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701B1 - 칼라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701B1
KR900001701B1 KR1019860000302A KR860000302A KR900001701B1 KR 900001701 B1 KR900001701 B1 KR 900001701B1 KR 1019860000302 A KR1019860000302 A KR 1019860000302A KR 860000302 A KR860000302 A KR 860000302A KR 900001701 B1 KR900001701 B1 KR 90000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athode ray
ray tube
color cathode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703A (ko
Inventor
하라 가즈 히로 찌
도리 브쯔시 하쯔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503999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722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2653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855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55609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64084U/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7Means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the vessel for shielding, e.g. magnetic shield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음극선관
제1도는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의 일부파단 측면도.
제2도는 전자비임에 대한 지자기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형광면의 정면도.
제3도는 스트라이프(stripe)모양 형광면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확대도.
제4도는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의 지속분포를 나타낸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의 틈길이와 형광면위의 전자비임 충돌점의 이동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의 수직방향의 자속분포를 나타낸 주요부분단면도.
제7도는 37인치 110°편향칼라브라운관의 자기시일드(shield)방식과 전자비임의 이동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 제1의 실시예인 일부 파단측면도.
제9도는 본 실시예의 자속분포를 나타낸 주요부분단면도.
제10도는 지자기의 영향에 의한 전자비임 충돌점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1도는 본 실시예의 자기시일드효과를 나타내는 특성도.
제12도는 본 실시예인 수직방향의 자속분포를 나타낸 주요부분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자속분포를 나타낸 주요부분단면도.
제14a도는 본 발명 제3의 실시예는 나타낸 사시도.
b도는 제12a도의 칼라브라운관의 개략측단면도.
제15도는 제14a도의 칼라브라운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6도는 37인치 110°편향칼라브라운관의 외부 자기시일드의 판두께와 전자비임의 이동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칼라음극선관의 관체 1a : 패널부
1b : 펀넬부 1c : 넥크부
2 : 애퍼춰마스크(aperture mask) 3 : 프레임
4 : 판모양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지지부재 5 : 내부 자기시일드
7 : 외부 자기시일드 8 : 전자비임
9 : 형광면 10 : 가는 구멍
11 : 자속 12a : 자력선
12b : 자속
14 : N/S방향의 외부자계에 대한 자기 캔슬코일
15a, 15b : 한쌍의 자기 캔슬코일 16 : 편향요오크
17 : 칼라 CRT의 부착다리 18 : 소자코일
본 발명은 자기시일드를 가진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음극선관의 동작중에 있어서 전자비임의 편향요오크(yoke)의 자계이외에 외부표류자계, 예를 들면 지자기나 텔레비젼 수상기내에 조립된 전자회로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자계등의 영향을 받아서 잘못된 편향동작을 하고 원하지 않는 형광체를 발광시켜서 세순도의 저하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외부표류자계의 영향을 제거하기위해 보통 칼라음극선관의 펀넬의 외주부를 포위하는 외부 자기 시일드를 만들거나 또는 시일드효과를 향상시키기위해 칼라음극선관의 펀넬내에 내부 자기시일드를 설치하거나 시일드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 외부 자기시일드와 내부 자기시일드를 병설하고 있엇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중에 내부 자기시일드와 외부 자기시일드를 병설한 칼라음극선관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칼라음극선관의 관체이며 내면에 형광면(9)이 형성된 패널부(1a)와 이 패널부(1a)의 외주끝에 프릿트 그래스(prit glass)등을 사용하여 용착시킨펀넬부(1b)와 이 펀넬부(1b)와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넥크(neck)부 (1c)로 구성되어 있다.
2는 애퍼춰마스크(aperture mask)이며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다수의 가는 구멍(10)을 가지며 패널부(1a)의 형광면(9)에 서로 마주향하고 소정의 통(20)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있고 칼라음극선관의 색선택동작을 한다.
3은 고리모양의 프레임(frame)으로 판두께가 1-2mm인 자성금속재로 형성되며 애퍼춰마스크(2)를 그 둘레 끝에서 보유한다.
4는 판모양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지지부재이며 그 한끝이 프레임(3)에 고착되고 다른 끝이 패널부(1a)의 측벽에 세워진 핀(pin)(도시하지 않음)에 끼워맞춰서 애퍼춰마스크(2)를 관체(1)내의 소정의 위치로 유지한다.
5는 펀넬부(1b)의 내면에 따라서 비치된 내부 자기시일드이며 판두께가 0.1~0.2mm인 자성금속판으로 전자비임(8)의 주행로를 막는 모양으로 형성되어있고 그 앞의 테두리부에서 프레임(3)에 고정하여 유지되어 있다.
7은 외부 자기시일드이며 자성금속판에 따라 펀넬부(1b)의 외주면을 포위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칼라음극선관을 작동시키면 넥크부(1c) 에 수용된 전자층에서 발사된 전자비임(8)이 애퍼춰마스크(2)의 가는 구멍(10)을 통해 패널부(1a)에 형성된 형광면(9)에 충돌하여 형광면(9)을 발광시킨다.
여기에서 제2도에 따라 칼라음극선관을 동(E), 서(W), 남(S), 북(N) 각각의 방향에 따라서 설치하였을 때 전자비임(8)의 형광면(9)위에서의 충돌점이 지자기의 존재에 따라 어떠한 영향(편향)을 받는지를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a)는 패널부(1a)측에서 본 형광면, (a)~(i)는 지자기가 존재하지 않을때 전자비임(8)의 대표충돌점, 즉 전자비임이 본래 충돌해야만하는 바람직한 점이다.
상기 각 점(a-i)으로부터 부호 E, W, S, N을 붙여서 나타낸 각 백터는 칼라음극선관을 각각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향하여 설치하였을 때 상기 각점 (a~i)에 각각 충돌해야하는 전자비임(8)이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서 이동하는 방향과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이 지구의 북극부근에는 자석으로서 S극이 존재하고 남극부분에는 N극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남보다 북으로 향하여 지자기의 자계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형광면(9)에 대한 지자기의 자계방향의 칼라음극선관을 동향으로 설치하였을때 화살표 E방향(지면 오른쪽 방향), 서향일 때 화살표 W방향(지면 왼쪽방향), 남향일때 ○S방향(지면에 수직방향), 북향일때 ○N방향(지면에 수직방향)이 된다.
또한 전자비임(8)은 형광면(9)의 중앙점, 즉 점(e)으로부터 수직선상에 배치된 전자총에서 형광면(9)을 향하여 발사되고 편향요오크와 자계에 의하여 편향되어 형광면(9)위를 수평으로 주사함과 동시에 수직으로 주사하여 전면주사하기 때문에 프레밍의 왼손법칙으로도 명확하게 제2도의 같이 전자비임(8)이 각각 도시한 벡터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국 칼라음극선관을 동 또는 서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하였을 경우 전자비임(8)은 형광면(9)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남 또는 북방향으로 향하여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점(e)을 중심으로하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도시하는 쪽으로 이동한다.
제3도는 스트라이프모양의 형광면(9)의 일부분 확대도이다.
B는 청색형광체열, R은 적색형광체열, G는 녹색형광체열이다
에퍼춰마스크(2)에 형성되어 있는 가는 구멍(10)을 한조의 형광체열(B)(R)(G)에 각각 대응하고 있고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비임(8)은 에퍼춰마스크(2)의 가는구멍(10)을 통과하고 대응하는 형광체열(B)(R) 또는 (G)에 충돌하여 원하는 색을 발광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스트라이프모양의 형광면(9)을 가진 칼라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비임(8)이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도 같은 색의 형광체열에 충돌하기 때문에 색순도의 저하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칼라음극선관을 동 또는 서방향으로 향해 설치한 경우에는 지자기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칼라음극선관을 남 또는 북방향으로 향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서 전자비임(8)이 형광면(9)위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대응하는 형광체열에서 벗어나거나 혹은 다른 형과체열에 걸쳐서 충돌해버리므로 색순도가 낮아진다.
외부시일드(7) 및 내부시일드(5)는 이와 같은 색순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제4도는 종래 타입의 칼라음극선관을 남 또는 북방향으로 향하여 설치하였을때의 자속분포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자기에 의해 관축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였을 경우 가 자속(11)은 자기저항이 작은 내부 자기시일드(5) 및 외부 자기시일드(7)등을 사이에 통해흘러서 전자비임(8)에 주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자기시일드(5)내를 흐른 자속(11)은 프레임(3)의 끝으로부터 자속(12B)으로서 방출된다.
패널(1a)의 형광면(9)과 애퍼춰마스크(2)와의 틈(20)에는 자기시일드가 없으므로 자속(12b)의 일부가 에퍼춰마스크(2)의 둘레 테두리부의 가는 구멍(10)을 통과하는 전자비임(8)에 크게 영향을 주어 색순도가 저하한다
또한 지자기의 수직성분의 자계방향은 제2도 지면의 상하방향이 되므로 전자비임(8)은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 (a)-(i)의 각 점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제6도는 지자기의 수직성분의 자계를 인가하였을때의 자속의 분포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수직성분의 자속(13)은 외부 자기시일드(7), 혹은 내부 자기시일드(5)를 사이에 두고 흐르므로 전자비임(8)에 주는 영향을 적게할 수 있다.
그러나 패널(1a)의 형광면(9)과 에퍼춰마스크(2)와의 틈(20)(Q로 약기한다) 에는 자기시일드판이 없기 때문에 애퍼춰마스크(2)의 가는 구멍(10)을 통과하는 전자비임(8)에 크게 영향을 주어 색순도가 저하한다.
최근 칼라음극선관이 대형화되고 틈(20)의 길이도 커져가고 있다.
예를 들면 거의 직사각형의 형광면(9)을 가지는 28인치, 110도 편향의 칼라음극선관에서는 틈 Q가 25mm이며 이 예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음극선관을 남 또는 북방향으로 설치하였을 때의 형광면(9)위에서의 전자비임(8)의 이동오차(제5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곡선)는 70μ가 되고 수직성분의 자계를 인가하였을때의 전자비임(8)의 이동오차(제5도에 파선으로 나타낸 곡선)는 90μ가 된다.
여기에서 제5도의 가로축은 형광면(9)과 애퍼춰마스크(2)와의 틈(20)의 길이(Q), 세로축은 형광면(9)위에서의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나타낸다.
색순도의 저하를 방지하는데는 제조상 틈(20) 길이(Q)의 편차를 고려하면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평균치에서 30㎛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수직자계의 변화에 의한 색순도의 저하대책으로서 칼라음극선관을 체임버(chamber)(수평자계, 수직자계를 인위적으로 만들기 시작할수 있는 헤름홀쯔코일(Helmholts coil)내에 설치하고 체임버의 자계를 칼라음극선관을 사용하는 지역의 자계에 미리 설정하여 상기 자계중에 전자비임(8)과 형광면(9)이 제일 적당한 위치관계가 되도록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등 예를 들면 남반구자계로 조정한 칼라음극선관은 그 지역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북반구지역, 적도지역과 수직자계가 크게 변화하는 지역에는 사용할수 없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37인치 110°편향 칼라브라운관의 자기시일드방식과 전자비임의 이동량과의 관계를 조사한바 제7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7도는 외부자계를 0.8가우스(gauss) 변화시켰을때에 화면코너부에 있어서 형광면위의 수평방향 전자비임랜딩 쉬프트(beam landign shift)량을 플롯(plot)한 것이다.
제7도에 있어서 수평방향 전자비임쉬프트량을 기입하고 이유는 37인치 110°편향 칼라CRT의 형광면을 스트라이프구조로 가정하고 있는 것에 따르는 것이며 이것이 돗트(dot)구조에서는 수직방향 전자비임쉬프트(beam shift)량도 문제가 되지만 여기에서는 스트라이프구조의 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중 E/W는 동서방향의 자계를 N/S는 남북방향의 자계를 BV는 수직방향의 자계를 각각 의미하고 있다.
제7도에서 명확하게 보는 바와 같이 내부 자기시일드(IMS), 외부 자기시일드(EMS) 모두 설치하지 않은 각 NONIMS, NONEMS 방식에서도 E/W방향을 제외하고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극단으로 크게 사용하는 것이 안된다는 점은 명확하다.
또한 제7도에서 종래의 칼라텔레비젼수상기에 있어서 칼라CRT(1)의 IMS방식에서는 어느정도 전자비임의 이동량이 억제되어 들어가는 것의 실용으로 되는 한계이동량의 150㎛에는 미치지 않는다.
이 한계이동량은 칼라CRT(1)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본열에 있어서 37인치 110°편향칼라 CRT에서는 상기의 한계이동량(150㎛)의 값이 실용가부의 표준이 되는 값이다.
EMS방식에서는 더우기 IMS방식보다 전자비임의 이동량이 커져서 실용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4도에 있어서 전자비임의 이동량은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서 착자(着磁)한 EMS(7), IMS(1b) 세도우마스크(shadow mask)(1a)등을 핸드타임(hand tyye)의 소자(消磁) 코일로 칼라CRT(1)의 외부에서 충분하게 소자를한 후 이동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해서 된 것이므로 외부표류자게에 의한 색순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칼라음극선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인치사이즈의 칼라CRT에 있어서 초대형 외부 자기시일드의 보강대책과 소자코일에 의한 소자효율과의 관계를 가장 좋은 것으로 하고 외부 자계에 대한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억제하여 대단히 큰 시일드효과를 얻고 색착오를 없애는 실용적인 외부자기대책을 실시한 칼라브라운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8도에 있어서 제1도의 종래의 예와 다른 점은 외부 자기시일드(7)에 애퍼춰마스크(2)와 패널부(1a)의 형광면(9)과의 틈(20)의 부분을 자기시일드하는 외부 자기시일드 연장부(7b)를 설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말하면 패널부(1b)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의 시일드부(7a)와 이 제1의 시일드부(7a)로부터 하나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패널부(1a) 측면의 주위를 둘러쌈과 동시에 패널부(1a)의 전면보다 돌출해있는 연장부(7b)인 제2의 시일드부에 따라 외부 자기시일드(7)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자기시일드 연장부(7b)의 작용을 제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9도는 이 실시예를 남 또는 북방향으로 향하여 설치하였을 때의 자속분포상태르 나타낸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축자계를 인가한 경우 그 자속(11)이 외부 자기시일드(7)와 내부 자기시일드(5) 및 프레임(3)을 통과하는 병렬자기통로를 통해서 흐르는 것은 종래와 같지만 외부 자기시일드(7)를 흐르는 자력선(12a)은 그대로 연장부 (7b)를 통해서 그 선단에서 방출된다.
또 내부 자기시일드(5)를 흐르는 자력선(12b)은 프레임(3)의 전단에서 방출되지만 에퍼춰마스크(2)와 패널부(1a)의 형광면(9)과의 틈(20)의 자기저항이 대단히 크기 때문에 그 대부분은 자기저항이 작은 외부 자기시일드(7)의 연장부(7b)로 들어가고 연장부(7b)의 전단에서 방출된다.
따라서 프레임(3)의 전단에서 방출된 자력선(12b) 가운데 애퍼춰마스크(2)의 둘레 테두리부에 들어가는 자력선을 대단히 적게할 수 있으므로 색순도의 저하를 적게할 수 있다.
실제로 지자기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28인치, 110° 편향의 칼라음극선관을 북향 및 남향으로 설치한 경우의 전자비임 이동량중에 각 형광체열 (B)(R)(G)와 직교하는 성분만 주목하여 그 크기를 표시하면 제10도와 같이된다.
제10도는 제2도에 나타낸 형광면(9)의 1/4인 오른쪽 윗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b)(c)(e)(f)(j)(k)는 지자기가 존재하지 않을때의 전자비임의 각 대표충돌점, (b1)(c1)(f1)(j1)(k1)은 각 형광면(9)의 중앙점(e)과 각 충돌점(b)(c)(f)(j)(k)과의 중간점이다.
상기 각 점에 있어서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제1도에 나타낸 종래의 칼라음극선관과 제8도에 나타낸 연장부(7b)를 패널(1a) 전면보다 10mm앞까지 늘인 실시예의 칼라음극선관의 실측치를 아래표에 나타낸다.
[표 1]
(단위 : ㎛)
Figure kpo00001
이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종래예의 약 40%로 감소하여 대단히 큰 시일드효과가 얻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장부(7b)의 패널전면보다 전방으로 충돌해있는 길이(L)와 전자비임 이동량의 관계를 28인치110° 편향의 칼라음극선관을 사용하여 실시한 실험결과를 제10도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제10도의 가로축은 패널전면에서 돌출해 있는 길이(L)이며 세로축은 칼라음극선관을 남북방향으로 놓았을때의 형광면위에서 가장 이동량이 큰 대각부(제10도의(c)점)에 있어서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돌출량(L)은 10~50mm가 실용범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0도에 나타낸 각 점이외의 형광면(9)위의 점에 있어서 전자비임의 이동량은 제10도에 나타낸 각 대칭위치의 값과 동일하다.
한편 제12도는 이 실시예에 수직성분의 자계(13)를 인가하였을때의 자속분포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명확하게 보는 바와 같이 그 자속의 거의가 칼라음극선관을 가리고 있는 외부 자기시일드(7)를 통과하여 흐르므로 관내에 흘러들어가는 자속은 격감시킬수 있다.
따라서 전자비임(8)의 궤도에 하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색순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제로 지자기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28인치 110°평향의 칼라음극선관을 수직성분의 자계를 인가한 경우의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제1도에 나타낸 종래의 칼라음극선관과 제8도에 나타낸 연장부를 패널전면보다 10mm앞까지 늘인 실시예의 칼라음극선관의 실시치를 아래표와 같이 나타낸다.
아래표와 각 점은 제2도에 나타낸 형광면(9)의 1/4인 오른쪽 윗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i)는 제2도의 (b)점과 (c)점의 중간점이고 (k)는 (c)점과 (f)점의 중간점이다.
(b1)(c1)(f1)(j1)(k1)은 각각 형광면(9)의 중앙점(e)과 각 점(b)(c)(f)(j)(k)과의 중간점이다.
[표 2]
Figure kpo00002
이 표에서 명확히 보는 바와 같이 수직자계를 인가하였을때의 전자비임의 이동량은 종래예의 약 25%로 감소하여 대단히 큰 시일드효과가 얻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9도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연장부(7b)의 앞끝부분을 바깥방향으로 거의 직각으로 반대쪽으로 꺽어서 접힌 부분(7c)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이 실시예는 돌출길이 (L)를 길게한 것과 같은 료과가 있으므로 돌출길이(L)를 길게 할수 없을 경우에 적용하면유효 하다.
제14a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37인치 10°편향 칼라브라운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14b도는 제14a도의 칼라브라운관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칼라CRT, 1b는 칼라CRT(1)의 펀넬, 1a의 패널은 칼라 CRT(1)의 7은 칼라CRT(1)의 펀넬(1b)과 패널(1a)의 측면이 대부분을 가리도록한 구조의 외부 자기시일드판, 즉 EMS이며 이 EMS(7)는 펀넬(1b)이외에 패널(1a)의 대부분을 가리도록 제14b도에 표시한 칼라CRT(1)의 어느정도 전면까지 늘이는 제2의 시일드부(7b)를 가진다. 또한 14는 N/S방향의 외부자계에 대한 자기캔슬코일(cancel coil), 15a, a5b는 E/W방향의 외부자계에 대한 한쌍의 자기캔슬코일이다.
칼라CRT(1)의 EMS(7)와의 사이에는 자기캔슬코일(14)을 개제시키든가 또 경우에 따라서는 한쌍의 자기캔슬코일(15a)(15b)를 개재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4b도에는 도면 설명의 형편상 상기 한쌍의 자기캔슬코일 (15a)(15b)은 생략하고 있다. 또 16은 편향요오크, 17은 칼라CRT의 부착다리, 18은 EMS(7)의 내측에 설치한 소자코일이다. 제14a도 및 제14b도에 표시한 칼라CRT(1)에 있어서 제7도를 참조하면 명확한 바와 같이 EMS(7)의 단체 혹은 EMS(7)외 종래의 IMS(1b)와를 조합시킨 자기시일드 방식에서는 모두 종래의 IMS의 단체방식에 비하여 크게 전자비임의 이동량은 저감하고 있으며, 특히 각 E/W방향 및 BV 방향의 외부자계에 대하여는 한계 이동량(15㎛)이하로 저감된다.
그러나 N/S방향의 외부자계에 대하여는 아직도 한계이동량을 초과하고 있다. 그 이유는 칼라-CRT(1)의 전면인 화상영출부의 스크린을 자기시일드판으로 가릴 수 없다는 물리적인 제약이 빅트가 되어 있다는 것에 기인한다.
그러나 상기 EMS(7)가 E/W, BV방향의 외부자계에 대하여 효과적인 이유는 스크린과 새도우마스크의 공극도 EMS(7)로 가리게 되는 구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칼라CRT-(1)로서 대형인치 사이즈에서는 상기 치수가 커지므로 대단히 효과적으로된다.
그런데 EMS(7)에 있어서 N/S방향의 외부자계에 대하여는 전자비임의 한계 이동량을 초과하여 자기시일드 부족이 된다.
이와 같은 자기시일드 부족에 대하여는 제14a도 및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라CRT(1)의 바깥둘레를 에워싸도록 설치한 수 10~수 1000턴감은 바퀴모양의 자기캔슬코일(14)을 EMS(7)의 내측에 개재시키고 이 자기캔슬코일(14)에 직류전류를 통하게 함에 따라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외부자계(제15도에 파선으로 표시)를 캔슬시키도록 캔슬자계(제15도에 실선으로 표시)를 발생하고 겉보기상으로 상기 외부자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함에 따라 유효적으로 전자비임의 이동을 막을 수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EMS(7)을 자기코어(core)로서상기 캔슬자계를 대단히 효율이 좋게 발생시킬수 있다.
예를 들면 0.3가우스가 N/S방향의 외부자계를 캔슬시키는데 충분한 자기캔슬코일(14)에 필요한 동전량은 4암페어 어떤(AT)이었다.
이것은 IMS의 단체방식인 경우에 동일 요령으로 외부자계를 캔슬하는데 필요한 동전량의 약 1/2이며 암페어턴 효율이 2배 좋은 (전력 효율로4배)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제7도에 표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BV방향의 외부자계에 대하여는 자기시일드가 충분하지만 E/W방향의 외부자계에 대하여는 실용상문제가 없는 것이며 전자비임의 한계 이동량에 접근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1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라CRT(1)의 측면부에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바기캔 슬코일 (15a)(15b)에 직류 전류를 흐르게함에 따라 보정할 수 있다.
제16도는 37인치 110도 편향칼라-CRT의 EMS(7)의 판두께와 자기캔슬코일(14)에 의한 전자비임의 이동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16도는 특히 문제로서 N/S방향의 외부자계를 0.8가우스 변화시켰을 때의 화면코너부에 있어서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표시하고 있고 핸드타입의 소자코일로 충분하게 소자를 한 후의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실선(a)으로 표시하고 있다.
제16도에서 명확하게 보는 바와 같이 EMS(7)의 판두께를 크게하면 전자비임의 이동량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된다.
그런데 이 EMS(7)의 사용에서 칼라-CRT의 바깥둘레에 설치한 종래의 타입의 소자코일에서의 소자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제16도에 일점쇄선(b)으로 표시한 값이 되었다.
초대형 EMS(7)를 위해 자화되는 체적이 증대함에 따라 소자능력의 저하로 연결되고 있다. 핸드타입의 소자코일에서 특성(a)와 일치시키는데는 소자코일의 양페어턴을 늘리지 않으면 안되면 코스트가 상승된다.
제14도에 표시한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소자코일(18)을 사용하여 발명자가 한 실험에 따르면 제16도에 파선(c)으로 표시한 것 같이 EMS(7)의 판두께가 1.5mm부근까지는 핸드타입의 소자코일 사용과 같은 정도의 소자효과를 할 수 있다. 이것은 EMS(7)를 자심으로서 효율좋게 자계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실제의 실용상태로서 0.5mm 이하의 EMS(7)의 판두께로는 강도있게 사용할 수 없으므로 0.5mm~1.5mm가 유효한 판두께의 범위가 된다.

Claims (11)

  1. 펀넬부(1b)와 상기 펀넬부에 접합되어서 그 내면에 형광면(9)이 형성된 패널부(1a)를 가지는 진공의 주위기구 및 이 진공외주 주위기구내에 상기 형광면(9)과 서로 마주 향하여 배설된 에퍼취 마스크(2)를 설치하고 상기 펀넬부의 주위를 에워싸는 제1의 시일드부(7a)와 이 제1의 시일드부(7a)에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 측면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2의 시일드부(7b)를 가진 외부 자기시일드(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자기시일드(7)는 자성금속판으로 되고 그 제2의 시일드(7b)는 패널부의 전면보다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칼라음극선관.
  3. 제2항에 있어서, 제2의 시일드부(7b)에서 패널부 전면으로부터의 돌출길이는 10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칼라음극선관.
  4. 제2항에 있어서, 제2의 시일드부에 있어서 돌출끝은 패널부와는 역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칼라음극선관
  5. 제1항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의 형광면을 가지며 28인치 및 그이상의 크기인 칼라음극선관.
  6. 제1항에 있어서 펀넬부내에 전자비임의 주행로를 막는 내부 자기시일드가 배설된 칼라음극선관
  7.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자기시일드(7)는 자성금속판으로 되고 그 제2의 시일드부(7b)는 패널부의 전면보다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8. 펀넬부 (1a)와상기 펀넬부에 접합되고 그 내면에 형광면의 형성된 패널부(1a)를 가진 진공의 주위기구 및 이 진공의 주위기구내에 상기 형광면(a)과 대향하여 배설된 에러취마스크(2)를 갖추고 상기 펀넬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의 시일드부(7a)와 이 제1의 시일드부(7a)부에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패널부 측면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2의 시일드부 (7b)를 가진 외부 자기시일드(7)및 이 외부 자기시일드의 내측에 배설된 소자코일(1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칼라음극선관.
  9. 제10항에 있어서 외부 자기시일드(7)는 판두께가 0.5mm~1.5mm의 자성금속판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칼라음극선관.
  10.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자기시일드 (7)의 제2의 시일드부 (7b)는 패널부의 전면보다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11. 제11항에 있어서 펀넬부내에 전자비임의 주행로를 막는 내부 자기시일드(5)가 배설된 칼라음극석관.
KR1019860000302A 1985-03-20 1986-01-18 칼라음극선관 KR900001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39998 1985-03-20
JP1985039998U JPH0737228Y2 (ja) 1985-03-20 1985-03-20 カラー陰極線管
JP39998 1985-03-20
JP60226531A JPS6285592A (ja) 1985-10-09 1985-10-09 カラ−ブラウン管
JP60-155609 1985-10-09
JP60-226531 1985-10-09
JP1985155609U JPS6264084U (ko) 1985-10-09 1985-10-09
JP226531 1985-10-09
JP155609 1985-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703A KR860007703A (ko) 1986-10-15
KR900001701B1 true KR900001701B1 (ko) 1990-03-19

Family

ID=2729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302A KR900001701B1 (ko) 1985-03-20 1986-01-18 칼라음극선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00001701B1 (ko)
DE (1) DE3608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77539B (en) * 1985-05-20 1989-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Magnetic shielding system in color television receiver
KR910010100B1 (ko) * 1987-12-11 1991-12-16 미쓰비시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컬러음극선관
JPH02206297A (ja) * 1989-02-06 1990-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陰極線管の磁気キャンセル装置
BE1007683A3 (nl) * 1993-10-29 1995-09-12 Philips Electronics Nv Kleurenbeeldbuis met uitwendige magnetische afscherming.
US6784607B2 (en) 2000-04-25 2004-08-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cathode ray tub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507304A (ko) * 1965-06-09 1966-12-12
US3404227A (en) * 1965-08-17 1968-10-01 Gen Dynamics Corp Cathode ray tube package
DE1512280A1 (de) * 1967-06-10 1969-08-07 Kopat Ges Fuer Konstruktion E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bschirmkappen fuer Farb-Fernsehroehren
FR2006216A1 (ko) * 1968-04-14 1969-12-19 Sony Corp
US3571652A (en) * 1969-04-14 1971-03-23 Sony Corp Degaussing device for color picture tube having parallel-slitted beam-selecting grid
DE2014993B2 (de) * 1970-03-28 1972-02-17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Farbbildroehre
CA942370A (en) * 1970-12-07 1974-02-19 Terry M. Shrader Cathode ray tube with four-piece internal magnetic shield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306253A (en) * 1979-01-25 1981-12-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upporting device for a picture tube
US4316119A (en) * 1979-02-16 1982-02-16 Rca Corporation Tilted unitary degaussing coil arrangement
DE3430406A1 (de) * 1983-08-20 1985-03-14 Riken EMC Co., Ltd., Nagoya, Aichi Transparente platte fuer optische zeichenwiedergabe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08646A1 (de) 1986-09-25
KR860007703A (ko) 1986-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9303A (en) Color image display system having an improved external magnetic shield
KR900001701B1 (ko) 칼라음극선관
US4694216A (en) Cathode-ray tube hav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KR100203213B1 (ko) 내부 자기 시일드를 가진 칼라 수상관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JPH05159713A (ja) カラー受像管
US6809466B2 (en) Cathode ray tub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electron beam mis-landing caused by geomagnetism
KR930007364B1 (ko) 컬러음극선관
JPH0737228Y2 (ja) カラー陰極線管
US6741022B2 (en) Shrinkage band and cathode ray tube comprising the same
KR100260773B1 (ko) 칼라 음극선관의 네크부 지자계 차폐 테이프
EP0310242A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EP0995216B1 (en)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n electron gun
US6903502B2 (en) Inner shield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2004524670A (ja) 内部磁気遮蔽体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EP0830790B1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tube having an external shield against the earth's magnetic field
KR10041450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11167877A (ja) 陰極線管
JPH03187131A (ja) カラー受像管
JPH04315737A (ja) カラー受像管
JPS617546A (ja) カラ−テレビジヨン用受像管
JPH01157034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00013827A (ko) 칼라브라운관의 편향장치
JPH08115681A (ja) 陰極線管
JPS62296335A (ja) カラ−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