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779B1 - 평면형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평면형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779B1
KR100460779B1 KR10-2002-0011480A KR20020011480A KR100460779B1 KR 100460779 B1 KR100460779 B1 KR 100460779B1 KR 20020011480 A KR20020011480 A KR 20020011480A KR 100460779 B1 KR100460779 B1 KR 100460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ngth
height
cathode ray
shadow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977A (ko
Inventor
배제윤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2-0011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779B1/ko
Priority to TW091132048A priority patent/TWI270099B/zh
Priority to EP02024907A priority patent/EP1343191A3/en
Priority to US10/289,420 priority patent/US6806634B2/en
Priority to CNB021486077A priority patent/CN1215521C/zh
Priority to JP2002334651A priority patent/JP2003257335A/ja
Publication of KR2003007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새도우마스크결합 후 프레임 형상유지 강화로 외부충격 시 새도우마스크가 받는 진동전달을 감소시켜 외부음파에 의한 마스크 떨림 현상인 하울링(Howling) 현상을 억제하고 낙하특성을 향상시켜 칼라음극선관의 색순도와 휘도를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면이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곡률을 갖는 장방형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장착되어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를 Xd, 단변부의 길이를 Yd, 대각부의 길이를 Dd라하고, 프레임 장변부의 중앙높이를 a, 단변부의 중앙높이를 b, 프레임 코너부의 높이를 c라 할 때, 0.9 < 4(a/Xd + b/Yd + c/Dd) < 1.2의 식을 만족하는 프레임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면형 음극선관{Flat-type CRT}
본 발명은 평면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과 새도우마스크 결합 후 프레임의 형상유지를 강화시키고 외부충격에 의한 새도우마스크로의 진동전달을 감소시켜 하울링 현상을 억제하고 낙하특성을 향상시켜 칼라음극선관의 색순도와 휘도를 향상하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컬러음극선관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로서, 패널(1)이라는 전면 유리와 펀넬(2)이라는 후면유리가 결합되고, 패널(1)의 내면은 소정의 발광역할을 하는 형광면(4)과 이 형광면을 발광시키는 전자빔(6)의 근원인 전자총(10)과 소정의 형광체를 발광시키도록 색을 선별해 주는 새도우마스크(3), 이 새도우마스크(3)를 지지하는 프레임(7)으로 구성된다.
상기 새도우마스크(3)가 장착된 프레임(7)은 패널(1)과 스프링(8)에 의해 결합되고, 음극선관이 동작 중 외부 지자기에 영향을 적게 받도록 차폐 역할을 해주는 인너쉴드(9)가 프레임(7)에 고정된 상태로 고진공으로 밀폐되어 있다.
도 1에 개시한 컬러음극선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펀넬(2)의 네크에 내장된 전자총(10)에서 전자빔(6)이 음극선관에 인가된 양극전압에 의해서 패널(1)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을 타격하게 되는데, 이 때 이 전자빔은 형광면에 도달하기 전 편향요크(5)에 의해서 상하, 좌우로 편향되어 화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음극선관은 고 진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쉽게 폭죽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패널(1)이 대기압의 강도를 견딜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설계한다. 또한, 패널(1)의 스커트(Skirt) 외면에 보강밴드(11)를 장착하여 고진공 상태의 음극선관이 받는 응력을 분산, 내충격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새도우마스크(3)와 용접 결합되는 프레임(7)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부(Xd)와 단변부(Yd)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장변부(Xd)와 단변부(Yd)가 직각을 이루는 코너부(Cd)로 이루어진다.
한편, 평면형 음극선관의 전장길이를 축소시켜 두께를 슬림(Slim)화하고 무게를 경량화 하려는 현 추세에 따라, 평면형 음극선관 전면에 부착되는 패널(1)의 높이와 유리두께를 축소하게 되었다.
그러나,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의 높이 축소에 따라서 종래의 프레임(7)과 패널(1) 내면에 간섭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종래의 프레임(7)과 패널(1)의 사이가 좁아짐으로써 제조공정 상에서 패널 내면에 스크라치(Scratch)가 자주 발생되었고, 또한 스크라치(Scratch)의 발생 후 로공정을 통과하게 되면, 패널이 깨지거나 폭죽하는 현상이 많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새도우마스크(3)와 프레임(7)의 조립체의 무게가 무거울 때에는 충격 시 충격량이 커져 새도우마스크(3)의 변형도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의 장변부길이, 단변부 길이 및 대각부의 길이와, 프레임 각각의 장변부 중앙높이와 단변부 중앙높이 및 프레임 코너부 높이의 설계를 최적화하여 프레임과 마스크 결합 후 프레임의 형상유지를 강화시키고 외부충격에 의한 새도우마스크로의 진동전달을 감소시켜 하울링 현상을 억제하고 낙하특성을 향상시켜 칼라음극선관의 색순도와 휘도를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 는 종래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3 은 종래 평면 음극선관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평면 음극선관의 측면도.
도 5 는 종래 프레임과 본 발명의 프레임의 하울링(Howling)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패널 2 : 펀넬
3 : 새도우마스크 4 : 형광면
5 : 편향요크 7 : 프레임
10 : 전자총 11 : 보강밴드
Xd : 프레임의 장변부 길이 Yd : 프레임의 단변부 길이
a : 프레임의 장변 중앙높이 b : 프레임의 단변 중앙높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면이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곡률을 갖는 장방형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장착되어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조합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장변부 길이를 Xd, 단변부의 길이를 Yd, 대각부의 길이를 Dd라 하고, 프레임 장변부의 중앙높이를 a, 프레임 단변부의 중앙높이를 b, 프레임 코너부의 높이를 c라고 할 때, 0.9 < 4(a/Xd + b/Yd + c/Dd) < 1.2 의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레임(7)은 새도우마스크(3)의 유효화면 사이즈와 편향각을 고려하여 패널의 스커트(Skirt)부를 축소시켰을 때, 현재의 평면형 음극선관의 패널높이에서 최대한 10~15mm 정도 축소가 가능하지만, 패널(1) 높이를 축소함에 따라 프레임(7)의 끝단과 패널(1)내면 사이에 여유공간이 없어져, 심한 경우에는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패널(1) 스커트(Skirt)부를 축소함에 따라서 새도우마스크(3)의 곡률도 변경되어 새도우마스크(3)와 프레임(7)의높이차(Gap)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7) 끝단과 패널(1) 내면 사이에 충분한 여유공간을 확보하고, 패널 높이의 축소 시 발생되는 간섭을 제거하며, 새도우마스크(3)와 프레임(7)간의 갭(Gab)을 최소화하기 위한 평면형 음극선관을 10~15mm정도 스커트부를 축소하여 슬림패널을 만들어본 결과, 종래의 패널에 적용되는 프레임과는 다른 슬림패널용 프레임으로 프레임의 수치는 다음과 같았다.
[표 1a]
구분 외측길이(mm) 측면부높이(mm) 측면부높이/(외측길이/4) X,Y,D축의 측면부높이함/(외측길이/4)
21"Slim X축 408.1 44 0.43 1.15=0.43+0.46+0.26
Y축 310.9 36 0.46
D축 503.2 33 0.26
21" X축 408.1 51 0.50 1.46=0.50+0.60+0.36
Y축 310.9 47 0.60
D축 503.2 45 0.36
[표 1b]
구분 외측길이(mm) 측면부높이(mm) 측면부높이/(외측길이/4) X,Y,D축의 측면부높이함/(외측길이/4)
28"Slim X축 571.6 55 0.38 0.97=0.38+0.40+0.19
Y축 331.4 33 0.40
D축 639.6 30 0.19
28" X축 571.8 66 0.46 1.44=0.46+0.66+0.31
Y축 331.6 55 0.66
D축 639.6 50 0.31
[표 1c]
구분 외측길이(mm) 측면부높이(mm) 측면부높이/(외측길이/4) X,Y,D축의 측면부높이함/(외측길이/4)
29"Slim X축 549.3 55 0.40 1.10=0.40+0.46+0.24
Y축 420.5 48 0.46
D축 672.2 41 0.24
29" X축 549.3 63 0.46 1.34=0.46+0.55+0.33
Y축 420.5 58 0.55
D축 672.2 55 0.33
[표 1d]
구분 외측길이(mm) 측면부높이(mm) 측면부높이/(외측길이/4) X,Y,D축의 측면부높이함/(외측길이/4)
32"Slim X축 668.2 66.74 0.40 1.06=0.40+0.44+0.22
Y축 385.6 42.87 0.44
D축 744.6 40.10 0.22
32" X축 667.4 70.50 0.42 1.28=0.42+0.59+0.27
Y축 384.8 57 0.59
D축 743.8 50 0.27
위의 표 1a, 1b, 1c, 1d는 종래 음극선관 각 모델에 적용된 프레임의각 위치별 수치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각 모델에 적용된 프레임의 각 위치별 수치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상기 표 1a 내지 1d를 살펴보면, 종래 음극선관 각 모델에 적용된 프레임의 각 위치 따른 길이. 즉, 프레임 X축(장변), Y축(단변), D축(대각변)의 길이는 본 발명의 각 위치별 프레임 길이와 거의 비슷하다.다만, 음극선관(패널)이 슬림화되면서 마스크의 하울링 특성 및 드롭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각 위치별 프레임의 높이는 종래에 비하여 더 낮게 설계되어짐을 알 수 있다.이에 대한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를 각 위치별 수치에 따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표 1a 내지 1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프레임은 프레임 장변 길이를 Xd, 단변 길이를 Yd, 대각변 길이를 Dd라 하고, 각 장변, 단변, 대각변의 높이를 a, b, c라 할 때, 각 위치의 길이에 대한 높이 비를 간략히 표현하도록 상기 길이(Xd, Yd, Dd)에 각각 1/4를 곱하고, 프레임 각 장변길이 대비 장변높이(a/Xd), 단변길이 대비 단변높이(b/Yd), 대각변 길이 대비 대각변 높이(c/Dd)의 전체 합은 0.9 ~ 1.2 범위를 갖는다.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는 다음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된다.(수학식)0.9 < (a/(Xd/4)+b/(Yd/4)+c/(Dd/4)) < 1.2이를 또 다른 방법으로 표현하면, 0.9 < 4(a/Xd+b/Yd+c/Dd) < 1.2로 표현될 수 있다.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 각 장변길이 대비 장변높이(a/Xd), 단변길이 대비 단변높이(b/Yd), 대각변 길이 대비 대각변 높이(c/Dd)의 전체 합에 1/4을 곱하여 나타 값의 범위가 0.9 ~ 1,2를 갖도록 하는 이유는 상술한 값이 0.9보다 작을 때에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새도우마스크(3)와 프레임간의 갭(Gap)이 커져 밀착성이 약해져 하울링(Howling)이나, 드롭(Drop)특성이 불리하게 되고, 1.2보다 클 경우에는 패널 내면과 프레임 끝단의 간섭 문제가 발행하기 때문이다.이러한 본 발명의 프레임은 도 5 에 도시된 그래프에서와 같이, 종래의 프레임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림(Slim)형 프레임의 주파수 영역이 적기 때문에, 외부진동(Speaker)에 의한 새도우마스크의 떨림현상으로 나타나는 하울링(Howling) 특성도 약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7)은 높이 축소를 통해 새도우마스크(3)와 결합했을 때, 그 결합 강도가 향상되며 외부진동에 의한 새도우마스크(3)의 떨림현상인 하울링(Howling) 특성이 개선됨을 위 실험에서 알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새도우마스크 조립체의 무게를 경량화 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을 일정 높이에서 떨어뜨린 낙하실험 결과,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림(Slim) 프레임이 종래의 프레임보다 유리한 것으로 실험되었다.
〔표 2〕
기존 프레임 슬림(Slim) 프레임
21" 20∼21G 22∼23G
29" 21∼22G 22∼23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의 장변부와 단변부 길이와 대각 길이 및 프레임 장변부 중앙높이와 단변부 중앙높이, 프레임 코너부 높이의 최적 설계를 통하여 새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의 조립성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프레임 강도 향상에 따른 외부진동에 의한 마스크 떨림현상인 하울링(Howling) 특성 및 무게의 경량화로 낙하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면이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곡률을 갖는 장방형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장착되어 새도우마스크를 지지하는 장방형의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의 장변부 길이를 Xd, 단변부의 길이를 Yd, 대각부의 길이를 Dd라 하고, 프레임 장변부의 중앙높이를 a, 프레임 단변부의 중앙높이를 b, 프레임 코너부의 높이를 c라고 할 때, 다음 식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음극선관.
    0.9 < 4(a/Xd + b/Yd + c/Dd) < 1.2
KR10-2002-0011480A 2002-03-05 2002-03-05 평면형 음극선관 KR10046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480A KR100460779B1 (ko) 2002-03-05 2002-03-05 평면형 음극선관
TW091132048A TWI270099B (en) 2002-03-05 2002-10-29 Mask frame for cathode ray tube
EP02024907A EP1343191A3 (en) 2002-03-05 2002-11-05 Mask frame for cathode ray tube
US10/289,420 US6806634B2 (en) 2002-03-05 2002-11-07 Mask frame for cathode ray tube
CNB021486077A CN1215521C (zh) 2002-03-05 2002-11-12 阴极射线管的荫罩框架
JP2002334651A JP2003257335A (ja) 2002-03-05 2002-11-19 陰極線管のマスクフレー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480A KR100460779B1 (ko) 2002-03-05 2002-03-05 평면형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977A KR20030071977A (ko) 2003-09-13
KR100460779B1 true KR100460779B1 (ko) 2004-12-09

Family

ID=2775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480A KR100460779B1 (ko) 2002-03-05 2002-03-05 평면형 음극선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06634B2 (ko)
EP (1) EP1343191A3 (ko)
JP (1) JP2003257335A (ko)
KR (1) KR100460779B1 (ko)
CN (1) CN1215521C (ko)
TW (1) TWI270099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183A (en) * 1996-10-01 1999-09-07 Sony Corporation Color selecting mechanism of cathode-ray tube and color selecting mechanism frame thereof
KR20000031565A (ko) * 1998-11-07 2000-06-05 구자홍 음극선관용 프레임 구조
KR20000066352A (ko) * 1999-04-15 2000-11-15 구자홍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JP2001202902A (ja) * 1999-12-08 2001-07-27 Sony Electronics Singapore Pte Ltd カラー陰極線管、カラー陰極線管の色選別機構及び色選別機構の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5799C2 (de) * 1981-04-18 1985-05-3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Farbauswahlelektrode für Farbfernsehröhr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742116A (en) * 1994-10-28 1998-04-21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Shadow mask frame structure with long-sides having higher mechanical strength
JPH08162035A (ja) * 1994-11-30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受像管用色選別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36960B2 (ja) * 1997-03-11 2004-06-1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JPH1145664A (ja) * 1997-07-29 1999-02-16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KR100267963B1 (ko) * 1998-08-17 2000-10-16 구자홍 음극선관용 패널
US6268288B1 (en) * 1999-04-27 2001-07-31 Tokyo Electron Limited Plasma treated thermal CVD of TaN films from tantalum halide precursors
WO2001059803A1 (fr) * 2000-02-07 2001-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ube cathodique
KR100335113B1 (ko) * 2000-05-16 2002-05-04 구자홍 음극선관용 프레임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183A (en) * 1996-10-01 1999-09-07 Sony Corporation Color selecting mechanism of cathode-ray tube and color selecting mechanism frame thereof
KR20000031565A (ko) * 1998-11-07 2000-06-05 구자홍 음극선관용 프레임 구조
KR20000066352A (ko) * 1999-04-15 2000-11-15 구자홍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구조
JP2001202902A (ja) * 1999-12-08 2001-07-27 Sony Electronics Singapore Pte Ltd カラー陰極線管、カラー陰極線管の色選別機構及び色選別機構の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3191A3 (en) 2006-04-26
US20030168961A1 (en) 2003-09-11
CN1215521C (zh) 2005-08-17
TW200304159A (en) 2003-09-16
CN1442875A (zh) 2003-09-17
JP2003257335A (ja) 2003-09-12
TWI270099B (en) 2007-01-01
US6806634B2 (en) 2004-10-19
EP1343191A2 (en) 2003-09-10
KR20030071977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5951B2 (en) Flat color CRT
KR100460779B1 (ko) 평면형 음극선관
US7005792B2 (en) Color cathode ray tube
KR20020076830A (ko) 경량화를 위한 평면형 컬러 음극선관
KR100434409B1 (ko) 음극선관의 글라스 구조
KR20010069126A (ko) 평면 브라운관의 프레임 어셈블리 구조
KR100308043B1 (ko) 칼라 브라운관용 패널의 내면곡률 산출방법
US20050052113A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518845B1 (ko) 음극선관
US7291964B2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692045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869793B1 (ko) 평면 음극선관
KR20030022543A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용 경량화 패널
KR100404575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50246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31610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지지체
KR10047033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1028084B1 (ko) 음극선관
KR20050091308A (ko) 평면형 음극선관
KR20030023821A (ko) 음극선관용 펀넬 구조
US20050052112A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489606B1 (ko) 음극선관
US20040217684A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20040067129A (ko) 텐션타입 음극선관
US20020109453A1 (en) Flat-type C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