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642A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642A
KR20020065642A KR1020027008813A KR20027008813A KR20020065642A KR 20020065642 A KR20020065642 A KR 20020065642A KR 1020027008813 A KR1020027008813 A KR 1020027008813A KR 20027008813 A KR20027008813 A KR 20027008813A KR 20020065642 A KR20020065642 A KR 20020065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ide members
mask frame
short side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6323B1 (ko
Inventor
하타신이치로
무라이류이치
이와모토히로시
나카테라시게오
가와사키마사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 H01J2229/0023Pass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마스크 프레임(1)의 접합부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변부재의 짧지 않은 쪽(31)의 비투자율이 다른쪽(21)의 비투자율과 같거나 또는 보다 큰, 다각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1)을 이용함으로써, 마스크 프레임(1)에서의 누설자장에 의한 전자빔 궤도의 요란을 저감한 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업상의 의의는 크다.

Description

음극선관{CATHODE-RAY TUBE}
음극선관이 지자기(地磁氣)등의 외부자장 중에 놓아두면, 전자총에서 사출된 전자는, 외부자장의 작용에 의한 여분의 로렌츠힘을 받아 궤도가 구부러져, 형광체의 정상적인 장소에서 어긋나게 충돌한다(미스랜딩이라고도 칭한다). 또, 섀도우마스크를 가지는 음극선관에서는, 더욱 섀도우마스크를 가장(架張)고정하기 위한 마스크 프레임의 자화에 따른 누설자속에 의해서도 미스랜딩이 발생했다.
종래의 마스크 프레임의 재료는, 비투자율이 작고 용이하게 자화되지 않으며, 일단, 자화되면 용이하게 제로자화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는 재료(경자성체)로 만들어져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 자화에 의한 자속이 음극선관의 내부의 공간에 누설하였다.
상기와 같은 외부자장이나 외부자장에 의한 2차적인 누설자장 등에 의한, 전자빔의 어긋남을 작게 하기 위해서, 음극선관 내부에 내부 자기실드를 장착하여, 외부자장에서의 영향을 저감시키고 있다.
이상의 것을 요약하면, 상기 종래의 섀도우마스크를 가지는 음극선관에는 이하에 서술하는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종래의 마스크 프레임은, 내부 자기실드로 충분하게 자기실드되어 있지 않아, 마스크 프레임에서의 누설자장에 의한 영향을 무시할 수 없었다.
(발명의 개시)
일군의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한 것이며, 그 목적은, 마스크 프레임에서의 누설자장에 의한 전자빔 궤도의 요란(擾亂)을 저감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의 발명군은,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서, 내부가 진공으로 유지된 밸브와,
상기 밸브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자빔을 사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밸브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총에서 사출된 전자빔이 조사되면 발광하는 형광체와, 상기 형광체 표면을 주사시키듯이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수단과, 외부자장의 작용에 의한, 상기 빔편향수단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의 궤도의 요란을 저감하기 위한, 상기 밸브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 자기실드와, 상기 형광체의 내측면의 전방에 배치된 섀도우마스크와, 상기 섀도우마스크를 고정하는 다각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이며, 각 변을 구성하는 변부재(邊部材)와, 인접하는 변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를 가지고, 또, 각 접합부에서 인접하는 변부재가 하기 조건식,
μr, 1≥ μr, s≥ 1
(단, μr, 1은짧지 않은 쪽의 부재의 비투자율, μr, s는 다른쪽의 부재의 비투자율을 나타낸다)
을 만족하는 마스크 프레임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기회로의 개념을 도입하면, 간편하게, 자기적 성질을 정성적(定性的)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이 개념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통상, 마스크 프레임 및 섀도우마스크는 자성체이므로, 마스크 프레임, 섀도우마스크 및 내부 자기실드를 등가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이라 생각한다. 이때, 전기회로에서의 전류가 가상적인 자기저항을 흐르는 자속의 흐름에 대응하여, 전기회로에서의 전류원이, 자속의 흐름의 원천인 지자기에 대응한다.
상기 짧지 않은 부재의 비투자율이 작으면 작을수록 상기 짧지 않은 변부재의 자기저항이 크게 되므로, 더욱 자기저항이 작은 상기 다른쪽의 부재에 흐르는 자속을 흡수할 수 없어, 병렬로 연결된 진공공간의 가상적인 자기저항에 흐르는 자속이 증가한다. 즉, 보다 많은 자속의 흐름이 마스크 프레임 내부의 공간에 누설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변부재의 길이가 긴 것일 수록 단변부재에 비해 비투자율을 크게 하면, 마스크 프레임 내부의 공간에 누설하는 자장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 1이상의 비투자율을 가지는 변부재란, 비자성체 및 자성체를 의미한다. 또, 자성체는, 경자성체 및 연자성체를 포함하는 강자성체와, 반강자성체와의 총칭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비자성체란 비투자율이 1인 물체, 경자성체란 비투자율이 1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물체, 연자성체란 비투자율이 100이상인 물체를 의미한다.
또, 변부재란 마스크 프레임의 일변을 구성하는 부위를 가지는 부재이다. 따라서, 마스크 프레임의 일변을 구성하는 부위만을 가지는 부재가 아니라도 좋다. 또, 다각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이란, 프레임의 외형이 다각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뿐만 아니라, 프레임 바깥으로 돌출한 부위를 가지는 프레임 등도 의미한다.
또, 상기 빔편향수단은, 전장의 작용에 의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전장편향수단이라도 좋으며, 자장의 작용에 의해 전자빔을 편향하는 자장편향수단이라도 좋다. 일반적으로는, 자장편향수단이 이용된다.
텔레비젼이나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평행사변형 모양의 표시화면을 가지므로, 마스크 프레임이, 한쌍의 단변부재와 섀도우마스크를 가장고정하는 한쌍의 장변부재로 이루어지며, 한쌍의 단변부재와 한쌍의 장변부재와의 중합면을 동일평면 내에 가지는 평행사변형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정방형 모양 또는 장방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이다. 정방형 모양 또는 장방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이면, 역학적으로 강고한 프레임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장방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에 있어서는, 장변부재의 선단부, 및 장변부재와 단변부재의 접합부에서 자장이 누설하는 것을 알고 있다. 장변부재의 선단부에서의 자속은 내부 자기실드의 내부공간에는 거의 누설되지 않으므로, 빔 어긋남의 증대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내부 자기실드가 장방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장변부재의 선단부에서의 누설자장의 영향이 작다. 그러나, 단변부재와 장변부재와의 접합부에서는 자장이 내부 자기실드의 내부공간에 누설되어, 전자빔의 어긋남에 크게 기여한다. 지자기는 내부 자기실드의 개구부로 빨아 당겨져, 마스크 프레임에 흘러 이것을 자화한다. 장변부재와 단변부재의 비투자율이 다르며, 양자의 자기저항에 상당한 차가 있다면, 자기저항이 적은 변부재에, 보다 다량의 자속이 흐른다. 그 반면, 자기저항이 높은 변부재에는 소량의 자속밖에 흐를 수 없다. 그러므로, 자속의 흐름은 단변부재와 장변부재와의 접합부에서 외부로 향해 넘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보다도 장변부재의 비투자율을 크게 해 두면, 단변부재중의 자속의 흐름은 장변부재에 흘러들어,내부 자기실드의 내부공간에의 자장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한쌍의 장변부재의 길이방향의 선단이 접합부보다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 단변부재의 길이방향의 선단이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은 평행사변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이면, 용접에 의한 강고한 접합이 가능하게 되며, 극히 역학적 강도가 높은 마스크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비투자율이 높은 장변부재의 선단부에는 자속의 흐름이 집중하지만, 선단부를 마스크 프레임에서 멀리 떨어진 구조가 되기 때문에, 마스크 프레임 내부에서의 선단부에서의 누설자장의 영향이 작게 된다.
한쌍의 단변부재 및 한쌍의 장변부재로서, 경자성체 및 연자성체, 경자성체 및 경자성체, 비자성체 및 연자성체, 비자성체 및 경자성체, 또는, 비자성체 및 비자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한쌍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이, 한쌍의 장변부재의 비투자율의 1/3 이하이면, 마스크 프레임 내부로의 자장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한쌍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과 접합부에서의 단변부재의 단면적과의 곱이, 한쌍의 장변부재의 비투자율과 접합부에서의 장변부재의 단면적과의 곱의 1/3 이하이면, 마스크 프레임 내부로의 자장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장변부재로서 연자성체를 이용하는 경우, 장변부재가 200 이하의 비투자율을 가지는 연자성체이면, 섀도우마스크를 가장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역학적 강도를 구비하고, 또, 마스크 프레임 내부의 누설자장을 저감하는 마스크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이나 컴퓨터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에 이용되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을 설명하기 위한 마스크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기(磁氣)구조체의 사시도,
도2는, 실시예1을 설명하기 위한 마스크 프레임의 사시도,
도3은, 섀도우마스크가 가장된 마스크 프레임을 가지는 음극선관의 개념구성도,
도4는, 전자빔의 어긋남 측정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5는, 마스크 프레임 내부의 누설자장을 측정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6(a) 및 6(b)는, 변부재가 평면적으로 접합된, 다각형의 마스크 프레임의 구조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은, 변부재가 평면적으로 접합된 다각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의 구조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8(a) 내지 8(c)는, 변부재가 입체적으로 접합된 다각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1) 발명군에서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발명군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1에 있어서, 도6부터 도8을 참조하면서, 마스크 프레임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스크 프레임은, 3개 이상의 변부재(11)로 이루어지는 다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도6(a) 및 6(b)에 나타내는, 마스크 프레임의 외형이 다각형을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고, 도7에 나타내는, 일부의 변부재가 프레임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한 다각형 모양이라도 좋다. 도6(a)는 육각형의 마스크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6(b)는 사각형의 마스크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7은 사각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을 나타낸다.
또, 도6(a), 6(b) 및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변부재(11)가 평면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으며, 도8(a) 내지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각 변부재는, 각재(角材)뿐아니라, L재나 H재 등이라도 좋다. 또, 직선모양의 변부재라도 좋으며, 일부가 곡절한 변부재나 전체적으로 완곡한 변부재라도 좋다. 또한, 각 부재가 동일의 단면형상을 가질 필요도 없다. 도8(a)는 직선모양의 변부재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프레임, 도8(b)는 일부가 곡절한 변부재를 포함하는마스크 프레임, 및, 도8(c)는 전체적으로 완곡한 변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을 나타낸다.
임의의 2개의 변부재의 접합부는, 나사 등의 고정부품,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합되어 있어도 좋으며,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텔레비젼이나 컴퓨터 등의 표시장치이면, 정방형, 장방형을 포함하는 평행사변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방형 모양 또는 장방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이다. 장방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에 있어서는, 장변부재가 프레임의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반적으로, 마스크 프레임에 섀도우마스크가 가장고정되므로,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한 접합부를 가지는 마스크 프레임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2에서는, 한쌍의 단변부재와 한쌍의 장변부재가 용접에 의해 접합된 장방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에서의, 한쌍의 단변부재와 한쌍의 장변부재의 재질의 선택에 대해서 기술한다. 하기의 여러가지 재질의 선택에 있어서, 한쌍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과 한쌍의 장변부재의 비투자율은 각각 1 이상의 비투자율을 가지며, 또, 한쌍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은 한쌍의 장변부재의 비투자율 이하인 것에 주의를 요한다.
한쌍의 단변부재, 한쌍의 장변부재로서 자성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자성체는, 강자성체 및 반강자성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단변부재로서 경자성체를 이용하고, 또 한쌍의 장변부재로서 연자성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또는, 한쌍의 단변부재로서 제1의 경자성체를 이용하고, 또 한쌍의 장변부재로서 제1의 경자성체보다 비투자율이 큰 제2의 경자성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이다. 상기와 같이 한쌍의 단변부재로서 경자성체를 이용한 경우, 한쌍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이 한쌍의 장변부재의 1/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한쌍의 장변부재로서 연자성체를 이용하는 경우, 비투자율이 200 이하의 연자성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의 경자성체와 제2의 경자성체가 동일의 비투자율을 가지는 것이라도 좋다.
일반적인 표시장치에 이용하는 경우, 역학적 강도면이나 코스트면을 고려하면, 상기의 단변부재, 장변부재로서,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쌍의 단변부재로서 비자성체를 이용하면, 한쌍의 장변부재로서 연자성체, 경자성체, 또는, 비자성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이라도 좋다.
또, 섀도우마스크를 가장하기 위해 필요한 강도가 낮으면, 한쌍의 단변부재와 한쌍의 장변부재의 쌍방에 연자성체를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이라도 좋다. 장변부재로서 연자성체를 이용하는 경우, 비투자율이 200 이하의 연자성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도2에 나타내는 마스크 프레임(1) 이외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여, 도3에 나타내는, 섀도우마스크 가교형의 마스크 프레임(1), 섀도우마스크(2) 및 내부 자기실드(3), 밸브(4), 전자총(5), 형광체(6) 및 편향요크(7)를 가지는 25인치 표시장치용의 음극선관을 제조했다. 도1에는, 마스크 프레임(1), 섀도우마스크(2) 및 내부 자기실드(3)로 이루어지는 자기구조체를 나타낸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단변부재(31)로서 절곡한 각재(a = 15㎜, b = 15㎜, c = 105㎜)를 이용하고, 또, 한쌍의 장변부재(21)로서 직선상의 L재(d = 29㎜, e = 29㎜, f = 5㎜)를 이용했다. 장변부재(21)의 길이방향의 선단이 접합부보다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또, 장변부재와 단변부재와의 겹치는 면이 동일평면 내가 되도록, 한쌍의 장변부재(21)와 한쌍의 단변부재(31)를 용접에 의해 접합했다(X = 476㎜, Y = 356㎜).
본 실시예1에 있어서, 한쌍의 단변부재(31)로서, 비투자율이 90인 철-크롬-몰리브덴 합금(이하, Fe-Cr-Mo 합금으로 약한다)을 이용하며, 한쌍의 장변부재(21)로서, 비투자율이 140인 Fe-Cr-Mo 합금을 이용하여 마스크 프레임(A1)을 형성했다. 각 부재는 용접에 의해 접합했다.
전자빔의 어긋남의 측정방법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자기실드된 실험실 내에서, 마스크 프레임의 소자(消磁)를 행한다. 다음에, X축의 정방향으로 24A/m, Y축의 정방향으로 28A/m의 정자장을 인가하여, 4개의 코너부위(41)에서의 빔의 어긋남을 측정하여, 그들의 평균치를 구해 제1의 어긋남 측정치로 한다. 다음에, 마스크 프레임의 소자(消磁)를 행한 후, Y축의 정방향으로 28A/m, Z축의 정방향으로 24A/m의 정자장을 인가하여, 4개의 코너부위(41) 및 화면 장변의 중점의 상하단의 2개의 중점부위(42)에서의 빔의 어긋남을 측정하며, 4개의 코너부위(41)에서의 측정치의 편균을 제2의 어긋남 측정치 및 2개의 중점부위(42)에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제3의 어긋남 측정치로 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편의적으로 전자빔의 어긋남을, δ(제1의 어긋남 측정치, 제2의 어긋남 측정치, 제3의 어긋남 측정치)로 나타낸다. 예컨대, δ(20㎛, 45㎛, 40㎛)로 약한다.
또, 마스크 프레임 내부의 누설자장이 강하면 전자빔의 어긋남은 크게 되며, 누설자장이 약하면 전자빔의 어긋남은 작게 되기 때문에, 누설자장만을 측정하여 전자빔의 어긋남의 대소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기의 일부의 실시예에서는, 가우스메타를 이용하여 자장만을 측정했다.
상기 전자빔의 어긋남 측정법을 상기 마스크 프레임(A1)에 적용하면, 전자빔의 어긋남은 δ(19㎛, 38㎛, 32㎛)이었다. 또, 가우스메타를 이용하여, 도5에 나타내는 마스크 프레임 내부의 접합부 근변(이하, 프레임 코너부위(51)라 칭한다)에서의 자장을 측정하면 40A/m이었다.
종래의 마스크 프레임에는, 일반적으로, 한쌍의 단변부재로서 Fe-Cr-Mo합금의 연자성체(μr= 127)가 이용되며, 한쌍의 장변부재로서 Fe-Cr-Mo합금의 경자성체(μr= 69)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마스크 프레임(A1)과 각 변부재의 재질만 다른 마스크 프레임(X)을 제작하여, 상기의 전자빔의 어긋남 측정방법을 적용하면, 전자빔의 어긋남은 δ(20㎛, 45㎛, 40㎛)이며, 프레임 코너부에서의 누설자장은 약 160A/m이었다. 이 경우의 누설자장은 지자기의 3배 정도이다.
상기 마스크 프레임(A1)을 이용한 경우와 상기 마스크 프레임(X)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하면, 누설자장에 의한 빔 랜딩이 저감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한쌍의 단변부재(31)로서 Fe-Cr-Mo합금의 경자성체(μr= 69)를 이용하고, 한쌍의 장변부재(21)로서 Fe-Cr-Mo합금의 경자성체(μr= 71)를 이용하는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마스크 프레임(B)를 제작했다.
이 마스크 프레임(B)에서의 프레임 코너부위의 누설자장을 측정하면 55A/m이었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 프레임(B)을 이용한 경우와 상기 마스크 프레임(X)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하면, 누설자장에 의한 빔 랜딩이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 3에 있어서는, 한쌍의 단변부재(31)로서 Fe-Cr-Mo합금의 경자성체(μr= 40)를 이용하고, 한쌍의 장변부재(21)로서 Fe-Cr-Mo합금의 연자성체(μr= 140)를 이용하는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마스크 프레임(C)를 제작했다.
이 마스크 프레임(C)의 프레임 코너부위의 누설자장을 측정하면 36A/m이었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 프레임(C)을 이용한 경우와 상기 마스크 프레임(X)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하면, 누설자장에 의한 빔 랜딩이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는, 한쌍의 단변부재(31) 및 한쌍의 장변부재(21)로서각각 비자성체(μr= 1)인 스테인레스강을 이용하여 마스크 프레임(D)을 제작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음극선관을 제작했다.
이 마스크 프레임(D)에 상기 전자빔 어긋남 측정법을 적용하면, 전자빔의 어긋남은 δ(20㎛, 35㎛, 31㎛)이었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 프레임(D)을 이용한 경우와 상기 마스크 프레임(X)을 이용한 경우를 비교하면, 누설자장에 의한 빔 랜딩이 저감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마스크 프레임의 접합부에서 인접하는 2개의 변부재가 짧지 않은 쪽의 비투자율이 다른쪽의 비투자율과 같거나 또는 보다 큰, 다각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마스크 프레임에서의 누설자장에 의한 전자빔 궤도의 요란을 저감한 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업상의 의미는 크다.

Claims (15)

  1. 내부가 진공으로 유지된 밸브와,
    상기 밸브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자빔을 사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밸브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총에서 사출된 전자빔이 조사되면 발광하는 형광체와,
    상기 형광체 표면을 주사시키듯이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수단과,
    외부 자장의 작용에 의한, 상기 빔편향수단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의 궤도의 요란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밸브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자기실드와,
    상기 형광체의 내측면의 전방에 배치된 섀도우마스크와,
    상기 섀도우마스크를 고정하는 다각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이며, 각 변을 구성하는 변부재와, 인접하는 변부재를 접합하는 접합부를 가지고, 또, 각 접합부에서 인접하는 변부재가 하기 조건식,
    μr, 1> μr, s≥ 1
    (단, μr, 1은 짧지 않은 쪽의 부재의 비투자율, μr, s는 다른쪽의 부재의 비투자율을 나타낸다)
    을 만족하는 마스크 프레임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프레임이, 한쌍의 단변부재와, 상기 섀도우마스크를 가장(架張)고정하는 한쌍의 장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단변부재와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와의 중합면을 동일 평면내에 가지는 평행사변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사변형 모양의 마스크 프레임은,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의 길이방향의 선단이 접합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 상기 단변부재의 길이방향의 선단이 접합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단변부재가 제1의 경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가 연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이,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의 비투자율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체의 비투자율이 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과 상기 접합부에서의 상기 단변부재의 단면적과의 곱이,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의 비투자율과 상기 접합부에서의 상기 단변부재의 단면적과의 곱의 1/3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의 비투자율이 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가 제2의 경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이,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의 비투자율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단변부재의 비투자율과 상기 접합부에서의 상기 단변부재의 단면적의 곱이,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의 비투자율과 상기 접합부에서의 상기 단변부재의 단면적과의 곱의 1/3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단변부재가 제1의 비자성체이며, 또,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가 경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단변부재가 제1의 비자성체이며, 또, 상기 한쌍의 장변부재가 연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체의 비투자율이 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20027008813A 2000-02-07 2001-02-07 음극선관 KR100756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28664 2000-02-07
JP2000028664 2000-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642A true KR20020065642A (ko) 2002-08-13
KR100756323B1 KR100756323B1 (ko) 2007-09-06

Family

ID=1855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813A KR100756323B1 (ko) 2000-02-07 2001-02-07 음극선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12630B2 (ko)
EP (1) EP1258905A4 (ko)
KR (1) KR100756323B1 (ko)
CN (1) CN1244126C (ko)
MY (1) MY126147A (ko)
TW (1) TW529052B (ko)
WO (1) WO2001059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779B1 (ko) * 2002-03-05 2004-12-0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평면형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059A (en) * 1874-05-19 Improvement in envelopes for oil-cakes
US354577A (en) * 1886-12-21 Ruffling attachment fo r sewi ng-m ach
US3862A (en) * 1844-12-19 John h
US2922533A (en) * 1957-12-30 1960-01-26 Labarge Pipe And Steel Company Lift
US3159031A (en) * 1961-06-15 1964-12-01 Smith Corp A O Hydraulic full stroking meter
JPS50151059A (ko) 1974-05-23 1975-12-04
US4248227A (en) * 1979-05-14 1981-02-03 Bristol-Myers Company Fluid unit dispensing device
US5029256A (en) * 1988-08-11 1991-07-02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JP2922533B2 (ja) 1988-08-11 1999-07-26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JPH03159031A (ja) 1989-11-16 1991-07-09 Tohoku Gakuin Univ カラー陰極線管
JPH04248227A (ja) 1991-01-24 1992-09-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陰極線管
US5214349A (en) 1990-10-26 1993-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lor cathode ray tube and color selection electrode device of color cathode ray tube
JPH103862A (ja) 1996-06-12 1998-01-06 Sony Corp 陰極線管の内部磁気遮蔽部材の取付装置
JPH1012153A (ja) * 1996-06-20 1998-01-16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
KR100472516B1 (ko) * 1997-07-04 2005-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FR2790140B1 (fr) * 1999-02-19 2001-04-20 Imphy Ugine Precision Cadre support de masque d'ombre de tube de visualisation cathod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12630B2 (en) 2004-11-02
EP1258905A1 (en) 2002-11-20
CN1398419A (zh) 2003-02-19
WO2001059803A1 (fr) 2001-08-16
US20030001485A1 (en) 2003-01-02
CN1244126C (zh) 2006-03-01
KR100756323B1 (ko) 2007-09-06
MY126147A (en) 2006-09-29
EP1258905A4 (en) 2006-07-19
TW529052B (en) 200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323B1 (ko) 음극선관
JP2544543B2 (ja) カラ―陰極線管
KR930007364B1 (ko) 컬러음극선관
JP2001297712A (ja) 陰極線管
US5530316A (en) Color cathode-ray tube
KR900001701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392907B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327400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870000149B1 (ko) 컬러 음극 선관
JP3976725B2 (ja) 陰極線管
KR100260773B1 (ko) 칼라 음극선관의 네크부 지자계 차폐 테이프
JP2007010330A (ja) 磁気センサテレビ
US6995503B2 (en) Cathode ray tube tension mask made of magnetostrictive material with compensation for terrestrial magnetism
KR950000507Y1 (ko) 편향요크의 지어메트리컬 디스토션 보정장치
KR20020085631A (ko) 음극선관용 인너 실드
WO2005006382A1 (ja) 陰極線管
JPS60229585A (ja) カラ−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20030057823A1 (en) Cathode-ray tube
JPH03187131A (ja) カラー受像管
JPH02250239A (ja) 陰極線管
JP2002150964A (ja) 内部磁気シールド及び陰極線管
JP2001268586A (ja) 表示装置
JPH0260036A (ja) 偏向コイル
JPH08167386A (ja) カラー陰極線管
JPH03105830A (ja) 偏向ヨ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