 2020-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245B1 true KR102233245B1 (ko) 2021-03-29

Family

ID=7524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633A KR102233245B1 (ko) 2020-08-04 2020-09-03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69476A1 (ko)
EP (1) EP4194946A1 (ko)
JP (1) JP7446490B2 (ko)
KR (1) KR102233245B1 (ko)
CN (1) CN116348816A (ko)
WO (1) WO20220307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31A1 (ko) * 2020-08-04 2022-02-10 주식회사 클래스랩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0842S1 (en) * 2022-06-15 2024-04-02 Active Cues B.V. Projector
USD1026065S1 (en) * 2022-12-27 2024-05-07 Linksign Technology Limited Tablet photo booth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984B1 (ko) 2001-02-07 2003-03-29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KR100497519B1 (ko) 1997-11-24 2005-10-12 주식회사 엘지 실물화상기의화면표시방법
JP2006197280A (ja) * 2005-01-14 2006-07-27 Nec Access Technica Ltd 磁石の取付け方法,開閉検知装置及び折畳式携帯情報端末
KR101012704B1 (ko) 2004-04-26 2011-02-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회전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실물화상기
KR20110040255A (ko) * 2009-10-13 2011-04-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KR20160113680A (ko) * 2014-03-28 2016-09-30 인텔 코포레이션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자력 조절
KR20170138110A (ko) * 2016-06-07 2017-12-15 주식회사 매직내니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5638A (ja) 2000-10-19 2002-05-10 Nec Access Technica Ltd 小型ccdカメラ用スタンド
JP2003157432A (ja) 2001-11-21 2003-05-30 Canon Inc 撮像装置
JP2004032465A (ja) 2002-06-27 2004-01-29 Fuji Photo Optical Co Ltd 資料提示装置
JP2005070296A (ja) 2003-08-22 2005-03-17 Fujinon Corp 撮影装置
JP2006195085A (ja) 2005-01-12 2006-07-27 Sharp Corp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KR101351085B1 (ko) * 2012-03-20 2014-01-13 주식회사 다림비젼 실물화상기
KR20140121240A (ko) * 2013-04-05 2014-10-15 (주)오맥스 모바일 스마트기기와 연동하는 실물화상기 시스템
KR102233245B1 (ko) * 2020-08-04 2021-03-29 주식회사 클래스랩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519B1 (ko) 1997-11-24 2005-10-12 주식회사 엘지 실물화상기의화면표시방법
KR100377984B1 (ko) 2001-02-07 2003-03-29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화상통신에 사용되는 미러 기능 장치
KR101012704B1 (ko) 2004-04-26 2011-02-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회전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실물화상기
JP2006197280A (ja) * 2005-01-14 2006-07-27 Nec Access Technica Ltd 磁石の取付け方法,開閉検知装置及び折畳式携帯情報端末
KR20110040255A (ko) * 2009-10-13 2011-04-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KR20160113680A (ko) * 2014-03-28 2016-09-30 인텔 코포레이션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자력 조절
KR20170138110A (ko) * 2016-06-07 2017-12-15 주식회사 매직내니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31A1 (ko) * 2020-08-04 2022-02-10 주식회사 클래스랩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4620A (ja) 2023-08-10
JP7446490B2 (ja) 2024-03-08
WO2022030731A1 (ko) 2022-02-10
EP4194946A1 (en) 2023-06-14
CN116348816A (zh) 2023-06-27
US20230269476A1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245B1 (ko)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헤드구조를 구비하는 실물화상기
US11249382B2 (en) Moveably-coupled screen actuators
CN101738695B (zh) 散射器驱动装置以及投射型影像显示设备
US20180199015A1 (en) Scanning laser projection display for small handheld devices
JP2003204470A (ja) ハンドヘルド装置のマイクロカメラモジュールの画像安定化装置およびハンドヘルド装置のマイクロカメラモジュールを安定化させる方法
TW200540459A (en) Display device
US20070242150A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ing device
WO2007032342A1 (ja) 投影装置
CN107193176A (zh) 图像生成单元和图像投影设备
TW200538847A (en) Display device
CN101025549A (zh) 显示设备及显示方法
CN107197219A (zh) 移动设备,图像生成单元和图像投影设备
KR20120080745A (ko) 디지털 카메라로 스캔하는 책 스캐너가 구비된 전자교탁
KR102295885B1 (ko) 온라인 수업용 실물 화상기 타입 웹캠
JP2011170138A (ja) 筆記補助画像表示装置
KR20220074396A (ko) 원격 수업용 학습 보조 장치
WO2024047884A1 (ja) 電子拡大鏡
US20230152551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20111412A (ko) 화상투영장치
JP2024008542A (ja) 電子黒板システム
JP2021162740A (ja) 測定システムおよび測定方法
JPH06242508A (ja) オーバーヘッドプロジェクター
CN113888907A (zh) 移动投影式精品课录像视线引导系统
JPH0654251A (ja) 撮影装置
KR20070035471A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