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502B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502B1
KR100414502B1 KR10-2001-0040972A KR20010040972A KR100414502B1 KR 100414502 B1 KR100414502 B1 KR 100414502B1 KR 20010040972 A KR20010040972 A KR 20010040972A KR 100414502 B1 KR100414502 B1 KR 100414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electrode
side main
electrode
screen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605A (ko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1-004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5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 H01J2229/5688Velocity modulation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총 메인전극의 형상을 변경하여 화질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드와, 상기 전자빔을 가속 및 집속하는 메인전극을 포함한 복수의 전극들로 구성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극은 전자빔 경로를 둘러싸고 있는 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관체는 네크측을 향해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조건 즉, 전자총과 편향요크의 전장, VM코일 구동전류, 코일의 전기적 특성, 구조, 그리고 장착 위치 등에서 VM효과를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TV화면의 화질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 Electric Gun For The Color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총 메인전극의형상을 변경하여 VM(Velocity Modulation)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화질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평면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이라고 하는 전면유리와 펀넬(2)이라고 하는 후면유리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발광 역할을 하는 형광면과, 상기 형광면을 발광시키는 전자빔(11)을 방출하는 전자총(8)과, 색선별 역할을 하는 마스크(3)와, 상기 마스크를 용접 고정시키는 프레임(4)과 스터드핀(6), 스프링(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극선관이 동작 중에 외부 지자기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해주는 이너쉴드(7)가 상기 프레임(4)에 고정되어 고 진공으로 밀폐되어 있다.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펀넬(2)의 네크부에 내장된 전자총(8)에서 전자빔(11)이 음극선관에 인가된 양극전압에 의해서 패널(1)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을 타격하게 되고, 상기 전자빔은 형광면에 도달하기 전에 편향요크(9)에 의해서 상하좌우로 편향되어 화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마그네트가 있어서 전자빔이 정확히 형광체를 타격하도록 진행궤도를 수정해주는 색순도 불량을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 음극선관은 고진공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쉽게 폭축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의 스커트부에 보강밴드를 장착함으로써 고진공 상태의 음극선관의 응력을 분산하여 내충격 성능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 홀더에 VM코일을 부착하여 화면상의 윤곽을 선명하게 하여 화질의 선명도를 높이는데, 상기 VM코일은 CPM(Color Purity Magnet) 내면에 직렬로 연결된 2극자 코일을 부착하고 영상 신호를 2차 미분할 수 있는 회로를 CPM 하단 또는 소켓 단자판에 추가하여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먼저 상기 미분회로를 통하여 영상신호가 2차 미분되어 VM코일에 입력된다. 상기 코일에 입력된 신호는 파형에 따라 VM코일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자계는 수평편향요크의 수평자계와 겹치면서 수평주사속도를 변화시킨다. 상기 변화된 속도에 따라 화면상의 휘도차가 발생하는데, 편향속도가 증가하면 그 부분의 휘도는 어두워지고, 편향속도가 늦어지면 그 부분의 휘도는 밝아진다. 따라서 화면에서 어두운 곳과 밝은 곳의 경계부분의 휘도차가 더욱 커지고, 경계부분이 더욱 선명하게 보여 TV 윤곽부분의 화질 선명도가 향상된다. 이는 VM효과가 자계의 세기, 즉 자속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자속은 코일의 턴수와 전류의 곱에 비례한다. 즉,
Φ ∝ NI
상기 식에서 Φ는 자속, N는 코일 턴수이고 I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VM효과를 높이기 위해 VM코일의 전기적 특성 즉, VM코일의 임피던스 L[mH], 저항 R[Ω], 직경[㎜], 턴수, 인가전류[A]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종래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산정된 최적의 VM코일 임피던스 및 입력 전류값은 다음과 같다.
주파수가 f, 코일의 임피던스가 L, 전류가일 때 VM코일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은 2πfLi가 된다. 이때 코일 양단전압이 전원전압 E보다 크게 되면 파형 꼬임이 발생하여 불요복사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 양단의 전압과 전원전압은 하기 식을 만족해야 한다.
E > 2πfLi
상기 식에서 주파수 f,입력전류 i의 적(積)은 최적주파수의 피크 근처에서 최대가 되므로 최적 입력주파수 fopt는 2.2㎒로 산정된다. 여기서 양단전압 여유를 10%로 가정하면 0.9E = 2πfLi이 되고, VM코일의 양단전압이 116V이고 입력주파수가 2.2㎒이므로 Li = 7.56[μH·A]이 된다. 그런데 VM코일에 입력되는 권력(Li2)을 변화시켜가며 실험한 결과 Li2= 10[μH·A2]일 때 화질 향상이 최대가 되므로 상기 두 식에 의해= 1.32[A], L = 5.73[μH]로 산정된다.
상기 VM코일의 전기적 특성의 최적화는 난해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VM효과도 극히 미비하다. 또한 샤시로부터 VM코일로 인가되는 전류를 높이면 VM효과는 좋아지지만, 소비전력의 증가로 인하여 샤시업계에 부담이 따른다.
하기 표 1과 도 3은 VM코일의 전기적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실험은 LG전자의 32"WFCD 모델을 가지고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 실질적인 VM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없었다. 하기 표 1에서 자기에너지 WL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WL= 1/2 × ( Li2)
[표 1]
턴 수[회] 직경[㎜] L [μH] R [Ω] 전류 [A] WL[μH·A2] 스트라이프 변화수[개]
3 0.26φ 2.1 0.261 1.290 3.4 1.2
0.40φ 2.0 0.120 1.300
5 0.26φ 4.6 0.407 1.100 5.4 1.5
0.40φ 4.3 0.183 1.120
7 0.26φ 8.1 0.556 0.776 5.2 1.5
0.40φ 7.8 0.249 0.816
10 0.26φ 15.4 0.783 0.408 3.0 1.3
0.40φ 14.5 0.348 0.456
12 0.26φ 21.4 0.939 0.300 2.3 1.2
0.40φ 20.4 0.417 0.336
최근에는 디지털화 등의 추세에 따라 영상신호의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더 큰 VM효과가 요구되고, 이에 따라 VM코일의 임피던스 L이 작아져야 하는데, 종래의 코일의 길이 및 단면적 또는 결선방식을 변경하는 방법으로는 VM효과 향상을 얻을 수 없다.
종래 VM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른 방법은 코일의 장착위치를 최적화하는 것이다.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VM코일도 상기 코일의 장착 위치에 따라 VM효과에 차이가 있다. 즉, VM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자계가 전자총의 전자빔에 영향을 주는 정도에 따라 화질의 선명도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VM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코일을 전자총 메인렌즈 전극에 최대한 가까이 장착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VM코일의 장착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은 전자총 및 편향요크의 구조적 종속관계로 인하여 VM 개선효과에 한계가 있다.
전자총 측면에서는 세트(Set)업계의 브라운관 전장의 축소 등의 요구로 전자총 길이는 작아지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VM코일의 장착위치가 상대적으로 전자총 메인렌즈로부터 멀리 장착되어, 결국 VM효과 열화를 초래한다. 편향요크 측면에서는 VM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편향요크 전장길이가 짧아져야 하는데, 이 경우 대형화면 및 평면 모델에서 주변부의 동특성(DYC, Distortion) 및 감도 특성이 불리해진다.
상기 이유로 TV 화질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지 VM코일 자체만의 '전기적 특성 최적화' 및 '장착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코일, 편향요크의 특성 및 치수의 변경 없이 전자총의 메인전극의 형상만을 변경하여 VM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평면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도,
도 2a 내지 b는 속도변조코일의 입력신호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VM코일의 전기적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종래 전자총의 구조도,
도 5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전자총 메인전극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6은 개방면적에 따른 빔 이동량 및 스트라이프 변화수를 나타내는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패널 2 : 펀넬 3 : 마스크 4 : 프레임
7 : 이너쉴드 8 : 전자총 9 : 편향요크 10: CPM과 VM코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드와, 상기 전자빔을 가속 및 집속하는 메인전극을 포함한 복수의 전극들로 구성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극은 전자빔 경로를 둘러싸고 있는 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관체는 네크측을 향해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전극은 캐소드측 메인전극 G5와 스크린측 메인전극 G6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측 메인전극 G6 또는 캐소드측 메인전극 G5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메인전극 및 전극간 간격을 둘러싸고 있는 총 자계영역의 6∼28.5%이고, 상기 개구부는 R, G, B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R, G, B 개구부간 중심거리의 차이가 상기 총 자계영역의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소드측 메인전극 G5 또는 스크린측 메인전극 G6가 관축 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전극간 면적이 상기 메인전극 및 전극간 간격을 둘러싸고 있는 총 자계영역의 6∼28.5%이고, 상기 분리된 복수개의 전극이 도전체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간 등전위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된 복수개의 전극 종축 끝단부에 비드 글래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서포터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 전자총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자총 메인렌즈의 전극 형상을 폐쇄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자총 메인렌즈의 전극의 형상을 종래 폐쇄형에서 개방형(메인 렌즈 관체에 네크측을 향해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캐소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을 VM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영역에 최대한 노출시켜서 동일 성능의 VM코일로서 VM효과를 극대화하여 TV화질 향상을 가져오게 한다. 이때 기본적인 전자총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자총의 전극간 간격은 변경하지 않고 메인렌즈를 덮고 있는 VM 자계영역에 대하여 일정한 넓이만큼 개방한다. 전자빔이 VM 자계에 많이 노출될수록 VM효과의주 영향 인자인 전자빔의 속도변조가 증가하여 TV화질의 선명도를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VM 자계영역은 전자총 메인렌즈를 구성하는 전극(G5A, G5B, G6)과 전극간 영역(G5A-G5B, G5A-G6)을 둘러싸고 있으며, 인가전류(통상 1.3∼1.5㎃)에 해당하는 만큼의 자계를 발생시켜 TV화질 선명도를 가져온다. 도 4와 같이 VM 자계영역은 전극영역 496㎟(G5B:8㎜×20㎜=160㎟, G5A:12.8㎜×20㎜=256㎟, G6 :4㎜×20㎜=80㎟), 전극간 영역 30㎟(G5A-G5B:0.5㎜×20㎜=10㎟, G5A-G6 :1.0㎜×20㎜=20㎟)로 총 526㎟에 걸쳐있다.
상기에서 VM효과를 저하시키는 폐쇄형의 메인렌즈 전극이 없다면, 526㎟ 만큼의 VM 자계영역이 모두 전자빔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VM효과는 향상될 수 있으나,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자총의 주요 특성인 포커스에 치명적인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총의 포커스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메인렌즈의 폐쇄형 전극을 개방형으로 구성하여 실제 VM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표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A형 : 종래 전자총(폐쇄형 전극 형상)(도 5a 참조)
- B형 : G6전극에 원형으로 개구부를 형성한 전자총(B1:Φ=1.0㎜/B2:Φ=2.0㎜)(도 5b 참조)
- C형 : G6전극에 사각형으로 개구부를 형성한 전자총(C1:1.0㎜×15㎜/C2:2.0㎜×15㎜)(도 5c 참조)
- E형 : G6전극과 G5A 전극에 사각형으로 개구부를 형성한 전자총((2.0㎜×15㎜)×2)(도 5e 참조)
- F형 : G5A 전극에 사각형으로 개구부를 형성한 전자총(2.0㎜×15㎜)(도 5f 참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VM코일의 입력인가전류 및 장착위치를 동일하게 했을 때, 각 전자총 표본 간 전자빔의 이동량을 비교하고, 이에 따른 실제 TV 화질의 선명도 비교한 후, 샤시 크로스 패턴에서의 종선의 스트라이프 변화 수를 비교한다.
[표 2]
전극형상 표본 종류 구분 개구부 형상 개구부 면적[㎟] 총 개방면적 [㎟] 빔 이동량 [㎜] 스트라이프 변화수[개]
폐쇄형 A형 A - - 30.00 4.6 1.5
개방형 B형 B1 원형 2.35 32.35 5.3 1.7
B2 원형 9.42 39.42 7.8 2.2
C형 C1 사각형 15.00 45.00 8.2 2.5
C2 사각형 30.00 60.00 15.2 3.5
E형 E 사각형 60.00 90.00 15.8 3.9
F형 F 사각형 30.00 60.00 11.8 2.8
표 2는 표본별 개방면적에 따른 빔 이동량 및 스트라이프 변화수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상기 실험 결과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형상이 개방형(B, C, E, F형)일 경우 기존의 폐쇄형(A형)보다 빔 이동량 및 발광 스트라이프 수 변화량이 크다. 또한 메인전극에 형성된 개구부 형상이 동일한 경우(B1과 B2, C1과 C2)는 총 개방면적이 클수록 즉, B1보다 B2가, C1보다 C2가 VM효과가 양호하다.
상기에서 전극 개방형상이 원형일 경우, B1에서 B2로 개방면적이 7.07㎟ 증가하면 빔 이동량은 2.5㎜ 향상되므로 1㎟당 0.35㎜ 증가된다. 또한 전극 개방형상이 사각형일 경우, C1에서 C2로 개방면적이 15.0㎟ 증가하면 빔 이동량은 7.0㎜ 향상되므로 1㎟당 0.46㎜ 증가된다. 따라서, 전극의 개방형상(원형, 사각형 등)이 VM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극 개방형상 및 면적이 동일할 경우(C2와 F) VM효과는 개방한 전극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G6을 개방한 경우(C2)는 빔 이동량은 15.2㎜이고, G5A 전극을 개방하였을 경우(F)는 빔 이동량은 11.8㎟으로 G5A보다 G6 전극을 개방할 때 VM효과가 약 22%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전극 개방 형상 및 면적이 동일한 경우 G5B보다 G5A를, G5A보다 G6 전극을 개방한 경우 VM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전극 개방면적과 포커스 디스토션 열화 정도를 검토한 결과 상기 R, G, B 경로상에 설치한 개구부간 중심거리의 차이는 상기 총 자계영역의 ±15%인 경우에 VM효과가 최대가 된다. 즉, 개구부간 중심거리의 차이가 4.675~6.325㎜일 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5.5㎜일 때 VM효과가 최대가 된다.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메인전극의 형태를 개방형이 아닌 분리형 즉, 메인전극을 관축 방향으로 분리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렌즈의 폐쇄형 전극을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실제 VM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방법은 상기 실험과 같으며 실험 표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A형 : 종래 전자총(폐쇄형 전극 형상)(도 5a 참조)
- D형 : G6전극을 3개로 분리한 전자총(1.0㎜×20㎜)(도 5d 참조)
[표 3]
전극형상 표본 종류 구분 개구부 면적[㎟] 총 개방면적 [㎟] 빔 이동량 [㎜] 스트라이프 변화수[개]
폐쇄형 A형 A - 30.00 4.6 1.5
분리형 D형 D 20.00 50.00 14.00 3.1
표 3은 표본별 개방면적에 따른 빔 이동량 및 스트라이프 변화수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상기 실험 결과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형상이 분리형(D형)일 경우 기존의 폐쇄형(A형)보다 빔 이동량 및 발광 스트라이프 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존의 폐쇄형에 비해 본 발명의 분리형이 VM효과가 더욱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분리형의 경우는 분리된 복수개의 전극이 도전체로 연결되어 분리된 전극간에 등전위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전극 종축 끝단부에 서포터를 형성시켜 비드 글라스(Bead-glass)를 결합함으로써 분리된 전극들을 연결하였다.
상기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개구부의 전체면적은 총 자계영역의 6~28.5%인 것이 바람직하며 6% 미만일 경우에는 VM효과가 미비하다. 특히 개구부를 G6에 형성할 경우에는 25%미만, G5A에는 19.5%미만, G5B에는 21.4%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건 이상으로 개방할 경우 브라운관의 다른 특성을 열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실질적인 VM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G6와 G5A전극형상을 개방시키는 것인데, G6 전극은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전체 G6전극 면적의 18.7%만큼 개방시키고, G5A전극은 사각형으로 하여 15.6%만큼 개방하였을 경우, 가장 우수한 VM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조건 즉, 전자총과 편향요크의 전장, VM코일 구동전류, 코일의 전기적 특성, 구조, 그리고 장착 위치 등에서 정해진 VM코일로부터 생성되는 자계의 세기에 대하여 전자빔을 최대한 노출시킴으로써 VM효과를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TV화면의 화질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전류에 의한 VM자계의 열화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와전류는 교번자계에 노출된 금속의 표면에서 생성되어 금속의 자기적 성질을 변화시키고 VM효과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전극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표면적을 줄임으로써 상기 와전류에 의한 VM효과 저하를 최소화하였다.

Claims (14)

  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을 갖는 판넬과, 상기 판넬에 연결된 펀넬과, 상기 판넬 내면의 형광체 스크린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색선별 역할을 하는 새도우마스크와, 상기 새도우마스크를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장착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네크부 외측에 장착되며 내면에 VM(Velocity Modulation)코일이 부착된 CPM(Color Purity Magnet)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네크측을 향해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면적이 상기 메인전극 및 전극간 간격을 둘러싸고 있는 총 자계영역의 6% ~ 2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극은 캐소드측 메인전극 G5와 스크린측 메인전극 G6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측 메인전극 G6를 상기 캐소드측 메인전극 G5를 향하는 끝단부에서 2㎜ 떨어진 지점부터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이 상기 스크린측메인전극 G6 전체 면적의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극은 캐소드측 메인전극 G5와 스크린측 메인전극 G6로 구성되며;
    상기 캐소드측 메인전극 G5는 전극 G5B와 스크린측 메인전극 G6을 향하는 G5A로 구성되고;
    상기 G5A를 상기 스크린측 메인전극 G6를 향하는 끝단부에서 2㎜ 떨어진 지점부터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이 상기 G5A 전체 면적의 19.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극은 캐소드측 메인전극 G5와 스크린측 메인전극 G6로 구성되며;
    상기 캐소드측 메인전극 G5는 전극 G5B와 스크린측 메인전극 G6을 향하는 G5A로 구성되고;
    상기 G5B를 상기 G5A를 향하는 끝단부에서 2㎜ 떨어진 지점부터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이 상기 G5B 전체 면적의 21.4%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R, G, B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R, G, B 개구부간 중심거리는 4.675~6.3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R, G, B 개구부간 중심거리는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8.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을 갖는 판넬과, 상기 판넬에 연결된 펀넬과, 상기 판넬 내면의 형광체 스크린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색선별 역할을 하는 새도우마스크와, 상기 새도우마스크를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장착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네크부 외측에 장착되며 내면에 VM(Velocity Modulation)코일이 부착된 CPM(Color Purity Magnet)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메인전극은 전자빔 경로를 둘러싸고 있는 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전극은 캐소드측 메인전극 G5와 스크린측 메인전극 G6로 구성되며; 상기 캐소드측 메인전극 G5 또는 스크린측 메인전극 G6가 관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전극간 면적이 상기 메인전극 및 전극간 간격을 둘러싸고 있는 총 자계영역의 6∼2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측 메인전극 G6를 상기 캐소드측 메인전극 G5를 향하는 끝단부에서 2㎜ 떨어진 지점부터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전극간 면적이 상기 스크린측 메인전극 G6 전체 면적의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측 메인전극 G5는 전극 G5B와 스크린측 메인전극 G6을 향하는 G5A로 구성되고;
    상기 G5A를 상기 스크린측 메인전극 G6를 향하는 끝단부에서 2㎜ 떨어진 지점부터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전극간 면적이 상기 G5A 전체 면적의 19.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측 메인전극 G5는 전극 G5B와 스크린측 메인전극 G6을 향하는 G5A로 구성되고;
    상기 G5B를 상기 G5A를 향하는 끝단부에서 2㎜ 떨어진 지점부터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전극간 면적이 상기 G5B 전체 면적의 21.4%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복수개의 전극이 도전체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간 등전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복수개의 전극 종축 끝단부에 비드 글래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서포터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KR10-2001-0040972A 2001-07-09 2001-07-0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14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972A KR100414502B1 (ko) 2001-07-09 2001-07-0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972A KR100414502B1 (ko) 2001-07-09 2001-07-0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605A KR20030005605A (ko) 2003-01-23
KR100414502B1 true KR100414502B1 (ko) 2004-01-07

Family

ID=2771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972A KR100414502B1 (ko) 2001-07-09 2001-07-09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464A (ja) * 1996-12-10 1998-06-26 Hitachi Ltd 陰極線管
JPH11162372A (ja) * 1997-11-28 1999-06-18 Sony Corp 電子銃
JP2000188067A (ja) * 1998-12-21 2000-07-04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電子銃、電子銃の製造方法、陰極線管装置
KR20010018992A (ko) * 1999-08-24 2001-03-15 김순택 음극선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464A (ja) * 1996-12-10 1998-06-26 Hitachi Ltd 陰極線管
JPH11162372A (ja) * 1997-11-28 1999-06-18 Sony Corp 電子銃
JP2000188067A (ja) * 1998-12-21 2000-07-04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電子銃、電子銃の製造方法、陰極線管装置
KR20010018992A (ko) * 1999-08-24 2001-03-15 김순택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605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50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EP1460673A2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having velocity modulation coil
US6794807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US4473773A (en) In-line type electromagnetic focusing cathode-ray tube
KR100778499B1 (ko)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US7126292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EP0415125A1 (en) Cathode ray tube
KR100205407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499938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KR10040083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EP1480248A2 (en) Electron gun and cathode ray tube device
KR10046428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56291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431262B1 (ko) 편향요크
KR200143460Y1 (ko) 음극선관의 평향 요크 고정용 쐐기
KR100274881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포커스 언밸런스 조정장치
KR10041449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52588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95791B1 (ko) 고휘도 칼라음극선관 및 그 노광방법
KR20000013827A (ko) 칼라브라운관의 편향장치
KR20030063650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71126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0054767A (ko) 칼라 브라운관의 전자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