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499B1 -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499B1
KR100778499B1 KR1020010027250A KR20010027250A KR100778499B1 KR 100778499 B1 KR100778499 B1 KR 100778499B1 KR 1020010027250 A KR1020010027250 A KR 1020010027250A KR 20010027250 A KR20010027250 A KR 20010027250A KR 100778499 B1 KR100778499 B1 KR 100778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rame
shield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216A (ko
Inventor
이응석
김종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499B1/ko
Priority to US10/138,487 priority patent/US6700320B2/en
Priority to CNB021198772A priority patent/CN1241227C/zh
Publication of KR2002008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지자기의 성분 중, 수평 분력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최소화시켜 우수한 색순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들을 가지며 장축과 단축이 설정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와,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마스크의 장축에 대응하여 배치됨은 물론, 상기 장,단축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인장된 상기 마스크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과 상기 마스크의 단축에 대응하여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부재들의 양단에 걸쳐 고정되어 상기 마스크에 인가되는 텐션을 유지토록 하는 한 쌍의 강성부재들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한 색 선별 장치가 내면에 형광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 내측으로 장착된다. 상기 색 선별 장치에는 상기 넥크를 향해 배치됨은 물론,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전자빔의 주사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자기를 차폐시키기 위한 쉴드 부재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코너부위에 비연속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장변부 또는 단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한 상기 색 선별 장치의 선단보다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해 확장되어 설치된다.
음극선관, 지자기, 쉴드, 텐션, 색선별장치, 투자율

Description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HAVING MEANS FOR PREVENTING MIS-LANDING OF ELECTRON BEAMS BY EARTH MAGNETIS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 선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 A-A 선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지자기의 수평 분력 분포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지자기의 수평 분력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의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서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형광 스크린으로 주사된 전자빔이 지자기에 의해 영향을 받아 미스 랜딩을 초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 칼라 텔레비젼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등으로 널리 사 용되고 있는 음극선관은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총에서 생성된 전자빔을 R,G,B 형광체가 도포된 형광 스크린으로 주사시켜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자빔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상기 형광 스크린의 중앙부는 물론 이의 주변부로도 주사되어 이 부위에 도포된 형광체를 발광시켜야 하므로, 상기 주변부로 주사될 때에는 편향 장치로부터 형성된 자계에 의해 편향되면서 원하는 형광체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전자빔의 주사 과정에서 전자빔이 음극선관의 외부에서 작용하는 자계 가령, 지자기의 영향을 받게 되면 최종 도달되어야 할 형광체에 제대로 도달되지 않고 원하지 않는 다른 형광체에 도달되는 이른바 미스 랜딩을 일으켜 음극선관의 색순도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에서는 상기 지자기가 전자빔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이를 차폐시키기 위하여 자기 쉴드 부재인 인너 쉴드를 채용하고 있는 바, 통상 이 인너 쉴드는 색 선별 장치를 구성하는 새도우 마스크와 마스크 프레임의 조립체에 장착되어 상기 색 선별 장치와 함께 음극선관의 내측으로 장착된다.
한편, 최근 음극선관의 기술 경향은, 자연스럽고 보기 쉬운 화상 구현을 위해 형광 스크린이 형성되는 패널의 전면을 평탄하게 구성하고, 더욱이 구현 화상을 보다 큰 화면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음극선관이 전면 유리인 패널을 평탄화 및 대형화하여 구성될 때에는, 상기 색 선별 장치에 포함되는 새도우 마스크도 대형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나, 곡률진 새도우 마스크의 대형화에는 강도 문제를 비롯한 다수의 어려움이 있는 관계로, 음극선관의 업계에서는 새로운 모델의 색 선별 장치를 음극선관에 적용하고 있다. 물론, 이 색 선별 장치가 적용된 음극선관에도 상기한 인너 쉴드가 제공되어 전자빔이 지자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를 도면을 통해 더욱 알아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 방식의 색 선별 장치(1)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3a)이 형성되는 마스크(3)와, 이 마스크(3)가 지지 설치되는 프레임(5)을 포함하며, 이 때 상기 마스크(3)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텐션을 인가받은 상태로 상기 프레임(5)에 장착되는데, 여기서 상기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3)와 직접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5a)과 이 양 지지 부재(5a)의 끝단으로 각기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들(5a)과 함께 상기 프레임(5)의 몸체를 구성하는 한 쌍의 강성부재(5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색 선별 장치(1)는 음극선관에서 통상적으로 새도우 마스크와 마스크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색 선별 장치와 마찬가지로, 내면에 형광 스크린(7)이 형성되는 패널(9) 내측으로 삽입 장착되어 전자총(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색 선별시키게 되는 바, 여기서 상기 마스크(3)를 대향하는 방향으로는 전자빔의 주사 궤적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인너 쉴드(11)가 상기 지지부재들(5a) 및 강성부재들(5b)에 지지 설치된다. 즉, 상기 인너 쉴드(11)는 상기 전자빔의 주사 경로 상에 배치되어 음극선관의 외부에서 영향을 미치는 지자기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전자빔이 상기 형광 스크린(7)으로 주사될 때, 지자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음극선관에 영향을 주는 지자기 성분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수직 분력과 지면에 수평한 방향의 수평 분력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지자기의 수평 분력은, 세부적으로 음극선관의 관축에 대해 수평 상태로 미치는 이른바 남북방향(이하, 편의상 N-S 방향이라 칭함.) 수평 분력과 상기 관축에 대해 수직 상태로 미치는 이른바 동서방향(이하, 편의상 E-W 방향이라 칭함) 수평 분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지자기의 수평 분력에 대한 전자빔의 랜딩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쉴드(11) 상에 V자 형상의 노치(11a)나 피어싱부(11b)를 형성해 놓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상기한 색 선별 장치(1)는, 상기 지자기의 성분 중, 특히 상기한 E-W 방향의 수평 분력(이하, 편의상 E-W 방향 수평 분력이라 칭함.)에 대해 취약한 구조를 함유하고 있다.
즉, 지자기의 E-W 방향 수평 분력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같이, 상기 패널(9)의 단변측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 E-W 방향 수평 분력은 상기 인너 쉴드(11)에 의해 대부분 차폐되어지나 상기 패널(9)의 단변측에 대응하는 공간-상기 강성부재(5b)와 상기 마스크(3)사이 공간 또는 상기 마스크(3)와 상기 형광 스크린(7)사이 공간-에는 상기 인너 쉴드(11)와 같은 쉴드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공간 내를 지나는 전자빔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빔은 상기 형광 스크린(7)에 도달되는 최종 과정에서 상기 E-W 방향 수평 분력의 영향을 받아 그 궤적을 변경하게 되어 원하지 않은 형광체를 타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색 선별 장치(1)를 채용하고 있는 음극선관은 상기 한 바와 같이 색순도 특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본국 특개평 10-50228 에서는, 색 선별 전극(위에서 설명된 마스크에 대응)을 형광면에 대향시키는 프레임의 코너부에 색 선별 전극과 형광면 사이의 외부 자계를 쉴드시킬 수 있는 쉴드수단을 갖는 칼라 음극선관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칼라 음극선관은 비록 상기 쉴드수단을 상기 색 선별 전극과 형광면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색 선별 전극을 통과하는 전자빔이 지자기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하고는 있다 하나, 상기 쉴드수단이 상기 프레임의 코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전자빔의 수평 이동량을 증가시킬 문제가 많다.
즉, 상기 쉴드수단과 같이 소정의 쉴드체가 프레임의 코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면, 프레임의 단변부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지자기는 그 성분 중의 일부가 프레임의 장변부측으로도 흘러 들러가게 되는 바, 이에 프레임의 코너부 측으로 주사되는 전자빔은 상기한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 수평 방향으로 이동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원하지 않은 형광체를 타격하여 음극선관의 색순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마스크에 소정의 텐션을 부가하여 색 선별 장치를 구성하고 이를 형광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 내면으로 근접시켜 장착한 음극선관에 있어, 상기 색 선별 장치를 통과하는 전자빔에 대한 지자기의 영향을 최소 화할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은, 형광 스크린이 형성되는 화면부와, 이 화면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면을 갖는 패널과, 이 패널에 연결 설치되고 외주 상에 편향 장치가 설치되는 펀넬과, 이 펀넬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형광 스크린으로 주사되는 전자빔을 생성하는 전자총이 장착되는 넥크로 이루어진 진공관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패널 내측으로 복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들을 가지며 장축(X)과 단축(Y)이 설정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와,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마스크의 장축에 대응하여 배치됨은 물론, 상기 장,단축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인장된 상기 마스크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과 상기 마스크의 단축에 대응하여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부재들의 양단에 걸쳐 고정되어 상기 마스크에 인가되는 텐션을 유지토록 하는 한 쌍의 강성부재들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한 색 선별 장치를 장착한다.
이 때, 상기 색 선별 장치에는 상기 넥크를 향해 배치됨은 물론,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전자빔의 주사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자기를 차폐시키기 위한 쉴드 부재가 연결 설치되는데, 이 쉴드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코너 부위에 비연속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장변부 또는 단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한 상기 색 선별 장치의 선단보다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해 확장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쉴드 부재는, 전자빔 통과 개구를 가지면서 상기 넥크를 향해 배치되 는 통형의 몸체와 이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장변측으로 배치되는 스컷트를 갖는 주 쉴드부와 이 주 쉴드부와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의 단변측으로 배치되는 보조 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보조 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와 상기 강성부재 사이의 공간을 가리는 차폐부 및 이 차폐부에서 돌기져 형성되어 상기 강성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1개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컷트의 두께를 t, 상기 마스크로부터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해 확장된 상기 스컷트의 길이를 k, 상기 지지부재의 높이를 L 이라 할 때, 상기 쉴드 부재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9 ㎜ ≤ tk/L ≤ 0.15 ㎜
또한, 상기 보조 쉴드부의 두께를 t', 상기 마스크로부터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해 확장된 상기 보조 쉴드부의 길이를 k', 상기 지지부재의 높이를 L 이라 할 때,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9 ㎜ ≤ t'k'/L ≤ 0.15 ㎜
이하,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 선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색 선별 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음극선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극선관은, 화면부(20a)의 내면에 형광 스크린(22)을 형성하고 상기 화면부(20a)의 둘레로 측면(20b)을 형성하는 패널(20), 이 패널(20)에 연결 설치되는 펀넬(22) 및 이 펀넬(22)에 연결 설치되는 넥크(24)로 형성된 진공 튜브로 외관을 형성하며, 통상과 같이 상기 펀넬(22)의 외주 상에는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장치(26)를 장착하고 상기 넥크(24) 내부에는 상기 전자빔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총(28)을 장착한다.
또한, 상기 패널(20)의 내측으로는 상기 전자총(28)에서 주사된 다수(R,G,B)의 전자빔을 색 선별하기 위한 색 선별 장치(30)를 장착하는 바, 본 발명에서 상기 색 선별 장치(30)에 포함되는 마스크(32)는 통상의 음극선관에서 채용되고 있는 곡률져 성형된 새도우 마스크 타입이 아닌 이른바 텐션 마스크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마스크(32)는 복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들(32a)을 가지면서 장축(X)과 단축(Y)이 설정되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스크(32)는, 상기 장축(X) 또는 단축(Y) 방향으로 소정의 텐션을 받아 인장되어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34)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프레임(34)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지지부재들(34a)과, 이 지지부재들(34a)의 양단에 상호 걸쳐 고정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부재들(34a)과 함께 일종의 사각틀을 형성하는 강성부재들(3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32)는 상기 단축(Y) 방향으로 인장되어 상기 지지부재들(34a)의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강성부재들(34b)은 대략 U자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마스크(32)의 인장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에서 마스크(32)의 인장 상태는 상기 마스크(32)의 주변에 부가되는 텐션이 상기 마스크(32)의 중앙에 부가되는 텐션보다 크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색 선별 장치(30)는 상기 마스크(32)가 상기 형광 스크린(22)을 향하도록 상기 패널(20) 내측에 배치되어 훅크(36)와 스프링(38)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패널(20) 내측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한 색 선별 장치(30)에는 상기 넥크(24)를 향한 방향 및 상기 프레임(34)의 둘레로 배치되는 전자빔의 주사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자기를 차폐시키기 위한 쉴드 부재(39)가 연결 설치되는 바, 이 쉴드 부재(39)는 주 쉴드부(40)와 보조 쉴드부(42)로 구분된다.
상기 주 쉴드부(40)는 통상의 음극선관에서 지자기 차폐수단으로 작용하는 인너 쉴드와 유사한 형상(전자빔의 궤도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면서 V 자 노치나 피어싱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구체적으로 전자빔 통과 개구(40a)를 가지면서 전자빔의 주사 궤도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넥크(24)를 향해 배치되는 통형의 몸체(40b)와, 이 몸체(40b)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34)의 장변측을 향해 연장되는 스컷트(40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컷트(40c)는, 상기 지지부재(34a)를 커버하면서 상기 마스크(32)보다 상기 형광 스크린(22)을 향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4a)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반해, 상기 보조 쉴드부(42)는 상기 주 쉴드부(40)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강성부재(34b)의 측면으로 배치되는데, 이 보조 쉴드부(42)의 구성은 상기 프레임의 단변을 따라 상기 마스크(32)와 상기 강성부재(34b) 사이의 공간을 가리 도록 길게 배치되는 차폐부(42a)와 이 차폐부(42a)에서 돌기져 형성되어 상기 강성부재(34b)에 고정되는 1개 이상(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연결부(42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차폐부(42)의 폭은 상기 프레임(34)의 단변 폭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주 쉴드부(40)와 보조 쉴드부(42)는 기본적으로 투자율이 높은 재질로 구비되며 세부적인 구조를 더욱 살펴보면, 먼저 상기 주 쉴드부(40)에 있어 상기 스컷트(40c)는 도면에서와 같이 적어도 상기 지지부재(34a)의 중앙부위를 덮으면서 상기 지지부재(34a)의 중앙부를 기준하여 좌,우 비대칭 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 쉴드부(40)는 상기 프레임(34)의 단변측으로는 상기 강성부재(34b)를 감싸지 않도록 상기 몸체(40b)를 형성한다.
더욱이, 도 3을 참고하여 볼 때, 상기 스컷트(40c)의 두께를 t, 상기 마스크(32)으로부터 상기 형광 스크린(22)을 향해 확장된 상기 스컷트(40c)의 길이를 k, 또한 상기 지지부재(34a)의 높이를 L 이라 할 때, 상기 스컷트(40c)와 상기 지지부재(34a)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0.009 ㎜ ≤ tk/L ≤ 0.15 ㎜
이러한 조건은 상기 보조 쉴드부(4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쉴드부(42)의 두께를 t', 상기 마스크(32)로부터 상기 형광 스크린(22)을 향해 확장된 상기 보조 쉴드부의 길이를 k', 상기 지지부재(34a)의 높이를 L 이라 할 때, 상기 보조 쉴드부(42)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지지부재(34a)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0.009 ㎜ ≤ t'k'/L ≤ 0.15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주 쉴드부(40)와 보조 쉴드부(42)가 상기 색 선별 장치(30)에 설치되면, 상기 색 선별 장치(30)에 있어 상기 넥크(24)를 향한 방향으로는 통상의 인너 쉴드와 같이 상기 주 쉴드부(40)의 몸체(40b)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34)의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주 쉴드부(40)의 스컷트(40c) 및 상기 보조 쉴드부(42)의 차폐부(42a)가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스컷트(40c)와 상기 차폐부(42a)는 상기 프레임(34)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면서 배치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34)의 코너부위에서는 상호 연결되지 않도록 비연속부(44)를 형성한다. 더욱이, 상기 스컷트(40c)와 상기 차폐부(42a)는 상기 색 선별장치(30)의 선단보다 상기 형광 스크린(22)을 향해 더욱 확장되어 상기 프레임(34)의 둘레를 감싸는 꼴을 갖는다.
이에 상기한 쉴드 부재(39)를 장착한 상기 색 선별 장치(30)가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기 패널(20) 내측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음극선관의 실질적인 작용시, 상기 음극선관에 지자기가 작용한다하더라도 상기 전자총(28)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형광 스크린(22)으로 주사되는 전자빔은 상기 지자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적으로 상기 전자총(28)에서 출사된 전자빔이 상기 편향 장치(26)에 의해 편향되면서 상기 색 선별 장치(30)를 향해 주사되는 과정에서는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쉴드부(40)의 몸체(40b)가 지자기를 차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빔이 상기 색 선별 장치(30)를 통과하여 상기 형광 스크린(22)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스컷트(40c)와 상기 차폐부(42a)가 상기 패널(20)의 측면(20b)부위로 작용하는 지자기를 차폐시키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스컷트(40c)는 지자기의 성분 중 N-S 방향 수평 분력을, 상기 차폐부(42a)는 지자기의 성분 중 E-W 방향 수평 분력을 각기 차폐시키기 된다.
즉, 상기 스컷트(40c)는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지자기의 수평 성분을 차폐시키고, 상기 차폐부(42a)는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지자기의 수평 성분을 차폐시켜 상기 전자빔이 상기 색 선별 장치(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지자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컷트(40c)는 물론 상기 차폐부(42a)는 상기 프레임(34)을 감싸면서 상기 형광 스크린(22)을 향해 확장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한 지자기의 성분을 각기 차폐시킬 때에, 이 지자기의 성분이 상기 마스크(32) 또는 상기 지지부재(34a)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컷트(40c)와 상기 차폐부(42)는 상호 연결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34)의 코너부위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끊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차폐부(42)측으로 작용하는 지자기의 E-W 방향 수평 분력은 상기 프레임(34)의 장변측으로는 유도되지 않고 상기 차폐부(42)에 의해서 대부분 차폐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에 따라 상기 음극선관상에 분포되는 지자기의 수평 분력은, 종래의 음극선관에서보다 전자빔에 영향을 덜 미치도록 분포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참고 도면에 도 4a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 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관축을 따라 넥크측에서 패널측 상으로 분포되는 지자기의 N-S 방향 그래프이고, 도 4b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의 관축을 따라 넥크측에서 패널측 상으로 분포되는 N-S 방향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By, By'는 N-S 방향 지자기가 상기 쉴드 부재(종래는 인너 쉴드)를 통과하면서 패널의 수직축(V) 방향의 자기장 성분을, Bz,Bz'는 N-S 방향 지자기가 상기 쉴드 부재(종래는 인너 쉴드)를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음극선관의 관축(Z) 방향의 자기장 성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그래프 특성을 나타내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해당되는 음극선관은 3:4의 화면비를 가지며 화면 크기를 34인치로 하는 같은 기종으로 적용되었으며, 본 발명에 있어 상기 tk/L 및 t'k'/L 의 값은 0.11(㎜)로 이루어졌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 분포되는 By 이나 Bz는 종래의 음극선관에 분포되는 By' 이나 Bz' 에 비해 넥크측으로부터 펀넬측으로는 유사한 분포 곡선을 보이나, 상기 쉴드 부재(39)가 배치된 패널측 부위에서는 종래에 비해 그 값이 감소된 분포 곡선을 보였다.
이러한 상기 By 와 Bz 의 분포 곡선은, 본 발명에 의한 쉴드 부재(39)가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Z)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자기를 종래보다 감소시키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으로서, 이에 상기 색 선별 장치(30)를 통과하여 상기 형광 스크린(22)으로 랜딩되는 전자빔은 지자기의 영향을 피해 수평 이동량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형광 스크린(22)의 원하는 형광체로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차례의 실험을 통해 상기 스컷트(40c)와 상기 차폐부(42a)가 각기 상기한 부등식의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프레임(34) 상에 장착될 때에, 상기 N-S 방향 수평 분력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 정도를 종래에 비해 29%, 상기 E-W 방향 수평 분력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 정도는 종래에 비해 16%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은, 평면화 및 대형화에 적합한 색 선별 장치를 보유한 상태에서도 색 선별 장치의 둘레 상으로 배치되는 시일 부재를 구조에 따라 지자기의 영향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우수한 색순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9)

  1. 형광 스크린이 형성되는 화면부와, 이 화면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면을 갖는 패널과;
    이 패널에 연결 설치되고 외주 상에 편향 장치가 설치되는 펀넬과;
    이 펀넬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형광 스크린으로 주사되는 전자빔을 생성하는 전자총이 장착되는 넥크와;
    복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들을 가지며 장축과 단축이 설정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와,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마스크의 장축에 대응하여 배치됨은 물론, 상기 장,단축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인장된 상기 마스크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과 상기 마스크의 단축에 대응하여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부재들의 양단에 걸쳐 고정되어 상기 마스크에 인가되는 텐션을 유지토록 하는 한 쌍의 강성부재들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내측으로 장착되어 상기 전자빔을 색 선별하여 상기 형광 스크린의 해당 형광체에 도달되도록 하는 색 선별 장치; 및
    상기 색 선별 장치에 연결 설치되면서 상기 넥크를 향해 배치됨은 물론,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전자빔의 주사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자기를 차폐시키기 위한 쉴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 부재가
    전자빔 통과 개구를 가지면서 상기 넥크를 향해 배치되는 통형의 몸체와 이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장변측으로 배치되는 스컷트를 갖는 주 쉴드부; 및
    상기 주 쉴드부와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의 단변측으로 배치되는 보조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코너 부위에 비연속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의 장변부 또는 단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서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한 상기 색 선별 장치의 선단보다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해 확장되어 설치되는 음극선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컷트는 적어도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부위를 덮으면서 이 지지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음극선관.
  4. 제 3 항 에 있어서,
    상기 스컷트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부를 기준하여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음극선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쉴드부는 상기 강성부재를 감싸지 않으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음극선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단변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와 상기 강성부재 사이의 공간을 가리는 차폐부; 및
    이 차폐부에서 돌기져 형성되어 상기 강성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1개 이상의 연결부
    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폭이 상기 프레임의 단변 폭보다 큰 음극선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컷트의 두께를 t, 상기 마스크로부터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해 확장된 상기 스컷트의 길이를 k, 상기 지지부재의 높이를 L 이라 할 때,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음극선관.
    0.009 ㎜ ≤ tk/L ≤ 0.15 ㎜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쉴드부의 두께를 t', 상기 마스크로부터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해 확장된 상기 보조 쉴드부의 길이를 k', 상기 지지부재의 높이를 L 이라 할 때, 다음식을 만족하는 음극선관.
    0.009 ㎜ ≤ t'k'/L ≤ 0.15 ㎜
KR1020010027250A 2001-05-18 2001-05-18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KR100778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250A KR100778499B1 (ko) 2001-05-18 2001-05-18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US10/138,487 US6700320B2 (en) 2001-05-18 2002-05-06 Cathode ray tub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electron beam mis-landing caused by geomagnetism
CNB021198772A CN1241227C (zh) 2001-05-18 2002-05-17 具有防止地磁导致的电子束误着屏的结构的阴极射线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250A KR100778499B1 (ko) 2001-05-18 2001-05-18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216A KR20020088216A (ko) 2002-11-27
KR100778499B1 true KR100778499B1 (ko) 2007-11-22

Family

ID=1970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250A KR100778499B1 (ko) 2001-05-18 2001-05-18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00320B2 (ko)
KR (1) KR100778499B1 (ko)
CN (1) CN124122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1039A (ja) * 2001-06-21 2004-10-0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色選択電極が設けられたカラー表示管
KR100439261B1 (ko) * 2001-09-11 2004-07-05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용 경량화 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28A (ja) * 1996-08-05 1998-02-20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陰極線管
KR19980038413A (ko) * 1996-11-26 1998-08-05 구자홍 평면브라운관의 지자기 차폐장치
JPH10247459A (ja) * 1997-03-03 1998-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cr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0100B1 (ko) * 1987-12-11 1991-12-16 미쓰비시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컬러음극선관
SG98404A1 (en) * 2000-06-01 2003-09-19 Sony Electronics Singapore Pte A magnetic shield for a cathode ray tub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28A (ja) * 1996-08-05 1998-02-20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陰極線管
KR19980038413A (ko) * 1996-11-26 1998-08-05 구자홍 평면브라운관의 지자기 차폐장치
JPH10247459A (ja) * 1997-03-03 1998-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c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7228A (zh) 2002-12-25
KR20020088216A (ko) 2002-11-27
US20020171348A1 (en) 2002-11-21
CN1241227C (zh) 2006-02-08
US6700320B2 (en)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499B1 (ko)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KR100778500B1 (ko)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US6144151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JP3153597B2 (ja) カラー受像管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US622925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EP0978862A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720723B2 (en) Cathode ray tube for achieving small electron beam landing deviation
KR100605761B1 (ko) 음극선관
KR100814868B1 (ko) 외부 자기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KR100805148B1 (ko) 외부 자기장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KR10041450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634732B1 (ko) 칼라음극선관의 프레임
US6987350B2 (en) Inner shield and cathode ray tube including the same
KR1004182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 쉴드
KR100426566B1 (ko) 개선된 이너쉴드를 가지는 컬러 음극선관
KR100426013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30081660A (ko) 외부 자기장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KR100246922B1 (ko) 음극선관
KR20000010590U (ko) 음극선관
KR20010021328A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20020091609A (ko) 개선된 이너쉴드를 가지는 컬러 음극선관
KR20020009753A (ko) 멀티-넥 음극선관
JPS62296335A (ja) カラ−受像管装置
JPH03291834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