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412A - 화상투영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412A
KR20120111412A KR1020110029863A KR20110029863A KR20120111412A KR 20120111412 A KR20120111412 A KR 20120111412A KR 1020110029863 A KR1020110029863 A KR 1020110029863A KR 20110029863 A KR20110029863 A KR 20110029863A KR 20120111412 A KR20120111412 A KR 20120111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image
unit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찬
정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412A/ko
Publication of KR2012011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04N9/3135Driv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하며 스크린에 이미지를 투사시키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소정의 기준값에 대한 상기 발광부의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발광부의 자세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발광부가 상기 소정의 기준값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발광부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화상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투영장치{Image projector}
본 발명은 화상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투영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상투영장치로 불리는 화상투영장치는 스크린에 광을 투사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가정, 회의실이나 기타 공공 장소 등에서 화상투영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일이 많아짐에 따라 화상투영장치의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
화상투영장치는 배면투사형 화상투영장치 또는 전면투사형 화상투영장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투영장치에 적용되는 광학엔진은 예를 들어 CRT(Cathode Ray Tube) 프로젝션, LCD(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션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션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화상투영장치와 화상이 투사되는 스크린과의 위치관계에 따라 화상투영장치로부터 투사된 화상이 스크린 상에 사다리꼴로 왜곡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사다리꼴로 왜곡된 화상을 보정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 적용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는 소프트웨어적 왜곡 보정 시스템 구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통해 보정한 화상의 결과물의 화질이 높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화상투영장치의 광축의 상하좌우 기울기를 물리적으로 조절하여 스크린 상의 사다리꼴 화상 왜곡을 보정하는 화상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원을 구비하며 스크린에 이미지를 투사시키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소정의 기준값에 대한 상기 발광부의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발광부의 자세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발광부가 상기 소정의 기준값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발광부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화상투영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발광부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발광부의 광축 및 상기 제1 축에 각각 수직인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발광부의 광축과 평행한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엑추에이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네 개의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네 개의 엑추에이터는 상기 발광부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수평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값은 사용자가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값은 화상 왜곡이 허용범위 내에서 일어나지 않는 상기 발광부의 자세값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투영장치에 의하면 사다리꼴 화상 왜곡을 물리적으로 보정하여 소프트웨어적 보정보다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화상투영장치에서 광축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사다리꼴 화상 왜곡을 설명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화상투영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로서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4는 센서의 작동방법을 설명한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화상 투영장치(1)에서 광축(c)의 변화에 따른 사다리꼴 화상 왜곡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투영장치(1)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화상투영장치(1)는 하우징(100), 발광부(200) 및 시스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발광부(200)를 내부에 수용하며, 발광부(200)는 광원을 구비하고 렌즈부(201)를 통해 스크린에 이미지를 투사 시킬 수 있다. 발광부(200)는 예를 들어, 광원, 콜리미네이터 렌즈, 플라이 아이 렌즈, 반사미러/반사프리즘, 광변조 장치, 투사렌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광원은 백색광원이나 RGB 3색 이상의 광원일 수 있다. 단색광원일 경우 RGB 3색 필터를 사용하여 칼라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채널별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와 색필터를 장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콜리미네이터 렌즈는 광원의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플라이 아이 렌즈는 빛을 평편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반사미러/프리즘은 빛의 경로를 반사하거나 굴절하여 광변조장치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생성한 광은 광변조장치를 통해 이미지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의 빛을 이미지로 변환시켜주는 것이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이다.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에서 생성한 광형태의 이미지는 렌즈부(201)로 전달된다. 렌즈부(201)는 복수의 구면/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져 있고 초점 조절기능이 있어 뚜렷하고 선명한 상을 만들 수 있다. 렌즈부(201)를 통과한 광 이미지는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스크린(10)이나 벽면에 투사될 수 있다.
시스템부는 발광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시스템부는 광원제어부, 광변조장치제어부, 입출력장치 제어부, 전력제어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 제어부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광원의 타이밍과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광 변조 장치 제어부는 광 변조 장치 구동에 필요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입출력부는 영상입력이나 주변장치의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는 화상투영장치(1)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제어부는 각 부분에 필요한 전력 공급을 담당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투영장치(1)는 하우징(100)이 광축(c)과 평행한 Y축을 기준으로 아래(T1), 위(T2), 좌(T3) 또는 우(T4)로 기울어 질 수 있다. 이때, 발광부(200)의 광축(c)이 스크린(10) 상에 직각으로 만나 만든 상을 표준 이미지(S)라 할 때, 아래(T1), 위(T2), 좌(T3) 또는 우(T4)로 하우징(100)이 기울어짐에 따라 얻어지는 상을 각각 제1 이미지(I1), 제2 이미지(I2), 제3 이미지(I3) 또는 제4 이미지(I4)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축(c)과 스크린(10)과 이루는 각이 틀어져 얻어지는 왜곡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을 키스톤 보정(사다리꼴 보정)이라고 한다.
키스톤 보정 기술의 한 방법으로 소프트웨어적 키스톤 보정이 있다. 이는 투사된 이미지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여 투영될 이미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한 후 투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적 방법에 따르면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로 투사된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왜곡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왜곡 정보를 바탕으로 투사될 이미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한 후 투영시켜 키스톤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는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 하여 화상투영장치(1)와 스크린(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투영된 이미지의 왜곡 정도를 계산하거나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화상투영장치(1)의 기울기 정보를 얻어서 투사될 이미지의 왜곡 정도를 예측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정한 후 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키스톤 보정을 실시할 경우 사다리꼴 모양의 영상을 직사각형모양을 만들기 위해서 영상데이터를 좌우 상하로 늘이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 이미지 데이터의 손실을 가져오므로 투영된 이미지가 심각하게 왜곡 가능성이 있다. 특히 화상투영장치(1)의 해상도는 낮고 투사화면이 큰 경우는 이미지의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으며, 해상력이 낮은 소형 화상투영장치(1)의 경우 투사된 이미지의 선명도 저하 등으로 글자 등을 알아 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300)를 통해 발광부(2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고 기울어진 각도를 물리적으로 조절하여 스크린(10)에 대한 광축(c)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2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발광부(200)가 배치된 하우징(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또는 하우징(100)은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100)에 대한 발광부(20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 발광부(200)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0)에 대하여 발광부(20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화상투영장치(1)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화상투영장치(1)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로서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적 정면도이다.
화상투영장치(1)는 하우징(100), 발광부(200) 및 센서(300), 구동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발광부(200)를 수용하며, 센서(300)는 발광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발광부(200)가 하우징(100)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하우징(100)에 대해서 발광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들에 대해 설명한다. 발광부(200)는 하우징(100)에 대하여 X축 회전축(210), Y축 회전축(220) 및 Z축 회전축(230)을 기준으로 X,Y,Z축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X축은 광축(C)에 대하여 수직인 축이며, Y축은 광축(C)과 평행한 축이며, Z축은 광축(C)과 X축에 각각 수직인 축이다.
X축 회전축(210)에 대하여 발광부(200)가 중력방향을 따라 아래쪽(M1) 또는 위쪽(M2)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Y축 회전축(220)에 대하여 발광부(200)는 좌측하단(M3) 또는 우측하단(M4)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Z축 회전축(230)에 대해서는 발광부(200)가 반시계방향(M5) 또는 시계방향(M6)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광부(200)가 X, Y, Z축을 따라 회전하여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하우징(1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200)를 하우징(100)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구동부(400)가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등의 모터 및 기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구동부(400)가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이다. 이때, 구동부(400)는 제1 구동부(410) 및 제2 구동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10)는 제1 코일(411) 및 제1 영구자석(412)을 구비하며, 제2 구동부(420)는 제2 코일(421) 및 제2 영구자석(422)을 구비할 수 있다.
Z축을 따라 발광부(200)의 제1측과 제2측에 제1 및 제2 영구자석(412, 422)이 각각 배치되고, 제1 및 제2 영구자석(412, 422) 외곽에 제1 및 제2 코일(411, 421)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 제1 및 제2 영구자석(412, 422)은 N극과 S극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411, 421)은 발광부(200)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두께, 감은수 등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Z축을 따라 제1 및 2코일(411, 412)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한쪽은 밀고 다른 쪽은 당길 수 있는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제1 코일(411) 및 제2 코일(412)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제어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이스 코일 모터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자기장이 흐르고 있는 곳에 전류를 가하면 힘이 발생한다. 힘의 방향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으로 제어하고 힘의 세기도 제어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 모터는 영구 자석과 코일간의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화상투영장치(1) 발광부(200)에 코일(411, 421), 영구자석(412, 422), X축 회전축(210)등의 회전축을 구비하여 키스톤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코일(411, 421)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도 자속밀도, 코일길이, 전류세기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통해 발광부(200)로부터 투사되는 이미지를 보정할 필요 없이 물리적으로 발광부(200)의 광축(c)과 스크린(10)이 이루는 각도를 보정하여 키스톤 보정을 할 수 있어 보다 간편하며 효율적인 보정이 가능하다. 도 3은 X축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발광부(200)가 회전(M1, M2)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발광부(200)의 회전방향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에서 Y축 회전축(220) 또는 Z축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부(40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을 구비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모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모터, 엑추에이터 등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300)는 발광부(200)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서 발광부(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센서(300)는 Z축을 따라 발광부(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센서(30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센서(300)는 발광부(200)의 회전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200)가 X축 회전축(210) 또는 Y축 회전축(220)에 대해 회전할 때 센서(300)는 상기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300)가 Z축 회전축(230)에 대한 회전을 감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복수 개의 센서(300)를 배치하여 발광부(200)의 움직임을 감지 할 수 있다.
X축 회전축(210) 또는 Y축 회전축(220)은 일반적으로 힌지 형태로 되어 있어서 발광부(200)가 하우징(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센서(300)는 예를 들어 자이로센서, 각가속도센서 또는 중력센서 등의 센서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센서(300)는 하나 이상의 중력 센터 등을 이용하여 수평 정도를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300)는 초기 입력된 소정의 값과 현재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구동부(400)를 통해 발광부(20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300)에 초기 입력되는 소정의 값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허용범위 내에서 화상 왜곡이 일어나도록 하는 발광부(200)의 자세값일 수도 있고, 또는 기본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X축 회전축(210) 및 Y축 회전축(220)에 대해서 단일 중력센서 혹은 복수 개의 중력 센서를 통해 중력방향에 수직한 평면 값을 기본 값으로 가지며 상기 중력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값을 센싱하여 보정할 수 있다. Z축 회전축(230)에 대해서는 사용자 등에 의해 초기값을 사용시 입력받고 입력받은 초기값에 대해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X축 또는 Y축에 대한 회전은 중력과 관련 있으므로 중력센서를 통해 센싱이 가능하며 Z축에 대한 회전은 중력과 수직한 평면상에서 회전이므로 중력센서가 아닌 각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 등으로 초기 기본값에 대한 상대적 위치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300)의 작동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센서의 작동방법을 설명한 개략적 흐름도이다. 센서(300)가 작동하게 되면(S501), 센서(300)는 발광부(200)의 움직임 데이터를 측정하며(S503), 발광부(200)가 움직인 정도와 구동부(400)를 통해 발광부(200)가 보정되야 할 값을 계산(S505)하며 이에 따라 구동부(400)가 구동하여(S507) 보정을 완료(S509)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00)에 구동 명령을 내리는 방법으로 수동 동작모드를 이용하는 방법과 자동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수동 동작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특정 시기에 발광부(200)가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이동시키는 모드이다. 자동 동작모드는 자동으로 특정 시기가 아닌 항상 발광부(200)의 위치를 추적하며 변동사항 발생시 발광부(200)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스톤 보정방식은 기구적으로 광축(c)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미지를 왜곡하지 않아 우수한 화질을 유지하면서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키스톤 보정방식을 사용할 경우 움직임 측정과 이미지처리에 상당한 처리시간을 요하지만, 본 발명은 모터 구동하는 시간밖에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아주 빠르고 효과적으로 키스톤 보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구동부(400)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용하여 구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동부(4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서 하우징(100)은 발광부(20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00a)를 구비하며 발광부(200)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동부(400)는 발광부(200)와 베이스부(100a) 사이에 엑추에이터(A1, A2, A3, A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구동부(400)는 제1 엑추에이터(A1), 제2 엑추에이터(A2), 제3 엑추에이터(A3) 및 제4 엑추에이터(A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엑추에이터(A1, A2, A3, A4)는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각각의 엑추에이터(A1, A2, A3, A4)의 높이를 변경함에 따라 발광부(200)가 하우징(100)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어 키스톤 보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1, 2 엑추에이터(A1, A2)의 작용부가 후퇴하고 제3,4 엑추에이터(A3, A4)의 작용부가 전진하면 발광부(200)가 Z축을 따라 위로 올라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도 2의 M2방향 회전과 상통한다. 또한, 제1, 3 엑추에이터(A1, A3)의 작용부가 후퇴하고 제2, 4 엑추에이터(A2, A4)의 작용부가 전진하면 도 2에서 M4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발광부(20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2, 3, 4 엑추에이터(A1, A2, A3, A4)는 각각 광축(C)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투영장치(1)가 휴대용 소형 투사 장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투영장치를 제조 및 사용하는 모든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 화상투영장치 10: 스크린
100: 하우징 200: 발광부
210: X축 회전축 220: Y축 회전축
230: Z축 회전축 300: 센서
400: 구동부 410: 제1 구동부
420: 제2 구동부

Claims (10)

  1. 광원을 구비하며 스크린에 이미지를 투사시키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소정의 기준값에 대한 상기 발광부의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발광부의 자세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발광부가 상기 소정의 기준값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발광부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화상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발광부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화상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발광부의 광축 및 상기 제1 축에 각각 수직인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화상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발광부의 광축과 평행한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화상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비하는 화상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엑추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화상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네 개의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네 개의 엑추에이터는 상기 발광부의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화상투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수평 센서인 화상투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값은 사용자가 설정한 값인 화상투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값은 화상 왜곡이 허용범위 내에서 일어나지 않는 상기 발광부의 자세값인 화상투영장치.
KR1020110029863A 2011-03-31 2011-03-31 화상투영장치 KR20120111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63A KR20120111412A (ko) 2011-03-31 2011-03-31 화상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63A KR20120111412A (ko) 2011-03-31 2011-03-31 화상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12A true KR20120111412A (ko) 2012-10-10

Family

ID=4728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863A KR20120111412A (ko) 2011-03-31 2011-03-31 화상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4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8224A (zh) * 2018-09-14 2020-03-24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其控制方法
WO2023219270A1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8224A (zh) * 2018-09-14 2020-03-24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908224B (zh) * 2018-09-14 2021-11-05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其控制方法
WO2023219270A1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00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jecting a 3-D viewable image
US10341567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US6422704B1 (en) Projector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projection parameters
US6652104B2 (en)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
JP6369810B2 (ja) 投写画像表示システム、投写画像表示方法及び投写型表示装置
TWI387339B (zh) 投射裝置、系統與方法
JP4059271B2 (ja) 投射型表示装置
US10672349B2 (en) Device for project an image
JP4169026B2 (ja) 測距装置及び測距方法
US20160025327A1 (e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apparatus
CN110463191B (zh) 投影仪及投影仪的控制方法
JP2011232474A (ja) プロジェクタ
JP2013195498A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JP2014170097A (ja) プロジェクター
KR20120111412A (ko) 화상투영장치
JP2005333460A (ja) 画像投影表示装置
JP2015194722A (ja) 光学部材駆動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TWI408489B (zh) 投影系統及投影方法
JP2005070412A (ja) 画像投射装置およびその焦点調整方法
JP3772885B2 (ja) 台形歪補正手段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7408829B2 (ja) 投写装置
JP6992508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投影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4595961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4616092B2 (ja) プロジェクタ
JP2024077029A (ja) 画像投写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